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930Y1 -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10000930Y1 KR810000930Y1 KR2019800001426U KR800001426U KR810000930Y1 KR 810000930 Y1 KR810000930 Y1 KR 810000930Y1 KR 2019800001426 U KR2019800001426 U KR 2019800001426U KR 800001426 U KR800001426 U KR 800001426U KR 810000930 Y1 KR810000930 Y1 KR 8100009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pipe
- exhaust
- boiler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구멍탄용 온수보일러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난방회로내에 급수를 행할 때 공급되는 냉수가 보일러쪽으로 역류되지 못하게 하여 온수순환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보일러에서 생성되는 발생 증기를 배기구 통체 상방에 일정분량씩 집결시켜 간헐적으로 배기되도록 하므로서 증기에 함유된 고열의 허실을 차단하여 열량의 손실을 극소화하므로서 보다 열효율이 높은 온수난방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통상 공탄보일러의 배기구는 전체난방회로내에 난방수를 통입하는 급수목적과 보일러내에서 발생하는 공기나 증기를 배기시키는 두가지 목적을 겸하게 되는 바 종래의 공지된 배기장치는 단순히 보일러에서 발생된 공기나 증기를 곧 바로 대기중에 방류시키는 단일기능만을 갖도록 한 것이어서 고열의 증기에 함류된 열량이 그대로 손실되어 온수난방의 열효율이 저조하고 난방회로내에 급수를 행할시에는 찬 냉수가 보일러쪽으로 직접 역류하여 보일러내의 온수순환이 한동안 정체되는 폐단이 있어서 온수난방의 원활성을 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따랐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배기장치가 갖는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기구 통채(1)의 상, 하측에 급수관(4)과 온수 유출관(3)이 관접되고 측면에는 온수유입관(2)이 연결된 통상의 배기구 장치에 있어서 급수관(4)에 배기관(5)을 관삽하여 배기관(5)의 하단이 유출관(3)에 가깝게 근접되도록 길게 입설하고 배기관(3)의 상측에는 일정한 간격(H)을 두고 배기공(6)을 천설하여 배기공(6) 상측에 공기실(7)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통상의 난방관이고, 10온 온수보일러이며, 8은 전체난방회로내에 물을 보충시키는 급수조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에 있어서 배기구통체(1)를 온수보일러(10)와 난방관(9)의 사이에 개재시키므로서 보일러(10)에서 가온된 온수가 유입관(2)을 통해 상승된 후 유출관(3)으로 역류하여 난방관(9)으로 순환하도록 접관하는 것은 주지된 기술인 바 본 고안에서는 유입관(2)이 유출관(3)보다 높게 통체(1)의 측면으로 접관되어 있고 배기관(5)은 유입관(2)을 지나 유출관(3)의 인접부분에 도달되도록 길게 입설되어 있어서 급수조(8)로부터 난방회로내에 물을 보충할시 공급냉수는 유입관(2) 쪽으로 역류하지 않고 전량 유출관(3) 쪽으로만 공급된다.
따라서 급수시에 보일러(10) 쪽으로 냉수가 직접 역류되므로서 온수의 유통이 한동안 정체되는 기단이 없어지며 전체난방회로내의 온수순환은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배기관(5)에는 통체(1)의 상단과 약간의 간격(H)을 두고 배기공(6)이 천설되어 있어서 배기공(6)의 상측부에는 공기실(7)이 형성되므로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온수중에 함유한 고열의 공기나 증기는 일단 공기실(7)에 집결되었다가 배기공(6)을 통해 급수조(8) 위로 배출된다.
