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00000002B1 - 뱀장어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뱀장어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002B1
KR800000002B1 KR7901053A KR790001053A KR800000002B1 KR 800000002 B1 KR800000002 B1 KR 800000002B1 KR 7901053 A KR7901053 A KR 7901053A KR 790001053 A KR790001053 A KR 790001053A KR 800000002 B1 KR800000002 B1 KR 80000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pe
water
filtration
bree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90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끼하루 다까하시
마꼬도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도끼하루 다까하시
마꼬도 야마자끼
호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하루 다까하시, 마꼬도 야마자끼, 호경찬 filed Critical 도끼하루 다까하시
Priority to KR790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00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뱀장어 양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상의 일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D-D선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압력 여과탱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제7도는 역세척용 파이프의 사시도.
제8도는 사육조내에 마련된 금망의 망목 막힘·방지 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은 뱀장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난의 지역 및 기후를 불문하고, 좁은 스페이스에서 경제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뱀장어 양식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종래의 뱀장어 양식을 주로 자연의 못이나 저수지 등을 이용하여 행하여지고 있는데, 지역적으로는 비교적 온난한 지역에 제한되고 또한 스페이스적으로도 불경제 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즉, 비교적 추운 지역의 뱀장어 양식에 있어서는 동기에 뱀장어가 동면 상태로 되어 먹이를 먹지 않게되기 때문에 성장이 중단되어 결국은 양식기간이 길어져서 코스트업을 모면할 수가 없다.
또한, 자연의 진흙 등을 갖는 못에 있어서는 각종 병원균이 발생하여 치어의 사망률이 높아져서 생산효율이 좋지 못한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뱀장어 양식에 적합한 물을 순환시켜서 좁은 스페이스에서 경제적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뱀장어 양식을 행할 수 있도록 저면 중앙부에 凸부를 마련하고, 이 凸부의 일측 저면을 높이고, 타측저면을 순차낮게한 사육조로부터 나오는 물을 순차 보일러를 부설한 가온조, 침전조 및 폭기장치가 부착된 폭기조로 도입하는 공지의 순환과정으로 통과시킨후, 이어서 폭기조에서 펌프등 한단 높은 위치에 마련한 급상조로 도입하고, 급상조 저면과 공지한 여과조의 여과재 하방으로 연통시키고, 또한 여과조상방에서 별도의 폭기조로 유입시켜, 이 폭기조로부터 적절한 방법으로 상기 사육조로 순환덕트를 통하여 순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폭기조에 있는 물의 일부를 펌프에 의하여 압력 여과탱크를 통과시켜서 상기 사육조로 순환토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동일한 뱀장어 양식장치 2기(基)(X)(Y)가 평행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면중, 1은 각각 사육조인데,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중앙부에 凸부(2)를 마련하고, 이 凸부(2)의 한측의 저면(a)를 높이고, 凸부(2)의 타측의 저면(b)를 순차 낮게하여서 공급된 물과 더불어 침전된 뱀장어의 배설물 또는 먹이 찌꺼기가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우회하여 나가도록 구성되고 그 말단부에는 뱀장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금망(3)이 각각 비치되어 있다.
상기 사육조(1)으로의 물의 공급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환덕트(4) 및 압력여과탱크(5)로부터 순환파이프(6)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또한, 사육조(1)에서의 물의 유출은 그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온조(7)로 행하여진다.
즉, 사육조(1)의 말단부의 금망(3)의 외측의 저면과 가온조(7)의 저면부를 제1도,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각 파이프(8)로 연통시켜서 행한다.
또한, 가온조(7)에는, 그의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일러(9)로부터의 열교환 파이프가 도입되어 수온을 적절히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가온조(7)의 물은 필터(10)을 통과하여 침전조(11)로 유입되고 여기서 불순물의 침전이 이루어진 다음, 그 윗물이 폭기조(12)로 유입시켜 진다.
