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10001765B1 - S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Sor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65B1
KR810001765B1 KR7502219A KR750002219A KR810001765B1 KR 810001765 B1 KR810001765 B1 KR 810001765B1 KR 7502219 A KR7502219 A KR 7502219A KR 750002219 A KR750002219 A KR 750002219A KR 810001765 B1 KR810001765 B1 KR 81000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uit
discharge
latch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502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에프 패득크 폴
다불류 크라아머 제리
Original Assignee
돈 에이 하아트
선키스트 그로오아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돈 에이 하아트, 선키스트 그로오아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돈 에이 하아트
Priority to KR75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65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2Soft elements to prevent damage to articles, e.g. bristles, fo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24Gravity conveyor moving item from separating station

Landscapes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분류 장치Sorting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선별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과일 분류장치의 도식적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ruit sor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orting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선별 콘베이어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sorting conveyor.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제4도는 한 배출지점에 있어서의 선별콘베이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sorting conveyor at one discharge point.

제5도는 선별콘베이어의 동일부분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same part of the sorting conveyor.

제6도는 개개의 과일 보지구와 이에 상응하는 원격제어 트립퍼(tripper)의 구조를 보여주는 제5도의 선 6-6에 따라 취한 확대 횡단면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5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fruit retainer and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tripper.

제7도는 보지구를 직립위치에 보존시키기 위한 보지구 래치(latch)의 정상 위치를 보여주는 제6도의 선 7-7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6 showing the normal position of the latch for retaining the retaining tool in the upright position.

제8도는 래치가 원격제어 트리퍼에 의해 어떻게 탈착되었는가를 보여주는 유사한 도면이다.8 is a similar view showing how the latch is removed by the remote control tripper.

제9도는 제6도의 선 9-9에 따라 취한 횡단면도인데 이 도면은 제7도와 비슷하나 래치를 반대쪽으로 본 것이다.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6, which is similar to FIG. 7 but with the latch on the opposite side.

제10도는 고정 캠이 탈착된 보지구를 정상의 걸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도이다.Fig. 10 is a partial view showing return of the holding tool from which the fixing cam is detached to the normal locked position.

제11도는 배출지점에 있는 유도 활송관(滑送管)의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11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of the guide chute at the discharge point.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에 따라 취한 유도 활송관의 종단면도이다.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guide chute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제13도는 제11도의 선 13-13에 따라 본 유도 활송관의 횡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guide chute as seen along line 13-13 of FIG.

본 발명은 연속해서 물건을 자동적으로 검사하고 물건들을 등급에 따라 분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서 과일들은 단일 열내에서 운송되어 과일들을 등급에 따라 분류하고 이러한 상이한 등급들에 대한 평가신호를 발하는 검사지점을 지나간다. 그리고 나서 과일들은 과일의 상이한 평가등급에 상응하는 일련의 배출지점들을 갖는 선별 콘베이어의 주행 보지구들에 의해 이동된다. 특수한 과일에 대한 평가신호는 전자적으로 저장되었다가 후에 특수한 과일용 보지구가 배출지점에 접근할 때 해당 배출지점에 전달된다. 평가신호는 그 과일이 배출지점에서 탈착되어 그 과일을 해당 수집지점에 이송시키는 해당 횡방향의 등급 콘베이어에 전송되도록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inuously inspecting objects automatically and classifying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grade. In such a device, the fruits are transported in a single row, passing the test points to classify the fruits according to their grades and to signal evaluation of these different grades. The fruits are then moved by the driving supports of the sorting conveyor with a series of discharg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grades of fruit. The evaluation signal for a particular fruit is stored electronically and later sent to the discharge point when the special fruit retainer approaches the discharge point. The evaluation signal causes the fruit to be detached from the discharge point and sent to the corresponding transverse grade conveyor which transports the fruit to the collection point.

본 발명은 과일을 탈착시키고 그 과일을 적당한 등급 콘베이어로 전환시키는 장치에 대하여 특수한 관련을 갖는 선별 콘베이어 구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election conveyor structure with particular relevance to an apparatus for desorbing fruit and converting the fruit into a suitable grade conveyor.

