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0535Y1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535Y1
KR830000535Y1 KR2019820005488U KR820005488U KR830000535Y1 KR 830000535 Y1 KR830000535 Y1 KR 830000535Y1 KR 2019820005488 U KR2019820005488 U KR 2019820005488U KR 820005488 U KR820005488 U KR 820005488U KR 830000535 Y1 KR830000535 Y1 KR 830000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ing
guide
hair
sh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이텐 에베
야코브스 드 브리에 요헴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싸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디. 제이. 싸커스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to KR2019820005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35Y1/ko
Priority to KR9215467U priority patent/KR920008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41Details of inner cutters having their axes of rotation perpendicular to the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43Details of outer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면도기
제1도는 세개의 전단(剪斷)판들을 갖는 면도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한 부분적 측면도.
제3도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컷팅부재와 모발견인 부재를 도시한 원근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도시된 부품의 조립된 상태에서 본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Ⅴ-Ⅴ를 따라서 컷팅부재들을 절취한 횡단면도.
제6도, 제7도는 안내 컷터의 동작을 도해한 도면.
본 고안은 모발 인입공들이 있는 전단판과 컷터를 가진 컷팅부재들로 구성되며 상기 전단판에 대하여 구동하는 절단유니트를 포함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컷터는 전단판으로 향한 종단부에 절단날들을 갖으며 또한 컷터는 안내벽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안내컷터를 가지고 있으며, 각 안내 컷터는 컷터와 연합하여 절단날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되어있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면도기들은 예를들어 네델란드 특허원 제7406675호(PHN 7351)내에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구조에 따르면, 안내컷터는 모든 컷터와 함께 구동된다. 그러나, 만약 잘린 모발같은 오염물질이 컷터와 안태컷터 사이에 끼이게 된다면, 컷터의 활동성은 감쇄되고 더 나아가서는 활동성이 완전히 상실된다. 이것이 면도기의 작동상의 단점이다.
이러한 결점을 없애는 목적을 가진 본 고안에 의한 면도기의 구조는 절단날이 인접된 절단기 부분 및 전단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혀진 공간을 포위하는 날이 인접된 안내컷터 부분이 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면도기내에서 사용되는 절단 유니트내에 실시되어진다.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과 대조하면서 이하 설명하겠다.
제1도, 제2도의 면도기들은 세개의 전단판(3)을 지지하기 위한 전단판 홀더(2)을 부분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 전단판(3)은 모발 인입공(4)을 갖는다.
제2도의 부분 횡단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유니트(5)는 전단판(3)의 내측상에 위치한다.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제2도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이러한 절단 유니트(5)는 제3내지 5도내에서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같은 컷팅부재와 안내컷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절단유니트(5)는 중공축(6)(제2도), 치차(7)(8) 그리고 축(9)에 의하여 전동기(10)에 결합되므로서 절단 유니트는 연합된 전단판(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치차(7)는 장착판(12)내에 장착된 핀(11)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치차(7)는 덮개판(14)에 의하여 밀폐된요홈(13)을 갖는다. 이 요홈은 중공축(6)의 끝부에 있는 플랜지(15)를 수용한다. 플랜지(15)를 원이아닌 예를들어 4각형으로 하고 요홈(13)도 그와같이 만들므로서 중공축(6)에 대해 치차(7)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중공축(6)내에 위치하며 또한 중공축(6)과 치차(7)사이에 인장력을 주는 스프링(16)은 절단유니트(5)쪽으로 중공축(6)상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중공축(6)의 원통부(17)가 절단 유니트(5)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가해진 힘은 절단 유니트상에 전달되고 절단유니트를 통해 전단판(3)상에 전달되어서 전단판의 연부(5)가 전단판 홀더(2)에 대하여 압축되도록 되어있다. 예를들어 면도기를 사용할때 생길수 있는 외력에 의해서 절단 유니트(5)과 중공축(6)과 함께 전단판(3)은 스프링(16)의 작용에 대항하여 내부쪽으로 압박을 받게된다.
