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47777A - 건조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건조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47777A
KR20250047777A KR1020257007055A KR20257007055A KR20250047777A KR 20250047777 A KR20250047777 A KR 20250047777A KR 1020257007055 A KR1020257007055 A KR 1020257007055A KR 20257007055 A KR20257007055 A KR 20257007055A KR 20250047777 A KR20250047777 A KR 2025004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vortex chamber
shuttle
inhale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5700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스트리 마르코 디
스튜어트 로버트 애버크롬비
도널 조셉 테일러
Original Assignee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filed Critical 치에시 파마슈티시 에스.피.아.
Publication of KR2025004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4777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75Nitriles; Isonitriles
    • A61K31/277Nitriles; Isonitriles having a ring, e.g. verapam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35Isoindoles, e.g. phthal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5Pyridinium derivatives, e.g. pralidoxime, pyrid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75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for inhalation via a dry powder inhaler [DPI], e.g. comprising micronized drug mixed with lactose carrier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5Preventing manual activation in absence of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0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2Desic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건조 분말 흡입기가 마우스피스(4)에 연결된 흡입 채널(8), 분말 약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7), 흡입 채널(8)의 단부에 위치한 와류 챔버(26)를 갖는 응집 제거기(25), 투여 리세스(15)를 갖는 셔틀(16)을 포함하는 계량 장치(14)를 포함한다. 셔틀(16)은 투여 리세스(15)가 용기(7)의 개구(17)와 정렬되는 충전 위치와, 투여 리세스(15)가 와류 챔버(26)와 정렬되는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용기(7)의 개구(17)는 주축(Y-Y)을 따라 연장되고 투여 리세스(15)는 주축(X-X)을 따라 연장되며, 셔틀(16)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용기(7)의 개구(17)의 에지(27)가 투여 리세스(15)를 둘러싼다.

Description

건조 분말 흡입기
본 발명은 건조 분말 흡입기, 즉 분말 약물 제제를 흡입하여 디스펜싱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특히 약물 용기로부터 전달된 용량을 디스펜싱 하는 계량 장치를 구비한 추진 가스가 없는 휴대용, 다용량, 호흡 작동식 건조 분말 흡입기이다.
흡입기는 폐에 직접 약물을 전달하는 휴대용 장치이다. 흡입기의 한 종류는 수동식 건조 분말 흡입기("DPI")이다. 수동식 DPI는 환자가 장치를 통해 숨을 들이마시면 분말 제형의 약물이 호흡기로 흡입되는 환자 작동식 장치이다. 수동식 DPI는 폐 및 전신 질환 치료를 위해 폐로 약물을 전달하는 장치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i) 캡슐 또는 블리스터에 함유된 활성 성분의 개별 용량을 장치에 적재하고 사용 직전에 환자가 구멍을 뚫어 투여하는 단일 용량(단위 용량) 흡입기, ii) 활성 성분 제형의 일련의 블리스터 또는 캡슐을 포함하는 사전 계량된 다용량 흡입기 또는 iii) 흡입 직전 저장 유닛으로부터 계량되는 다용량에 해당하는 활성 성분의 분말 제형을 더 많이 포함하는 저장소 흡입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문서 WO 2004/012801은 하부 쉘과 하부 쉘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체형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싱으로 구성된 건조 분말 흡입기인 저장소 흡입기(유형 iii)를 개시한다. 하부 쉘은 마우스 피스를 구획하고 일체형 커버는 마우스 피스가 일체형 커버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가려지는 폐쇄 위치와 사용을 위해 마우스 피스가 노출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쉘은 분말 약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분말 약물의 용량으로 채워지는 투여 리세스 및 마우스피스와 연통하는 흡입 채널을 갖는 계량 부재를 수용한다. 투여 리세스는 컵 형상이며 원형 에지를 갖는다. 계량 부재는, 투여 리세스가 용기의 개구와 정렬되어 중력에 의해 분말 약물의 용량이 채워지도록 하는 충전 위치와, 투여 리세스가 흡입 채널에 연결된 와류 챔버와 정렬되어 투여 리세스에 포함된 분말 약물의 용량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분말 흡입기는, 계량 부재가 흡입 위치에 있는 경우, 보호 부재가 계량 부재의 투여 리세스를 덮는 폐쇄 위치와, 보호 부재가 투여 리세스를 노출시켜서 투여 리세스에 포함된 분말 약물의 용량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으로 이동 가능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보호 부재는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는 흡입력이 있는 경우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이 보호 부재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WO 2016/000983 및 WO 2021/105440는 2004/012801와 유사한 건조 분말 흡입기(저장소 흡입기)를 기술하고 있다. Corradi M. 등에 의해 개시된 논문 "Expert Opin. Drug Deliv. (2014) 11(9), 1497-1506'도 역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건조 분말 흡입기(NEXThaler® DPI)를 기술하고 있다.
인용된 선행기술 문헌의 투여 리세스는 원형 에지가 있는 구형 컵 형상이며(위에서 바라볼 때), 일반적으로 5-10 mg의 분말 약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DPI가 각각의 흡입을 통해 이러한 용량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흡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용량보다 더 많은 용량, 예를 들어, 각각의 흡입에 대해 10 mg 이상의 분말 약물을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은 10 mg 이상의 용량의 경우 종래 기술의 시스템이 몇 가지 단점을 가질 수 있으며, 에지의 직경 또는 구형 컵 형상의 투여 리세스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알려진 DPI의 다른 구성요소의 변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롭게 설계되고 특별히 제작된 금형을 통해 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의해 전달되는 용량보다 높은 용량, 예를 들어 10 mg보다 높은 용량을 전달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DPI의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변경 및/또는 재설계하지 않고도 iii 유형의 건조 분말 흡입기(저장소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DPI의 전달 효율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더 많은 용량을 전달할 수 있는 건조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로부터 중력에 의해 디스펜싱 되는 분말 약물로 더 큰 투여 리세스(dosing recess)를 완전히 채울 수 있는 건식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투여 리세스를 완전히 비울 수 있고 마우스피스를 통해 전체 용량이 배출 및 전달되도록 하는 건식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하나의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 중 하나 이상의 양태 및/또는 다음 양태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제1 독립 양태에 따르면, 건조 분말 흡입기는:
- 마우스피스를 갖는 케이싱;
- 케이싱에 수용되고 마우스피스에 연결된 흡입 채널;
- 분말 약물을 저장하기 위해 케이싱에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개구를 가지며;
- 마우스피스의 맞은편에 위치한 흡입 채널의 단부에 위치한 와류 챔버를 갖는 응집 제거기;
- 셔틀의 한 면에 형성된 투여 리세스를 갖는 셔틀을 포함하는 계량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셔틀은 투여 리세스가 용기의 개구와 정렬되고 분말 약물의 용량으로 채워지도록 개구를 향하는 충전 위치, 및 투여 리세스가 와류 챔버와 흡입 채널과 정렬되어 마우스피스 통해 투여 리세스에 포함된 분말 약물의 용량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용기의 개구는 각각의 주축을 따라 연장되고 투여 리세스는 각각의 주축을 따라 연장되며, 셔틀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의 개구의 에지가 투여 리세스를 둘러싼다.
