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790000814B1 -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814B1
KR790000814B1 KR7401363A KR740001363A KR790000814B1 KR 790000814 B1 KR790000814 B1 KR 790000814B1 KR 7401363 A KR7401363 A KR 7401363A KR 740001363 A KR740001363 A KR 740001363A KR 790000814 B1 KR790000814 B1 KR 79000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il
capacitor
current
ret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핸드리쿠스 후베르투스 닐레셀 안토니우스
Original Assignee
제이 더불유 샤후테 베어
엔부이 필립스구로아이람펜 화부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더불유 샤후테 베어, 엔부이 필립스구로아이람펜 화부리켄 filed Critical 제이 더불유 샤후테 베어
Priority to KR740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8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배치의 한 실시예를 구비한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에서 제7도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배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이오드와 코일로 구성되는 톱니파 회로에 의하여 선편향 코일을 흐르는 톱니파 편향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 배치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코일은 톱니파 전류의 트레이스 시간중에는 트레이스 콘덴서와 함께 작용하고 톱니파 전류의 리트레이스 시간중에는 리트레이스 콘덴서와 함께 작용하며, 본 회로 배치는 리트레이스 시간중, 차단되는 스위칭 장치와 전압전원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같은 회로배치는 미국특허 제3,444,426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수평방향의 라스터 찌그러짐(raster diotortion)을 보정하기 위해서 즉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된 영상의 소위 동-서 보정(East-west correction)을 하기 위해서, 공급전압을 직류전압과 피일드 주파수 포물선 전압과의 합전압으로 한다. 이 포물선 전압은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피일드 편향전류 발생기로부터 발생한다. 그 결과 선편향 전류는 전술한 보정에 필요한 피일드 주파수 변조를 받는다.
종래의 회로 배치에서는, 리트레이스 시간중 스위칭장치와 전압전원 사이에 장치된 유도기의 양 단자간에 존재하는 리트레이스 펄스가 피일드 주파수 변조되는 결점이 있다. 이 유도기에는 권선이 결합되어 있어, 전술한 리트레이스 펄스가 승압되고, 텔레비젼 디스플레이장치의 가속 양극용 특별고전압(EHT)을 발생시키는 정류기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특별고전압이 불필요하게 변조되고 만다. 또한 전술한 유도기에 결합한 다른 권선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발생하는 보조전압도 불필요하게 변조되고 만다.
공지의 회로 배치는 공급전압용 고안정화 회로를 설치하여, 전기간선으로부터 기인되어 전술한 안정화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변동하거나 또는 전술한 권선의 부하가 변동하더라도, 직류전압 및 그 피일드 주파수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결점이 있다. 전자의 결점은 2개의 발생기를 사용하고, 한쪽의 발생기로 적어도 신호를 동서 변조한 모양으로 하며, 또 이들 발생기를 브리지 회로로서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공지의 회로배치에서 제거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 변압기가 필요하고, 브리지 코일로서 평형상태가 조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평행상태는 모든 조건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전압의 안정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더우기 이 전압을 피일드 주파수 변조시킬 필요가 없는, 브리지 회로없는 회로배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회로 배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바, 제2다이오드와 제2코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톱니파회로를 설치하는데, 제2코일은 제2슬레이스콘덴서와 제2리트레이스콘덴서와 함께 작용하고, 제2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리트레이스 시간이 편향전류의 리트레이스 시간과 거의 같게되며, 전술한 2개의 톱니파회로를 상호 접속시켜, 2개의 다이오드를 서로 직렬연결함과 동시에 이들 2개를 동일 도전방향으로 하고, 이들 2개의 다이오드의 직렬배치를 스위칭 장치와 병렬로 접속하며, 트레이스 콘덴서 양 단자사이의 전압을 제어소자로 제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수단에 있어서는 동시 보정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들면 공급전압 변동에 대한 안정화를 위하여, 또는 보정차(correction difference)전류를 발생하기 위하여, 또는 일반적으로 수평 편향코일과 함께 작용하는 트레이스 콘덴서 양 단자사이의 전압의 특성과 공급전압의 특성으로부터 어긋나는 편향 전류의 특성을 얻기 위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회로배치의 한 실시예에서는 트레이스 콘덴서를 여러개의 콘덴서로서 형성하고, 이 콘덴서의 하나로 다른 톱니파 회로의 코일과 함께 작용하는 트레이스 콘덴서를 구성한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1은 무선주파 동조장치, 2는 무선주파 동조장치에 접속한 안테나, 3은 중간주파증폭기, 4는 검파기, 5는 영상증폭기에 설치된 컬러디코오더, 6은 컬러수상관을 나타내며, 전술한 컬러 디코오더(5)는 컬러 신호를 컬러 수상관(6)에 공급한다. 이 컬러 수상관(6)은 가속 양극(7)을 가지며 또한 여기에는 수평편향(선주파수)용 코일(Ly) 및 수직편향(파일드 주파수)용 코일(L'y)이 있다.
