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1293B1 -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293B1
KR820001293B1 KR7803738A KR780003738A KR820001293B1 KR 820001293 B1 KR820001293 B1 KR 820001293B1 KR 7803738 A KR7803738 A KR 7803738A KR 780003738 A KR780003738 A KR 780003738A KR 820001293 B1 KR820001293 B1 KR 82000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centering
drive spindles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환 데르 훼크 빌레름
카메리크 에드와드
Original Assignee
디·제이·싹키스
앤·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제이·싹키스, 앤·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제이·싹키스
Priority to KR780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60Turntables for record carrier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제1도는 개방덮개를 가지며,비데오 디스크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용 비데오디스크 플레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 확대도.
제3도는 덮개를 폐쇄한 경우의 제1도의 비데오디스크의 구동스핀들을 절취한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로 일체 제조된 중심합치 장치의 단면도.
제5a, 5b 및 5c도는 제3도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비데오디스크를 중심합치 부재에 대해 다른 위치로 배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4도의 중심합치장치의 스프링 특성도.
본 발명은 중앙디스크 구멍을 가진 회전 강직성 디스크형 레코드 캐리어를 작동위치로 중심합치시켜 정렬 및 보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학적으로 독출 가능한 비데오데스크의 중심합치와 정렬 및 보유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자유단을 가지벼 회전측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구동스핀들과 이 구동스핀들의 그 자유단 부근에 배치되어 디스크의 작동위치에서 상기 중앙디스크 구멍의 벽과 협동하는 중심합치장치와, 상기 디스크를 상기 구동스핀들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내의 작동장치에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스핀들에 부착되는 상기 디스크용의 한 개 이상의 지지표면을 구비한 디스크 정렬기와, 상기 중심합치장치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디스크를 동작위치에 억압하여 상기 디스크 정렬기의 지지표면과 협력하여 상기 디스크를 그 작동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부하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한 네델란드 특허원 제7609375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이 플레이어의 중심합치 장치는 구동스핀들에 견고하게 부착된 원추대를 구비한 중심합치 원추체 형태의 중심합치 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 디스크 정렬기는 구동스핀들과 일치하여 회전하는 플렌지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중심합치 원추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스핀들상을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것이다.
이 중심합체 원추체의 작용에 의해 비데오 디스크를 배치할 때 이것은 구동스핀들의 회전축에 대해 중심합치된다.
이 비데오 디스크의 무게에 의해 디스크 정렬기가 약간의 탄성작용에 대향하여 하강하고 이 비데오 디스크의 디스크 구멍벽이 중심합치 원추체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 디스크 정렬기에 의해 비데오 디스크를 구동스핀들의 회전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확히 정렬시키지만, 이 디스크 구멍의 벽이 중심합치 원추체의 표면과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디스크 부하기를 원추체의 방향으로 자기적으로 구동시켜 디스크 구멍벽을 이러한 구동력으로 중심합치 원추체의 표면에 대해 누르지만, 이 경우의 힘은 비데오 디스크를 시동시켜, 작동중 회전시키거나, 제동하는데 충분한 크기의 마찰토크를 생기게 하는 힘이다. 또, 이 디스크 정렬기는 탄성작용의 결과 비데오 디스크에 어떤 마찰력을 부여한다. 비데오 디스크내에 있어서 질량분포가 완전히 균일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는 불균형한 힘은 중심합치의 정밀도에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작동중에는 디스크 구멍의 벽이 중심합치 원추체와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디스크 구멍은 비교적 크고 중심합치 원추체는 디스크 구멍보다 작은 치수로부터 큰 치수로 변화하는 횐단규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데오 디스크의 장착조작이 간단하다.