폭기조(12)에는 블로워(13)로부터의 배관(14)이 각각 도입되고 그 선단에는 미소한 구멍을 갖는 에어스톤 등의 폭기장치(15)가 부착되어 이들을 수중에 위치시켜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폭기조(12)의 측방에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단 높으게 급상조(汲上槽)(16) 및 여과조(17)가 설치된다.
그리고 폭기조(12)에서 급상조(16)으로 물을 길어 올리는 것은 펌프(77)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급상조(16)와 여과조(17)사이는 그의 저면부에 설치한 파이프(18)에 의하여 연통되어 급상조(16)부터의 물이 여과조(17)내의 여과제(19)의 하방으로 공급되도륵 구성된다.
여과조(17)에 관해 설명하면, 이 여과조(17) 내저부에는 배수공(20)이 마련되어 이 배수공(20)에 마련된 파이프(21)가 배수조(22)와 연통되어지는데, 다시 적당한 위치에 단부(23)을 마련하고 그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목재로 되는 비계(24)를 걸쳐 그 상면에 금망(25)을 부설하고, 다시 그 상면에는 투공(26)을 천설한 역세척(逆洗滌)용 파이프(27)가 부설된다.
상기 역세척용 파이프(27)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고 그 일단에는 블로워(13)에서의 배관(28)이 연결되고 여과재(19)의 세척시에는 그 하방의 투공(26)에서 기포를 불어 내고 여과재(19)사이에 망목을 막고 있는 불순물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역세척용 파이프(27)의 상방에는 자갈, 모래등으로 되는 여과재(19)가 적당한 층으로 마련된다.
다음에 여과조(17)의 타측에는 폭기조(29)가 마련되고, 여과를 끝낸 윗물이 유출구(30)에서 폭기조(29)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폭기조(29)에서 순환덕트(4)에 의하여 상기 사육조(1)로 순환시켜진다.
도면중, 31은 블로워(13)로부터의 배관이고, 32는 에어스톤 등의 폭기수단이다.
본 발명의 도면 실시예에서는 상기 폭기조(29)에 있는 물의 일부를 펌프(33)에 의하여 압력여과탱크(5)에 도입시켜 상기 사육조(1)에 순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압력여과탱크(5)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활성탄층을 포함하는 여과재(35)의 지지부(36)가 마련되고, 상기 여과조(17)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역세척용 파이프(37)가 마련되고, 통상시 펌프(33)측의 배관(38)의 한쪽의 분기관(39)에 있는 밸브(40)을 개방으로, 다른 쪽의 분기관(41)에 있는 밸브(42)를 폐쇄로 하여 활성탄을 포함하는 여과재(35)의 상방에서 공급하고, 다음에 사육조(1)측의 순환파이프(6)의 한쪽 분기관(43)에 있는 밸브(44)를 폐쇄로, 다른 쪽의 분기관(45)에 있는 밸브(46) 및 순환파이프(6)에 있는 밸브(47)를 개방으로 하여 압력여과탱크(5)의 하방에서 나오는 여과수를 상기 순환파이프(6)로 도입하어 사육조(1)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 47은 순환파이프(6)에 마련된 밸브이고, 48은 순환파이프(6)로부터 비치된 배수 파이프이고, 49는 배수파이프(48)에 비치된 밸브이다. 또한, 도면중 50은 블로워(13)로부터의 배관이고 그 한쪽의 분기관(51)이 상기한 역세척용 파이프(37)에 밸브(52)를 개재시켜 연결되고, 다른 쪽의 분기관(53)이 압력여과탱크(5)의 상방에 밸브(54)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55는 자동공기 발출변으로, 그의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압력여과탱크(5)내에 펌프(33)에서 물이 공급되어 압력여과탱크(5)내에 물이 가득히 될때까지는 수면의 상방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고 물이 가득해지면 물의 작용에 의하여 폐쇄되도륵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75는 확인 창구이다.
