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69B1 - Intake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Intake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1569B1 KR820001569B1 KR7701228A KR770001228A KR820001569B1 KR 820001569 B1 KR820001569 B1 KR 820001569B1 KR 7701228 A KR7701228 A KR 7701228A KR 770001228 A KR770001228 A KR 770001228A KR 820001569 B1 KR820001569 B1 KR 8200015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negative pressure
- exhaust gas
- valve
- intak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제공되는 제어장치를 표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엔진의 출력선도.3 is an output diagram of an engine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제4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5도는 변형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엔진의 출력선도.5 is an output diagram of an engine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odification.
제6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개략도.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3실시예에의 작동을 설명하는 엔진의 출력선도.9 is an output diagram of an engin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the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 계통에 배기가스의 일부와 공기를 운전상태에 따라 부가시키는 흡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control device for adding a part of exhaust gas and air to an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환류장치는 배기가스중에 해로운 NOx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설치되며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켜서 내연기관의 흡기 계통에서 실린더 내에 도입하여 연소온도를 저하시킴으로서 NOx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다.In general, the exhaust gas reflux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installed to reduce harmful NOx in the exhaust gas, and reduces the generation of NOx by reducing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introducing a part of the exhaust gas into the cylinder in the intake system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ll be.
그런데 배기가스를 환류시키면 일반적으로 실린더 내에서 연료의 연소효율이 좋지 않고 또 다량의 배기 가스가 환류되면 출력이 저하되는 반면 연료의 소비가 많게될 뿐 아니라 운전성이 저하되고 또 운전정지 등의 불합리한 발생이 일어난다.However, refluxing the exhaust gas generally results in poor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fuel in the cylinder, and when a large amount of the exhaust gas is refluxed, the output is lowered, the fuel consumption is increased, the operability is lowered, and the operation is unreasonable. Occurs.
따라서 종래부터 배기가스의 환류량은 NOx의 발생량과 출력 및 연료의 소비를 고려하여 여러가지 운전조건에 맞는 복잡한 제어수단이 강구되어 왔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complicated control means suitable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NOx generated, the output, and the consumption of fuel.
그러나 NOx의 발생량을 연소과정에서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한 배기가스의 환료방식외에 희박 연소방식이 알려져 있고 그 희박연소방식은 공기와 연료의 비가 이론치보다 큰 16-23정도의 혼합기체를 연소실에서 효율적으로 연소시키는 것으로 그 희박혼합기체는 더욱 착화성이 좋지 않고 또 연소성이 좋지 않은 고로 그 대책으로서 여러가지의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However, as a means of reducing the amount of NOx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a lean combustion method is know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haust gas refilling method. The lean-mixed gas is more poorly flammable and less flammable,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adopted as a countermeasure.
예를 들면 부실식(副室式)연소방식, 층상(層狀) 연소방식 또는 와류(渦流)발생방식등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점화 플러그 부근에 농후한 혼합기체를 도입하거나 그 부근은 강력하게 소기시켜서 착화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강력한 와류를 발생케하여 화염의 전파속도를 높여주는 연소방식이 개선되고 있다.For example, there may be a stale combustion method, a laminar combustion method, or a vortex generation method. In such a method, a rich mixed gas is introduced into or near the spark plug. Is strongly scavenged to improve the ignition and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 strong vortex to improve the flame propagation speed has been improved.
상기한 NOx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은 2가지가 있는데 각각 일장 일단이 있고 배기가스의 환류방식에 있어서는 NOx의 감소율은 높으나 출력 및 연료의 소비에 있어서는 뒤떨어지는 한편 희박연소방식에 있어서는 기화기 등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를 제어하기 어렵고 또 NOx의 감소율이 저하되지만 연료의 소비가 향상되고 또 배기가스의 환류방식에 비하여 운전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There are two ways to reduce the amount of NOx generated above. There is one end, and the reduction rate of NOx is high in the reflux method of exhaust gas, but it is inferior in the output and consumption of fuel.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mixing ratio of the fuel and the reduction rate of NOx is low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el consumption is improved and the operability is good as compared with the reflux method of the exhaust gas.