선발진기(9)에 공급되는 선 동기펄스 및 피일드 발진기(10)에 공급되는 피일드 동기펄스는 동기분리기(8)에 의해 검파기(4)의 출력신호로부터 분리된다. 피일드 발진기(10)로 피일드 출력단(11)을 제어하여 이에 의해 코일(L'y)에 편향전류를 공급한다. 또 선발진기(9)로 구동단(Dr)(driver stage)을 제어하여 이 구동단에 의해 예를들면 후술할 선 편향출력 회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Tr)와 같은 제어 스위치에 스위칭 펄스를 공급한다.
트레이스 콘덴서(Ct)를 편향코일(Ly) 및 소정의 도전방향을 갖는 다이오드(D)와 직렬로 배치하고 또 리트레이스 콘덴서(Cr)를 전술한 직렬회로와 병렬로 연결한다. 또한 콘덴서(Cr)를 코일(Ly)의 양단자간에 병렬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를 4개의 소자는 편향부의 주구성성분과 함께 주회로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편향부에는 예를들면 공지와 같이 이들 각 소자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한개 이상의 변압기, 즉 센터링 및 직선보정용 회로등을 설치할 수가 있다.
변압기(T)의 1차권선(L1)의 한쪽단자 또는 중간 랩 nPn형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에 접속함과 동시에 소자(D, Cr 및 Ly)의 접합점(A)에도 접속시킨다. 직류전압전원(B)의 (+)단자를 권선(L1)의 다른 단자에 접속하고 (-)단자를 접지한다.
소자(D,Cr 및 Ct)의 편향코일(Ly)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쪽 단자를 다이오드(D'), 콘덴서(Cr')의 코일(L')의 접합점에 접속한다. 콘덴서(Ct')를 코일(L')과 직렬로 접속하고, 소자(D',Cr' 및 Ct')의 나머지(L')의 접합점에 접속한다. 콘덴서(Ct')를 코일(L')과 직렬로 접속하고, 소자(D',Cr' 및 Ct')의 나머지 단자를 접지한다. 다이오드(D')의 도전방향을 다이오드(D)의 도전방향과 같게한다. 즉 다이오드(D')의 양극을 접지한다. 소자(D',L',Cy' 및 Ct')를 가지고 소자(D,Ly,Cy 및 Ct)로서 구성되는 회로망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회로를 구성하지만 임피던스를 다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변조원(M1)을 콘덴서(Ct')와 병렬로 배치한다. 이 변조원에서는 트랜지스터(Tr)를 설치하는데 에미터는 접지하고 콜렉터는 코일(L') 및 콘덴서(Ct')의 접합점에 접속시키며, 다시 구동단(D'r)을 설치하여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 구동단(Dr')를 피일드 출력단(11)에 접속시킨다. 이 구동단(D'r)은 피일드 출력단(11)의 신호로부터 포물선형으로 변화하는 피일드 주파수 변조제어 신호를 도출한다. 이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선편향전류의 동 서 라스터 보정을 행한다. 이 제어신호는 피일드 주파수로 변화하나, 한 선주 기동안에는 일정한 값을 취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보정하고자 하는 라스터 찌그러짐은 일반적으로 실패형을 하고 있으므로, 여기서 사용하는 변조기술은, 선편향전류의 진폭이 포물선형 포락선(envelope)으로 변화하는 동시에 포물선의 피이크 값이 피일드 트레이스 시간의 중간에서 발생하고, 또한 최대진폭과 일치하도록 하는 기술로 할 필요가 있다.
