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0794B1 -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794B1
KR830000794B1 KR1019780001274A KR780001274A KR830000794B1 KR 830000794 B1 KR830000794 B1 KR 830000794B1 KR 1019780001274 A KR1019780001274 A KR 1019780001274A KR 780001274 A KR780001274 A KR 780001274A KR 830000794 B1 KR830000794 B1 KR 83000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e
aluminum oxide
high pur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94A (en
Inventor
한스 베칭 닥터
Original Assignee
아. 나테르만운트씨. 게엠베하
레오 암바쉐르
칼페르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 나테르만운트씨. 게엠베하, 레오 암바쉐르, 칼페르겐 filed Critical 아. 나테르만운트씨.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78000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94A/ko
Publication of KR83000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9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농도의 필수지방산을 함유하는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레시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粗) 레시친을 1-3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저급 알코올로 처음 추출하고 형성된 두 상(phase)을 불리한 다음 알콜을 다량 함유한 상충상 산환 알루미늄 흡착제로 처리한다. 상기 흡착제를 알콜로 용출(공지방법에 따라)하여 세팔린 및 이노시톨포스파티드를 유리시킨 필수지방산을 다량함유한 유(油)함유포스파티딜콜린을 얻는다.
독일 특허 제1617679호는 식물레시진으로부터 산화알루미늄상에서 포스파티드를 흡착하고 알콜로 추출하여 다량의 필수지방산을 함유한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레시친)을 얻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본 공정은 유(油) 함유조(粗) 포스타티드를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탄소원자 1내지 2를 갖는 이염소화 탄화수소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에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용매는 부피 %로 알콜을 6%까지 포함할 수 있다. 원료를 녹인 용액은 조(粗) 포스파티드의 양에 대해, 적어도 5배의 양에 해당하는 산화 알루미늄을 넣고 교반하면서 처리된다. 최종적으로,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은 분산된 산화알루미늄으로부터 알콜과 함께 유리된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617680호에 의하면, 유(油) 함유조(粗)포스파티드 용액을 산화 알루미늄 컬럼과 접촉시키고(교반 대신에), 화학적으로 순수한 포스파티딜콜린을 산화알루미늄 흡착제로부터 알콜과 함께 유리시킨다.
스위스 연방특허 제361088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2945869호에는, 정맥내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지방성 유탁액의 유화제로서 사용되는 대두포스파티드 획분(soya:soy-bean phosphatide fraction)을 얻는 정제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공정에 따라서 미리 탈유된 조(粗) 포스파티드의 알콜성 용액을 Al2O3, MgO 혹은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이들 용액의 세팔린 함유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고양이에게 정맥내로 투여할 경우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진 모든 이노시톨 함유 포스파티드를 제거한다.
그러나, 후자의 방법은 흡착제의 사용에 관계없이, 세팔린 함량을 감소시키는 알콜성 용액을 제조하기 전에, 상업적으로 유용한 조(粗)포스파티드를 미리 탈유시키는 단계가 필요하며, 또한 공지된 공정으로는 세팔린을 완전 혹은 다량제거할 수 없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053299호에는, 다른 물질중에서, 산화 알루미늄을 흡착제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콜라민인산 디글리세트드 에스테르(colamin phosphoric acid diglyceride esters)가 제거된 천연의 콜린 인산 디글리세리드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본 공정도, 또한 아세톤으로 반복 추출하여 탈유하고, 미리 탈유된 조(粗)포스파티드를 알콜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617679호 및 1617680호에서 밝혀진 공정의 경우는 유(油)함유 조(粗)포스파티드 혼합물을 탈유하지 않은 상태로 에틸 아세테이트 혹은 염화 탄화수소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산화알루미늄으로 처리한다. 조(粗)포스파티드의 탈유단계는 모든 포스파티드가 흡착제에 잔류하는 동안 실시한 포스파티딜콜린(레시진)을 알콜과 산화 알루미늄으로 처리시켜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공정에 따라 오일이 제거된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을 얻을 수 있다.
