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0334B1 - 액화개스 운송 및 저장탱크의 단열 벽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개스 운송 및 저장탱크의 단열 벽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334B1
KR820000334B1 KR7701848A KR770001848A KR820000334B1 KR 820000334 B1 KR820000334 B1 KR 820000334B1 KR 7701848 A KR7701848 A KR 7701848A KR 770001848 A KR770001848 A KR 770001848A KR 820000334 B1 KR820000334 B1 KR 82000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ld
block
tank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70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꼬뜨차리앙 미첼
Original Assignee
꼬뜨차리앙 미첼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꼬뜨차리앙 미첼,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꼬뜨차리앙 미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33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3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1Liquified gas content, cryoge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화개스 운송 및 저장탱크의 단열 벽 설치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의 바람직한 형태의 예를 도시해 주는 것으로서 내장된 탱크의 90° 2면각의 부분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을 설의하는 방법의 제 1 단계를 도시한 탱크의 단편 사시도.
제 3 도는 단열벽을 설치하는 방법의 제 2 단계를 도시한 제 2 도와 동일한 단편 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벽을 설치하는 방법의 제 3 도와 동일한 단편사시도.
제 5 도는 단열벽의 일부 구성물질 주입용 주형을 장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 6 도는 주형과 외벽간을 밀폐하는 삽입체를 도시한 주형의 부분 횡단면도.
제 7 도는 내벽의 접속판에서의 누출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표시한 단면도.
제 8 도는 발명에 의한 단열벽을 2면각이 90도이상이 되는 부위에서 보았을 때의 부분단면도.
본 발명은 액화가스의 운송 및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밀폐공간을 갖는 탱크 또는 콘테이너용 단열벽, 특히 액화석유개스를 해상운송 하는데 사용되는 내장된 탱크의 단열벽에 관한 것이다.
약-150℃범위의 온도에 이르는 액화천연개스의 운송 및 저장을 위한 탱크용으로 여러가지 단열벽이 제안 된 바 있다. 그러한 종류의 단열벽은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었다. 반면에, 온도가 -50℃ 정도되는 액화석유개스의 경우에는 단열벽의 구조를 더욱 간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액화석유개스의 수송을 위한 공지의 단열벽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차례로, 액체와 바로 접촉하는 유체 밀폐막 또는 내벽, 폴리우레탄 포움(foam)과 같은 다공성 재료로된 단열 지지체, 및 내장된 탱크의 경우 배의 2중선체로 간단히 이루어진 외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벽을 만들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 패널(panel)들을 미리 만들어서 외벽에 부착 고정시켜야하기 때문에 부착된 패널들 간에는 접속지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 지지체의 패널들간에 존재하는 접속지점이 열충격을 특히 받기 쉽다는 단점과 아울러, 그 단열 지지체를 강철로된 외벽에 접착시키는 것에 관한 제반 문제점들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벽에 대하여 주형을 떼어낼 수 있게 끔 부착시킨 다음에 그 주형속으로 폴리우레탄 포움을 분산시켜 그 외벽 면상에다 직접 단열 지지체를 형상에다 직접 단열지지체를 형성 해놓음으로써 상기한 제반 결점을 제거한 단열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이런 식으로 형성된 단열 지지체는 접속지점이 없는 연속적인 단열층을 이름과 아울러, 외벽면상에 더욱 잘들어 붙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예컨대 액화개스의 운송 및 저장용 탱크 또는 콘테이너, 특히 액화석유개스의 해상수송용으로 내장된 탱크의 단열벽은 외벽을 형성하는 배의 2중선체로 이루어진 단단한 외벽, 단단한 폴리우레탄 포움과 같은 물질로된 단열 지지체, 및 이 단열 지지체상에 고착되어 내벽을 형성하는 사실상 유연한 내부 밀폐막으로 구성하는데, 그 특징은 폴리우레탄 포움을 외벽상에 직접 분사시켜 단열 지지체를 형성한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 인해서, 단열 지지체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포움은 접속지점이 없는 연속적인 단열층으로 존재하게 됨으로써 미리 만들어놓은 패널들을 사용하여 만든 공지의 단열 지지체와는 달리 불연속 지점을 내포하지 않게되므로 특히 불연속 지점을 통한 열충격의 위험이 없어지게 되어 대단히 유리함은 물론, 외벽에 접착시키는 것에 관한 제반문제도 아울러 해결된다.