본 발명의 건조 분말 흡입기(DPI)는 흡입 직전에 저장 유닛(저장 용기)로부터 계량되는 다용량에 상응하는 활성 성분의 다량의 분말 제형을 포함하는 저장소 흡입기(유형 iii)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 리세스의 형상은 용기로부터 수용하여 종래 기술의 구형 컵 형태의 투여 리세스에 포함된 용량보다 더 많은 용량의 분말 약물을 포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 리세스의 형상은 투여 리세스의 어떤 부분도 용기의 개구의 에지 외부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투여 리세스를 완전히 채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투여 리세스의 형상, 즉 셔틀의 금형만 변경할 수 있고 공지된 DPI의 다른 구성요소는 변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DPI의 대부분의 동일한 요소와 제한된 수의 상이한 요소만을 사용하고 기존 생산 라인을 완전히 활용함으로써 더 많은 양의 분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DPI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양태는 다음에 개시된다.
제2 양태. 제1 양태에 있어서, 충전 위치와 흡입 위치 사이의 셔틀의 이동 방향과 주축이 90°의 각도로 구획되고, 각각의 주축은 0° 이외의 제1 각도로 구획된다.
제3 양태.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10° 내지 30° 사이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각도는 20°이다.
제4 양태.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응집 제거기는 와류 챔버에 개방되는 두 개의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공기 입구는 와류 챔버에 공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와류 챔버의 접선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의 유입 방향을 따라 와류 챔버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흡입 위치에서, 투여 리세스는 와류 챔버를 향하고 와류 챔버에 완전히 둘러싸이며; 상기 투여 리세스는 주축을 따라 위치한 맞은편 단부를 가지며; 흡입 위치에서, 투여 리세스의 각각의 맞은편 단부는 공기 입구 중 하나에 인접한다.
제5 양태. 제4 양태에 있어서, 두 공기 입구와 주축을 연결하는 직경선(diametrical line)은 이들 사이를 0° 이외의 제2 각도로 구획한다.
제6 양태. 제4 또는 제5 양태에 있어서, 응집 제거기는 서로를 향하는 오목부를 갖는 두 개의 곡선 벽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곡선 벽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와류 챔버와 두 개의 접선방향 공기 입구를 구획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곡선 벽의 자유 단부와 주축을 통과하는 직경선은 0° 이외의 제 2 각도로 구획된다.
제7 양태. 제5 또는 제6 양태에 있어서, 직경선은 주축과 평행하고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동일하다.
제8 양태. 제4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의 맞은편 단부는 각각 접선방향 공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유입에 대하여 각각의 공기 입구의 하류에 위치된다.
제9 양태. 제5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 또는 제5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제8 양태에 있어서, 와류 챔버는 시계 방향 공기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주축은 직경선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는 와류 챔버는 반시계 방향의 공기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주축은 직경선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0 양태. 제6 양태 또는 제7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흡입 위치에서, 투여 리세스는 두 개의 곡선 벽의 자유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그먼트에 의해 주어진 직경 "d"을 갖는 베이스 원 내에 포함된다.
제11 양태. 제1 내지 제10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용기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이며; 또는 용기의 개구의 에지는 두 개의 주 아치형 측면과 두 개의 부 직선 측면을 갖는다.
제12 양태. 제1 내지 제11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의 둘레가 두 개의 호로 연결된 두 개의 평행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평행 직선은 주축에 평행하며; 또는 투여 리세스의 둘레는 난형 또는 타원이고 주축은 타원의 주축이다.
제13 양태. 제1 내지 제12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의 분말 약물 용량은 10 mg 이상, 선택적으로는 15 mg 이상, 선택적으로 20 mg, 선택적으로는 20 mg 내지 30 mg 사이이다.
제14 양태. 제1 내지 제13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는 주축을 따라 측정된 길이 L과 주축에 수직으로 측정된 폭 W를 가지며, 선택적으로는 L/W의 비율은 1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사이, 예를 들어, 1.6이다.
제15 양태. 제1 내지 제1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보호 부재가 셔틀과 와류 챔버 사이에 제공되고; 셔틀이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보호 부재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셔틀의 위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폐쇄 위치에서, 보호 부재는 투여 리세스를 완전히 덮어 투여 리세스와 와류 챔버 사이의 연통을 방지하고; 개방 위치에서, 보호 부재는 투여 리세스를 와류 챔버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한다.
셔틀이 흡입 위치에 있고 보호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와류 챔버에 대한 투여 리세스의 형상 및 위치는 투여 리세스를 완전히 비울 수 있도록 보장하며, 투여 리세스에 수용된 분말 약물의 용량은 공기 흐름에 혼입되고 흡입 채널을 통해 마우스피스로 안내된다.
제16 양태. 제6 내지 제10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각각의 곡선 벽은 외주의 호, 선택적으로는 반원 원호이다.
제17 양태. 제10 양태에 있어서, 두 개의 곡선 벽의 자유 단부 사이를 연장하는 세그먼트를 따라 측정된 각각의 공기 입구의 폭 "p"은 d/6 내지 d/4 사이, 예를 들어, 폭 "p"은 d/5이다.
제18 양태. 제10 내지 제1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셔틀이 흡입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의 둘레와 곡선 벽 사이의 제1 최소 거리 "S1"는 d/12 내지 d/8 사이이며, 선택적으로는, 제1 최소 거리 "S1"는 d/10이다.
