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37B1 - Manual operation switch - Google Patents
Manual operation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237B1 KR830000237B1 KR1019790002974A KR790002974A KR830000237B1 KR 830000237 B1 KR830000237 B1 KR 830000237B1 KR 1019790002974 A KR1019790002974 A KR 1019790002974A KR 790002974 A KR790002974 A KR 790002974A KR 830000237 B1 KR830000237 B1 KR 830000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actuating
- plane
- pivot axis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만들어진, 스위치 작동부가 제1각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입면도.1 is an elevational view of a switch assembly in which the switch actuating portion is shown in a first angular positio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qu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어셈블리의, 스위치 작동부가 제2각 위치로 도해되어 있는, 부분도.FIG. 2 is a partial view of the switch assembly shown in FIG. 1 with the switch actuation portion illustrated in a second angle position. FIG.
제3도는 제1도의 제1각 위치에서 도해된, 진행 각도와, 작동부가 그 각 위치 사이에서 작동되게 하는 요부 사이의 어떠한 제기된 관계를 보이는 작동부의 측면도.FIG. 3 is a side view of the actuating part, which is shown in the first angular position of FIG. 1, showing any raised relationship between the travel angle and the recesses that cause the actuating part to be operated between the respective positions.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작동부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operating part shown in FIG.
제5도는 작동부의, 작동부가 제2도에 도시된 제2각 위치인 것을 도해하는, 측면도.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actuating portion in the second angular position shown in FIG.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조립체의 화살표 Ⅵ-Ⅵ의 사이 및 그 방향으로 취해진, 스위치 스립체의 단지 작동부만이 도해된, 종 단면도.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ly the actuation portion of the switch slip, taken between and in the direction of arrows VI-VI of the switch assembly shown in FIG.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스위치 조립체의 화살표 Ⅶ-Ⅶ의 사이 및 그 방향으로 취해진, 스위치 조립체의 단지작동부만이 도해된, 종 단면도.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which only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switch assembly is illustrated, taken between and in the direction of arrow VIII of the switch assembly shown in FIG.
본 발명은 선택에 의하여 어떤 제기된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을 쉽게하는, 그러나 이 방향으로의 우발적인 작동을 최소화하는, 형태의 수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switch of the type which, by selection, makes it easy to operate in any given direction, but minimizes accidental operation in this direction.
비상 정지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내에 필요하게 되는데, 이것이 작동되면 건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구동 모터 및 브레이크로 부터, 혹은 수압식 엘리베이터의 전기로 작동되는 밸브와 혹은 펌프모터로부터 전력이 제거되게 한다. 1978년 9월 12일에 출원된, 공동심리중인 미국 출원 일련번호 제941,617호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호출장소에 있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으로 사용하기에 많은 장점을 가진 개선된 푸시버튼 어셈블리를 상예로 들어 발표하였다. 이 푸시버튼 어셈블리의 하우징은 기계적으로 강하며, 좋은 외양을 나타낼 뿐 아니라, 우연한 그리고 임의적인 혹사에도 견디도록 설계되었다. 게다가, 이 푸시 버튼 어셈블리의 작동 플런저(plunger)의 사용자 왼편에 바로, 시각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해, 명판을 새겨 놓았다.An emergency stop switch is required in the elevator, which, when activated, causes power to be removed from the elevator drive motor and brake of the gun elevator, or from the electrically operated valve and pump motor of the hydraulic elevator. Co-trial US application serial no. 941,617, filed on September 12, 1978, cited an example of an improved pushbutton assembly that has many advantages for use as an elevator call button at a call location installed in an elevator. . The housing of this pushbutton assembly is mechanically strong and not only looks good, but it is also designed to withstand accidental and random abuse. In addition, the nameplate was engraved directly on the user's left side of the push plunger of the push button assembly to aid visual impairment.
