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1245B1 -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45B1
KR830001245B1 KR1019790003607A KR790003607A KR830001245B1 KR 830001245 B1 KR830001245 B1 KR 830001245B1 KR 1019790003607 A KR1019790003607 A KR 1019790003607A KR 790003607 A KR790003607 A KR 790003607A KR 830001245 B1 KR830001245 B1 KR 83000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oplanesin
medium
chloroform
strain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372A (ko
Inventor
마모루 아라이
아끼오 도리가따
끼다 류조 에노
다쓰오 하네이시
무쓰오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요시노부
상꾜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요시노부, 상꾜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요시노부
Priority to KR101979000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45B1/ko
Publication of KR83000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6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actinomycetal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마이코플라네신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각각 나타낸 것임.
본 발명은 신규한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Mycoplanecin) 마이코플라네신을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 방선균 균주 제41042호 및 악티노플레인스(Actinoplanes)균의 마이코플라네신-생성 미생물을 배양시켜 마이코플라네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의 항생물질 중에서, 마이코플라네신은 다음과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성상으로 특정지을수 있다.
1. 물질의 색과 형상 : 백색분말
2. 융점 : 161-167℃
3. 비선광도 : [α]D 21-66°(C=0.4, 클로로포름)
4. 원소분석 : C 61.78% H 8.48% N 11.75% (건조후 중량일정)
5.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50% 메탄올 수용액중 20㎍/ml의 농도에서 측정했을때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말단 흡수만 나타냈다.
6.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 KBr 디스크에서 측정한 스펙트럼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7.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 용매로서 중클로로포름 중에서 내부 기준으로 테트라메틸실란(TMS)를 사용하여 측정한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8. 용해도 : 메탄올, 에탄올, 초산에틸,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가용성이고, 벤젠중에 난용성이고, 수중에서 불용성이다.
9. 증색반응 : 50% v/v 황산액으로 갈색,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라피상에서 옥소 및 과망간산칼륨에 대해서 증색반응을 나타내고, 닌히드린 및 2,4-디니트로페닐하이드라진에 대해서 증색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10. 아미노산 조성 : 6N 염산으로 105℃에서 20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글리신, 프롤린, 로이신, 2-아미노-5-메틸헥사노산, N-메틸트레오닌, N-메틸로이신, 메틸프롤린 및 에틸프롤린 각 1몰 및 N-메틸발린 2몰이 검출되었다.
11. 항균력 : 마이코박테륨 속의 여러가지 세균에 대해서 강력한 항균력을 갖는다.
첨가해서, 마이코플라네신은 초산에틸로 전개했을 때에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라피(F254, 0.25mm,N0.5715, 메르크 회사제)상에서 Rf치 0.15를 나타냈고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 95 : 5 용적비 혼합물로 전개했을 때에 0.64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은 미생물은 방선균주 제41042호이며, 이것은 일본국 효고겡 수모도시에서 채취한 토양시료에서 단리시켰다. 이 균주를 일본국 통상성 공업기술원 미생물 공업기술연구소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제FERM-4504를 받았다. 이 균주는 또한 미합중국 농림성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NRRL-11462를 받았다.
신규의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을 제조하는 방법은 악티노플레인스균의 마이코플라네신-생성 미생물을 배양시킨 다음에 배양물로부터 마이코플라네신을 단리시키는 것이다.
방선균주 제41042호의 형태학적 특징과 생리학적 특징을 이하에 기재한다.
1. 형태학적 특징
인터내쇼날 스트렙토마이세스프로젝트(ISP)에 의해 규정된 ISP4 매질상에서 28℃에서 14일동안 배양하고 현미경 관찰에 의한 균주 41042는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특성을 갖는다.
포자는 구상 또는 아구상(亞球狀)이고 포자의 직경은 7-15μ이며, 포자의 크기는 0.8μ×1.3μ이며, 편모(鞭毛)를 갖고, pH7.0, 1/15M 인산 완충액 중에서 약 40분 동안 유주성(游走性)을 나타냈다. 28℃에서 14일 동안 여러가지 매질중에서 생육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주 : SM : 기생균사 AM : 호기성 균사 SP : 가용성 색소 SG : 포자낭
2. 생리학적 특성
균주 제41042호의 생리학적 특성을 표 2에 나타냈다.
[ 표 2]
Figure kpo00004
사용하는 배지는 다음과 같다.
배지 A : 트립토판-효모추출액(ISP 1)
배지 B : 펩톤-효모추출-철한천(ISP 6)
프리담-고틀리보 한천배지(Pridham-Gottlieb's ager medium) 상에서 28℃에서 14일 후의 균주 제41042호의 탄소원 이용패턴을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kpo00005
++ : 양호하게 이용했다. + : 이용했다. - : 이용하지 않았다.
