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0119B1 -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119B1
KR820000119B1 KR7903456A KR790003456A KR820000119B1 KR 820000119 B1 KR820000119 B1 KR 820000119B1 KR 7903456 A KR7903456 A KR 7903456A KR 790003456 A KR790003456 A KR 790003456A KR 820000119 B1 KR820000119 B1 KR 82000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line
formula
compound
mol
amino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90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선
김덕규
Original Assignee
강신호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호, 동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신호
Priority to KR790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11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Ⅰ)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 저급알콜시, -NH2기 또는 -OM 기이며, (여기에서 M은 알칼리 금속이다)
R2및 R3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며, R4는 수소, 저급알킬 하이드록시기이며,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안지오텐신 Ⅰ을 안지오텐신 Ⅱ(혈압 상승의 요인 물질)로 전환시키는 안지오테신 변환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서 안지오텐신성 고혈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서, 미국특허 제 4, 046, 889 호, 일본공개특허 소 52-116457 호 등에 그 제법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 기술된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 구조식(Ⅲ)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Ⅳ)의 할로알카노 인산의 반응성 유도체와 반응시켜서 얻어진 다음 구조식(Ⅴ)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Ⅵ)의 치오산과 반응시키고, 얻어진 다음 구조식(Ⅶ)의 화합물을 가수분해 시켜서 상기구조식(Ⅰ) 화합물을 제조하였으며, 반응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그러나 상기 반응 공정은 여러 반응공정을 거칠뿐만 아니라 수율이 나쁘며, 또한 치오산 제조가 어려운 점등 공업적 제조방법에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상의 난점을 제거하고 값싸게 높은 수율로 목적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구조식(Ⅱ)의 설파이드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Ⅲ)의 아미노산 유도체와 반응시켜서 얻어진 다음 구조식(Ⅳ)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분해 시켜서 상기 구조식(Ⅰ)의 아미노산유도체를 제조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 R2, R3, R4, m 및 n은 상술한 바와 같고, X는 하이드록시, 할로겐을 나타낸다.
구조식(Ⅱ)의 출발물질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예를들면 β-니트로스틸렌 유도체를 치오-카복실산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Angew Chem internat, Edit/Vol. 14(1975)/No. 12)β-니트로스틸렌 유도체는 공지의 화합물로 글루타치온 합성에서 치올기의 보호에 사용하고 있는 화합물로서 β-니트로스틸렌과 치오-카복실산과의 반응은 촉매(통상으로 염기성 촉매, 특히 모르포린 화합물) 존재하에 수용액 중에서 쉽게 결합하여 치올기가 보호된다.
본 β-니트로스틸렌은 1급 또는 2급 아민류가 공존하여도, 상기반응 조건하에서는 이들 아민류와 반응함이 없이 선택적으로 치올기와 반응하기 때문에 펩타이드 합성에서 치올보호기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β-니트로스틸렌이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에 보호기로 사용된 반응은 보고된 바 없다.
R이 수산기인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에스테르와시켜서 그 에스테르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알콜성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R이 -NH2인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R이 -OR'(여기에서 R'는 저급알킬이다)인 경우에도 통상의 방법으로 에스테르를 가수분해 시켜서 R이 수산기인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구조식(Ⅱ) 화합물과 구조식(Ⅲ) 화합물을 반응시킴에는 디옥산, 염화메틸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과 같은 무수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X가 수산기인 구조식(Ⅱ)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탈수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X가 할로겐인 구조식(Ⅱ)화합물을 사용할 때에는 무기 또는 유리의 염기를 축합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기로는 중탄산소다, 중탄산칼륨 등과 같은 무기염기, 트롤에칠아민, 피리딘 등과 같은 3급 아민 및 모르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조식(Ⅳ) 화합물을 수소화 분해시켜서 보호기를 제거하는 반응은 온화한 환원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며, 금속과 산 촉매존재하의 수소화반응으로 행할 수 있으며, 약산과 금속 예를 들면, 초산과 활성아연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반응은 귀금속 촉매 존재하에서 수소로 접촉 환원시켜서 보호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촉매로는 백금, 산화백금, 라니닉켈, 팔라듐/탄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온 및 상압하에서 접촉 환원시킴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1-(2-머캅토 아세틸)-L-프롤린의 제조