제19 양태. 제6, 제10, 제17 또는 제1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응집 제거기는 셔틀이 흡입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로부터 분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를 갖는 베이스 벽을 포함한다.
제20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두 개의 곡선 벽은 베이스 벽으로부터 연장되고 관통 개구를 둘러싸거나 구획한다.
제21 양태. 제6, 제10, 또는 제17 내지 제20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의 맞은편 흡입 채널의 단부는 두 곡선 벽에 가깝게 또는 그 사이에 배치된다.
제22 양태. 제6, 제10, 또는 제17 내지 제21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두 곡선 벽은 각각의 반경 "R"을 가지며, 두 곡선 벽은 각각의 중심을 가지고 상기 중심은 거리 "Δ"만큼 엇갈리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중심은 모두 직경선 상에 위치된다.
제23 양태. 제17 양태에 있어서, 곡선 벽의 두께 "t"가 주어질 때:
Δ= t + p 및 d = 2R - Δ
제24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흡입 채널과 와류 챔버는 공통의 중심 축을 공유한다.
제25 양태. 제11 또는 제12 양태에 있어서, 개구의 에지의 두 개의 부 직선 측면은 셔틀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다.
제26 양태. 제12 양태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의 둘레의 두 호는 투여 리세스의 맞은편 단부를 형성한다.
제27 양태. 제12 내지 제2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셔틀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의 둘레와 용기의 개구의 에지 사이의 제2 최소 거리 "s2"는 d/12 내지 d/8 사이, 예를 들어, 제2 최소 거리 "s2"는 d/10이다.
제28 양태. 제14 양태에 있어서, 길이 L은 8 내지 12 mm 사이이다.
제29 양태. 제14 또는 제28 양태에 있어서, 폭 W는 4 mm 내지 6 mm 사이이다.
제30 양태. 제10 내지 제1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비율 L/d는 0.8 내지 0.95 사이, 선택적으로 0.9이다.
제31 양태. 제10 또는 제14 또는 제30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비율 W/d는 0.4 내지 0.8 사이, 선택적으로 0.6이다.
제32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용기는 분말 약물을 저장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를 갖는 약물 챔버를 포함한다.
제33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약물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벽을 갖는 호퍼(hopper) 형상이다.
제34 양태. 제32 또는 제33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용기는 건조제를 저장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된 건조제 챔버를 포함한다.
제35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투과성 멤브레인이 건조제 챔버를 약물 챔버로부터 분리한다.
제36 양태. 제15 양태에 있어서, 보호 부재는 플레이트이다.
제37 양태. 제15 또는 제3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주축을 따라 측정된 보호 부재의 폭은 주축을 따라 측정된 투여 리세스의 크기보다 크다.
제38 양태. 제15 또는 제36 또는 제3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은 보호 부재에 결합되고, 마우스 피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는 흡입력이 있는 경우 보호 부재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9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은 흡입 작동식 부재, 선택적으로는 플랩 형상을 갖는 흡입 작동식 부재, 결합 부재 및 결합 부재에 배치된 탄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작동식 부재는 결합 부재를 통해 보호 부재에 결합되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흡입력이 있는 경우 흡입 작동식 부재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보호 부재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제40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건조 분말 흡입기는 분말 약물을 더 포함한다.
제41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건조 분말 흡입기는 마우스피스를 폐쇄하기 위해 케이싱과 결합 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
제42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셔틀은 커버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커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회전 이동 범위를 넘어 개방되면 셔틀을 충전 위치로부터 흡입 위치로 이동시키고, 커버가 폐쇄되면 셔틀을 흡입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다.
제43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건조 분말 흡입기는 문서 WO 2004/012801, WO 2016/000983 및 WO 2021/105440에 개시된 흡입기 또는 투여 리세스의 형상 및 크기를 제외하고는 본 출원인에 의해 Corradi M. 등이 개시한 논문 "Expert Opin. Drug Deliv. (2014) 11(9), 1497-1506'에 개시된 흡입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43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분말 약물은 약제 조성물이다.
제44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4(PDE-4) 억제제를 포함한다.
제45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는 타니밀라스트,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테토밀라스트, 오글밀라스트, 아프레밀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제46 양태. 제43 또는 제4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타니밀라스트를 포함하거나 투여된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는 타니밀라스트이다.
제47 양태.,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방법은, 이전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흡입기를 통해 전달된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48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전달된 용량은 10 mg 이상이다.
제49 양태. 제47 또는 제4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전달 용량은 약제 조성물이다.
제50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4(PDE-4) 억제제를 포함한다.
제51 양태. 이전 양태에 있어서,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는 타니밀라스트,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테토밀라스트, 오글밀라스트, 아프레밀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및 이의 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제52 양태. 제49 또는 50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타니밀라스트를 포함하거나 투여된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는 타니밀라스트이다.
제53 양태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서 제1 내지 제4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54 양태. 제52 또는 제53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분말 약물은 타니밀라스트를 포함한다.
제55 양태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약제 조성물은 분말 약물이고, 상기 방법은 제1 내지 제4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흡입기를 통해 약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56 양태. 제55 양태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타니밀라스트,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테토밀라스트, 오글밀라스트, 아프레밀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및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를 포함한다.
제57 양태. 제56 양태에 있어서, 투여된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는 타니밀라스트이다.
제58 양태. 제55 내지 제5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작용당 10 mg 이상의 약제 조성물의 전달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59 양태.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는 10 mm3 이상, 선택적으로는 20 mm3 이상, 선택적으로는 25 mm3 이상의 부피를 갖는다. 투여 리세스의 부피는 10 mm3 내지 50 mm3, 선택적으로는 20 mm3 내지 40 mm3, 또는 선택적으로는 25 mm3 내지 35 mm3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의 3차원 사시도를 개방된 구성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상이한 상태에서 도 1의 건조 분말 흡입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3차원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상이한 상태에서 도 4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상면도;
도 6은 도 3의 또 다른 구성요소의 3차원 상면도;
도 7은 도 6의 구성요소의 3차원 바닥도;
도 8은 도 6의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9는 도 5B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도;
도 10은 도 5A의 또 다른 부분을 확대한 상면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에 관해, 도 1, 도 2A, 도 2B,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1)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비제한적 실시예의 건조 분말 흡입기(1)는 문서 WO 2004/012801, WO 2016/000983 및 WO 2021/105440에 개시된 흡입기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Corradi M. 등이 개시한 논문 "Expert Opin. Drug Deliv. (2014) 11(9), 1497-1506'에 개시된 흡입기와 유사할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1)는 케이싱(2)과 케이싱(2)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커버(3)는 사용자가 분말 약물을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4)를 드러내도록 개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4)의 상부 전면에는, 케이싱(2)에 공기 흡입 개구(5)가 형성된다.
