[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1751Y1 - 자동 여과기 - Google Patents

자동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51Y1
KR830001751Y1 KR2019810006957U KR810006957U KR830001751Y1 KR 830001751 Y1 KR830001751 Y1 KR 830001751Y1 KR 2019810006957 U KR2019810006957 U KR 2019810006957U KR 810006957 U KR810006957 U KR 810006957U KR 830001751 Y1 KR830001751 Y1 KR 830001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tube
filter
head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6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필수
Original Assignee
유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필수 filed Critical 유필수
Priority to KR2019810006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5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여과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여과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여과시의 상태도.
제2도는 동상의 종단면도로서 역세척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기 본체 (7) : 싸이폰관
(9) : 원수 도입관 (11) : 헤드탱크
(12) : 직립관 (13) : 공기배출구
(14) : 부자 (15) : 지지돌조
본 고안은 여과기 본체의 내부가 상측으로부터 역세척수 저장실, 여과실 및 정수실의 세부분으로 구획되고 역세척수 저장실과 정수실은 연결관으로 연통되는 한편 여과실의 정상부에형으로 만곡된 싸이폰관이 설치되어 그 싸이폰관의 외측하단부를 수봉조내에 봉입시키고 수봉조의 일측저면에는 소구경의 배수공을 천설하여서 된 공지의 자동여과기에 있어서, 역세척수 저장실의 만수위보다 높고 싸이폰관의 정상 반곡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헤드탱크를 설치하여 원수도입관과 직립관으로 연통시고 그 헤드탱크 내부에는 헤드탱크의 상면에 설치된 공기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자(浮子)를 내장하여서 되는 자동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싸이폰관을 사용한 무변식 자동여과기에 있어서는, 삽이폰관에 이젝터나 볼탑을 설치하므로서 싸이폰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 이 이젝터나 볼탑을 원하는 시기, 즉 역세척이 필요한 시기에 자동작동시키기 위하여는 복잡한 구성의 부대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그와 같은 종래의 싸이폰관을 이용한 무인조작 자동여과기에 있어서의 결함을 시정하고, 장치의 간소화와 자동조작의 정확내지는 간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고장의 염려가 없는 자동여과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인바, 그 구조와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요지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먼저 여과기의 기존부분의 구성을 설명하면,
여과기 본체(1)의 내부는 상측으로부터 역세척수 저장실(2)과 여과실(3) 및 정수실(4)의 세부분으로 구획되어 있고, 여과실(3)내에는 여과층)5)이 설치되어 있으며, 역세척수 저장실(2)과 정수실(4)은 연결관(6)으로 연통되고, 여과실(3)의 정상부에는형으로 만곡된 싸이폰관(7)이 설치되어 있고, 그 싸이폰관(7)의 외측단부(7')는 저면에 소구경의 배수구(17)가 천설되어 있는 수봉조(8)내에 봉입되어 있으며, 또 여과실(3)과 역세척수 저장실(2)의 상측에는 각각 원수도입관(9)과 정수유출관(10)이 연설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기존의 여과기에 있어서, 역세척수 저장실(2)의 만수위 H. W. L보다 높고 싸이폰관(7)의 정상부 보다는 낮은 위치에 헤드탱크(11)를 설치하여 그 저부를 원수도입관(9)과 직립관(12)으로 연통시키고, 헤드탱크(11) 내부에는 그 헤드탱크(11)의 상면에 설치된 공기배출구(13)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자(14)를 헤드탱크(11) 저면의 지지돌조(15)상에 재치하여 헤드탱크(11)의 저면과 부자와의 사이에 약간의 통기간결(16)이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공지의 싸이폰 부레이커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여과기에 있어서, 원수도입관(9)을 통하여 도입된 원수가 여과실(3)내의 여과층(5)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정수실(4)로 집수되어 연결관(6)을 거쳐 역세척수 저장실(2)로 유입저장되고 만수위 H. W. L에 이르면 정수유출관(10)을 통하여 유출되는 과정은 통상의 여과기와 같다.
그런데, 역세척을 개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본 고안은 여과개시 초기에는 원수도입관(9)에 설치된 직립관(12)의 수위가 역세척수 저장실(2)의 만수위 H. W. L과 같은 수위인 l. w. l에 있게 되므로 원수중에 포함되어 도입되는 공기는 직립관(12)의 상부로 상승하여 헤드탱크(11) 저면과 부자(14)와의 사이의 통기간격(16)을 통하여 헤드탱크(11)내부로 유입되어 공기배출구(13)로 배출된다.
그러나, 여과가 지속됨에 따라서 여과통(5)의 불순문 퇴적량이 늘어나게 되어 여과저항이 증대하게 되므로 그와 병행하여 직립관(12) 및 싸이폰관(7)내의 수위가 l. w. l로부터 점차 상승하게 되 고그 수위가 h. w. l에 도달하게 되면, 헤드탱크(11)내의 부자(14)가 부상하여 공기배출구(13)를 폐색하게 되고 따라서 원수중에 포함된 공기와 배출이 억제되므로 우수관로내에 약한 수충압(Water Hammer)이 발생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싸이폰관(7)내의 원수가 싸이폰관(7)의 반곡부를 넘쳐 흘러 수봉조(8)내로 유출하게 되는데 그 수봉조(8)의 바닥에 천설된 배수공(17)은 싸이폰관(7)의 관경에 비하여 극히 소구경으로 되어 있어 배수공(7)을 통한 배수량보다 수봉조(8)로 유입되는 유입수량이 훨씬 많으므로 수봉조(8)내에는 단시간내에 물이 고이게 되므로 싸이폰관(7)의 외측단부(7')는 수봉된다.
이와 같이하여 싸이폰관(7)의 단부(7')가 수봉되면, 원수관로내에 발생한 수충압에 의하여 싸이폰관(7)에 싸이폰이 형성되면서 싸이폰관(7)을 통해 원수가 외부로 유출하기 시작하면서 역세척이 개시된다.
역세척이 계속되면 역세척수 저장실(2)내의 수위가 강하하고 그 수위가 싸이폰 부레이커관(18)이하로 강하하면 그 부레이커관(18)을 통해 싸이폰관(7)내에 공기가 공급되어 싸이폰작용이 정지되므로 역세척이 종료되고 여과가 다시 시작되는 것은 종래의 여과기와 같다.
싸이폰작용의 정지로 수봉조(8)내로의 물의 유입이 중단되면 그 수봉조(8)내에 있던 물은 소구경의 배수공(17)을 통하여 배출되어 버리므로 여과기간중에는 수봉조(8)내부는 비어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수도입관(9)에 연결한 직립관(12)상에 헤드탱크(11)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부자(14)를 설치하여 역세척시기가 도래하게 되면 헤드탱크(11)의 공기배출구(13)를 폐색하므로서 원수관로중에 수충압을 발생케하고 이로써 싸이폰관(7)에 싸이폰을 형성할 수 있게한 것으로, 싸이폰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하던 이젝터나 볼탑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에 따른 복잡한 구성의 부대시설을 설치함이 없이 자동조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장치의 간소화와 자동조작의 정확내지는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므로 고장의 염려가 였고 유지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여과기 본체(1)의 내부를 역세척수 저장실(2)과 여과실(3) 및 정수실로 구획하고, 여과실(3)의 중앙 상부에는 싸이폰관(7)을 설치하여 그 외측단부(7')를 수봉조(8)내에 봉입시킨 공지의 여과기에 있어서, 역세척수 저장실(2)의 만수위 H. W. L보다는 높고 싸이폰관(7)의 정상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공기배출구(13)를 상면에 구비한 헤드탱크(11)를 설치하여 원수도입관(9)과 직립관(12)으로 연결하고, 그 헤드탱크(11) 내부에는 상기한 공기배출구(13)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자(14)를 헤드탱크(11)의 바닥과 통기간격(16)을 두고 재치하여서 된 자동여과기.
KR2019810006957U 1981-10-14 1981-10-14 자동 여과기 Expired KR830001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957U KR830001751Y1 (ko) 1981-10-14 1981-10-14 자동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957U KR830001751Y1 (ko) 1981-10-14 1981-10-14 자동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751Y1 true KR830001751Y1 (ko) 1983-09-16