비상 정지 스위치는 보통 엘리베이터 호출푸시 버튼과 같은 콘트롤패널에 설치된다. 이 공지의 비상정지 스위치는 시각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해, 푸시 버튼 어셈블리의 확인 명판과 작동부의 실제 위치와 일치할뿐 아니라, 푸시 버튼 어셈블리와 같은 장소에 설치되기에 불충분하다.Emergency stop switches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such as elevator call push buttons. This known emergency stop switch is insufficient to be installed in the same place as the push button assembly, as well as coinciding with the actual position of the confirmation nameplate and the actuating part of the push button assembly to aid visual disturbances.
종래의 기술에서, 비상 정지 스위치의 조작 토글은 보통, 억압식 작동부를 가진 엘리베이터 호출 푸시 버튼과 구별하기 위해, 핸들이나 레버의 형태로 되고, 그 비방 특징을 또한 표시하기 위해 보통 붉으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prior art, the operation toggle of the emergency stop switch is usually in the form of a handle or lever,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an elevator call push button with a responsive actuating part, and usually made of red material to also indicate its slander features. .
본 발명의 주목적은 그 비상 특징을 한층 강조하고, 의복이나 서류가방 같은 것들에 작동부가 걸려서 일어나는 우발적인 작동의 가능성을 줄이고 그리고 또한 시력 장애자들이 엘리베이터 호출 푸시 버튼을 확인하는 명판을 찾기 위해 콘트롤 패널을 만지다가 우발적으로 발생되는 작동 가능성을 줄이는 개선된 비상 정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emphasize its emergency features, reduce the likelihood of accidental operation caused by the actuating part on clothes or briefcases, and also provide a control panel to find a nameplat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o check elevator call push buttons. It provides an improved emergency stop switch that reduces the likelihood of accidental operation.
이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제기된 방향으로의 선택에 의한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이 방향으로의 우발적인 작동을 최소화하는 스위치에 있으며, 이 스위치는 대체로 평평하고 수직으로 방향지어져 있는 앞 표면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장치되어 있고 제1및 제2위치사이에서 동작가능한 전기접촉 어셈블리와, 수평으로 방향지어진 피벗축상에서 앞 하우징 표면 뒤의 하우징내에 추축으로 장치된 작동부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접근하기 쉬운 제1부분과, 전기접촉 어셈블리와 동작하게 연결된 하우징 내의 제2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부분은 전기 접촉 어셈블리의 제1및 제2위치를 각각 선택하는 제1및 제2각 위치사이에서 상기 작동부를 추축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요부를 가진 일반적인 구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In view of this object, the invention resides in a switch that facilitates operation by selection in a raised direction while minimizing accidental actuation in this direction, the switch being generally flat and vertically oriented front surface. And a housing having an inner side, a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mounted in the housing and operab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and an actuating portion mounted in the housing behind the front housing surface on a horizontally oriented pivot axis. And the actuating portion has a first portion that is easily acces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portion in the housing that is operatively connected with the electrical contact assembly. The first portion has a generally spherical contour with recesses for pivotally actuating the actuating por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angular positions that respectively select first and second positions of the electrical contact assembly.
그리고 작동부의 제1부분의 상기 요부는 제2위치로 선택에 의한 작동을 쉽게 하고 제2의 대체로 평평한 면의 면적이 제1의 대체로 평평한 면의 면적을 초과하게 하도록 선택된 수평으로 방향지어진 피벗축과 설정된 다른 간격을 가진 평면들로서 각각 제1및 제2위치로 작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및 제2의 대체로 평평하고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및 제2평면은 서로 관계하여 방향지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구형의 외형의 피벗축에 관해 방향지어 있으며 그리하여 요부의 제1평면은 하우징의 앞면과 대체로 동일한 면에 있고, 제2평면의 가장 낮은 가장자리는 작동부가 제1각 위치에 있을때, 제2상태로 작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부터 하우징의 앞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동부에 가해진 힘을 배제하도록 하고 제2위치로의 작동부의 우발적인 동작을 최소화 하도록 피벗축위에 놓여 있다.And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of the actuating portion is adapted with a horizontally oriented pivot axis selected to facilitate operation by selection to a second position and allow the area of the second generally flat surface to exceed the area of the first generally flat surface. Set with different spacings, each comprising first and second generally flat and intersecting surfaces for operating the actuator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the first and second planes being oriented relative to one another; It is generally oriented with respect to the pivot axis of the spherical contour so that the first plane of the recess is at approximately the same plane as the front face of the housing, and the lowest edge of the second plane is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actuator is in the first angular position. Operation of the actuator into the second position by excluding the force exerted on the actua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minimize the action is placed on the pivot axis.
