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0311Y1 -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 Google Patents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11Y1
KR830000311Y1 KR2019820007423U KR820007423U KR830000311Y1 KR 830000311 Y1 KR830000311 Y1 KR 830000311Y1 KR 2019820007423 U KR2019820007423 U KR 2019820007423U KR 820007423 U KR820007423 U KR 820007423U KR 830000311 Y1 KR830000311 Y1 KR 830000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h
inlet device
conduit member
water contain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죤 리레이 할리
Original Assignee
에스. 따블유. 하트 앤드 컴패니 피티와이. 리미티드
그래함 페타 로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따블유. 하트 앤드 컴패니 피티와이. 리미티드, 그래함 페타 로오즈 filed Critical 에스. 따블유. 하트 앤드 컴패니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19820007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1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제1도는 물 컨테이너의 저부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원(2)의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본 고안은 물 컨테이너(Water contain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 계통의 저장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온수저장 계통은 종종 정상에는 온수를 배출하는 출구가 있고 바닥에는 배출된 온수의 양만큼을 받아들이는 입구가 있는 컨테이너를 사용한다.
그러한 배치에서 약간 비중이 낮은 온수는 격리층을 이루며 냉수위에 놓여있다. 컨테이너벽을 통한 전도에 의하여 온수로부터 냉수로 열이 전달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것은 컨테이너벽이 내측에 절연체를 설치함으로서 많은 양을 근절할 수 있다. 또한 열이 물 자체를 통하여 직접 전도되는 경향도 있지만, 온수가 냉수에 의하여 냉각되는 주원인은 유입 냉수에 의하여 교란운동(turbulence)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온수 저장 용기의 효율은 가능한한 용기내에서 냉수와 온수의 혼합을 피하는데 달려있으므로, 유입냉수에 의하여 용기안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저장용기에 대해 입구 구조물을 마련하므로서, 유입수가 용기안의 온수와 냉수사이의 합류점에서 교란운동이 최소화되고 층화(stratification)에 대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용기안에서 흐를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입구 장치와 출구장치로 구성된 물 컨테이너(1)가 마련되었으며, 입구 장치는 물이 들어오도록 배치된 제1개방단(first open end, 5)과 제2폐쇄단(second closed end, 6)을 갖고 길이에 따라서 다수의 구멍(7)이 마련되어 있는 내부 도관부재(inner tubular member, 3)와 내부도관부재를 둘러싸고 길이에 따라서 개구(opening, 8)가 마련된 외부 도관부재(outer tubular member, 4)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내부 도관 부재(3)는 내부 도관부재의 주어진 길이에 대하여 개방단(5)으로부터 구멍(7)들 사이의 간격이 점차로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우기, 외부도관 부재(4)는 내부도관 부재(3)의 밀폐단(6)에 인접한 밀폐단을 가지므로서 그 출구의 개구가 일반적으로 조립된 위치에서 하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표시된 본 고안의 특별한 형에 따라, 입구 구조물은 한쪽단이 폐쇄되고 다른단은 개방된 관의 외경이 19.05mm(3/4 inch)의 길이를 갖는 내부도관 부재(3)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그 부재는 바닥 근처의 측벽이나 단부벽을 통하여 돌출된 개방단(5)을 갖고 저장용기내에 삽입되며, 나사결합, 플레어(flare) 결합 또는 다른 적합한 결합으로 냉수 공급원에 연결된다. 이 부재는 용기의 반대쪽 벽에 닿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가 1600.2mm(60inch)로 측정된 원통형 탱크에서 축에 수평으로 배치된 그 부재(3)는 한쪽 단부벽으로부터 용기안으로 약 1270mm(50inch)가 나와 있어서 반대쪽 단부벽에 닿지 않도록 약 304.8mm(1ft)정도 떨어져 있다. 또한 그 부재는 관을 통하여 완전히 직경 방향으로 뚫린 편리하게 형성된 일련의 구멍(7)들이 마련되어, 구멍들중 약간은 수평으로 다른 것은 수직으로 연장된다.
비록 간격이 폐쇄단(6)을 향하여 다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할지라도, 구멍은 입구단(5) 근처에서 서로 더욱 가까워져야하고 간격은 폐쇄단(6)을 향하여 점차로 커져야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한 배열에서 입구단(5) 근처의 벽으로부터 구멍(7)의 만족할만한 간격이 각각 63.5mm(2-1/2inch), 57.15mm(2-1/4inch), 85.73mm(3-3/8inch), 142.88mm(5-5/8inch), 165.1mm(6-1/2inch), 263.53mm(10-3/8inch), 155.58mm(6-1/8inch) 및 222.25mm(8-3/4inch)로 되고, 부재의 폐쇄단(6)에 대해 79.38mm(3-1/8inch) 이상의 간격을 남겨두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 후자의 배열에서 첫째, 다섯째, 일곱째 및 여덟째의 구멍은 수직으로 뚫려지고 나머지는 수평으로 뚫려진다.
본 고안의 특별한 형은 또한 한쪽단에서 폐쇄되어 있고 저장용기안에서 내부 부재(3)의 크기보다 약간 짧으며 외경이 38.1mm(1-1/2inch)인 관으로 만들어진 외부도관(4)을 포함한다. 외부 도관부재(4)는 내부부재(3)의 폐쇄단(6)에 대하여 또는 인접하여 외부 부재의 폐쇄단과 동축으로 둘러싸도록 내부 도관부재에 조립된다.
외부도관 부재(4)는 내부와 외부사이를 연통할 수 있도록 벽에 일련의 V형으로 절삭된 노치(notch) 단면(8)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노치들 모두는 내부 부재상에 정확히 지지되었을 때 외부 부재의 하부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각 노치는 60°각도를 갖고 바닥에서의 깊이 12.7mm(1/2inch)에 의해 15.88mm(5/8inch)의 넓이를 갖는다.
내부 도관부재(3)의 구멍(7)의 배열은 상기와 같지만 외부 도관부재94)의 배열은 그것의 개방단과 탱크의 벽 사이에서 약 43.93mm(1-3/8inch)의 간격을 두고, 노치(8)들의 간격은 그 단부로부터 점차로 79.38mm(3-1/8inch), 130.18mm(5-1/8inch), 152.4mm(6inch), 114.3mm(4-1/2inch), 114.3mm(4-1/2inch), c 387.35mm(15-1/4inch) 및 130.18mm(5-1/8inch)가 되며, 폐쇄단벽에 대해 111.13mm(4-3/8inch) 이상의 간격이 남도록 배치된다.
입구 장치로 들어오는 물의 운동에너지가 사용되어서 대부분 사라진다는 것이 상기 참조된 특별한 간격에서 알수가 있으며, 물은 내부 부재의 구멍을 통하여 내부부재와 외부부재사이의 공간에 흐르고, 그 다음에 매우 적은 교란운도을 일으키도록 하는 접진적인 방법으로 외부 부재안의 노치와 그중의 개방단과를 통하여 흔르므로서, 두 열구역들 사이의 분리점에서 물의 층에 거의 분열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특별한 배열을 사용한 실재의 실험에서 나간느 물의 온도가 어느 표시된 크기로 감소되기전에 저장 탱크에 있는 거의 전체의 용량을 빼낼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Claims (1)