본 발명이 속하는 형태의 선별 콘베이어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검사된 과일용 보지구들은 한쌍의 평행스프라켓(sprocket) 체인(chain)에 의해 잇달아 있는 배출 지점을 통해 이송된다. 각 보지구는 중력중심에서 한쪽으로 편의된 힌지(hinge)축에서 한쌍의 콘베이어 체인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었으며 각 보지구는 중력중심의 다른 쪽 위에서 래치(latch)에 의해 한쌍의 체인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래서 각개의 과일을 이송시키는 각 보지구는 중력에 의해 정상적 래치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회전해서 떨어져 그 과일을 탈착시키도록 바이아스(bias)된다. 각개의 과일을 이송하는 보지구가 각개 과일의 미리 정해진 등급에 해당하는 배출지점에 접근하면 배출지점에 있는 트립퍼(tripper)가 해당 평가신호에 응답해 보지구 래치에 운전시켜 과일을 탈착시키게 한다.In the sorting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inspected fruit retainers are conveyed through successive discharge points by a pair of parallel sprocket chains. Each retainer is connected by a hinge to a pair of conveyor chains on a hinge axis that is bias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gravity, and each retain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chains by a latch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have. Each holding tool for conveying each fruit is thus biased by gravity to rotate from its normal latch position to its lower position and detach the fruit. When the holding tool conveying each fruit approaches the discharge point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grade of each fruit, a tripper at the discharge point drives the holding latch to detach the fruit in response to the evaluation signal.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의 목적에 따라 래치와 트립퍼가 실패가 없는 작동 특성을 갖는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래치를 래치의 잠그는 위치에서 탈착 위치로 차단 및 이동시키기 위해 비운전 위치에서 운전위치로 작동 가능한 트립퍼를 사용해서 보지구 잠김위치에 보지구 탈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래치를 사용함으로서 수행된다. 이러한 배치로 트립퍼는 어떠한 이유에도 운전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며 래치는 트립퍼에 의해 계합되었을 때 이동이 자유로워질 것이고 따라서 부품들에 대한 손상을 막을 수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rangement in which the latch and tripper have fail-free operating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object. This is accomplished by using a latch that can move from the non-operation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retainer detachable position using a tripper operable from the non-operation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o lock and move the latch from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atch to the detachable position. With this arrangement the tripper should be locked in the operating position for any reason and the latch will be free to move when engaged by the tripper, thus preventing damage to the components.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은 배출지점에서의 탈착된 과일을 손상없이 해당 하부 횡방향의 등급 콘베이어상에 놓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탈착된 빨리 움직이는 과일은 선별 콘베이어에 대해 예각으로 배치되고 콘베이어 이동의 방향에 대해 아랫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과일을 전환 및 배향시키는 경사진 유도 활송관에 의해 부드럽게 수집된다. 유도 활송관은 U자형 단면을 갖는 가소성 판상(板狀)물질로 된 웨브(web)로 구성되며 이 웨브는 적당한 강고한 골조로부터 대향하는 측면 단면들을 따라 신장되어 있으며 부드러운 엘라스토머(elastomer)완충기가 과일에 대한 충격손상을 최소로 하기 위해 강고한 골조를 따라 뻗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detached fruit at the discharge point on the corresponding lower transverse grade conveyor. Detachable fast-moving fruit for this purpose is gently collected by an inclined guide chute that is placed at an acute angle to the sorting conveyor and inverted and oriented by gravity in a direction inclined downwar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conveyor movement. do. The guide chute consists of a web of plastic plate-like material with a U-shaped cross section, which extends along opposite side sections from a suitable rigid framework, and a soft elastomer buffer is used for the fruit. It is stretched along a rigid frame to minimize impact damage to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일의 한번 운전에서 또 다른 운전으로 변경시키는데 관여되는 손실시간을 최소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는 횡방향의 등급 콘베이어가 과일들을 해당 수집지점으로 이끌어가고 수집지점들은 과일의 새로운 다른 주행 분포를 위해 작동이 재개시되기전에 그 위에 있는 과일들이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약간 상이한 형태의 동일한 문제가 수집지점에서 분배장치의 작동의 중단을 피하기 위해 과일을 또다른 수집지점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 생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of minimizing the loss time involved in changing from one run of fruit to another. This problem occurs because a transverse grade conveyor leads the fruits to the corresponding collection point and the collection points have to be processed before the fruits are re-started for a new driving distribution of the fruit. The same problem of slightly different form arises when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fruit to another collection point to avoid interrup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at the collection point.

이 마지막 목적은 각기 미리 정해진 등급에 대해 두 개씩의 고체 수집지점을 각 횡방향의 등급 콘베이어가 등급된 과일을 교체 수집지점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가역적으로 마련해서 성취할 수 있다. 경사진 유도 활송관도 마찬가지로 가역적으로 한다.This last objective can be achieved by reversibly providing two solid collection points for each predetermined grade so that each transverse grade conveyor can selectively deliver graded fruit to the alternate collection point. Inclined guide chutes are likewise reversible.