본 발명의 주목적은 흡기계통의 배기가스의 일부 및 공기 또는 희박혼합기체를 운전상태에 따라 부가함에 의하면 NOx의 발생량이 감소되게 하는 흡기의 제어를 제공함에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take control to reduce the amount of NOx generated by adding a part of the exhaust gas of the intake cylinder and air or lean mixed ga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의 저하, 연료의 소비 및 운전성의 악화를 최소한으로 억제시켜서 NOx의 발생량을 최대한으로 감소하게 하는 자동차 엔진용 흡기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고 또 다른 목적은 흡입 혼합기체를 희석하기 위하여 투입하는 공기 또는 희박혼합기체등의 공급량의 제어를 배기가스 환류장치에 있는 특정한 제어밸브로 겸용케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의 흡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ake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obile engine which minimizes the decrease in output, the consumption of fuel, and the deterioration of driving performance to minimize the amount of NOx generated. In order to provide an intake control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the control of the supply amount of air or lean mixed gas to be introduced is combined with a specific control valve in the exhaust gas reflux device.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가스의 환류와 희석용 공기 또는 희박혼합기체 투입을 절환하는데 있어 양자의 오버 랩(over lap) 또는 양자의 작동정지 기간등이 시간적으로 엇갈리는 일이 없이 순탄하게 이루어져서 상기와 같은 절환시의 운전성이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NOx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자동차의 엔진용 흡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또 다른 목적은 시(市)가지에서 많은 영역을 주행할 때 예를 들면 저속 또는 저부하 운전시에 배기가스의 환류를 행하여의 발생량을 극도로 저하시킴과, 아울러 고속 또는 고부하운전시에는 배기가스의 환류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흡기계통에 공기 또는 희박혼합기체를 투입시켜서 혼합기체를 희석하고 운전성 및 연료의 소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노킹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자동차용 흡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moothly switch between the reflux of the exhaust gas and the dilution of the air or the lean mixed gas, without any overlap between the two or the operation stop period. It provides an intake control device for an engine of a vehicle in which the driving performance is improved at the same time and the NOx emission is reduced.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low speed or low load when driving a large area in a city area, for example.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emissions generated by refluxing the exhaust gas during operation, and reducing the reflux of the exhaust gas during high speed or high load operation, diluting the mixed gas by introducing air or a lean mixed gas into the intake cylinder.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ake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s that improves driving performance and fuel consumption and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knocking.
상술한 모든 목적은 배기통로와 흡기통로를 연통시켜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통로에 환류시키는 환류통로와, 그 배기가스 환류통로에 배기가스의 환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적어도 2개를 직렬로 설치하고 그 복수의 제어밸브 중 특정된 2개의 제어밸브 사이에 배기가스 환류통로를 형성시켜서 대기 또는 희박혼합기체를 흡입하는 희석용 흡입통로와 그 희석용 흡입통로에 개입된 흡기 제어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ll the above-mentioned objects have a reflux passage for communicating a part of the exhaust gas to the intake passage by communicating the exhaust passage with the intake passage, and at least two control valves for controlling the reflux amount of the exhaust gas in the exhaust gas reflux passage in series. And a dilution suction passage for sucking air or lean mixed gas by forming an exhaust gas return passage between two specified control valves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valves, and an intake control valve intervening in the dilution suction passage. It is achieved by the intak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다음에 본 발명을 제1도-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또는 균등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넣는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9 as follows. In addition, in each Exampl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member and part.
제1도-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기화기(1)의 흡기통로(2)의 중간에 도시되지 않은 가속페달로 연동개폐되는 드로틀 밸브 (3)가 축(4)을 중심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장치되고 드로틀 밸브(3)의 상류측 자유단부(5) 부근에 대향되는 드로틀 밸브(3)의 전폐(全閉)위치에서 약간 상류측에 해당되는 위치 흡기관벽에는 포오트(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포오트(6)는 드로틀 밸브(3)가 소정된 위치까지 낮(低)게 열리는 각도, 예를 들면 15도-20도 정도 이상이 되면 드로틀밸브(3)의 자유단부 (5)보다 하류측이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3, the throttle valve 3 interlocked with an accelerator pedal not shown in the middle of the intake passage 2 of the vaporizer 1 has a shaft 4 A position upstream of the throttle valve 3 slightly upstream from the totally closed position of the throttle valve 3 opposite to the upstream free end 5 of the throttle valve 3. The pot 6 is installed in the pot 6, and the pot 6 is opened at a lower angle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to 20 degrees or more. It is downstream from the free end 5 of 3).
