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00001739Y1 - 손 전 등 - Google Patents

손 전 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739Y1
KR800001739Y1 KR7904697U KR790004697U KR800001739Y1 KR 800001739 Y1 KR800001739 Y1 KR 800001739Y1 KR 7904697 U KR7904697 U KR 7904697U KR 790004697 U KR790004697 U KR 790004697U KR 800001739 Y1 KR800001739 Y1 KR 80000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head
reflector
flashlight
light bul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904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웅
Original Assignee
김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웅 filed Critical 김길웅
Priority to KR7904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73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 전 등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동 요부의 단면도.
제 3 도는 동 절첩시의 표시도.
제 4 도는 동 전개시의 표시도이다.
본 고안은 스탠드를 겸할 수 있는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형광등 또는 전구를 사용하여 손전등 또는 랜턴등이 있으나 광폭을 조절하거나 촛점심도를 조절하는 등 스탠드를 겸할 수 있는 랜턴이 없었다. 그러므로 스탠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랜턴 하단에 재치물을 놓은 다음 랜턴을 높게 하여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스탠드로도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구의 광원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조명각도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광부해드(1)에는 후랏쉬 반사판(2)과 스탠드용 반사판(3)을 각각 장착하고 전구(4)는 스윗치(5)와 연결된 슬라이딩 보디(6)에 연결하고 보디(6)에는 ㄷ자형 수직보디(7)를 접면되게 장착하여 슬라이딩 보디(6)의 접전단자(8)와 ㄷ자형 수직 보디(7)내의 상하 2개의 접전단자(7')(7")가 접전되게하며 밧데리 케이스(9)가 있는 몸체(10)의 손잡이(11)에는 요홈(12)을 삭설하고 지간(13)의 일단을 고정유설하여 함몰되게 하며 지간(13)의 다른 일단에는 발광부해드(1) 하단의 지지브라켓(1')에 연결유설하여 해드(1)가 자유자재로 유동되게한 구조이다. 14는 전선이고, 15는 스탠드용 전구 커버이고, 16은 ㄷ자형 수직보디(7)의 단자정지 요홈으로 스윗치가 off할 때에 쓰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해드(1)와 몸체(10)가 직선상으로 보관 또는 휴대하여 후랏쉬로 사용하는 것으로 후랏쉬로 사용할 때에는 스윗치(5)를 위로 밀면 전구(4)가 후랏쉬용 반사판(2) 밖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접전 단자(8)가 상승하면서 ㄷ자형 수직보디(7) 내에 상단 단자(7')에 슬라이딩 접전되므로 전구가 점등되는 것이다. 이때 상단단자(7')가 길므로 슬라이딩 접전단자(8)의 접전길이가 길어지므로 전구(4)의 점등상태에서 유동거리가 길어 반사판(2) 내에서 전구의 위치에 따라 조명되는 광각이 변하여진다. 즉, 광각을 조절할 수가 있어 조명하는 거리에 따라 임의대로 그 광원의 촛점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이를 스탠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해드(1)를 움직여 지간(13)과의 연결범위 내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조절한 다음 스윗치(5)을 아래로 내리게되면 슬라이딩 접전단자(8)와 전구(4)가 함께 아래로 하향하여 다시 ㄷ자형 수직 보디(7)내의 하단 단자(7")에 접전단자(8)가 접면하게 되어 전구(4)가 하방에서 점등하게 된다. 즉 후랏쉬용 반사판(2) 하단에서 다시 전구가 점등되므로 스탠드용 반사판(3)에 의해 광원은 측면의 스탠드용 커버(15)로 통해 밝게 투과되므로 스탠드용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때 전구의 상단캡이 후랏쉬용 반사판(2)의 구멍입구를 막아주게 되어 광원은 상향으로 새어나가지 않으므로 더욱 밝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전구를 소등하고자 할 때에는 스윗치를 중간 위치에 놓게되면 슬라이딩 접전단자(8)가 ㄷ자형 수직보디(7)의 요홈(16)에 감착하면 소등된다.
이와 같이 전구를 상하 유동시켜 광각을 조정하여 촛점심도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가 있으며, 헤드를 움직여 높이를 조절하여 광폭을 넓게 조명하는 스탠드용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어 다목적의 효과를 얻는 손전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발광부해드(1)에는 후랏쉬 반사판(2)과 스탠드용 반사판(3)을 각각 장착하고 전구(4)는 스윗치(5)와 연결된 슬라이딩 보디(6)에 연결하고 보디(6) 전면에는 ㄷ자형 수직보디(7)를 접면되게 장착하여 슬라이딩 보디(6)의 접전단자(8)와 ㄷ자형 수직 보디(7)내의 상하 2개의 접전단자(7')(7")가 접전되게 하며 밧데리 케이스(9)가 있는 몸체(10)의 손잡이(11)에는 요홈(12)을 삭설하고 지간(13)의 일단을 고정유설하여 함몰되게 하며 지간(13)의 다른 일단에는 발광부해드(1) 하단의 지지브라켓(1')에 연결유설하여 해드(1)가 자유자재로 유동되게 한 손전등.
KR7904697U 1979-08-06 1979-08-06 손 전 등 Expired KR800001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697U KR800001739Y1 (ko) 1979-08-06 1979-08-06 손 전 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697U KR800001739Y1 (ko) 1979-08-06 1979-08-06 손 전 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739Y1 true KR800001739Y1 (ko) 1980-10-26

Family

ID=1921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697U Expired KR800001739Y1 (ko) 1979-08-06 1979-08-06 손 전 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7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407A (en) Flashlight/area table lamp having a flexible neck
ATE550605T1 (de) Zusammenlegbare laterne
US6296369B1 (en) Lamp
JPH0785701A (ja) 携帯用照明具
US20020196622A1 (en) Combination flashlight and candle lantern
KR800001739Y1 (ko) 손 전 등
US4754378A (en) Electric torch
KR200479563Y1 (ko) 엘이디 등기구
US4052610A (en) Flashlight case assembly and flashlight
KR20010044446A (ko) 마그네틱 스위치 플래쉬
CN209926061U (zh) 照明警示灯
JP3021147U (ja) ランタン
CN214249196U (zh) 一种方便切换光源的手电筒
KR200268143Y1 (ko) 후레쉬
CN221054864U (zh) 一种广视野手电筒
KR950000904Y1 (ko) 낚시, 등산용 렌턴
KR890000269Y1 (ko) 카메라용 라이트의 전구교환장치
JP3188607B2 (ja) 照明装置
JP3026667U (ja) 支柱への取付け機構を有する照明具
KR820001810Y1 (ko) 플 레 쉬
KR0124403Y1 (ko) 랜턴
KR0124502Y1 (ko) 다용도 후레쉬
SU1716249A1 (ru) Карманный фонарь
KR0130399Y1 (ko) 랜턴
KR200232776Y1 (ko) 마그네틱 스위치 플래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790806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0050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926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1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