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0557B1 -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57B1
KR820000557B1 KR7702635A KR770002635A KR820000557B1 KR 820000557 B1 KR820000557 B1 KR 820000557B1 KR 7702635 A KR7702635 A KR 7702635A KR 770002635 A KR770002635 A KR 770002635A KR 820000557 B1 KR820000557 B1 KR 82000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ld
injection
elastic material
en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70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팟슈 람베르트
바아게만 하인츠
Original Assignee
볼프강 슈테환
유니로이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하우트웅
롤프 슈페르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슈테환, 유니로이알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렌크테르하우트웅, 롤프 슈페르베트 filed Critical 볼프강 슈테환
Priority to KR770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5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그림 1은 본 발명의 배기장치의 한가지 구체형태를 사용하고 끝판이 사출실린더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이동 성형 장치에 대한 부분적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 2는 다른 이동 성형 장치에 대한 그림 1과 유사한 단면도이며, 끝판이 사출 실린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도록 되어있고 또한 본 발명의 배기장치의 다른 구체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그림3은 그림2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그림2의 배기장치의 구체형태에 대한 변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4는 본 발명의 배기장치의 또다른 구체형태를 사용하는 이동 성형장치에 대한 확대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5는 그림 4의 끝판 및 성형틀 사이의 경계선에서 화살표 x방향으로 본 끝판의 아랫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그림6은 그림 1의 구체형태의 배기장치에 대한 덮개의 구체형태에 대한 확대 부분 투시도이다.
그림7은 그림1의 구체형태의 배기 장치에 대한 덮개의 다른 구체형태에 대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8은 본 발명의 어느 구체 형태의 배기장치에 대한 덮개의 또다른 구체형태에 대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9는 본 발명의 배기장치에 대한 밀폐장치의 확대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10은 그림2의 배기장치의 구체형태에 대한 다른 변형의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1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성형틀 판 사이에 있는 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개스켓트 장치에 대한 확대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그림12는 그림11과 유사한 단면도이며, 그림11의 개스켓트 장치가 성형틀의 인접판 사이의 압력 때문에 압축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예컨대 사출기 및 성형틀 등으로 된 장치를 사용하여, 탄성 물질로 된 제품을 성형하는데 관한 것이며, 특히 사출기로부터 탄성 물질을 성혈틀에 채우기 이전에 성형틀의 공간에 갇힌 공기 등의 유체를 배어내는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열을 받아 경화되는 고무 혼합물이나 또는 교차결합되어 경화되는 합성 플라스틱등의 탄성물질로 된 제품을 성형하는 장치는 서로 상대 운동을 하는 사출기 및 성형틀을 포함한다. 성형틀은 여러개의 공간으로 되어 있고, 한편 사출기는 한쪽 끝이 트인 실린더로 되어 있으며 성형틀 및 사출실린더가 서로 맞닿을 때 탄성물질은 사출 실린더의 트인 끝으로부터 나와서 여러개의 성형틀의 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사출 실린더에는 여러개의 구멍이 있는 공간이 실린더의 트인 끝부분에 고정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실린더 안에서 마찰적으로 지지되어 적어도 부분적인 상대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흠이없는, 즉 울퉁불퉁하거나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경화된 부착물이 없는 탄성물질 성형 제품을 효과적으로 제조하려면, 성형틀의 공간에 탄성물질을 채우기 이전에 성형틀의 공간 및 이와 연결되는 사출실에 갇힌 공기 등의 불필요한 유체를 모두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발명은 특히 성형틀의 공간 및 사출실에 갇힌 공기 또는 기타의 유체가 존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불완전한 제품이 성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성형장치, 특히 이동 성형장치에 대한 배기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성형장치에는 한쪽 끝이 트인 사출실이 포함되어 있고, 이 사출실에는 탄성물질이 처분 및 방출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또한 여러개의 구멍이 있는 끝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끝판은 바람직하게는 열절연성 및 탄성을 갖고 있고, 사출실의 트인 끝에 부착되어 있다. 여러개의 공간이 있는 성형틀도 본 발명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고, 이들 공간은 끝판의 대응하는 구멍과 일열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는 또한 사출기 및 성형틀을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성형틀이 끝판에 맞닿게 하는 장치도 있다. 상술한 배기 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배기장치는 탄성물질을 사출실로부터 성형틀의 공간에 채우기 이전 및 채우는 동안에 사출실 및 성형틀의 공간에 갇힌 유체를 동시에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한 다음 명세서로부터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1에서 본 발명의 이동성형장치는 사출기(20) 및 성형틀(22)로 되어 있다.
