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0033Y1 - 스라이닥스 - Google Patents

스라이닥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33Y1
KR830000033Y1 KR2019810005463U KR810005463U KR830000033Y1 KR 830000033 Y1 KR830000033 Y1 KR 830000033Y1 KR 2019810005463 U KR2019810005463 U KR 2019810005463U KR 810005463 U KR810005463 U KR 810005463U KR 830000033 Y1 KR830000033 Y1 KR 830000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il
voltage
dax
prim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하
Original Assignee
장정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하 filed Critical 장정하
Priority to KR201981000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3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라이닥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권선도.
제2도는 동 결선상태를 보인 상세도.
본원 고안은 트랜스의 기원과 함께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온 스라이닥스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철심 코어에 1차로 경이적은 코일을 권선하여 피복체로 피복한 후 이를 다시 경이 굵은 2차코일로 권선시킴으로서 전압의 승하강폭을 최대한으로 넓게 함과 동시에 출력용량을 현재의 것보다 훨씬 높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스라이닥스는 규소강판을 원형으로 말아서 그 위에 코일을 권선한 후 코일면을 카본브러쉬가 접촉하여 전압을 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코어의 단면적과 코일의 회수에 따라 1회의 전압이 결정되며 이 회수의 변화에 따라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입력 110V일 때 300회의 코일을 감은 스라이닥스가 있다고 할때, 브러쉬가 200회에 머물러 있으면가 되며, 0회에 있다고 가정한다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변시켜 0V에서 ㅏ용 전압까지 변화시키게 하였고 더구나 종래에 주로 사용하던 것은 일정 전압에 고정시켜 ±10%20%인 80V120V까지 가변의 범주내를 사용하는 것이 통례였었다.
본원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코어(1)에 경이 서로 다른 코일(2)(3)을 1, 2차로 권선하되 1차로 경이 적은 코일(2)을 권선하여 1차코일단자 P1, P2를 형성한 후 피복체(4)를 개제하여 다시 경이 굵은 코일(3)을 권선하여 2차코일단자 S1S2를 형성한 것으로서, 도면중 부호 V는 브러쉬, P3은 1차코일의 접점단자이고, S3는 2차코일의 접점단자이다.
결선방법은 1차전압 110V일 경우 P1P2를 입력으로 하고, 100V일 경우 P3P2로 하며, 1차 2차 결선은 P2와 S1로 연결할 때 110-150V를 변화시킬 수 있고, P2P3를 연결할 때 90-130V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P2S2를 연결할 시는 70-110V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1차와 2차를 독립시키면 0-40V까지 변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은 0-사용전압(전체범위)를 쓰는 것이 아니라 사용범위가 100V일 때 100±20V를 쓰게 형성되며, 전류와 전력면에서 현재의 것보다 3배정도의 높은 이득을 가져오게 되는 것으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어떠한 기기에 전원 100V를 필요로 할때 결고 0-100V까지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소형의 스라이닥스에 대용량을 필요로 할 것이므로, 330° 정도의 코일을 0-120V를 감아 일부분만을 사용하던 것을 0-100(110)V를 1차로 권선하고 2차로 330°에 40V를 권선하여 결선방법에 따라 0-40V(독립전원), 80-120V등 5-6간지의 필요 전원을 결선하여 사용하게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330°의 회전각에 40V 정도의 회수를 감는 것으로 1차 권선수의만큼을 경이 굵은 선으로 권선함으로서 많은 전류와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대략 3배 정도가 된다. 그러면 여기서 전력의 증가가 얼마나 되는가 예를들어, 첨부도면 제2도에 의거 설명하면 즉, 입력 110V, 출력 0-140V, 최대전류 1A인 스라이닥스가 있다고 할때 이는 140VA의 최대축력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본원 고안의 스라이닥스는 입력 110V, 출력은 결선방법에 따라 0-40V(독립전원), 70-110V, 90-130V, 110-150V로 할 수 있으며, 최고출력 450VA로 종래의 것보다 거의 3배의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2차의 조정범위 0-40V는 현재의 140V까지 권선한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코일의 경의 굵기를 조정하여 보다 굵은 코일로 전면 300° 이상을 권선할 경우 위와 같은 전압 및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은 적은 용적으로 대용량의 전력을 발생시키고, 1, 2차를 분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형성하였으므로 트랜스와 병용하여 사용하던 번거로움이 없이 동일 출력에 비해 무게 역시 2배이상 가벼워짐으로 저렴한 가격의 것을 실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성이 있는 기기에 간편성을 부여한 경제성의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스라이닥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원형코어(1)에 굵기가 서로 다른 코일(2)(3)을 사용하여 중간매체인 피복체(4)를 개재하여 1, 2차 권선하거나, 1, 2차 분리하여 연속 또는 상하로 권선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라이닥스.
KR2019810005463U 1981-08-04 1981-08-04 스라이닥스 Expired KR830000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463U KR830000033Y1 (ko) 1981-08-04 1981-08-04 스라이닥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463U KR830000033Y1 (ko) 1981-08-04 1981-08-04 스라이닥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33Y1 true KR830000033Y1 (ko) 1983-01-25

Family

ID=1922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463U Expired KR830000033Y1 (ko) 1981-08-04 1981-08-04 스라이닥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6365A (en) Self-regulated transformer-inductor with air gaps
KR830000033Y1 (ko) 스라이닥스
US2804588A (en) Power supply apparatus
US2201642A (en) Inductive regulator for coarse and fine regulation
US2978628A (en) Constant d.-c. voltage output circuit
US3117292A (en) Smoothing filter having balancing means for compensating internal resistance of electrolytic capacitor
US1876427A (en) Electrical circuit regulating means
US1939435A (en) Photo-electric relay apparatus
CN216389040U (zh) 用于自耦电力变压器的绕组及自耦电力变压器
US1989501A (en) Control system
US2895563A (en) Electrical precipitator
JPS55106078A (en) Switching regulator
JPH0624171B2 (ja) 単巻変圧器
KR910002376B1 (ko) 변 압 기
JPS56157243A (en) Capacitor rectifying motor
US1180414A (en) Rectifier electric currents.
ATE85152T1 (de) Wickelstromwandler.
JPS5565414A (en) Transformer
SU817915A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тока в нагрузке,пиТАЕМОй OT иСТОчНиКА TOKA, и уСТРОй-CTBO дл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S5866534A (ja) 高圧電源装置
SU1134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вномерной нагрузки фаз в трехфазной сети
RU20061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ре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SU1163843A1 (ru) Электроодонтометр
JPS57167612A (en) Winding composition of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BE400749A (fr) Dispositif de compoundage et de limitation des surintensités pour appareils à décharge électrique contrôlé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