이들 및 이에 유사한 중심합치와 정렬 및 보유장치의 결점은 실제로는 디스크마다 디스크구멍의 직경이 변하므로 디스크상의 디스크의 측위치를 미리 결정할 수 없는 점이다. 이 중심합치 원추체를 비교적 가는 형태로 하기 때문에 생기는 직경변화는 구동시핀들상에 있어서 디스크의 축방향위치에 변화를 생기게 하며, 그 변화는 거의 4배 크기이다. 외경이 30cm인 디스크 구멍의 직경이 약 35mm인 디스크를 가진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구동스핀들상에서의 디스크의 축방향의 변화는 전체로서 약 700마이크론이 될 수 있다. 이 디스크 구멍의 직경변화는 제조시의 공차와 주위의 온도 및 습도의 영향에 의해 생길 수 있다.
광학적 비데오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이하 설명하는 두가지 이유에 의해 디스크를 구동스핀들상의 소정의 축방향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이유는 독출 대물렌지가 디스크에 접촉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작동중 이 대물렌지를 회전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 1.5mm의 거리에 배치시켜 독출비임을 집속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대물렌즈의 서보제어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이 고가의 구성성분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이대물렌즈가 디스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같이, 디스크 표면이 축방향으로 허용되는 편이량은 거의 근소한 양이다. 비데오 디스크는 완전히는 평탄하지 않고 그 무게에 의해 특히 주변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는 휘어짐이 생긴다.
이들 효과 때문에 디스크 표면의 축방향위치가 상술한 바와 같은 편이를 초래하고 디스크구멍의 직경의 어긋남에 의한 별도의 악영향을 회피하는 것이 적합하다.
두버째 이유는 디스크의 안정성을 얻기 위해 구동스핀들상의 축방향위치를 양호하게 규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디스크의 회전표면의 상방에 정지형 안정화용 디스크를 설치할 수가 있다. 이 회전디스크와 안정화용 디스크 사이의 거리가 미소하게 되면 공기역학 효과가 생겨 이 효과를 사용하여 이 디스크를 안정화 시킬 수 있으나 이 효과는 두 개의 디스크간의 거리에 크게 의존한다. 디스크형 레코드와 안정화용 디스크간의 거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이 디스크를 만족할 수 있게 안정화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대물렌즈가 이 디스크형 레코드에 접촉하는 기회가 더욱 중대해 버리고 만다.
이 공지의 장치의 다른 결점은 디스크 정렬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구동스핀들상에서 디스크 정렬구를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디스크 정렬구의 안내에 필요한 유동이 있기 때문에 디스크의 위치에 별도의 정렬오차가 생길 수있다. 작동중은 정보를 디스크에 부호화하기 위해 사용한 방식에 따른 25 또는 30Hz의 속도로 비데오 디시크가 회전하므로, 이 정렬오차가 위치의 보정확성으로 나타나, 이것은 디스크 정보의 광학적 돌출장소에 있어서 25 또는 30 Hz의 속도로 반복하여 생긴다. 이광학적 수단을 이용한 독출기간중 사용광비임의 집속을 1um 이내의 정밀도로서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광비임을 집속시키기 위한 서보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정렬오차가 광의집속을 서보하기 위한 새로운 오차의 원인이 된다. 더욱이, 이 정렬오차는 디스크의 중심합치의 부정확성에도 영향이 미친다. 이 광학적 수단에 의한 독출을 위해, 트래킹 서보시스템을 설치하여 정보트랙을 50마이크론 보다도 좋은 정밀도로 중심합치 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정렬오차는 15마이크론의 중심합치 오차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구멍의 벽에 국부적인 불규칙성이 있는 경우에도 디스크를 정확히 중심합치시키는 것과 동시에 디스크의 축방향의 탁월한 위치 결정 및 정렬을 보증하는 본 명세서의 서두에 기술된 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크 정렬구는 구동스핀들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중심합치 디스크는복수개의 중심합치 부재를 구비하며, 이들 중심합치 부재는 휴지위치와 회전축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의 작동위치간을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더욱이 상기 중심합치 부재를 이들의 휴지위치로 향하게 하기 위한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이들 중심합치 부재는 디스크를 구동 스핀들에 장착시킬 때, 디스크 구멍의 벽과 협동하여 이 탄성수단의 작용에 대항하는 이동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스크 정렬구를 구동스핀들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이 디스크정렬구에 예를 들면 고정플랜지를 설치할 수 있지만, 반경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중심합치 부재에 의해 디스크의 중심합치를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다수의 가동 중심합치 부재를 사용하는것도 적합하다. 그렇게 하면, 디스크 구멍의 벽의 국부적인 불규칙성이 디스크의 중심합치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압할 수가 있기 때문이지만 이 경우에는 더욱이 디스크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중심합치시키기 위해서는 각 중심합치 부재에는 비교적 미소한 탄력성이 필요하게 된다.따라서, 디스크 구멍의 벽의 소성변형이 방지된다.