더우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공지기술에서와 같이 단열 지지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패널들을 미리 만들어서 탱크설치 장소로 운반하여 정확하게 배히해야 한다는 제반과정이 필요없이 그탱크 설치장소에서 바로 폴리우레탄 포움을 분산시켜 단열 지지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탱크의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의 또다른 특징은 예정된 길이의 보강블록들을 그 탱크의 두 인접한 내면이 상술한 바 2면각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부근에서 그 2면각의 양측으로 그 2면각의 직선 모서리와 나란하게 두줄로 연달아서 배치함과 동시에 그 두 줄의 보강블록 사이는 일련의 삽입체로서 메운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술한 바 탱크의 2면각에 부근에서 단열 지지체의 일부를 이루는 보강블록을 그 외벽에 직접 분사되어 그 단열지지체의 나머지 부분을 이루는것보다 더 높은 밀도의 단단한 폴리우레탄 포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강블록의 형상은 2면각의 값과 무관하고, 그 두줄의 보강블록 사이를 메우는 삽입체의 형상만이 달라질 뿐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단열 지지체와 외벽 간의 계면에 설치된 배수도관 장치를 통해서 내벽의 유체밀폐상태를 연속적으로 점검함과 동시에 2중선체의 균열로 인해서 생길지도 모르는 누수지점을 찾아내기 위한 장치를 설치한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내벽의 접속판에다 그접속판의 누출여부를 사실상 순간적으로 검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한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잇점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 -50℃까지 이르는 온도에 있는 액화석유개스의 운송 및 저장용으로 내장된 탱크(2)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1)은 제 1 및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것들로서 구성한다 :
(가) -50℃에서 충격저항을 지닌 강(steel)으로된 배의 2중선체로 이루어진 외벽(3).
(나) 운송되는 액체의 정수압에 의한 주기적인 피로, 선체의 신장(伸張), 및 온도 변화로 인한 열응력에 대하여 잘 견디어냄과 아울러 낮은 열전도 계수를 지닌 단열 체이단열 지지체의 재료로서의 몇가지 제조조건 만 충족시키면 쉽사리 분사시킬수 있는 거대분자 구조(macromolecular structure)로된 단단한 고밀도의 폴리우레탄 포움을 사용한다.
(다) 어떤 식으로도 두 중요한 모서리 응력을 성시키지 않는 기계적인 강도를 지님과 아울러 배의 변형으로 인한 주기적인 피로에 대하여 완벽하게 대처하는, 운송 중의 액체와 접하는 밀폐막 또는 내벽(5).
내벽(5)은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유체 밀폐성 금속박판(5b)을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한 두 장의 유리포(glass cloth)(5a, 5c) 사이에 끼워서 혼합형으로 만든다. 더우기, 유리프(5a)는 내벽(5)의 단열 지지체(4)에 대한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제 1 도에서 알수 있듯이 바람직한 형태에 예에 따르면, 단열 지지체(4)는 실제로 다음과 같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즉,
(가) 폴리우레탄 포움을 주형속에 분사(상세히 후술함)으로써 제조된 부분(4a).
(나) 부분(4a)을 이루는 폴리우레탄 포움보다 더 높은 밀도의 폴리우레탄 포움으로된 보강블록(4b) 또는 우수한 전단특성을 지닌 합판과 같은 기타의 단열재로 구성된 제 2 부분.
열수축과 배의 움직임에 의해서 내벽(5)에 가해진 응력은 단열 지지체(4)를 통해서 2중선체 또는 외벽(3)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이 응력은 탱크의 모서리 부근에서 주로 전달되기 때문에 탱크의 나머지 부분에 있는 단열지지체의 부분(4a)보다 강도가 더 높은 보강 블록(4b)을 탱크의 2면각 부위에 설치한다.
제 1 및 2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 설치방법의 제 1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벽(3)의 각 내면에 연결 스터드를 나란히, 즉, 탱크(2)의 각 내면의 주변에 걸쳐서는 긴 스터드(6a)를 등간격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이 스터드(6a)의 줄로 둘러싸인 내측으로는 짧은 스터드(6b)를 그 긴 스터드와 일렬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용접시킨다.