사출기(20)에는 밑이 없는 사출실린더(24)가 있고, 사출실린더(24)의 사출실(28)에는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26)이 들어있다. 탄성물질(30)은 사출실(28) 안에 넣을 수 있고, 또한 피스톤(26)에 의하여 사출실(28) 밖으로 방출될 수도 있다. 사출실린더(24)의 트인 끝에는 예컨대 여러개의 구멍이 있고 열절연물질로 만든 끝판(32)가 부착되어 있다. 끝판(32)에는 여러개의 구멍(34)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으로 된 탄성판(36)에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열절연성 끝판(32)의 대응하는 구멍(34)와 각각 공통축상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성형틀(22)에는 밑판(38), 이 밑판 위에 놓인 공간 형성판(40), 그리고 이 공간 형성판 위에 놓인 덮개판(42) 등이 있다. 판(38), (40) 및 (42)는 지지장치(44)에 놓여있고, 이 지지장치(44)는 성형틀(22)를 사출기(2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게 하는 적당한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대신에, 사출기(20)을 사출실린더(24)가 성형틀(22)에 대해 상대운등을 하게 하는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장치(44)는 고정되어 있게 된다.
그림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간형성판(40)에는 여러개의 공간(46)이 있으며, 이들 공간은 덮개판(42)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48)과 일열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구멍(43)은 사출기(20)의 끝판(32)에 형성된 구멍(34)와 일열로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성형틀(22)의 판(44),(38),(40) 및 (42)의 사이에 탄성 물질로 된 3개의 개스켓트(50)을 배치하는 것이다. 탄성물질로 된 개스켓트의 특징은 그림11 및 12에 가장 잘 표시되어 있다. 각 개스켓트(50)이 성형틀의 대향하는 판(예컨대 그림 11에서 판(38) 및 (40))에 의해 압력을 받지 않을 때에는 그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고, 그 크기는 판(38)및 (40)의 경계선(52)가 서로 간격을 이루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예컨대 탄성 물질을 사출 실린더(24)로부터 성형틀의 공간(46)에 사출하기 이전에 사출기(20)및 성형틀(22)를 서로 눌러서 판(38) 및 (40)에 압력을 가하면 개스켓트(50)은 압축되어 판(38) 및 (40)(또는 (40) 및 (42)등)은 축 방향으로 서로 맞걸리게 되며, 따라서 이들 판의 경계선(52)는 서로 밀착하게 된다(그림 12). 바람직하기로는, 각 개스켓트(50)과 연결되는 각 쌍의 판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환형관(54)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 환형관(54)는 단면이 대체로 삼각형이고 그 크기는 개스켓트(50)이 압축될 때 이 개스켓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림 12).
그림 1 및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출실린더(24)의 트인 끝에는 환형홈(58)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물질로 된 환형 밀폐소재(60)의 환형어깨(62)가 사출실린더(24)의 환형홈(58)에 들어가게 된다. 밀폐소재(60)에는 또한 끝부분(54)가 있으며, 이 끝부분(64)는 축 방향으로 압축가능하고, 또한 사출기(20) 및 성형틀(22)가 처음에 서로 맞걸릴때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변형할 수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된 제일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제이 위치로 오게된다.
