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2496Y1 -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 Google Patents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496Y1
KR820002496Y1 KR2019820007909U KR820007909U KR820002496Y1 KR 820002496 Y1 KR820002496 Y1 KR 820002496Y1 KR 2019820007909 U KR2019820007909 U KR 2019820007909U KR 820007909 U KR820007909 U KR 820007909U KR 820002496 Y1 KR820002496 Y1 KR 820002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s
frame
trough
half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러 블롬키스트 죤-에릭
미카엘 블롬키스트 에릭
Original Assignee
아베리키아 보륵스 브르크
죤-에릭 블롬키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베리키아 보륵스 브르크, 죤-에릭 블롬키스트 filed Critical 아베리키아 보륵스 브르크
Priority to KR2019820007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49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로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한 반쪽틀의 횡단면.
제3도는 버팀판의 투시도.
제4도는 보충케이블을 위해 여분의 블럭과 함께 장치된 튜브(tube)의 도시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는 끼워맞추는 여러 방법은 예시하기 위해 제1도에서의 B-B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8도는 압력판의 한 실시예의 투시도.
본 고안의 벽의 개구를 통한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로(transit)는 직사각형의 금속틀과 기준칫수의 패킹(Packing) 재료로 둘러싸여 있는 케이블들로 채워진 틀의 개구와, 패킹블럭(block)으로 형성된 패킹재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블럭의 열(raw) 사이에 삽입된 보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2,732,226호에도 나와 있으며, 그 명세서에 의하면, 틀은 주철과 같은 비교적 두꺼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블럭들이 벽 내부의 틀 통로의 전 길이에 연장할 때, 블럭들은 그 깊이 즉 케이블통과 방향으로 너무 큰 크기를 갖게 되어 있다.
그 틀은, 두께로 인해 통로 안에 있어서의 불에 닿지 말아야할 콜드사이드(cold side)에 많은 양의 열을 전달하게 되어서, 틀에 가장 가까이 있는 블럭들이 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러한 통로는 비교적 저급의 화재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만 사용된다. 그 통로는 또한 블럭이 어떤 경우에는 매우 큰 길이를 갖게 되어 그것에 대응하는 재료의 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화재안전을 위한 기준에 의하면, 통로의 콜드사이드는, 케이블이 그대로 이 콜드사이드에 있을 경우, 특정시간 경과 후, 특정 온도를 초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종래의 통로가 불길이 번지는 것을 막는 시간은 특히 랭커, 석유시추선, 발전소 등에 있어서의 통로에 관한 새로운 방화기준에 의한 요구조건과 비교하여 볼때 너무 짧다.
더우기, 그들은 비교적 큰 중량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운송시에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미 알려진 통로를 더욱 개발하는 일에 기초를 두어 보다 작은 중량과 제조에 있어 경제적 이점은 갖으면서 새로운 엄밀한 요구기준을 충족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는 본문의 서두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통로에 의해 해결되어지는데 이 통로는 벽의 개구의 바로 반대편면에 꼭 맞을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반쪽틀로부터 형성된 틀과, 비교적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벽에 수직으로 뻗어 있고 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금속판의 끝에 평향한 세로축을 갖고 있는 홈통형태의 부분을 포함하는 세개의 면을 가진 각 반쪽틀과, 각 반쪽틀의 바깥쪽 평면상에 밑이놓이고 금속판끝 근처에서 벽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상기 홈통형태의 부분과, 반쪽틀의 제4의 면은 통로의 블럭을 누르고 있는 최소한 하나의 압력판으로 구성되며 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끝부분을 따라 다른 세면의 홈통모양의 부분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기 금속판과, 각 반쪽틀의 개구가 블럭과 관통 케이블로 채워져서 주변블럭들의 적당한 면들이 상기 홈통의 밑부분과 맞물리게 된다는 것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어진다.
각 반쪽틀은 금속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통로보다는 매우 적은 양의 열이 전달된다.