변압기(T)의 코어에 다른 권선을 감고 이 권선의 양단간에 공급전압으로서 작용하는 전압을 발생시켜서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부분에 공급한다. 이들 권순중의 하나인, 제1도의 권선(L2)는 EHT 정류기와 함께 작용하여, 평활콘덴서(C1)양단에 텔레비젼 수상관(6)의 가속양극(7)을 위한 특별고전압(EHT)을 발생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보조 공급전압 및 EHT는 수평편향 전류와 같이 피일드 주파수 변조를 받아서는 아니된다.
트레이스 시간의 개시후에는 다이오드(D 및 D')가 도전한다. 이때 콘덴서(Ct 및 C't)양단자 사이의 전압이 코일(Ly 및 L')에 각각 공급되므로, 각 코일에는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경우, 코일(Ly)에 흐르는 전류(iY)가 선편향 전류이다. 트레이스 시간의 중간부에 도달하기 전에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제어신호가 공급되어 이 트랜지스터는 도전한다. 트레이스 시간의 거의 중간에서 전술한 2개의 전류가 그 방향이 역전된다. 전류(iY)가 코일(L')에 흐르는 전류(i')보다도 클 경우에는, 전류(iY)는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흐르며, 한편 차이전류(iY-i')는 다이오드(D')를 통하여 흐른다. 다이오드(D)는 기저상태에 있는 트랜지스터(Tr)와 다이오드(D')의 직렬배치에 병렬로 접속되므로, 이 다이오드(D)는 도전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 반대로 전류(i')가 전류(iY)보다도 클 경우에는, 전류(i')를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흐르고, 차이전류(i'-iy)는 다이오드(D)를 통하여 흐르며, 다이오드(D')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전압도 인가되지 않는다. 트레이스 시간의 종료시에는 트랜지스터(Tr)에 따라 도전하고 있던 다이오드가 차단된다. 이 때문에 콘덴서(Cr 및 Cr')의 양단자간에는 거의 정현파상의 리트레이스 전압이 발생한다. 이들 전압이 다시 0이 되는 순간에, 다이오드(D 및 D')는 동시에 도전을 개신한다. 이것이 새로운 트레이스 시간의 개시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서 다이오드(D 및 D')와 소자(Cr,Ly,Ct 및 C'r,L',C't)로서 결정되는 리트레이스 시간이 거의 같게 되며, 이와같은 경우 각 회로의 공진주파수가 같게 되며, 따라서 리트레이스 시간은 공진주파수의 공지의 함수가 된다.
트랜지스터(T'r)는 콘덴서(C't)에 병렬로 접속되므로 이 콘덴서 양단자간에 존재하는 전압(V')에 피일드 주파수 가변부하가 존재하게 된다. 이 콘덴서의 용량을 적당히 선정하여 피일드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가 변조원(M1)의 출력 임피던스에 비하여 무시할 정도로 작게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는, 전압(V') 및 콘덴서(Ct) 양단자간의 전압(V)은, 콘덴서(C't)에 대해서도 같은 조건으로 용량을 선정하면, 피일드 주파수에서 변화한다. 전압(V 및 V')의 평균치의 합은 전원(B)의 전압(VB)과 같다. 왜냐하면 직류전압이 유도기(L1, Ly 및 L')의 양단자간에 잔존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전류(iy)의 진폭은 전압(V)과 같게 변화한다. 트랜지스터(T'r)의 제어신호는, 전압(V) 및 전류(iy)의 피일드 주파수 포락선이 전술한 바와같이 소정의 모양이 되게끔 선정할 필요가 있다.