이때 집결공기의 양이 적을 때에는 수위(A-A)가 배기공(6) 위로 올라가므로 뜨거운 공기는 곧 바로 유출되지 못하고 잠시동안 차단되어 고열공기중의 높은 열이 온수속에 재흡수되므로서 열량의 외부발산이 상당히 억제되는 것이며 집결공기의 양이 차츰 증가되면 이의 공기압에 의하여 수위(A-A)가 아래로 밀려서 배기공(6)의 하부로 내려가므로서 집결공기는 배기공(6)을 통해 배기관(5) 속으로 유입되어 급수조(8) 쪽으로 배출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10)에서 발생되는 공기나 증기가 발생즉시 대기중에 곧 바로 방류되지 않고 공기실(7) 내에 일시 집결되어 간헐적으로 배출되므로서 고열공기나 증기중의 높은 열이 유출관(3)으로 송출되는 온수중에 재회수되므로 온수난방의 열효율이 종래보다 높아지며 따라 같은 연료를 사용하더라도 이의 난방효과는 종래보다 향상 된다.
그리고 배기관(5)은 유입관(2)보다 낮은 위치의 유출관(3)에 가깝게 접설되도록 길게 입설하므로서 난방회로내의 급수보충시 찬냉수가 보일러 쪽으로 역류되는 일이 없어서 보일러(10)와 난방관(9)의 온수 유통이 항상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기구 통체(1)의 상, 하측에는 급수관(4)과 온수유출관(3)이 관접되고 측면에는 온수유입관(2)이 개구된 공지된 것에 있어서, 급수관(4)에 연결한 배기관(5)의 하단을 유입관(3)에 근접되도록 길게 관삽하여 배기관(3)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H)을 두고 배기공(6)을 천설하여서 된 온수 보일러의 배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00001426U KR810000930Y1 (ko) | 1980-03-07 | 1980-03-07 |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00001426U KR810000930Y1 (ko) | 1980-03-07 | 1980-03-07 |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10000930Y1 true KR810000930Y1 (ko) | 1981-08-18 |
Family
ID=1921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00001426U Expired KR810000930Y1 (ko) | 1980-03-07 | 1980-03-07 |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1000093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528314A (zh) * | 2025-01-23 | 2025-02-28 | 四川氢饮科技有限公司 | 一种富氢水制备工艺及设备 |
-
1980
- 1980-03-07 KR KR2019800001426U patent/KR810000930Y1/ko not_active Expir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528314A (zh) * | 2025-01-23 | 2025-02-28 | 四川氢饮科技有限公司 | 一种富氢水制备工艺及设备 |
CN119528314B (zh) * | 2025-01-23 | 2025-04-11 | 四川氢饮科技有限公司 | 一种富氢水制备工艺及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70612A (en) | Induced draft submerged burner | |
KR100246731B1 (ko) | 액체가열장치 | |
KR810000930Y1 (ko) |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 |
KR930003636Y1 (ko) | 제빵기용 고온증기 발생장치 | |
KR810002473Y1 (ko) |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 |
KR800001198Y1 (ko) | 온수보일러용 중계관 | |
KR950003784B1 (ko) | 온수순환장치 | |
EP0119651B1 (en) | Device for the dosed absorption of heat from exhaust gases | |
KR900008072Y1 (ko) |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 |
KR890001413Y1 (ko) | 보일러용 냉·온수 순환기 | |
KR940011224B1 (ko) | 난방 보일러 장치 | |
KR100438362B1 (ko) | 에너지 절약형 물탱크 온수보일러 난방장치 | |
KR850002387Y1 (ko) | 석유난로의 증기발생장치 | |
KR820000827Y1 (ko) | 구명탄용 온수보일러 | |
KR100198351B1 (ko) | 대기 반차단식 보일러 | |
KR810002639Y1 (ko) | 온수보일러의 예열 저수조 | |
KR830001468Y1 (ko) | 구멍탄용 온수보일러 | |
KR810000761Y1 (ko) | 아파트용 구멍탄 온수보일러 | |
KR890004342Y1 (ko) | 온수 및 난방을 조절하는 보일러 | |
KR820002108Y1 (ko) | 온수보일러의 강제순환기 | |
KR830000604Y1 (ko) | 구멍탄용 증기보일러 | |
KR880001809Y1 (ko) | 오일 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 |
KR960010457Y1 (ko) | 농업용 난방기의 폐열을 이용한 농업용 온실의 난방장치 | |
KR810002250Y1 (ko) | 구멍탄 보일러 | |
KR910000330B1 (ko) | 온수보일러의 온수순환촉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1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