다음과 같은 배지를 사용했다.
배지 C : 프리담-고틀리보 한천
배지 D : 프리담-고틀리브 한천 +효모추출물 0.5%
3. 균체성분
비. 베커(B.Becker) 등에 의해 응용미생물학 12, 제421-423페이지(1964) 및 13, 제236-243(1965)페이지에 기재된 방법과 엠. 피. 레쉐 발리에르(M.P.Lechevalier) 및 에이취. 프라우저(H.Prauser)에 의해 악티노마이세탈스, 제311-316페이지(197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페이퍼크로마토그라피로 균체의 산가수 분해물을 분석한 결과를 표 4 및 5에 나타냈다.
[표 4]
세포벽 형태
Figure kpo00006
이 결과에서 세포벽 형태가 Ⅱ인 것이 확인되었다.
[표 5]
전세포중 당성분
Figure kpo00007
상기의 성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균주 제41042호는 방선균종내의 악티노플라나시애과의 악티노플라네스속에 속한다. 이것은 이 균주가 구상 내지 아구상의 포자낭을 형성하고, 유주성을 가지며 세포벽타입이 Ⅱ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신균주를 악티노플라네스 균주 제41042호로 칭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악티노프레인즈를 포함하는 방선균주의 제성질은 일정하지 않지만 자연적, 인공적으로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악티노플레인즈균주 제41042호를 배양시켜 신규의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미생물의 변이주, 일반적으로 이 항생물질을 얻기 위하여 마이코플라네신을 생성할 수 있는 악티노플라네스속에 속하는 균주의 사용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마이코플라네신-생성균의 배양은 악티노플라네스속을 배양하기 위해 통상으로 사용하는 조건하에서 행할 수 있다. 액체배지 중에서 진탕교반 혹은 통기교반 배양이 적합하다.
영양배지로서는 방선균의 배양에 통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동화할 수 있는 탄소원(예,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슈크로오스, 말토오스, 덱스트린, 전분, 글리세린, 식물성유지(예, 대두유, 면실유, 콘오일), 동물성 유지(치킨오일, 라아드) 또는 어유), 동화할 수 있는 질소원(예, 대두분, 낙화생유, 면실분, 어분, 콘스팁리쿼, 오우트밀, 스킴밀크, 펩톤, 육추출물, 생이스트, 이스트추출물, 카사미노산,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또는 황산암모늄) 및 무기염(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염,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또는 염화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영양배지는 소량의 기타 금속염, 예를들면 황산제1철, 황산구리,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또는 황산코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체배지 중에서 배양은 통기교반하에 호기적으로 행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 경우에 이 배지에 소포제를 가할 수도 있으며, 이 소포제로서는 실리콘유, 식물성유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배양은 중성 근처의 pH치와 18~30℃, 적합하기로는 약 28℃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배양을 진행시키는 중 배양액중에 생산되는 마이코플라네신의 역가는 시험균으로서 마이코박테륨 스메그마티스(Mycobacteri-um smegmatis) ATCC 607주를 사용하는 컵검정법에 의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마이코플라네신의 생성량은 배양 3~5일 후에 최고에 달한다.
마이코플라네신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배양액중 액체부분과 균체부분 양방에 존재한다. 배양종료후, 배양액으로부터 항생물질을 회수하기 위해, 균체 및 기타고형부분을 예를 들면 여과조제로서 규조토를 사용하여 여과하거나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서 액상으로부터 회수한다. 이어서 균체부분, 여액 또는 상징액중에 있는 마이코플라네신은 그의 이화학적 성질에 적합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단리해서 정제시킨다.
예를들면, 균체부분중 마이코플라네신은 물과 혼화시킬 수 있는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톤을 가해서 추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이 추출액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은 물과 혼화할 수 없은 용매,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초산에틸,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염화메틸렌을 사용하여 재추출시킨다. 배양액중 액체부분에 있는 마이코플라네신은 물과 혼화시킬 수 없는 용매로 추출시킨 후에 균체부분에서 뽑아낸 추출물과 혼합시킨 다음에 농축시켜 조악한 마이코플라네신 추출물을 얻는다.
선택적인 방법으로, 마이코플라네신은 상기한 것과 같은 물과 혼화할 수 있는 용매를 액체부분으로부터 균체를 분리시키지 않고 배양액에 직접 가해서 추출시킬 수 있고, 생성추출물은 여과한 뒤 농축해서 용매를 제거한 다음에 잔류물을 상기 방법으로 물과 혼화할 수 없는 용매를 사용하여 재추출시킨다.