전압(V)은 콘덴서(Cr)의 양단자간 전압의 평균치와 거의 같다. 또 이 전압(V)은 이 콘덴서의 양 단자간의 리트레이스 전압에 비례한다. 이와 유사하게 전압(V')은 콘덴서(C'r)의 양 단자간 전압의 평균치와 거의 같고, 또 이 전압(V')은 이 콘덴서의 양 단자간 리트레이스 전압에 비례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망(D,Cr,Ly,Ct) 및 회로망(D'C'r, L', C;t)의 리트레이스 시간은 거의 같다. 이리하여 이들 양 리트레이스 전압의 모양이 같으며 또한 이들의 비례상수도 같다. 점(A)에서의 전압(VA)은 콘덴서(Cr 및 C'r)의 양 단자간 전압의 합과 같고, 이 전압(VA)의 피이크값과 평균치, 즉 전원(B)의 전압(VB)과의 관계는 콘덴서(Cr 및 C'r)의 양단자간의 리트레이스 전압과 전압(V 및 V')과의 관계가 같다. 전압(VB)가 일정하면, 전압(VA)의 피이크 값도 함께 일정하다. 따라서 권선(L1)의 양단자간 전압의 진폭 또한 일정해지며, 전극(7)의 EHT와 보조공급전압은 편향전류(iy)의 변조에도 불구하고 피일드 주파수 변조를 받지 않는다.
전압(V')의 변동은 전압(V)의 변동과 반대로 하여 전압(V')이 피일드 트레이스 시간의 중간부에서 최소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변조원(M1)을 콘덴서(C't)와 병렬로 배치하지 않고 콘덴서(Ct)와 병렬로 배치하여 트랜지스터(T'r)의 제어신호의 극성을 제1도의 제어신호의 경우와 반대로 함으로써 달성시킬 수가 있다. 또 다른 방법에서는 트랜지스터(T'r)를 가변부하로서가 아니고 전류전원 또는 전압전원으로 하여 설치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T'r)는, 예를들면 에미터 폴로워로서 배치하면 된다.
실제로는 코일(Ly 및 L')의 인덕턴스의 비를 이들 양단자간에 요구되는 평균 트레이스 전압의 비와 거의 같게끔 선정한다. 예를들면 트레이스 전압의 합(V+V')이 약 150V일 경우에 전압(V')의 평균직류 전압성분이 약 30V이면 코일(L')의 인덕턴스를 코일(Ly)의 인덕턴스의 1/4과 같게한다. 실제의 실시예에서는 약 270μH 및 1.2mH이다. 전압(V')의 직류전압 성분을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폭을 조절함과 동시에 피일드 주파수 성분의 진폭을 조절하여 일그러짐이 없는 화상을 얻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전압(VB)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이것은 이 전압이, 전기 간선에서의 변동, 즉 변압기(T)의 다른 부하에서의 가능한 변동 및 가선으로부터 발생하는 험(hum)전압에 대하여 안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뜻한다. 제2도의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이와같은 안정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2도는 본 발명장치의 중요한 구성 부분만을 나타낸다. 이 회로 배치에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로망(D,Cr,Ly,Ct), 회로망(D',Cr',L',Ct') 및 변조원(M1)이 있다. 이들 회로망과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와의 접합점(A)을 쵸우크(L3)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한다. 또한 이 회로에는 제3의 유사한 회로망(D",Cr",L",Ct")을 설치하는데, 이 제3회로망은 전술한 각 회로망과 접지사이에 직렬로 접속하고, 또 이 제3회로망에 변조원(M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전술한 2개의 회로와 동일한 리트레이스 시간을 갖는 안정화 회로(S)를 접속한다. 이 안정화 회로(S)에 단자(12)를 설치하고, 이 단자에는 전압(V+V)의 변동 또는 직렬회로 배치(D,Cr,Ly,Ct 및 D',Cr',L',Ct')의 양단자간 전압(VA)의 피이크값의 변동중 어느 것인가에 관한 정보를 공급한다. 이 안정회로(S)에 기준 전압전원을 설치하여 여기에 전술한 정보를 비교하게 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 전압을 일정하게 함이없어 전압(VA)을 일정하게 하면서 콘덴서(C't)의 양단자간 전압(V")의 변동을 얻을 수가 있다. 변압기(T)의 1차 권선(L1)을 직렬회로 배치(D,Cr,Ly,Ct 및 D',Cr',L',Ct')와 병렬로 절연 콘덴서를 통하여 배치한다. 이로 인하여 EHT 및 보조공급전원은 전압(VB)의 변동과는 무관하게 된다.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이들은 피일드 주파수 변조를 받지 않으나, 전류(iy)는 소정의 변조를 받는다. 제2도에서의 회로배치는 회로망(D',Cr',L',C't)없이 예를 들면 동시 변조를 사용하지 않는 모노크롬(monochrome)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할 수가 있음은 명백하다. 이 경우에는 전압(V)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리트레이스 전압이 EHT를 발생시킴에 적절하도록 한다.
