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691B1 - Pressure limiter-regulator - Google Patents
Pressure limiter-regu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1691B1 KR820001691B1 KR7901001A KR790001001A KR820001691B1 KR 820001691 B1 KR820001691 B1 KR 820001691B1 KR 7901001 A KR7901001 A KR 7901001A KR 790001001 A KR790001001 A KR 790001001A KR 820001691 B1 KR820001691 B1 KR 820001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conduit
- regulator
- elastic means
- spin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limi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예시한 압력 제한 조절기의 유체 동력학적인 토오크 콘버어터(torque converter)를 예시한 도면.FIG. 2 illustrates a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of the pressure limit regulator illustrated in FIG.
본 발명은 압력조절작용과 압력제한 작용을 할 수 있는 반동식(反動式)요소로서 한개의 탄성 수단을 사용한 압력제한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limiting regulator using one elastic means as a reaction element capable of acting as a pressure regulating and pressure limiting.
유압회로의 압력치를 일정치에 있도록 제어하고 한정시킬 수 있는 장치는 여러가지가 이미 공지의 사실로 되어 있으며, 유압회로의 압력을 제어하고 이 압력을 소요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타 장치도 이미 공지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두가지로 구별되는 장치들은 각각 유압회로에서 분리되어 있고 도관(duct)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들 장치들은 각각 반동요소로서 탄성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압력을 미리 정한 수치로 한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대체로 도관의 중심에 있는 받침자리에 대하여 보올(ball)을 탄성수단에 의해 밀어넣게 되어 있다. 유압회로를 파손시킬 정도로 이 도관내의 압력이 미리 정한 수치를 초과하게 되면 보올은 탄성수단을 밀어넣어 기름이 격실(chamber)을 통과하게 되므로 기름은 다른도관을 통하여 격실을 나가서 유압회로 탱크로 연결된다. 압력조절장치에 있어서 대체로 중앙스핀들(spindle : 축)은 유압회로의 압력의 작용을 받아 한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탄성수단의 작용을 받게 되면 반대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스핀들은 이들 두가지 반대되는 작용을 받으므로 계속 평형을 취하게 된다. 이 중앙스핀들에는 여러개의 쇼울더(shoulder : 어깨)가 있어서 옆으로 움직이게 되면 스풀(spool : 실감개)과 같이 작동하게 되어 구멍(port)을 폐쇄 또는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스풀은 다소간가압기름이 통과하는 입구를 조절하여 가압기름이 도관출구속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들두가지 형의 장치들은 각각 탄성수단으로 된 두개의 몸체를 활용한 것이다. 만일 유압회로가 유압식 차단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면 각 장치에는 탄성수단을 설치할 수 있을만큼의 내경(bore) 1개와 하우징(housing : 껍데기) 1군데가 필요하게 된다.Various devices that can control and limit the pressure value of the hydraulic circuit to a certain value are already known facts, and other devices that can control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circuit and adjust this pressure to the required values are already known. It is supposed to be. These two distinct devices are each separated from the hydraulic circuit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ducts. Each of these devices uses elastic means as the reaction element. In a device for limiting the pressure to a predetermined value, a ball is pushed by the elastic mea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in the center of the conduit. If the pressure in this conduit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enough to break the hydraulic circuit, the bowl will push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oil will pass through the chamber. . In the pressure regulating device, the central spindle generally moves to one side under the action of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circuit and moves to the opposite side under the action of the elastic means. The spindle is therefore counterbalanced by these two opposing actions. These central spindles have multiple shoulders (shoulders) that move sideways to act as spools, closing or opening the ports. This spool thus regulates the inlet through which the pressurized oil passes somewhat, allowing the pressurized oil to pass through the conduit outlet. These two types of devices each utilize two bodies of elastic means. If the hydraulic circuit forms part of the hydraulic interruption, each device requires one bore and one housing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astic means.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히 단순한 조립물로 된 단일 압력제한 조절기를 구성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는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몸체내에서 스핀들이 활동(滑動)하게 하여 스풀로 작용되도록 한 것이다. 이 스핀들은 두개의 쇼울더를 구성하며 옆으로 이동하며 되면 다소간 스풀로서 작용토록하여 유체가 들어가고 나오는 구멍을 폐쇄시키고 개방시키게끔 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a single pressure limit regulator in a particularly simple assembly. The pressure limi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in which the spindle is activated to act as a spool. The spindle consists of two shoulders, which move sideways to some extent act as a spool to close and open the fluid in and out holes.
더우기 출구를 통하는 유체는 스풀 한쪽끝에 작용하며, 다른쪽 스풀끝에는 탄성수단을 작동시키게끔하여 출구의 유체압력에 미치는 반작용을 평형화시키게끔 한 것이다. 다른쪽 끝에 있는 탄성수단은 공급회로의 2차 입구 도관에 있는 밀폐요소에 작용하게 된다. 단일 탄성수단과 밀폐요소로 구성되는 격실은 대기 또는 탱크 복귀 도관과 통하게 된다.Moreover, the fluid through the outlet acts on one end of the spool and the elastic means actuates on the other end of the spool to balance the reaction to the fluid pressure at the outlet. Elastic means at the other end act on the sealing element in the secondary inlet conduit of the supply circuit. The compartment consisting of a single resilient means and a sealing elemen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tmosphere or tank return conduit.