이 작업을 마친 다음에는 외벽(3)의 벽(3a, 3b)에 의해 형성된 2면각의 직선 모서리와 나란히 두 줄(7a, 7b)의 보강블록(4b)을 설치한다. 통상 이 보강블록은 그 상하면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 한편 그 종단면은 사다리꼴로 되어 두 벽(3a, 3b)의 인접부위에 그 이면각의 모서리를 따라서 통로(8)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두 줄(7a, 7b)의 보강 블록의 인접모서리는 경사지게 깎아내며, 그 경사면(9)사이의 간격은 내벽의 설치작업이 끝난 다음에 삽입체로 메운다. 이러한 작업을 탱크(2)의 전체 모서리에 대하여 실시함으로써 탱크(2)의 각 면에는 테두리가 형성된다.
제 2 도의 바람직한 예를 보면, 각 보강 블록 줄은 두 가지의 형태의 보강블록(4b, 4b')을 교대로 배치하여 형성하는데, 그 배치방식을 볼 것 같으면 그 두 보강블록의 종단면이 사다리꼴이기 때문에 그 두 보강블록 중 하나의 넓은 바닥면이 다른 하나의 좁은 바닥면과 이어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그 두 이어진 보강블록 사이의 틈(11)은 그 보강블록이 설치되는 벽에 직각인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어 그 틈을 패킹재료(packing material)로 봉한다음에는 그 틈이 그 벽에 직각을 이루게 되는 경우보다 더 우수한 역학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강블록들을 긴 스터드(6a)에 의해서 외벽(3)상에 설치하는 방식에 관해서 제 1 및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보강블록(4b, 4b')에는 그 보강블록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적어도 한개의 구멍(47)을 뚫어 놓는다.
구멍(47)에 있어서 그 외벽(3)과 접하게되는 끝과 반대쪽에 있는 끝은 입구를 종모양으로 파내어 측면이 비스듬하게 되어있는 플라스틱제 플러그(12)가 삽입될 수 있게 끔 한다. 따라서 각 보강블록(4b, 4b')은 그 구멍(47)속으로 긴 스터드(6a)의 끝이 삽입됨으로서 각 벽에 배치되는데, 그 스터드의 길이는 그 보강블록의 두께보다 짧다. 구멍(47)에 삽입하는 플러그(12)에는 너트(13)모양의 중심 구멍을 뚫어서 그 플러그(12)를 그 구멍(47)의 종모양 입구속으로 돌출한 스터드(6a)에 나삽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각 보강블록을 외벽(3)에 확실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 그 외벽(3)과 접하는 보강블록의 표면에 예컨대 적당한 재질의 중간층(14)을 공지의 방식으로 미리 부착시켜 놓으면 이 중간층에 의해서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진다. 플러그(12)를 나삽하여 보강블록을 고정시킨 다음에는 내벽(5)을 설치하기 전에 구멍(47)의 종모양 입구를 패킹재료로 메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두 번째 중요한 단계, 즉 탱크의 벽에 떼어낼 수 있게 끔 설치한 주형속으로 폴리우레탄 포옴을 분산시켜 나머지 단열 지지체 부분(4a)을 현장에서 바로 형성해 놓는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탱크(2)의 수직면(3b)상에 단일 지지체(4)의 부분(4a)을 형성해놓은 여러 단계를 제 2-4 도에 도시하였다.
이 작업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탱크의 면(3b)에 보강블록(4b, 4b')으로 이루어진 테두리사이에 첫 번째형태의 주형을 사용하여 예컨대 그 면(3b)의 하부에서부터 일련의 단열 블록을 분산시켜 놓는다. 더욱 명확하게 말하면, 단열 블록으로된 기둥들은 서로 간격을 사이에 두고서 형성해 놓은 다음에 그 기둥들간의 간격은 두 번째 형태의 주형(15b)을 이용하여 단열재로 메운다.