압력 여과탱크(5)내의 여과재(35)의 역세척을 제6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먼저 펌프(33)측의 배관(38)와 분기관(39)(41)에 있는 밸브(40)(42)를 폐쇄하고 다음에 블로워(13)부터의 배관(50)의 분기관(53)에 있는 밸브(54)를 개방하여 압력여과탱크(5)의 상방에서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압력여과탱크(5)내의 수위를 확인창구(75)의 위치까지 내린다. 이때, 순환파이프(6)에 마련한 밸브(47)를 폐쇄하여 사육조(1)에 유출시키지 않고, 그 분기관(45)에 있는 밸브 (46) 및 배수 파이프(48)이 있는 밸브(49)를 개방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위를 확인창구(75)로 확인하고는 배수파이프(48)에 있는 밸브(49)를 폐쇄한 댜음 블로워(13)부터의 배관(50)의 분기관(53)에 있는 밸브(54)를 폐쇄하고 반대로 분기관(51)에 있는 밸브(52)를 개방하여 역세척 파이프(37)에 에어를 공급한다. 그 결과, 에어는 여과재(35) 사이를 상승하여 그 동안에 망목에 막힌 불순물을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불순물은 순환파이프(6) 측에 있는 분기관(43)의 밸브(44) 및 배수 파이프(48)의 밸브(49)를 개방하여 배수하고, 그 후의 압력여과탱크(5)내의 물은 순환파이프(6)측에 있는 분기관(45)의 밸브(46) 및 배수 파이프(48)의 밸브(49)를 개방하여 배수하면된다.
그러한 후, 다시 펌프(33)측의 배관(38)의 분기관(39)에 있는 밸브(40)를 개방하여 여과재(35)의 상방에서 돌을 공급하여 여과재(35)를 세척한다. 이 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여과탱크(5)내에 펌프(33)로부터의 물을 공급하여 여과를 행하면 된다.
도면중, 56는 급상조(16)과 폭기조(29)의 저면을 연통시키는 파이프이고, 이것은 여과조(17)내의 여과재(19)를 세척할 시에 여과조(17)를 통과하지 않고 급상조(16)에서 폭기조(29)로, 또한 사육조(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은 급상조(16) 또는 폭기조(29)의 저면 개구부에 그 수위보다 높은 파이프, 예를 들어(57)을 감입 기립시키므로써 급상조(16) 또는 폭기조(29) 사이의 연통이 저지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 58은 펌프(33)에 나온 배관이고, 한쪽 분기관(59)는 여과조(17)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밸브(60)를 갖고 선단에 플렉시블 파이프(61)이 마련되고, 여과재(19)를 역세척하여 여과조(17)내의 물을 배수한 후에 여과재(19)를 상방에서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쪽의 분기관(62)은 여과조(17)의 여과재(19)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밸브(63)를 갖고, 여과조(17)내의 물을 배수한 후, 여과조(17)의 저면에 부착해 있는 오물을 씻어 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면중의 64는 사육조(1) 저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각각 마련된 배수구로서 통상은 각각 이 배수구에 수위 보다 높은 파이프, 막대기 등이 감압되고 필요에 따라 이 파이프, 막대기 등을 빼내어 사육조의 배수구(64) 주위에 있는 뱀장어의 배설물, 먹이 찌꺼기 등을 배출시킬 수가 있고, 또한 출하후의 사육조의 청소시에 사육조 내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면중의 65는 사육조(1)의 금망등(3)의 내측의 저면에 각각 마련된 뱀장어의 취출구로서, 각각 파이프(66)로 연통되는데, 이 파이프(66)이 뱀장어 받이부(67)로 연장되고, 이 뱀장어 받이부(67)에 있는 파이프(66)의 선단에는 밸브(68)이 마련되어 있다. 이리하여 필요에 따라 취출구(65)에도 상기 배수구(64)와 같이 수위보다 높은 파이프, 막대기 등이 감합되어서 뱀장어를 취출하고자 하는 사육조(1)의 파이프, 막대기를 인발하여 밸브(68)를 개방함으로써 뱀장어를 파이프(66)를 통해서 취출할 수가 있는 바, 이때 뱀장어 받이부(67)에 있는 파이프(66)의 선단이 망대 등을 부착해 두면 뱀장어는 자동적으로 망대중에 포획되는 것이다.