본 발명의 여러 특색과 잇점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Variou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보통(10)으로 표시된 콘베이어와 검사지점(11)로 부터의 과일을 일반적으로 (14)로 표시된 선별 콘베이어에 전달하는 그밖의 적당한 장치를 포함하는 완전한 과일 분류장치를 보여주는 바 선별 콘베이어(14)는 과일을 6개의 횡방향 등급 콘베이어(15)-(20)에 각각 분배한다. 콘베이어(10)의 사용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인바 어떤 설비에서는 콘베이어(10)은 생략되고 과일은 검사지점에서부터 선별 콘베이어(14)에 의해 직접 이송될 수도 있다. 제3도를 보면 각 횡방향 등급 콘베이어는 유도회전자(21a)에 의해 한정되는 상부 및 하부운전판을 갖는 밸트(21)로 구성된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부터 다섯 개의 횡방향 등급 콘베이어(15)-(19)는 선별 콘베이어 바로 아래에 위치했으나 맨 마지막 등급 콘베이어(20)은 앞의 다섯 등급콘베이어중 어느 것에도 전환되지 않은 과일을 수용토록 등급콘베이어 끝에 위치해 있다.FIG. 1 shows a complete fruit sorting device including a conveyor, usually labeled 10, and other suitable devices for delivering fruit from the test point 11 to a sorting conveyor, generally designated as 14. 14 distributes the fruit to six transverse grade conveyors 15-20, respectively. The use of the conveyor 10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n some installations the conveyor 10 may be omitted and the fruit may be transferred directly by the sorting conveyor 14 from the inspection point. 3, each transverse grade conveyor consists of a belt 21 having upper and lower operating plates defined by an induction rotor 21a. As shown in FIGS. 2 and 3, five transverse grade conveyors (15)-(19) are located directly below the sorting conveyor from the front, while the last grade conveyor (20) is located in any of the preceding five grade conveyors. It is also located at the end of the grade conveyor to accommodate unconverted fruit.

앞의 다섯 개의 등급콘베이어(15)-(19)에 상응해서 선별콘베이어의 해당 배출지점들이 있는데 이들 각각은 선별콘베이어로 부터의 고속 이동과일들을 수집해서 이상하기 쉬운 과일들을 손상없이 다섯 개의 횡방향 등급콘베이어중 하나에 전환 및 배향시키는 해당 유도활송관(22)에 의해 표시된다. 각 유도활송관(22)는 설별콘베이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로 선별콘베이어의 한쪽에 대해 측방향으로 뻗어있어 과일을 콘베이어 이동방향에 대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배향시킨다. 다섯 유도활송관(22) 각각은 가역적으로 되어있어 제2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유도활성관 교체위치로 분급콘베이어의 대향측면으로 옮겨질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five grade conveyors (15)-(19), there are corresponding discharge points of the sorting conveyors, each of which collects fast-moving fruits from the sorting conveyor so that the five transverse grades are intact without damaging the susceptible fruits. It is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guide tube 22 which switches and orients one of the conveyors. Each guide chute 22 extends laterally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sorting conveyor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snow conveyor to orient the fruit by gravity in a direction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onveyor moving direction. Each of the five guide chutes 22 is reversible and can be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lassifying conveyor to a location where the guide tube is replaced,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2.

제1도와 2도에서 6개의 횡방향 등급콘베이어들은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해서 과일을 해당 수집지점(15a)-(20a)로 전송하나 등급콘베이어들의 방향이 반전되면 교체 수집지점(15b)-(20b)로 보낸다. 최종 등급콘베이어(20)은 대각선으로 배치된 배플(baffle)(24)를 가지고 있어 새로 수집된 과일을 최종 등급콘베이어의 이동방향으로 전환시키며 이 배플의 각 위치는 최종 등급콘베이어의 이동방향이 반전된 경우 과일을 반대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가역적이다.In Figures 1 and 2, the six transverse grading conveyors mov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to transfer the fruit to the corresponding collection points 15a-20a, but if the orientation of the grading conveyors is reversed, the replacement collection point 15b Send to 20b. The final grade conveyor 20 has a baffle 24 arranged diagonally to convert the newly collected fruit in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nal grade conveyor, each position of the baffle is inverte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nal grade conveyor If it is reversible to reverse the fruit.

본 발명의 이러한 특수예에서 과일은 과일의 결점정도에 따라 6등급제로 분류된다. 검사지점(11)은 조사된 특수한 결점을 검지 및 평가하는 적합한 장치로 구성된다.In this particular example of the invention, the fruit is classified into six grad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ruit defects. The inspection point 11 consists of a suitable device for detecting and evaluating the special defect investigated.

미국특허 제3768645호에 따르면 컴퓨터가 검사지점(11)의 탐색을 집적화하여 각 과일을 평가하고 앞의 5 횡방향 등급콘베이어(15)-(19)에 의해 표시되는 결검등급에 상응하는 평가신호를 생성한다. 5개의 평가신호들은 과일이 앞의 5등급 콘베이어(15)-(19)에 배출되게 하고 다섯 배출지점 전체를 통과한 나머지 과일은 최종 등급콘베이어(20)에 전달되게 한다.According to US Pat. No. 3,763,645, the computer integrated the search of the inspection point 11 to evaluate each fruit and to evaluate the evalu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grade indicated by the preceding five transverse grade conveyors 15-19. Create The five evaluation signals cause the fruit to be discharged to the previous grade 5 conveyors (15)-(19) and the remaining fruit passing through all five discharge points to the final grade conveyor (20).

