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0276B1 - 해상 플래트폼 - Google Patents

해상 플래트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76B1
KR830000276B1 KR1019780003908A KR780003908A KR830000276B1 KR 830000276 B1 KR830000276 B1 KR 830000276B1 KR 1019780003908 A KR1019780003908 A KR 1019780003908A KR 780003908 A KR780003908 A KR 780003908A KR 830000276 B1 KR830000276 B1 KR 83000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key
friction
elastic
st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276A (ko
Inventor
리바코바 우루엘라 조세
갈도스 토발리나 알버토
Original Assignee
스너, 인제니어리아 와이 시스테마스, 에스. 에이
토마스 마리네스 루잠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너, 인제니어리아 와이 시스테마스, 에스. 에이, 토마스 마리네스 루잠비오 filed Critical 스너, 인제니어리아 와이 시스테마스, 에스. 에이
Priority to KR101978000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76B1/ko
Publication of KR83000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76A/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상 플래트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트폼의 평면도.
제2 및 3도는 해상(海床)에 정착하여 있는 바아지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4도는 키일(keel)의 확대평면도.
제5도는 마찰부재들중 하나의 세부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수밀 접속부를 갖는 키일의 2개의 수직 주연벽의 확대 세부 단면도.
제9도는 수밀 접속부에 대한 키일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0도는 제8 및 제9도의 수밀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탄성부재들중 하나의 측면도.
제12 및 13도는 제11도의 각각 선 ⅩⅡ-ⅩⅡ과 ⅩⅢ-ⅩⅢ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선 - 에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선 -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창고,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공장, 에너지 생산공장 등과 같은 어떤 타입의 산업설비를 위한 지지체로 사용되는 해상 플래트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얕은 수역에 설치되는 해상 플래트폼에 관한 것이다.여기서 얕은 수역이란 수심이 40미터 이하의 지역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지진지역의 부동(floating)지반에도 적용 가능하다.
해상 플래트폼에 어떤 설비를 장치하는 일은 날로 보다 큰 흥미를 일으키고 있다. 즉, 이것은, 어떤 경우에는 일반적인 화학 처리장치,원자핵 센타,등과 같은 어떤 공장의 오염 및 위험의 관점에 의해, 그리고 다른 경우에는 ,선박에 의해 운송될때 처리 제품의 용이한 적하 및 하역을 위해 , 그리고 또 다른 경우에는, 그러한 설비를 설치할 충분한 땅이 없는 경우에 요구된다.
설치된 설비와 함께 부유 이송될 수 있게 된 플래트폼에 그러한 흥미가 더 크게 일어나며, 이는 우송가격 및 시간이 최소로 유지되고 정확히 예측될 수 있는 방식으로 산업설비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그 플래트폼은 그러한 설비를 구축 및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갖지 않은 장소로 부유이동된다.
부유 플래트폼에 산업설비를 장착하는 다른 잇점은 , 그 플래트폼이 그 설비를 오직 임시로 설치하는 장소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음, 그 설비와 함께 플래트폼은 다른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부유 플래트폼은 다음 방식들 즉, 부유방식 또는 해상(해상)에의 정확 방식들 중 한가비 방식으로 작동된다.
부유 플래트폼은 파도, 조류 및 바람에 기인한 연속적인 이동 및 변위 때문에 단점을 갖는다. 그러하 이동은 플래트폼으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처리제품의 운송을 위한 연결을 매우 복잡하게 하여,특히 그 제품이 고압 또는 저압에서 위험한 것일때 매우 복잡한 해결책을 요한다.
그 문제점을 플래트폼의 이동외에 선박의 이동이 부가되기 때문에 선박으로 또는 선박으로부터 처리제품을 이송할 때보다 더 복잡하게 된다.
또한, 플래트폼의 이동은 육지에서 통상 사용되는 과정의 개조를 요하여 설비 가격을 상승시킨다. 좋지않은 해상 조건에서는 그의 작동을 중지해야 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게 된다.
해상에 정착한채 작동하는 플래트폼은 부유 플래트폼에 관련된 문제점을 갖지 않는다.