Family

ID=1922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6957U Expired KR830001751Y1 (ko) 1981-10-14 1981-10-14 자동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70364A (ja) 透過膜によるろ過装置
KR830001751Y1 (ko) 자동 여과기
KR890003963Y1 (ko) 자동여과기의 사이폰관 수봉장치
JPH0255082B2 (ko)
JP3031402B2 (ja) 外圧式膜ろ過装置
JPH0756373Y2 (ja) 雨水集水装置
KR880000801B1 (ko) 중력식 여과장치의 역세용 사이펀관의 기동 및 정치장치
CN2333770Y (zh) 节水型重力式无阀滤池反冲洗装置
JP3537272B2 (ja) 水洗トイレ用貯水タンクへの雨水供給装置
KR830002427Y1 (ko) 자동 여과기의 역세척 장치
CN214953451U (zh) 污水处理检测装置
CN215505739U (zh) 一种自动过滤与反冲洗装置
JPH0255081B2 (ko)
KR880000802B1 (ko) 중력식 여과장치의 역세(逆洗)용 사이펀(Siphon)관의 기동 및 정지장치
JPS56168811A (e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filter tank
JPS6143527Y2 (ko)
KR900004724Y1 (ko) 사이폰 여과장치
KR890002199Y1 (ko) 자동 여과기의 여과 보조장치
JPH0711767Y2 (ja) 重力濾過池の濾床上部水抜用サイフオン管
KR830002426Y1 (ko) 자동 여과 속도 조절장치
KR840002667Y1 (ko) 자동 여과장치
SU1011788A1 (ru) Шахтна водоотливна установка
JPS6391110A (ja) 急速ろ過装置
JPH0255090B2 (ko)
SU81439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11014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30616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816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3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3113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