상기한 기화기(1)에 접속되는 다기통 엔진의 각기통에 혼합기체를 분배 공급하는 흡기용 매니포울드(7)에는 배기통로 (도시생략)에 연통시킨 그 통로를 개폐하는 2개의 배기가스 환류량 제어밸브(9)(10)이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Two exhaust gas reflux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communicated with the exhaust passage (not shown) to the intake manifold 7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the mixed gas to each cylinder of the multi-cylinder engine connected to the vaporizer 1 described above.
다음에는 배기가스 환류통로(8)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어밸브(9)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통로(8)에 장치된 밸브 시이트(11)에 선단이 접하여 폐쇄되는 밸브동체(9')는 그 후단부가 다이어프램(12)의 중앙부에 장치되는 한편 그 다이어프램(12)은 하우징(housing) (13)을 2실로 분할하여 일측 공실(14)은 구멍(14')을 통하여 개방되고, 다른 공실(15)은 부하통로(16)을 통하여 상기한 통공(6)과 연통되며 또 공실(15)에는 스프링(17)을 내장하여 그 압력이 다이어프램(12)을 제어밸브(9)의 닫히는 방향으로 밀게한다.Next, the
다음에는 제어밸브(9)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어밸브(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배기가스 환류통로(8)에 설치된 밸브시이트(18)에 선단이 접촉되어서 닫혀지게하는 밸브동체(10')의 후단부에는 링크(19)의 타단을 드로틀 축(4)에 고정된 레버(20)의 자유단부에 연결하여 밸브 동체(10')가 밀폐되는 방향으로 스프링(21)이 탄발되게 하고 전술한 배기가스 환류통로(8)의 제어밸브(9)(10)사이에는 공기필터(22)를 통하여 대기를 흡입하는 희석용 흡입통로(23)가 통한다. 동통로(23)에는 흡기 제어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Next, the
그리고 상술한 흡기 제어밸브(24)에 대하여 설명하면 희석용흡입통로(23)에 장치된 밸브시이트(25)에 선단이 접촉되면서 닫혀지게 되는 밸브동체(24')의 후단부가 다이어프램(26)의 중앙에 장치되고 그 다이어프램(26)의 케이스(27)는 이를 2실로 분할하여 일측공실(28)은 구멍(29)을 통하여 대기에 개방되고 다른 공실(30)은 부압통로(16)와 연통된 부압통로(31)를 연통시키는 한편 공실(30)에 스프링(32)을 내장하여 다이어프램(26)을 제어밸브(24)이 닫히는 방향으로 밀게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부압통로(16) 및 (31)에는 각각 오리피스(33)(34)가 장치되고 부압통로(16)의 오리피스(33)와 공실(15) 및 부압통로(31)의 오리피스(34)와 공실(30)사이에는 각각 통로(35)(36)가 연통되며 그 양 통로(35)(36)는 제어장치(37)에 접속된다. 동제어장치(37)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38)에 의하여 양 통로(35)(3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일측통로가 닫히면 다른 통로가 열리어져서 공기필터(40)가 설치된 구멍(39)이 대기와 소통되게 개방되었다.The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속(車速)감지기(41)에 의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설정된 예를 들면 3000rpm 이하에서 스프링(38')으로 통로(35)를 닫아서 통로(36)를 열고 설정된 회전수 이상에서는 솔레 노이드(40')작용하여 통로(35)를 열게하는 반면 타측통로(36)를 닫게 하도록 구성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ine speed is set by the vehicle speed sensor 41, for example, the
다음에는 제3도에 의하여 상기한 제1실시장치의 작성을 설명하면 그 제3도는 종축으로 엔진의 출력(PS), 횡축에는 엔진의 회전수(rpm)를 표시한 엔진의 출력선도로서 실선(J)는 드로틀밸브(3)가 전부 열렸을 때의 출력선, 실선(K)은 아이들개도 〔3도(度)∼6도(度)〕에 있어서 출력선, 실선(L)은 포오트(6)에서 발생하는 부압 (이하 EGR 부스트라고 칭함)이 100mmHg의 등(等)부압선, 실선(M)는 엔진회전수가 3000rpm이 될시의 등회전수의 선이다.Next, the cre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3 is an output line diagram of the engine in which the output PS of the engine is indicated on the vertical axis and the engine speed (rpm) on the horizontal axis. J) is the output line when the throttle valve 3 is fully open, the solid line K is the idle line [3 degrees-6 degrees], and the output line and the solid line L are the pots 6 ) Negative pressure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GR boost) of 100mmHg and solid line (M) are lines of constant rotation speed when the engine speed becomes 3000rpm.