케이싱(2)은 열가소성 재료(예를 들어, ABS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폐쇄 쉘이며,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도 1, 2A-2C의 분말 흡입기(1)의 배향에 대한 상부 및 하부)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4)는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마우스피스(4)의 상측 부분(작은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6)를 향해 가늘어지는 잘린 원뿔의 외형을 갖는다.
커버(3)는 케이싱(2)에 힌지연결 되며, 커버(3)가 마우스피스(4)를 둘러싸는 도 2A에 도시된 폐쇄 위치와 커버(3)가 마우스피스(4)로부터 이격되어 마우스피스(4)를 노출시켜 사용하는 도 1, 2B 및 2C에 도시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분말 흡입기(1)는 분말 약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7), 마우스피스(4)의 개구(6)에 연결된 흡입 채널(8) 및 디스펜싱 장치(9)를 포함한다(도 2 참조). 흡입 채널(8)은 마우스피스(4)에 연결된 제1 개구와 제1 개구와 맞은편에 위치한 제2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모든 요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 내부에 수용된 하위 조립체(10)의 일부이다
도 2A-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7)는 일체형 건조제를 갖는 용기이다.
용기(7)는 분말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챔버(11)와 약물 챔버(11)에 유입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건조제를 저장하는 건조제 챔버(12)를 포함한다.
건조제 챔버(12)는 별도의 투과성 멤브레인(13)에 의해 약물 챔버(11)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 투과성 멤브레인(13)은 외부 환경에 대한 건조제 또는 약물 사이의 투과성과는 상이한 투과성을 가진다. 멤브레인(13)의 투과성은 예를 들어, 용기(7)의 본체와 상이한 재료 및/또는 더 얇은 단면으로 만들어서 달성할 수 있다. 포일은 약물 챔버(11)와 건조제 챔버(12)를 모두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용기(7), 특히 약품 챔버(11)는 복수의 투여량, 예를 들어, 최대 100-200 투여량에 상응하는 양의 분말 약물로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분말 약물은 제약 조성물이다.
건조제는 건조제 챔버(12)에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에 포함되거나, 혹은 건조제는 건조제 챔버(12)에 삽입될 수 있는 단일 정제 형태이다. 건조제는 제올라이트라고 불리는 알루미노 규산염의 알칼리 염, 또는 알루미노 인산염 또는 다공성 유리 또는 활성 탄소 또는 인공 제올라이트와 같은 균일한 크기의 공극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분 자체이거나 분자 체를 포함한다. 분자 체는 물 분자와 같은 작은 분자를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건조제는 또한 실리카겔일 수도 있다.
디스펜싱 장치(9)는 투여 리세스(15)를 갖는 계량 장치(14)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계량 장치(14)는 플레이트 형상의 셔틀(16)을 포함하며, 셔틀(16)의 한 면에 형성되는 투여 리세스(15)가 제공된다.
디스펜싱 장치(9)는 용기(7)에 대하여 그리고 흡입 채널(8)에 대해, 투여 리세스(15)가 용기(7)의 개구(17)와 연통하여 분말 약물의 용량이 채워지도록 하는 유휴 상태(도 2a 참조)와, 투여 리세스(15)가 흡입 채널(8)과 연통하여 투여 리세스(15)에 포함된 분말 약물을 마우스피스(4)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거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약물 챔버(11)는 도 2A, 2B, 2C,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개구(17)를 향해 수렴하는 벽을 갖는 호퍼 형상이다.
셔틀(16)은 하위 조립체(10)와 케이싱(2)의 바닥 벽 사이에 배치된다. 셔틀(16)은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코폴리머(ABS)와 같은 일체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이다.
셔틀(16)은 이동 방향(F)을 따라 충전 위치(도 2A)와 흡입 위치(도 2B 및 2C)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충전 위치는 계량 장치(14)의 유휴 상태에 상응하는 것으로, 투여 리세스(15)가 용기(7)의 개구(17)와 정렬되어 있고 분말 약물의 용량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개구(17)를 마주보고 있다. 흡입 위치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될 무장 상태(도 2B) 및 투여 리세스(15)가 흡입 채널(8)과 정렬되어 있는 계량 장치(14)의 트리거 상태(도 2C)에 상응한다.
셔틀(16)은 커버(3)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커버(3)가 폐쇄 위치로부터 회전 운동 범위를 넘어 개방되면 셔틀(16)이 충전 위치로부터 흡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커버(3)를 폐쇄하면 셔틀(16)이 흡입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도 2A,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6)이 케이싱(2)의 바닥 벽과 셔틀(16) 사이에 삽입되고, 셔틀(16)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셔틀(16)을 용기(7)의 개구(17)에 대해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셔틀(16)은 충전 위치와 흡입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스프링(36)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계량 장치(14)는 셔틀(16)과 흡입 채널(8) 사이에 제공되는 보호 부재(18)를 더 포함한다. 보호 부재(18)는 흡입 채널(8)의 제2 개구와 셔틀(16)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이다. 보호 부재(18)는 셔틀(16)에 대해 평행하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셔틀(16)의 위에 또는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폐쇄 위치에서, 보호 부재(18)는 흡입 채널(8)의 제2 개구 및 용기(7)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한다. 폐쇄 위치에서, 보호 부재(18)의 후방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입 채널(8)의 제2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보호 부재(18)는 케이싱(2)의 벽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개방 위치에서, 보호 부재(18)의 후방 부분은 흡입 채널(8)의 제2 개구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셔틀(16)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보호 부재(18)는 폐쇄 위치에 있다(도 2A). 보호 부재(18)는 셔틀(16)이 흡입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도 2B 및 2C).