반쪽틀의 제4의 면이 압력판에 의해 형성되고 반쪽틀의 개구가 블럭과 관통 케이블로 채워지면, 통로의 안전시간(Safety time)은 90분에서 120분 사이에 이르게 된다. 각 반쪽틀은 눌러진 홈통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블럭들은, 그 주위면이 상기 홈통부분 내면에 결속됨으로 해서, 고정된 위치에 머물게 된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의 한 변형에 의하면, 벽의 개구의 바로 반대편면에 꼭 맞을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반쪽틀에 의해 형성된 틀과, 비교적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벽에 수직으로 뻗어있고 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금속판의 끝에 평행한 세로축을 가지고 있는 홈통 형태의 부분을 포함하는 세개의 면을 가진 각 반쪽틀과, 각 반쪽틀의 바깥쪽 평면에 밀어놓이고 금속판 끝 근처에서 벽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상기 홈통형태의 부분과, 반쪽틀의 제4의 면은 다른 세면과 같은 형태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각 반쪽틀의 개구가 블럭과 관통 케이블로 채워져서 주변 블럭들의 각각의 면들이 상기 형상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홈통의 밑부분에 맞물리게 된다는 것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러한 변형에 따른 제4의 면이 전부 금속판으로 구성되면, 통로는 부어넣을 수 있는 재료로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안전시간은 6시간 연장되며 압력에 잘 견디는 단단한 통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로부터 보강판 또는 소위 버팀판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보강판은 틀내에 블럭열 사이에 놓이며 블럭들을 목적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고정되어 있고, 동시에 블럭들로 형성된 뭉치를 견고하게 한다. 이 버팀판은 매우 단단하고 휘어지지 않으며, 그것들이 블럭의 수평한 열과 어떤 각도를 이루면서 삽입되어야 만 꽉 맞게 된다. 통로의 상부에 있어서의 공간이 작으면 작을수록, 상기의 삽입은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더우기, 만일 이미 장치된 통로에 케이블을 추가하려 한다거나, 혹은 어떤 케이블을 교환하려 한다면, 상기 버팀판을 맞추거나 또는 벗긴다는 것이 큰 문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통로의 한 적당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보강판은 구부릴 수 있는 비교적 얇은 금속판의 버팀판으로 되어 있고, 그 끝에서는 홈통과 맞물리며 이 끝과 끝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는 그 버팀판에 수직인 양쪽방향으로 뻗은 태그(tag) 혹은 텅(tunge)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말미암아, 그 버팀판은 이미 장치된 케이블 사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것의 세로방향을 가로질러 구부리기만 하면 되며, 그후 다시 퍼져서 그 끝은 홈통부분과 맞물린다.
제1도는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서의 벽(11)의 양쪽 즉 케이블이 뻗은 방향 에서 취해진 본 고안에 따른 통로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통로는 두 개의 반쪽틀(15) 및 (16)(제5도)으로 구성되며, 한 반쪽틀(15)는 제1도에 보이고 있으며, 그 반쪽같의 밀면 및 두 개의 수직면은 금속판(1)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이 금속판은 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어서, 현재까지 사용해온 6-10mm의 두깨를 가진 틀과 비교하여 볼때, 낮을 열전도도를 가진다.
상기 각면은 벽(11)의 수직방향으로 뻗어있고 벽에 가장 가까운 끝에는 플렌지(flange)(2)가 부착되어 있어서 용접 또는 나사등으로 벽에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벽에서 가장 먼 부분에는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은 홈통모양으로 눌려진 부분(8)이 있고 이 홈통의 밑부분(9)는 각면의 바깥쪽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반쪽틀의 제4의 면에는, 강철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압력판(6)(제1도)이 있고, 그 끝부분은 위에서 설명한 몸통모양의 부분과 맞추기 위해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반쪽틀을 끝부분을 따라 연속적인 홈통이 형성된다. 제1도에 의하면, 판(6)은 나사(10)과 브라켓(brackets)으로 수직면에 부착되어지는데, 물론 다른 부착방법도 역시 가능하다.
실용적인 해결책으로서, 판(6)의 끝에 탄력성의 훅(hook)을 제공하여 수직면의 대응하는 부분과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판(6)은 어떠한 특정 압력에 견딜 필요가 없고, 단지 반쪽틀의 개구에 배열되어 있는 블럭들의 뭉치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케이블(5)는 반쪽틀(15)의 개구를 통해 지나가고, 각 케이블은 기준치수의 블럭(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블럭(3)은 통상의 방법으로 두 조각으로 나누어지며, 열을 받으면 팽창되어 화재에 의해 소실된 케이블의 빈틈을 메꿀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그러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은 내화성이 특별히 좋으므로, 통로의 총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개구 특히 그 상부에, 역시 패킹블럭(4)가 있는데, 관통구멍이 없으며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블록(4)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각 블럭은 둥근 스터드(stud)(4a)와 함께 형성되며, 얇은 벽의 튜브(13)은 양끝에서 이 스터드(4a) 위에 끼워진다. 이것은 블럭 뭉치 속에서 각 블럭 사이에 튜브를 요구되는 위치에 머물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튜브는, 금속 또는 장치된 통로(15),(16) 속에서 새은 열전도도를 갖는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만일 다른 케이블이 추가될 때에는, 상기 예비블럭에 적당한 크기의 구멍을 뚫어야 한다.