중공축(6)과 절단 유니트(5)사이에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체결은 중공축(6)의 끝부를 4각형 단면으로 제공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끝부(19)는 절단 유니트(5)의 4각 결합용 구멍(20)에 알맞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전동기(10)와의 결합은 제1도, 제2도의 세개의 절단 유니트 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형태이며 세개의 치차(7)는 전동기 축(9)에 있는 하나의 중심치차(8)와 치합된다.
절단 유니트(5)는 컷팅부재(21)와 모발 견인부재(22)로 구성된다(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
또한 컷팅부재(21)는 그 주변에 컷터(24)가 부착된 중심체(23)로 구성된다. 중심체에는 채결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모발 견인부재(22)는 탄성판 부재로 만들어지며 안내컷터(26)가 연결 아암(27)에 의하여중심평판부(25)에 연결 구성된다. 중심평판부(25)에는 중심통구(28)가 있다. 두개의 부재(21, 22)는 안내컷터(26)가 컷터(24)의 각각 안내벽(92)에 접촉되어 절단유니트(5)에 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발견인 부재(22)의 중심 평판부(25)는 컷팅부재(21)의 중심체(23)와 접촉되며, 이 두개의 부분은 공지된 방법, 접착이나 용접 또는 볼트로 조임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연결아암(27)의 탄성에 힘입어 안내컷터(26)는 컷터(24)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다. 컷터(24)와 안내컷터(26)는 평판형 부분으로 형성된다. 제5도 단면도는 간단하게 안내컷터와 합성된 세개의 컷터만이 도시되어 있다. 안내컷터(26)는 컷터의 절단날(30)위치에서 컷터(24)에 접하고 있다. 안내컷터 자체는 날카로운날(31)이 마련되어 있다. 절단날(30)이 연결되어 있는 컷터(24)의 부분과 날카로운 날(31)이 연결되어 있는 안내컷터의 부분은 상호 예각 α를 형성하게 된다(제5도). 제6도,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쐐기형 공간(32)은 전단판(3)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태로 컷터(24)와 안내컷터(26)사이에 형성된다.
이론적으로 안내컷터(26)와 컷터(24)는 접선을 따라 상호 접촉된다. 실시예에서는 마모나 재료의 변형에 의하여 적은 표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만약 모발(33)이 모발인입공(4, 제6도 내지 제7도를 참조)내에서 포착되면 모발은 컷터(24)와 안내컷터(26)의 회전운동에 따라 위치에서 안내컷터(26)의 날카로운 날(31)과 접촉하게 된다. 날카로운 날(31)은 모발을 자르는 일없이 약간 모발(33)을 밀 것이다. 모발(33)에 의하여 안내컷터(26)상에 가해지는 반력은 방향(P)에 대하여 정반대가 될 것이다.
이 힘은 컷터(24)(제6도)의 안내벽(29)에 의하여 안내컷터(26)상에 가해지는 법선응력(N)의 분력(N1)을 형성하게 된다. 간략히 하기위해서 안내컷터(26)와 절단소자(24)사이의 미세한 마찰력은 무시하였다. 법선응력(N)의 분력(N2)은 안내컷터(26)를 안내벽(29)에 따라서 미끄러지게한다. 안내벽(29)과 전단판(3)이 접촉되는 컷터(24)의 벽(34) 사이의 각 β는 90°보다는 작다.
피부표면의 자연 탄성력에 기인하여 모발(33)은 컷터(24)의 절단날과 위치 B에서 접촉될때까지 안내컷터(26)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어서, 모발은 전단판(3)과 컷터(24)의 상호 동작에 의하여 절단된다. 이로서, AB간의 거리보다 짧아 안내컷터 없이도 절단될 수 있는 모발보다 긴 모발도 절단이 되며, 종래의 면도기보다 더욱 훌륭하게 면도를 할수 있게된다.
