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25B1 -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00000725B1 KR800000725B1 KR760001971A KR760001971A KR800000725B1 KR 800000725 B1 KR800000725 B1 KR 800000725B1 KR 760001971 A KR760001971 A KR 760001971A KR 760001971 A KR760001971 A KR 760001971A KR 800000725 B1 KR800000725 B1 KR 800000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oke
- box
- voltage
- electrodes
- combus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통합한 연기탐지기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의 유입 또는 검사장치의 작동에 따라서 제1도의 측정함을 경유하는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라프.
제3도는 알파입자가 방사선원으로부터 이동한 거리의 함수로써 형성된 이온수를 도시한 그라프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측정함 및 차단장치와 차단장치를 이동하기 위한 장치들의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와 통합한 단 하나의 이온화함을 가진 연기탐지기를 도시한 제1도와 유사한 회로도.
제6도는 제2의 위치에 있는 차단장치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온화형의 연기탐지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의 소정의 기준에 대하여 측정함내부로 들어오는 공중부유생성물의 존재도를 모의 시험하기 위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온화형의 연기탐지기는 양극과 음극을 가지는 측정함에서 소량의 아메리슘(Americium)241과 같은 알파방사선원을 가진다. 측정함은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 생성물을 함유한 대기중에 실제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다. 측정함에서의 알파방사는 전극사이에 있는 공기를 이온화하며, 전극을 경유하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적은 전기 적인 전류의 흐름이 있게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연기)이 측정함내에 유입되는 경우 연기들은 이온의 이동도를 감소시키며, 그에 의하여 전류흐름에 대한 측정함의 저항을 증대시킨다.
측정함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의 전기적 특성에서의 최종변화가 감지되고, 전기적 변화가 측정함내부의 연기 또는 연무질에 일치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미리 선택된 기준에 도달하였을때 경보기를 트리거(trigger)하는데 이용된다. 정상적으로 감지된 전기적특성은 측정함을 경유하는 전압의 변화이며, 전압변화는 측정함내에 있는 연소로 인한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인 연소생성물의 존재도에 의하여 측정함의 저항증가에 따라 그 결과가 나타난다. 감지 또는 경보장치는 전압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고, 전압이 선택된 기준에 도달하였을때에 경보기를 트리거 한다.
연기탐지기는 필수적으로 작동중에 매우 감도가 좋아야하며 신뢰성이 높아야한다. 그러므로 측정함과 경보장치가 가지는 모든 작동성분들이 올바르게 작동하는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화형 연기탐지기를 검사하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은 탐지기에 담배연기를 불어넣는 방식과 같은 의도적으로 연기를 측정함에 유입되게하여 경보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모든 부품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은 실제로 얼마나 많은 연기가 측정함에 유입되었는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전혁 만족할만한 방법은 아니다.
예를들면, 일상적인 요리를 하면서 생기는 연기등에 반응하여 부적절한 오보를 발하지 않도록하고 적절한 시기에 화재경보를 하기 위하여 연기기준이 측정함내에서 2%에 있을때 경보가 발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탐지기에 연기가 날리어 유입되는 경우 이 장치를 검사하는 사람은 경보가 측정함에 2% 또는 10% 그 이상의 어느정도에 반응하여 경보가 울리는지를 모른다. 다른말로 표현하면, 이온화연기탐지기가 올바르게 동작한다고 할 수 없음에도 “연기”검사에 합격하게 된다.
