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0221B1 - 전자식 전압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압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221B1
KR820000221B1 KR1019800000874A KR800000874A KR820000221B1 KR 820000221 B1 KR820000221 B1 KR 820000221B1 KR 1019800000874 A KR1019800000874 A KR 1019800000874A KR 800000874 A KR800000874 A KR 800000874A KR 820000221 B1 KR820000221 B1 KR 82000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iac
resistor
voltage regulator
electronics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김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남 filed Critical 김정남
Priority to KR101980000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22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전압 변환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회로도.
제 2 도는 전압 변환기의 정단면도.
제 3 도는 전압 변환기의 외형도.
본 발명은 트랜스 훠머(Trans famer)식 전압변환기를 개선하여 전자회로로서 구성시킨 전압변환기며, 지금까지의 전압변환기는 코아 철심에 에나멜 동선을 1차, 2차로 감아서 코아의 단면적인 코일의 권선수에 비례하여 강압 또는 승압하는 작용을 갖는 것으로 오늘날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압변환기는 자체 손실(효율이 96% 정도이며, 손실이 4% 정도)도 많을 뿐 아니라, 고가의 코아철심과 에나멜 등선을 사용하여야 하고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며 전압 변환기의 중량이 커서 경제적인 손실이나 사용상 불편이 많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결점을 제거하고 트라이액과 다이액을 응용하여 부피가 작고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 자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전자식으로, 트랜스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고 용량도 소형으로부터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활용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220V 승압지역에 있어서는 100V용 가전제품의 전원단을 개조함이 없이도 사용 가능토록 하였을 뿐 아니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단상 3선방식을 지양할 수 있는 소형의 소켓형태의 전압 변환기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입력부 단자(가)와 출력부 단자(나) 사이에 휴즈(F)를 병설하고, 입력부 단자(다)와 출력부 단자(라)간에 트라이액(TiTRIAC)을 결선하였으며, 저항(Ro)을 출력단단자(나)와 단자(라) 사이에 접속시켰으며, 트라이액(T)의 게이트(G)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다이액(D1iDIAC)과 게이트 전압의 위상 제어를 위한 시정수 회로 콘덴서(C1), 저항(R1)을 직·병렬로 구성하여 트라이액(T)의 게이트(G)에 연결하였으며, 다이액(D2)과 저항(R2)을 트라이액(T)과 병렬로 연결하여, 단자(다)와 (라) 사이의 전압을 안정화시키고 트라이액(T)에 흐르는 전류를 분류시켜 트라이액(T)을 보호토록 구성하였다.
미설명된 콘덴서(C2)와 저항(R3)은 트라이액(T)의 애노드 1(A1)과 애노드 2(A2) 양단간에 병렬로 연결시킨 트라이액(T) 보호 회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입력단자(가)와 (다)사이에 교류 220V(60HZ)가 인가되면, 가변 저항(R1)을 거쳐 콘덴서(C1)에 충전되게 되고 일정 전압이 충전되게 되면 방전을 개시하여 다이액(D1)을 도통시켜 트라이액(T)의 게이트(G)에 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므로, 트라이액(T)이 도통하게 된다.
이때 트라이액(T)의 애노드 1(A1)을 통과한 전압은 가변저항(R1)의 조정에 따라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위상 제어된 전압으로 애노드 2(A2)를 거쳐 출력단자(라)에 인가되게 된다.
한편 저항(R2)과 다이액(D2)은 트라이액(T)을 통과한 전압에 변동이 있을시 보상토록 한 것으로, 저항(R2)으로 전압을 강하시켜 다이액(D2)을 거쳐 출력단자(라)에 인가토록 한 구성이다.
이때 저항(R2)은 전류 제한을 하는 동시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 소켓의 출력단에 부하를 연결시킬 때 야기되는 과도현상에 의한 과전류 현상으로 부터 전류를 분할하여 흐르게 함으로서 트라이액(T)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출력단자(나)와 (라)사이에 인가된 전압은 안정화가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저항(R0)을 사용하여 양단간의 전압을 안정화 시켰으며, 저항(R0)은 네온 램프 등으로 대치하여 소켓의 표시램프로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네온 램프는 점등 전압이 높고(부하시 과도 전압 정도에서 점등되는 것이 좋음), 점등 유지 전압이 100V 정도인 것이 좋다.
제 2 도는 전압변환기의 단면도로서 220V 프러그와 본 발명의 휴즈(F)와 강압 전자 회로를 수장한 케이스, 그리고 100V용 소켓용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이때 케이스는 트라이액(T)의 동작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방사할 수 있으며 절연성이 양호한 것이 좋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회로를 수장한 전압 변환기의 외형도이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종래의 코일형 전압 변환기에 비해 경제적이며, 생산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으며 전력 손실의 면에서도 우수한 절전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되고, 명세서에 명시된 바와 같이, 트라이액(T)과, 다이액(D1), 가변저항(R1), 콘덴서(C1)로 구성된 위상제어 회로, 저항(R2)과 다이액(D|2)으로 구성된 보상회로, 그리고 안정화 저항(R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압 변환기.
KR1019800000874A 1980-03-04 1980-03-04 전자식 전압 변환기 Expired KR82000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874A KR820000221B1 (ko) 1980-03-04 1980-03-04 전자식 전압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874A KR820000221B1 (ko) 1980-03-04 1980-03-04 전자식 전압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221B1 true KR820000221B1 (ko) 1982-03-05

Family

ID=1921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874A Expired KR820000221B1 (ko) 1980-03-04 1980-03-04 전자식 전압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2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745A (ko) 고주파 개스방전램프 디밍 밸러스트
US2965799A (en) Fluorescent lamp ballast
JPH0533519B2 (ko)
KR820000221B1 (ko) 전자식 전압 변환기
US3371245A (en) Discharge lamp circuit having series condenser and shunt switch for discharging condenser through lamp
US3015058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device
JPS59897A (ja) 低電圧白熱電球容量性安定器
SU15117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упенчат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100364529B1 (ko) 상용전원의 강압회로
RU112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итания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а
SU1191891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594490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JPS61237461A (ja) トランジスタモジユ−ル装置
SU663047A1 (ru) Автономны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инвертор
SU1056150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ограничитель напр жен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SU858189A2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SU532853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US3209240A (en) Regulating transformer system
RU2035078C1 (ru) Свароч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SU924681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5429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180860A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850001343B1 (ko) 네온관용 전자식 트랜스
US1828573A (en) Electrical apparatus
SU1068914A1 (ru) 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304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20205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