검사지점(14)상의 과일이 5등급의 결점에 따라 평가되는 경우, 평가신호는 전자적으로 저장되었다가 후에 각 과일이 한편 평가신호에 해당하는 배출지점에 접근할 때 배출지점에 전달되어 특정과일이 다섯 횡방향 등급콘베이어(15)-(19)중 적당한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게 한다.If the fruit on inspection point 14 is evaluated according to a grade 5 flaw, the evaluation signal is stored electronically and later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int when each fruit approaches the discharge point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signal. Allow one to discharge one of the five transverse grade conveyors (15)-(19).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별콘베이어(14)는 제6도에 도시된대로 두 개의 이음매없는 평행 스프라켓체인(25)를 가진바 이 두 스프라켓체인의 상부 운전판은 분급콘베이어의 해당 종방향 골조부재(30)에 나사(29)에 의해 부착된 금속 블록(block)(28)에 의해 정착된 해당 레일(26)을 따라 이동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라켓 체인쌍(25)는 콘베이어의 배출단에서 스프라켓 활차(32)의 해당 쌍(雙)위를 지나며 콘베이어의 입력단에서 스프라켓(34)의 해당쌍위를 지난다. 콘베이어 두끝에서 하부 아이들러 스프라켓쌍(35) 및 (36)은 두 스프라켓 체인의 하부운전판(38)을 형성한다. 선별콘베이어의 배출단에 있는 두 스프라켓 활차(32)는 모터(40)에 의해 구동되는 공통 샤프트(shaft)상에 안전판(42)에 의해 은폐된 스프라켓 및 체인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사프트는 기아(gear) 상자(44)내의 기아에 의해 구동된다. 선별콘베이어의 입력단에 있는 두 스프라켓 활차(34)는 제3스프라켓 활차(46)을 이동시키는 공통샤프트(45)에 정착되어 있다. 콘베이어(10)이 사용되면 제3스프라켓 활차(46)은 선별콘베이어와 동기시켜서 콘베이어(10)을 작동시키는 스프라켓 체인(48)을 구동시킨다.As shown in FIG. 4, the sorting conveyor 14 has two seamless parallel sprocket chains 25 as shown in FIG. 6. The upper operating plate of these two sprocket chains has a corresponding longitudinal frame of the classifying conveyor. It moves along the rail 26 anchored by a metal block 28 attached to the member 30 by screws 29. As shown in FIG. 3, the sprocket chain pair 25 passes over the corresponding pair of sprocket pulleys 32 at the discharge end of the conveyor and passes over the corresponding pair of sprockets 34 at the input of the conveyor. The lower idler sprocket pairs 35 and 36 at the two ends of the conveyor form the lower operating plate 38 of the two sprocket chains. Two sprocket pulleys 32 at the discharge end of the sorting conveyor are mounted by sprockets and chains concealed by safety plates 42 on a common shaft driven by a motor 40 and the shaft is geared. Driven by starvation in the box 44. Two sprocket pulleys 34 at the input of the sorting conveyor are fixed to a common shaft 45 for moving the third sprocket pulley 46. When the conveyor 10 is used, the third sprocket pulley 46 drives the sprocket chain 48 to operate the conveyor 1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orting conveyor.

스프라켓체인쌍(25)는 각각 4각형 평면구조의 상부개방 수용부 형태의 일련의 이음매없는 보지구(50)을 이동시킨다. 각 보지구에는 적당한 탄력성 충격완화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보지구내에 떨어지는 과일을 감속시켜서 과일에 대한 충격손상을 최소로 한다. 각 보지구(50)은 스프라켓체인 쌍(25)상에 힌지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각 보지구는 해당횡교차봉(52)(제6도)상에 정착되어 있으며 이 봉은 두 스프라켓체인 결합에 대해 대향하는 끝들에 부착되어 있다. 교차봉(52)는 보지구의 중력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격리되어 있어서 보지구는 제5도의 점선(50a)로 표시한 위치로 하향 회전되도록 중력상으로 바이아스되어 있다. 이러한 하향위치에서 보지구는 과일 F를 배출지점에 있는 유도활송관(22)로 탈착시킨다.The sprocket chain pair 25 respectively moves a series of seamless holding tools 50 in the form of a top open receiving portion in a quadrangular planar structure. Each holding sphere is provided with a suitable elastic impact mitigating device to reduce the fruit falling in the holding sphere to minimize the impact damage to the fruit. Each retainer 50 is mounted on the sprocket chain pair 25 by a hinge, for which purpose each retainer is anchored on a corresponding cross-crossing rod 52 (FIG. 6), which is a combination of two sprocket chains. It is attached to the opposite ends for. The cross rod 52 is isolated forward from the gravity center of the holding tool so that the holding tool is biased in gravity so as to rotate downward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50a in FIG. In this downward position, the holding sphere detaches the fruit F to the guide chute 22 at the discharge point.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향하는 보지구의 하향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각 보기구의 전방 상부구석에는 제4도와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뻗은 정지돌기(54)가 마련되어 있다. 보지구(50)이 하향 회전하면 정지돌기(54)가 두 스프라켓체인(25)중 하나의 상부표면에 닿는다.In order to limit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holding tool toward the position shown in FIG. 5, the front upper corner of each viewing tool is provided with laterally extending stop projections 54 as shown in FIGS. When the holding tool 50 rotates downward, the stop protrusion 5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two sprocket chains 25.