이 들 두가지 형태의 주형의 구조에 관해서는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제 2 도에는 탱크벽(3b)의 하부에 설치한 주형(15a)을 도시하였다. 단열 지지체(4)의 부분(4a 및 4b)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주형(15a)을 하부 보강블록(4b, 4b')의 상면에 지지시킨다. 물론, 그 주형의 나머지 세 측면은 벽(3b)상에 지지된다. 주형(15a)은 한편으로는 보강블록을 고정시키는 긴스터드(6a)줄상에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첫 번째 짧은 스터드(6b) 줄상에 고정된다. 주형(15a)을 배치한 다음에는 예컨대 그 주형의 상부에 있는 구멍(16)을 통해서 고밀도의 폴리우레탄 포음을 분사기(도시안했음)로 분사시킨다. 이렇게 해서 블록(18a)과 같은 단열블록이 형성된다. 분사된 폴리우레탄 포음이 완전히 중합된 다음에는 주형(15a)을 고정시키는 부품을 떼어내고 그 주형속으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그 주형을 떼어낸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블록(18a)의 세 측면을 따라서는 5-10cm 정도의 두께로 폴리우레탄 포음이 과밀집된 부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과밀집된 부분을 잘라내어 버린다. 따라서 최종적인 블록(18a')이 형성된다.
모든 하부블록(17a', 18a'……)을 다 형성시킨 다음에는 그 위에 두번째 블록(17b, 18b)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절단작업을 하여 최종의 블록(17b', 18b')을 형성시킨다.
제 3 도에는 블록(17a')위로 이어서 블록(17b)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블록(17a')을 형성시킬때와 똑같은 방식으로 하며, 주형(15a)은 두 인접한 짧은 스터드 줄상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절단된 블록(17a')은 블록(17b)보다 작기 때문에, 즉 주형(15a)은 블록(17a')보다 크기때문에 그 주형(15a)의 양측에 활주대(20)를 설치하여 블록(17a')의 상부에서 그 블록(17a')과 주형(15a)이 연결되도록 한다. 환주대(20)는 그 주형의 측면에서 안내홈(21)을 통해서 벽(3b)에 대하여 직각으로 삽입되는데, 삽입될 때 그 절단된 블록에 미세한 홈을 형성시켜 놓는다. 이 블록이 형성된 다음에는 절단하여 최종의 블록(17a')을 형성시킨다. 블록(17b')에 인접한 블록(18b')도 그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해서 탱크의 벽(3b)상에는 그 하부 보강블록 줄로부터 상부보강 블록줄까지 이어진 일련의 단열블록 기둥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 4 도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두 번째 형태의 주형(15b)을 이용하여 기둥들{(17a', 17b'……), (18a', 18b'……)}간의 간격을 메우는 단계를 도시하였다. 주형(15b)은 기본적으로, 짧은 스터드(6b)에 의해서 두 인접한 기둥의 두 인접한 블록상에 놓여져서 벽(3b)과 나란히 설치되는 판(22)과 이 판의 상부에 있는 구멍(24)속으로 삽입되는 벽(3b)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활주판(23)으로 구성하는데 활주판(23)은 삽입될때 끝 부분이 두 블록(17b', 18b')의 가장자리를 미세하게 파고 들어감으로써 확실하게 고정된다. 주형(15b)을 설치한 다음에 예컨대, 그 활주판(23) 근처에 있는 구멍(25)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포음을 분사시킨다. 물론, 상술한 바 두 가지 형태의 주형에는 모두 통풍구(26)을 형성시켜서 폴리우레탄포음을 분사 시킬때 그 주형속의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을 주형(15b)에 의해서 반복하여 상술한 바 기둥들간의 간격과 아울러 그 끝 기둥과 수직의 보강블록 줄 사이의 간격을 모두 메운다.
주형을 설치할 때 이미 형성된 블록의 가장자리에 파여진 홈은 그 인접 블록을 형성할때 자동적으로 메꾸어 진다.
이와 같은 식으로 해서 탱크(2)의 전 벽면에는 단열 지지체(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단열 지지체(4)상에 내벽(5)을 부착시키는 단계에 관해서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내벽(5)은 예컨대, 요변성 접착제(thixtrotropic adhes-ve)에 의해서 단열 지지체(4)에 접착시킨다. 제 7 도를 보면 알수 있듯이 이 내벽(5)은 그와 똑같은 재질로된 접속판(30)에 의해서 완전히 밀폐된다. 제 1 도를 보면 알수 있듯이 내벽(5)은 단열 지지체의 부분(4a)뿐만 아니라 보강블록(4b)의 경사면(9)을 지나서 까지도 덮는다.