제3도는 제2도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전압(VB)를 안정화시킬 필요가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잡지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 & Television Recevers" 1972년 8월, 제 BTR 18권, 3호 177-182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선편향회로 및 스위치 공급 전압안정화 회로의 조합회로인 회로배치를 사용한다.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와 도전 방향이 같은 다이오드(D2)를 점(A)와 트랜지스터(Tr)와의 사이에 직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변압기(T)의 1차권선(L1)을 전원(B)및 트랜지스터(Tr)와 다이오드(D2)와의 접합점 사이에 배치한다. 다이오드(D3) 및 변압기(T)의 2차권선(L4)과의 직렬회로 배치를 점(A)와 접지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다이오드(P3)의 음극을 점(A)에 접속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변압기(T)의 권선의 극성방향은 점으로 표시한다. 구동회로(Dr)에는 비교단 및 변조기를 설치하여, 트랜지스터(Tr)의 도전 시간을 제어할 수가 있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코일(Ly) 및 콘덴서(Ct)의 접합점의 전압을 저역통과 필터(F)를 통해서 구동회로(Dr)의 비교단에 공급하는 경우에 전압(VB)의 변동 및 전압(V 및 V')의 피일드 주파수 변조에도 불구하고 전압(VA)의 피이크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 필터를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저역통과 필터(F)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실제로 전압(V+V')의 평균치이다.
이 때문에 조건은 필터(F)가 선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는 것이 아니고 현존하는 피일드 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게끔 되어있다. 이와같이하여 전압(VA)를 필터(F)에 공급할 수가 있다.
제3도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 이유는 변압기(T)의 2차권선(L5)의 양단자간 전압을 피이크 정류기(D4,C2)를 사용하여 정류하며, 이와같이 하여서 얻어진 직류전압을 구동회로(Dr)에 공급하여 트랜지스터(Tr)의 도전시간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권선(L5)의 양단자간 전압의 진폭과 이에 따른 이에 비례하는 전압(VA)의 진폭을, 전술한 도전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일정치로 유지하게 한다. 이와같이 하여 전압(VA)를 피이크 정류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로(S 및 Dr)를 제어함으로써 전압(VA)에 소정의 변동을 임의로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점(A)의 좌측부분(도시되지 않음)을 제1도 또는 제3도의 경우와 같도록 형성시킬 수가 있는 제4a도의 실시예에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제4a도에서는 선편향코일(Ly)을 2개의 같은값의 코일반부(Ly1및 Ly2)로 분리하고 이들 각 코일을 2개의 같은 회로망(d1, Cr1, Ly1, Ct1및 d2, Cr2, Ly2, Ct2)에 집어 넣는다. 이들 회로망을 변조원(M1)이 콘덴서(C't)와 병렬로 접속된 동시 보정용의 회로망(D1', Cr', L', C't)과 병렬로 접속한다. 변조원(M2)를 콘덴서(Ct2)와 병렬로 접속하여 콘덴서의 양단자간 전압을 변동시켜서 한쪽의 코일반부(예를들면 Ly1)에서 보정차 전류(ik)를 편향전류(iy)에 추가시켜줌과 동시에 다른쪽 코일반부(예를들면 Ly2)는 편향오차를 소거하는 보정 4극장(補正四極場)을 발생한다.
