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10001073Y1 - Bar in the - Google Patents

Bar in th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073Y1
KR810001073Y1 KR7900799U KR790000799U KR810001073Y1 KR 810001073 Y1 KR810001073 Y1 KR 810001073Y1 KR 7900799 U KR7900799 U KR 7900799U KR 790000799 U KR790000799 U KR 790000799U KR 810001073 Y1 KR810001073 Y1 KR 810001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teeth
horseshoe
frame
stu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9007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리 죠디.
Original Assignee
로버트 엠. 아담스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엠. 아담스,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 엠. 아담스
Priority to KR7900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0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073Y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 B42F13/1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with clamping or locking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바 인 더Bar in th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제본된 책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ok bou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를 분해하여 확대시켜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composition of 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를 결합시키는 제1단계를 도식적으로 보인 측면도.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step of bonding 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바인더를 결합시키는 제2 단계를 보인 제3도와 유사한 도면.4 is a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a second step of bonding the binder.

제5도는 바인더를 결합시키는 최종 단계를 보인 제3도와 유사한 도면.5 is a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the final step of bonding the binder.

제6도는 스터드(stud)를 가진 바인더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a binder with studs.

제7도는 제6도의 7-7선에 따른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제8도는 일련의 결합구멍을 갖는 바인더의 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of a binder having a series of engaging holes.

제9도는 제8도의 9-9선에 따른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제10도는 제8도의 10-10선에 따른 바인더의 저면도.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binder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제11도는 제8도의 11-11선에 따른 바인더의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nder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제1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제1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결합된 상태의 부품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in a coupled state, similar to FIG. 12;

제14도는 제13도의 14-14선에 따른 평면도.14 is a plan view along line 14-14 of FIG.

본 고안은 책 등의 제본을 위한 바인더(binder)에 관한 것으로, 종이다발을 책으로 묶을 수 있는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for bookbinding such as books, and a binder that can bundle a bundle of paper into a book.

본 고안의 바인더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 종이다발을 용이하게 철할 수 있고, 또한 매우 간단한 장비를 사용하거나 또는 어떤종류의 기계장비도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ron a bundle of paper having various thicknesses, and can also be used without the use of very simple equipment or any kind of mechanical equipment.

도서관과 공공단체에서 책자용 바인더를 비치하고, 일반잡지와 같이 일상 사용시 파손되기 쉬운 책자를 영구적으로 제본할 때, 본 고안의 바인더가 필요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서관에서 책자나 인쇄물을 영구적으로 제본하려면 외부에 보내야 했었지만, 본 고안의 바인더를 사용하면 도서관에서 책자를 직접 철할 수 있다. 또한, 책자들을 비교적단시간에 제본할 수 있고, 또한 제본 경비도 적게 소요된다.When a library and a public organization have a binder for a booklet and permanently bind a booklet that is fragile in daily use such as a general magazine, 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ecessary. In the past, in order to permanently bind a book or printed material in a library, it was necessary to send it to the outside, but 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irectly fold a book in a library. In addition, booklets can be bound in a relatively short time, and bookbinding costs are also low.

많은 산업체에서 전표, 카탈로그, 교육용 소책자와 같은 것을 철하는데에도 필요한 것이다.In many industries, it is also necessary to file things like journals, catalogs, and educational booklets.

종래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바인더가 고안되어 왔지만, 종래의 바인더는 결합하는데 상당히 고가의 기계가 필요하며 열(熱)을 사용하거나, 적어도 기계에 의한 큰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완전히 성공적인 것이 못되었다.Conventionally, various binders that can be easily used have been devised, but conventional binders require a fairly expensive machine to be bonded and use heat or at least a large pressure by the machine, so they are not completely successful. It became.

본 고안의 바인더는 간단한 기계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손의 힘으로도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using a simple machine, and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ombined even by hand force.

본 고안의 바인더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경제적으로 다량 성형될 수 있다.The b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us can be economically formed in large quantities.

본 고안의 다양한 특징과 잇점을 도면에 따라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Variou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책자 15는 상부 바인더 대(帶) 17과 하부 바인더 대 19를 갖는 바인더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부”와 “하부”란 술어는 다만 편의상 사용하는 것이므로, 어느쪽이나 위가될 수 있다. 책자 15는, 일련의 슬로트 또는 구멍 23이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종이다발 21로 되어있다.Booklet 15 remains bound by a binder having an upper binder band 17 and a lower binder band 19. The terms "top" and "bottom" are for convenience only, so they can be either up. Booklet 15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per bundles 21 with a series of slots or holes 23 formed at appropriate intervals.

