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99B1 - Pin Removal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Tube - Google Patents
Pin Removal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299B1 KR830000299B1 KR1019790003080A KR790003080A KR830000299B1 KR 830000299 B1 KR830000299 B1 KR 830000299B1 KR 1019790003080 A KR1019790003080 A KR 1019790003080A KR 790003080 A KR790003080 A KR 790003080A KR 830000299 B1 KR830000299 B1 KR 8300002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integrated circuit
- pin
- tube
- attachment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는 부착핀에 대해 제1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측 단면도.Figure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it is in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pin.
제2b도는 부착핀에 대해 제2위치에 있음을 보여주는 본 발명 장치의 단면도.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it is in a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pin.
제2c도는 부착핀에 대해 제3위치에 있음을 보여주는 본 발명 장치의 단면도.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it is in a thir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pin.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부착핀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렬로 배열된 DIP(dual in package)형 집적회로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장관의 단부 부분으로 부터 핀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ttachment pi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extracting pins from an end portion of a reservoir used for carrying a dual in package (DIP) integrated circuit arranged in series. .
DIP형 집적회로는 대개 U자형 단면을 갖는 관 또는 중공의 관형플라스틱용기 내에 저장 및 수송을 위해 포장된다. 플라스틱관은 부착핀을 수용하기 위해 단부 부분에 정렬된 구멍들을 가진다.DIP-type integrated circuits are usually packaged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in tubular or hollow tubular plastic containers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The plastic tube has holes aligned in the end portion to receive the attachment pins.
그 부착핀은 일단에 캡을 가지며 타단에는 상기 정렬된 구멍들에 꽉물릴 만큼 충분히 큰 구근형의 단부를 갖는 단단한 플라스틱재료로 되어있다. 구근형 단부와 캡사이의 샤프트 길이는 핀이 상기 정렬된 구멍들을 통하여 삽입될 때 관내의 텅빈 공간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충분히 길다.The attachment pin is made of a rigid plastic material having a cap at one end and a bulb-shaped end at the other end that is large enough to fit into the aligned holes. The shaft length between the bulbous end and the cap is long enough to allow the pin to cross the empty space in the tube when the pin is inserted through the aligned holes.
상기 저장기술은 집적회로 장치를 저장 및 운반하기 위해 허용되는 수단이지만, 부착핀은 다소 불편하고 제거하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핀들은 플라이어(plier)를 사용하여 구멍 밖으로 이들을 추출함으로서 제거된다.While the storage technology is an acceptable mean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the attachment pins are rather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remove. Generally, the pins are removed by using a plier to extract them out of the hole.
또 다르게는, 핀이 관구멍을 통하여 떨어지도록 캡을 절단하기 위해 닙퍼(nippe r)가 사용되기도 한다.Alternatively, a nipper may be used to cut the cap so that the pin falls through the tube hole.
이러한 핀 제거기술은 시간소비가 많고 불편하며 관내집적회로를 손상시킬 우려가 많다. 따라서, 관, 핀, 또는 관내의 집적회로를 손상시키지 않고 핀을 빨리 추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한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This pin removal technique is time consuming, inconvenient, and potentially damaging to the integrated circuit. Thus, there is a need for a simple device that can quickly extract or remove a pin without damaging the tube, pins, or integrated circuits in the tube.
DIP형 집적회로를 위한 저장관으로 부터의 핀 제거장치는, 일반적으로 저장관의 외축칫수에 부합되고 핀의 일단부에 맞물리도록 그 안쪽에 높이가 다른 지느러미(fin)부분을 가지고 바깥쪽에는 핀의 반대쪽 단부에 맞물리는 클로오(claw)부분을 갖는 실린더로서 구성된다. 