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841B1 - 피아노용 건반(Key board) - Google Patents
피아노용 건반(Key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1841B1 KR820001841B1 KR7802405A KR780002405A KR820001841B1 KR 820001841 B1 KR820001841 B1 KR 820001841B1 KR 7802405 A KR7802405 A KR 7802405A KR 780002405 A KR780002405 A KR 780002405A KR 820001841 B1 KR820001841 B1 KR 820001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nk
- key
- keyboard
- rail
- pian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건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해머 위에 설치된 음향 발생기를 도시하는 제1도의 선 2-2에 따른 수직 단면도.
제3도는 하나의 흰 건반과 하부의 밸런스 장치 및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확대 수직 단면도.
제4도는 하나의 흰건반의 생크 또는 레버를 도시하고 이러한 생크 위에 설치되는 몇 개의 흰건반 캡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결합하는 검은건반 생크와 검은 건반 캡을 도시하는 제4도에 상응한 도면.
제6도는 건반의 외부부분 및 중간부분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제8도는 건반의 터치의 강약을 조정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제9도는 성형 장치의 블록 다이어 그램.
본 발명은 피아노용 건반 및 이와 유사한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소형 또는 스테이지 피아노는 직업피아니스트에 의해서 이곳에서 저곳으로 옮겨지며 동일한 정밀 악기가 매일밤 연주된다는 큰 장점을 지진다. 그러나, 이것은 피아노가 기계적 및 온도적 큰 충격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서, 피아노가 떨어지면 기계적 충격이 발생한다. 온도적 충격에 예로는, 피아니스트가 사막위에 있는 그의 자동차 트렁크속에 피아노를 넣어 운반한다고 가정하면 트렁크속의 온도는 93.4℃를 넘을 것이다. 그 후에 피아니스트가 공항에 주차하여 비행기를 타면 화물칸의 온도는 약-57.8℃가 될 것이다.
피아노는 상기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건반은 록뮤직 음악가들에 의해서 종종 수백만번 심하게 두들겨 져도 부서지거나 마모되지 않아야 한다. 더우기, 마모에 강해야 하며 생크의 외부부분이 두들겨질때 밸런스 레일을 튀어오르지 않게 하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건반이 잡음을 내지 않아야 한다. 케이스와의 마찰음 등이 없어야 연주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주음만이 들리고 연주자는 음악속에 도취된다. 여기에 언급된 이러한 요구는 전기피아노 뿐만 아니라 일반 피아노 및 본 발명의 건반이 사용되는 유사한 건반악기에서도 적용된다.
건반에서 요구되는 또 다른 것은 큰 정밀도로 신속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이 싸며 적은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악기에 88개의 키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각각의 키이에 대해서 몇초만 절약하면 된다. 키이가 악기로 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되고 교환 가능하며 그 전에 사용된 키이의 정확한 위치에 키이를 교환하는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은 중요한 장점을 지닌다.
건반은 연주자와 조율사에게 수십년간 목재 건반으로 잘 알려져서 일반적으로 같은 작동, 조립 및 해체가 이루어 졌다. 따라서, 예를들어 목재생크와 금속핀의 극심한 소음, 마모, 가격 및 다른 요소의 특성을 지니지 않고 슬로트가공된 생크속에서 상부로 돌출하는 핀이 제공된다. 슬로트 구성은 어떤 연속 또는 불연속도 만들지 않고 몇초내에 키이를 설치하고 제거하게 한다.
소형 전기 피아노의 특성은 가벼움에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견고하고 무거운 합판을 제거하는 것은 중요하며 무게를 감소시키고 가격을 낮추어야 한다.
물론, 건반은 연주자에게 좋은 느낌으로 잘 연주 되어야 한다. 연주자는 터치, 밸런스, 타력등에 관심이 높다. 터치에 대해서는, 여러 피아니스트 중 어떤 사람은 가벼운 터치를 좋아하고 다른 사람은 무거운 터치를 좋아하는 것과 같이 다른 요구사항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거의 비용을 더 들이지 않고 피아노의 터치를 작업자에 의해서 쉽게 변경되게 하는 것은 특수한 상인들을 만족시키게 중요한 것이다. 특히, 각각의 키이의 무게가 서로의 키이의 무게와 같아야 한다. 그래야 각각의 키이에서 같은 느낌 또는 터치를 갖는다. 이러한 터치는 목재건반의 터치와 비슷해야 한다.