다른 검사방법은 검사버튼을 장치하고, 검사버튼이 누름에 있을때 연소로 인한 부유생성물 또는 연기의 소정기준이 측정함내에서 존재하는 경우와 같이 측정함의 전기적모의 시험을 하도록 경보회로에 연결되게 한다. 예를들면, 이러한 장치에서 버튼의 누룸은 연기의 소정기준이 측정함내에 있을때 함저항과 동등한 저항을 가진 저항기와 측정함과 분로를 이루게 한다.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은 이 방법들이 측정함의 작동이 아닌 경보장치의 기능을 적절히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검사 장치가 모든 부속장치와 측정함 및 경보장치가 가지는 모든 작동성분을 검사하기 위하여 장치된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올바르게 작동중에 있는 이온화형 연기탐지기를 검사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화형연기탐지기에 대하여 측정함과 경보장치가 이루고 있는 모든 부속장치들을 검사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기 또는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이 측정함내에 있을때 이온화형연기탐지기가 적절히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한가지 형태로 수행하기 위하여 간략히 요약하면, 이온화형의 연기탐지기는 측정함과 측정함내에서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 사이를 가동할 수 있는 차단장치들로써 장치되며, 그 내부에서 알파입자를 차단하고, 그에 의하여 측정함의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여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의 소정기준을 가진 측정함내의 존재도를 모의시험하게 된다. 특히 측정함은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물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1과 제2의 전극들이 측정함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알파방사선원은 전극 사이의 공기를 이온화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적절한 전압이 전극을 경유하여 인가되었을때 전극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경보장치는 측정함에 결합되어 측정함의 전기적 저항이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의 소정기준을 갖는 측정함내의 존재도와 일치하였을때 경보신호가 울리게 하였다. 차단장치는 제1의 중립위치와 제2의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하여 알파입자를 차단하게 하였다.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장치는 차단장치에 결합되어 차단장치를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를 이동하게 하기 위하여 차단장치에 결합되어 전극사이의 전기적인 저항을 증대시키게 하였다. 차단장치와 제2의 위치가 가지는 장소는 일정하게 선택되며, 차단장치가 제2의 위치에 있을때 전극사이의 전기적저항은 차단장치가 제1의 위치에 있을때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물의 소정기준이 측정함에 있을때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저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2의 위치까지 차단장치를 이동하게 함은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의 소정기준을 가진 함내에서의 존재도를 모의시험하게 하고, 측정함과 경보장치를 이루고 있는 모든 검사장치를 검사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여, 차단장치는 제2의 위치에 있을때는 적어도 각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상태가 되며,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여, 차단장치는 제2의 위치에 있을때 전극중의 선택된 어느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 발명의 더욱 특별한 양태에 의하여, 차단장치는 제1의 위치에 있을때 선택된 전극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전도하는 타겟트(target; 표적판)를 포함하며, 차단장치를 이동하는 수동적인 작동장치는 측정함의 외부에 장착된 버튼과 전도 타켓트와 버튼을 서로 연결한 절연측장치와 제1의 위치를 향하여 차단장치를 밀어내는 바이어싱장치들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과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통합한 연기탐지기(10)이 도시되었다. 연기탐지기(10)은 한쌍의 단자(16)과 (18)을 경유하여 직렬로 연결된 이온화함(12)와 (14)를 포함하며, 단자(16)과 (18)에는 적당한 직류전원이 연결된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이 특정회로는 10.5볼트에서 12.5볼트의 범위의 전압을 가지는 직류전지에 연결시키도록 설계되었으며, 전지의 양극과 음극 단자는 단자(16)과 (18)에 각각 개별적으로 도시와 같이 연결된다. 함(12)는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 내부는 연소로 인한 공기 및 공중부유생성물 또는 연무질에 자유로이 접촉할 수 있다. 함(14)는 실질적으로 폐쇄돼어 있고 따라서 그 내부는 연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에 자유로이 접촉할 수 없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함(12)는 측정함이며, 함(14)는 기준함이 된다.