작동시, 그 실린더는 관내에서 접동하고, 핀에 맞물린데 그 장치를 더 이동시킴에 의해 관이 장치의 이동 방향에 횡방향으로 핀을 추출하게 된다.Pin removal devices from reservoirs for DIP-type integrated circuits generally have fins that differ in height so that they fit into the outer dimensions of the reservoir and engage one end of the fins, and the fins on the outside. It is configured as a cylinder having a claw portion that engages the opposite end of the. In operation, the cylinder slides in the tube and engages with the pin, which moves the device further so that the tube extracts the pi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핀, 저장관 및 그 저장관내에 집적회로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저장관으로 부터 부착핀을 제거하기 위한 간단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최소동작으로서 부착핀을 추출해 내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device for removing attachment pins from a reservoir, without damaging the pin, the reservoir and the integrated circuit in the reservoi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extracting the attachment pin as a minimum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잇점은 첨부 도면에 따라서 기술된 하기 세부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르러미형부분(12)와 클로오 부분(14)를 갖는 몸체(10)을 포함한다. 이 세부분의 형상과 상대적인 위치가 본 발명의 작동을 결정하며, 그의 목적은, 도시된 바와같이, U자형 집적회로 저장관(18)로 부투 부착핀(16)을 추출하는데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이한 형상과 단면의 집적회로 저장관(18)에 사용된다. 저장관(18)은 홈통부분(24)에 의해 분리되고 중앙부분(26)에서 결합된 두개의 측면부분(20), (22)로 이루어진 U자형단면의 채널 또는 채널 수단으로 되어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used for integrated
측면부분(20), (22)는 DIP집적회로(도시안됨)의 단자핀을 위한 공간을 부여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중앙부분(26)은 DIP집적회로의 몸체를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집적회로는 저장관(18)내에 직로 저장된다. 부착핀(16)은 저장관(18)의 단부들을 봉쇄하는데 이용되어 집적회로가 그 저장관(18)내에 저장되도록 한다.The
부착핀(16)을 수용하기 위하여 중앙부분(26)을 가로지르는 저장관(18)의 벽부분들에는 제1, 제2의 정렬된 구멍(28), (30)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핀(16)은 이들 구멍(28, 30)에 결합된다. 특히, 부착핀(16)은 캡(32), 샤프트(34) 및 구근형 단부(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근형 단부(36)은 구멍(28, 30)을 통해, 삽입될 때 저항하는데 충분한 직경을 갖는다.First and second aligned
그러나, 저장관(16)은 가요성과 탄력성을 갖는 물질로 제작되어 있다. 특히, 저장관의 벽은, 구근형 단부(36)이 삽입될때, 구멍(28), (30)이 변형하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다. 또한, 저장관(18)의 재료는 구근형 단부(36)에 의해 관통된후 그 원래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충분한 탄력을 가진다.However, the
이러한 점에 따라, 본 발명이 작동되도록 설계된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work.
제1도와 함게 제2a, 2b 및 2c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특징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s 2a, 2b and 2c in conjunction with Figure 1,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몸체(10)은 대향하는 몸체벽(40, 42)들을 가지고 있다. 몸체벽(40, 42)들을 일반적으로 서로에 평행하게 떨어져 있으며, 그 간격은 저장관(18)의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몸체벽을 사이간격은 저장관(18)이 몸체벽 사이에 종방향으로 접동학도록 하는데 충분하다. 몸치(10)은 제1단부 즉, 전방단부(44)와 제2단부 즉, 후방단부(46)을 갖는다. 몸체(10)이 저장관(18)을 감싸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있을때, 전방단부(44 )는 저장관(18)을 위한 입구가 되며 후방단부(46)은 저장관(18)의 출구가 된다.
지느러미형 부분(12)는 전방단부(44)으로 부터 후방단부(46)까지 축방향으로 일직선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벽(42)로 부터 몸체벽(40)쪽으로 연장하여 있다.The
지느러미형 부분(12)의 폭은, 저장관(18)의 외측 가장자리가 지느러미형 부분 (12)의 최대높이를 포함해서 몸체(10)의 내측 가장자리와 대략 일치하도록 홈통부분( 24)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지느러미형 부분(12)는, 제2a, 2b 및 2c도에 아주 분명히 나타난 것처럼, 전방단부(44)에 인접한 최소높이로부터 후방단부(46)쪽의 최대높이 까지 증대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홈통부분(24)내로 돌출한 구근형단부(36)의 부분은 저장관(18)이 몸체(10)에 대해 종방향으로 접동함에 따라 마침내 지느러미형부분( 12)에 맞물리게 된다.The width of the
몸체벽(40)은 또한 부착핀(16)의 캡(32)에 맞물리는 클로오부분(14)를 가지고 있다.The
이 목적을 위해, 몸체벽(40)은 몸체(10)의 종축을 따라 최소한 캡(32)만큼 폭이 넓은 제1슬로트 개구부(48)를 가지고 있다. 슬로트(48)은 전방단부(44)까지 달하여 있다. 슬로트(48)내에는, 몸체(10)의 종축과 일치하는 두개의 레일(50, 52)이 배치되어 있다. 레일(50, 52)는 제2슬로트(54)에 의해 분리되고 있고, 그 슬로토의 폭은 캡(32)의 직경보다는 작으나 샤프트(34)의 직경보다는 크게 되어 있다. 슬로트(54)는 지느러미형 부분(12)와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the
레일(50, 52)는 전방단부(44)쪽의 최소 높이로 부터 후방단부(46)쪽의 최대높이까지 변화되어 있다.The
레일(50, 52)의 전방단부 부분은 지느러미형 부분(12)의 일지점(제2a, 2b 및 2c도에 H로 표시됨)과 측방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 지점은 지느러미형 부분(12)가 종방향으로 이동된때 핀(16)의 구근형 단부(36)이 지느러미형 부분(12)와 만나게 되는 지점과 일치한다.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이것은 캡(32)가 저장관(18)의 표면위로 확실히 상승되게 한다.(제2b도 참조). 이 위치에서 레일(50, 52)는 캡(32)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50, 52)와 측방으로 정렬되는 지느러미형 부분(12)의 경사는 제2a,2b 및 2c도에 대략 일정비율로 도시된 레일(50, 52)의 경사와 거의 같음을 주목해야 한다.This ensures that the
작동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부착핀(16)을 갖는 저장관(18)은 핀제거 몸체(10)의 전방단부(32)내로 삽입된다.In operati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used as follows. The