  1. 물 컨테이너용 입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구 장치는 물 컨테이너(1)내에 위치하는 내부도관 부재(3)와 이 내부도관 부재(3)를 둘러싸는 외부 도관부재(4)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도관부재(3)는 길이에 따라 수평과 수직으로 연장된 다수의 구멍(7)이 뚫려있으며 측벽을 통하여 돌출되어 냉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개방단(5)과 제2폐쇄단(6)를 갖고, 상기 외부 도관부재(4)는 내부 도관부재(3)의 크기보다 약간 짧고 길이에 따라 V형의 개구(8)가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도록 그 하부측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컨테이너용 입구장치.
KR2019820007423U 1979-09-10 1982-09-20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Expired KR830000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423U KR830000311Y1 (ko) 1979-09-10 1982-09-20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087 1979-09-10
KR2019820007423U KR830000311Y1 (ko) 1979-09-10 1982-09-20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087 Division 1979-09-10 1979-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11Y1 true KR830000311Y1 (ko) 1983-03-10

Family

ID=2662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423U Expired KR830000311Y1 (ko) 1979-09-10 1982-09-20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770A (en) Combination hydronic space heater and tankless hot water heater
KR870010556A (ko) 비등 수형원자로의 임계 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워터로드
KR830004591A (ko) 전기 전력 장치용 열교환기
US3776456A (en) Direct fired water heater thermal compensating dip tube
KR830000311Y1 (ko) 물 컨테이너용 입구장치
KR870000714A (ko) 핵 연료집합체
KR830009584A (ko) 브레이싱 봉과 브레이싱 판에 의한 노심 간막이를 가진원자로
US4537249A (en) Heat flux limiting sleeves
FI61241B (fi) Vaermepanna foer flytande eller gasformigt braensle
KR830009465A (ko) 담금식 고온까스 열고환기
US11098924B2 (en) Combustion tube assembly of a water heater
US4290414A (en) Solar heating collectors
KR870005625A (ko) 음식물 튀김장치
KR900018615A (ko) 개량된 온수탱크 및 이러한 탱크가 장비된 장치
KR840007796A (ko) 개량된 동공을 갖는 원자로
SE9702474D0 (sv) Kärnbränslepatron
FR2441819A1 (fr) Echangeur thermique a serpentin
US6276308B1 (en) Cooled-door boiler
KR820001713Y1 (ko) 뚜껑에 장치된 주방 겸용 난방보일러
KR860002508Y1 (ko) 뚜껑 보일러
KR910000234Y1 (ko) 구멍탄 보일러
KR810001451Y1 (ko) 보일러용 열교환핀(fin)
KR830002971Y1 (ko) 온수보일러의 온수분배 장치
KR900009683Y1 (ko) 열교환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KR810001878Y1 (ko)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UG1604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198703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7031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