이때 상기 튜브는 케이블의 통과를 도와준다.
스터드(4a) 대신에, 튜브(13)을 블럭 안으로 끼우는 방법도 생각되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럭(3),(4)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레벨링(leveling) 블럭(18)이 압력판(6)에 가장 가깝게 삽입된다.
수직면에 가장 가까이 있는 블럭(3),(4) 및 레벨링 블록(18)의 수직면에 가까운 부분은 홈통 부분에 끼워져서, 요구된 위치에 고정되며, 블럭(3),(4) 및 레벨링 블럭(18)에 의해 형성된 팩을 견고하게 한다.
버팀판(7)은,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럭(3),(4)의 수평한 열들 사이에 끼워져서, 블럭(3),(4)를 틀내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버팀판(7)은 제3도에 예시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0.5mm 두께의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판의 끝은 홈통(8)에 맞도록 되어 있고, 양옆을 따라 태그 또는 텅(7a)가 제공되어 있다. 이것을 장치하면, 텅(7a)은 블럭(3),(4)를 제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것은 또한 레벨링 블럭(18)에도 적용된다. 버팀판(7)은 그것의 세로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비록 케이블이 이미 통로를 지나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어려움없이 그것을 끼워넣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통로를 설치하는 여러 다른 방법이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5도는 철강재의 선박의 간막이 벽에 설치된 반쪽틀(15),(16)의 통로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간막이의 개구는 충격의 집중을 피하기 위해 날카로운 모서리의 구석을 갖지 않으며, 또한, 분류기준에 의하면, 보강재(12)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이 보강재(12)는 통로에 있어서의 벽의 역할을 하며, 반쪽틀은, 필요한 통로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짧아질 수 있다. 제5도는 역지 튜브(13)과 함께 두 개의 예비블럭(4)를 보이고 있다. 각 반쪽틀(15),(16)의 플렌지(2)는 각각 보강재(12)에 용접된다. 케이틀이 틀의 개구를 통해 통과하고 상기 모든 구성소자가 제자리에 맞추어지고 나면, 틀 부분의 상측 열려진 부분을 통해 부어넣을 수 있는 재료로 통로의 빈틈을 채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재료의 밀로는 모든 빈틈을 반드시 채울 그런 정도여야 한다.
그 재료(14)는 다시 고칠 수 있고, 이성분형이 좋다.
그리고 적당한 열전도도를 가지면서, 화재시에 발생하는 온도에 잘 견디어야 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통로의 약간 변형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각 반쪽틀(15),(16)은 금속판(1)의 부분을 포함하는데, 그 금속판은 연장되어 제4의 면을 형성하고(도면의 상측), 반쪽틀의 나머지 세면과 유사한 배열을 하고 있는데, 그것의 바깥쪽 끝은 압력판(6)의 작용을 장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상부면은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렌지(2)를 역시 가지고 있고, 통로를 재료(14)로 채우기 위해서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구멍(19)를 가지고 있다. 제8도에 예시된 압력판(6)은 그 구멍을 통해 지나가는 나사(10)의 수단으로 상부면에 죄어져서, 그 홈통(8)은 수직면들의 홈통부분과 일치되어 블럭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제6도에 예시된 통로는 강철벽(11)에 부착되며, 보강제(12)의 외측에 놓인다.
한편 제7도의 통로는 콩크리트벽의 구멍을 통해 취해진 것으로, 예들들어 양 반쪽틀의 플렌지(2)는 상기 벽의 한쪽에 놓여져서 고정수단(도시 안됨)에 의해 그곳에 부착된다. 케이블에 통로 안에 놓인 후, 상기 설명된 부품과 함께 블럭들이 반쪽틀(15),(16) 내에 맞춰지고, 압력판(6)이 죄어져서, 통로는 이제 부어넣는 재료로 채울준비가 완료된다(만일 통로의 안전시간 문제 때문이 필요하다면).