내벽을 부착시킨 다음에는 탱크(2)의 전체 2면각 부위에 있는 두 인접한 보강블록 줄의 두 인접한 경사면(9) 사이의 간격을 삽입체(10)로서 완전히 메워야 한다. 물론, 이 삽입체도 폴리우레탄으로 만든다. 이어서, 내벽(5)과 똑같은 재질의 만곡된 접속판(31)을 각 2면각 부위에서 두 인접한 보강블록 줄의 너비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서 부착시킴으로써 내벽의 2면 각 부위에서의 벽(1)의 구조를 완성시킨다. 접속판(31)과 삽입체(10)사이에는 보호 접착층(32)을 배치하여 각 2면각 부위에서 내벽(5)의 곡률을 사실상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한열벽 설치작업은 완료된다.
제 5 도에는 외벽의 이미 형성시켜 놓은 단열블록에 인접해 있는 짧은 스터드(6b)줄 상에 주형(15a)을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주형(15a)의 구멍(35)속으로 핀(36)을 집어넣어서 스터드(6b)의 끝에 나삽시킨다. 주형(15a)에는 상부판(37)을 설치하여 그 판을 관통하는 핀(36)의 나사단부상에 너트(38)가 삽입되어 그 상부판(37)상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그 주형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너트(38)를 돌리기만하면 된다. 주형(15a)이 지나치게 죄이지 않도록 핀(36)주위로 대판 슬리이브(board sleeve) (39)을 배치하여 외벽(3)상에 놓여 지도록 한다. 슬리이브(39)의 높이는 형성시킬 단열블록의 두께와 일치하며, 그 직경은 그 주형의 구멍(35)보다 크다.
제 6 도에는 주형(15a)에 있어서 제 5 도에 도시한 부분에 대하여 반대편에 있는 부분을 제 5 도의 스터드(6b)줄과 인접한 스터드(6b) 줄상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그 주형에 있어서 스터드 줄과 나란한 측면은 직각으로 구부려서 플랜지(40)를 형성시킨 다음, 그 끝에 인접한 곳에다 짧은 스터드(6b) 삽입용 구멍(41)을 뚫어놓는다. 플랜지(40)와 외벽(3)사이에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포음으로된 탄성의 삽입체(42)를 삽입하는데, 이 삽입체(42)는 주형이 두 인접한 스터드(6b)줄에 의해서 고정될 때 그 주형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 삽입체(42)는 주형을 확실하게 밀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삽입체(42)는 연속적인 띠(band)로서 주형(15a)에 있어서 외벽(3)과 접촉하는 세 끝면에 배치한다. 이 삽입체는 미리 주형에다 접착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더 쉽다.
제 6 도에서 잘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주형의 측면은 비스듬하게하여 발출여유각(draft angle) (43)을 둠으로써 폴리우레탄 포음의 분사작업이 끝난 다음에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해서 주형이 잘 떨어지도록 한다.
제 7 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의 내벽(5)의 구조를 도시하였는데, 내벽이 서로 이어지는 지점에는 접속판(30)을 설치할때 누출상태를 순간적으로 검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접속판을 접착시키기 전에 내벽(5)의 띠사이의 간격에 구멍이 뚫린 튜브(46)를 설치한다. 접속판을 접착시킨 후에 그 튜브(46)속으로 예컨대, 암모니아 같은 압축개스를 주입시키면, 그 접속판의 밀폐상태가 완벽하지 못할 경우에는 그 암모니아가 그 접속판의 외부에 있는 착색 테이프(coloured tape)에 대하여 반응을 한다. 이러한 검지작업은 접속판을 접착시킬 때에 할수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다시 제 1 도를 보면 내벽(5)과 외벽(3) 또는 배의 2중선체의 밀폐상태를 연속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장치가 내장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이 장치는 단열 지지체와 외벽(3)간의 계면에 설치되는 배수도관(50) 장치로 구성된다. 이 배수도관 장치는 주형(15a, 15b)속에다 반-접착성 재질(anti-adherent material)로 된 파이프(51)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단연 지지체(4)의 부분(4a)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포움을 분사시킨 다음에 그 폴리우레탄 포움의 중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파이프(51)를 제거한다. 물론 이러한 배수도관(50) 장치는 보강블록(4b, 4q')의 부위로도 연장시켜 수집관의 역할을 하는 2면각의 빈공간(8)속으로 통하게끔 한다. 따라서, 내벽(5)의 밀폐상태가 불완전할 경우에는 그 단열 지지체 속으로 개스가 확산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그 결과는 배수도관 장치에 의해서 탐지된다.