이와같은 4극장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3,440,483호의 명서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전류(ik)의 순시강도가 2개의 편향전류의 순시강도의 곱에 비례하고 있다. 또 이 경우에는 비등방성 비점수차(非點數差)의 편향오차를 소거시킬 수가 있다. 이들 세회로망의 직렬배치의 양단자 사이의 전압(VA)의 피이크값을 제1도 및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일정치로 유지한다.
제4a도의 실시예는 보정전류(ik)의 직류성분이 코일반부(Ly2)를 통하여 흐르나 오차의 원인이 되는 다른쪽의 코일반부(Ly1)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제4b도의 실시예에서는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할 수가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변조원(M2)을 쵸우크(L6)를 거쳐 다이오드(d1및 d2)의 접합점에 접속함과 동시에 코일(L6)로서 선 주파수 신호를 차단하나 피일드 주파수 신호는 차단하지 않는다. 변조원(M2)으로부터의 출력전압은 피일드주파수의 톱니파모양을 갖는다. 콘덴서(Ct2)를 코일(L6)과 코일(Ly1및 Ly2)의 접합점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 콘덴서로서 2개의 회로망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피일드 주파수 변조된 선주파수 맥동파전압을 다이오드(d1및 d2)의 접합점에 발생시킨다. 다이오드(예를들면 d2)의 양 단자사이에 리트레이스 전압의 포락선은 감소하고 있는 톱니파로 하고, 다른쪽의 다이오드(예를들면 d1)의 양단자사이의 리트레이스 전압의 포락선은 증가하고 있는 톱니파로 한다. 도면에 표시된 이들 전압의 합은 사실상 일정하다. 코일(Ly1및 Ly2)을 통과하는 이들 전압에 의해서 생기는 전류는 코일의 양단자 사이의 선주파수 전압의 적분지에 비례하고, 톱니파모양을 한다. 따라서 이들 전류는 소정의 전류(iy+ik 및 iy-ik)가 된다. 또한 다른 공지의 보정차 전류를 유사한 방법으로 발생시킬 수가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표시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회로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수직방향의 보정, 소위 남북보정(Sout-North Correction)용 전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편향회로망(D,Cr,Ly,Ct)을 동서보정용 회로망(D',Cr',L',Ct')과 직렬로 접속함과 동시에 제3회로망(D",C"r,L",Ct")과도 직렬로 접속한다. 변조원(M2)을 피일드 주파수 톱니파 신호를 갖는 콘덴서(C"t)와 병렬로 적속하며, 변조원(M1)을 피일드 주파수 포물선 신호를 갖는 콘덴서(C't 및 C"t)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적속한다. 콘덴서(Ct,C't 및 C"t)의 양단자 사이의 전압의 합은 일정(=전압(VA)의 일정한 직류전압성분)하며, 더우기 콘덴서(C't 및 C"t)의 양단자 사이의 전압의 합은 포물선형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콘덴서(Ct)의 양단자사이의 전압은 포물선형으로 변화하며, 또 이 전압에는 톱니파 성분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게된다. 따라서 선 편향전류에는 피일드 주파수의 톱니파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피일드 주파수 톱니파 포락선을 갖는 선 주파수 맥동파전압이 권선(L"1)에 결합된 권선(L"2)의 양단자사이에 생긴다. 변압기(T)의 권선(L7)에 의해서 형성되는 일정의 진폭을 갖는 선 주파수 맥동파전압을 전술한 전압에서 빼어낸다. 