유(油)함유 조(粗)포스파티드를 에틸 아세테이트 혹은 이염화탄화수소로 반드시 처리하지 않아도 되며 전술한 조(粗)포스파티드를 1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콜로 추출하며 상기 추출액을 산화알루미늄으로 직접 처리할 수 있고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617679호 및 제1617680호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산화알루미늄에서 알콜을 사용하여 상기 흡착된 포스파티드를 분리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식물유를 함유하는 조(粗)포스파티드와 함께 분자내에 필수 지방산을 다량함유하는 포스파티딜콜린을 제조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의 유(油)함유 용액을 제조할 필요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을 예를들어, 젤라틴 캡슐의 형태로 경구투여하는 제약분야에서 필요하다. 방사성 물질로 표시한 포스파티딜콜린을 사용하는 흡수율 연구결과, 불포화폴리지방산과 함께 포스파티딜콜린의 유성생성물을 경구적으로 투여할 경우, 흡수율은 수성 생성물보다 수배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항상 포스파티드를 함유하고 있는 해바라기유와 대두유같은 천연식물유는 동일한 기름에서 제조한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와 잘 혼합하는데 이 혼합액이 유성물질로 매우 적당하다. 따라서 미용식 및 식이요법과 같은 기타 분야에도 유용한 유동성 포스파티딜콜린 획분을 직접 액체로 얻을 수 있다.
젤라틴 캡슐을 채우는데 사용되는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의 유동성 유성용액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617679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은 오일이 제거된 포스파티딜콜린을 정제공정시 생성되는 천연 식물유 혹은 기타식용유 또는 모노글리세리드 혹은 유리지방산과의 혼합물과 다시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전술한 제조방법은 세팔린 및 이노시톨포스파티드를 제거하기 위하여 Al2O3상에서 흡착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또는 그 전에, 포스파티드 혼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일을 제거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선기술공정 및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제1053299호 또는 관련 특허에 기술된 공정들은 상당히 비경제적이며 여러가지 단점을 갖는다. 첫째로, 상업적으로 유용한 조(粗)포스파티드를 아세톤으로 함유하는 경우, 화학적으로 아세톤 2분자와 조립하여 생성되는 산화메시칠이 항상 소량씩 만들어진다. 본 메시틴기는 그 독성, 특징, 특유의 냄새 때문에 극소량 존재하더라도 대단히 헤로운 영향을 미친다. 둘째로, 오일 및 포스포리피드를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는 경우, 항상 재사용전에 분류증류하여야 하는, 용매 혼합물이 형성된다.
한가지 실예로서, 본 발명은 유(油)함유 조(粗)포스파티드에서 저급 알콜로 유(油)함유 포스파티드추추물을 추출하고, 이 유성포스파티드 추출물을 산화 알루미늄 흡착제와 직접 접촉시킨 다음, 흡착된 포스파티딜콜린을 회수하는 단계로 구성된, 고도로 정제된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공정의 생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공정은 첫번째로 50℃ 정도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에 달하는 오일을 함유하는 상업적으로 유용한 조(粗) 레시친을, 메탄올, 에탄올 혹은 프로판올로 추출하여 진행한다. 혼합물을 냉각하는 동안 형성된 두가지 상은, 예를들어 경사법 혹은 원심분리 등의 방법으로 분리한다. 알콜이 풍부한 상층상을 산화알루미늄으로 교반 처리하거나 혹은 흡착제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라피의 컬럼을 통과시켜, 산화알루미늄으로 처리한다. 알콜로 용출하여 세팔린 및 이노시톨포스파티드를 함유하지 않으며 다량의필수지방산을 함유하는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을 얻는다.
본 분야의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유(油)함유 알코성 포스파티드 용액을 산화알루미늄상에서 크로마그라피로 분리할 경우, 전처리 단계가 필요하지 않으며,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용액은 산성포스파티드의 흡착단계를 조금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산화알루미늄과 접촉하는 동안, 포스파티드상에서 오일을 분리하여 흡착제의 활성중심을 방해하는 알콜에 오일이 소량용해한다는 점에서 특히 놀란만하다. 또한, 알콜성 용액으로부터 포스파티딜콜린을 흡착하는 양은 본 용매를 원소로 사용하는 이전의 공지의 경우처럼 충분량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되는 유(油)함유 알콜성 추출물은 용매의 비점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온도하에서, 포스파티드 원물질을 알콜로 한번 또는 수차처리하여 제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얻은 혼합물은 경사법 또는 원심분리법으로 처리하여 분리될 수 있다. 알콜성 상부층을 산화 알루미늄으로 교반, 처리한 다음, 용액에서 분리된 흡착제를 에탄올과 함께 몇분동안 교반하여 경사분리기로 분리한다. 소량의 에탄올로 반복하여 헹구고, 불필요한 물질을 함유하는 산화 알루미늄을 경사제거하거나 또는 다음 공정으로 도입한다. 산성 포스포리피드의 분리시 크로마토그라피 컬럼을 사용할 경우. 본 컬럼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틸알콜로 용출하여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 농축물을 얻는다. 필요하다면 컬럼에서 나오는 용출액을 분리하여 포스파티딜콜린 분획의 오일 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공정에 따라, 산화알루미늄으로 교반하거나 혹은 컬럼크로마토 그라피로 처리하여, 얻은 알콜성 용액은 진공 및 불활성 기체의 보호하에서 용매로부터 분리시킨다. 필요에 따라, 용액을 여과하기도 한다.