역시 그림 1에서 사출기(20)에는 배기장치(66)이 있어서 탄성물질을 사출실(28)로부터 성형틀의 공간(46)에 채우기 이전에 이들 공간(46)으로부터 공기와 같은 불필요한 유체를 빼내게 된다. 배기장치(66)에는 여러개의 상호 연결된 관이 있고, 이들 관이 한쪽끝은 펌프(68)과 같은 진공유도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은(a) 사출실(28)의 내부, (b)끝판(28)에 형성된 각 구멍(34), (c)덮개 판(32)에 형성된 각 구멍(48), 그리고 (d)성형틀(22)의 각 공간(46)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배기장치(66)에는 서로 수직한 한쌍의 관부분(70) 및 (72)가 사출실린더(24)의 트인 끝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평한 관부분(74)가 열절연판 및 금속판(36) 사이에서 끝판(32)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장치(66)에는 또한 측 방향의 관 즉 통로(76)이 위로 연장되어 사출실(28)의 내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통로(76)의 위에는 탄성적인 덮개(78)이 있다. 그림 6에 가장 잘 표시된 바와같이, 덮개(78)의 제일부분은 금속판(36)에 예컨대 핀(80)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제이부분(82)는 한쪽이 통로(76)의 위에 간격을 이루고 놓여 있다. 덮개(78)은 사출실(24)의 내부에서 위로부터 탄성물질에 의해 압력을 받을 때 아래로 움직여서 통로(76)을 완전히 덮어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진공유도장치68)에 의해서 성형틀의 공간(46) 및 사출실(29)로부터 공기를 빼낼 때에는, 덮개(78)은 통로(76)의 공간 위에 머물러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진공유도장치(68)은 펌프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체를 서로 연결된 공간(46) 및 사출실(28)에 사출함으로써, 탄성물질이 공기와 같은 갇힌 유체를 흡수하게 하고 따라서 갇힌 유체를 빼어낼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이산화탄소는 고무로 형성된 탄성물질에 본질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림1의 구체형태를 작업하려면, 사출기(20) 및 성형틀(22)가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여, 성형틀(22)의 덮개판(42)의 윗 표면이 밀폐소재(60)과 맞닿게 함으로써 밀폐소재(60)이 그림9에 표시된 상태로 약간 변형되게 한다. 일단 밀폐소재(60)이 이와같이 변형되면 사출실린더(24)와 성형틀(22)는 서로 효과적으로 공기 밀폐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 진공유도장치(66)을 작동하여 성형틀의 공간(46) 및 사출실(28)안에 적어도 부분적인 진공을 이루게 함으로써, 이들 공간 및 사출실로부터 유체를 빼어낸다.
유체가 공간 및 사출실로부터 빠지는 동안, 덮개(78)의 제이부분(82)(그림6)은 배기장치(66)의 통로(76)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어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작업이 끝나게 되면 사출기(20)의 피스톤(26)은 아래로 내려와서 탄성물질(30)을 여러개의 구멍이 있는 끝판(32)에 대해 압축함으로써, 이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구멍(34)를 통하여 구멍(48) 및 공간(46)으로 들어가게 한다. 탄성물질(30)이 처음에 압축될 때에는 이 탄성물질이 배기통로(76) 위에 있는 덮개(78)을 눌러서 덮개(78)이 통로(76)에 맞닿게 한다. 덮개(78)이 통로(76) 주위의 끝판(32)에 맞닿으면 덮개(78)은 통로(76)를 막아서 탄성 물질(30)이 통로(76)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적어도 처음에 공간(46) 및 사출실(28) 안에 부분적인 진공이 이루어지면, 성형틀(22)을 사출기(20)의 끝판(32)에 대하여 단단히 누를 필요가 없다. 이와는 반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은 덮개판(42)가 밀폐소재(60)과 충분히 접촉하게 함으로써, 밀폐소재(60)이 사출실(28) 및 공간(46)의 내부를 대기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으면 된다. 물론 일단 사출작업이 시작되면, 성형틀(22) 및 끝판(32)가 서로 단단히 맞닿게 하여 개스켓트(50)(그림 11 및 12)이 변형되게 하여 또한 성형틀의 판(38),(40) 및 (42)가 서로 단단히 맞닿게 해야 한다.