상부 바인더 대 17에는 골조 25가 있으며, 이 골조로부터 일련의 스터드(stud) 27이 신장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스터드 27에는 다수의 톱니 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터드의 첨단부 31은 스터드가 종이다발에 삽입되고, 결합되는 하부 바인더 대 19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뾰족한 단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The upper binder to 17 has a framework 25 from which a series of studs 27 extend out of the framework. Each stud 27 is formed with a number of teeth 29 and the tip 31 of the stud preferably has a pointed end so that the stud is inserted into the paper bundle and easi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in the lower binder zone 19 to be joined.

톱니 29는 스터드 어느 축부에나 배치될 수 있으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일측부에 톱니가 형성된 짝수개의 스터드가 사용되는데, 중앙 스터드 33에는 양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짝수개의 스터드를 사용할 때는 중앙 스터드에 대해 양측부스터드의 톱니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것이 제6도에 잘 나타나 있으며, 좌측의 스터드 35는 좌측을 향한 톱니를 갖고, 한편 반대편의 스터드 37은 우측을 향한 톱니를 갖는다. 만일, 홀수개의 스터드가 설치될때는 어느 스터드도 양측면에 톱니를 가질 필요가 없다. 또한, 스터드의 총수가 짝수이든 홀수이든 간에 중앙의 양측면에 있는 톱니가 반대방향을 향하게 한 이유는 사용자가 바인더를 어느 방향으로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만일 모든 톱니를 동일방향을 향하게 하면, 하부 바인더 대 19는 알맞는 방향으로만 결합되어져야 한다.If the tooth 29 can be disposed on any of the shaft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numbered teeth having teeth formed on one side are used, and tee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stud 33. When using an even number of studs, the teeth of the two side studs are directed against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stud. This is illustrated in Figure 6, with the stud 35 on the left having teeth facing left, while the stud 37 on the opposite side has teeth facing right. If odd numbered studs are installed, neither stud need to have teeth on both sides. In addition, the reason that the teeth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re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ther the total number of studs is even or odd, allows the user to engage the binder in any direction, and if all teeth ar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The binder to 19 should only be bonded in the proper direction.

하부 바인더 대 19는 스터드와 위치상으로 상응하는 일련의 개구부 40을 갖는 골조 39로 구성된다. 각 개구부 40의 벽에는 적어도 한 개의 톱니 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터드에 있는 톱니와 결합되도록 위치하며, 개구부에는 절삭부 48이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binder to 19 consists of a frame 39 having a series of openings 40 that are i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uds. At least one tooth 41 is formed in the wall of each opening 4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eeth in the stud, and the cutting portion 48 is formed in the opening.

한 개의 톱니가 본 고안의 목적에 맞도록 완전히 작용하지만, 두 개 이상의 톱니가 사용될 수 있다. 개구부 인접한 체결구인 편자 43이 상기 개구부와 다소 겹쳐 있는데, 상기 편자 43은 하부 바인더 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골조를 형성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박판 45에 의해서만 하부 바인더 대 19와 연결되어 있다.While one tooth works perfectly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than one tooth may be used. Opening The adjacent fastener horseshoe 43 somewhat overlaps with the open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binder table 19 only by a thin plate 45 made of a material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binder table to form the framework.

상기 편자 43이 제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 40의 개공부는 스터드가 간신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이며, 스터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자 43을 약간 한쪽으로 밀게된다. 편자 43은 편자경첩인 박판 45의 결합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5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 40에는 건부 4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간격은 편자 43이 분리되어 구멍에 삽입될 때 톱니가 완전히 교합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정해진다.When the horseshoe 43 is in place, the opening of the opening 40 is such that the studs can barely pass through, and the studs push the horseshoe 43 slightly to one side as shown in FIG. The horseshoe 43 is preferably cut as indicated by 50 in order to minimize the bonding of the thin plate 45 which is the horseshoe hinge. The opening part 40 is formed in the opening part 40, and the space | interval is set so that when the horseshoe 43 is removed and inserted into a hole, the tooth fully engages and will no longer move.

바람직하게는 일측 또는 양쪽 골조에는 내측으로 향한 일련의 날카로운 돌출부이 형성되어 있어 종이다발에 계합하고 종이다발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부골조 25에는 하방을 향한 일련의 날카로운 돌출부 49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하부골조 39에는 상방을 향한 일련의 날카로운 돌출부 51이 형성되어 있다. 골조를 약화시키거나 가요성을 증대시키지 않고, 플라스틱을 유지하고 골조를 가볍게 하기위해서 일측 또는 양측 골조에는 스터드와 구멍 사이에 요설부 53이 형성되어 있다. 골조에 강도를 주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외부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해 요설부는 골조를 완전히 관통하여 있지 않다. 그리하여, 만일 골조가만곡될 때 골조는 바인더 대돌사이에서 휘어지게 되나 바인더 그 자체는 견고하게 유지된다.Preferably, one or both frames are formed with a series of sharp protrusions directed inwardly to engage the paper bundle and to hold the paper bundle. In this way, the upper frame 25 is formed with a series of sharp protrusions 49 facing downward, while the lower frame 39 is formed with a series of sharp protrusions 51 upward. A recess 53 is formed between the stud and the hole in one or both frames in order to keep the plastic and lighten the frame without weakening the frame or increasing flexibility. In order not only to give strength to the framework but also to smooth the outer surface, the recesses do not completely penetrate the framework. Thus, if the frame is bent, the frame will bend between the binder slabs but the binder itself will remain rigid.