합성수지, 금속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피아노 건반을 소개한 많은 수의 공지의 특허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피아노건반이 모든 제작자에 의해서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피아노건반은 주로 목재이다.
특히 생크는 목재를 켜서 만들어진다. 밸런스 핀과 안내핀은 단풍나무 부분 속에서 구동되는 강철부이며 생크속에 잡다하게 삽입되는 많은 부싱이 있다.
상기에 언급된 가격, 소음 및 여러가지 요소와 마찬가지로 마모도 문제이다.
본 발명의 건반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고급의 합성수지 피아노건반을 제공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참조번호(10)는 피아노 건반 및 그에 연결되는 피아노 타음 동작장치(액숀부)를 지니는 캐비넷 또는 하우징의 저벽부를 도시한다.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대형의 캐비넷의 경우일 수 있고 그 벽부분을 "소형"으로 부르는 전기기계식 피아노의 저벽부인 경우일수도 있다. 벽부분(10)은 합판이 바람직하다.
밸런스 레일 조립체(11) 및 가이드 레일 조립체(12)는 검은피아노 건반의 생크레버부(13) 및 흰건반의 생크부(14)를 구동가능하게 지지안내 하도록 벽부(10) 위에 부착된다. 생크부는 전기기계식 피아노 또는 통상의 음향 피아노의 액숀부분을 작동시키기에 적합하다. 도시된 구조에서는, 생크부는 해머(16)를 작동시켜서 기계-전기에너지 변환장치에 연결되는 진동음차를 지니는 전기 기계식 피아노의 음향 발생부(17)(제2도)를 때린다.
밸런스 레일 조립체(11)는 생크부(13) 및 (14)의 종 방향의 슬로트(19) 속에서 관통하는 합성수지제의핀(18)을 지닌다. 가이드 레일 조립체(12)는 생크부에 있는 종방향의 슬로트(12) 속에 연해있는 핀(20)을 지닌다. 하기에 상술한 특별한 재료, 크기, 공차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슬로트(19) 및 (21)내에 부싱을 설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타음동작이 극히 조용하고 수만번 강하게 때려진 후에서 잡음없이 연주된다.
밸런스 레일 조립체(11)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것은 단부가 인접하는 상태로 있는 다수의 분리된 축방향으로 인접한 긴 레일 요소(22)를 지닌다. 레일 요소(22) 및 밸런스 핀(18)은 서로 일체이며, 합성수지로 동시에 사출성형된다. 각각의 핀(18) 둘레에 레일(22) 위에 지지되는 것은 펠트 와셔(23)이며, 여기에 연결된 생크부(13) 및 (14)는 중앙부분에서 소음을 발생하지 않게 지지된다.
여러가지 레일 요소(22)가 건반의 전장으로 연속적으로 연해 있는 알루미늄 압출부재(보강레일)(26) 위에 설치된다.
제3도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부(26)는 상단부의 내측에 돌출되는 지지플랜지(28)와 일체의 측벽부(27)를 지니는 대량 채널형이다. 그와 같은 플랜지는 레일 부재(22)의 단부상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합성 수지 레일 요소의 단부는 각 레일의 중심부로 부터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채널형 압출부채(26)의 웨브는 벽부(10)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상기 벽부의 2개의 평행하게 가공된 채널(31)(32)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즉 키이(29)를 지닌다. 도시된 위치에서 모든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서 레일요소(22)는 상기의 압출부재에만 금속나사(33)(제1도)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 압출부재는 목재나사(34)를 시용하여 벽부(10)에 직접 고정된다. 목재나사(34)는 레일요소위에 위치하지는 않으나 레일요소의 큰 구멍 속에 그 헤드를 위치시킨다.
