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00000545Y1 -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545Y1
KR800000545Y1 KR7906676U KR790006676U KR800000545Y1 KR 800000545 Y1 KR800000545 Y1 KR 800000545Y1 KR 7906676 U KR7906676 U KR 7906676U KR 790006676 U KR790006676 U KR 790006676U KR 800000545 Y1 KR800000545 Y1 KR 800000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ylindrical
hanger
rope
convey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906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히야마 히로
마루베니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마사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야마 히로, 마루베니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마사 요시다 filed Critical 히야마 히로
Priority to KR7906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545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troughed or tubular; formed with joints facilitating trou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제1도는 중간부를 생략하고 2단으로 분할하여 나타낸 본 고안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이송물 공급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로우프의 긴장측 단부의 부분적 정면도.
제3도는 이송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로우프의 구동측 단부의 부분적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IV-IV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V-V단면도.
제6도는 각 구성 부분의 지지축 및 프레임을 생략하고 요부만을 나타낸 벨트 탈착 장치의 사시도.
제7도는 벨트 행거(hanger)의 정면도.
제8도는 컨베이어 벨트의 개량된 권장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은, 특히 입상물 혹은 분상물 등의 피반송물을 내부에 포지(包持)하여 완전히 밀봉한 원통상 벨트를 와이어 로우프에 현수된 상태로 순환주행시키도록 한 현수식 원통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로울러 위를 주행하는 평탄한 벨트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종래 잘 알려져 있는 바이지만, 이 평탄 벨트 컨베이어는 특히 입상물 등을 수송하는 경우에, 피수송물이 비산되는 것을 면할 수 없는데다, 장거리를 수송하는 경우 혹은 경사지를 수송하는 경우에 극히 부적당한 것이다. 이와 같은 평탄 벨트 컨베이어의 여러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원통 벨트 컨베이어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이 원통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이송 행정에 연하여 와이어 로우프를 장설(長說)하고, 이 로우프에 벨트를 현수시켜 일정한 속도로 순환 주행시키는 것으로 컨베이어 벨트는 원통상으로 유지되고, 피수송물은 원통 벨트내에 봉입된 상태에서 수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수송물이 수송 도중에 있어 비산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스키이 개렌데의 스키이 리프트와 같이 와이어 로우프를 장설하는 것만으로, 기복 지대 또는 경사지에 있어서도 장거리간의 벨트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우프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확실하며 호율좋은 운전을 위해, 또 벨트의 파손이 적은 운전을 위해 로우프와 벨트를 균형좋게 주행시키고 또한 벨트의 요동을 극력 감소시켜 높은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것, 및 로우프에서 벨트를 현수하기 위한 벨트 협지구를 피수송물 적입부 및 하강부의 전후에 있어서 벨트로부터 이탈 또는 벨트로 협착(挾着)시키기 위한 벨트 탈착 작용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특히 벨트 주행에 관하여는, 종래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수용 로우프만을 구동시키고 벨트를 이 로우프의 주행에 종동(從動)시키는 경우에는, 역학적으로 로우프에 수평 방향(진행 방향)의 하중 및 벨트를 지지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과의 전하중이 부하되고, 이 때문에 큰 로우프 구동력이 필요하게되고, 또한 로우프의 피로도가 커서 짧은 수명의 원인이 될뿐 아니라, 로우프의 시동, 주행, 정지에 대하여 종동하는 벨트가 뒤져서 응답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피수송물을 적재하여 주행하는 하중측과 무하중으로 주행하는 귀환측 간의 하중의 차이, 그리고 하중측에 있어서도 벨트상의 이송물의 편재에 의한 하중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주행 관성이 극히 불균형하게 되기 때문에 벨트의 로우프에 대한 응답의 지연이 커지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달라져서 벨트의 요동 및 외곡이 생기는 것을 면할 수 없고, 벨트 협지구와 벨트간의 탈락 또는 어긋남의 원인이 되고, 또 벨트 이송 속도를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현수식 원통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벨트 및 