제 8 도에는 90°보다 큰 2면각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 사용된 보강블록(4b)은 90° 2면각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보강블록의 형태와 모양은 2면각의 값과는 무관하며 단지 두 인접한 보강블록 줄사이를 메우는 삽입체(10)의 형상만이 달라질 뿐이다. 여기에서, 탱크벽의 동일한 수준에서 블록을 여러개로 분산시켜 놓을 필요가 없이 충분히 긴 한가지 형태의 주형을 사용하지 왜 두 가지형태의 주형을 사용하는 것인가에 관해서 의문이 생길지도 모른다. 그 이유는 현존하는 분사기의 용량이 충분히 크지 못하기 때문이다.
주형속으로 분사된 폴리우레탄 포움이 외벽(3)상에 더욱잘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스펀-로빙(spun-roving)”으로서 공지된 것과 같은 적당한 재질, 예컨대 유리포로된 띠(52)를 미리 외벽(3)의 스터드 줄사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첫 번째 형태의 주형(15a)에 의해서 분사된 블록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포움이 과밀집된 외각부분(crus)을 제거해야 하는데, 두번째 형태의 주형에 의해서 분사된 블록의 경우에도 물론 보이는 부분에서는 폴리우레탄 포움이 과밀집된 외각을 제거해야 한다. 두 인접한 블록간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려면 그 외각이 제거된 부분에다 예컨대,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피막을 입힌다. 또한, 폴리우레탄 포움이 주형벽에 접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형벽에다 반-접착성 물질로 피막을 입힌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은 액화 석유개스 운송용으로 내장된 탱크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열 지지체의 대부분을 외벽상에 분사시켜서 형성한다는 사실은 수 많은 잇점을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연속적인 단열지지체가 형성된다는 점은 미리 만들어논 단열용 패널들을 외벽에 고정시켜 형성하는 공지기술의 경우에서는 결코 얻을 수 없는 잇점이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한 단열벽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간단하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탱크를 건조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조건을 완전히 만족시킨 단열벽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외벽을 형성하는 배의 2중선체로 이루어지는 단단한 외각, 폴리우레탄 포움과 같은 단열재를 외벽상에 직접 분사시켜 형성하는 단단한 단열 지지체, 및 이 단열 지지체상에 유연한 밀폐막을 고착시켜 형성하는 내벽으로 구성하는 액화석유 개스 수용 탱크의 단열벽 설치방법에 있어서, 외벽의 각 내면상에 연결 스터드를 용접고정시켜 연결 스터드줄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유리포와 같은 재질의 띠를 덮어서 외벽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예정된 길이의 보강 블록을 탱크의 두 인접한 내면이 2면각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부위에 그 2면각이 직선 모서리와 나란하게 연달아서 배치하고, 그 보강블록과 외벽 사이에 접착성 물질과 스터드로 보강블록을 외벽에 고착시켜서, 이 보강블록으로 형성된 테두리 속에 보강블록의 두께만큼 폴리우레탄 포움을 분사주입하여 형성된 단열 지지체상에 내벽을 부착시켜서 2면각이 시작되는 부위에 있는 두 보강블록줄 사이의 간격을 삽입체로 완전히 메운다음, 삽입체가 있는 부위를 만곡된 접속판으로 2면각을 형성하는 탱크의 두 인접내벽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 설치방법.