각 반쪽틀(15),(16)의 제4면은, 이면을 완전히 덮는 금속판(1)의 연장에 의해 형성되며, 제6도 및 제7도에서의 변형된 실시예 대신에 반쪽틀이 완전히 단단하게 봉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럭(3),(4)의 패킹을 위해, 미합중국 특허 제1,465,263호에 설명된 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압력에 의해 단단한 통로를 얻을 수 있다.
원리적으로는, 각 반쪽틀은 쪽래의 통로 안에 포함된 틀을 대신할 수 있다. 지붕위에 단지 하나의 반쪽틀만 설치하면, 부어넣는 재료로 그것을 채우는 것이 또한 가능해진다.

Claims (1)

  1. 금속틀의 개구에서 케이블과 각 케이블을 둘러싸는 기준 치수의 블럭(3,4)과 그 블럭으로 형성된 뭉치를 보강하기 위해 블럭의 열(列) 사이에 삽입된 버팀판(7)을 수용하는 금속틀(15,16)로 구성된 벽속의 개구를 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에 있어서, 그 틀은 최소한 하나의 반쪽틀(15,16)에 의해 형성되고, 그 반쪽틀은 벽(11)의 개구에 반대방향으로 상기 벽의 한면에 부착될 수 있고, 각 반쪽틀은 비교적 얇은 금속판(1)으로 구성되고 벽(11)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홈통모양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최소한 세개의 면을 가지고 있고, 그 홈통부분은 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금속판의 테두리와 평행한 세로축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통부분이 금속판의 테두리 근처에서 벽을 향해 연장되어 그 홈통의 밑부분(9)은 각 금속판(1)의 바깥쪽의 한 평면상에 놓이고, 한편 반쪽틀(15,16)의 제4의 면은 통로(3,4) 내에 있는 블럭들을 누르고 있는 최소한 하나의 압력판(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력판(6)은 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테두리 부분을 따라 다른 세면의 홈통부분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각 반쪽틀(15,16)의 개구는 블럭과 관통케이블로 채워져서 그 주위 블럭들의 각면이 상기 형상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홈통(9)의 밑부분과 맞물리게 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KR2019820007909U 1982-10-08 1982-10-08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Expired KR820002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909U KR820002496Y1 (ko) 1982-10-08 1982-10-08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909U KR820002496Y1 (ko) 1982-10-08 1982-10-08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222 Division 1979-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496Y1 true KR820002496Y1 (ko) 1982-12-02

Family

ID=1922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909U Expired KR820002496Y1 (ko) 1982-10-08 1982-10-08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4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1195A (en) Lead-through for the fireproof disposition of electric cables through a wall
US5193714A (en) Modular vault for storage tanks
KR102694468B1 (ko) 벽을 통과하는 통로 용 트랜지션 및 모듈
KR820002496Y1 (ko) 벽을 관통하는 전기 케이블의 내화성 통로
EP0131030A1 (en) CASSETTE FOR THE CASTING OF A CONCRETE FRAME.
US5027571A (en) Frame for leading lines through a structural part
GB2203900A (en) Supporting electrical cable trays or trunking in a structural partition member
AT391301B (de) Brauchwasserspeicher
JP2554021B2 (ja) 容体の間仕切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容体の間仕切工法
DE3936003C2 (ko)
EP1213726A1 (en) End support system for a shipping container for nuclear fuel
JP2019039292A (ja) コンクリート製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101916628B1 (ko) 조립식 벽체 어셈블리
EP0612946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its
US695774A (en) Inscription-frame for monuments.
JPH0138195Y2 (ko)
CA131536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electrical busbar corner
CN217558099U (zh) 一种预埋模块化防火门门框
JP2752313B2 (ja) 遊水池装置
JPH022118B2 (ko)
JP2008095385A (ja) 溝蓋の取付構造
JP3396088B2 (ja) 船舶の区画貫通部における充填構造及び充填剤の充填方法
JP2553664Y2 (ja) 組立式浄化槽
CN207314585U (zh) 一种相邻墙板的连接节点
JPS6113098A (ja) 2重殻低温タンクの粒状パ−ライト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1008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19790004222

Filing date: 197911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1102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