도시에서와 같이 측정함(12)는 일정한 간격을 이룬 한쌍의 전극(20) 및 (22)와 전극(20)과 (22)사이의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를 이온화하기 위한 아메리슘 241과 같은 알파방사를 가지는 전원(24)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온전류는 전압이 전극사이에 인가 되었을때 전극(20)과 (22) 사이에 흐르게 된다. 연무질 또는 연소로 인한 생성물들이 함(12)의 내부공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한 전류 흐름은 감소된다. 바꾸어 말하면, 연소연무질의 유입은 함(12)의 전기적 저항을 증대시키고, 저항변화의 양은 함(12)에 남아있는 연소 생성물의 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 V1이 측정함(12)에 인가되는 경우 함내에 연기가 없을 때에는 이온전류 I1이 흐르고 함내에 2퍼센트의 연기가 존재할 때 이온전류 I1′가 흐르게 된다. 기준함(14)는 일정하게 간격을 이룬 한쌍의 전극(26) 및 (28)과 전극(26)과 (28)사이의 내부공간에 산소와 질소분자를 이온화하기 위한 아메리슘 241과 같은 알파방사를 가지는 전원(30)을 포함한다.
연소로 인한 부유생성물이 함(14)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효과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26)과 (28)(일정하게 순환하는 대기상태하)에 인가된 각 전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가능한 이온전류만이 있게 된다. 제2도에서 공기가 일시적으로 순환되는 경우에 기준함(14)를 통하는 이온전류는 I1″가 됨을 알 수 있다.
함(12)와 (14)와 같은 이온화함(14)는 제2도에 도시된 유형의 특성곡선을 가진다. 각 함에 대한 이 곡선은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선형적인 기울기를 가지며, 인가전압과 이온전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므로 전압이 어느 일정한 기준을 초과할때 그 함은 포화상태가 되어 인가전압의 넓은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표시하게 된다. 함에 대한 특성곡선의 실제 구성은 함내의 전압이 나타내는 변화도와 알파방사선원의 세기와 함이 가지고 있는 다른 물리적인 특성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함(12)와 (14)의 기본적인 특성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은 곡선이며, 측정함(12)는 제2도에서 표시된 전압범위를 통하여 본질적으로 선형상태에 있게 하고, 기준함(14)는 비교적 낮은 전압에서 포화상태에 있게 하였다. 제1도의 회로배열에서 측정함(12)는 직선 영역에서 작동하고, 기준함(14)는 포화영역에서 작동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의 도시에서와 같이 알파방사를 가지는 전원(24)는 측정함내에 있는 대시(dash)선에 의하여 표시된바와 같이 방사장(場)내의 공기를 이온화한다. 전극(20)과 (22)에 인가된 전압에 반응하여 형성된 이온수와 이온전류의 크기는 알파입자가 방사선원으로부터 이동하는 거리에 관련되어 있는 관계를 제3도의 그라프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형형된 이온수는 거리 X까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이것은 약 3센터미터 정도 도달되기 전에 알파입자의 전 에너지가 고갈되어 부가이온들의 형성이 중지된다. 제1도와 제4도의 측정함(12)에서, 방사선원(24)와 전극(20) 사이의 거리는 3센티보다 다소 적다.
