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00000349B1 -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49B1
KR800000349B1 KR7700471A KR770000471A KR800000349B1 KR 800000349 B1 KR800000349 B1 KR 800000349B1 KR 7700471 A KR7700471 A KR 7700471A KR 770000471 A KR770000471 A KR 770000471A KR 800000349 B1 KR800000349 B1 KR 80000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urst
pulse
perio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70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알 센들웩 진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Priority to KR770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4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를 이용하는 칼라텔레비죤 수상기의 일부의 계통도.
제2-8도는 제1도의 회로동작의 이해를 위하여 보인 파형도.
본 발명은 펄스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 칼라 텔레비죤 비데오 신호의 색도정보로부터 칼라동기 버어스트 기준신호를 분리시키는 게이팅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미국에서 적용되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와 같은 칼라 텔레비죤 장치에서, 합성 칼라 텔레비죤 비데오 신호는 3.58MH의 억제된 칼라 반송파에서 변조된 칼라 정보위상과 진폭을 가지는 색도 성분과 명도 성분을 포함한다. 비데오 신호는 소거 기간중에 일어나는 동기펄스와 칼라 반송파와 동기관계에 있는 칼라 버어스트 기준신호를 포함한다. 그 버어스트 신호는 반송파 신호의 공지된 위상의 각 사이클에 의하여 나타나며 소거 기간중에 수평 동기 펄스후에 일어난다.
이려한 장치용 칼라 텔레비죤 수상기에서, 버어스트 성분은 비데오 신호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어 칼라성분을 복조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위상과 주파수의 기준신호를 제공한다. 버어스트와 색도신호 주파수를 포함하는 비데오 주파수 범위의 상부의 신호주파수를 증폭기에 인가하는 것은 버어스트 성분을 분리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비데오 신호의 버어스트 기간과 동시성인 게이트 펄스로서 증폭기를 도전상태로 주기적으로 게이트시키므로서, 버어스트 성분은 인가된 신호의 나머지를 제외하고 분리된다.
적당한 시간이 정해진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는 텔레비죤 수상기의 수평편향 회로에 의하여 발생된 수평선 귀선펄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수평 동기펄스는 버어스트 성분과 고정된 시간관계로 비데오 신호내에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를 유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수평 동기 펄스로부터 유도된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는 귀선펄스가 예를 들어 수평 편향 회로내의 홀드 제어를 조정함으로써 버어스트 기간에 관하여 잘못 위치 선정되기 쉽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바람직하다. 홀드 제어를 통하여 수평회로의 조절은 귀선펄스의 시간, 진폭 혹은 형태에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귀선펄스의 일부는 복합신호의 비데오 정보와 동시에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에, 게이트된 증폭기는 버어스트 성분뿐 아니라 비데오 정보의 일부를 통과시킨다. 수평동기펄스로부터 유도된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는 수평 회로의 조정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수평 귀선 펄스나 수평 동기 펄스로부터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를 얻기 위하여 이용되는 회로는 비교적 복잡하지 않고 저렴하며, 정확성을 제공하여 잡음 소거동작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발생기는 동작전위원, 칼라텔레비죤 비데오 신호의 수평 동기성분의 펄스를 발생하는 입력회로 및, 그 입력회로에 연결된 입력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그 동작전위원에 연결된 출력전극과,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그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는 적어도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를 포함한다. 그 공진회로는 소정의 시정수를 가지며 트랜지스터의 출력전극에 연결된다. 그 공진 회로는 트런지스터가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된 기간을 가지는 링잉(ringing)파형을 발생하도록 입력펄스에 응답하여 도전할 때 링잉으로 전압이 인가된다. 