KR7701848A 1976-08-10 1977-08-10 액화개스 운송 및 저장탱크의 단열 벽 설치방법 Expired KR820000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7624415A FR2361601A1 (fr) 1976-08-10 1976-08-10 Structure de paroi composite thermiquement isolante et procede de montage dans un reservoir de transport et/ou de stockage de gaz liquef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334B1 true KR820000334B1 (ko) 1982-03-22

Family

ID=917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848A Expired KR820000334B1 (ko) 1976-08-10 1977-08-10 액화개스 운송 및 저장탱크의 단열 벽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128069A (ko)
JP (1) JPS5336758A (ko)
KR (1) KR820000334B1 (ko)
BE (1) BE857600A (ko)
DE (1) DE2735015A1 (ko)
DK (1) DK355277A (ko)
ES (1) ES461519A1 (ko)
FR (1) FR2361601A1 (ko)
GB (1) GB1589384A (ko)
IT (1) IT1086111B (ko)
PL (1) PL114813B1 (ko)
PT (1) PT66900B (ko)
SE (1) SE437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1520B1 (fr) * 1992-05-20 1994-09-02 Technigaz Ste Nle Structure préfabriquée de formation de parois étanches et thermiquement isolantes pour enceinte de confinement d'un fluide à très basse température.
US5727492A (en) * 1996-09-16 1998-03-17 Marinex International Inc. Liquefied natural gas tank and containment system
FR2781557B1 (fr) * 1998-07-24 2000-09-15 Gaz Transport & Technigaz Perfectionnement pour un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panneaux prefabriques
FR2813111B1 (fr) * 2000-08-18 2002-11-29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retes longitudinales ameliorees
US6969551B2 (en) * 2002-04-17 2005-11-29 L & L Products, Inc. Method and assembly for fastening and reinforcing a structural member
GR1004295B (el) * 2002-04-30 2003-07-18 Γεσικατ Εταιρεια Περιορισμενης Ευθυνης Με Δ.Τ."Γεσικατ Επε" Πλαστικοποιηση με πολυμερη υλικα μεταλλικων πλεγματων η αλλων μεταλλικων στοιχειων με περιστροφικη χυτευση για την παραγωγη προιοντων ενισχυμενης αντοχης
GB0300159D0 (en) 2003-01-06 2003-02-05 L & L Products Inc Improved reinforcing members
CN100483006C (zh) * 2004-07-06 2009-04-29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用于储存液化气体的容器
US8381403B2 (en) 2005-05-25 2013-02-26 Zephyros, Inc. Baffle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100644217B1 (ko) * 2006-04-20 2006-11-10 한국가스공사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그제조방법
DE102007059293B4 (de) * 2007-12-08 2009-09-10 R & M Ship Tec Gmbh Auskleidung eines Flüssig-Gas-Behälters mit Mehrschicht-Paneelen und Mehrschicht-Paneel für eine Auskleidung
DE102008003626B4 (de) * 2008-01-09 2010-01-21 R & M Ship Tec Gmbh Auskleidung eines Flüssig-Gas-Behälters
KR101215629B1 (ko) * 2008-06-20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코너 패널
US20110168722A1 (en) * 2010-01-13 2011-07-14 BDT Consultants Inc. Full containment tank
CN102295116B (zh) * 2011-06-01 2016-08-03 哈尔滨北仓粮食仓储工程设备有限公司 带有保温面板支撑装置的筒仓或罐体
FR2977562B1 (fr) * 2011-07-06 2016-12-23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FR2984454B1 (fr) * 2011-12-20 2015-04-03 Gaztransp Et Technigaz Paroi de cuve comportant une conduite
FR2984992B1 (fr) * 2011-12-21 2015-03-27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munie d'un dispositif de retenue
KR101349881B1 (ko) * 2012-06-13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US20160273709A1 (en) * 2012-11-13 2016-09-22 Nli Innovation As Support assembly
FR3002515B1 (fr) * 2013-02-22 2016-10-21 Gaztransport Et Technigaz Paroi de cuve comportant un element traversant
CA2902667C (en) * 2013-03-15 2017-07-04 Jesse Rickey Simmons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ubstantially impermeable wall
JP6331344B2 (ja) * 2013-11-15 2018-05-30 株式会社Ihi メンブレンアンカー機構
JP6537769B2 (ja) * 2013-11-15 2019-07-03 株式会社Ihi 低温タンク
FR3038690B1 (fr) * 2015-07-06 2018-01-05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yant une membrane d'etancheite secondaire equipee d'un arrangement d'angle a toles metalliques ondulees
FR3042253B1 (fr) * 2015-10-13 2018-05-1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KR101875328B1 (ko) * 2017-06-01 2018-07-05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봉 및 단열 탱크, 상기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상기 선박의 적재 또는 하역 방법, 및 상기 선박을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FR3068763B1 (fr) * 2017-07-04 2020-10-02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e corniere.