69는 침전조(11)의 배수구이고, 모두 통상시는 수위보다 높은 파이프, 막대기 등이 감합되어 있고, 물을 필요로 할때에 그들을 인발하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온조(7)의 배수구(70), 폭기조(12)의 배수구(71), 폭기조(29)의 배수구(72)에 있어서도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73)은 여과조(17)의 여과제(19)를 역세척할때에 부유물을 배수조(22)로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이고 평상시는 그 개구부에 수위보다 높은 파이프, 막대기(74)가 감합되어 있다.
제8도는 사육조(1)의 금망(3)등의 망목의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금망 등에는 사육조(1)내의 먹이 찌꺼기 또는 뱀장어의 배설물 등의 불순물이 걸러들어 망목을 메어 깍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로워(13)부터의 배관(14)가 사육조(1)내의 금망 등(3)의 내측 하방까지 연장되고 그 선단에 투공(76)을 갖는 에어 파이프(78)이 마련되고, 이 에어 파이프(78)의 투공(76)으로부터 분출시켜진 기포가 금망(3)의 내측에 걸려든 불순물을 금망(3)을 따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불순물은 금망(3)을 따라 상승할 때에 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분쇄되어 금망(3)을 통과하여 사육조(1)의 가장 낮은 부분에 집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양식 장치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물의 순환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사육조(1)부터의 물이 가온조(7)로 유출된 다음 침전조(11)이 유입되고, 폭기조(12)에서 폭기가 이루어진 다음 펌프(77)로 급상조(16)로 길어 을려져 파이프(18)을 통하여 여과조(17)의 여과재(19)의 하방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그 윗물이 폭기조(29)로 도입되어 순환덕트(4)에 의하여 사육조(1)로 순환시켜진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폭기조(29)에 있는 물의 일부가 펌프(33)에 의하여 압력여과탱크(5)에 도입되어 여과된 물이 순환파이프(6)를 통해서 사육조(1)의 대략 수면위치로 분사시켜지고 거기서 폭기 작용도 행하여 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여과조(17)에 있어서는 소위 물리적 여과 외에 생화학적 여과가 이루어지고, 압력 여과 탱크(5)에 있어서는 주로 물리적 여과가 행하여 진다.
즉, 생화학적 여과라 함은 천연의 개천, 바다 또는 호수나늪에 있어서는 자연현상을 말하고, 물리적 여과라 함은 뱀장어의 배설물, 먹다 남은 먹이 등의 고체입자의 제거를 말하는데, 이와 같은 고체입자는 침전조(11)에서 거의 제거된다.
생화학 여과는 물이 여과재, 특히 쇄석, 자갈 등에 놓였을때 대략 1내지 2개월 경과되면 여과재 중에는 뱀장어 등의 배설물을 영양분으로 하는 미생물이 생육된다. 이 미생물은 질화 박테리아라 불리우고 아질산 생성 세균과 질산 생성 세균으로 되며 수중의 유기물 및 무기물을 산화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아질산 생성 세균은 수중의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산화하고, 질산 생성균은 아질산생성 세균이 암모니아에서 만든 아질산을 산화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이 있어서, 생화학적 여과라 함은,
물중에 있는 유기물질이 부패되거나 또는 산화될때, 암모니아(NH3)가 발생하고, 이 암모니아는 물에 녹아 암모니아수(NH4OH)로 되면, 질화 박티리아에서 발생되는 아질산(HNO2) 또는 질산(HNO3)이 상기의 암모니아를 질소(N)와 산소로 분해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생화학적 여과는 물리적 여과만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유해물질의 제거이고, 뱀장어의 사육에 있어서는 그들 생화학적 여과와 물리적 여과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여과조는 물리적 여과와 함께 천연의 개천, 바다 또는호수나늪 같은 상태로 되어 유효한 생화학적 여과가 행하여 지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압력여과탱크를 경유한 물리적 여과수와 혼합되어서 뱀장어 양식에 적합한 물을 얻을 수가 있어 치어의 사망율도 낮고, 한난의 지역을 불문하고 효율적인 뱀장어 양식을 행할 수 있으며, 스페이스적으로도 좁은 장소로 족하여 경제적인 것이다.