결론적으로 이온의 최대수는 방사선원(24)를 떠난 알파입자들이 함의 내부를 가로질러 방해받지 않는 이동을 할때 발생된다. 고정 전압이 전극(20)과 (22) 사이에 인가되었을때 이온전류는 이 상태하에서는 최대 기준에 머물게 된다. 다른 말로 간략히 설명하면 함의 전기적 저항은 이 상태하에서 비교적 낮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 생성물이 함에 들어오는 경우 알파입자들과 비교적 비중이 무거운 연기입자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며, 알파입자들은 충돌로 인하여 그들의 에너지를 상실하고, 그후 부가 이온들을 생성치 못한다. 이외에도 어떤 이온들은 연기입자에 스스로 부착되어진다. 이러한 입자들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된 결과는 전극에 인가하는 고정전압에 대한 이온전류의 감소를 초래하여 이미 형성된 이온의 수를 감소시키고, 함내의 전기적인 저항을 증가시킨다. 함의 저항은 연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함에서 연기가 비교적 높은 기준에 있게 되며 더 많은 알파 입자가 차단 당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제1도와 제2도에서, 함(12)와 (14)는 단자(16)과 (18)에 직렬로 연결되며, 단자에 연결된 전지의 실질적인 고정전압 VB는 그 두개의 함을 포함하고 있는 회로를 경유하여 인가된다. 기준함(14)가 포화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이온전류 I1″가 함(14)를 통하여 항상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기가 없는 경우 함(12)를 경유한 전압가하는 V2가 되며, 마찬가지로, 2퍼센트의 연기가 전극사이에 존재해 있을때 함(12)를 경유한 전압강하는 V3가 되고, 4퍼센트의 연기가 존재해 있을때 함(12)를 경유한 전압강하는 V4가 된다 물론 연기가 없을 때에 기준함(14)를 경유한 전압은 VB-V2가 되고, 2퍼센트의 연기에서는 VB-V3이 되며 4퍼센트의 연기에서는 VB-V4가 됨에 확실하다. 따라서 함(12)와 (14)중간의 접합부(32)에서의 전압은 함(12)내에서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생성물의 기준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경보발생회로 장치는 측정함(12)와 접합부(32)에 연결되어 접합부(32)에서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전압이 측정함내에서 연기등의 소정 최소량의 존재도와 일치할때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제1도와 제5도는 이 목적을 위한 적당한 여러가지 형태의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발생장치는 접합부(32)에 연결된 게이트를 가지는 증가형의 MOSFET(34)를 포함한다. MOSFET(34)의 전원은 양극단자(16)에 연결되고 MOSFET의 드레인(drain)은 직렬연결되어 있는 저항(36)과 (38)을 통하여 음극단자(18)에 연결된다. 한쌍의 캐스캐이드 SCR을 구성하고 있는 높은 이득을 가지는 스윗칭장치는 MOSFET(34)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이 MOSFET는 직렬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저항(36)과 (38) 사이의 접합부(42)에 첫째 SCR(40)에 게이트가 연결된다. 첫째 SCR(40)의 음극은 두가지 방식으로 두번째 SCR(44)의 게이트와 저왕(46)을 통하여 음극단자(18)에 연결된다. 두번째 SCR은 단자(16)과 (18)사이에서 경적부품(50)과 직렬로 연결된다. 저항(52)는 첫째 SCR(40)의 양극과 경적부품(50) 사이에 설치되었다. 캐패시터(62)는 단자(16)과 (18)을 경유하여 설치되며, 경적기(50)의 소리가 울리는 동안 공급 전압에서의 빠른 변화를 방지한다.
측정함(12)내에 연기 또는 연소로 인한 다른 공중부유생성물이 없을때 측정함(12)를 경유하는 전압은 MOSFET(34)의 드레시호울드(thres hold) 전압보다 다소 작다.
따라서 MOSFET(34)는 증가형이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오프상태(비전도상태)가 됨을 의미한다. MOSFET(34)가 비전도상태에 있게 되므로써 저항(36)과 (38)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이 없게 되며 접합부(42)는 음극단자(18)의 전압에 머물게 된다. 결론적으로 첫째 SCR(40)이 오프 또는 비전도상태에 머물게 된다. 첫째 SCR(40)이 전도하지 않으므로써 두번째 SCR(44)의 게이트 또한 음극단자(18)의 전압에 머물게 된다. 이는 SCR(44)가 비전도상태로 유지되어 경적기(50)이 작동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주의할것은 감지와 스위칭 장치의 모든 소자들이 전도하지 않는 상태하에서는 비전도상태가 되며, 따라서 단자(16)과 (18)을 경유하여 연결된 전지는 계속적인 전류소모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기 또는 다른 연소로 인한 공중부유 생성물이 함(12)에 유입되는 경우 함(12)와 MOSFET(34)의 게이트에 대한 전원을 경유한 전압은 증가한다. 이 성분들이 선택되고 조정되어져 MOSFET(34)의 드레시호울드(thres-hold) 전압은 2퍼센트의 연기가 측정함(12)에 존재할 때 도달되며, MOSFET는 접합부(32)에서의 전압은 함(12)에서 적어도 2퍼센트 연기의 존재도에 일치할 때 전도한다. 바꾸어 말하면, MOSFET(34)는 함내에 연기가 2퍼센트 또는 그 이상 집중될때 전도한다. 연기등과 같은 이 성분들이 적당히 선택되어 조정되므로써 MOSFET(34)는 어느 소정 최소량의 연기집중에서 최초로 전도하도록 작동되어진다.