엔진이 구동을 하여 드로틀 밸브(3)가 서술한 바와 같이 필요이상으로 열리게 되면 포오트(6)에 EGR 부스트가 발생하고 그 부압을 부압통로(16)를 통하여 공실(15)에 도입되어서 부압통로(16)(31)을 통하여 공실(30)에 도입된다.When the engine is driven and opened more than necessary as described by the throttle valve 3, the EGR boost is generated in the port 6,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introduced into the
그런데 엔진의 회전수가 3000rpm 이하가 될 경우에는 차속 감지기(41)는 출력을 발생하지 않고 솔레노이드 밸브(38)는 스프링(38')에 의하여 통로(35)가 닫히고 통로(36)가 대기에 개방되기 때문에 통로(36), 부압통로(31)를 통하여 공실(30)내에 대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경우 부압통로(31)에서는 대기가 오리피스(34)에 의하여 공실(15)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공실(15)에는 포오트(6)부근에서 발생하고 있는 EGR 부스트와 같은 부압이 발생된다.However, when the engine speed is less than 3000rpm, the vehicle speed sensor 41 does not generate an output and the
따라서 그 상태로 엔진의 출력 및 회전수가 변화하고 EGR 부스트가 설정치, 예를 들면 100mmHg이상이 되면 스프링(17)의 탄력에 의하여 닫혀있던 제어밸브(9)이 EGR 부스트에 의하여 다이어프램(12)의 흡인되어서 밸브 동체(9')가 스프링(17)에 대항하여 열리게 되어서 그 위치를 변경하는 고로 EGR 부스트의 크기에 응하여 열리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ngine output and rotational speed change and the EGR boost becomes a set value, for example, 100 mmHg or more, the
제3도에 있어서 실선(L)은 제어밸브(9)이 열리기 시작할 때 부스트가 1000mmHg 일때의 등부압선으로서 실선(L)보다 우측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3000rpm이하의 영역(A)에서 제어밸브(9)이 열리고 그 개폐도는 EGR부스트의 크기에 응하여 정해진다.In FIG. 3, the solid line L is an isobar pressure line when the boost is 1000 mmHg when the
한편 엔진의 회전수가 3000rpm이상의 경우에는 차속감지기(41)의 지시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8)가 작동하므로 통로(35)가 열리면서 대기에 개방되고 통로(36)이 닫혀져서 대기의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통로(35)와 부압통로(16)을 통하여 공실(15)에 대기가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gine speed is 3000rpm or more, the
이와 같은 경우 부압통로(16)에 의한 대기의 공급은 오리피스(33)에 의하여 공실(30)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압에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공실(30)에는 포오트(6)부근에서 발생하고 있는 EGR 부스트와 거의 같은 부압이 발생한다.In such a case, the supply of air by the
제어밸브(24)도 상술한 제어밸브(9)과 같이 다이어프램(26)의 작동 부압이 1000mmHg 이상되면, 스프링(32)의 탄발에 의하여 열리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제3도에 있어서 실선(L)보다 우측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3000rpm 이상의 영역(B)에서 제어밸브(24)이 열리고 희석용 흡입통로(23)로부터 배기가스 환류통로(8)에 공기가 공급된다.Like the
한편 제어밸브(10)은 드로틀 밸브(3)의 열림도에 따라 링크(19)의 연동으로 열리게 되며 그 열림도는 드로틀밸브(3)의 개폐도에 따라 비례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배기가스의 압력과 흡기 매니포올드의 부압과의 압력차에 따라 배기가스는 환류통로(8)를 통하여 흡기 매니포울드(7)에 환류되기 때문에 만약 통로(8)의 통로저항이 같을 경우에는 드로틀 밸브(3)의 개폐도가 작고 흡기 매니포울드의 부압이 높은 운전상태일수록 배기가스의 환류량이 증대하게 되지만 그 저부하의 영역에서는 배기가스의 환류량이 과다하게 되어 중간 또는 고부하의 영역에서는 배기가스의 환류량이 과소하게 되는 불편은 제어밸브(10)으로 엔진의 출력에 반비례적으로 교축량을 감소하는 개도의 특성에 따라 해소된다.Therefore, the exhaust gas is returned to the intake