로우프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고, 운전 구동력을 가급적 적은 것으로 족하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은, 벨트의 파손을 적게함으로써 수명이 길고 경제적인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와 벨트 협지구와의 탈착작용을 확실하게 하는 신규의 벨트 탈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의 또 하나는, 벨트의 협지가 확실한 동시에 탈착 조작이 용이한 벨트 협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양단의 터언부가 플리에 장설되어 있는 와이어 로우프와 동일하게 원통 벨트의 양단 터언부도 터언 풀리에 장설하고, 이 와이어 로우프와 컨베이어 벨트의 양자를 동기 연동(同期連動)시켜 주행구동하는데 있고,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와 이 벨트를 현수하는 와이어 로우프를 동기 연동 구동함으로써 이 양자에 수평 방향(진행 방향)으로 가중되는 하중이 동등하게 분담되므로 종래와 같이 와이어 로우프에만 전하중이 가중되었던 바에 비하여 구동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고, 이 때문에 적은 구동력으로 충분한 속도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벨트와 로우프의 주행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일이 없고, 또 시동시 또는 정지시에 야기되는 관성으로 인한 충격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고, 벨트의 요동 및 비틀림이 전혀 없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은, 컨베이어 벨트를 로우프로 부터 현수하기 위한 벨트 행거(belt hanger)가 로우프에서 수하되는 ㄴ자상의 현수간과 한쌍의 벨-크랭크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각 부재의 정각부(頂角部)는 상기 현수 간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고, 내측에 위치하여 상호 교차되는 두다리가 벨트 협지간(挾持杆)으로 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두 다리가 개폐 작동간(作動杆)으로 되어 이 작동간을 양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협지간의 개폐를 행하는 것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단연부를 협지하고, 또 협지하고 있는 벨트를 이반시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특징은, 상기한 벨트 협지구의 개폐 조작을 컨베이어 벨트 주행로의 양쪽 측면에 배설되어 컨베이어 벨트와 동기 구동되는 한쌍의 협압(挾壓)벨트로 구성되는 벨트 탈착기에 의하여 완전히 자동적으로 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 벨트 탈착기는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로의 적어도 피수송물 적입부의 전후 및 하강부의 전후에 배치되고, 벨트 협지구는 한쌍의 탈착 벨트사이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어 이 통과시에 개폐 작용간이 협압 벨트에 의해 압입되어 완전히 자동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와 협지구와의 탈착 작용을 행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장치의 배치 구성을 개량하여 설명하면 무단(無端)순환으로 배장되는 케이블 로우프(1)이 구동장치(2)와 긴장 장치(3)사이에 장설되고, 이 로우프(1)의 주행로에 대략 연하게 무단 컨베이어 벨트(4)가 로우프(1)로부터 현수된 행거(5)에 의해 현수되어 이송되게 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 벨트(4)는 고무, 또는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 등의 가요성 소재로 만들어지고, 그 구조를 원통상으로 한 상태로 도시한 제7도에 의거 설명하면, 벨트(4)의 양 측면에 팽대한 귀부(6), (7)이 형성되고, 귀부(6), (7)의 내벽에는 벨트(4)의 원통 상태에서 갈고리 모양으로 계합하여 벨트의 개방을 어느 정도 억제하기 위한 돌조(8) 및 요구(凹溝)(9)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4)는 팽대한 귀부(6), (7)하항의 목부(10)을 협지구(11)에 의해 강하게 협지되어 현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 벨트(4)는 이송물의 공급부(12) 및 배출부(13)에 있어서는 편평하게 되어 있고, 이송물을 적재한 하중측(14)월 무하중의 귀환측(15)의 직진 수송부 및 구동장치(2)측과 긴장장치(3)측의 터언부(16),(17)에 있어서는 원통상으로 굴곡된다. 또한, 벨트(4)(또는 로우프(1))의 이송방향(X)에 연하여 하중측(14)의 공급부(12)의 직후 및 배출부(13)의 직전, 또한 귀환측(15)의 구동 터언부(16)의 직후 및 긴장 터언부(17)의 직전에는, 벨트 행거(5)로부터 벨트(4)를 취의하는 기능 및 반대로 벨트를 행거(5)에 협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벨트 탈착장치(18A), (18B), (18C), (18D)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4)가 행거(5)에 의해 현수되어 있는 부분은 벨트 탈착장치(18A)와 (18B)의 사이 및 (18C)와 (18D)의 사이이고, 배출부(13), 구동 터언부(16)을 경유하는 (18B)와 (18C)의 사이 및 긴장 터언부(17), 공급부(12)를 경유하는 (18D)와 (18A)의 사이는 벨트(4)와 벨트 행거(5)하고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로우프(1) 주행로의 적절한 개소에는 상단에 로우프(1)을 지승하기 위한 가이드 차륜(65)을 구비하는 지주(19)가 배설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컨베이어의 구성의 개략을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 개개의 구성 장치의 상세를 설명하겠다.