그림7에는 배기통로(76)과 연결되는 덮개(78)의 다른 구체형태가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발브장치(90)을 사용하여 배기통로(76)을 탄성물질로부터 밀폐시킨다. 여기서 발브장치(9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끝판(32)의 통로(76)안에 들어있게 된다. 발브장치(90)에는 원판형의 머리(92)가 봉(94)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봉(94)는 통로(76)안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봉(94)의 반대쪽 끝에는 예컨대 넛트(96)이 있으며, 이 넛트(96)은 끝판(32)에 형성된 요입부(98) 안에서 봉(94)의 끝부분과 함게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있다.
발브장치(90)의 넛트(96)및 머리(92)사이에는 예컨대 나선형 스프림(100)이 있으며, 이 스프링의 한쪽 끝은 요입부(98)의 윗 부분 또는 배기통로(76)의 아랫부분에 형성된 수축 부분(102)를 누르고, 다른쪽 끝은 머리(92)를 누르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100)은 발브장치(90)의 버리(92)를 위로 밀어서 통로(74) 및 (76)이 사출실(28)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게 하며, 이때 넛트(96)의 머리(92)의 윗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사출기(28)에 있는 탄성물질이 발브장치(90)의 머리(9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힘을 받으면, 머리(92)는 배기통로(76)의 윗 부분에 맞닿게 되며, 따라서 통로(76)을 밀폐하여 탄성물질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그림2에는 이동 성형 사출기(200)이 표시되어 있다. 이 사출기(200)은 상술한 성형틀(22)와 함께 작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림2 및 기타의 도면에 표시된 성형틀(22)의 소재에 대한 기호는 그림1에 표시된 기호와 동일하다.
그림2에 사출기(200)에는 사출실린더 및 피스톤(어느것도 도시되지 않음)이 있고, 이들 실린더 및 피스톤은 수축된 통로(204)를 통하여 조절기(202)와 연결된다. 조절기(202)에는 실린더형 방(206)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개의 구멍이 있는 끝판(32)가 실린더형 방(206)안에서 축 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림2의 예에서는, 끝판(32)에 금속으로 되고 구멍이 많은 윗판(36)이 있고, 이 윗판(36)에는 원통형 또는 환형 플레인지(37)이 있으며, 플레인지(37)은 성형틀의 공간이 조절기의 방(206)의 탄성물질로 채워지는 동안 끝판(32)를 조절기(202)에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끝판(32)가 조절기의 방(206)안에 들어있게 하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예컨데, 끝판(32)가 조절기 방(206) 안에 마찰적으로 들어있게 할 수 있다.
그림2에 표시된 바와같이, 사출기(200), 더 구체적으로는 조절기(202)에는 배기장치(208)이 있다. 배기장치(208)에는, 서로 수작한 한쌍의 통로(210) 및 (212)가 있으며, 통로(210)은 성형틀이 덮개판(42)을 향한 끝부분이 트여있다. 한편, 통로(212)는 한쪽끝이 통로(210)과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튜우브(214)와 연결되어 있으며, 튜우브(214)는 진공 유도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그림2의 구체형태를 작업하려면, 성형틀(22) 및 사출기(200)을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조절기(202)에 고정된 밀폐장치(60)이 덮개판(42)의 윗 표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유체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이 밀폐공간안에서 조절기 방(206)은 구멍(48) 및 끝판(32)의 구멍(34)를 통하여 성형틀 공간(46)과 연결된다.
그림2에는 이와같이 밀폐장치(60)이 덮개판(42)와 처음에 맞닿아 있는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성형틀의 판(38),(40) 및 (42)사이에 있는 환형 개스켓트(50)에 의하여 이들 판은 서로 약간 떨어져 있어서 그 사이에 수평 방향의 공간을 지닌다. 또한 밀폐장치(60)의 축 방향의 크기도 끝판(32)가 덮개판(42)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게 하여 그 사이에 수평방향의 공간을 지니도록 한다. 따라서 배기장치(208)은 덮개판(42) 및 끝판(32) 사이의 공간(210)(또는 경계선)과 연결되며, 또한 구멍(48)을 통하여 성형틀 공간(46)과도 연결되고 끝판(32)에 있는 구멍(34)를 통하여 조절기 방(206)의 내부와도 연결된다. 그러므로 배기장치(208)을 작동시키면, 성형틀 공간, 성형틀 판의 경계공간 및 조절기 방(206) 등을 서로 연결하는 공간으로부터 공기와 같은 불필요한 유체가 빠져나올 수 있다.