본 발명에 있어서 단 한개의 스프링을 단일 탄성수단으로 사용하며 밀폐요소로는 보올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가 유체동력학적인 토오크콘버어터와 자동차의 기어 박스(gear box)의 윤활계통의 결정된압력치에서 급송(feeding)에 적용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한가지 장점으로는 압력제한조절기가 두개의 유압기능을 가지며 평형용의 단일 탄성수단을 가진 단일장치에 결합시킨 것이며 단 한개의 급송도관과 단 한개의 탱크복귀 도관만 있으면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압밀폐 부분으로서 압력제한조절기가 한 개의 단일 내경만 있으면 되고, 밀폐구조를 구성시킬 때는 한개의 단일 머시닝헤드(machining head)만 있으면 된다. 더우기 전술한 탄성 수단에 대하여 단 한개의 단일 탄성수단과 단일 하우징만 있으면 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를 단일 하우징의 급송부에 연결하게 되면 유체동력학적인 토오크 콘버어터를 보호해주게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spring is used as a single elastic means, and the sealing element uses a bowl. It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ure limit regula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pplied to feeding at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of the lubrication system of the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and the gear box of the motor vehicle.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pressure limiting regulator has two hydraulic functions and is combined in a single device with a single elastic means for balancing, and only one feeding conduit and one tank return conduit ar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limiting regulator needs only one single inner diameter as the hydraulic sealing part, and only one single machining head is required when constructing the sealed structure. Furthermore, only one single elastic means and a single housing are required for the aforementioned elastic mea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limiting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eeding part of a single housing, it is intended to protect the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하기로 한다. 제1도의 종단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압력제한 조절기는 몸체(1)에 중앙내역을 구성시키고 이 내경속에 다섯개의 격실(2, 3, 4, 5, 6)을 구성하며 4개의 베어링면(7, 8, 9, 10)을 또한 형성시킨다. 중앙도관(11)을 중앙 내경에 통하도록 구성하고 도관(32)을 통하여 격실(3)을 출구도관(15)에 연결시킨다.도관(12, 13, 14)를 통하여 격실(4)을 도관(11)에 연결시키며 도관(16)은 격실(5)을 빠져나가게 한다. 도관(17)과 탄성이 있는 노즐(18)을 통하여 격실(6)과 격실(5)을 통하게 한다. 이들 각기 상이한 도관들은 구멍을 뚫은후 플러그(19, 20, 21, 22, 23, 33, 34)를 사용하여 밀폐시킨다. 도관(11, 15, 16)에 나사선을 형성시켜 유체입구와 출구파이프를 고착시키도록 한다. 원추형의 베어링면(24)을 구성하여 중앙도관(11)과 격실(2)을 연결시킨다. 중앙내경속에 보올(25), 스프링(26) 및 스핀들(27)을 구성시킨다. 보올(25)는 한쪽편의 보올(25)에 있는 스프링(26)과 다른쪽편의 스핀들(27)에 있는 스프링(26)의 작용을 받아 원추형 베어링면(24)에 밀착된다. 따라서 이 보올(25)의 작용은 도관(11)과 격실(2)사이의 연결부분을 밀폐시키는 것이다. 스핀들(27)에 두개의 쇼울더(28, 29)를 구성하여 베어링면(8, 10)내에서 이동이 되게한다. 쇼울더(28, 29)는 스핀들(27)이 이동할때 다소간 격실(4, 5)의 구멍을 밀폐 또는 개방시킨다. 플러그(30)는 중앙 내경을 밀폐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는 다음과 같은 조절작용을 한다. 정지상태에서 압력이 공급회로에서 0이 되면, 즉도관(11)과 도관(12, 13, 14)의 압력 0이 되면 한쪽에 있는 단일스프링(26)은 보올(25)을 원추형의 받침자리(24)에 눌러 붙이고 다른 쪽에서는 스핀들(27)을 플러그(30)에 대하여 밀어 붙인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illustrated i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he pressure limit regulator constitutes a central portion in the body 1, and five
유압식 공급회로가 작동상태에 있으면, 다시 말해서 이 회로내에 압력이 걸리게 되어 도관(11, 12, 13, 14) 격실(4, 5) 및 출구도관(16)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게 되면, 중앙 스핀들(27)은 두가지 반대방향의 힘의 작용을 받게 된다. 즉 한쪽에서는 스프링(26)에 의한 힘을 받으며 다른 쪽에서는 스핀들(27)의 끝에 격실(6)내의 압력에 의한 힘을 받는다. 격실(6)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스프링(26)의 힘보다 커지게 되면 중앙 스핀들(27)은 이동하여 기름통로(31)를 조절한다. 따라서 이 통로(31)를 통하는 하방향쪽의 압력은 감소하게 되어 스핀들(27)에 작용하는 격실(6)내의 압력에 의한 작용이 감소되며 스프링(26)의 작용을 받게되면 이 통로(31)의 압력은 증가된다. 따라서 출구 도관(16), 도관(17) 및 격실(6)내의 압력은 스프링(26)과 스핀들(27)의 쇼울더(29)의 표면적에 따라 달라진다. 이 장치의 출구쪽에 나타나는 조절된 압력은 다음식으로 나타낼수 있다. 