바인더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3,4 및 5도에 나타나 있다. 제3도에서 종이다발 21에는 일련의 슬로트 또는 구멍 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바인더 대 19를 개구부 40이 구멍 23과 일치하도록 종이다발 하부에 위치시킨다. 상부골조 25는 종이다발 상부에 위치시키고 스터드 27을 구멍 23으로 삽입시킨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드가 체결구인 편자 43에 도달하면, 편자는 약간 측면으로 밀리며 톱니 29가 한개의 톱니 41과 접촉하게 된다. 박판 45는 편자가 후방으로 밀릴 수 있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가져서, 톱니가 통과할 수 있게된다. 골조가 종이다발과 접촉하게 되면, 종이다발이 조여지도록 골조를 압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Methods of assembling the binder are shown in FIGS. 3, 4 and 5. In FIG. 3, the paper bundle 21 is formed with a series of slots or holes 23, and the lower binder band 19 is placed under the paper bundle so that the opening 40 coincides with the hole 23. FIG. The upper frame 25 is placed on top of the paper bundle and the studs 27 are inserted into the holes 23. As shown in FIG. 4, when the stud reaches horseshoe 43, which is a fastener, the horseshoe is pushed slightly to the side and tooth 29 comes into contact with one tooth 41. The thin plate 45 is flexible enough to allow the horseshoe to be pushed back, allowing the teeth to pass through. When the skeleton is in contact with the bundle of paper, it is preferable to compress the skeleton so that the bundle of paper is tightened.

편자 43을 내측으로 압입하고 편자를 제자리에 지지해주는 박판 45를 절곡하여 편자를 상방으로 밀어 홈부에 삽입시켜 견부 47에 삽설시키면, 결합톱니가 단단하게 교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편자 43은 회전하지 않고, 편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직접 내측으로 삽입되며, 경첩의 단편(斷片)이 5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부 48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각 부품들은 제위치에 단단히 고정되고, 톱니는 밀착 결합하여 지지되므로 결코 이탈되는 일이없다. 스터드 27의 단부는 55에 표시한 바처럼 골조의 면과 일치하게 절단될 수 있어 제본이 완성된다.When the horseshoe 43 is pushed inward and the thin plate 45 supporting the horseshoe in place is bent, the horseshoe is pushed upwar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insertion teeth are inserted into the shoulders 4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seshoe 43 does not rotate, the horseshoe is inserted directly inward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and the fragment of the hinge is positioned at the cutting portion 48 as indicated by 52. In this way, each part is held firmly in place and the teeth are held in close contact so that they are never dislodged. The ends of the studs 27 can be cut to coincide with the face of the frame as indicated at 55 to complete the bookbinding.

제12도에서 제14도까지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편자 57은 골조 39로부터 절단되지 않으며, 그 편자는 간단히 개구내로 회전 삽입되어 톱니를 고정시킨다.12 to 14,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Here, the horseshoe 57 is not cut from the frame 39, and the horseshoe is simply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fix the teeth.

이러한 구조를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파괴되지 않고 상당히 만곡될 수 있는 다소 연질의 플라스틱이 사용될때 특히 유리하다. 스터드 27과 톱니를 갖는 상부바인더 대 17은 전술한 바와동일 하다 하부 바인더 대 19A는 톱니 41A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의 편자는 실제로 변형되어 있다. 편자 57은 경첩부 59에 의해 골조에 연결된다. 편자 57에는 평편부 61이 골조의 뒷판과 135°의 각도를 이루며 신장하고 있고, 또한 경사부 63이 평편부 61과 9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편자 57에는 경사부에 평행한 표면 65를 갖는 중앙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 63과 65 사이의 거리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자가 회전될 때 톱니 29와 41A가 단단히 결합될 수 있게 정해진다.This structur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somewhat soft plastics are used,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which can be fairly curved without breaking. The upper binder vs. 17 with the studs 27 and teeth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binder vs. 19A is formed with the teeth 41A and the horseshoe of the fastener is actually deformed. Horseshoe 57 is connected to the frame by hinges 59. In the horseshoe 57, the flat portion 61 extends at an angle of 135 ° to the back plate of the frame, and the inclined portion 63 is formed at an angle of 90 ° to the flat portion 61. The horseshoe 57 has a central portion having a surface 65 parallel to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s 63 and 65 is determined so that the teeth 29 and 41A can be firmly engaged when the horseshoe is rotated as shown in FIG. .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편자는 골조가 바람직한 정도로 압착되어 결합될때 간단히 회전되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터드 27은 하부 바인더 대 19A의 후연과 일치되게 절단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seshoe is simply rotated and inserted when the skeleton is compressed to the desired extent. As described above, the stud 27 is cut in line with the trailing edge of the lower binder versus 19A.