따라서, 계량 장치(14)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상이한 상태(유휴, 무장, 트리거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상태들은 셔틀(16)과 보호 부재(18)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유휴 상태(도 2A)에서, 셔틀(16)은 충전 위치에 있고 보호 부재(18)는 폐쇄 위치에 있다. 보호 부재(18)는 투여 리세스(15)를 덮지 않는다. 투여 리세스(15)는 용기(7)의 개구와 연통하여 약물 용량을 수용한다. 무장 상태(도 2B)에서, 셔틀(16)은 흡입 위치에 있고 보호 부재(18)는 폐쇄 위치에 있다. 보호 부재(18)는 투여 리세스(15)를 덮는다. 보호 부재(18)는 흡입 동작 전에 분말 흡입기(1)가 비스듬한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하거나 사용자가 마우스피스(4)로 숨을 불어넣는 경우 투여 리세스(15)에 포함된 분말 약물이 흡입 채널(8)로 들어가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트리거 상태(도 2C)에서, 셔틀(16)은 흡입 위치에 있고 보호 부재(18)는 개방 위치에 있다. 보호 부재(18)는 투여 리세스(15)를 덮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투여 리세스(15)에 포함된 분말 약물의 용량을 흡입할 수 있도록 투여 리세스(15)가 흡입 채널(8)에 노출된다.
디스펜싱 장치(9)는 보호 부재(18)에 결합된 호흡 또는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19)을 더 포함한다(도 2A, 2B, 2C).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19)은 플랩 형태의 흡입 작동식 부재(20), 결합 부재(21) 및 결합 부재(21)에 배치된 탄성 요소(22)(스프링)를 포함한다.
플랩(20)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흡입력이 있는 경우, 플랩(2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보호 부재(18)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결합 부재(21)를 통해 보호 부재(18)에 결합된다. 플랩(20)은 케이싱(2)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 개구(5)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1 위치(도 2A)에서, 플랩(20)은 공기 흡입 개구(5)를 흡입 채널(8)로부터 분리하고 주 공기 흐름 경로에 안착한다. 플랩(20)은 사용자가 장치에 숨을 불어넣을 때 저항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제2 위치에서(도 2C), 플랩(20)은 제1 위치에 대해 회전하고 공기 흡입 개구(5)를 개방하여 공기가 공기 흡입 개구(5)를 통해 흡입 채널(8) 내로 흐르고 마우스피스(4) 밖으로 흐르게 한다. 탄성 요소(22)는 상기 탄성 요소(22)가 플랩(20)을 제1 위치에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커버(3)를 개방하여 셔틀(16)을 앞으로 밀면, 탄성 요소(22)가 압축 및 충전되고 플랩(20)에 가해진 리셋 힘(reset force)이 해제되어, 흡입 채널(8)에 충분히 높은 흡입력이 있는 경우 플랩(20)이 제1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대해 아래쪽으로 피봇회전된 제2 위치로 피봇회전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랩(20)은 흡입 채널(8)의 주축(A-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각의 회전축 주위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기 위해 케이싱(2)에 힌지연결 된다. 결합 부재(21)는 또한 흡입 채널(8)의 주축(A-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각의 회전축 주위로 각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기 위해 케이싱(2)에 힌지연결 된다.
결합 부재(21)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플랩(20)을 향해 돌출되고 플랩(20)과 결합되어 플랩(2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 부재(21)가 각각의 제1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2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암을 포함한다.
결합 부재(21)는 결합 부재(21)가 각각의 제1 위치로부터 각각의 제2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보호 부재(18)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호 부재(18)에 형성된 개구와 결합하는 연장부(23)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 부재(21)의 연장부(23)는 종방향을 따라 셔틀(16)에 형성되는 종방향 개구(2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장부(23)가 종방향 개구(24)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셔틀(16)이 흡입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이동하면 결합 부재(21)의 연장부(23)가 종방향 개구(24)의 에지에 접하게 되어 결합 부재(21)가 다시 최초의 제1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건조 분말 흡입기(1)는 마우스피스(4)의 맞은편에 있는 흡입 채널(8)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응집 제거기(2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응집제거기(25)는 하위 조립체(10)의 일부이다.
응집 제거기(25)는 와류 챔버(26)를 구획하고, 강한 속도 구배를 초래하는 사이클론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보호 부재(18)는 셔틀(16) 상에서 투여 리세스(15)를 덮고 있는 폐쇄 위치와, 계량 부재(14)가 흡입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15)를 응집 제거기(25) 및 흡입 채널(8)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분말 약물의 용량이 응집 제거기(25) 및 흡입 채널(8) 뿐만 아니라 마우스피스(4)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분말 흡입기(1)는 또한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는 도시되지 않은 투여 계수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케이싱(2)에 포함되고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19) 및 유효 흡입이 발생한 후에 커버(3)의 폐쇄부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2)은 또한 복용된 용량 횟수 또는 용기(7)에 남은 투여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창 또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숫자는 투여 계수 유닛에 의해 카운트된다.
도 5A, 5B 및 9의 상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7)의 개구(17)는 주축 Y-Y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주축 Y-Y는 셔틀(16)의 이동 방향 F에 수직이다. 즉, 개구(17)는 상기 주축을 따라 측정된 크기가 셔틀(16)의 이동 방향(F)을 따라 측정된 크기보다 더 크다.
개구(17)의 에지(27)는 투여 리세스(16)가 형성되는 셔틀(16)의 면과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다(도 3, 5A, 5B, 9). 에지(27)는 두 개의 주 아치형 측면(17a)과 두 개의 부 직선 측면(17b)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부 직선 측면(17b)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셔틀(16)의 이동 방향(F)에 평행한다. 두 개의 주 아치형 측면(17a) 각각은 두 개의 부 직선 측면(17b)의 끝단을 연결한다. 두 개의 주 아치형 측면(17a)은 서로 마주보는 오목부를 갖는다. 개구(17)의 에지(27)는 끝이 잘린 타원형처럼 보인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17)의 에지(27)는 타원형 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일 수 있다.
응집 제거기(25)는 측면 벽(29)과 베이스 벽(30)을 갖는 케이싱(28)을 포함하며(도 3 참조), 와류 챔버(26)는 상기 케이싱(28) 내부에 구획되어 있다.