그 전방단부에 인접한 몸체핀의 내부벽들은 관(18)이 몸체핀 내로 더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밖으로 벌어져 있다. 관(18)은 지느러미형 부분(12)가 구근형 단부(36)에 단날때까지 제거용 몸체핀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된다.(제2a, 2b도 참조)The inner walls of the body pin adjacent its front end are spread out so that the
구근형 단부(36)에 만난때 지느러미형 부분(12)는 부착핀(16)을 측방으로 밀어내게 된다.When encountering the
캡(32)도 마찬가지로 측방으로 이동된다. 그 이동이 계속되면(제2b 및 2c도 참조), 구멍(38)이 변형된다.The
종방향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지느러미형 부분(12)는 구근형 단부(36)을 구멍(28)속으로 밀어내고 이때 클로오 부분(14)는 레일(52), (50)를 따라서 캡(32)을 밀어낸다. 지느러미형 부분(12)와 클로오 부분(14)의 조합된 힘에 의해 구근형 단부(3 6)이 구멍(28)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이렇게 하여 분리된 핀(16)은 저장관(18)으로부터 손을 사용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다.As the longitudinal movement continues, the finned
부착핀을 저장관(18)로 부터 재빨리 그리고 완전하게 제거코자 할대는, 본 발명의 장치가 다음과 같이 개조될 수 있다.In order to quickly and completely remove the attachment pin from the
레일(52)의 최대 높이가 캡(32)과 구근형 단부의 두툼한 부분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클로오 부분(14)를 확대시킬 수 있다. 제3도는 이러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레일 (150), (152)는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비교할때 훨씬 길다. 몸체(100)의 길이 역시, 클로오 부분(150, 152)의 증대된 측방변위에 적응하도록 약간 더 길다. 또한 제3도에 보인 저장관(118)은 제1도의 저장관(18)보다 폭이 더 크다. 저장관(118)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리드-온-메모리(ROM)칩, 또는 기타 유사한 대형 팩케이지와 같은 집적회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지느러미형부분(112)는 제1도의 지느러미형 부분(12)에 비해서 더 큰폭을 갖는다.The
본 발명을 특징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다른 실시예들이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지적된 바외에는 제한되지 않는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features, other embodiments similar to those described herein may be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except as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90003080A KR830000299B1 (en) | 1979-09-08 | 1979-09-08 | Pin Removal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Tub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90003080A KR830000299B1 (en) | 1979-09-08 | 1979-09-08 | Pin Removal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Tub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299B1 true KR830000299B1 (en) | 1983-02-28 |
Family
ID=1921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90003080A Expired KR830000299B1 (en) | 1979-09-08 | 1979-09-08 | Pin Removal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Tub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299B1 (en) |
-
1979
- 1979-09-08 KR KR1019790003080A patent/KR830000299B1/en not_active Expi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11368A (en) | Cable tie | |
NL8100616A (en) | INSTRUMENT FOR LOADING AN INTRA-UTERINE DEVICE IN AN INSERTION TUBE. | |
KR970705203A (en) | Electrical Connector Hold-Down | |
GB2030913A (en) | Pin extractor for integrated circuit tube | |
KR970005440A (en) | Expansion and expansion method | |
KR950704164A (en) | LOW THREAD FORCE CABLE TIE | |
US4219282A (en) | Writing implement | |
KR830000299B1 (en) | Pin Removal Device of Integrated Circuit Tube | |
US4397412A (en) | Standup screw gun for long fasteners | |
US4690274A (en) | Container for electronic components | |
US4817823A (en) | Split clip for folded collapsible tube | |
EP0742159A1 (en) | A bundling strap assembly | |
US4100670A (en) | IC Insertion tool | |
US4685562A (en) | Releasable stop gate device | |
US20070131710A1 (en) | Squeeze tube volume reducer | |
KR840005403A (en) | Can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 |
EP0699021A2 (en) | Package and dispensing system incorporating storage tubes for electrical connectors | |
KR960004189A (en) | Bias Tape Filler | |
JPH024684A (en) | Vessel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KR200292490Y1 (en) | Air exhausting device for tube | |
US3537445A (en) | Intrauterine device | |
US4406607A (en) | Tube shaping device | |
KR870000740Y1 (en) | A frontal broad for fishing rods insertion | |
US1889885A (en) | Holder for collapsible tubes | |
US6690904B2 (en) | Developer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0908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2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117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