각 보지구를 정상 직립위치에 탈착가능하게 유치시키기 위해 각 보지구의 바닥구석에는 제4도 및 6-10도에 (56)으로 표시된 해당 래치에 의해 탈착가능케 교합하기 위한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5)(제6 및 7도)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56)의 구조는 제6-9도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In the bottom corners of each retaining sphere, the protrusions projecting laterally for engaging the detachable bite (56) in FIGS. 55) (sixth and seventh degrees) are formed. The structure of the latch 56 will be understood by FIGS. 6-9.

각 래치(56)은 한쌍의 하부 대향(對向) 귀모양부분(60)을 갖는 직립판상 금속기부(58)을 가지고 있는바 이 기부(58)은 대향 귀부분(60)에 의해 스프라켓 체인의 결합의 대향 끝에서 스프라켓 체인(25)의 두 핀 (pin)(62)상에 장착되어 있다. 래치(56)의 기관(56)은 래치 레바(latch lever)(65)용의 횡방향으로 뻗은 피봇트 핀(pivot pin)(64)를 단단하게 수반하고 있으며, 래치레바와 협동하게 된 상부정지 플랜지(flange)(66)이 또한 형성되어 있다. 적당한 나선형 스프링(68)은 기부(58)에 대해 떠받쳐지는 하부단(70)과 래치레바를 제7 및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바이아스시키도록 래치레바(65)의 상부아암에 대해 지탱되는 상부단(72)를 가지고 있다.Each latch 56 has an upstanding plate-shaped metal base 58 having a pair of lower opposing ear portions 60, the base 58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ocket chain by an opposing ear portion 60. It is mounted on two pins 62 of the sprocket chain 25 at opposite ends of the engagement. The engine 56 of the latch 56 firmly carries a laterally extended pivot pin 64 for the latch lever 65, and the upper stop which cooperates with the latch lever. A flange 66 is also formed. A suitable helical spring 68 has a lower end 70 held against the base 58 and an upper arm of the latch lever 65 to bias the latch lever clockwise as shown in FIGS. 7 and 8. It has an upper end 72 supported against it.

래치레바(65)의 하부아암은 제7 및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지구 돌기(55)와 밑으로부터 후크(hook)교합을 하도록 래치쇼울더(74)를 형성하도록 절단되어 있다. 래치레바(65)의 상부작동 아암은 다섯 유도활송관(22)에 상응하는 다섯 배출지점에 위치한 다섯 개의 원격제어 고정트리퍼(75)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토록 상방으로 뻗어있다. 제6도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트리퍼(75)는 앞서 언급한 금속블록(28)중 하나에 한쌍 나사(76)에 의해 장착되어 있어 금속블록을 해당 골조부재(3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lower arm of the latch lever 65 is cut off to form a latch shoulder 74 so as to engage the retaining projection 55 and the hook from the bottom as shown in FIGS. The upper actuating arm of the latch lever 65 extends upwardly to selectively operate by five remote control fixed trippers 75 located at five discharg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five guide chutes 22. As illustrated in FIG. 6, each tripper 75 is mounted to one of the aforementioned metal blocks 28 by a pair of screws 76 to fix the metal block to the corresponding frame member 30. Do it.

각 트리퍼(75)는 원격제어용 해당 전기케이블(80)에 연결된 회전 솔레노이드(solenoid)(78)로 구성된다. 회전 솔레노이드(78)은 래치레버(65)의 상부아암 활주통로 바로 위에 위치한 해당 원판(82)를 수반하고 이를 회전시킨다. 이 원판(82)는 제8도의 점선(84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래치레바(65)의 상부 아암 통로 위에 위치하는 방사형돌출부(84)의 형태로 트립(trip)부재를 갖는다.Each tripper 75 consists of a rotary solenoid 78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electric cable 80 for remote control. The rotary solenoid 78 entails and rotates the corresponding disk 82 located directly above the upper arm runway of the latch lever 65. This disc 82 has a tripping member in the form of a radial projection 84 located above the upper arm passage of the latch lever 65 in a steady state,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84a in FIG.