또한, 가이드 레일 조립체(12)는 가이드 핀(20)과 일체인 다수의 별개로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제의 가이드 레일요소(36)를 지닌다. 각각의 핀(20)은 그 주위에 펠트 와셔(37)을 부착하여 연결되는 생크부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측벽부(39)와 내부로 돌출하는 플랜지(40)를 지니는 상기 압출부재(26)와 유사한 알루미늄 압출부재(38)가 저부의 플랜지(41)와 그에 연결되는 밀링가공된 홈(42)(제1도)에 의해서 결정된 예정위치의 벽부(10) 위에 위치된다. 밸런스 레일 조립체의 경우와 유사하게, 레일요소(36)는 금속나사(44)(제2도의 좌측에 도시됨)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압출부재는 목재나사(45)에 의하여 고착되며, 목재나사의 헤드는 레일위에 있지 않고 상기 압출부재의 웨브위에 직접 위치된다.
검은 건반의 생크부(13)에 대응하는 밸런스 핀(18)은 흰건반의 생크부(14)에 대응하는 밸런스 핀에 대해서 엇갈려 위치된다. 따라서 검은 건반의 생크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핀(20)은 흰건반의 생크부에 대응하는 가이드 핀에 대해서 엇갈려 위치된다. 모든 경우에, 검은 건반의 핀은 흰건반의 핀의 내측에 위치된다. 더우기 검은 건반의 생크부의 외측단부는 흰건반의 생크부의 대응부분이 놓이는 레일요소(36)보다 낮은 부분위에 놓인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되듯이 레일요소(36)는 2개의 높이를 지니며, 즉 흰건반의 단부 하방에는 두꺼운 외측부분이 있고 검은건반의 하방에는 얇은 하측부분이 었다.
기술한 펠트와셔에 덧붙여서, 벽부(10) 위에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키이생크부의 내측단부의 하방운동의 소음을 방지시키게 완충용 펠트스트립(46)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피아노 액숀 장치에 있는 펠트재는 소음방지 작용을 하게 압축방향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강조된다. 어떤 슬로트에도 펠트가 배치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펠트는 마찰작동 되지 않게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펠트는 사용하는데 값이 비싸고 마모되며 붕괴되어 실제도 마찰작동중에 소음을 발생시킨다.
압출성된 금속채널(26) 및 (38)은 강도가 크며 하기에 설명되는 다른 압출부재와 결합하며 지지구조를 제공하도록 벽부(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양수인에 의해서 판매된 종래의 구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별개의 프레임을 설치하는 대신에 소형 피아노의 외벽 또는 가정용 피아노의 캐비넷부의 저벽부인 벽부(10)만을 사용하므로 실용적이다.
채널(26) 및 (28)은 모든 해머(16)에 대하여 구동가능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매우 강력하고 강성이 큰 피봇트레일(47)과 결합한다. 또한, 레일은 다수의 댐퍼 스프링(48)(제1도)을 지지한다. 피봇트 레일은 벽부(10)의 홈(51)에 위치되게 하방으로 돌출하는 플랜지(49)를 지닌다. 이러한 레일은 나사등의 고정부재(52)에 의해서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다른 압츨0부재(53)(제6도)가 상기의 압츨부재(26)(38)(47)에 대하여 직각위치관계로 벽부(10)의 각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압출부재(53)는 한방향으로 도시되며 동일한 하나가 건반의 타음부에 위치되며 음향 발생부(17)(제2도)의 그에 연결된 변환기와 지지구조부를 지니는 하프부에 대응하는 지지부를 제공한다. 또한, 단부의 압출부재는 벽부(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별개의 보강효과를 지닌다. 그 단부의 압출부재는 앵글부재이며 제6도에 (54)로서 도시된 볼트 또는 다른 적당한 고정구에 의해서 소정위치로 고정되어 있다.