그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스터드의 단면이정방향인 것 뿐만 아니라, 장방형, 타원형, 원형인 것도 된다. 골조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는, 비닐, 아크릴 또는 에이. 비이. 에스(ABS) 수지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많은 중합물질이 본 고안의 제품의 재료로 적당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품의 구조에 가요성을 주기 위해 폴리에틸렌과 같이 비교적 연질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stud may not only be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may also be rectangular, oval or circular. Frames may be molded by injection molding, vinyl, acrylic or a. B. It is desirable to make it from a hard plastic such as an ABS resin. Of course, many polymers are suitable as the material of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sired, relatively soft plastics such as polyethylene can be used to give flexibility to the structure of the product.

Claims (1)

최소한 일측부에 톱니(29)를 가진 다수의 스터드(27)이 연장하여 있는 제1골조(25)와, 상기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간격으로 설치된 개구부(40)과 그 개구부에 삽입된 스터드의 톱니들중 하나와 계합하기에 적합하게 된 상기 개구부(40)내톱니(41)을 가진 제2결합골조(39)로 구성된 바인더에 있어서, 제2골조(39)의 톱니(41)이 제2골조(39)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개구부(40) 내로 돌출하여 있고, 제2골조(39)에는 박판(45 또는 59)에 의해 지지된 편자(43 또는 57)을 설치하여 상기 톱니(43 또는 57)이 상기 톱니(29)의 반대측 스터드 측부에서 상기 개구부(40) 내로 이동되어 상기 스터드와 마찰적으로 계합하여 톱니(29,41)이 영구적인 계합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A first frame 25 having a plurality of studs 27 having teeth 29 at least at one side thereof, an opening 40 provided at an interval of a size for accommodating the studs, and a stud inserted into the openings; In the binder composed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39 having teeth 41 in the opening 40 adapted to engage one of the teeth of the teeth, the teeth 41 of the second frame 39 2 protruding into the opening 40 at a position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39, the second frame 39 is provided with a horseshoe 43 or 57 supported by the thin plate 45 or 59 to the tooth ( A binder (43 or 57) being moved into the opening (40) at the opposite stud side of the tooth (29) so as to frictionally engage the stud such that the tooth (29,41) maintains a permanent engagement.
KR7900799U 1974-08-08 1979-02-14 Bar in the Expired KR8100010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799U KR810001073Y1 (en) 1974-08-08 1979-02-14 Bar in th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40003305 1974-08-08
KR7900799U KR810001073Y1 (en) 1974-08-08 1979-02-14 Bar in th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3305 Division 1974-08-08 1974-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073Y1 true KR810001073Y1 (en) 1981-09-14

Family

ID=2662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799U Expired KR810001073Y1 (en) 1974-08-08 1979-02-14 Bar in th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07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0331A (en) Binder element
KR940005910B1 (en) How to bind and booklet
JPS5928199B2 (en) binder
US656568A (en) Binder for loose sheets.
KR810001073Y1 (en) Bar in the
US6663311B1 (en) Report cover with clamping slide bar
US4445710A (en) Multisheet binder and assembly
AU2147399A (en) Ring binder mechanism
US4181327A (en) Assembling method
US5087077A (en) Staple based binding system
GB2292544A (en) File
US2324004A (en) Paper fastener
US5608950A (en) File with gripping devices
CN100421968C (en) Binding tools for document binding
DE3565495D1 (en) Filing device
US5364199A (en) Sheet fastener hinge device
JP2565118B2 (en) Adjustable booklet
EP0805758A1 (en) Binding systems for papers
US3435828A (en) Article and method for retaining loose leaves in bound volumes
JPH065912Y2 (en) File mount
JPH08310175A (en) File
JPS62288095A (en) Groove part for clamp of fastener
JPH0616791Y2 (en) Book binding
JPH0110228Y2 (en)
JPS611335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790214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19740003305

Filing date: 1974080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10731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1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