CN109606570A (zh) * 2018-10-31 2019-04-1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MarkⅢ型液货舱90°角区模块间次屏蔽紧固装置的使用方法
FR3102138B1 (fr) * 2019-10-17 2022-05-20 Gaztransport Et Technigaz Poutre de raccordement pour une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de stockage de gaz liquéfié
FR3102533B1 (fr) * 2019-10-25 2023-12-22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structure d’angle de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108107B1 (fr) * 2020-03-11 2024-03-22 Gaztransport Et Technigaz Ensemble d’au moins deux bloc de mousse d’un massif d’isolation thermique d’une cuve
CN117818822B (zh) * 2024-03-06 2024-06-1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薄膜型低温液货围护系统角区模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9418A (ko) * 1962-03-12
US3367492A (en) * 1964-09-03 1968-02-0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Insulation system
FR1554714A (ko) * 1967-10-12 1969-01-24
GB1442399A (en) * 1973-05-18 1976-07-14 Marine Ind Developments Ltd Containers for storing substances at sub-zero temperatures
US3929247A (en) * 1973-07-11 1975-12-30 Kaiser Aluminium Chem Corp Cryogenic tank
FR2271497B1 (ko) * 1974-01-24 1976-10-08 Techniga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735015A1 (de) 1978-02-16
GB1589384A (en) 1981-05-13
ES461519A1 (es) 1978-12-01
PT66900A (fr) 1977-09-01
SE437805B (sv) 1985-03-18
FR2361601B1 (ko) 1979-01-12
PL114813B1 (en) 1981-02-28
FR2361601A1 (fr) 1978-03-10
PL200162A1 (pl) 1978-04-10
BE857600A (fr) 1978-02-09
SE7708966L (sv) 1978-02-11
JPS5336758A (en) 1978-04-05
DK355277A (da) 1978-02-11
US4128069A (en) 1978-12-05
PT66900B (fr) 1979-02-01
IT1086111B (it) 198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0334B1 (ko) 액화개스 운송 및 저장탱크의 단열 벽 설치방법
CN106461158B (zh) 密封隔热罐及制造方法、船舶及其装卸载方法及传输系统
US4170952A (en) Cryogenic insulation system
US4747513A (en) Heat insulating wall structure for a fluid-tight tank
US4513550A (en) Method of building a reservoir for storing a liquid at low temperature
CN112032550B (zh) 一种用于液化天然气储存的双金属低温薄膜储存舱
JPH07500406A (ja) 極低温流体密閉容器の水密断熱壁を形成する予備形成構造体
CA2675935A1 (en) Method for making an insulating and tight wall for a tank
CN107859075A (zh) 一种预制综合管廊接缝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US12038136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having anti-convection insulating seals
CN114072652B (zh) 用于对密封膜的密封性进行测试的方法
KR101865674B1 (ko) 고성능 단열 구조재가 적용된 중대형 lpg 운반선 화물창, 그 중대형 lpg 운반선 화물창 제조방법, 및 그 고성능 단열 구조재
KR20110015638A (ko) 물결형 비드를 이용한 액화-가스 저장 탱크용 절연 블록의 접착 고정
JP6228709B1 (ja) 密閉断熱タンク
US20040188438A1 (en) Full contact floating roof
US4626133A (en) Waterstop for monolith joints
CN207597442U (zh) 一种预制综合管廊接缝防水结构
KR20220157393A (ko) 밀폐 단열 탱크
CN113236959A (zh) 一种用于液化天然气储存的低温薄膜陆用储罐绝缘板的固定安装方式
CN104439819B (zh) 一种低温双层液氨储罐施工工艺
KR890005309B1 (ko) 2개 구조부재 사이의 웨지형 공간내 절연체
KR102474599B1 (ko) 밀폐 및 단열 탱크
JPS621519Y2 (ko)
RU2828947C2 (ru)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межпанель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KR102380744B1 (ko) 독립형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단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8803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8032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