컷터(24)와 안내컷터(26)사이에 절단될 모발들이 끼이는 오물들은 컷터(24)에 대한 안내컷터(26)의 운동에 힘입어 전단판(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넓어진 공간(32)내의 이들 찌꺼기들은 컷터(24)와 안내컷터(26)사이에 더이상 끼어있지 못하며 또한 예를들어 원심력에 의하여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정지상태에 있어서도 안내컷터(26)는 컷터(24)에 대하여 일정한 힘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힘은 안내벽(29)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작용하며 컷터(24)와 안내컷터(26)사이에 상호 접촉되는 위치에서 비교적 큰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왜냐하면 컷터와 안내컷터 사이의 접촉면적이 적기 때문이다. 안내컷터가 컷터를 넘어서 이동하면 청소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안내면상에 잔여하고 있는 오물들을 제거하게 된다.
제7도의 구성에서 쐐기형 공간(32)은 일반적으로 제6도의 구성보다 다른 칫수를 갖으므로서 자동 청소 효과가 증진된다. 만약 제7도의 구성에서 공간(32)이 제6도에 의한 공간보다 더욱 크게된다면 오물들은 컷터(24)의 벽과 안내컷터(26)의 벽에서 떨어져 있게되며 보다 쉽게 오물들이 제거될 것이다. 그러나 공간이 작아진다면, 컷터와 안내 컷터에 의하여 오물상에 압력이 가해지며 이로서 컷터와 안내컷터 사이에 오물이 압출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은 컷터와 안내컷터 사이의 쐐기형 공간은 예를들어 진동 면도기와 같은 면도기의 다른 형태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

  1. 전단판과 절단유니트를 가지며, 면도기의 전단판에 대해 상대 동작하는 절단날을 가진 복수개의 컷팅부재(21)와 각각의 컷팅 부재의 절단운동 방향으로 전면에 날이 배열되는 상기 컷팅 부재와 동수의 모발견인부재(22)를 갖는 면도기에 있어서, 각 모발 견인부재(22)의 날과 컷팅부재(21)의 컷터(24) 표면사이에 이들이 접촉되는 측면상에서 컷터의 절단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공간(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KR2019820005488U 1978-04-14 1982-07-12 면도기 KR830000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488U KR830000535Y1 (ko) 1978-04-14 1982-07-12 면도기
KR9215467U KR920008808Y1 (ko) 1982-01-26 1992-08-18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079 1978-04-14
KR2019820005488U KR830000535Y1 (ko) 1978-04-14 1982-07-12 면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079 Division 1978-04-14 1978-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35Y1 true KR830000535Y1 (ko) 1983-04-13

Family

ID=2662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488U KR830000535Y1 (ko) 1978-04-14 1982-07-12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5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1043A1 (en) Electric razor
US4281453A (en) Shaving apparatus
US4275497A (en) Shaving apparatus
US4283849A (en) Cutting unit for a dry-shaving apparatus
JPS6230787B2 (ko)
US4490907A (en) Shaving apparatus
US4336650A (en) Cutting unit for a shaving apparatus
KR830000535Y1 (ko) 면도기
US4272884A (en) Shaving apparatus
US4490906A (en) Shaving apparatus
US3950847A (en) Dry shaver
US4223437A (en) Shaving apparatus
JPS6052829B2 (ja) ひげそり器
US4347662A (en) Shaving apparatus
EP0006661B1 (en) Shaving apparatus and cutting unit therefor
JPS6027548B2 (ja) ひげそり装置
SU1518117A1 (ru) Прибор дл брить
CA1150040A (en) Shaving apparatus
KR840000177Y1 (ko) 면 도 기
SU1260187A1 (ru) Режуща головка электробритвы
KR820001137Y1 (ko) 면 도 기
JPS6136213Y2 (ko)
JPH0125594B2 (ko)
KR820001592Y1 (ko) 면 도 기
JPS614755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712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20816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314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307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3070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3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006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