도 4, 5A, 5B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 제거기(25)는 하위 조립체(10)의 베이스 벽(30)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곡선 벽(31)을 포함한다. 두 개의 곡선 벽(31)은 서로를 향하는 오목부를 가지며 와류 챔버(26)를 구획한다. 각각의 곡선 벽(31)은 두께 t를 가지며 반경 R을 갖는 반원형이다. 두 곡선 벽(31)의 중심은 공통의 직경선 Z-Z에 위치하며 서로 Δ의 거리만큼 엇갈리게 배치된다(도 10). 직경선 Z-Z는 셔틀(16)의 이동 방향 F에 수직이므로 주축 Y-Y에 평행한다.
두 개의 곡선 벽(31)은 베이스 벽(30)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벽(30)에 형성된 관통 개구(32)를 둘러싸거나 구획한다(도 2A, 2B, 2C).
두 개의 곡선 벽(31)은 각각의 측면 벽(29) 및 맞은편 자유 단부(33)에 연결된 끝단을 갖는다. 두 곡선 벽(31)의 자유 말단부(33) 사이를 연장하는 세그먼트에 의해 주어진 직경 d는 와류 챔버(26)의 직경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각각의 자유 단부(33) 및 인접한 측면 벽(29)은 와류 챔버(26)에서 개방되는 공기 입구(34)를 구획한다. 두 개의 공기 입구(34)는 와류 챔버(26)에서 공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접선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의 유입 방향을 따라 와류 챔버의 맞은편 측면에 배치된다. 즉, 두 개의 공기 입구(33) 각각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흐름은 와류 챔버(26)를 중심으로 한 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안내된다.
두 개의 곡선 벽(31)의 자유 단부(33) 사이를 연장하는 세그먼트를 따라 측정된 각각의 공기 입구(34)의 폭(p)은 d/6 내지 d/4 사이, 예를 들어, 폭(p)은 d/5이다.
반경 R, 거리 Δ폭 p, 직경 d 및 두께 t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Δ = t + p
d = 2R - Δ
측면 벽(29)과 두 곡선 벽(31)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 사이에 구획된 중공부(35)은 호흡 또는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19)을 통해 공기 흡입 개구(5)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도 2A,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4) 맞은편에 있는 흡입 채널(8)의 제2 단부는 두 곡선 벽(31) 사이에 배치되고 와류 챔버(26)로 개방된다. 흡입 채널(8)과 와류 챔버(26)는 공통의 중심 축을 공유한다.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흡입력을 가하면, 보호 부재(18)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개방 위치에서, 보호 부재(18)는 투여 리세스(15)를 와류 챔버(26)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한다. 공기는 공기 흡입 개구(5)를 통해 중공부(35) 내로, 공기 입구(34)를 통해 와류 챔버(26)로 유입된 후, 흡입 채널(8)로 유입되어 마우스피스(4) 밖으로 흘러 나간다. 투여 리세스(15)에 수용된 분말 약물의 용량은 소용돌이치는 공기 흐름에 혼입되어 흡입 채널(8)을 통해 마우스피스(4)로 안내된다.
위에 기술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개시된 분말 흡입기(1)의 내부 메커니즘 및 기능은 본 출원인이 문서 WO 2004/012801, WO 2016/000983 또는 WO 2021/105440에 개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들 문서와 관련한 주된 차이점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투여 리세스(15)의 형상, 크기 및 배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A, 5B, 6 및 9의 상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리세스(15)는 원형 둘레를 나타내지 않는다. 상이하게, 본 발명의 투여 리세스(15)는 각각의 주축 X-X를 따라 연장된다. 투여 리세스(15)는 컵 형태일 수 있다.
투여 리세스(15)의 둘레의 형상은 난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고, 주축(X-X)은 타원의 주축이다. 그 외의 경우, 첨부된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리세스(15)의 둘레는 두 개의 호로 연결된 두 개의 평행 직선을 포함하고, 두 개의 평행 직선은 주축 X-X에 평행하다. 투여 리세스(15)의 둘레의 두 호는 주축 X-X를 따라 위치한 투여 리세스(15)의 맞은편 단부를 형성한다. 투여 리세스는 주축 X-X를 따라 측정된 길이 L과 주축 X-X에 수직으로 측정된 폭 W를 가지며, L/W의 비율은 1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사이, 예를 들어, 1.6이다.
또한, 주축 X-X와 주축 Y-Y는 이들 사이에 0°가 아닌 제1 각도 β로 구획된다. 상기 제1 각도 β는 약 20°일 수 있다.
투여 리세스(15)의 둘레의 크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16)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용기(7)의 개구(17)의 에지(27)가 투여 리세스(15)를 둘러싸도록, 즉 투여 리세스(15)의 둘레가 개구(17)의 에지(27)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포함되도록, 정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 리세스(15)는 개구(17)로부터 흘러나오는 분말 약물에 의해 완전히 채워진다.
이러한 형태의 투여 리세스(15)는 용기(7)의 개구(17)로부터 수용되고, 종래 기술의 구형 컵 형태의 투여 리세스에 포함된 용량보다 더 많은 용량의 분말 약물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투여 리세스(15)의 용량은 길이(L)가 8 내지 12mm이고, 폭(W)은 4mm 내지 6mm이며, 15 mg 이상, 예를 들어 2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여 리세스(15)는 20 mm3 보다 큰 부피, 예를 들어 약 30 mm3 또는 약 32 mm3 를 가질 수 있다.
흡입 위치에서, 그리고 보호 부재(18)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15)는 와류 챔버(26)를 향하고 와류 챔버(26) 내에 완전히 위치한다. 특히, 투여 리세스(15)는 직경 d를 갖는 베이스 원 내에 포함된다(도 10). 각각의 곡선 벽(31)의 자유 단부(33)를 통과하고 두 개의 공기 입구(34)를 연결하는 직경선 Z-Z는 제1 각도 β와 동일한, 즉 0°가 아닌, 예를 들어 20°인 제2 각도 γ를 주축 X-X와 구획한다.