스페인국 특허 제 451,827호은 얕은 수역의 해상에 정착하여 작동하도록 설계되고 부유 가능한 해상 플래트폼을 기술하고 있다. 그 플래트폼은 부유에 의한 다른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또는 검사 및 유지를 위해 필요한 때에는 부유 이동될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플래트폼은, 예를들어 콘크리트 케이스로 만들어지고 해상에 정착하는 하부 키일(keel)과 그 키일에 정착하는 바아지(barge)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바아지 및 키일은 부유에 의해 다른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급수 및 배수되는 밸래스트 탱크를 가지고 있다.
바아지와 키일의 접촉면들 사이의 어떤 응력 발생을 피하기 위해, 예를들어 자갈(gravel),등과 같은 변형가능한 물질의 층이 키일상에 배치되어 바아지와 키일 사이의 균일한 접촉을 보장하게 한다.
그 키일의 높이는, 밸러스트 탱크가 빈때 바아지가 키일위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그 밸러스트 탱크가 충만된때, 바아지는 외력에 의한 바아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압력으로 키일상에 장착한다.
한편, 바아지 및 키일은, 바아지의 증량과, 바아지와 키일 사이에 설치된 변형가능한 물질의 층의 조성 또는 성질에 기인하여 연결된채 유지된다.
바아지를 설치하는 이러한 방식에서는, 지진의 경우 키일의 수평 및 수직이동과 가중된 수평 이동 또는 동요가 완전히 바아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들 동요, 특히 수평이동은 어떤 크기의 지진에서 바아지에 장착된 설비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바아지와 키일 사이의 마찰이 지진에 기인한 키일의 동요시 바아지가 키일의 이동에 순응하게 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면, 바아지는 키일에 대해 수리 불가능한 손상 및 통제할 수 없는 이동을 받게 되며, 이러한 이동은 바아지가 키일에서 이탈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아지에 설치된 설비의 견고성이 영향받지 않을 정도로, 키일에 의해 바아지에 전달되는 수평동요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바아지의 회수시 키일에 대한 바아지의 이동이 조절될 수 있도록 바아지의 키일을 서로 연결함에 의해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아지와 키일은 그들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별도의 중간 마찰부재 및 탄성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그 중간 마찰부에는 바아지와 키일 사이의 지지부를 형성하며, 바아지에 작용하는 파도, 조류 및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야기된 바아지와 키일 사이의 미끄럼 방지하고, 작은 지지에 의해 야기된 키일의 가속에 의한 미끄럼운동을 방지하나 큰 지진의 경우 그 미끄럼운동을 허용하는 마찰계수를 가진다.
탄성부재는 바아지와 키일사이의 미끄럼운동의 크기가 어떤 예정된 값을 초과할때 어느정도 감소하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지진의 세기가 증가할 때, 키일상에서의 바아지의 요동주기가 역시 증가하며, 미끄럼운동의 동조에 기인한 증폭은 방지된다.
그리하여, 탄성부재는 바아지에 설치된 설비에의 지진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키일의 변위에 따라 바아지가 바람직한 이론상의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재벌치 되도록 작용한다. 그리하여, 바아지의 축적된 변위가 방지되고 동시에, 어떤 예정된 한계내에서 그의 위치가 유지된다.
중간 마찰부재는 바아지와 키일사이,예를들면 벌의 스키드(skid)형태의 지지부상에 벌치된 간단한 쇄기기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기구는 쐐기들을 서로 접근시키거나 이탈시키는 마찰핀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대면하는 쐐기들로 형성된다.
그 2개의 쐐기는 2개의 상하블럭(block)사이에 장착되고, 그 블럭들은 강과 같은 강직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그 블럭은, 그의 경사진 표면이 쐐기의 경사진 표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쐐기의 경사진 표면에 평행히 대면하는 측부의 경사표면을 가지고 있다. 블록의 외측 양측부는 다소 수평하다.
두 개의 쐐기를 연결하는 핀을 작동시킴에 의해 쐐기등이 서로 접근하거나 떨어지게 되어 블록들이 분리 또는 접근 될 수 있다.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변형가능한 탄성물질의 층, 예를들면 , 탄성체가 상기 블록들 중 하나를 따라 프복 배치되어, 상기 볼록과 바아지 또는 키일의 지지표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감소기킨다.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사용되는 층(들)의 측부에, 그 층에 인접히 블록으로부터 방지나 키일로의 모든 방향에 보호층이 또한 설치되어 있다. 그 보호층은 외부 조건에 기인한 손상으로부터 접촉 표면을 보호하도록 작용한다.