본 발명은, 참조 도면에 연관시켜서, 다음의 예시 설명에 의하여 좀더 명백해 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illustrative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선회하게끔 설치된 작동부와 전기접촉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개선된 수동 조작 가능한 스위치를 보이는 것이다. 최소한 작동부의 접근하기 쉬운 부분은, 각각 제1및 제2위치로 관련 전기 접촉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제1및 제2각 위치사이에서 작동부로 하여금 움직이게 하는 구형의 면의 요부(오목한 부분)을 가진, 구형의 모습이다.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improved manually operable switch comprising a pivotally mounted actuating portion and a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t least the accessible part of the actuating part has a spherical face recess (concave part) which causes the actuating part to mov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gular positions of operating the associat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respectively. It is a spherical shape.
그 요부는 대체로 평평한 제1및 제2평면 사이의 설정된 각을 한정하도록, 교차하는 제1및 제2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설정된 각은 두 개의 각 위치 사이의 작동기부의 진행(운동)각에 관한 것이며, 양호하게도 180°에서 진행각도를 뺀 것과 같다.The recess is formed by intersecting first and second planes to define a set angle between the generally flat first and second planes. This set angle relates to the travel (movement) angle of the actuator between the two angular positions, preferably equal to 180 ° minus the travel angle.
이 관계는 요부의 제1평면이 작동부의 제1각 위치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게 하며, 요부의 제2평면이 작동부의 제2각 위치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This relationship causes the first plane of the recessed portion to be orie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gular position of the actuating portion, and the second plane of the recessed portion is orie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ngular position of the actuating portion.
제1및 제2평면은, 작동부가 제1각 위치에서 제1및 제2평면의 교차선이 피벗축 위에서 발생하고 제1및 제2평면이 선택되어 작동부의 피벗축에 대해 측정된 1상한 내에서 구형 모습의 면을 교차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planes have a first upper limit measured relative to the pivot axis of the actuator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nes occurring at the first angular position above the pivot axis and the first and second planes selected. Intersect the faces of the spherical shapes in.
제1및 제2평면의 상대적 부위와, 피벗축에 대한 평면의 위치및, 구체구조의 모두가 조화되어 작동부의 제1각 위치로 부터 제2각 위치로의 우발적 작동을 억제시킨다.The relativ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lanes, the position of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pivot axis, and all of the concrete structures are coordinated to suppress accidental actuation from the first angle position of the actuating portion to the second angle position.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구성된 스위치 어셈블리(10)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10)는 앞부분(14)을 가진 하우징(12)과, 앞부분(14)에서 시작하여 하우징(12)에 의하여 제한되는 구멍으로 뻗어 있는 원통형홈(16), 그리고 작동부(2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a
작동부(20)는 원통형홈(16)내에 수평 피벗축(24)과 동축을 가지는 피벗 핀(22)에 의하여 선회하여 설치된다.The
예시할 목적으로, 하우징(12)은 스위치 어셈블리(10)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하우징 세부의 좀더 완벽한 이해를 얻기 위해서 참고가 되는 앞에서 인용된 미합중국 출원에서 보여진 푸시 버튼 하우징과 유사하게 도해 되었다.For purposes of illustration, the
그러나, 본 발명은 선회 하게끔 설치된 작동부를 가지는 어떤 수동스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manual switch having an actuating part that is pivotally installed.