공진회로는 파형의 제1전 사이클의 완정이전에 트랜지스터가 비도전되도록 그 트랜지스터 역도전 특정으로 상호동작하여 파형의 한극성의 제1전반 사이클에 해당하며 비데오 신호의 버어스트 기간과 동시성인 츨력 펄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비데오 신호 처리장치 20은 안테나 10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주파수 텔레비죤 신호에 응답한다. 비데오 신호 처리장치 20은 적당한 중간 주파수 증폭기와 검파기회로(도면에 생략)에 의하여 색도, 명도, 음성 및 동기 성분을 포함하는 합성 비데오 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처리장치 20의 출력은 비데오 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펄스를 분리시키는 동기신호분리기 30에 연결된다. 분리된 수평 및 수직동기펄스는 영상 재생 키네스코프(도면에 생략)의 편향회로에 인가된다. 수평동기펄스(Vs)는 동기분리기 30의 출력으로부터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50의 입력에 연결되는데, 그 펄스발생기는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회로 50으로부터 나온 버어스트 게이트 출력펄스는 버어스트게이트 처리 장치 70의 입력에 연결된다. 버어스트 게이트 처리장치 70은 색도 처리회로의 필요에 따라 단일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나 푸쉬풀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를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신호처리장치 20으로부터 나온 비데오 신호는 색도 대역통과 필터 75가 연결된다. 필터 75는 비데오 신호의 비교적 높은 주파수 색도 성분을 통과시킨다. 대역통과필터 75로부터의 출력신호와 장치 70으로부터의 출력버어스트 게이트 펄스는 색도 처리장치 80의 각 입력에 연결되는데, 그 장치 80은 비데오 신호의 색도성분으로부터 나온 칼라 차이 신호 R-Y, B-Y 및 G-Y를 유도하도록 동작한다. 칼라 차이 신호는 키네스코프(도면에 생략)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적(R), 청(B) 및 록(G)을 발생하도록 비데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명도(Y) 신호와 매트릭스 되는 경우에 키네스코프 구동장치(도면에 생략)에 연결된다.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50은 저항 52와 저항 53에 의하여 형성된 입력 분압기와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 56과 캐패시터 58을 포함하는 적분회로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60은 공통 에미터 연결되어 있고 모토로라 코오포레이숀에 의하여 시판되는 MPS A 20형이 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60의 콜렉터는 부하저항 61을 통하여, 동작전원(+4볼트)에 연결된다. 인덕터 68과 캐패시터 66을 포함하는 공진회로는 트랜지스터 60의 콜렉터-에미터 통로에 걸쳐서 연결된다. 버어스트 게이트 출력 펄스(V0)는 캐패시터 66과 인덕터 68의 접점에서 게이팅 회로 50에 의하여 발생된다.
회로 50의 동작에서, 기준 전압은 제7도에 시초이며, 제7도는 비데오 신호내의 버어스트 성분과 수평동기 펄스성분의 비교부를 보이는 비데오 신호의 일부를 보인다. 파형의 도시된 부분은 10마이크로초의 기간중에 일어나며 선주사속도로 반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7도에서, 수평 동기 성분은 연속 반송파 버어스트 신호 Vb의 약 8사이클을 포함하는 버어스트 기간에 의한 시간 T0와 T2사이에서 일어나는 정의펄스를 포함한다.
동기 분리기 30은 예를 들어 25볼트의 피이크진폭을 제공하며 정극성의 비데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출력동기 펄스 Vs를 제공한다. 분압기 저항 52와 53은 동기 펄스 Vs를 감쇄시켜서 이 실시예에서 4볼트의 소정의 피이크 진폭을 가지는 정입력 펄스 Vi(제2도)을 제공한다.
적분회로 56, 58은 펄스 Vi를 적분하여 시간 T0와 T2사이의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에서 램프 전압 파형(제3도)를 발생시킨다. 적분회로 56, 58은 게이트회로 50의 잡음 소거 동작을 촉진시키도록 동작한다.
저항 56과 캐패시터 58의 값은 RC시정수를 결정하므로, 소정의 시간이 지난후에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의 램프 전압 VB의 크기는 약 +6.5볼트가 된다. 이때 즉, T1에서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 에미터 접합은 충분히 순바이어스되어 트랜지스터 60이 도전한다. 따라서 저항 56과 캐패시터 58은 어느 정도 지연되며 그 지연되는 시간에 트랜지스터 60은 버어스트 기간 이전에 펄스 Vi에 응답하여 도전한다. 트랜지스터 60이 도전하는 T1이전에 공진회로 캐패시터 66은 저항 61을 통하여 동작 전원(+4볼트)으로 충전된것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트랜지스터 60의 콜렉터 전압파형 Vc를 나타낸다. 콜렉터 전압 Vc는 트랜지스터 60이 T1으로 도전할 때 사실상 영볼트로 강하된다. 트랜지스터 60은 스위치로 동작하여 T1에서 도전될 때 공진회로 65는 그의 본래 주파수에서 링잉하도록 여자된다. 이때 캐패시터 66은 트랜지스터 60이 도전상태로 스위치될 때 그 트랜지스터의 낮은 콜렉터-에미터 임피던스 때문에 인덕터 68과 병렬로 연결된다. 공진회로 65의 링잉 주파수는 캐패시터 66과 인덕터 68의 값에 의하여 설정된 사정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예에서, 이들값은 한 링잉 사이클의 1/2시간이 버어스트 기간의 시간(예를 들어, 약 5마이크로초)과 사실상 동일하도록 선정된다.