이들 공간으로부터 불필요한 유체가 빠져나오게 되면 성형틀(22) 및 사출기(200)은 더욱 서로 압축되어 성형틀(22)는 끝판(32)를 조절기 방(206)의 안쪽으로 밀게 되며, 따라서 그 위에 있는 탄성물질(30)을 충분히 압축한다. 이렇게 탄성물질(30)이 압축되면, 밀폐장치(60)및 환형 개스겟트(50)이 변형된다. 한편 성형틀의 모든 판은 서로 맞닿게 되어 성형틀(22)가 끝판(32)에 단단히 접촉하게 된다.
다음에 사출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을 작동하면, 탄성물질(30)은 끝판의 구멍(34)를 통하여 성형틀의 구멍(48) 속으로 들어가서 성형틀의 공간(46)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성형틀 공간(46)은 불필요한 유체의 방해를 받지 않고 탄성물질로 채워진다. 만일 배기장치(208)이 없다면 불필요한 유체가 존재하게 될 것이다.
그림3에는 그2림의 구체형태의 변형이 표시되어 있다. 그림2 및 그림3의 구체형태 사이의 유일한 차잊점은, 그림3에서는 배기장치(308)이 사출기(200)에 있지 않고 성형틀(22)에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배기장치(308)에는 서로 수직한 한쌍의 통로(310) 및 (312)가 성형틀(22)의 밀판(38)에 형성되어 있고, 통로(312)의 한쪽 끝은 밀판(38) 및 공간 형성판(40) 사이의 공간 또는 경계선(52)와 연결되어있다. 또한 통로(310)의 한쪽 끝은 통로(312)와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튜우브(314)와 연결되어 있으며, 튜우브(314)는 진공유도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배기장치(308)에는 또한 수직통로(316)이 공간형성판(40)을 통해 연장되어 있고, 수직통로(318)이 또한 덮개판(42)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316) 및(18)은 통로(312)와 공통축상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통로(318)은 성형틀(22) 및 조절기(202) 사이의 경제공간(320)과 연결될 뿐 아니라, 끝판(32) 및 덮개판(42) 사이의 수평방향 공간(322)와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그림3의 배기장치(308)은 그림2의 배기장치(208)과 마찬가지로 끝판(32)의 구멍(34)를 통하여 조절기 방(206)의 내부와도 연결되고 또한 구멍(48)을 통해서 성형틀 공간(46)과도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기장치(308)은 성형틀의 여러판사이의 경계공간과 성형틀(22) 및 조절기(202) 사이의 공간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그림2의 구체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체 밀폐 공간으로부터 불필요한 유체를 빼어낸다.
그림10에는 그림2의 구체형태의 또 한가지 변형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그림2의 배기장치(208)은 그림 10의 조절기(202)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림10의 배기장치(208)에는 한쌍의 통로(414) 및 (416)이 공통축상에 일열로 배치되어 성형틀(22)의 덮개판(42) 및 공간 형성판(40)의 전체를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성형틀의 판에 형성된 보조통로(414) 및 (416)든 배기장치(208)이 여러 성형틀 판 사이의 경계공간(52)와 더 잘 연결되게 하며, 따라서 이들 공간으로부터 불필요한 유체가 더 잘 빠져나오게 한다.