하우징(12)의 앞부분(14)는, 원통형홈(16)에 대한 앞 개구를 둘러싸는 전면(27)을 지니는 제1돌출부(26)와, 제1돌출부(26)로 부터 수평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제2돌출부(28)와, 그리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0)의 왼쪽에, 두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명판(30)을 포함하고 있다. 명판(30)은 스위치 어셈블리(10)의 기능을 시각 장애자에게 나타내는 양각부(32)를 포함하고 있다. 도해된 "×"는 스위치 어셈블리(10)가 엘리베이터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비상 정지 스위치라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며, 그리고 스위치 어셈블리는 본 출원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The
명판(30)은 핀(34)와 (36)에 의하여, 각 핀은 제2돌출부(28)와, 명판(30), 그리고 제1돌출부(26)의 일직선 구멍에 끼워져서, 조립된 위치에 핀으로 꽂아 진다.The
작동부(20)는, 제3도에서 제7도 까지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앞쪽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제1부분(40)과, 하우징(12)의 구멍 내에 있는 제2부분(42)을 포함하고 있다. 최소한 제1부분(40)은, 제1도로 보여준 제1각 위치와 제2도로 보여준 제2각 위치사이에서 작동부(20)를 작동될 수 있게 하도록 구형의 모습이 형성되어 있는 요부(44)를 가진, 구형의 모습이다.The actuating
제2도는, 작동부(20)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제1도의 스위치 어셈블리(10)와 비슷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부분도이다.FIG. 2 is a partial view of the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각 위치에서 작동부(20)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도해된 바와 같은 작동부(20)의 배면도이며,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각 위치에서의 작동부(20)의 측면도이다. 제3,4 및 5도에 도해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작동부(20)의 제2부분(42)은, 작동 장치(46)가 특정된 전기 접점 장치나 혹은 사용된 스위치 기구와 서로 작용하기 위해 구형 구조에 더해져서, 제1부분(40)의 구형 구조가 계속 된다. 계속된 구형 구조는 원통형홈(16)의 내에서 작동부(20)가 선회하도록 필요한 작동 간격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장점이 있다.3 is a side view of the actuating
작동부(20)은 제2부분(42)으로 부터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48)을 가지며, 피벗축핀(22)가 이 개구부를 한정하는 작동부의 측면 사이로 뻗는다.The actuating
도면에 도해된 바와 같이 수평 피벗축(24)는 구형 구조의 중심을 가로지른다.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제1및 제2정지부(50)과 (52)는 개구부(48)의 맞은 편쪽에 수평으로 간격지어 져서, 원통형홈(16)의 원통형 구조의 외측으로 뻗는 정지부(50)과 (52)는, 작동부(20)의 진행 한계를 정하기 위하여, 작동부(20)의 두 각 위치 모두에서 앞부분(14)의 내부벽(54)에 닿는다.The first and
간격지어진 정지부(50)과 (52)사이에 뻗친 작동핀(56)은 수평축(57)과 동축이 되게 제공된다. 작동핀(56)은, 다음에 제6도와 제7도와 관련시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촉 어셈블리나 혹은 스위치 기구의 작동기구와 조화된다.An actuating
제1및 제2전기 접촉 작동부는 수평으로 간격진 제1및 제2의 정지부(50)과 (52)로 부터 외부로 향하여 각각 뻗치며, 이것의 목적 역시 제6도와 제7도에 관련시켜 설명될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tact actuators extend outwardly from the horizontally spaced first and
요부(44)는 작동부(20)의 진행 각도와 관련된 구조를 가진다.The
제3및 제5도에 도해되었듯이, 진행각도는 측(24)및 (57)을 교차하는 중심선(62)의 두 위치사이의 각도이고, 제3도위 중심선(62)와 수평선(66)사이에 각(64)를 포함하여, 제5도의 중심선(62)와 수평선(66)사이에 각(68)을 포함한다. 에 시의 목적으로, 각도(64)와 (68)은 각기 약 30°되게 선택되었고, 그리하여 작동부(20)의 진행 각도는 약 60°이다.As illustrated in FIGS. 3 and 5, the advancing angle is the angle between two positions of the