manifold 7 through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가지를 주행할 때 많이 쓰이는 운전영역중 특히 연소성이 좋고 NOx의 발생량이 많게 되기 쉬운 영역(A)에서 제어밸브(9)(10)이 열리게 되면서 흡기 제어밸브(24)에 닫혀지면서 배기 가스의 일부가 배기가스 환류통로(8)를 통하여 흡기 매니포올드(7)내에 흡입되어서 기화기(1)에서 생성된 혼합기체에 혼입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그 배기가스의 환류량은 상기한 양 제어밸브(9)(10)의 개도에 따라 제어되고 배기가스가 환류되지 않은 엔진의 구동상태에서 발생하는 NOx를 발생량에 응하여 이를 억제하는 적당량의 배기가스의 환류량이 제어되게 행하여진다.The reflux amount of the exhaust gas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degree of the above-described
또 시외에서 주행할 때 많이 쓰이는 운전영역중 특히 NOx의 발생량이 많게 되기 쉬운 영역(B)에서는 제어밸브(9)이 닫혀지는 동시에 제어밸브(10)및 흡기제어밸브 (24)이 열려져서 공기 필터(22)로부터 정화된 대기가 희석용 흡입통로(23) 및 배기가스 환류통로(8)를 통하여 흡기 매니포울드(7)내에 흡입되어 기화기(1)에서 생성된 혼합기체를 희석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한 대기의 흡입량은 제어밸브(10)과 흡기 제어밸브(24)의 개도와 관련되고 만약 대기의 혼입이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하면 대량의 NOx가 발생되기 쉬운 운전영역에서는 대량의 대기가 흡입되어 혼합기체를 희석화시켜서 NOx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지한다.In addition, the above air intake amount is related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전상태가(A) 영역에서 (B)영역으로 이동할 때 혹은 (B)영역에서 (A)영역으로 이동할 때 곤란없이 순조롭게 배기가스의 환류로부터 대기를 흡입하고 또는 대기흡입에서 배기가스의 환류로 절환되며 절환 도중에는 일시적으로 출력이 크게 변동되는 일이 없고 운전성은 양호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operating state moves from the area (A) to the area (B) or from the area (B) to the area (A), the atmosphere is smoothly sucked from the reflux of the exhaust gas or is sucked into the atmosphere. Is switched to the reflux of the exhaust gas, and during the switching, the output does not change temporarily temporarily and the operability is good.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을 위한 전개(全開) 및 아이들 부근에 있어서는 배기가스의 환류와 희석용 흡입통로(23)에서 공기가 투입되지 않게 되어 출력의 저하와 연료 소비의 악화 및 엔진의 진동 발생등 좋지 않은 상태가 방지되고 저속중의 영역에서는 제어밸브(9)(10)에 의하여 환류량이 제어되는 배기가스의 환류에 의하여 NOx가 효과적으로 감소되고 고속영역에서는 제어밸브(10)과 흡기 제어밸브(24)으로 제어되어 호적한 공기의 투입이 행하여져서 혼합기체가 희석되기 때문에 NOx의 발생량이 감소됨과 아울러 연료의 소비가 향상되고 또 조기착화로 인한 노킹이 억제되는 효과를 이룬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ir is not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ssage for reflux and dilution of the exhaust gas in the vicinity of the development and idle for output, resulting in a decrease in output and deterioration of fuel consumption. Unfavorable conditions such as vibration of the engine are prevented, and NOx is effectively reduced by the reflux of the exhaust gas whose reflux amount is controlled by the