투여 리세스(15)의 각각의 맞은편 단부는 공기 입구(34) 중 하나에 인접하며, 상기 접선방향 공기 입구(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유입에 대해 각각의 공기 입구(34)의 하류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류 챔버(26)는 시계 방향의 공기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주축(X-X)은 직경선 Z-Z에 대하여 제2 각도 γ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와류 챔버(26)는 반시계 방향으로 공기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주축(X-X)은 직경선 Z-Z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셔틀(16)이 흡입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15)의 둘레와 곡선 벽(31) 사이의 제1 최소 거리(S1)는 d/12 내지 d/8 사이이며, 예를 들어, 제1 최소 거리(S1)는 d/10이다. 첨부된 도 10에서, 제1 최소 거리(s1)는 직경선 Z-Z를 따라 측정된다.
셔틀(16)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투여 리세스(15)의 둘레와 용기(7)의 개구(17)의 에지(27) 사이의 제2 최소 거리(s2)는 d/12 내지 d/8 사이, 예를 들어, 제2 최소 거리(s2)는 d/10이다.
비율 L/d는 0.8 내지 0.95 사이, 예를 들어, 0.9이고, 비율 W/d는 0.4 내지 0.8 사이, 예를 들어, 0.6이다. 첨부된 도 9에서, 제2 최소 거리(S2)는 에지(27)의 두 개의 주 아치형 측면(17A) 중 하나와 투여 리세스(15)의 둘레의 두 호 중 하나 사이에 있다.
셔틀(16)이 흡입 위치에 있고 보호 부재(18)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와류 챔버(26)에 대한 투여 리세스(15)의 형상 및 위치는 와류 챔버(26)에서 소용돌이치는 공기 덕분에 투여 리세스(15)를 완전히 비울 수 있도록 보장한다. 투여 리세스(15)의 길쭉한 형상 및 와류 챔버(26)의 공기 입구(34)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는 투여 리세스(15)로부터 모든 분말 약물을 수거하고 상기 분말 약물을 흡입 채널(8)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축(Y-Y)을 따라 측정된 보호 부재(18)의 폭이 상기 주축(Y-Y)을 따라 측정된 투여 리세스(15)의 크기보다 크고, 이동 방향(F)을 따라 측정된 보호 부재(18)의 길이가 상기 이동 방향 F을 따라 측정된 투여 리세스(15)의 크기보다 크므로, 투여 리세스(15)로부터 흡입 전에 분말 약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1)는 작동당 전달 용량이 10 mg 이상인 DPI를 통해 디스펜싱 될 수 있는 모든 약제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1)는 작동당 10 mg 이상의 약제 조성물의 전달 용량이 요구되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1)의 용기(7)에 저장된 분말 약물은 타니밀라스트,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테토밀라스트, 오글밀라스트, 아프레밀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및 이들의 염 또는 기타 적합한 활성 성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말 약물은 타니밀라스트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이다.
분말 흡입기 1
케이싱 2
커버 3
마우스피스 4
공기 흡입 개구 5
마우스피스 개구 6
용기 7
흡입 채널 8
디스펜싱 장치 9
하위 조립체 10
약물 챔버 11
건조제 챔버 12
투과성 멤브레인 13
계량 장치 14
투여 리세스 15
셔틀 16
용기 개구 17
주 아치형 측면 17a
부 직선 측면 17b
보호 부재 18
호흡 또는 흡입 작동식 메커니즘 19
흡입 작동식 부재 또는 플랩 20
결합 부재 21
탄성 요소 22
연장부 23
종방향 개구 24
응집 제거기 25
와류 챔버 26
개구 에지 27
케이싱 28
측면 벽 29
베이스 벽 30
두 개의 곡선 벽 31
관통 개구 32
측면 벽의 자유 단부 33
공기 입구 34
중공부 35
스프링 36
셔틀의 이동 방향 F
주축 Y-Y
주축 X-X
제1 각도 β
제2 각도 γ
거리 Δ
제1 최소 거리 s1
제2 최소 거리 s2

Claims (22)

  1. 건조 분말 흡입기로서, 상기 흡입기는:
    - 마우스피스(4)를 갖는 케이싱(2);
    - 케이싱(2)에 수용되고 마우스피스(4)에 연결된 흡입 채널(8);
    - 분말 약물을 저장하기 위해 케이싱(2)에 수용되는 용기(7)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7)는 개구(17)를 가지며;
    - 마우스피스(4)의 맞은편에 위치한 흡입 채널(8)의 단부에 위치한 와류 챔버(26)를 갖는 응집 제거기(25);
    - 셔틀(16)의 한 면에 형성된 투여 리세스(15)를 갖는 셔틀(16)을 포함하는 계량 장치(14)를 포함하고, 여기서 셔틀(16)은 투여 리세스(15)가 용기(7)의 개구(17)와 정렬되고 분말 약물의 용량으로 채워지도록 개구(17)를 향하는 충전 위치, 및 투여 리세스(15)가 와류 챔버(26)와 흡입 채널(8)과 정렬되어 마우스피스(4)를 통해 투여 리세스(15)에 포함된 분말 약물의 용량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용기(7)의 개구(17)는 각각의 주축(Y-Y)을 따라 연장되고 투여 리세스(15)는 각각의 주축(X-X)을 따라 연장되며, 셔틀(16)이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7)의 개구(17)의 에지(27)가 투여 리세스(15)를 둘러싸는,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 위치와 흡입 위치 사이의 셔틀(16)의 이동 방향(F)과 주축(Y-Y)이 90°의 각도로 구획되고, 주축(X-X)과 주축(Y-Y)은 0° 이외의 제1 각도 β로 구획되는, 흡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각도 β는 10° 내지 30° 사이인, 흡입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집 제거기(25)는 와류 챔버(26)에 개방되는 두 개의 공기 입구(34)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공기 입구(34)는 와류 챔버(26)에 공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와류 챔버(26)의 접선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의 유입 방향을 따라 와류 챔버(26)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흡입 위치에서, 투여 리세스(15)는 와류 챔버(26)를 향하고 와류 챔버(26)에 완전히 둘러싸이며; 상기 투여 리세스(15)는 주축(X-X)을 따라 위치한 맞은편 단부를 가지며; 흡입 위치에서, 투여 리세스(15)의 각각의 맞은편 단부는 공기 입구(34) 중 하나에 인접하는, 흡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두 공기 입구(34)와 주축(X-X)을 연결하는 직경선(Z-Z)은 이들 사이를 0° 이외의 제2 각도 γ로 구획하는, 흡입기.