L-프롤린 11.5g(0.1몰)을 N-중탄산칼륨용액 100ml에 용해시킨후 온도를 0-5℃로 유지하면서 2-(2-니트로-1-페닐에칠치오) 아세틸 클로라이드 26g(0.1몰)을 서서히 가한 다음 5-10℃ 유지하면서 2시간 반응시킨다. 다음에 15℃로 온도를 상승시킨 후 1시간 더 교반한 다음 pd/c를 촉매로하여 수소 발생기를 이용하여 15-20℃로 유지하면서 H2gas를 6시간 동안 공급시킨다. 반응 완료 후 여과하여 pd/c 및 불용성 생성물을 제거하고 물 20ml를 가한 후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소금으로 포화시켜서 초산에틸 200m 씩으로 3회 추출해낸다. 다음에 무수망초로 건조후 감압 증류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면 1-(2-머캅토아세틸)-L-프롤린 17.2g(91%)을 획득한다. 융점 133-136℃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4.43% 5.85% 25.38% 7.39% 16.95%
실측치 44.3% 5.9% 25.3% 7.5% 17.0%
[실시예 2]
1-2-머캅토 프로파노일)-L-프롤린의 제조
L-프롤린 11.5g(0.1몰)을 N-수산화나트륨 100ml에 용해시킨 후 온도를 0-5℃로 유지하면서 2-(2 니트로-1-페닐에칠치오)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27.4g(0.1몰)을 가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나가면 융점이 115-120℃인 1-(2-머캅토프로파노일)-L-프롤린 18g을 얻는다. (89%)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7.28% 6.44% 23.62% 6.89% 15.77%
실측치 47.3% 6.55% 23.4% 7.0% 17.75%
[실시예 3]
1-(3-머캅토프로파노일)-L-프롤린의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L-프롤린 11.5g(0.1몰) 에다 3-(2-니트로-1-페닐에칠치오)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27.4g(0.1몰)을 가하여 반응시켜 1-(3-머캅토프로파노일)-L-프롤린 18.1g을 획득한다(89.5%) 융점 68-69℃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7.28% 6.44% 23.62% 6.89% 15.77%
실측치 47.4% 6.25% 23.5% 6.9% 15.85%
[실시예 4]
1-(3-머캅토프로파노일)-4-메칠-L-프놀린의 제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4-메칠-L-프롤린 13g(0.1몰)을 3-(2-니트로-1-페닐에칠치오)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27.4g(0.1몰)에다 작용시켜 1-(3-머캅토프로파노일) 4-메칠-L-프롤린 19.29g(88.5%)을 얻는다.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9.75% 6.95% 22.09% 6.46% 14.75%
실측치 49.8% 6.8% 22.2% 6.7% 14.6%
[실시예 5]
1-(3-머캅토-2-메칠프로파노일)-L-프롤린의 제조
L-프롤린 11.5g(0.1몰)을 N-탄산나트륨용액 110ml에다 용해시킨 후 온도를 10-15℃로 유지하면서 30분간 교반한다. 다음에 3-(2-니트로-1-페닐에칠치오)-2-메칠-프로파노일브로마이드 33.2g)0.1몰)을 15℃ 미만에서 소량씩 가한 다음 5-10℃로 유지하면서 3시간 반응시킨다. 다음에 20℃로 온도를 상승시킨 후 2시간 더 교반한 다음 초산 13g을 가하여 강력하게 교반하면서 활성화아연 15g을 소량씩 1시간에 걸쳐 가해 나간다.
이때 발열이 심하니 조심하면서 온도를 15℃ 미만으로 유지시킨다. 아연 투입이 완료된 후 동일 온도에서 5시간 더 교반한 다음 불용물 및 미반응의 아연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의 pH를 4.5-5.5로 유지시킨 다음 다시 불용물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이여액을 소금으로 포화시켜서 초산에틸 150ml 씩으로 3회 추출해낸다.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을 건조시킨다음 감압증류시키면 1-(3-머캅토-2-메칠프로파노일)-L-프롤린 19.75g(90.6%)을 획득한다. 융점 103-104℃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9.75% 6.95% 22.09% 6.46% 14.75%
실측치 49.85% 6.7% 22.52% 6.6% 14.5%
[실시예 6]
1-(3-머캅토프로파노일)-L-아제티딘-2-카르복실산의 제조실시예 5의 방법으로, 출발물질인 L-아제티딘-2-카복실산 10.1g(0.1몰)을 3-(2-니트로-1-페닐에칠치오)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27.3g(0.1몰)과 작용시켜 1-(3-머캅토프로파노일)-L-아제티딘-2-카르복실산 16.4g(86.5%)을 얻는다.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4.43% 5.85% 25.37% 16.95% 7.4%
실측치 44.5% 5.65% 25.37% 17.0% 7.48%
[실시예 7]
1-(3-머캅토-2-메칠프로파노일)-L-하이드록시프롤린의 제조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출발물질로서 L-플롤린 대신에 L-하이 드록시프롤린 13.1g(0.1몰)을 사용하여 1-(3-머캅토-2-메칠프로파노일)-L-하이드록시프롤린 20.8g(89.3%)을 획득한다.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6.34% 6.48% 27.43% 6.0% 13.75%
실측치 46.5% 6.2% 27.43% 6.3% 13.57%
[실시예 8]
1-(2-머캅토아세틸)-L-프롤린 메칠에스텔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2-머캅토 아세틸)-L-프롤린 15g(0.079몰)을 메타놀에 용해시키고 디아조메탄의 에텔 용액을 가하면서 강하게 교반한다. 황색을 유지하는 범위내어서 상기 용액을 계속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한다. 다음에 초산 수적을 가하여 과잉의 디아조메탄을 분쇄시키고, 다음에 감압 농축시켜 1-(2-머캅토아세틸)-L-프롤린메칠 에스텔 14.4g(89.5%)을 획득한다.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7.28% 6.44% 23.60% 6.9% 15.78%
실측치 47.3% 6.2% 23.6% 7.0% 15.9%
[실시예 9]
1-(3-머캅토부타노일)-L-프롤린의 제조
L-프롤린 11.5g(0.1몰)을 N-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00ml에 용해시킨다음 3-(2-니트로-1-페닐에칠치오) 부타노일브로 마이드 33.2g(0.1몰)을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다. 다음에 25-30℃에서 2시간 더 교반한 다음 15℃로 낮추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용량을 1/2로 한 다음 여과한다.
여액을 에타놀 100ml를 가한 다음 10% pd/c 촉매를 가한 후 상압실온에서 4시간 동안 수소화시킨다.
다음에 여과하여 pd/c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1/2로 농축시킨 다음 초산에틸 150ml 씩으로 3회 추출해낸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2회 세척한 후 무수망초로 건조 후 감압 농축시키면 1-(3-머캅토부타노일)-L-프롤린 18.3g(84.2%)을 획득한다.
원소분석 : C H O N S
이론치 49.75% 6.95% 22.09% 6.46% 14.75%
실측치 50.0% 6.8% 22.09% 6.6% 14.51%