각 래치레바(65)의 상방 돌기아암에는 전방을 향하는 경사단연(85)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 솔레노이드가여자되어 트립퍼의 트립부재(84)를 제7-9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하향회전시키면 래치레바의 경사진 상부단연의 하향신장하는 트립부재에 대한 충돌은 보지구돌기(55)를 탈착시키도록 래치레바를 제8도에 보인 개방위치로 캠(cam)시켜서 보지구(50)이 하향 회전하여 보지구내의 과일이 탈착되게 한다.The upwardly protruding arm of each latch lever 65 is formed with an inclined end 85 facing forward, and a rotating solenoid is excited to lower the tripping member 84 of the tripper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S. 7-9. When rotated, a collision with the downwardly extending tripping member of the inclined upper end of the latch lever cams the latch lever to the open position shown in FIG. 8 so as to detach the holding protrusion 55. This downward rotation causes the fruit in the holding sphere to detach.

앞의 설명에 의해 회전 솔레노이드가 래치운전 위치에서 트립부재와 고정된 경우 래치는 트립부재에 의한 계합에 따라 보지통 탈착위치로 회전해서 실패가 없는 작동을 제공할 것이 확실해 질 것이다.By the foregoing description, when the rotary solenoid is fixed with the tripping member in the latching operation position, it will be assured that the latch rotates to the holding container detachabl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engagement by the tripping member to provide a fail-free operation.

본 발명의 본 구체예에서 선별콘베이어는 보지구(50) 10개가 1초내에 주어진 점을 통과할 만큼의 고속으로 이동하며, 또한 각 보지구가 하향회전하여 거기서부터 과일이 탈착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이 허여되어야하므로, 각 트립퍼(75)는 유도활송관(22)에 의해 표시되는 배출지점에 앞서 잘 배치되어야 한다. 이래서 제3도에는 제1 트립퍼(75)가 보지구(50) 길이의 약 3배 거리만큼 제1유도활송관 앞에 간격을 두고 있다. 제4, 5 및 11-13도를 보면, 각 유도활송관(22)는 수평 U자형 골조(88)로부터 단연에 따라 신장된 가소성판(86)으로 구성된다. 판(86)은 적당한 플래스틱으로 되거나 적당한 플래스틱이 함유된 직조섬유로 되는 것이 좋다. 고무상물질로 된 적당한 완충편(90)이 과일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시키도록 유도활송관의 내부 가장자리에 내장되어 있다. 도시된 구조에서 유도활송관의 판상물질의 상부단연은 U자형 금속대역(band)(91)(제12,13도)위에 접혀지는데 이 금속대역(91)은 판의 상부단연을 조이기 위해 리벳트(rivet)(92)에 의해 U자형 골조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conveyor moves at a high speed such that 10 holding spheres 50 pass through a given point within 1 second, and each holding sphere rotates downward so that there is sufficient time for the fruit to detach therefrom. Each tripper 75 must be well positioned prior to the discharge point indicated by the guide chute 22 because it must be allowed. Thus, in FIG. 3, the first tripper 75 is spaced in front of the first guide pipe by abou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holding tool 50. 4, 5 and 11-13, each guide chute 22 is composed of a plastic plate 86 extending along the edge from the horizontal U-shaped frame 88. The plate 86 may be of a suitable plastic or of woven fibers containing a suitable plastic. A suitable cushioning piece 90 of rubbery material is embedded in the inner edge of the guide tube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fruit. In the illustrated structure, the upper edge of the plate material of the guide tube is folded over the U-shaped metal band 91 (12, 13 degrees), which is riveted to tighten the upper edge of the plate. The rivet 92 is mounted inside the U-shaped frame.

유도활송관(22)는 대체로 (98)로 표시한 판상금속 요우크(Yoke)의 두 대향 직립아암(96)에 대해 그 대향측면에서 지지되는데 이 요우크(98)은 하향으로 연장된 피봇트핀(100)을 가지고 있다. 피봇트핀은 두 스프라켓체인(25) 사이의 선별콘베이어 중간쯤에 종방향으로 뻗은 중공골조부재(102)의 두 일직선상의 수직구멍내에 끼워져 있다. 제12 및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트핀(100)은 판상금속 요우크에 용접된 밑벽(104)를 통해 뻗어 있으며, 강고성을 위해 피봇트핀의 상부단은 밑벽(104)에 평행한 요우크의 횡방향벽에 용접되어 있다.Guide chute 22 is generally supported at its opposite sides against two opposing upright arms 96 of a plate metal yoke, generally indicated at 98, with the yoke 98 pivoting downwardly. Has 100. The pivot pin is fitted in two straight vertical holes of the hollow frame member 102 extending longitudinally about the middle of the sorting conveyor between the two sprocket chains 25.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pivot pin 100 extends through the bottom wall 104 welded to the plate metal yoke, and the upper end of the pivot pin is parallel to the bottom wall 104 for rigidity. It is welded to the transverse wall of the rack.