  6. 제4항에 있어서, 응집 제거기(25)는 서로를 향하는 오목부를 갖는 두 개의 곡선 벽(31)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곡선 벽(31)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와류 챔버(26)와 두 개의 접선방향 공기 입구(34)를 구획하고, 상기 곡선 벽(31)의 자유 단부(33)와 주축(X-X)을 통과하는 직경선(Z-Z)은 0° 이외의 제 2 각도 γ로 구획되는, 흡입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직경선(Z-Z)은 주축(Y-Y)과 평행하고 제1 각도 β는 제2 각도 γ와 동일한, 흡입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15)의 맞은편 단부는 각각 공기 입구(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유입에 대하여 각각의 공기 입구(34)의 하류에 위치되는, 흡입기.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8항에 있어서, 와류 챔버(26)는 시계 방향 공기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주축(X-X)은 직경선(Z-Z)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는 와류 챔버(26)는 반시계 방향의 공기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주축(X-X)은 직경선(Z-Z)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흡입기.
  10. 제6항에 있어서, 흡입 위치에서, 투여 리세스(15)는 두 개의 곡선 벽(31)의 자유 단부(34)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그먼트에 의해 주어진 직경(d)을 갖는 베이스 원 내에 포함되는, 흡입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7)의 개구(17)의 에지(27)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이며; 또는 용기(7)의 개구(17)의 에지(27)는 두 개의 주 아치형 측면과 두 개의 부 직선 측면을 갖는, 흡입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15)의 둘레가 두 개의 호로 연결된 두 개의 평행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평행 직선은 주축(X-X)에 평행하며; 또는 투여 리세스(15)의 둘레는 난형 또는 타원이고 주축(X-X)은 타원의 주축인, 흡입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15)의 분말 약물 용량은 10 mg 이상, 선택적으로는 15 mg 이상, 선택적으로 20 mg 이상인, 흡입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15)의 부피는 20 mm3 이상, 선택적으로는 20 mm3 내지 40 mm3, 또는 선택적으로는 25 mm3 내지 35 mm3 인, 흡입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리세스(15)는 주축(X-X)을 따라 측정된 길이(L)와 주축(X-X)에 수직으로 측정된 폭(W)을 가지며, L/W의 비율은 1보다 크고, 선택적으로는 1.4 내지 1.8 사이인, 흡입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틀(16)과 와류 챔버(26) 사이에 제공되는 보호 부재(18)를 더 포함하고; 셔틀(16)이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보호 부재(18)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셔틀(16)의 위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폐쇄 위치에서, 보호 부재(18)는 투여 리세스(15)를 완전히 덮어 투여 리세스(15)와 와류 챔버(26) 사이의 연통을 방지하고; 개방 위치에서, 보호 부재(18)는 투여 리세스(15)를 와류 챔버(26)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흡입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 약물은 타니밀라스트,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테토밀라스트, 오글밀라스트, 아프레밀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및 이들의 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인, 흡입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타니밀라스트를 포함하는, 흡입기.
  19.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로서,
    상기 약제 조성물은 분말 약물이고,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입기를 통해 약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은 타니밀라스트, 실로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테토밀라스트, 오글밀라스트, 아프레밀라스트, 피클라밀라스트 및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투여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4(PDE-4) 억제제는 타니밀라스트인, 약제 조성물.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작용당 10 mg 이상의 약제 조성물의 전달 용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KR1020257007055A 2022-08-03 2023-08-02 건조 분말 흡입기 Pending KR20250047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88457.0 2022-08-03
EP22188457 2022-08-03
PCT/EP2023/071410 WO2024028388A1 (en) 2022-08-03 2023-08-02 Dry powder inha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47777A true KR20250047777A (ko) 2025-04-04

Family

ID=8278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7007055A Pending KR20250047777A (ko) 2022-08-03 2023-08-02 건조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40042147A1 (ko)
EP (1) EP4565302A1 (ko)
KR (1) KR20250047777A (ko)
CN (2) CN119630442A (ko)
AU (1) AU2023317765A1 (ko)
CL (1) CL2025000259A1 (ko)
CO (1) CO2025000999A2 (ko)
GB (1) GB2621707A (ko)
IL (1) IL318384A (ko)
MA (1) MA71680A (ko)
MX (1) MX2025001209A (ko)
WO (1) WO20240283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86630B1 (en) * 2002-07-31 2006-05-17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EP2359826B1 (en) * 2006-07-05 2013-10-30 Takeda GmbH Combination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 rosuvastatin with a phosphodiesterase 4 inhibitor, such as roflumilast, roflumilast-N-oxid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pulmonary diseases
US11052202B2 (en) * 2012-11-07 2021-07-06 Chiesi Farmaceutici S.P.A. Drug deliver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BR112016029487B1 (pt) 2014-06-30 2022-03-29 Chiesi Farmaceutici S.P.A. Aba para um mecanismo e inalador de pó
AU2020391939A1 (en) 2019-11-28 2022-06-02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18384A (en) 2025-03-01
MA71680A (fr) 2025-05-30
MX2025001209A (es) 2025-03-07
EP4565302A1 (en) 2025-06-11
CO2025000999A2 (es) 2025-06-16
GB2621707A (en) 2024-02-21
CL2025000259A1 (es) 2025-05-23
WO2024028388A1 (en) 2024-02-08
GB2621707A9 (en) 2024-10-02
US20240042147A1 (en) 2024-02-08
CN119630442A (zh) 2025-03-14
AU2023317765A1 (en) 2025-01-30
GB202311884D0 (en) 2023-09-13
CN117504071A (zh)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5642B2 (ja) 簡易吸入器
RU20892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распыления агломератов, образовавшихся в дозе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медпрепарат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подачи в легкие пациента
FI107126B (fi) Jauheinhalaattori yhdistelmälääkkeelle
AU2003260340C1 (en) Powder inhaler
KR20040111440A (ko) 건조 분말 흡입기
US7556035B2 (en)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RU201511675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заболеваниями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US20240042147A1 (en) Dry powder inhaler
PL178263B1 (pl) Inhalator z komor�
US20250050039A1 (en) Powder inhaler
US20250065059A1 (en) Powder inha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