요부(44)는 제1부분(40)의 구형 표면으로 부터 내부로 뻗치고 서로 교차하는 제1및 제2평면을 포함하며 표면의 교차면은 180°에서 진행 각도를 뺀 것과 같은 각(74)을 형성한다.The
이같이, 진행 각도가 약 60°로 주어진 예에서, 구형의 작동구의 교차하는 면(70)과 (72)사이의 각(74)는 120°이다.As such, in the example given the advancing angle of about 60 °, the
제1및 제2평면(70)과 (72)의 배치는 그들이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도록 선택되고 또하 평탄한 표면의 구형 구조의 외부 표면과의 교차가 제1및 제3도에 도시된 작동부(20)의 제1각 위치, 그리고 제2및 제5도에 도시된 작동부(20)의 제2각 위치의, 지정된 위치에서 일어나도록 선택되었다.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이들의 배치 기준에는 다음의 조건이 포함된다;Their placement criteria include the following conditions;
(1) 제1평면(70)은 작동부(20)의 제1각 위치에서 하우징(12)의 앞부분(14)의 면에 수직으로 향해야 하고 제2평면(72)는 작동부(20)의 제2각 위치에서 수직으로 향해야 한다.(1) The
(2) 제1및 제2평면(70)과 (72)의 구형 구조와의 교차는, 피벗축(24)주위로(측정되어, 단일 90°원호나 혹은 사분원 내에서 일어나야 한다.(2) The intersection of the spherical structures of the first and
(3) 제1및 제2평면(70)과 (72)의 구형 구조와의 교차는 작동부(20)이 제1및 3도에 도시된 제1각 우치에 있을때 피벗축(24)위에서 일어나야 한다.(3) The intersection of the spherical structures of the first and
(4) 스위치 어셈블리를 작동부(20)의 제1각 위치로 부터 제2각 위치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평면(72)의 면적은, 작동부(20)을 제2각 위치로 부터 제1각위치로 트리핑하는 제1평면(70)의 면적보다 커야 한다.(4) The area of the
조건(1)은 수동 작동 압력을 적절한 표면으로 향하게 하고, 어느 표면도 원통형홈(16)으로 되뻗치지 않고 진행 각도를 완수시킨다. 또한 둘중의 하나 혹은 두 표면 모두에 배열된 명판이 스위치가 수직으로 향하는 표면과 관련된 위치에 있을 때 가장 명백히 나타나게 한다. 예컨대, 제1도에 도시된 대로, 스위치 어셈블리(10)이 비상 정치 스위치로서 사용될때, "정지"라는 명판이 제2평면(72)에 새겨져도 된다. "가동"이라는 평판이 제1평면(70)에 새겨 질 수도 있다.Condition (1) directs the manual operating pressure to an appropriate surface and completes the travel angle without either surface being retracted into the
스위치 어셈블리(10)의 위치는 그 두명판의 수직 방향의 상대적인 크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것에 주의할 것이다.It will be noted that the position of the
만일 명판이 단지 한 표면에만 쓰이면, 표면의 각도는 스위치 위치를 나타내는 명판을 또한 나타내는 것이다. 각(74)를 180°에서 진행 각도를 뺀 각도로 형성하여 이 조건이 성취된다.If the nameplate is only used on one surface, the angle of the surface also indicates the nameplate indicating the switch position. This condition is achieved by forming the
조건(2)는 작동부(20)의 작동을 위한 적절한 표면 부위를 제공하는 동안 제1부분의 구형표면의 큰 부분을 유지한다.Condition (2) maintains a large portion of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while providing a suitable surface area for actuation of the actuating
그 큰 구형표면은 작동부(20)에 가해지는 우발적인 힘을 기울여지게 한다.The large spherical surface causes an accidental force exerted on the
조건(3)은 작동부에 가해진 힘이, 제1및 제3도에 도시된 제1각위치로 부터 제2 및 5도에 도시된 제2각 위치로 작동부(20)를 트리핑하는 것으로부터, 하우징(12)의 앞부분(14)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엘리베이터칸의 비상 정지 스위치로 사용될때, 제1각 위치는 "가동" 위치이고, 제2각 위치는 "정지" 위치이며, 엘리베이터의 우발적인 정지는 피해진다.Condition (3) results from the force exerted on the actuator from tripping the actuator 20 from the first angular position shown in FIGS. 1 and 3 to the second angular position shown in FIG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조건(4)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이와같은 조치가 의도된다면, 작동부(20)의 제1로부터 제2각 위치로 작동시키는 비교적 큰 표면을 제공한다.The condition (4) provides a relatively large surface to actuate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angular position of the