바아지 또는 키일과 마찰부재의 인점 블록과의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상기 층은, 바아지나 키일의 지지표면에 부착된 스테인레스 강판과, 상기 강판과 인접블록 사이에 배치된 폴리테트라오프루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시스템에서, 키일의 전체 스키드가 균일하게 지지된다. 탄성부재는 바아지와 키일을 부분적으로 수직으로 가로지르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독립적인 강봉(鋼棒)의 다발로 구성된다. 또한 각 탄성부재는 그 강봉에 수직으로 배치된 동일수의 강판들을 가지고 있고, 그 강판의 절반을 바아지에 절반을 키일에 배치된다. 그 강판들은 바아지의 플랭크(plank)에, 그리고 키일에 부착된 플랭크에 접합되어 있다.
그 강판을 바아지와 키일사이 중간면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분리되어 있고, 강봉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통과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강판과 강봉사이가 헐겁게 되어 있다. 이 헐거움은, 키일에 대한 바아지의 운동효과에 의해 강봉이 변형할 때 강봉이 구멍의 연부에 대해 기울여져 강판을 파손시키도록 최소로 되어야 한다. 강봉은 그의 상단부에 헤드 또는 버트(butt) 단부를 가지고 있고,그에 의해 바아지에 부착된 2개의 강판 중 상부의 것에 연결된다.
강판의 간격과 강봉의 크기 및, 바아지와 키일에 부착된 플랭크에의 강판의 접합은, 지진에 의해 바아지와 키일사이의 변위가 어떤 예정된 값을 초과할때 바아지와 키일상의 대칭 강판들의 접합을 파괴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도를 어느정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정해진다.
마찰부재의 경우에서와 같이 , 탄성부재 역시 탄성부재의 판위에 배치된 변형가능한 보호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그 피복재는 조정된 강봉이 통과하는 튜브들을 포함하고, 그리하여 외부 조건에 기인한 강봉 및 강판의 교차지역의 산화를 방지한다.
탄성부재의 봉이 통과하는 바아지의 지역과 마찰부재를 위한 지주 또는 스키드가 배치된 지역은 2개의 평행한 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바아지의 저부와 그 두벽들 사이에 수밀 접속부에 의해 수밀된 외주체 임버가 형성된다.
그 외주체임버는 마찰부재 및 탄성부재가 배치된 중앙 지역이 방수되어 있게되어, 그 부재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필요시 언제나 그 부재들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아지는 상기 2개의 외주벽 중 단부벽 사이 주축의 폭과 같은 폭의 벽을 가지고 있어 외주체임버와 중앙체임버를 일련의 독립된 체임버로 분할한다.
상기 벽들 각각에 장착된 수밀접속부는 증측연부들중 하나에 의해 강직한 지지부에 장착된 탄성물질 밴드를 포함한다. 그 지지부는 각벽의 상부를 지나 연장하여 있는 종방향 철판에 볼트에 의해 부착된다.그 볼트는 지지부와 좁은 판 사이에 탄성물질이 배치된 채 그들을 접속시켜 , 탄성물질의 밴드와 지지부가 중간 마찰부재상에 바아지가 정착될때 밴드의 종방향 자유연부에 바아지의 저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높이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밴드, 지지부, 좁은판이 각 벽의 폭을 따라 배치된다.
지지부는 직각단면부를 가지며, 그 직각단면부의 하나의 날개부는 대략 수평이고 다른 날개부는 벽으로 향하여 있다. 제1날개부는 그의 외측에 탄성물질 밴드를 가지고 있고, 그 밴드는 그 날개부와 금속밴드사이에 장착되며, 그 금속밴드에 볼트가 관통하여 그들 3개의 부재들을 수직으로 연결한다. 다른 날개부는 고무와 같은 탄성물질의 좁은 스트립을 사이에 두고 다른 볼트에 의해, 벽으로부터 연장하는 좁은판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큰 기부가 벽의 상부에 평행하게된 사다리꼴형태로 되어 있다.