이들 파형은 제5도에서 표시한 바와같다. 권선(L"2)을 피일드 편향전류 발생기(11)에 접촉된 피일드 편향코일(L'y) 및 코일(L8)과 직렬로 접속한다. 콘덴서(C3)의 한쪽단자를 코일(L8및 L'y)의 접합점에 접속하고, 이 콘덴서의 다른쪽 단자를 접지시킴과 동시에, 발생기(1')의 코일(1'y)과의 접속단자를 선주파수 신호용 흡수회로(13)(absorption circuit)를 경유하여 접지하며, 권선(L"2)과 코일(L8)의 접합점을 피일드 주파수 신호용의 권선(L2" 및 L7)을 경유하여 접지한다. 권선(L2") 및 코일(L8)의 접합점 사이에 존재하는 전압은 피일드 트레이스 시간의 중간에서 0이 되는 피일드 주파수 톱니파 포락선을 선주파수 맥동판 전압이다. 피일드 주파수 톱니파 포락선을 갖는 선주파수 정현파 전압은 공지의 방법으로 콘덴서(C3)의 양단자사이에 발생되고, 이 전압은 피일드 편향코일(L'y)에 여현파(cosine)전류를 발생시키며, 이 전류는 피일드 편향전류에 중첩되고 소정의 포물선형이 된다. 이리하여 이 전류는 남북 보정전류가 된다.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덴서(Ct 및 C't)를 이들의 임피던스가 피일드 주파수에서 너무 작게되지 않도록 하는것 이외에는 아무런 요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콘덴서(Ct)를 사용하여 소위 S보정을 행하고 있다. 예를들면 잡지 "Philps Application Information No.268 All Trans : istor 100°Colour Televsion에서 S보정을 제6도에서와 같은 실시예로서 달성될 수 있는 편향전류보다도 더욱 동서 변조시킴으로써 선편향의 직선성을 개량할 수 있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 도면에서 콘덴서(C't)는 2개의 회로망(D,Cr,Ly,Ct 및 D',Cr,L',Ct')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한편, 벤조원(M1)을 코일(Lp)을 거쳐 다이오드(D 및 D')의 접합점에 접속한다. 콘덴서(Ct 및 C't)의 용량비는 S보정을 요구되는데로 변조함으로써 얻을 수가 있다. 즉 이 변조는 텔레비젼 수상관의 기하학적 특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1도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이와같은 경우에 가능하지 않다. 그 이유는 콘덴서(Ct) 및 코일(L')의 접합점을 선트레이스 시간중 접지하기 때문이다.
이는 콘덴서(C't)를 갖는 제6도의 실시예의 경우와는 다르다. 제4b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6도에 표시한 코일(L')에는 직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점(A) 및 전원(B)의 (+)단자사이에 연결한, 즉 회로망에 병렬로 접속한 유도기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 유도기가 선주파수에서 큰 임피던스를 갖는한, 이 유도기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이 유도기, 예를들면 제2도의 쵸오크(L3)의 양단자사이에 무시할 수 없는 기생용량이 존재하면, 전술한 병렬 임피던스가 무한히 크다고 생각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기생용량은 예를들면 트랜지스터(Tr) 또는 사이리스터(thyrister)와 같은 스위치 주위의 회로배치 및 EHT정류회로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다. 이 결과 각 회로망의 공진주파수는 더 이상 같은 값을 갖지 않으며, 이로 인해서 이들 회로의 리트레이스 시간도 같지 않게된다.
전술한 유도기 및 이 유도기 양단자사이에 존재하는 용량으로 구성되는 회로의 공진주파수가 회로망의 공진주파수와 같을때, 이들 리트레이스 시간이 같게된다.