각 유도활송관(22)를 두 교체위치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착시키기 위해서, 수평 중공골조부재(102)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지주(107)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1도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요우크(98)에는 지주(107)을 선택적으로 교합시키기 위한 구멍뚫린 두 개의 횡방향으로 뻗은 귀부분(108) 및 (109)가 마련되어 있다. 제11도에서 귀부분(108)은 지주(108)과 교합하나 유도활송관은 지주와 귀부분(109)와의 교합을 위해 대향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In order to fix each guide chute 22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at two replacement positions, the horizontal hollow frame member 102 is provided with a strut 107 protruding upward, as shown in FIG. The yoke 98 is provided with two perforated transversely extending ears 108 and 109 for selectively mating the posts 107. In FIG. 11, the ear portion 108 is mated with the strut 108, but the guide tube may be rotated to an opposite position for the mating of the strut and the ear portion 109.

하향으로 매달린 탈착된 보지구(50)이 최종 유도활송관(22)를 넘어 이동하면 탈착된 보지구는 제3 및 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캠(cam) 판(110)과 부닥친다. 캠판(110)은 탈착된 보지구를 걸린 위치로 되돌러 회전시켜 준다.When the detached retaining tool 50 suspended downward moves beyond the final guide pipe 22, the detached retaining tool is encountered with the inclined cam plate 110 as shown in FIGS. The cam plate 110 rotates the detached holding tool back to the locked position.

보지구(50)이 다시 걸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지구(50)의 돌기(55)에는 제7 및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캠표면(111)이 마련되어 있으며, 래치레바(65)의 하부 래치아암에는 협동 캠표면(112)가 형성되어 있다. 탈착된 보지구(50)의 복귀상방회전은 보지구돌기(55)의 캠표면이 래치레바의 캠표면(112)와 활동 접촉케하여 래치레바를 순간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보지구돌기가 래치레바의 래치쇼울더(74)를 통과하도록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holding of the holding tool 50 again, the projection 55 of the holding tool 5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cam surface 111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the latch lever 65 is provided. The cooperative cam surface 112 is formed on the lower latch arm of the. The return upward rotation of the detached holding member 50 causes the cam surface of the holding protrusion 55 to come into active contact with the cam surface 112 of the latch lever, thereby moving the latch lever momentarily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holding protrusion Pass through the latch shoulder 74 of the latch lever.

상기한 기구가 그 목적을 수행하는 양식은 앞에 기술한 것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선별콘베이어(14)를 콘베이어(10)과 동기시킴으로서 콘베이어(10)은 검사된 과일을 제3도의 화살표(114)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선별콘베이어의 입력단상에 낙하한다. 콘베이어(10)에 있는 전자회로는 선별콘베이어에 전달되는 각 과일에 대한 평가신호를 생성하며, 이 신호는 특정과일용 보지통이 과일 등급평가에 해당하는 특정 배출지점에 있는 트립퍼(75)에 도달할 때 까지 지연된다. 평가신호는 트립퍼의 회전 솔레이노이드(78)을 여자시켜서 트립퍼의 트립부재(84)가 주어진 보지구를 정상 직립위치에 유리시키는 래치의 통로내로 하향회전하게 만든다. 하향 연장된 트립부재(84)는 제8도에 보인 양식으로 래치를 탈착시켜서 보지구로 하여금 과일평가에 해당하는 유도활송관(22)내로 주어진 과일을 낙하하게 한다.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above organization serves its purpose is described above. By synchronizing the sorting conveyor 14 with the conveyor 10, the conveyor 10 falls on the input end of the sorting conveyor, as indicated by the arrow 114 in FIG. An electronic circuit in the conveyor 10 generates an evaluation signal for each fruit that is delivered to the sorting conveyor, which signals to the tripper 75 at a particular discharge point for the fruit reservoir for the fruit rating. There is a delay until it is reached. The evaluation signal excites the rotary solenoid 78 of the tripper, causing the tripping member 84 of the tripper to rotate down into the passage of the latch to release the given holding tool to the normal upright position. The downwardly extended trip member 84 detaches the latch in the form shown in FIG. 8 to cause the retainer to drop the given fruit into the guide chute 22 corresponding to the fruit evaluation.

유도활송관은 탈착된 과일을 해당하부 횡방향 등급콘베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전환시킨다. 모든 배출지점을 통과한 과일은 최종횡방향 등급콘베이어(20)에 도달한다.The guide tube converts the detached fruit laterally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lower transverse grade conveyor. Fruit passing through all discharge points reaches the final transverse grade conveyor 20.