탄성물질의 밴드는 그의 자유단부에 전체길이에 걸쳐 넓게 되어 있고, 이 넓이는 바아지의 저부를 향하여 있다. 그리하여, 키일에 바아지가 장착하여 있을때 그 밴드가 바아지의 저부에 대해 압박된다.
마찰부재와 탄성부재의 사용이 해상 플래트폼에의 그들의 적용에 대해 기술되었으나, 그들 적용의 가능성을 매우 넓다. 그리하여 , 상술한 장착방식은 육지의 지진 지역에서도 어떤 타입의 건물, 산업시설 등을 위한 우수한 장착방식을 제공한다.
상술한 방식이 지진 지역의 부유정착 방식으로 육지에서 사용될때, 바아지는 설비가 배치되는 기판의 역할로 제한되고, 키일은 밸러스트 탱크나 이중의 외주 수직벽을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벽은 종래의 평판으로 환원될 수 있다.
지진 지역에서의 이러한 정착 형태에서 얻어진 효과는 바아지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하며 , 즉, 판에 장착된 설비나 건물에 대한 지진의 영향이 감소되고 동시에, 건물의 기판의 위치가 조절되며 그의 위치는 허용한계내에 확실히 유지되며, 키일 또는 슬라브에 대한 판의 변위후 그 판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하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구성상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제1,2 및 3도는 상부의 바아지 1과 하부의 키일 2로 구성된 플래트폼을 나타낸다. 바아지 및 키일 각각은 밸러스트 탱크를 가지고 있어, 소망의 위치로 부유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들을 충만시킴에 의해, 키일 2는 확고히 위치결정되고 바아지 1은 상기 키일위에 장착된다. 해상(海床)에의 키일의 완전한 정렬이 필요할 때 그 해상에 돌로된 제1 하부층(3)과 자갈로 된 상부 제2층(4)를 배치하여 해상을 미리 적절히 준비하고, 그 자갈층(4)위에 키일(2)를 배치한다.
키일(2)의 높이는 밸러스트 탱크가 비어 있을때 키일 위에서 바아지(1)의 부유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탱크가 채워졌을때, 바아지는 키일위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아지(1)과 키일(2)는 일련의 중간 마찰부재와 일련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 마찰부재는 제5,6 및 7도에 나타내어져 있고 제5도에서 번호(5)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마찰부재는 제4 및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아지의 저부(6)과 키일(2)의 상부표면에 형성된 배의 스키드(skid)형태의 지주(7)사이에 배치된다.
제5-7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부재는 볼트(9)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대면하는 수평쐐기(8)로 구성된다. 그 쐐기(8)은 상하로부터 블록(10)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 쐐기는 강(鋼)과 같은 강직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블록(10)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8)의 경사표면에 평행한 경사표면을 가지고 있어 블록(10)이 쐐기(8)상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블록(10)의 양측부는 수평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블록(10) 위에, 매우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매우 변형가능한 탄성물질, 예를들어 탄성체(11)의 층이 있고, 하부블록(10) 아래에는, 블록과 키일의 지주(7)의 정착표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물질의 하나이상의 층이 있다. 이들 층은 키일(2)의 지주(7)의 상부표면에 부착된 스테인리스 강판(12)와, 그 강판(12)와 하부블록(10) 사이에 배치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 에틸렌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감소를 위해 설계된 강판(12)와 층(13)은, 하부블록(10)에 일측부가 부착되고 지주(7)의 측면에 타측부가 부착된 보호층(14)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서, 볼트(9)를 조정함에 의해 쐐기(8)이 가까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어 블록(10)을 접근 또는 분리시키고, 그리하여 바아지(1)이 마찰부재(5) 때문에 키일(2)에 균일하게 정착한다.