MOSFET(34)가 전도하기 시작하면, 저항(36)과 (38)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접합부(42)에서의 전압을 충분히 증가시켜 첫째 SCR(40)이 전도상태가 되게 된다. SCR(40)과 저항(46)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SCR(44)의 게이트상의 전압은 SCR(44)를 전도상태로 전환하기에는 충분하며, 따라서 경적기(50)을 작동시킨다.
그러므로 함(12)에서 연기 기준이 미리 선택된 트리거점 이하로 전압강하 하였을 경우 MOSFET(34)에서 전압은 드레시호울드 기준 이하로 떨어지고, MOSFET(34)는 비전도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접합부(42)에서 전압 강하되며 SCR(40) 자체전류가 저장(holding) 기준(정상적으로 폐쇄된 경적기 접촉으로 경적기가 작동하는 동안 주기적인 개방으로 인함) 이하로 떨어져 비전도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은 두번째 (SCR)(44) 그 자체와 경적기(50)을 비전도 상태로 전환시키게 한다.
제5도에서, 하나의 이온화함(12′)가 단자(16′)와 (18′)을 경유하여 저항(72′)와 직렬로 연결되어 직류전력을 가진 전위에 연결된다. 연소로 인한 부유생성물이 측정함(12′)에 들어오는 경우 함 저항은 증가하며, 그 결과 회로를 통과하는 이온전류의 흐름이 감소되며 함(12)와 MOSFET(34′)의 게이트 전압은 증가를 초래한다. 함(12′)에서의 연기의 소정 최소기준에 접합부(32′)에서 전압은 충분히 증가되어 증가형 MOSFET(34′)를 전도상태로 전환한다. MOSFET(34′)를 통하여 전도한다는 것은 제1도의 회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경적기(50′)를 전도하게 한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제4도와 제6도에 관하여 이제부터 기술하고자 한다. 도시와 같이 전극(20)은 중앙에 개구부(80)으로 형성되며, 이 개구부 금속의 전도성을 가진 일반적으로 원통형부싱(bushing)(82)의 아래부분 말단을 수용하고, 이 평평한 전도성 있는 타켓트(target) 판(86)을 수용하기 위하여 카운터 보아 리세스(counter bored recess)(84)로써 구성되어 있다. 전도성스터드(88)와 함께 타켓트(86)은 본 발명의 차단장치로부터 뒤쪽에 고착된다. 스터드(stud)(88)은 누우렛(knurled)부분(90)을 포함하며, 함(12)의 외부에 위치시킨 버튼(94)의 종속축 분분(92)에 강제로 삽입된다.
축(92)는 부싱(82)의 위 부분에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되며, 압축스프링(96)을 부싱(82) 주위에 둘러싸이게 하여 타켓트판(86)이 카운터 보아 리세스(84) 안에 자리잡을 때까지 위쪽으로 버튼(94)을 바이어스 한다(밀어낸다). 이후 제4도의 도시에서와 같이 이 위치는 차단장치의 제1의 위치라고 기재한다. 연기탐지기를 검사하기 위하여서는 버튼(94)에 바이어싱 스프링(96)을 이길 수 있는 압력을 가하여 차단장치를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제2의 위치에 이동시킨다. 다음에 설명되듯이 축(92)는 프라스틱과 같은 절연재료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타켓트판(86)은 이동거리가 짧게 정지되도록 하여 차단장치가 제2의 위치까지 이동될때에 프라스틱 입구가 함(12)내로 들어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도록 하였다.