Claims (1)

  1. 저면 중앙부에 凸부를 마련하고, 이 凸부의 일측 저면을 높이고 타측 저면을 순차 낮게한 사육조로부터 나오는 물을 순차 보일러를 부설한 가온조, 침전조, 폭기장치가 부착된 폭기조로 도입하는 공지의 순환과정으로 통과시킨 후, 이어서 폭기조에서 펌프등으로 한단 높은 위치에 마련한 급상조로 도입하고, 급상조저면과 공지한 여과조의 여과재 하방으로 연통시키고, 또한 여과조 상방에서 별도의 폭기조로 유입시켜, 이 폭기조로부터 상기 사육조로 순환덕트를 통하여 순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폭기조에 있는 물의 일부를 펌프에 의하여 압력여과탱크를 통과시켜서 상기 사육조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뱀장어양식장치.
KR7901053A 1979-04-03 1979-04-03 뱀장어 양식장치 Expired KR80000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53A KR800000002B1 (ko) 1979-04-03 1979-04-03 뱀장어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53A KR800000002B1 (ko) 1979-04-03 1979-04-03 뱀장어 양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002B1 true KR800000002B1 (ko) 1980-01-24

Family

ID=1921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053A Expired KR800000002B1 (ko) 1979-04-03 1979-04-03 뱀장어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0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5B1 (ko) * 2013-11-26 2014-09-18 차학종 수로식 뱀장어 양식장
KR101996238B1 (ko) * 2019-04-11 2019-07-08 대한민국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20190093257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양만장용 물 공급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5B1 (ko) * 2013-11-26 2014-09-18 차학종 수로식 뱀장어 양식장
KR20190093257A (ko)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양만장용 물 공급구조
KR101996238B1 (ko) * 2019-04-11 2019-07-08 대한민국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1954A (en) Method of raising fish
US4043299A (en) Fish rearing system
US5618428A (en) Filtration system for aquariums
DE3805607C2 (ko)
US6015497A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iological wastes from aquaculture tanks
US3973519A (en) Screening device in a closed-loop aquaculture system
JPH11226593A (ja) 水質浄化型浮島
DE3423226A1 (de) Anlage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abwasser
KR800000002B1 (ko) 뱀장어 양식장치
US5514280A (en) Aquarium filter
US3540591A (en) Filtering device for water tanks,particularly aquariums
US7311822B2 (en) Aquarium
CN208001888U (zh) 一种海珍品室内养殖装置
CN208402916U (zh) 一种水产养殖尾水集中无害化处理系统
EP0641744A1 (en) Purifying apparatus
JPH10323683A (ja) 浄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4806237A (en) Waste removal apparatus
JPH08238041A (ja) 濾過装置
JP2541754B2 (ja) 集水体
JP2023109012A (ja) 並列式循環瀘過養殖装置
JP4032367B2 (ja) 水浄化装置
CA1287528C (en) Fish farming system and method
JPH05261218A (ja) 池水浄化装置
KR102236122B1 (ko) 아쿠아포닉스용 바이오헬릭스 여과장치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JP2684234B2 (ja) 水域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O1301 Decision on opposi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W10-W00-opp-PO13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8801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801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