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1428B1 -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428B1
KR820001428B1 KR1019810002074A KR810002074A KR820001428B1 KR 820001428 B1 KR820001428 B1 KR 820001428B1 KR 1019810002074 A KR1019810002074 A KR 1019810002074A KR 810002074 A KR810002074 A KR 810002074A KR 820001428 B1 KR820001428 B1 KR 82000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reparation
fire extinguishing
protein form
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호
Original Assignee
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순호 filed Critical 임순호
Priority to KR101981000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42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단백포소화약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백포소화약제의 일반적 제조방법의 하나는 단배질원료에 소석회(수산화칼슘)를 첨가 가수분해하여 여과액중의 잔류 Ca 이온을 중화 탈염한 후 농축하여 소화약제로 하는 것이다.
단백포소화액 중에 Ca 이온이 존재하면 첨가되는 안정제 및 방부제등의 금속염과 반응하여 침전이 생기어 소화약제로서의 효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가수분해액 중의 Ca 이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염산, 황산, 수산 및 탄산암모늄(일본특허공보 67-8600호) 등을 중화 탈염제로서 사용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염산이나 황산을 중화제로 사용할시는 Ca 이온과 반응하여 CaCl2, CaSO4등의 가용성 또는 미가용성염을 생성하여 액중의 Ca 이온의 완전제거가 불가능하며, 수산(H2C2O4)을 사용하는 경우는 Ca의 제거는 완전히 행할 수 있으나 수산의 값이 비싸 생산원가를 높이게 되며, 또 탄산암모늄을 사용 반응할시는 Ca이온의 제거는 거의 이루어지나 단백질원료의 40%라는 다량의 탄산암모늄을 반응시켜야 하므로 생산원가를 높게함은 물론, 반응시 NH3가스의 발생으로 공해와 기자재의 부식을 초래하며, 특히 첨가반응을 저온에서 서서히행하지 아니하면 암모니아가스로 인한 기포가 발생하여 액이 용기를 넘처 흐르게하여 액의 손실을 가져오는 결점 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가수분해 단백포액의 중화 탈염방법의 결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가수분해 한 단백포액에 CO2가스를 직접 주입 반응시켜 액중의 Ca이온을 CaCO3침전으로 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은 놀랍게도 기포의 발생도 없이 소량의 CO2가스를 주입시키므로서 pH 7.0 부근까지 손쉽게 반응을 완료시킬 수 있으며 유해가스의 발생이나 장치의 부식이 없는 획기적 방법으로서 CO2의 사용량은 단백질원료에 대하여 10-15Wt% 정도이고 수산이나 탄산암모늄 사용법에 비하여 수십분의 일의 염가로 될 뿐아니라 발포배율도 열등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케라틴원료 200g을 소석회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여과액 1,200cc에 70oC에서 CO2가스를 취입하여 pH7.0까지 중화시켰다. 이때 소비한 CO2양은 약 28g이었다.
반응생성물인 CaCO3를 여과 제거한 후 액을 농축 조제한 결과 국가검정규격에 적합한 우수한 단백포소화약제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

  1. 단백질 원료를 수산화칼슘으로 가수분해하여 단백포소화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수분해액에 CO2가스를 주입하여 pH 7.0 부근까지 중화하여 Ca이온을 완전 중화 탈염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포소화 약제의 제조방법.
KR1019810002074A 1981-06-10 1981-06-10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Expired KR82000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074A KR820001428B1 (ko) 1981-06-10 1981-06-10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2074A KR820001428B1 (ko) 1981-06-10 1981-06-10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428B1 true KR820001428B1 (ko) 1982-08-14

Family

ID=1922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074A Expired KR820001428B1 (ko) 1981-06-10 1981-06-10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42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688761T2 (de) Reine Chelate von Aminosäuren.
US4612175A (en) Flue gas desulfurization/denitrification using metal-chelate additives
GB1420504A (en) Process for purifying effluents
ATE17473T1 (de) Verfahren zur wiedergewinnung von benutzbaren verbindungen aus harnstoffsynthese-anstroemungen.
MX171749B (es)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iminodiacetonitrilo a patir de glicolonitrilo y amoniaco o su sal
KR820001428B1 (ko) 단백포 소화약제의 제조방법
YU11884A (en) Process for making stable and amphoteric water sollutions of synthetic polymers
DE3269530D1 (en) A method for cleaning gas mixtures which might contain dust from a urea plant
ES471032A1 (es) Un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soluciones acuosas de acido sulfurico, que contienen sulfato ferroso disuelto
US5063034A (en) Process for purifying by the wet method fumes containing nitrogen oxides
US2656266A (en) Method for reducing the acidity of nitric acid-calcium nitrate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ate ions
JPS57156329A (en) Solubilization of zinc oxide
ES422858A1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n-(1,1-di-fosfono-e- til)-acetamidina.
JPH0247514B2 (ko)
JPS61136981A (ja) 動物性繊維のボロ布等から肥料を製造する方法
DE69103591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lordioxyd.
SE9800770D0 (sv) Sätt att framställa dinitramidsalter
SU1175871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диоксида циркони
JPH07316125A (ja) 2−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アル カリ水溶液の製造法
SU168062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вободного цианамида
SU385917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конденсата производства хлористого аммония
JPH0258209B2 (ko)
JPS5551487A (en) Removing fluorine compound in water
SU893977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ложного удобрени
SU139659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азотнокислого кальц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1061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