이송물의 공급부(12) 및 벨트(4) 및 로우프(1)의 긴장 터언부를 제2도에 의거 설명하면, (20)은 케이블 로우프(1)의 권장용인 U형 풀리이고, (21)은 벨트(4)의 권장용 차륜이며, 양자는 회전축(92)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적으로 회전한다.
제5도에 단면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차륜(21)은 비교적 폭이 넓고 상부 측면에는 권장되는 벨트의 팽대 귀부(6)과 계합되는 요구(23)지 형성되어 있다. (32)는 상자 모양의 슬라이드 프레임로서 풀리(20) 및 차륜(21)을 지지하는 것으로 채널 강재로서 형성된 고정 프레임(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24)는 긴장용 평형추이고, 이것이 슬라이딩 프레임(32)에 배설되는 차륜(26) 및 고정탑에 배설되는 차륜(25)사이에 장설되는 로우프(27)을 개재하여 로우프용 풀리(20) 및 벨트 차륜(21)에 적절한 강도의 긴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송 공급부(12)에는 호퍼(28)이 설치된다. 호퍼(28)의 형상 및 구조는, 후술하는 슈우트(40)과 같이, 통상 이송물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다. 호퍼(28)하방의 프레임 대상에는 복수개의 캐리어 로울러(29)가 적절한 각도로 배설되어 있다.
벨트 귀환측(15)의 벨트 탈착기(18D)에 의해 벨트 행거(5)로 부터 벗어난 벨트(4)는 원통 상태채로 터언휠(21)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공급부(12) 입구측의 가이드 로울러(30) 및 캐리어 로울러(29A), (29B)에 의해 계합되어 있는 팽대 귀부(6), (7)이 격리되어 서서히 원통 상태에서 U자상, 혹은 평탄상으로 계방되어서 공급 호퍼(28)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다. 이때 분체(粉體)등의 이송물이 벨트 상에 공급되고 출구측의 캐리어 로울러(29C),(29D)에 의해 벨트(4)는 다시금 서서히 원통상으로 굴곡하여, 가이드 로울러(31)에 의해 팽대 귀부(6), (7)를 교합시키고, 하중측(14)의 벨트 탈착기(18A)에 의해 재차 행거(5)로 벨트를 현수시키고, 원통 벨트 내부에 이송물을 수납하여 배출부(13)으로 반송된다.
이송물의 배출부(13) 및 구동 터언부(16)을 제3도에 의거 설명하면, (35)는 와이어 로우프(1)의 구동 풀리이고, (36)은 컨베이어 벨트(4)의 구동 휠로서 양자는 구동축(37)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적으로 회전된다.
(38)은 예를들어, 전동 모우터 등의 구동 장치이고, 여기서 전동 벨트 혹은 치차(39)등을 개재하여 구동측(37)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어 와이어 로우프(1)과 벨트(4)와의 양자에 동기된 이송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로우프 구동 풀리(35) 및 벨트 구동 휠(36)은 전술한 긴장 터언부의 풀리(20) 및 휠(21)과 동일한 형상을 이룬다. 또 양자의 직경은 로우프와 벨트의 주행속도가 동일해 지도록 설정된다. (40)은 배출부(13)에 배설된 슈우트로서, 적당한 프레임대(41)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대(41)에는 슈우트(40)내에 위치하는 배출 로울러(42) 및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긴장 로울러(43) 및 유동 로울러(44)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46)은 편형추이다. 하증축(14)종단의 벨트 탈착기(18B)에 의해 행거(5)로부터 벗어난 원통상 벨트는 서서히 개방되어 완전히 평편하게 되어 배출 로울러(42)에 걸리고, 벨트위의 이송물은 슈우트(40)내로 방출된다. 이 후 평탄 상태의 벨트(4)는 긴장 로울러(43) 및 유동 로울러(44)에 적절히 긴장되면서 Z자상으로 장설되고, 배출부(13)을 통과하여 가이드 로울러(45)에 의해 다시금 서서히 원통상으로 굴곡되어져 팽대 귀부(6), (7)의 돌조(8)과 요구(9)를 계합시켜 원통 상태로 전술한 구동 훨(36)을 거쳐 귀환측으로 전송되고, 귀환부 시발점 위치에 설치된 벨트 탈착기(18C)에 의해 재차 벨트 행거(5)에 협지되어 현수 상태로 이송된다.