많은 탄성수단을 이용 가능한 한정된 스페이스내에 서로 인접하여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적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 탄성수단은 봉 스프링을 구비하고있고, 이들 봉스프링은 중심합치 부재와 일체로 되어 이들 봉스프링을 고정단에 의해 구동스핀들에 결합시키고 있다.
디스크를 구동스핀들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스프링은 적어도 구동스핀들의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킹크형태부를 가지고 있어 이 때문에 이들 봉스프링은 구동스핀들의 자유단 부근에 배치된 측에서 휴지위치에서의 중단부 원추대를 구성하여, 이 원추대는 디스크 구멍의 직경보다도 작은 규격으로부터 큰 규격으로 변화하는 횡단방향의 규격을 가지고 있고, 더욱이 상기 봉스프링은 상기 구동스핀들의 자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에서 작용위치에서의 중단부 원통부를 구성하고 이 원통부는 디스크 구멍의 직경과 같은 횡단방향의 규격을 가지고 있다. 구동스핀들상의 최종위치에 있어서 디스크는 중심합치 디스크의 원통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디스크에는 구동스핀들의 자유단으로 향하는 축방향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디스크가 탄성력의 작용을 받아 구동 스핀들로부터 벗어나는 우려는 없다.
비데오 디스크에 불균형이 있으면, 작동중에 구동스핀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생기지만 이것은 디스크를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원심력을 중심합치 부재에 의해 그리고 디스크부하구와 디스크간 및 디스크와 디스크 정렬구간의 클램프력 때문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흡수된다. 이 디스크정렬구의 지지면을 마찰계수가 큰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합치 부재용의 탄성수단은 어떤 스프링 정수(이것은 탄성력의 변화분과 탄성변위의 변화분과의 지수로 부여된다)를 가지고 있어, 이 스프링 정수는 중심합치 수단이 휴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변위할 때 작은 값으로부터 큰 값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 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비데오 디스크의 위치결정은 초기에는 스프링 정수가 작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나, 작동중에는 이 스프링정수가 커지므로 비데오 디스크의 정렬이 정확해짐과 동시에 원심력이 흡수된다.
중심합치 부재를 봉스프링에 의해 결합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각 봉스프링은 자유단을 자지고 있고 더욱이, 구동스핀들에는 각 봉스프링의 자유단 부근과 협동하는 정지수단을 휴지위치와 작도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스프링 정수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정지수단의 존재에 의해 킹크부 스프링 특성을 얻는다. 이 특성은 중심합치 디스크의 일부분이 중단부 원추체의 형태를 하고 있어 작동중 이중심합치 장치의 밑부분이 중단부 원통의 형태로 되어 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도 적합하다.
이 경우, 스프링 특성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다른쪽 부분으로의 천이는 비데오 디스크를 장착하는 사이에 중심합치 장치의 원추대 부분과 원통형 부분간의 이동하여 변하는 점에 도달한 때 생길 수 있다.