다음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어장치(37)의 변형된 예를 제4도 및 제5에 의하여 제4도에 도시된 제어장치(37)는 2개의 다이어프램장치(42)(43)를 구비하고 그 다이어램프(42)의 다이어램프(44)에 연동되는 개폐밸브(45)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는 대기 개방통로(35)의 제어를 행하고 다이어프램장치(43)의 다이어프램(46)에 연동되는 개폐밸브(47)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개방통로(36)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다이어프램(44)에 작용하는 부압실(48)에는 오리피스(49)가 개입된 부압통로(50)에 의하여 상기한 제1실시예에 표시된 흡기통로(2) 내의 소정된 개소에서 발생하는 흡기의 부압이 되입되고 부압실(48)에 장입된 스프링(51)의 힘에 대항하여 다이어프램(44)를 개폐밸브(45)이 열리는 방향으로 흡인하는 한편 다이어프램(46)에 작용하는 부압실(52)은 부압통로(53)를 통하여 통로(35)에 연동되고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는 부압실(15)에서 발생하는 부압과 동일한 부압이 상기한 부압실(52)에서 발생하여 부압실(52)에 장입된 스프링(54)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다이어프램(46)을 개폐밸브(47)이 열리는 방향으로 흡인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상기한 변형예에 있어서 부압통로(50)가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는 포오트(6)보다 약간 상류측에 있는 흡기관벽에 천설된 포오트(6')(제1도 표시)에 접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5도의 출력선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제어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5도 및 후기하는 제9도의 출력선도에 있어 상기한 제3도와 동일 또는 균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넣었다.In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 the
제5도에 있어서 실선(M)는 부압실(48)에 설정된 부압이 작용하여 개폐밸브(45)이 열릴때의 동부압선이 고부압실(48)에서 발생하는 포오트(6')의 부압이 설정된 압력이하의 경우에는 스프링(51)의 탄발세력에 의하여 개폐밸브(45)은 닫히고 포오트(6')에서 발생하는 부압은 부압통로(16)를 통하여 부압실(15)에 도통됨과 아울러 통로(35)(53)을 통하여 부압실(52)에도 도통되어서 그 부압에 의하여 개폐밸브(47)이 열리는 한편 통로(36)은 대기에 개방된다.In FIG. 5, the solid line M is a negative pressure of the pot 6 ′ in which the eastern pressure line is generated in the high
한편 부압실(48)에서 발생하는 부압이 설정된 압력이상인 경우에는 개폐밸브(45)이 열리고 통로(35)가 대기에 개방되어서 부압실(52)은 대기압이 되고 스프링(46)의 힘으로 개폐밸브(47)은 닫혀진다. 따라서 제5도에 있어서 실선(L)은 우측 및 실선(M)의 좌측영역(C)에서 배기가스의 환류가 행하여지고 실선(M)의 우측영역(D)에서는 희석용 공기의 투입이 행하여지고 다른 운전영역에서는 배기가스의 환류 및 공기의 투입이 함께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제6도는 상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37)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한 것이고 제어장치는 상기한 제4도에 표시된 제어장치(37)와 동등한 제어를 간략한 구성으로 달성하는 것인데 다이어프램(56)이 내장되고 내부를 2실(57)(58)로 구획한 케이스(59)에는 통로(35)(36) 및 부압통로(50)가 접속되고 부압통로(36)는 개폐밸브(60)을 통하여 대기에 개방된 공실(58)에 연통하는 공실(61)에 연통되며 다이어프램(56)의 중앙부에는 공실(57)과 밸로즈(bellows)(62)에 의하여 격리된 공실(63)과 공실(58)을 연통하는 파이프(64)가 다이어프램(56)의 범위방향과 축선과 일치되게 부착하고 동 파이프(64)의 공실(58)측의 개구단부는 제6도에 있어서 파이프(64)가 상방으로 위치를 바꾸게 되면 상기한 개폐밸브(60)에 접하여 다시 상방으로 변위시키면 그 개폐밸브(60)을 하방 가압하는 스프링(65)에 대항하여 그 개폐밸브(60)을 열고 공실(58)(61)이 서로 연통된다.FIG. 6 shows another variation of the
또한 파이프(64)가 개폐밸브(60)에 접하면 공실(58)(63)의 연통이 차단되고 통로(35)는 공실(63)에 연통되어 부압통로(50)와 공실(57)에 연통되고 공실(57)에는 다이어프램(56)을 상방으로 압압하는 스프링(66)이 내장되며 전기한 포오트(6')에 접속된 부압통로(50)의 중간에는 오리피스(49)를 대신한 오리피스(67)와 체크밸브 (68)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유량제한장치(69)가 설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pipe 64 is in contact with the on-off