그러나 실제용량(Cp)은 크므로 전술한 공진주파수는 매우 낮아진다. 리트레이스 시간동안 용량(Cp) 및 제1도의 변압기(T)의 1차 유도기(Lp)는 직렬회로 배치(Cr,C'r 및 Ly,L')(콘덴서(Ct 및 Ct')의 용량은 너무 크기 때문에 본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와 병렬이 된다. 콘덴서(Cr 및 C'r)를 가지고 콘덴서 분압기를 구성하므로, 전술한 회로를 사용하는 대신에 공지와 같이 유도성 분압기를 갖는 회로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는 제7도의 실시예에서 잘 나타내져 있다. 콘덴서(C4)를 점(A)와 접지사이에 배치하고, 콘덴서(C5)를 권선(L1)의 중간탭과 다이오드(D 및 D')의 접합점과의 사이에 배치한다. 이 경우 콘덴서(Cr 및 Cr')는 생략한다. 콘덴서(C4및 C5)의 용량 중간탭의 위치는 콘덴서(Cp)와 콘덴서(Cr 및 C'r)의 용량을 고려하여 간단한 방법으로서 정할 수가 있다. 콘덴서(C4및 C5)는 2개의 회로망의 리트레이스 콘덴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제7도에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직렬회로 배치(Ly,Ct)를 소자(Ct' 및 L')의 접합점에 접속하지 않고 코일(L')의 중간탭에 접속한다. 그 이유는 피일드 트레이스시간의 중간부에서 동서변조가 가장 심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S보정을 편향전류보다도 더 많이 변조시키는 경우에는 이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다이오드(D')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로 할수 있다. 즉 다이오드(D')의 도전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단계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다이오드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류는 원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류와 전류(iy)에 비례하는 전류와의 합친 전류이며, 이 때문에 이 전류는 한층 강도가 크다. 중간탭의 위치는, 선트레이스 시간의 최초 반부의 기간중, 여하한 조건하에서도 다이오드(D')의 도전이 계속 되도록 정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단계는, 리트레이스 콘덴서를 제7도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시킨 제4b도 및 제6도의 실시예에서도, 또는 다른 방법(예를들면 코일(Ly)와 병렬로 접속시킨 콘덴서 및 코일(L')의 중간탭과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시킨 콘덴서에 의해 형성한다)에 의한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다이오드와 코일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코일은 톱니파 전류의 트레이스 시간중에는 트레이스 콘덴서와 함께 작용하고 톱니파 전류를 리트레이스시간중에는 리트레이스 콘덴서와 함께 작용하도록 하는 톱니파 회로를 가지며, 또한 공급전압전원 및 리트레이스 시간중 차단되는 스위칭장치를 갖는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배치에 있어서, 제2트레이스 콘덴서 및 제2리트레이스 콘덴서와 함께 작용하는 제2코일과 제2다이오드를 갖는 적어도 한개의 제2톱니파 회로를 설치하며, 전술한 제2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리트레이스 시간을 편향전류의 리트레이스 시간과 거의같게 하고, 전술한 2개의 톱니파회로를 상호 접속시켜, 2개의 다이오드를 서로 직렬로 함과 동시에 이들 2개를 동일 도전방향으로 하고, 이들 2개의 다이오드의 직렬배치를 스위칭장치와 병렬로 접속하며, 트레이스 콘덴서 양단자 사이의 전압을 제어소자로서 제어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하는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배치.
KR7401363A 1974-01-31 1974-01-31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KR79000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363A KR790000814B1 (ko) 1974-01-31 1974-01-31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363A KR790000814B1 (ko) 1974-01-31 1974-01-31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814B1 true KR790000814B1 (ko) 1979-07-12

Family

ID=1919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363A KR790000814B1 (ko) 1974-01-31 1974-01-31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8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630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 deflection current through a line deflection coil
US4048544A (en)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system
CA1145480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modular circuit
JPH03141390A (ja) ビデオ信号表示装置用の直線性補正装置
KR920005869B1 (ko) 동-서 핀쿳션 보정 수평편향회로
US5469029A (e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KR840001292B1 (ko) 라스터 왜곡 교정 편향 회로
US4140949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KR930012094B1 (ko) 집속 전압 발생용 회로
US4041355A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3914650A (e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 current through a line deflection coil
CA1140254A (en) High frequency ferroresonant power supply for a deflection and high voltage circuit
US4607195A (en) Pictur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circuit and a line deflection circuit
JPH0311146B2 (ko)
KR790000814B1 (ko) 톱니파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US5466993A (e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JPS6053504B2 (ja) 調整偏向回路
FI77132C (fi) Variabel horisontal-avboejningsstroemkrets, som aer i staond att korrigera oest-vaest-dynfoervridningen.
KR900005363B1 (ko) 음극선관을 위한 수평 출력회로
KR920009874B1 (ko) 라인편향회로
US5285133A (en) Deflection current generating circuits
KR20010013971A (ko) 수평편향회로
US369142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sawtooth current in a line deflection coil for a display tube conveying a beam current and for generating an eht
JPS6117390B2 (ko)
US4169989A (en)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saw-tooth currents in c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