제2도에서 선별콘베이어는 화살표(115)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등급콘베이어(15)-(20)은 화살표(116)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해서 선별된 과일을 수집지점(15a)-(20a)로 이송한다. 등급분류된 과일의 전달을 교체수집지점(15b)-(20b)로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콘베이어(15)-(20)을 반전시키고 유도활송관(22)의 위치를 반전시키고, 등급콘베이어(20a)의 배플(24)의 대각선 위치를 반전시키면 된다.In FIG. 2, the sorting conveyor mov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115, and the grade conveyors 15-20 mov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116 to collect the sorted fruit 15a. Transfer to 20a. To change the delivery of the graded fruit to the replacement collection points 15b-20b, simply reverse the conveyors 15-20 and invert the position of the guide chute 22 and the grade conveyor 20a. It is sufficient to reverse the diagonal position of the baffle 24.

본 발명의 이상 언급된 바람직한 구체에는 다양한 변경, 수정등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the like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물건이 평가신호에 응하여 배출되는 일련의 등급별 배출지점에 등급별평가신호를 발생하는 검사 지점으로부터 선별콘베이어에 의해 물건을 순차이동하여 물건을 등급에 의해 분류하는 장치로서, 전기한 선별콘베이어는 물건을 배출지점에 운반할 수 있는 검사를 마친 물건용의 상호연결한 일련의 보지구를 포함하고 각 보지구는 물건을 이송하고 또한 보지구로부터 물건을 송출하는 경사진 배출위치에 보지구를 이동할 수 있는 힘을 받는 통상직립의 이송위치를 가지는 등급별분류장치에 있어서 ; 보지구는 배출위치에 콘베이어의 장축방향으로 요동하게 일단에서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은 콘베이어하에 설치되고, 또한 대응하는 일련의 래치를 포함하고, 전기한 래치는 각각 보지구 부근에서 콘베이어에 취부되고 또한 배출위치로의 운동에 대하여 보지구의 타단을 배출자재하게 보지할 수 있게 작용하고, 또한 각 배출지점에 있는 트립퍼를 포함하고 이러한 트립퍼는 래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하여 대응평가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고 또한 보지구가 적당한 등급별 배출지점에 도달하면 보지구를 배출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급별분류장치.A sorting device that sequentially sorts goods by sorting conveyors from a test point that generates a rating signal in a series of discharge points according to a rating signal. Includes a series of interconnected retainers for finished goods that can be transported to a point, each retaining force to move the retainer to an inclined discharge position that transports the item and ejects the item from the retainer. In the classifying apparatus having a conveying position of the normal upright receiving; The retaining port is hinged at one end to s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at the discharging position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under the conveyor, and also includes a corresponding series of latches, each of which is attached to the conveyor near the retaining port and is also discharged. Acts to hold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sphere freely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to the position, and also includes a tripper at each discharge point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a corresponding evaluation signal to selectively operate the latch.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sphere is moved to the discharge position when the holding sphere reaches a suitable discharge point for each grade.
KR7502219A 1975-10-11 1975-10-11 Sorting device Expired KR8100017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219A KR810001765B1 (en) 1975-10-11 1975-10-11 Sor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219A KR810001765B1 (en) 1975-10-11 1975-10-11 Sor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65B1 true KR810001765B1 (en) 1981-11-13

Family

ID=1920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219A Expired KR810001765B1 (en) 1975-10-11 1975-10-11 Sor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65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47790A (en) Grade distributing apparatus
US3031066A (en) Swinging tray conveyors
KR810001765B1 (en) Sorting device
US6003653A (en) Article grading apparatus
US2359641A (en) Apparatus for sampling plant products
JPH05123604A (en) Waste sorting equipment
US4489822A (en) Fruit cup dampening device
US3606011A (en) Lumber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CN220611366U (en) Chip pin detection device
CN218424228U (en) Bucket type weight sorting machine
CN216846845U (en) Keyboard scissors foot flexibility ratio expandes detection mechanism
US1927217A (en) Fruit sizing apparatus
JPH0818013B2 (en) Automatic crop sorting equipment
JP7678305B2 (en) Item sorting device
US4179236A (en) Board separator
KR200364863Y1 (en) A fruit transfer machine
JP2000095319A (en) Slide base switching device in classifier
CN222077323U (en) A sorting device
KR100314538B1 (en) A Fruit Product Sorting Device
US3005346A (en) Automatic sampler
US349570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orting spherical and cylindrical articles
JP3677643B2 (en) Root vegetable cutting equipment
JPH0226686A (en) Vegetable and fruit sorting apparatus
JP2000153912A (en) Attitude turnover sorter of fruit
JP4443955B2 (en) S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51011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11013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