키이생크(레버)(13) 및 (14)에 대해 설명하자면, 이들 생크부는 제4 및 5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각각은 단면 형상이 종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몸체부(55)를 지닌다. 각각의 몸체부(55)의 내측단부에는, 각각의 키이의 피아노 액숀부를 작용시키는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작동부(56)가 있다. 제2도에 도시된 형태의 액숀부에서는, 상기에서 지적된 바와 같은 부분(56)이 피봇트 가능하게 부착된 해머(16)의 하나의 돌출부와 결합하게 작용된다.
밸런스 레일조립체(11)의 상방의 그 중앙부분에는 각각의 생크부는 측방으로 두꺼운 부분(57)을 지닌다.또한, 부분(57)은 상방(생크부의 인접한 수평의 상부면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는 부분(57)의 상방의 돌기부를 형성한다. 제6도에 가장 잘 도시되듯이 각각의 생크의 웨브(55)는 상기에서 도시되듯이 촉이 좁기 때문에 큰 간격(59)이 측방으로 두꺼운 부분(57)의 내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부분(57)은 충분한 촉을 지니어(두꺼운곳이 두꺼워서) 이들사이의 간격(61)이 좁아지고 가까스로 인접하는 부분(57)의 대향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게 접촉하기에 충분치 않은 정도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생크부(13) 및 (14)가 구조용 발포성 즉, 생크부(13) 또는 (14)에 대응하는 공통을 형성하는 형태를 지니는 주형내에서 냉각되는 일부 발포제의 합성수지로 부터 하나씩 성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포량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그 결과 얻어지는 발포제품은 목재의 키이의 생크부를 형성하도록 종래에 사용되었던 목재(슈가파인 또는 참피나무)의 밀도보다 큰 밀도를 지닌다. 합성수지는 생크부의 크기의 안정도 및 강도를 매우 증가시키는 짧은 유리섬유도 포함한다.
유리 섬유를 포함한 합성수지는 제9도에서 번호(65)의 블록형태로 도시된 압력실 속에서 열 및 압력하에 있도록 미리 발포된다. 그다음 밸브(65a)를 열어 가열 가압된 발포성 수지를 주형의 공동(65b)속으로 사출시키고 팽창시킨다. 압력실(65)은 압력을 증가시키는 피스톤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주형내에서) 냉각이 행하여 지며 생크부에 두께 약 0.76 내지 1.27mm의 피복이 형성된다.
상기 주조공정중에 슬로트(19) 및 (21)가 형성되기 때문에 피복부가 이러한 슬로트의 벽부에 존재한다. 따라서, 슬로트의 벽부(및 생크부의 외측의 모든 부분)은 매끄럽고 구멍이 없으며 비교적 경하다.
몸체부(55)는 전장의 대부분에서 폭이 좁고 그 사이에 큰 간격(59)이 있으며 생크부(13)(14)의 중량은 관성효과가 유사한 종래의 목재의 건반의 중량에 매우 가깝다. 각각의 생크부와 이에 연결되는 캡의 중량은 종래의 목재의 건반에 있어서 각각의 건반의 중량의 50%이상 초과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건반에 사용된 구조용 발포수지의 밀도는 약 0.32g/cm3이상이며, 그 이상으로 큰것이 (예를들어 약 0.40g/cm3이상) 바람직하다. 종래의 목재 건반에 사용된 참피나무 및 슈가 파인(sugar pine)은 약 0.32-0.40g/cm3의 밀도를 지닌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관계 때문에 본원은 약 0.48g/cm3이상의 밀도를 지니는 발도성 수지를 사용하여 과도하게 무겁지 않은 건반을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생크 제조용에 바람직한 합성수지는 부분 발포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ABS(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덴)이다. 유리 섬유는 약 10-15중량% 함유하며, 약 6.35mm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으로 두꺼운 생크부(57) 및 그 사이에 좁은 간격(61)의 존재로 인하여, 인접한 생크부는 서로에 대한 보강작용을 지니며, 피아노를 떨어 뜨리거나 가혹한 상테로 취급될때 벨런스핀(18)의 과도한 굽힘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작용은 인접한 물품이 역전되지 않고 서로를 지지하여 도미노 효과에 반대된다 하더라도 "도미노 보강효과"로 칭한다.