셀리드(celite)라는 상표로 판매되는 규조토와 같은 여과보조물을 소량 사용할 수 있다. 생성물은 세팔린을 거의 함유하지 않으며 66 내지 70% 이상의 필수지방산을 함유하는 고순도의 천연포스파티딜콜린의 유(油)함유 획분이다.
유(油)함유 조(粗)포스파티드의 추출과 본 발명의 크로마토그라피 공정을 진행하기에 적당한 알콜은 1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저급 알콜(바람직하게는 에틸알콜)이다. 알콜은 85 내지 96중량%의 알콜을 함유하는 용액(즉 4내지 15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용액) 및 소량의 물과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후자의 농도는 상업적으로 유용하므로 특히 유리하다.
염기성 및 중성산화 알루미늄, 바람직하게는 브로크만(Brockmann)에 의하여 등급이 부여된 활성도 1-3의 염기성 산화알루미늄을 흡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공정은, 유상(oily phase)을 유지하면서, 크로마토그라피 컬럼에서 산화알루미늄으로 처리하거나 혹은 산화알루미늄으로 교반처리함으로써, 세팔린 및 이노시톨포스파티드에서 유(油) 함유 포스파티드 획분을 분리하고 단일 공정을 사용하여 다량의 필수지방산을 함유하는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 획분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른 생성물은 포스파티드 획분의 90%를 초과하는 높은 포스파티딜콜린 함으량 및존재하는 모든 지방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70% 이상의 필수지방산의 함유로 인하여 동맥경화증, 당뇨증, 및 고지형증 등과 같은 여러가지 병증에 유용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며, 하루 2 gram이라는 아주 작은량을 경구투여 하더라도, 병리학적으로 제시된 혈당 지방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공정에 따라 일정한 조(粗)포스파티드에서 얻은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 획분은 일반적으로 하기 조성을 갖는다.
요오드 수 98-105 콜린 9.5-10.8%
오일 함유량 15-30% 인산 : 콜린의 몰비율 0.996%
인의 총량 2.4-2.75%
지방산의 기체 크로마토그라피 분석은 하기 평균치를 나타낸다.
a) 본 발명에 따른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 획분 b) 탈유된 포스타티딜콜린 획분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예증하는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잘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의특정한 설명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유(油)함유 에탄올성 해바라기-포스파티드 용액의 제조.
35%의 오일(oil)을 함유하는 해바라기 포스파티드 함유 1kg을 40℃의 질소대기하에서 에탄올 5미터와 교반한다. 본 용액을 실온으로 1시간 방치하고, 분류깔때기에서 에탄올이 풍부한 가벼운 중량의 상층상을 점성의 하층상으로부터 분리한다.
b) Al2O3로 처리
75gram의 고체물질을 함유하는 전술한 상층상 1.5리터 및 해바라기유 30gram을 실온의 N2보호대기하에서 300gram의 Al2O3함께 2시간 30분간 격렬하게 교반한다. 흡착제가 침강하면, 에탄올용암을 경사제거하고, Al2O3를 에탄올 150ml로 각각 2번 수세한다. 여과 보조제로서 셀리트 1g의 혼합물을 첨가한 다음, 2가지 에탄올 용액을 여과제거하고, 탕(bath) 온도가 40℃인 질소 대기하의 진공에서 용매를 중류제거한다.
수득량 :
세팔린을 함유하지 않으며, 하기 조성을 갖는 점성의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 획분 45
오일 함유량 30%
포스파티딜콜린 함유량 64%
[실시예 2]
실시예 1(a)의 방법에 따라, 대두 포스파티드 원료에서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상층상 1리터(53gram의 고체함량 및 27%의 대두유를 함유한다)를 불활성기체 대기하에서 Al2O3280gram과 함께 4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다. 흡착제가 침강하면 에탄올 용액을 분리하고, Al2O3를 각각 150ml의 에탄올로 2번 세척한 다음, 혼합에탄올성 추출물을 셀리트 혼합물로 여과한다. 용매를 질소보호하의 진공에서 증발시켜, 오일 혹은 부분 글리세리드와 50%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과의 혼합물에 의하여 유동성 형태로 변화할 수 있는 33gram의 유연한, 세팔린을 함유하지 않는, 황색포스파티딜 획분을 얻는다. 회수되는 획분은 하기 조성을 갖는다.