벨트 탈착기(18)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벨트(4)의 이송 방향을 따라 대칭적으로 대향하여 배설되는 한쌍의 협압 벨트(51)과 이 협압벨트(51)을 원통 벨트(4)의 이송 속도와 동기적으로 순환 구동시키기 위한 동기구동 기구부(68)로써 구성된다.
상기 협압 벨트(51)은 복수개의 V폴리(50)에 주행자재로 장설되고, 각각의 협압 벨트(51)의 대향 면부(51A)사이는 벨트 협지구(11)의 통과로가 되는 대략 평행한 간극(52)가 형성되는데, 그 폭은 벨트 협지 상태에 있는 협지구(11)의 좌우의 작동간(73)사이의 외폭 칫수보다 좁게 확장되어 있다. 또한, 행거(5)의 진입측에는 넓게 열린 진입 유도로(53)이 형성되어 있다.
협압 벨트(51)의 각 장설 폴리(54)는 당해 벨트(51)의 구동 폴리인데, 이 폴리(54)는 자재 계수(55)를 갖는 구동 샤프트(56)에 의해 상부에 설치되는 동기 구동 기구부(68)에 연결되어 있다.
(57)은 와이어 로우프(1)의 가이드 풀리로서, 이것과 치차(58)이 동축 고착되어 있고, 체인(60)이 이 치차(58)과 기어 박스(59)사이에 장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 샤프트(56)의 상단에도 치차(61)이 고정 설치되고, 이 치차(61)과 기어 박스(59)사이에 체인(62)가 장설된다. 이리하여 로우프(1)의 주행력이 체인(60) 및 (62)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는 샤프트(56)을 개재하여 협압 벨트(51)로 전달되어 로우프(1)과 협압 벨트(51)과의 이송 속도에 등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치차(58) 및 (61) 그리고, 구동 풀리(54)의 전달비는 로우프(1)과 탈착 벨트(51)의 양자가 등기속도로 되도록 설정된다. 또, 탈착 벨트(51)은 그의 대향 면부(51A)의 이송을 동일 방향으로 하기 위해 각각의 구동 풀리(54A), (54B)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전달체인(61)가 긴장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66), (67)은 가이드 기어이고, (65)는 와이어용 가이드 풀리이다.
벨트 탈착기(18)의 작용 효과를 제6도에 의거 벨트 협지구(11)을 원통 벨트(4)에서 취의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면, 원통 벨트(4)를 현수 지지한 벨트 행거(5)가 도입로(53)로 부터 서서히 진입하여 평행통로 (52)를 통과할 때에 좌우의 작동간(73)이 일조의 탈착 벨트 사이에 협지되어 내측으로 압압되어서 회등하여(제7도에 쇄선으로 표시함), 혈지간(74)를 개방시켜 원통 벨트(4)를 취의한다.
이때 탈착 벨트(51)은 행거(5)와 동일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므로 행거(5)와의 상대 속도는 영으로 되고, 진입로(53)에서 평행로(52)에 걸쳐서 행거의 작동간(73)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진행방향 Y에 직각된 방향으로 압압력을 가할 수가 있으므로 원통 벨트나 행거에 비틀림이 가해지는 일이 없이 가장 이상적인 탈착 작용을 행할 수 있다. 또 행거와 탈착 벨트(51)과의 동기 이송에 의해 혈압된 행거(5)가 자기 발발력에 의해 탈착 벨트(51)과의 사이에 미끄럼이 생겨 비틀어지게 되는 일은 거의 없으나, 보다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탈착 벨트(51)을 표면에 평탄한 V벨트 대신에 표면에 파상, 톱니상 또는 방형파상의 요철(凹凸)을 형성한 V벨트로 하여도 된다.