중간 마찰부재(5)의 마찰계수는, 충만된 밸러스트 탱크를 갖는 키일(2) 위에 바아지가 정착하여 있을때 바아지와 키일 사이의 상대변위를 방지하도록 정해진다. 그 변위는 파도 , 조류 , 바람과 같은, 바아지(1)에 작용하는 외부 힘에 의해, 또는 작은 정도의 지진에 기인한 키일(2)의 가속에 의해 야기된다. 그러나, 이들 중간 마찰부재(5)는 큰 지진의 경우 키일(2)에 대한 바아지(1)의 변위를 허용한다.
탄성부재(15)(제11-15도)는 여러개의 강봉(16)이 다발로 형성된다. 이들 강봉(16)은 바아지(1)과 키일(2)를 수직으로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있고 자유롭게 움직인다. 바아지(1) 및 키일(2)와 강봉(16)의 교차는 일련의 동일수의 강판(17) 및 (18)을 통해 일어나며, 그 강판의 절반(17)은 바아지에 부착되고 나머지 절반(18)은 키일(2)에 부착되어 있다. 강판(17)은 바아지(1)의 플랭크(plank)(19)에 접합되어 있고 강판(18)은 키일(2)의 벽(21)에 부착된 시이트(siheet)(20)에 접합되어 있다.
강판(17) 및(18)은 바아지(1)과 키일(2) 사이에 위치된 중간면에 대해 대칭으로 분리되어 있다.
플랭크 및 시이트(19) 및 (20)은 강봉(16)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통과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강봉(16)은 상단에 헤드 또는 버트(butt) 단부(22)를 가지고 있고, 그 곳에서 강봉이 바아지(1)에 부착된 가장 위의 상부판(17)에 부착되어 있다.
서로 다른 강판(17)과 (18)사이의 간격, 강봉(16)의 단면, 강판(17) 및 (18)과 플랭크 및 시이트(19) 및 (20) 사이의 접합은, 바아지(1)과 키일(2) 사이의 변위가 지진에 의해 어떤 예정된 값을 초과할 때, 중간면에 가까운 서로 인접한 것부터 시작하여 그 강판들이 파괴될 수 있을 정도로 정해진다.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15)의 탄성도는 어느정도 감소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7) 및 (18)의 양측에, 강봉(16)이 통과하는 튜브(24)를 가지는 반현가능한 보호층(23)이 설치되어 있다. 튜브(24)는 예를들어 클램프(clamp)(25)에 의해 강봉(16)과 강판(17) 및 (18)사이의 교차지역의 산화를 방지한다.
제4 및 8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키일(2)는 그의 상측부의 2개의 평행한 주연벽(26)들을 가지고 있고, 그 벽들은 마찰부재(5)와 탄성부재(15)가 배치된 전체지역을 둘러싸고 있다.
그 두 개의 벽(26)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아지(1)이 키일(2)상에 정착하여 있을때 바아지(1)의 저부(27)에 가까이 연장하여 있다. 벽(26)의 상부와 바아지(1)의 저부 사이에 수밀(watertight) 접속부(28)(제8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28)은 벽(26)과 바아지(1)의 저부(27) 사이에 수밀체임버(29)를 형성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일(2)는 그의 상측부에 2개의 벽(30)을 가질수 있고, 그 벽(30)은 키일(2)의 주(主)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벽(30)은, 벽(62)에 의해 제한된 키일(2)의 표면이 일련의 독립된 간격으로 분할되도록 벽(26)과 동일한 높이를가지고 있다.
벽(26)에 의해 제한된 키일(2)의 전체 중앙표면은, 마찰부재(5) 또는 탄성부재(15)의 조정을 가능케하는 수밀체임버를 형성한다.
제9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벽(26)은 상부표면에 2중의 수밀접속부(28)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 수밀접속부(28)은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떤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이 실시예에 따라, 각 수밀접속부(28)은 직각단면부(31)을 가지는 강직한 지지체상에 장착된 탄성물질밴드(30)을 가지고 있다.
그 직각단면부의 하나의 날개부(32)는 실제로 수평이고 다른 날개부는 벽(26)을 향하여 있다. 탄성물질 밴드(30)은 날개부(32)와 좁은판(33)사이에서 날개부(32)에 볼트(34)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다른 날개부는 벽(26)에 고착된 판(36)에 의해 벽(26)에 부착된 판(35)에 고정되어 있다.