상기한 바와 같이 제6도에 표시된 제어장치(37)와 제4도의 제어장치(37)는 제5도에 나타난 제어특성과 거의 동일한 제어성을 얻는다.As described above, the
제7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링크(19)를 통하여 드로틀밸브(3)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제어밸브(10)을 대신하여 포오트(6)보다 약간 상류측에 있는 흡기관 벽에 천설된 포오트(6')에서 발생하는 부압의 크기에 응하여 뉴메틱(pneumatic)으로 제어되어 배기가스 환류통로(8)의 개폐를 행하는 제어밸브(71)을 설치함과 아울러 제어밸브(71)에 의하여 열리는 통로에 대하여 병렬로 바이패스 통로(72)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상기한 제어밸브(71)는 밸브동체(73)가 다이어프램(74)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그 다이어프램(74)을 작동시키는 부압실(75)에는 부압통로(76)를 통하여 포오트(6')에 연통하고 부압실(75)에는 밸브동체(73)가 닫혀지는 방향에 다이어프램(74)을 가압하는 스프링(77)을 내장하는 구성을 가졌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replaces the port 6 in place of the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 제어밸브(71)는 제1실시예의 제어밸브(10)과 같은 드로틀의 개도는 부하가 적을때에 환류 가스 또는 희석용 흡입통로(23)에서의 과다한 공기의 투입을 방지하고 드로틀의 개도는 고부하가 클때에 다량의 배기가스가 환류 또는 공기의 투입을 행하는 것으로 저부하시에는 포오트(6')에서 발생하는 부압이 적다. 따라서 부압실(75)에서 발생하는 부압도 작고 밸브동체(73)는 스프링(71)의 압력으로 닫혀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바이패스 통로(72)를 통해야만 배기가스의 환류 또는 공기의 투입이 행하여지고 그 유통량은 적게 된다. 한편 고부하시에는 포오트(6')에서 발생하는 부압이 크고 부압실(75)에서 발생된 고부압에 따라 다이어프램(74)은 스프링(77)의 압력에 대항하여 흡인되어서 밸브동체(73)가 열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환류 배기가스 또는 투입되는 공기와 밸브(71) 및 바이패스 통로 (72)를 통하여 유동되기 때문에 그 유통량은 증대된다. 그리고 배기가스의 환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9) 및 흡기 제어밸브(24)의 작동상태는 전기한 제1실시예와 전부 동일하다.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배기가스의 환류 통로(8)에 설치된 제어밸브(9)에 대하여 병렬로 제어밸브(78)을 부설한 구성으로서 동 제어밸브(78')가 다이어프램(79)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그 다이어프램 (79)을 작동하는 부압실(80)은 부압통로(76)을 통하여 포오트(6)보다 약간 상류측에 있는 흡기관 벽에 천설된 포오트(6')에 연통되며 부압실(80)에는 밸브동체(78')을 닫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81)이 내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 and 9, the
또 부압통로(76)에는 오리피스(82)가 장치되고 오리피스(82)와 부압실(80)사이의 부압통로는 분기된 통로(83)을 통하여 제어장치(37)에 접촉되고 분기통로(83)는 제1실시예에 있는 통로(35)와 같이 대기에 개방되거나 차단된다.The negative pressure passage 76 is provided with an
상기한 제3실시예의 작용을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하며 그 제9도에 있어서 실선(N)는 부압실(80)에 설정된 부압이 작용하여 제어밸브(78)이 열릴 때의 동부압선이고 그 실선(N)우측영역에서는 포오트(6')에서 발생하는 부압이 고부압으로 되어 그 고부압이 부압통로(76)를 통하여 부압실(80)에 도입되고 스프링(81)의 압력에 대항하여 다이어프램(79)이 흡인되어서 밸브동체(78')가 열리며 상기한 실선(N)에서 좌측영역에서는 포오트(6')로부터 발생하는 부압이 저부압으로 되어 밸브동체(78')는 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닫아진다.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n FIG. 9, the solid line N is the eastern pressure line when the negative pressure set in the