협지간(74)가 열려진 행거(5)는 원통 벨트(4)면에 대해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하여 상승하고, 완전히 원통 벨트(4)와 분리되어 이것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탈착벨트(51)을 행거(즉 와이어 로우프)의 이송 경사를 따라 검사시켜 배설하면 행거에 의한 원통 벨트의 취외 또는 파취(把取)가 확실해 진다. 또 행거에서 개방된 원통 벨트(4)는 가이드 로울러(64)에 의해 유지되고 다음 단계의 작업개소로 이송된다.
행거(5)에 의해 원통 벨트(4)를 파취하는 경우는 와이어 로우프(1) 컨베이어 벨트(4) 및 탈착용 협압 벨트(51)의 주행방향이 제6도와는 반대가 되고, 또 도입로(53)이 행거(5)의 진입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행거(5)는 협압 벨트(51)에 의해 그의 벨트 협지간(74)가 열려져 서서히 원통 벨트(4)로 접근하여 협지간 (73)내에 벨트의 팽대귀부(7)를 삽입시키고 협압 벨트(51)의 후단부에 있어 작동간(73)이 협압 벨트(51)로 부터 벗어나는 순간에 협지간(74)에 의해 벨트로 목부분(10)을 협압 지지한다.
벨트 행거(5)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우프(1)에 부착된 고정체(70)과, 이 고정체에 연접하는 L자상의 현수간(71)과, 이 현수간(71)의 하단 수평 아암(72)에 배설된 벨트 협지구(11)로써 구성된다.
협지구(11)은 작동간부(73)과 협지간부(74)로써 되는 한 쌍의 벨-크랭크 모양의 부재(75)로써 구성되며, 작동간(73)이 외측으로 되고 협지간부(74)가 내측으로 되도록 협지간(74)를 상호 교차시켜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벨-크랭크 모양의 부재의 정각부(76)을 브래킷(77)을 개재하여 회동 자재로 현수간의 수평 아암(72)에 부착되어 있다. 회동추측(78)에는 트위스트 스프링(79)가 권장되고, 이것이 협지간(74)에 컨베이어 벨트 협압방향으로의 향력(向力)을 부여하고 있다.
(80)은 스프링단 계지핀이다. 협지간부(74)의 선단 근방은 만곡되어 선단에는 벨트 협압판(81)이 고설 되어 있다. 대향하는 협압판(81)사이에 벨트의 목부(10)이 협압 지지된다. 좌우의 작동간(73)을 내측으로 압입하면 협지간부(74)는 도면중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하여 협지간(74)의 선단이 크게 열리고, 현수간(71)상단에 고착된 연결관 부재(82)에는 트위스트 스프링(83)이 내장되어 있게 행거(5)의 이동 방향으로의 요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어서, 벨트 탈착기내에 있어서의 벨트 협지작용을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84)는 평형응 추이다. 이와 같은 벨트 행거가 로우프(1) 위에 적절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장치는 원통 벨트(4)와 이 벨트를 지지하는 와이어 로우프(1)의 양자를 동기 연동시켜 구동하고 있으므로, 종래 로우프에만 가중되어 있던 수평방향(이동방향)의 하중이 로우프와 벨트와에 각각 분담되어서 구동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고, 따라서 작은 구동력으로도 충분히 운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로우프의 하중이 감소됨으로써 로우프의 피로도가 적어져서 수명이 길어진다. 또 로우프와 컨베이어 벨트가 동기되어 동일 속도로 구동되고 있기 때문에 로우프와 벨트와의 주행 위치에 편차가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시동시 및 정지시의 벨트의 관성으로 인하여 로우프에 부과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벨트의 요동 및 비틀림을 거의 전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의 귀환 측도 원통상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귀환 벨트를 별도의 이송물의 운반에 사용하는 일도 가능해 진다. 물론 왕복의 벨트 주행로는 반드시 평행으로 할 필요는 없고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경제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4)를 터언부(16), (17)에 있어서 원통 상태인 채로 터언 차륜(21), (36)에 권장한 경우, 벨트(4)의 굴곡부(90)이 강하게 짓눌려 짜부러지기 때문에 벨트의 재질에 따라서는 접히는 버릇이 들어 그 부분이 쉬약해져서 파열 손상될 염려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회피하기 위하여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언 훨(91)에 벨트(4)를 평탄 상태로 권장하면 된다. 즉, 터언부(16), (17)의 각 터언 훨에 근접하는 벨트(4)는 평탄하며, 벨트면 수평상태에서 대략 90°비틀어져 벨트면(92)를 수직되게 훨(91)에 권장되고, 터언 훨 통과 후에는 재차 벨트면을 수평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벨트면을 수평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또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보조적인 가이드 로울러 등을 배설하면 된다. 이 개량 장치에 사용되는 터언 횔(91)은 훨면의 폭이 넓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벨트(4)를 평탄 상태로 권장함으로써 벨트가 굴곡되는데에 기인하는 벨트의 손상은 완전히 없어지고, 또한 벨트와 훨과의 접촉면이 넓어지므로 벨트구동력의 전달 효율이 높아져서 극히 효과적이며 확실한 벨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