제7도에서는, 피아노의 최저음의 키이 다음의 키이의 생크부가 그 부분(57)이 인접단부(57)와 접촉할때까지 좌측으로 굽혀진다. 연결된 핀(18)의 만곡은 인접부분(57)에 접촉하는 정도이며 양쪽의 핀(18)(제7도의 좌측에 도시됨)은 그 이상으로 굽혀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응력이 최대한에 달하고, 제7도의 최좌단의핀(18)의 부분(57)이 압출부재(53)에 볼트로 체결된 정지볼록(61)가 접촉할때까지 굽혀진다. 부분(57)의 상향으로의 장력은 그 도미노효과를 조장하여 비교적 적게 굽혀져 접촉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핀(18)은 강성보다는 탄력성을 지니며 피로에 대한 저항, 감음효과 및 높은 강도등의 이유로 큰 직경을 지닌다. 상기와 다른 중요한 요인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각각의 생크부(13) 및 (14)의 외측단부에는 연결되는 키이 캡이 있으며, 이것은 조립하는데 신속하게 자기위치를 결정하도록 큰 강도를 지니게 구성되어 있다. 초기에는 제5도에 도시된 검은 건반의 생크부(13)에서 외단부의 몸전체(55)는 가이드 핀의 슬로트(21)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벽부의 촉에 대하여 두께가 대략 일치하는 측방의 요홈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서, 슬로트(21)가 생크부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하기 때문에 슬로트의 내측 및 외측에는 폭이 좁은 생크부(63) 및 (64)가 위치된다. 중공의 검은 캡은(66)으로 도시되며 그 내측은 좁은부분(63) 및 (64) 위에 적당히 결합되는 형태를 지니고, 또한 그 상부에서 슬로트의 측부를 개폐시킨다.
제5도에 있어서 (67)로서 도시되듯이 키이 캡(66)의 내측은 가이드 핀(20) 방해하지 않도록 슬로트(21)에 비교적 넓게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검은건반을 조립하는 작업은 우선 생크부, 즉 키이 레버부(13)를 주조하고, 다음에 적당한 접착제를 생크부의 전단부에 바르고 키이 캡(66)의 외단부가 좁은부분(64)의 수직방향의 정지면(68)에 접촉하는 위치에 놓여서 완료된다.
제4도에는, 흰건반의 생크부(14)의 외측 또는 전단부는 특별한 형성을 유지할 필요는 없으나 도시되는 것과 같은 장방형이다.
이러한 각각의 전단부는 여러가지의 흰건반 캡(71)의 적당한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흰건반 캡은 중공이며 적당한 지점에 내측의 리브 또는 돌기(76)를 지니며, 따라서 접착업중에 키이 캡의 생크부(14)에 대하여 완전한 위치를 결정하는 작용이 자동적으로 행하여 진다. 내측의 리브(76)는 생크부의 몸전체(55)가 비교적 폭이 좁으나 이와 같이 위치를 결정하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로 얻어지는 검은 건반과 흰건반의 조합은 록뮤직등의 연주자가 요망하는 것과 같이 매우 견고하다.
이렇게 견고한 이유중의 하나는 각각의 생크부가 연결되는 키이캡의 전단부까지 연장하는 결과로 강도가 슬로트(21)를 지나 연장하는 가이드 핀(20)으로 부터 얻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피아노 건반은 상기와 같이 우수하고 균일한 터치, 간단한 구조, 제조상의 경제성이 있고 소음이 적고, 강도가 높으며 수명이 긴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모든 장점은 연주자 및 조율사가 익숙하지 않은 스프링, 금속을 굽힌 횡거, 기타의 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달성된다. 따라서, 예를들어 종래의 목재 피아노 액숀부는 밸런스핀과 가이드핀을 지니며 필요에 따라서 단지 덮개와 레일을 제거한 다음 핀으로 부터 키이를 들어올려서 키이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점은 본 발명의 건반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더우기, 이러한 건반에서는 작업자가 전체의 키이에 번호를 붙여서 전체를 정확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었다. 그 대신에, 상기에서와 같이 모든 검은건반은 교환성이 있고 동일한 형태의 키이 캡을 지니는 흰건반도 모두가 교환성이 없다.