조건(2), (3)과 (4)는 제3도에 도시된 수직 중심선(82)로 부터의 간격(80)이 제5도에 도시된 제2평면(72)와 수직 중심선(82)와의 간격(84)보다 작도록 제1평면(70)을 형성하므로써 제공된다.Conditions (2), (3) and (4) indicate that the distance 80 from the
제3도에 도시된 제1각 위치에서, 제2평면(72)의 가장 낮은 모서리(86)은 수평선(66)보다 지정된 작은 크기(88)만큼 높은 것으로 도시되는 것이 좋고, 그러나 모서리(86)이 수평선(66)과 같이 낮게 놓이는 것도 적당하다는 것을 주위한다.In the first angular position shown in FIG. 3, the lowest edge 86 of the
제1평면(70)이 수직으로 향해질 때, 이것은 사실상 돌출부(26)의 전면(27)과 같은 높이이며, 제2평면(72)가 수직으로 향하여 질때, 제2평면(72)은 전면(27)로부터 밖으로 간격지어지는 것을 또한 유의하자. 이같은 배치에 의하여 스위치 어셈블리(10)이 제3도에 도시된 제1각 위치로부터 제5도에 도시된 제2각 위치로 우발적인 작동의 어려움을 더해준다.When the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화살표 Ⅵ-Ⅵ의 방향과 그 사이로 취해진, 종단면도 이며,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된 스위치 어셈블리(10)의, 화살표 Ⅶ-Ⅶ의 방향과 그 사이로 취해진, 종 단면도이다. 제6도와 7도는 사용된 스위치 장치의 전기접촉 어셈블리(90)와 유동적으로 결합되는 작동부(20)을 도해한다.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between and in the direction of arrows VI-VI, of the
그러나 전기 접촉 어셈블리(90)는 단지예로써 도시되었으며 다른 많은 작동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기 접촉 어셈블리(90)은, 이 예에서, U-형 구조부(92)을 포함하며, 그 다리부분은 공통 수평 피벗축(94)에 선회하게 설치되어 있는 과전류 토글구조이다.However, the
U-형 구조부(92)의 굴곡부에는 제1스프링 자리(96)가 있다. 제2스프링 자리(98)는 작동판(56)위에 얹혀 있으며, 나선형 스프링장치(100)은 제1및 제2스프링 자리(96)과 (98)사이에 뻗친다.At the bend of the
나선형 스프링(100)은 약간 압축되며, 이 스프링은 제2스프링 자리(98)을 작동핀(56)에 대해 기울어 지거나 잡는다. 정지 장치(101)과 (103)은 U-형 구조부(92)의 행정을 제한한다.The
제6도에 도시된, 작동부(20)의 제1각 위치에서, 접촉 작동부(58)과 (60)은 각각 공통도전 연결부(102)에 압력을 가하여, 정상적인 상향편향을 극복하여 하향방향으로 굽힌다.In the first angular position of the
이같이 해서, 도전 연결부(102)의 전기 접점은, 예컨대(104)는 고정 접점(106)같은 관련된 고정 접점으로 부터 떨어질 수 있다. 도해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110)과 가동접점(112)를 포함하는 접점쌍(108)같은 부가 접점의 상태는 이 위치에서 변하지 않아서, 정상적으로 단락된다.In this way, the electrical contacts of the
제2평면(72)가 하향 방향으로 눌려질 때, 나선형 스프링(100)은 U-형 구조부(92)를 정지장치(101)에 대해 정지 되어 있는,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정지 장치(103)에 대해 정지되어 있는 제7에 도시된 위치로 구동시키고, 스프링 작용은 작동부(20)를 일단 지정된 각 위치에 이르면 선회를 계속하게 하며, 하우징의 앞부분(14)의 뒷벽(54)에 의하여 형성된 관련된 정지부에 대해 작동부(20)의 두 개의 정지부를 작동하게 한다.When the
접촉 작동부 (58)과 (60)은 이리하여 도전 연결부(102)로 부터 떨어지고 이 부분의 스프링에 의한 편형이 그에 관계된 접점을 되돌아 그들의 고정 접점과 결속되게 한다. 접촉 작도부 (58)과 (60)은 접점쌍(108)의 가동접점(112)같은 부가 접점 장치의 이동 접점을 지닌 연결부에 압력을 가해 이들의 관련된 고정 접점(110)으로 부터 떨어지게 한다.The