사출기(200) 및 성형틀(22)가 서로 맞닿도록 이동하여 모든 경계공간(52)가 닫히게 되면, 배기장치(208), 특히 밑판(38) 및 공간형성판(40) 사이의 경계선(52)와 연결되는 통로(416)의 끝이 닫히게 될 것이다. 그림2 및 3의 구체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덮개판(42)가 밀폐장치(60)과 맞닿아서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면 서로 연결된 성형틀 공간(46) 및 사출실(206)의 내부 등으로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불필요한 유체가 빠져나오게 된다. 탄성물질(30)이 여러 공간(46) 안으로 처음 들어가게 되는 동안에도 유체를 계속 빠져 나온다. 성형틀(22)가 사출기(200)과 밀착하여 맞닿게 되면 끝판(32)는 조절기 방(206) 안으로 들어오게 되며, 따라서 탄성물질(30)을 압축하게 된다. 그림4에는 본 발명의 배기장치의 다른 구체형태가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다. 이 구체형태는 끝판(32)가 사출실린더(24)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그림1의 사출기(20)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끝판(32)가 적어도 조절기 방(206)안에서 이동 가능한 그림2의 사출기(200)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림4의 구체형태에서 배기장치(500)에는 제일 또는 주 통로(502)가 끝판(32)에 형성되어 열절연 부분 및 금속판(36)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이통로(504)는 제일통로(202)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축방향으로 끝판(32)를 통하고 있으며, 그 한쪽 끝은 직경이 큰 트인부분(506)으로 되어 있다. 이 트인부분(506)은 사실은 끝판(32)의 아랫면(32′)(그림5)에 형성되어 있으며, 역시 끝판(32)의 아랫면(32′)에 형성된 기다랗고 가는 홈(508)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기다란 홈(508)은 최대직경이 0.5mm를 넘지 않는 수축된 통로(510)에 연결되어 있다. 이 통로(510)은 성형틀(22)의 덮개판(42)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표(22)의 한 공간(46)에 연결되어 있다. 통로(510)와 연결된 기다란 홈(508)의 끝부분(509)는 끝판(32)에서 막힌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끝판(32)의 전체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참고로 배기장치(500)의 여러 통로사이의 각도관계가 그림5에 표시되어 있다.
그림4의 배기장치(500)의 구체형태를 작업하려면 진공 유도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통토(502)를 사용하여 성형틀의 공간(46) 및 탄성물질(30)이 들어있는 사출기의 내부에 여러 구멍(48) 및 구멍(34)를 통해서 진공을 이루게 한다. 진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기와 같은 불필요한 유체는 수축된 통로(510), 기다란 홈(508), 수직통로(504) 및 주통로(502) 등을 통하여 성형틀 공간(46) 및 사출실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만일 공기가 빠져 나올 때 사출이 동시에 일어난다면 소량의 탄성물질(30)이 수축된 통로(510)을 통하여 기다란 홈(508) 속으로 나올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나증에 성형틀 공간(46)안의 탄성물질이 경화될 때 홈(508) 속에 나와 있는 탄성 물질도 마찬가지로 경화될 것이다. 성형틀을 사출기로부터 분리할 때는, 기다란 홈(508)에 나와있는 경화된 탄성물질은 손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홈(508) 및 수축된 통로(510)은 폭이 약 0.5mm 정도의 미소한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물질이 수직 통로(504) 및 수평통로(502) 속으로 더 빠져 나오지는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어느 구체형태에서도 배기 장치의 여러 통로속으로 탄성물질이 절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려면 그림8에 표시된 장치를 할 수 있다. 그림8에서 끝판(32)에는 배기통로(600)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확대된 요입부(6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요입부(602)는 여러개의 공간이 있는 성형틀의 덮개판(604)아 맞닿도록 되어 있다. 요입부(602)에는 삽입부(606)가 들어 있으며, 삽입부(606)의 윗구멍(608)은 배기장치(600)과 연결되어 있다. 삽입부(606)에는 방이 있으며, 이 방안에는 다공성 금속으로 된 실린더형 소제(610)이 들어있다. 삽입부 방은 소재(612)와 공통축상에 일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소재(612)에는 대단히 좁은 수직통로(612)가 있어서 유체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다공성 금속소재(610)의 작용은, 공기등과 같은 유체가 위로 통과하여 배기통로(600)속으로 들어가서 본 발명의 설형장치의 구체형태로부터 밖으로 나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직통로(614)의 크기가 좁고 또한 다공성 금속소재(610)이 있기 때문께 성형틀 공간에 있는 탄성물질을 삽입부(606)을 통하여 배기장치(600) 속으로 위로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물론 삽입부(606)대신에 크기가 통로(614)와 같은 다른 통로를 사용하여 소재(610)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떤 구체형태이냐에 관계없이 배기장치가 있기 때문에 성형틀의 공간을 탄성 물질로 채우면서, 이와 동시에 불필요한 유체를 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물질을 성형틀의 공간안에 처음 사출하기 바로 직전에 서로 연결된 성형틀 공간 및 사출실 등의 전체 공간을 통해 부분적인 진공이 형성되어 불필요한 유체가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에 성형틀 공간 및 사출실에 있는 자유공간을 탄성 물질로 채움에 따라 진공의 정도는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모든 불필요한 유체가 빠져나오게 된다.