종래의 피아노 건반에 있어서는, 밸런스핀과 가이드 핀은 단풍나무 목재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핀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금속제의 밸런스핀은 약 3.18mm 내외의 직경을 지니나, 각각의 가이드 핀은 보통 수평단면이 긴 원형이다. 예를들어, 가이드핀의 건원형의 수평단면은 짧은 직경이 약 3.3mm, 긴직경이 약 5.3mm이다. 가이드핀의 단면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긴원형이기 때문에 피로상태를 보상하도록 회전될 수 있도록 긴 직경은 피로상태가 증가될수록 키이의 생크부에 어렵게 접촉되는 슬리이브 또는 부싱내에 있다.
본 발명의 건반에 있어서, 밸런스핀(18)은 각기 약 6.35mm의 직경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한 큰 직경의 원통이다. 다시 말하면, 그 연통은 직경이 약 6.35mm인 것이 좋다. 가이드핀(20)은 직경이 약 4.57mm인 것이 좋고, 이것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긴원형의 가이드핀의 최대직경의 약 90%이다. 본 발명의 가이드핀(20)은 원통상으로 하방의 매일과 일체구조(밸런스핀(18)과 동일함)로 되도록 회전될 필요는 없다.
가이드핀과 밸런스핀은 빛이나게 다듬어지며 시판되는 ABC(아크릴모니트릴-부라디엔-스티렌) 수지로 부터 형성되는 것이 좋다. 델린(Delrin) 같은 값비싼 플라스틱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핀은 특히 그 큰 직경으로 강하다. 이러한 핀은 의성이 없고 탄력성이 풍부하며 큰 충격에 대한 저항력과 저음성을 지닌다. 상기의 반대의 도미노 효과는 상기의 탄력성으로 부터 발생되는 좋지 않은 결과를 억제시킨다.
핀이 그와 연결되는 부싱이 없는 슬로트(19)(21)내에 밀접하게 결합되는 것이 중요하다. 생크부가 플라스틱 또는 목재 대신에 구조용 발포수지로 부터 형성되어서 소음이 감소되기는 하나 큰 공차는 케이스와 접촉하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각각의 핀과 슬로트(19)(21)의 인접한 촉벽부 사이의 각각의 촉부의 간격은 대략 수천분의 1인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핀 (18)의 직경은 약 6.35mm이다)에서는 약 6.60mm이며, 가이드 핀의 슬로트(21)는 본 실시에(핀(20)의 직경은 약 4.75mm이다)에서는 약 4.88mm이다. 슬로트(19)(20)는 핀이 결코 그 단부를 접촉하지 않기에 충분한 거리를 지닌다. 슬로트(19)의 저벽에는 하기와 같이 중요한 적은 공차의 구멍이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는, 합성수지의 밸런스 레일요소(22)와 가이드 레일요소(36)는 압출부제(26)(38)의 벽부(10) 위에 부착시키기 전에 상기 압출부재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금속제의 나사(33)및 (44)(제1도)를 사용하여 상기 레일과 그에 연결된 핀을 소정위치에 유지시키며, 펠트 와셔(23) 및 (37)를 각각의 핀 위에 놓이게 한다. 압출부재를 그 벽부(10) 위에 각각의 슬로트에 부착시킨다. 다음에는 모든 결합부를 사용하는데 단순히 각각의 검은건반의 생크부와 흰건반의 생크부를 각각의 핀위에 놓는것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피아노의 모든 "C"음 키이에 대한 생크부는 동일한 그룹으로부터 나올수 있기 때문에 생크부를 상호 모두를 연관시키는 작업은 필요 없다.