Claims (1)

  1. 다음 구조식(Ⅱ)의 화합물과 다음 구조식(Ⅲ)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다음 구조식(Ⅳ)의 화합물을 수소화 분해시켜서 다음 구조식(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5
    (Ⅰ)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NH2기 또는 -OM기(여기에서 M은 알칼리 금속이다)이며, R2및 R3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며, R4는 수소, 저급알킬 또는 하이드록시기이며, X는 하이드록시 또는 할로겐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
KR7903456A 1979-10-10 1979-10-10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Expired KR82000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456A KR820000119B1 (ko) 1979-10-10 1979-10-10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456A KR820000119B1 (ko) 1979-10-10 1979-10-10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119B1 true KR820000119B1 (ko) 1982-02-18

Family

ID=1921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456A Expired KR820000119B1 (ko) 1979-10-10 1979-10-10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1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2751B1 (da) Cis,endo-2-azabicyclo[3,3,0]octan-3-carboxylsyrer og estere deraf samt salte deraf og fremgangsmåde til deres fremstilling
CN1065526C (zh) 制备n-甲基-n'-硝基胍的方法
KR100195895B1 (ko) 3-(l-피로글루타밀)-l-티아졸리딘-4-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HU196816B (en) Process for producing alkali- and ammonium-salts of 4-/hydroxy-methyl-phosphinyl/-2-amino-butiric acid
US527616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4-hydroxy-2-oxopyrrolidin-1-yl-acetamide
Wheeler et al. Synthesis of 1-aminocyclopropenecarboxylic acid: the unsaturated analog of ACC
KR820000119B1 (ko)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460780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thiol compounds
JP3716376B2 (ja) 光学分割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活性3−アミノピロリジン誘導体の製造法
EP026058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pha-N-[(hypoxanthin-9-yl)-pentyloxycarbonyl]-arginine
HU213315B (en) Process for producing arylacetic acids and their alkali metal salts
US4668798A (en) Process for preparing pyrrolidine derivatives
DE2245392C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tert-Butyloxycarbonyl-, N-tert-Amyloxycarbonyl- oder N-4-MethoxybenzyIoxycarbonylaminocarbonsäuren oder -peptiden
SU803859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тиопропионами-дОВ или иХ КиСлОТНО-АддиТиВНыХСОлЕй
US4017512A (en) Process for producing N-alkylhydroxylamines
KR870001569B1 (ko) 피롤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3790598A (en) Process for preparing alpha-amino acids
NZ201412A (en) Preparation of 4-aminobutyramide
KR960034188A (ko) (-)3(에스)-메틸벤즈옥사진 유도체의 제조방법
JP3572668B2 (ja) アシルアミノフタル酸誘導体の製造方法
US5840972A (en) Process for preparing NG -monoalkyl-L-arginine and related compounds
EP0066440B1 (en) Chemical process
KR850001529B1 (ko) 아미노산의 페놀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40005014B1 (ko) 피롤리딘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60009267B1 (ko) 프롤린유도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101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20120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82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4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2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2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4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1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1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19951120

Termination category: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