제5도는 공진회로 65가 링잉으로 여자될 때 인덕터 68의 전류(IL)을 보인다. 제6도는 동시에 트랜지스터 60의 상대 에미터 전류(IE)를 보인다. 인덕터 전류 IL은 시간 T1에 시작하는 부방향으로 흐르며 시간 T3까지 링잉의 첫번째 l/2사이클 동안에 부극성으로 남아 있게 된다. 트랜지스터 60의 에미터 전류 IE는 인덕터 전류 IL에 대하여 반대극성(정)인 것을 제외하고는 시간에 맞게 동시성으로 흐른다. 인덕터 68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 VL은 제8도에 보인 바와 같이 90°로 인덕터 전류 IL을 인도한다.
시간 T3에서 한 링잉 사이클의 1/2이 끝난 후에 인덕터 전류 IL의 극성이 부에서 정으로 변하고,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시간 T4까지 정극성으로 계속된다. 이 시간중에 트랜지스터 60의 에미터 전류 IE의 극성은 제6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정에서 부로 변한다. 따라서 이 시간 T3-T4중에 에미터 전류 IE와 인덕터전류 IL은 제1도의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트랜지스터 60의 콜렉터와 에미터의 역할은 상술한 후자의 상태로 상호 바뀌어서 트랜지스터 60의 에미터 전류 IE는 그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콜렉터로 흐르고 T3로부터 T4로 흐른다. 트랜지스터 60은 시간 T3에서 T4로 도전을 계속하지만 역전류 도전 모우드에서 트랜지스터 60은 공통 에미터 순방 전류 전달비(hFE)를 나타낸다.
시간 T3이전에,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 전압 VB는 입력 펄스 Vi가 시간 T2에서 영볼트로 강하될 때 감소하기 시작한다. 에미터 전류 IE가 부극성을 나타내는 T3에서 T4까지 중에 트랜지스터 60의 콜렉터 전압VC는 제4도에 보인 부극성을 나타낸다. 이 기간중에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 전압 VB는 제3도에 보인 부행(negative-going) 콜렉터 전압 Vc에 의하여 부가되며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콜렉터 접합이 약 0.65볼트로 순바이어스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에서 콜렉터로 흐른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60은 시간 T3와 T4도전시킨다. 이 기간중에, 콜렉터 58의 전하는 트랜지스터 60의 도전에 의하여 계속하여 소멸된다. 캐패시터 58의 전하의 일부는 저항 56과 53을 통하여 소멸된다.
제5도 및 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시간 T4에서 인덕터 전류 IL은 정에서 부로 극성이 바귀려하며 따라서 상대 에미터 전류 IE는 부에서 정으로 극성이 바뀌려한다. 즉, 트랜지스터 60의 에미터는 공급 전류의 원래 역할을 제1도에 보인 방향으로 역전시킨다. 그러나, 이때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에미터 접합은 캐패시터 58의 전하가 소멸되고, 트랜지스터 60이 한 링잉 사이클의 일단에서 오프로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60을 도전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충분히 순바이어스되지 않는다.
상술한 동작에 따라, 게이팅 회로 50은 제8도에서 보인 출력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V0를 발생시킨다. 출력 게이트 펄스 V0는 인덕터 전압 VL의 첫번째 정의 반주기에 의하여 나타나는데 그 인덕터 전압은 T2에서 시작하여 T3와 T4사이에서 끝난다. 제7도와 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 게이트 펄스 V0는 트랜지스터 60의 최초 도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시간 지연 T0-T1에 의하여 그리고 인덕터 전압 VL(제8도)의 첫번째 전 링잉사이클의 첫번째 1/4의 시간에 단계한 시간 지연 T1-T2에 의하여 버어스트 기간과 동시성이 되도록 제공된다.