즉, 스프링힘=조절된 출구압력×스핀들(27)의 쇼울더(29)의 표면적.When the hydraulic supply circuit is in operation, in other words, pressure is applied in the circuit and fluid moves through the conduits (11, 12, 13, 14) compartments (4, 5) and outlet conduits (16). (27) is subject to two opposite forces. That is, one side receives the force by the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는 또한 다음과 같은 제한 작용을 하고 있다. 즉, 정지상태에서 공급회로, 즉 도관(11)내의 압력이 0이 되면 스프링(26)이 보올(25)을 눌러서 받침자리(24)에 들어가도록 한다. 도관(11)내에 압력이 생겨 미리 정해진값 이하로 되면 보올(25)은 받침자리에 그대로 있게 되어 계속 도관(11)을 밀폐시킨다. 도관(11)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게 되면 보올(25)는 받침자리(24)로부터 떨어져 격실(2)의 도관(11)과 탱크 또는 대기와 통하여 있는 도관(15)을 연결시키게 되므로 도관(11)내에 압력강하가 일어난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압력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The pressure limi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following limiting effect. That is, when the pressure in the supply circuit, that is, the
스프링(26)의 힘=도관(11)내의 압력×받침자리(24)와 접해있는 보올(26)의 접촉원의 표면적Force of the
본 발명에 의한 압력제한 조절기의 적용예는 제2도에 있는 바와 같다. 전술한 바 있는 압력제한조절기(101)를 유체동력학적인 토오크 콘버어터(140)의 공급도관과 연결시켜 조절기(101)의 공급도관(111)속으로 통하여 있는 도관(142)을 통해 펌프(141)가 유체를 공급한다.도관(143)은 조절기(101)의 출구도관(116)와 콘버어터(140)를 연결한다. 이 콘버어터에는 유체출구가 있어서 탱크(145)로 되돌아가는도관(144)과 연결되어 있다. 복귀도관(144)에 노즐(146)을 구성시켜 콘버어터(140)의 출구에서 소요의 유속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여 구성된 압력제한조절기(101)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압력을 조절하여 공급하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해서 유속을 조절하는 콘버어터를 보호하게 된다. 더우기 압력제한조절기(101)는 전체유압회로가 어떠한 우발적인 압력상승이 되지 못하게끔 방지한다.Application of the pressure limi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1001A KR820001691B1 (en) | 1979-03-31 | 1979-03-31 | Pressure limiter-regu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1001A KR820001691B1 (en) | 1979-03-31 | 1979-03-31 | Pressure limiter-regul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1691B1 true KR820001691B1 (en) | 1982-09-17 |
Family
ID=1921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901001A Expired KR820001691B1 (en) | 1979-03-31 | 1979-03-31 | Pressure limiter-regul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1691B1 (en) |
-
1979
- 1979-03-31 KR KR7901001A patent/KR820001691B1/en not_active Expi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11055A (en) | Flow limiting throttle element | |
EP0229841B1 (en) | Reducing valve | |
US3873063A (en) | Aspirated balance piston | |
US4073311A (en) | Flow control valve | |
CA1088401A (en) | Pressure control valve | |
US4527592A (en) | Flow control valve for hydraulic circuits | |
US5328147A (en) | Two stage pressure control valve | |
US4651768A (en) | Servovalve for pipe flange connection | |
US5271430A (en) | Flow rate control valve device and flow force reduction structure | |
US2799470A (en) | Sealing assembly for valves | |
US4302937A (en) | Pressure limiter-regulator | |
US3389796A (en) | Balanced pressure relief valve | |
US3850405A (en) | Contaminant resistant valve | |
US3896844A (en) | Fluid flow regulating apparatus | |
CA1116496A (en) | Margin valve | |
KR820001691B1 (en) | Pressure limiter-regulator | |
GB1457625A (en) | Valves and regulating devices therefor | |
US726103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stability of hydraulic systems with load sense | |
CN112747001B (en) | Pilot-operated overflow valve with position feedback | |
US3885583A (en) | Pressure compensating valve mechanism for hydraulic control valves | |
US3324873A (en) | Combined pressure regulator and relief valve | |
US4879944A (en) | Hydraulic control valve | |
US2608986A (en) | Fluid flow control valve | |
EP0400152A1 (en) | Flow rate control valve device and flow force reduction structure | |
KR930021982A (en) | Relief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0331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20823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