Claims (1)

  1. 사출기에는 끝이 트인 방(24)가 있어서 그 속에 탄성물질(30)이 들어있게 되고, 피스톤 장치(26)은 상기 방안에 이동 가능하도록 들어 있어서 상기 탄성물질을 압축하여 상기 방으로부터 내보내도록 되어 있으며, 여러개의 구멍이 있는 끝판(32)는 상기 방의 트인 끝에 부착되어 있고, 성형틀(22)에는 여러개의 공간(46)이 상기 끝판의 대응하는 구멍과 일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출기 및 성형틀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게 하는 장치가 있어서 상기 성형틀이 상기 끝판과 맞닿게 하고 그리고 배기장치(68)이 있어서 탄성물질을 상기 방으로부터 상기 성형틀 공간에 채우기 이전에, 상기 방 및 상기 성형틀 공간에 갇힌 유체를 빼어내게 되어 있고, 또한 탄성물질을 상기 방으로부터 상기 성형틀 공간에 채우는 동안에도 상기 성형틀 공간에 갇힌 유체를 빼어내게 되어 있는 성형장치.
KR7702635A 1977-11-10 1977-11-10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Expired KR82000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635A KR820000557B1 (ko) 1977-11-10 1977-11-10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635A KR820000557B1 (ko) 1977-11-10 1977-11-10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57B1 true KR820000557B1 (ko) 1982-04-14

Family

ID=1920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635A Expired KR820000557B1 (ko) 1977-11-10 1977-11-10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5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2530B1 (en) Apparatus for compression molding
IE44790B1 (en) Molding apparatus
US4551085A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having vacuum chamber
EP0053187B1 (en) Vacuum type brick forming apparatus
US2883704A (en) Transfer molding apparatus
US5866176A (en) Moulding system for moulding a mass such as a mass of meat
US3619458A (en) Method of making a gasket
KR820000557B1 (ko) 성형장치(molding apparatus)
US3115162A (en) Accumulator
KR20040068676A (ko) 고압용벨로우즈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압용벨로우즈성형방법
JP4489335B2 (ja) 油圧力学的回路の制御を改善した油圧プレス装置
US5326244A (en) Axially compact compression mold
CN107791435B (zh) 用于填充模型的装置
USRE29294E (en) Press for moulding gramophone records or the like
JP3108389U (ja) 未加硫物の加硫装置
CN220429170U (zh) 一种带缸体清理的注塑机推模油缸
CN222245772U (zh) 一种热固化复合材料成型用环形模具
SU1148802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есс
RU181304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олнени форм вспенивающимс материалом
KR100594718B1 (ko) 진공성형기
KR950017143A (ko) 타이어 가류용 브라더 성형장치
SU17383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здани сверхвысоких давлений
SU1752511A1 (ru) Контейнер дл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ого прессовани порошка
SU1219392A2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литьевых машин и прессов
KR100259935B1 (ko) 밀폐형시스템의가압및밀봉장치와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