조립작업을 완성하기 위하여, 미리 모든 해머(16)와 댐퍼스프링(48)을 조립하여서 압출부재(47)를 홈(51)에 부착시키는 고정구(52)로 고정시킨다. 단부압출 부재(53)를 소정위치에 부착시키고 모든 음향발생부(17)(제2도)를 지니는 하프부를 소정위치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키이는 상당한 정도의 피로, 소음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수백만번이라도 다음 조작이 가능하다. 액숀부의 조용함은 놀랄만하며 터치와 감촉이 우수하면 상기와 같이 종래에 사용된 목재의 경우보다도 발포성수지의 밀도가 크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목재의 액숀부와 거의 동일하다.
액숀부는 그 장점중 하나로서 키이가 연주자에 의해서 힘을 주는데 급속하게 두드러지는 경우에도 키이가 밸런스레일의 와셔(23)로 부터 상부로 떠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생크부를 와셔에 대해 하향으로 누르는 어떠한 수단(예를들면, 고정결합시키는 지지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생크부가 밸런스 레일에 대하여 상방으로 떠오르는 경향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점은 생크부의 하부면에 절삭가공된 견고한 지지노치 위에 설치된 종래의 구조와는 대조적이다.
통상적으로는, 한대의 피아노는 주로 한 사람의 연주자에 의하여 연주된다. 이것은 직업적 연주자용 피아노에서 뿐만아니라 1사람이상의 사용자에 의해서 널리 사용되는 예의적인 가정용 피아노의 경우에도 적당하다. 한사람의 연주자는 보통 건반이 가볍고 터치가 비교적 무거운 터치를 지니는 것을 특히 좋안한다. 본 발명의 건반은 어려움 없이 그리고 특히 제조비를 증가시키지 않고 피아노 판매인과 가정에서의 연주자를 위해서도 터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비용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경우는 제1도 및 8도에 도시된 여분의 홈(32)을 설치하는 경우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가벼운 터치를 위하여 조립된 피아노가 도시된다. 이러한 터치는 생크부가 목재의 생크부보다 무거운 대도 불구하고 가볍다. 이러한 키이의 레버부의 전방부가 비교적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압출부재(26)의 플랜지(29)는 연주자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측하는 레버 아암이 길도록 최후방에 가공된 홈(31)에 배치된다.
특히 제8도에 있어서는, 밸런스 핀(18)에 대하여 각각의 슬로트(19)가 키이의 긴 방향으로 명백하게 연장되며, 그 연장 정도는 설정이나 연주에 관계하지 않고 언제나 핀(18)의 슬로트의 단부에 충분히 닿지 않는 길이이다. 슬로트(19)의 저부는 수평으로 생크부의 하부면과 평탄한 벽부(19)를 지닌다. 이러한 벽부는 구멍의 공차가 적은대도 체결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특히 얇은것이 바람직하다. 벽부(79)에는 2개의 원형의 구멍(80)(81)이 있으며, 각각의 구멍은 체결되지 않게 핀(18)을 충분히 수용하도록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핀은 약 6.35mm의 직경을 지닌다.
구멍(80) 및 (81)은 명확히 차이나는 터치를 발서시키기에 충분하게 키이의 긴 방향으로 상호 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핀(81)은 한 구멍에서 다른 구멍으로 변위될때 구멍사이의 간격이 예를들어 약 9.53mm을 넘지 않더라도 터치는 큰 비율로 변화한다
2개의 홈(31) 및 (32)은 구멍간격,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약 9.53mm로 동일한 거리로 상호 떨어져 있다. 더우기, 홈(31) 및 (32)은 구멍(80)(81)에 대해 수직위치관계를 이루도록 위치되며 그 결과 홈(31) 및 (32)의 어느곳에 플덴지(29)가 위치되는 가에는 무관하게 흰건반 또는 검은건반의 생크부가 전체의 도면에 도시되듯이 모두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항상 구멍(80) 또는 (81)이 위치된다.