따라서 제9도의 실선(L)보다 좌측의 운전영역에서는 제어밸브(9)(24) 및 (78)이 닫혀져서 배기가스의 환류 및 공기의 투입은 어느 것이나 정지되고 실선(L)에서 우측과 실선(N)의 좌측, 또 실선(M)의 좌측영역(F)에서는 제어밸브(9) 및 (10)이 열려져서 그 양변 (9)(10)의 개폐도에 응하여 제어된 가스의 환류가 행하여지고 실선(N)에서 우측과 실선(M)에서 좌측의 영역(G)에서는 제어밸브(9)(10) 및 (78)이 열려서 이들 3개의 밸브의 개폐도에 응하여 제어되는 배기가스의 환류가 행하여지며 실선(N) 및 (M)에서 우측의 영역(H)에서는 제어밸브(10) 및 (24)가 열려서 다른 밸브(9)(78)은 닫혀지고 상기한 제어밸브(10) 및 (24)의 제도에 응하여 제어된 공기의 투입이 행하여진다.Therefore, the
그러므로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희석용 흡입통로(23)가 공기필터(22)를 통하여 대기에 연통되고 그 통로(23)에서 배기가스의 환류통로(8)내에는 공기가 투입되지만 그 통로(23)를 드로틀 밸브(3)와 기화기(1)의 벤튜리와의 사이에 있는 흡기통로(2)내에 접속시키면 희박한 혼합기체가 투입되여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01228A KR820001569B1 (en) | 1977-05-23 | 1977-05-23 | Intake contro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01228A KR820001569B1 (en) | 1977-05-23 | 1977-05-23 | Intake control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1569B1 true KR820001569B1 (en) | 1982-09-02 |
Family
ID=1920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701228A Expired KR820001569B1 (en) | 1977-05-23 | 1977-05-23 | Intake contro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1569B1 (en) |
-
1977
- 1977-05-23 KR KR7701228A patent/KR820001569B1/en not_active Expi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84549A (en) | 4-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4128089A (en) | Exhaust gas recircula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3601106A (en) | Intake manifold vacuum control system | |
US4563990A (en) | Fuel supply control system for engine carburetors | |
US4171688A (en) | Intake control apparatus | |
US4483292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4091780A (en) | Car knock preventive system | |
US4411228A (en) | Split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GB2058916A (en) | 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and addition of secondary air | |
KR820001569B1 (en) | Intake control apparatus | |
US4249490A (en) | Exhaust gas recirculation for engine | |
US4010723A (en) | Exhaust gas clean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vehicle | |
US4365598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4349005A (en) | Suction mixture control system for vehicle engines | |
US4191716A (en) |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US4487185A (en) | Air-fuel mixture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JPH02201068A (en) | Oxygen supplied engine | |
JPS624664Y2 (en) | ||
US4314536A (en) | Pulsing solenoid improvement | |
US4164207A (en) | Exhaust gas recirculation means | |
KR820001570B1 (en) | Intake regul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S6332927Y2 (en) | ||
JP2612683B2 (en) | Engine intake control device | |
KR810001925B1 (en) | Air-fuel ratio regul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970000362Y1 (en) | Variable intake valve driving apparatus of a c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