이와 같이 얻은 마이코플라네신은 비슷한 이화학적 성질을 갖는 화합물을 정제하는데 잘 알려진 방법으로 더욱 정제시킬 수 있으나, 흡착제를 사용하는 정제법이나 또는 역류분배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흡착제중 적합한 것으로 알루미나, 실리카겔, 세파덱스(Sephadex)(다당류-유도 유기화합물의 상표)또는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담체로서 실리카겔을 사용하고 용출제로서 메탄올,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라피 분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더욱 정제
이와 같이 얻은 정제 마이코플라네신은 실리카겔의 박층크로마토그라피 상에서 황산, 과망간산칼륨 또는 옥소등의 증색반응에서 단일점을 나타내며, 하기와 같은 이화학적 성상을 나타낸다.
각종 미생물에 대한 마이코플라네신의 최소억제농도(MIC)를 표 6에 나타냈다.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마이코박테리아의 경우에는 10%우혈청 첨가 두보스액체 배지를 사용하는 희석법에 의해 37℃에서 5주간 배양후에, 일반세균의 경우에는 허어트 인퓨전 한천배지를 사용하는 한천희석법에 의해 37℃에서 24시간 배양후에, 그리고 진균 및 효모의 경우에는 사부로 한천배지를 사용하는 한천희석법에 의해 26℃에서 48시간 배양후에 각각 평가했다.
[표 6]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배지 DM : 두보스 배지, 단 마이코박테륨 스메그마티스 ATCC607 및 마이코박테륨 프레이 2균주를 제외한 기타 균주에 10%우혈청을 첨가했다.
배지 H : 허어트 인퓨전 한천배지.
배지 S : 사보루 한천배지.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독성은 이것을 마우스에 100mg/kg체중 투여량으로 복강내로 투여해서 시험했으며, 그 결과 사망한 마우스는 없었다.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를 이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500ml용 사까구찌 훌라스크에 멸균전 pH7.0을 갖고 다음과 같은 조성(백분율 w/v)을 갖는 시이드 배지 100ml에 가했다.
Figure kpo00010
이 배지를 악티노플라네스 균주 제41042를 배양시켜 접종시키고, 28℃에서 96시간 동안 왕복 진탕교반을 행했다. 생성되는 배지를 5ml씩 나누고, 각 부분을 멸균전 pH7.0을 갖고 다음과 같은 조성(백분율w/v)을 갖는 생성배지 100ml씩 들은 사까구찌 훌라스크 각각에 넣었다.
Figure kpo00011
이어서 28℃에서 96시간 동안 왕복진탕 배양을 행했다. 생성배지를 혼합했다.
화합시킨 배지(pH7.2) 4ℓ에 5% w/v celite 545 ( Johns Manvillle Product Corporation의 상표)를 가하고, 배양약을 여과하여 균체함유 여과케이크로부터 액체를 분리시켰다. 이 여액을 초산에틸 2ℓ로 추출시켜 그의 마이코플라네신 성분을 회수하는 한편, 균체케이크를 아세톤 함유 20%v/v물 2ℓ를 사용하여 추출시키고 아세톤을 감압하에서 유거하고, 잔류물을 초산에틸 2ℓ를 사용하여 추출했다. 초산에틸을 여액으로부터 추출시키고, 균체케이크를 화합해서 화합된 추출물 4ℓ를 얻었다.
이 화합추출물을 매회 염화나트륨 포화수용액 1ℓ로 2회 세척했다. 세척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이어서, 감압하에서 증발 농축시켜 유상물 1.07g을 얻었다.
이 유상물을 소량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미리 클로로 포름으로 제조한 실리카캘 20g을 함유하는 킬럼에 흡착시켰다. 이어서 이 칼럼을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고, 불순물을 클로로포름과 초산에딜 1 : 1용척 혼합물을 사용하고 이어서 초산에딜만을 사용해서 용출시켰다. 이어서 목적하는 마이코폴라네신을 95용적% 초산에딜과 5 용적%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해서 용출시켰다. 용출시킨 분획물로부터 활성분획물 1ℓ를 분리시켜 감압하에서 증발 농축시켜 백색분말 130mg을 얻었다.