예를들면, 악기가 도시되듯이 구성되어 구성되어 판매 업자의 진열실에 전시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특정의 고객이 무거운 터치를 좋아한다고 말하면 판매업자는 이러한 터치를 수분내에 성취시킬 수 있다. 이것은 액숀부와 건반의 덮개 및 레일(도시안됨)을 제거하고 모든 키이를 그와 연결된 밸런스레일과 가이드 레일로 부터 떠오르게 키이를 들어올린 다음 편리한 장소에 놓아 두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키이를 순서대로 유지할 필요는 없다. 그 다음에는, 비교적 적은 숫자의 목재나사(34)를 제거하고 압출부재(26)의 플랜지(제8도)가 홈(31)으로 부터 홈(32)으로 이동시키도록 단지 압출부재(26)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압출부재는 제8도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에는 모든 키이를 레일상에서 신속하게 복귀시켜서 핀(18) 이 구멍(81) 대신에 구멍(80)에 삽입되게 한다.
그 다음에 필요한 것은 덮개를 키이위에 덮고 터치가 실제로 변경되어 무거워 졌다는 것을 고객에게 알려주면 된다.
Claims (1)
-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측단부에 흰키이캡과 검은키이캡을 설치한 다수의 긴 키이생크부를 지니며 키이생크부는 중간부분에 종방향의 슬로트(19)를 지니고 밸런스레일(22)은 키이생크부의 중간부분 아래에 위치되고 다수의 밸런스핀(18)을 지니며 각각의 밸런스핀은 키이생크부가 중간부분 주위에서 수직 평면으로 제한되어 피봇트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키이생크부의 종방향의 슬로트 속에서 상부로 연장하게 구성된 공지의 건반악기에 있어서, 각각의 키이생크부(13)(14)는 매끄럽고 단단한 외피를 지니는 견고한 구조용 발포수지로 구성되며 이러한 발포수지는 최소한 0.32g/cm3의 밀도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용 건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405A KR820001841B1 (ko) | 1978-08-07 | 1978-08-07 | 피아노용 건반(Key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405A KR820001841B1 (ko) | 1978-08-07 | 1978-08-07 | 피아노용 건반(Key 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1841B1 true KR820001841B1 (ko) | 1982-10-13 |
Family
ID=1920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405A KR820001841B1 (ko) | 1978-08-07 | 1978-08-07 | 피아노용 건반(Key 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18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86646A (zh) * | 2018-03-26 | 2020-11-03 | 雅马哈株式会社 | 键盘装置 |
-
1978
- 1978-08-07 KR KR7802405A patent/KR820001841B1/ko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86646A (zh) * | 2018-03-26 | 2020-11-03 | 雅马哈株式会社 | 键盘装置 |
CN111886646B (zh) * | 2018-03-26 | 2024-03-29 | 雅马哈株式会社 | 键盘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05746A (en) | Keyboard construction for pianos | |
US5600077A (en) | Damper mechanism provided in a grand piano | |
US2117002A (en) | Keyboard for musical instruments | |
JP2743862B2 (ja) | 鍵盤楽器 | |
US10762884B2 (en)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and keyframe front for keyboard instrument | |
US2641153A (en) | Hammer action for musical instruments | |
US5866831A (en) | Simulated piano a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 |
KR820001841B1 (ko) | 피아노용 건반(Key board) | |
US5313867A (en) | Glockenspiel equipped with hammer heads different in hardness for changing tone color | |
US2474462A (en) | Musical instrument | |
US4308783A (en) | Keyboard construction for pianos | |
JPH0990938A (ja) | ピアノ用ハンマーおよびその成形方法 | |
US20180233115A1 (en) | Fully tempered duplex scale | |
EP1770683B1 (en) | Bat for upright piano | |
US8143506B2 (en) | Hammer assembly for grand piano | |
US4306483A (en) | Damper assembly for pianos | |
JPH0581895U (ja) | 鍵盤式音板打楽器 | |
JPH07210148A (ja) | 鍵盤楽器の鍵盤支持構造 | |
US7687692B2 (en) | Hammer shank and shank butt for piano | |
JP4572092B2 (ja) | 音色変更装置、及び、音色変更装置を備えたピアノ | |
US3255657A (en) | Piano frame and bridge bar therefor | |
US6348645B1 (en) | Damper for grand piano | |
JP4429690B2 (ja) | ピアノのハンマー | |
US2845829A (en) | Key action for musical instrument | |
US1151790A (en) | Toy pian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