콩유 25%
포스파티딜콜린함유량 68%
[실시예 3]
실시예 1의 공정에 따라 25℃에서 유(油)함유 대두포스파티드 원료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층상으로 얻은 28%의 고체를 함유하는 4.1%의 에탄올성 대두-포스파티드 용액 1.3리터를 N2보호하에서에 탄올에 녹인 280gram의 Al2O3현탁액으로 채워진 직경 31mm, 높이 400mm의 트로마토그라피 컬럼에 유입한다. 용액을 통과시킨 다음, 흡착제를 350ml의 알콜로 세척한다. 탕 온도가 40℃인 불활성 기체보호하의 진공하에서, 혼합에탄올 추출물을 용매로부터 분리한다.
수득량 : 세팔린의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고, 오일 함유량이 29%포스파 티딜콜린 함유량이 70%인 고순도의 포스파티딜콜린 획분 35gram (68%),
[실시예 4]
40℃에서 메탄올 1,000ml를 각각 사용하여 대두 포스파티드 원료 400gram을 30분간 2번 추출한다.
실온으로 냉각한 혼합메탄올 추출물은 9%의 고체물질, 12%의 오일 및 33%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한다.
전술한 메탄올용액 1리터를 불활성 기체의 보호하에서 산화 알루미늄 현탁액 500gram으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라피 컬럼에 유입한다. 용액이 통과한 다음, 컬럼의 흡착제를 700ml의 메탄올로 세척한다. 혼합 메탄올 용출액을 진공인 40℃의 불활성 기체의 보호하에서 농축한다.
수득량 : 세팔린을 거의 함유하지 않으며, 30%의 오일 및 66%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는 황색의 소성생성물 55gram, 50% 이상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모노-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유동성의 유(油)함유 포스파티딜콜린 농축액을 얻는다.

Claims (1)

1-3탄소원자를 가지는 저급 알콜올 및 그의 85-96% 수용성 용액으로써, 유(油)함유조(粗)포스파티드로부터 유(油)함유 포스파티드 추출물을 추출하며, 상기 유(油)함유 포스파티드 추출물을 산화 알루미늄 흡착제와 직접 접촉시며, 그것으로부터 흡착된 포스파티딜콜린을 회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油)함유 조(粗)포스파티드로부터,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780001274A 1978-04-27 1978-04-27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Expired KR83000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274A KR830000794B1 (ko) 1978-04-27 1978-04-27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274A KR830000794B1 (ko) 1978-04-27 1978-04-27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4A KR830000794A (en) 1983-04-15
KR830000794B1 true KR830000794B1 (ko) 1983-04-15

Family

ID=1920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274A Expired KR830000794B1 (ko) 1978-04-27 1978-04-27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19B1 (ko) * 2010-08-27 2012-06-22 주식회사 뉴로피드 포스파티딜콜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포스파티딜콜린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48B1 (ko) * 2001-09-29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마찰면을 갖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CN113201009A (zh) * 2021-04-26 2021-08-03 南京威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供注射用磷脂的生产工艺
CN113173948A (zh) * 2021-04-29 2021-07-27 南京威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提取法制备多种型号天然磷脂的生产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19B1 (ko) * 2010-08-27 2012-06-22 주식회사 뉴로피드 포스파티딜콜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포스파티딜콜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94A (en) 198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793A (en) Process to obtain oily, highly purified phosphatidylcholines
FI68158C (fi) Foerfarande foer avskiljning av olja och/eller fosfatidyletanolamin fraon alkoholloesliga fosfatidylkolinprodukter innehaollande dessa
FI68160B (fi) Foerfarande foer avskiljning av olja och/eller fosfatidyletanolamin fraon alkoholloesliga fosfatidylkolinprodukter innehaollande dessa
EP0703918B1 (en) Process for obtaining highly purified phosphatidylcholine
Schneider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lecithin
JPH064653B2 (ja) ホスフアチジルコリンの単離方法
US3544605A (en) Process for obtaining highly purified phosphatidylcholine and the product of this process
US4496486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hosphatidyl choline of low oil content
KR830000794B1 (ko) 유(油)함유 고순도 포스파티딜콜린의 제조방법
US5077202A (en) Process for producing a glycolipid having a high eicosapentaenoic acid content
Smith et al. Isolation of milk phospholipids and determination of thei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JPS63119489A (ja) リン脂質の混合物からホスファチジルコリンを回収する方法
JPH0584320B2 (ko)
EP0090454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reparation having a high content of phosphatidylcholine from a phosphatide mixture
DE4210611C2 (de) Verfahren zur Abtrennung bzw. Anreicherung von Phosphatidylcholin (PC) aus bzw. in einer Phosphatidmischung durch Extraktion
JPH056551B2 (ko)
JPS63122695A (ja) 配糖体濃縮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ee payment year number: 6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204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2041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