  1. 구동 풀리 및 긴장 풀리 사이에 긴장 배설된 로우프와, 구동훨 및 긴장 흴사이에 장설되며, 상기 로우프에 행거를 개재하며 탈착 자재로 현수되어 적어도 이송물긍급부 및 배출부에 있어서 전개되는 원통상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훨을 연동하여 구동하고 상기 로우프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를 등기시켜 순환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이송 경로에 연하여 상기 이송물 공급부의 직후, 상기 이송물 배출부의 직전, 상기 구동 훨의 직후 및 상기 긴장 훨의 직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한 이송물 공급부의 직후 및 상기 구동훨의 직후에 있어서는 원통상으로 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상기 행거에 협착지지시키고 상기 이송물 배출부의 직전 및 상기 긴장 훨의 직전에 있어서는 상기 행거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벨트 탈착장치로 구성되는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7906676U 1979-11-06 1979-11-06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Expired KR800000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676U KR800000545Y1 (ko) 1979-11-06 1979-11-06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676U KR800000545Y1 (ko) 1979-11-06 1979-11-06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3219 Division 1974-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545Y1 true KR800000545Y1 (ko) 1980-04-28

Family

ID=1921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6676U Expired KR800000545Y1 (ko) 1979-11-06 1979-11-06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5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944A (zh) * 2019-09-11 2019-11-19 辽宁科技大学 吊挂式带式输送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944A (zh) * 2019-09-11 2019-11-19 辽宁科技大学 吊挂式带式输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5593A (en) Conveyors
US4989722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yarn packages
JPH08506076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コンベヤ
US3999646A (en) Cylindrical belt conveyor system
US7080730B2 (en) Conveyor assembly
US2202882A (en) Conveyer
US3353652A (en) Feeding and indexing device for package handling apparatus
US4171044A (en) Inclined belt conveyor
US2910165A (en) Can unscrambler
KR800000545Y1 (ko) 현수식 원통 벨트 컨베이어장치
US3847269A (en) Magnetic rail type conveyor unit
US2342780A (en) Paper film conveyer
EP0605740A1 (en) System for conveying articles
US5092444A (en) Constant speed decline belt conveyor
US3481449A (en) Conveying systems
US4995225A (en) Compact food tray film wrapping machine
JP2520430B2 (ja) 容器内収容物の取出し装置
JPH0234846B2 (ja) Itajowaakuhansosochi
US3474896A (en) Overhead paddle transport cam for bag loading machine
JPS621127Y2 (ko)
US5211525A (en) Device for unbinding sacks bound into packs
JPS60148806A (ja) コンベヤ
JPS6175712A (ja) チツプコンベア
AU712813B2 (en) Conveyor belt
EP0168873A1 (en) Convey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791106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19740003219

Filing date: 197407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402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0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