원통형 부분의 근처에서는 비데오 디스크에는 축방향력의 성분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비데오 디스크의 장착동안에 탄성수단이 국부적으로 높은 강직성을 가지고 있어도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제조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심합치 장치를 한 개의 유니트로 구동스핀들상에 부착한다. 이 경우, 이 유니트는 봉스프링과 이들 봉스프링을 상호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이들 일체로 된 보유링을 구비할 수가 있다.적합하게는 이 중심합치 장치를 플라스틱의 사출성형 공정으로 일체로 제조한다.
킹크부 스프링 특성을 얻기 위해 정지수단과 협동하는 봉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디스크의 중심합치를 최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이 정지수단은 구동스핀들에 견고하게 부착된 동축원통형 정지부재의 벽부분을 구비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최적한 중심합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 표시한다. 제1도에 도시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1은 하우징 2와 이것과 힌지결합된 덮개 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의 전면에는 각종의 기능을 행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턴 4 및 5가 배치되어 있다. 중앙의 장소에는 비데오 디스크 7을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하기 위한 장치 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는 디스크 구멍 8을 가진다. 이 디스크를 이 장치6상에 위치시킬수 있다. 그에 의해 이 디스크를 50 또는 60Hz의 주파수에 따른 1,500 또는 1,800회전/분의 소정회전속도로 구도시킬 수 있다. 이 하우징 2의 상면에는 장치6에 인접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재하는 슬로트 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로트내에 있어서 집속장치 10이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 이동을 하우징내에 수용시켜서 어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수단을 사용하여 행한다. 이 집속장치는 대물렌즈 11을 구비하여, 이 대물렌즈에 의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레이져원으로부터의 광비임을 장치 6상에 배치되어 있는 디스크의 하면으로 집속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대물렌지를 사용하여 이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하우징 2의 내측에 설치한 광전식정보검출 수단으로 통과시킬 수가 있다.
제3도에 도시한 구동모터 12는 구동스핀들 14를가지며, 이 스핀들은 회전축 13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 스핀들의 자유단 15는 약간 짤려져 있다. 이 자유단 15의 부근에 중심합치장치는 디스크가 작동위치에 있을 때 비데오 디스크 7의 중심의 디스크 구멍 8의 벽 16과 협동한다. 더욱이, 플랜지의 형태를 가지는 디스크 정렬구 18을 구동스핀들 14에 부착하여 이 구동스핀들 14의 회전축 13에 수직이 내면의 작동위치에 디스크를 정렬시킨다. 이 디스크 정렬구 18은 비데오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경질의 고무링 20의 형태의 지지표면을 가지며, 이 링은 고리형 홈 19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 3은 디스크부하구 21을 담지(擔持)하고 있어, 이 부하구는 중심합치 장치 17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작동위치에 있어서, 비데오디스크 7을 압압하여 이것에 디스크 정렬구 18의 링 20의 방향의 부하를 부여하고, 이에 의해 디스크의 보유를 행하고있다. 구멍22의 보조에 의해 디스크의 부하구 21은 유동을 가지고 구동스핀들 14와 결합하고 또 구동스핀들에 부착된 디스크형 영구자석 23과 협동한다. 덮개 3은 방24를 가지며, 이 방은 디스크 부하구의 플랜지형 부분 25를 유동을 가지고 수용하고 있다. 다른 한편, 디스크 부하구의 원통형 부분 26은 이 방 24의 개구부 27을 거쳐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3을 닫았을 때, 디스크 부하구는 구동스핀들 14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덮개를 열면, 플랜지 25의 작용에 의해 이 디스크 부하구는 구동스핀들로부터 인출된다.