작동부(20)을 수평피벗축(24)주위 지정된 각만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제1평면(70)의 상향압력은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릴 것이다.The upward pressure of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90002974A KR830000237B1 (en) | 1979-08-30 | 1979-08-30 | Manual operation swit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90002974A KR830000237B1 (en) | 1979-08-30 | 1979-08-30 | Manual operation switc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237B1 true KR830000237B1 (en) | 1983-02-24 |
Family
ID=1921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90002974A KR830000237B1 (en) | 1979-08-30 | 1979-08-30 | Manual operation switc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237B1 (en) |
-
1979
- 1979-08-30 KR KR1019790002974A patent/KR830000237B1/en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55643A (en) | Tripping emergency push-button | |
US3827313A (en) | Miniaturized joystick and cam structure with push button switch operating means | |
KR20030014159A (en) | Rocker switch with snap dome contacts | |
US6888075B2 (en) | Push-button switch | |
US5412165A (en) | Multiple switch assembly with detented rocker actuator | |
KR101278278B1 (en) | Push-button operated rocker switch | |
US4121065A (en) | Toggle switch lever lock | |
JPS6334180Y2 (en) | ||
US7569786B2 (en) | Actuator for an electric push-button switch, particularly in vehicles | |
CA2015877C (en) | Absorbing overtravel in sequential switching | |
CN101836276A (en) | manipulator | |
US4431881A (en) | Pushbutton drive for key contacts | |
KR830000237B1 (en) | Manual operation switch | |
US4191874A (en) | Manually operable switch | |
US6262379B1 (en) | Switch apparatus | |
CA1312896C (en) | Pushbutton switch, particularly key switch | |
DE3818810A1 (en) | Electrical tumbler switch with several unstable rocker positions | |
US3370481A (en) | Interlock dual operator assembly | |
AU691962B2 (en) | Improvements in/or relating to electrical switches | |
JP3401529B2 (en) | Push button switch | |
WO1995015000A1 (en) |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 |
JPH054668Y2 (en) | ||
JPH054670Y2 (en) | ||
JP2000003636A (en) | Limit switch | |
JPH0326590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083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2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111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4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3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83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5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6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7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88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0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0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1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2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