차단장치가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위치되었을때 타켓트판(86)과 부싱(82)는 전극(20)과 함(12)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전기적으로 지속적인 전극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차단장치는 방사장 내로 확장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차단장치가 제6도에 도시와 같이 제2의 위치에 이동되었을때 타켓트판(86)과 스터드(88)은 방사장내로 압입되면서 함을 경유하여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얼마간의 알파입자를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함내의 이온화양은 감소되고, 함 저항은 연기가 함에 들어오게 되는 경우와 같이 증가한다. 축(92)를 절연재료로써 구성하므로써 타켓트판(86)과 전극(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전도를 못하게 하여 차단장치가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생기는 어느정도 상당한 변화를 피할 수 있게 했다. 이외에도 타켓트판을 전도하게하고, 차단장치가 제1의 위치에 있을때 부싱(82)를 통하여 전극(20)을 접촉시키므로써 버튼(94)가 누름에 있을때 생긴 정전기는 전극(20)을 통하여 즉시 분산되어 없어져 버린다.
제1도와 제5도에서, 경보기(50)은 소위 2퍼센트 연기의 소정최소기준이 측정함(12)에 존재할때만 작동하며, 그에 따라서 MOSFET(34)와 다른 경보회로 소자들이 선택된다. 차단장치의 크기 선택과 타켓트판(86)의 정확한 위치를 통하여 차단 장치가 제2의 위치에 있을때와 함내에 연기가 없을때 함의 저항은, 연소생성물의 소정기준이 존재해 있는 상태에 따라서 똑같이 형성된다. 이 방법에서, 버튼의 누룸은 함의 저항 증가에 의한 함내의 연소로 인한 생성물의 소정 최소 기준의 존재도를 모의 시험하고, 그에 의하여 경보회로가 경보를 작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경보의 소리는 경보회로가 올바르게 작동되고, 연기의 소정기준이 존재해 있을때 이함이 올바르게 반응하고 있음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경보가 울리지 않는 경우 경보회로 또는 함 자체가 올바르게 작동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타케트판(86)과 스터드(88)의 정확한 크기와 함(12)내의 그들의 위치는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를 통합한 연기탐지기가 한 실예로서 만들어져 성공적으로 작동하였으며, 이 탐지기는 아메리슘 241의 1마이크로큐리 전원을 가진 측정함(12)와 기준함(14)를 포함하고 있다. 이 함은, 12.5-10.5볼트의 전압범위를 가지는 전지가 단자(16)과 (18)에 연결되고, 연기가 없을 때에는 35피코암페어(35×10-12암페어)의 포화 전류와 측정함(12)를 경유하는 약 3.3볼트 전압을 공급하도록 조정된다. 매 1센터미터마다 5.9볼트의 전압경사도를 가지는 전극(20)과 (22)사이의 공간은 0.767센티미터이며, 전원(24)와 타켓트판(86) 사이의 고간은 타켓트판(86)이 제1과 제2의 위치에 있을때 각각 0.508센티미터와 0.078센티미터가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지는 12.3볼트의 초기전압을 가지는 Mallory씨의 모델 제304,116호이다. 함(12)와 (14)는, 함의 연기기준이 2퍼센트 연기에 도달했을 때 또는 차단장치가 제2의 위치에 이동되었을 때의 MOSFET(34)의 드래시호울드 전압 4.3볼트의 전압을 제공하도록 더욱 조정된다. MOSFET(34)는 3N163이고, 저항(36)과 (38)은 각각 27,000옴과 15,000옴의 저항값을 갖는다. SCR(40)은 C103B이고, SCR(44)도 C103B이다. 저항(46)과 (52)의 저항값은 각각 1,000옴과 6,800옴이다 .경적기(50)은, 0.01마이크로화라드캐패시터와 200옴저항이 병렬로 되어있는 Indiana, Delta Electric of Marion사제품으로써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경적기 모델 제16,003,196호이다. 캐패시터(62)는 330마이크로화라드의 용량을 가진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당히 작동하는 중에 있는 이온화형 연기 탐지기를 검사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였으며, 이 검사장치는 측정함과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를 검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는 연기의 소정 기준 이상이 측정함내에 있을때 연기탐지기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결정지울 수 있다. 올바른 검사작동을 하기 위하여 차단 장치가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함의 어느 한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었을때는 그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특히 본 발명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였듯이 이 기술에서 숙련된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으며, 본원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여러가지 형태에서 변화를 기술하였다.