이 백색분말 110mg을 소량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생성용액을 클로로포름을 채운 Sephadex LH-20(스웨덴국 화마시아 회사제)를 함유하는 200ml용 컬럼에 통과시킨 다음에 클로로포름을 사용해서 용출시켰다. 수집된 활성 분획물을 감압하에서 증발농축시켜 마이코플라네신 백색분말 90mg을 얻었다. 이 정제 생성물은 실리카겔의 박층크로마토그라피상에서 옥소, 황산 및 과망간산 칼륨을 사용했을 때에 단일점을 나타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시드배양액을 각각 100ml씩 채운 500ml용 사까구찌 훌라스크 10개를 악티노플라네스 균주 제41042를 배양시켜 접종시키고, 28℃에서 96시간 동안 왕복 진탕교반을 행했다.
30ℓ용 발효기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생성배지 15ℓ를 넣고 상기와 같이 제조한 배양액 750ml를 넣어서 접종시키고, 이어서 이것을 250rpm에서 교반통기 시키면서 28℃에서 매분당 15ℓ의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80시간 동안 진탕교반했다.
생성되는 배양액에 아세톤 15ℓ를 넣고, 이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이 생성물을 여과조제 celite 500g을 가해서 여과했다. 이 여액 25ℓ를 감압하에서 증발농축시켜 아세톤을 유거했다. 잔류액체(15ℓ)에 염화메틸렌 7ℓ를 가하고 진탕교반하에 추출했다.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7ℓ를 또 가해서 추출시킨 뒤 이 추출액을 화합하고, 그 후에 용매를 유거해서 유상물 1.8g을 얻었다.
소량의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킨 이 유상물의 용액을 실리카겔 50g과 클로로포름을 채운 칼럼에 흡착시키고, 클로로포름 99용적% 및 메탄올 1용적%로 되는 용매를 사용해서 마이코플라네신을 용출시켰다.
활성분획물 400ml를 수집해서 감압하에서 증발농축시켜 백색분말 390mg을 얻었다. 소량의 클로로포름중에 용해시킨 백색분말의 용액을 용적비 9 : 5의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플레이트(5717, 메르크회사제)를 사용하는 예비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전개했다. 활성밴드를 초산에틸로 추출시켜 순도 90%(생물학적 평가)를 갖는 백색분말형으로 마이코플라네신 250mg을 얻었다.

Claims (1)

  1. 마이코플라네신 생성균으로서 악티노플레인즈노브 종균주 제41042호(NRRL-11462)를 배양시키고, 그 생성 배양액으로 부터 마이코플라네신을 단리시켜항 물생질 마이코플라네신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790003607A 1979-10-18 1979-10-18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KR83000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607A KR830001245B1 (ko) 1979-10-18 1979-10-18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607A KR830001245B1 (ko) 1979-10-18 1979-10-18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72A KR830001372A (ko) 1983-04-30
KR830001245B1 true KR830001245B1 (ko) 1983-06-27

Family

ID=1921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607A KR830001245B1 (ko) 1979-10-18 1979-10-18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72A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1042A (en) Method for producing maytansinol and its derivatives
EP0029329B1 (en) Enzyme inhibitor produced by cultivation of a streptomyces microorganism, a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a culture of the microorganism
NL8001982A (nl) Antibiotisch werkzame stof en werkwijze ter bereiding en toepassing van deze stof en farmaceutisch preparaat, dat deze stof bevat.
GB2220657A (en) Antifungal fermentation product
KR960016874B1 (ko) 미생물에 의한 트랜스-4-히드록시-l-프롤린의 제조방법
KR100230961B1 (ko) 신규한 아미노올리고당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K143570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maytansinol maytanacin og eller maytansinolpropionat
US4336249A (en) Antibiotic substance
KR830001245B1 (ko) 항생물질 마이코플라네신의 제조방법
US4764602A (en) Antibiotics, and their production
US4292309A (en) Antibiotics C-14482 B1, B2 and B3
EP0187049B1 (en) Micromonospora microorganisms and macrolide antibiotic production therewith
US4550021A (en) Antitumor antibiotic 81-484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4686308A (en) Novel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MH435
EP0037736B1 (en) Mycoplanecin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189330A2 (en) Antitumor antibiotics and their production
CA2145204A1 (en) Antibiotic agents
KR810001056B1 (ko) 항생물질 c-15003의 제조법
KR810000510B1 (ko) 메이탄시노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CS214749B2 (en) Means for treating the diseased plants and method of preparation of active substance
EP0205981B1 (en) A novel anti-tumor and antimicrobial compound, its microbiological preparation and its use as medicament
KR810002039B1 (ko) 항생물질 c-14919e-1 및 e-2의 제조방법
JP2844214B2 (ja) 4a―ヒドロキシミルベマイシンα類の製造法
JPS6034556B2 (ja) 抗生物質c−15003
JPH0625095B2 (ja) 抗生物質sf−2415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1018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2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531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90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3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3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5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5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6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5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