그 다른 날개부의 취부는 스트립 형태의 탄성물질(38)을 사이에 두고 볼트(27)에 의해 수행된다. 그 탄성물질(38)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하부를 따라 더 넓게 되어 있어 볼트(37)이 조여질 때 직각 단면부(31)을 압압한다.
물에 의해 스트립 형태의 탄성물질(38)과 밴드(30)에 발휘된 압력에 의해, 스테인리스 강판(39)에 탄력적으로 시일될 수 있는 지역에서 바아지(1)의 저부 (27)에 밴드(30)이 견고히 압압되어 유지된다. 수밀 접속부(28)은 벽(26)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설비는 지진 지역의 지반에도 적용될 수 있고 그리하여 큰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부유정착을 얻는다. 그러한 경우에, 바아지(1)은 건물 또는 설비가 설치되는 판까지 제한되고 하부의 키일(2)는 밸러스트 탱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신 , 키일 또는 기초 슬라브를 위한 통상적인 구조를 사용한다. 또한, 키일(2)는 외주벽(26)과 수밀접속부(28) 없이도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근본개념을 변경함이 없이 개조될 수 있음을 주지하기 바란다.

Claims (1)

  1. 바아지, 그 바아지가 얹히고 해상(海床)에 배치되는 하부키일, 바아지의 키일의 접촉표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마찰부재, 및 바아지와 키일에 상호 연결되어 그들 사이의 변위르 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로 구성된 해상 플래트폼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부재(5)는,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대면하는 수평의 쐐기(8)들이 그 쐐기의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을 가진 강직한 물질의 상하블록(10)들 사이에 장착되고,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변형가능한 탄성체 물질의 층(11)과 마찰감소 물질의 층(13)이 바아지 및 키일에의 각 블록의 접촉표면에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5)는, 바아지와 키일을 수직으로 부분적으로 가로지는 자유이동하는 봉(16)들의 다발이 예정된 값이상의 변위시 파손되는 일련의 짝수의 판(17,18)들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변형가능한 보호층(23)이 상기 판들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구성되며, 또한, 상기 중간 마찰부재와 탄성부재가 위치되는 지역을 둘러싸는 키일상의 2개의 평행한 벽(26)들의 상부에, 탄성물질의 밴드(30)와, 직각단면부(31), 및 그 직각단면부와 판(35)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립 형태의 탄성물질(38)로 이루어진 수밀접속부(2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해상 플래트폼.
KR1019780003908A 1978-12-23 1978-12-23 해상 플래트폼 Expired KR83000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908A KR830000276B1 (ko) 1978-12-23 1978-12-23 해상 플래트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908A KR830000276B1 (ko) 1978-12-23 1978-12-23 해상 플래트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76B1 true KR830000276B1 (ko) 1983-02-26
KR830000276A KR830000276A (ko) 1983-03-30

Family

ID=1920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3908A Expired KR830000276B1 (ko) 1978-12-23 1978-12-23 해상 플래트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76A (ko)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7569A (en) Floating dock
EP0991566B1 (en)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CA1327707C (en) Gravity base structure for an offshore platform in arctic regions
US5429452A (en) Floating break water structure
US3022759A (en) Concrete floating wharf
US3465528A (en) Floating wave suppressor
US4098086A (en) Breakwater
US4642000A (en) Anchoring system for concrete floating pier
US4406564A (en) Breakwater
US4693631A (en) Floating breakwater
US3924412A (en) Oil containment boom
US4554883A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
US4191495A (en) Sea platforms to support industrial installations
US8251002B2 (en) Pontoon-type floating structure
CN115071892B (zh) 一种沉管运输船的支墩及沉管运输船
US7273018B2 (en)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KR830000276B1 (ko) 해상 플래트폼
US4797034A (en) Oscillating marine platform with a rigid base
CA1284919C (en) Floating platform structure
EP0097181A1 (en) Floating walkway
JP2547932B2 (ja) 浮桟橋および水上浮構造物の係留柱
CA1140401A (en) Cantilevered finger piers for marine floats
US7503728B2 (en) Stabilized floating support
US3055182A (en) Stabilizer for fender buffer system
CN115679846A (zh) 一种水域桥墩维修用浮筒式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8802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8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