영구자석 23과 플랜지18은 부재 28에 결합되어 있어, 이부재는 구동스핀들 14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은 구동스핀들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중심합치 장치 17은 중심합치 부재 29를 구비하고있고, 이들 부재는 회전축 13의 부근에 위치하는 작동위치(제5c도 참조)와 휴지위치(제5a도 참조)사이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들 중심합치 부재는 봉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고, 더욱이 이 부재를 제4도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보유링 30과 함께 합성수지의 서출성형에 의해 제조하여 단일구성성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적합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에 마찰계수를 저감시키기 위해 1%의 실리콘 오일을 추가한 것이 있다. 비데오 디스크를 구동스핀들에 끼우면, 이들 중심합치 부재는 이 디스크 7의 디스크 구멍 8의 벽 18과협동하여 탄성작용에 대향하는 이동을 얻울 수있다.
이들 봉스프링 29는 적어도 구동스핀들 14의 회전축 1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축에 킹크부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 때문에 휴지위치에 있어서는 이들 봉스프링은 구동스핀들의 자유단에 가까운축의 부분이 함께 중단부 원추대를 구성하고 이 원추대의 횡단방향의 규격은 비데오디스크 7의 디스크구멍 8의 직경보다도 작은 규격으로부터 큰 규격으로 변화하고 있고, 더욱이, 작동위치에 있어서, 이들 봉스프링은 그 자유단 15로부터 떨어진 측의 부분이 중단부 원통부를 구성하여, 그 경우, 이원통부의 횡단방향의 규격은 디스크 구멍의 직경에 동일하다. 이하, 제5a도 내지 제5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중심합치 부재 29의 스프링 정수는 휴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중심합치 수단을 이동시키는 동안 작은 값으로부터 큰 값으로 변화된다.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비데오 디스크 7을 장착한 경우에 중심합치 부재 29가 그 휴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그 이동방향을 도시한다. 각 중심합치 부재는 보유링 30에 결합된 고정단 31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의 자유단 32를 가지고 있다. 이 자유단은 훅크부 형태를 가지고 있고 스핀들 14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부재 28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정지 수단과 결합한다.
제5a도는 비데오 디스크를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비데오 디스크 7의 디스크 구멍 8의 벽 16이 중심합치부재 29의 부분 34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부분 34는 함께 상술한 중단부 원추대를 형성한다. 이 비데오 디스크를 화살표 D의 방향으로와 더욱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이 중심합치부재 29는 구동스핀들의 회전축 13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단연 35가 정지수단 33과 접촉하도록 한 위치에 도달된다. 이 이동은 디스크 구멍의 벽 16과 상술한 중심합체부재의 협동작용하에서 행해진다. 이중시합치부재 29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그 양위치 사이에서 그 고정단 31의 주위를 선회한다. 그러나, 일단 제5b도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 중심합치 부재 29의 정지부분 35와 정지수단33과의 협동작용에 의해 이 중십합치부재는 이미 그이상 선회할 수 없다.
제6도는 중심합치부재 29에 작용하는 회전축 13의 방향의 선회력 F가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변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 도표의 A점은 제5a도의 상태에 대응하고, 이 경우에는 힘F는 명백히 영이 돈다. B점은 제5b도에 도시한 상태에 대응하고, 이 경우에는 75마이크론의 변위후이며 그 힘은 0.3뉴톤이다. 이 스피링 정수는 힘 F(뉴톤의 단위)를 변위 d(마이크론 단위)로 나누어 몫으로 정의되는 야양이며, 두점 A,B간의 전체통로에 걸쳐 tan α에 동일하다. 디스크 7을 D방향으로 더욱 변위시키면 제5b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5c도에 도시한 상태로 최종적으로 도달하고, 디스크 7이 플랜지 18 내의 링 20과 결합한다. 이 경우, 중심합치부재 20를 변형하기 위해서는 회전축 13의 방향으로 한층 큰 힘이 필요하게되어 제6도에 도시한 도표의 두점 B 및C 사이에서는 이 소망의 힘 F는 10마이크론의 변위동안에 0.3뉴톤으로부터 2뉴톤으로 증대한다. 이 범위에 있어서 스프링정수는 tan βdlek.