시간 T4에서 캐패시터 66은 저항 61을 통하여 4볼트의 동작전원쪽으로 충전을 시작한다. 이에 관련하여, 저항 61과 캐패시터 66은 한 수평 시간주사 기간(즉, 63.5마이크로초)보다 적도록 저항 61과 캐패시터 66의 값에 의하여 결정된 시정수를 가지는 RC충전회로를 형성한다. 캐패시터 66은 수평선주사기간의 말단에 의하여 동작전원의 레벨로 충전되여 다음 동기 펄스 Vs의 도착전에 충전된다. 저항 61의 기능에 따라, 저항 61, 캐패시터 66 및 인덕터 68을 포함하는 직렬공진회로는 트랜지스터 60이 시간 T4에 턴오프될 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항 61은 직렬 공진회로의 어떤 좋지 않은 경향을 감쇄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회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른 회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펄스 Vs는 텔레비죤 수상기의 수평 편향 회로로부터 유도된 수평 동기펄스, 즉 귀선 펄스가 될 수 있다. 출력 게이트 펄스 V0의 시간은 공진회로 65의 링잉기간을 조정하도록 캐패시터 66과 인덕터 68의 값을 변화시키므로서 버어스트 기간과 동시성이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공진회로 65가 링잉하도록 전압인가되는 시간과 출력게이트 버어스트 V0의 시간은 여러가지 입력 회로장치를 이용하므로서 점점 작아질 수 있어서 펄스 Vi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 60이 최초로 도전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회로장치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닌데, 그 이유는 적당히 시간 조절된 출력펄스 V0를 제공하기 위한 적당한 지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회로 65의 링잉 기간을 조절하므르서 성립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60의 동작이 캐패시터 58과 연관되어 설명되었지만, 이 캐패시터는, 예를 들어 입력펄스 Vs가 저임피던스원으로부터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에미터 회로에 인가될 때는 필요하지 않다. 공진회로 65에 의하여 발생된 충분한 진폭의 링잉파형과 조합된 충분히 낮은 임피던스 입력 펄스는 트랜지스터 60의 베이스로 하여금 트랜지스터 60의 콜렉터와 에미터에 대하여 충분히 순바이어스되도록 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 60은 각각 T1-T3와 T3-T4동안에 순 및 역 도전 모우드 동작하므로 트랜지스터 60을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링잉 사이클 T1-T4중에 도전 상태로 유지시킨다.
결론적으르 부극성의 출력게이트 펄스 V0는 캐패시터 66과 인덕터 68의 상대위치를 상호 교환하므로서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진 회로 65의 전압 및 전류진폭응답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제5,6 및 8도에 보인 극성과 반대 극성이 될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설명하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버어스트 기간중에 일어나는 칼러 기준 버어스트 성분과 수평 동기성분을 포함하는 칼라 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하기에 적당한 버어스트 게이트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작전원; 수평동기 성분을 나타내는 펄스를 제공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된 입력전극, 상기 동작전위에 연결된 출력전극 및 공통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장치 및; 소정의 첫번째 시정수를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 장치의 출력전극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턴스와 제1캐패시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장치가 상기 제1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된 기간을 가지는 링잉 파형을 발생하도록 상기펄스에 응답하여 도전할 때 링잉으로 여자되며, 상기 버어스트 기간과 동시정으로 상기 파형의 한극성의 제1반주기에 해당하는 출력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파형의 제1전사이클이 끝나기전에 상기 트랜지스터를 비도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랜지스터의 역도전 특성과 상호 작용하는 공진회로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KR7700471A 1977-02-26 1977-02-26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Expired KR80000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471A KR800000349B1 (ko) 1977-02-26 1977-02-26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471A KR800000349B1 (ko) 1977-02-26 1977-02-26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49B1 true KR800000349B1 (ko) 1980-04-26

Family

ID=1920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471A Expired KR800000349B1 (ko) 1977-02-26 1977-02-26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610A (en) Controlled output composite keying signal generator for a television receiver
GB2066598A (en) Television synchronising systems
JPH0566076B2 (ko)
US4063133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timing correction
US4263615A (en) Horizontal drive circuit for video display
US4051518A (en) Burst gate pulse generator
US3641258A (en) Sample-and-hold circuit
US4510527A (en) Horizontal deflection phasing arrangement
US4327376A (en) Dual phase-control loop horizontal deflection synchronizing circuit
US4173023A (en) Burst gate circuit
US4453183A (en) Dual polarity sync processor
US4225809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4316214A (en) Keying signal generator with input control for false output immunity
US5596250A (en) Timing of deflection waveform correction circuit
US4295161A (en) Keyed noise filter in a television receiver
KR800000349B1 (ko) 버어스트 게이트 펄스 발생기
GB2034137A (en) Dual phase-control loop horizontal deflection synchronizing circuit
GB2050729A (en) Television horizontal afpc systems
US4047223A (en) Frequency scanning automatic phase control system
US4278994A (en) Circuit arrangement in a color television encoder
JPH0193287A (ja) 線順次色差信号の同時化回路
US4337478A (en) Composite timing signal generator with predictable output level
US4246599A (en) Abnormal separation detecting circuits of chromatic signals of SECAM systems
US3436469A (en) Method for synchronizing color television signals
GB2148634A (en) Oscillator-frequency control interfac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70226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00324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0070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0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0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3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4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5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6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7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3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