Claims (1)
-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온화형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에 연소로 인한 공중 부유 생성물이 실질적으로 자유로이 접촉할 수 있게 내부가 형성되고, 측정함(12)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는 제1과 제2의 전극(20)(22)과 적당한 전압이 상기 전극을 경유 인가되었을때 전극사이에 전류를 흐르게하여 제1과 제2전극(20)(22)사이의 공기를 이온화 하기위한 알파 방사선원(24)을 가지고 있는 측정함(12)에 있어서, 방사선원(24)으로부터 알파입자를 차단하기 위하여 최초의 전기적 저항을 제공하는 정상적인 위치(제4도)와, 경보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번째의 비교적 높은 저항을 제공토록하는 검사위치(제6도)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차단장치(86,88,90)등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1971A KR800000725B1 (ko) | 1976-08-13 | 1976-08-13 |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001971A KR800000725B1 (ko) | 1976-08-13 | 1976-08-13 |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00000725B1 true KR800000725B1 (ko) | 1980-07-23 |
Family
ID=192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60001971A KR800000725B1 (ko) | 1976-08-13 | 1976-08-13 |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00000725B1 (ko) |
-
1976
- 1976-08-13 KR KR760001971A patent/KR800000725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3984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ing battery energy level | |
US3500368A (en) | Automatic ionic fire alarm system | |
US4030086A (en) | Battery voltage detection and warning means | |
US4091363A (en) | Self-contained fire detector with interconnection circuitry | |
US4097850A (en) | Means for adjusting and for testing a detecting device | |
US4194191A (en) | Smoke simulating test apparatus for smoke detectors | |
US3909815A (en) | Detector for fumes and combustion gases | |
US3560737A (en) | Combustion products detector using a radioactive source and detector | |
US4138664A (en) | Warning device | |
US3717862A (en) | Fire detecting system and testing means therefor | |
US4012729A (en) | Multi-element ionization chamber | |
CA1079417A (en) | Smoke detector | |
US4150373A (en) | Ionization particle detector | |
KR800000725B1 (ko) | 연기 탐지기를 위한 연기 모의시험 검사장치 | |
US4336532A (en) | Integrated nuclear radiation detector and monitor | |
ES342635A1 (es) | Procedimiento para la comprobacion selectiva de tensiones electricas y su correspondiente dispositivo. | |
US3514603A (en) | Ionization chamber detection apparatus having a low voltage source means | |
US4924098A (en) | Nuclear radiation level detector | |
US3582767A (en) | Apparatus having an integrated amplifiers for monitoring the conductivity of solutions | |
ES2048332T3 (es) |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avisador de humos por ionizacion y aparato avisador de humos por ionizacion. | |
US489760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sired ground path detection in a single-point grounded electrical system | |
US3546581A (en) | Insulation continuity tester including a grounded detector resistance and grounded voltage source | |
SE408736B (sv) | Hogimpedanskretsanordning med joniseringsrokkennare | |
US3590321A (en) | Fire alarm device | |
FI80804C (fi) | Anordning foer detektering av jonisationsnivaon i ett gasmedi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