이 디스크 7의 최종적인 변위동안에 이 디스크 구멍 8의 벽 16은 중심합치 부재 29의 부분 34로부터 부분 36으로 이동한다. 이 제5c도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중심합치부재 29의 표면 36은 함께 중단부 원통부를 형성한다. 중심합치장치상에서의 디스크의 정확한 중심합치를 벽16과 중심합치부재 29의 부분 36과의 협동작용에 의해 얻는다. 또, 중단부 원통표면은 회전축 13에 대하여 동심원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동심성의 정밀도는 원통형태를 가진 정지수단 33에 의해서도 높일 숙 있다. 즉, 이 정지수단은 모든 중심합치부재 29에 대하여 원통형 정지부재를 구성하고 있어, 이것은 구동스핀들에 견고히 그리고 동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서만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의 원리에 의거한 많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있어서 예를 들면, 슬로트 또는 구멍내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볼 또는 핀 형태와 같은 별도의 중심합치부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볼 또는 핀의 반경방향의 이동은 적절한 스프링을 사용하여 이들을 외측의 반경방향으로 억압하여 행해진다.

Claims (1)

  1. 자유단(15)을 가진 회전축(13)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구동스핀들(14)과, 이 구동스핀들(14)의 자유단(15) 부근에 설치된 디스크(7)의 작동위치에서, 중앙디스크구멍(8)의 벽(16)과 협동하는 중심합치장치(17)과, 구동스핀들(14)의 회전축(13)에 수직인 면내의 작동위치에 디스크(7)를 정렬시키기 위해 구동스핀들(14)에 부착된 디스크에 대한 한 개이상의 지지표면(20)을 구비한 디스크 정렬구(18)와, 중심합치장치(17)와 대향하는 어떤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디스크(7)를 억압하여 디스크 정렬구(18)의 지지표면(20)과 함께, 디스크를 그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디스크부하구(21)를 구비하여, 중앙디스크 구멍(8)을 가진 디스크(7)를 작동위치로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하는 장치(6)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정렬구(18)는 구동스핀들(14)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중심합치장치(17)는 복수개의 중심합치부재(29)를 구비하여, 이들 중심합치부재(29)는 휴지위치와 회전축(13) 부근에 위치하는 작동위치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KR7803738A 1978-12-13 1978-12-13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KR82000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738A KR820001293B1 (ko) 1978-12-13 1978-12-13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738A KR820001293B1 (ko) 1978-12-13 1978-12-13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293B1 true KR820001293B1 (ko) 1982-07-19

Family

ID=1920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738A KR820001293B1 (ko) 1978-12-13 1978-12-13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29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065A (en) Arrangement for centering, aligning and retaining a rotating record
US6041033A (en) Disk holding device
US4445155A (en) Flexible magnetic disk cassette and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the same
US3898814A (en) Mechanism for clamping and driving a flexible disc
US5633856A (en) Disc table for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3980308A (en) Clamping device for a rotatable information-carrying record
NO760808L (ko)
EP0509531A2 (e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050365B1 (en) Spindle clamp assembly for a video recorder-playback machine
EP0095800B1 (en) Optical-disc apparatus
US4442516A (en) Drive mechanism for disc player with bearing supported slider
KR900003884Y1 (ko) 원반형 디스크용 기록 및 재생장치
KR820001293B1 (ko) 회전 레코드의 중심합치, 정렬 및 보유장치
US4060248A (en) Playing apparatus, in particular a video player for playing a record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central hole
KR910000693B1 (ko) 정보기억매체
US6952834B2 (en) Disc chucking device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32995Y2 (ko)
JP2006252623A (ja) 記録ディスク載置装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装置
JPH1017222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0176592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JP3019420B2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
JPS6316026Y2 (ko)
JPH0313903Y2 (ko)
JPS6392438A (ja) 情報記録デイスクの転写層成形装置
JPS62279555A (ja) 光デイスク装置のデイスク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81213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20617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9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2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2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7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