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46401A -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46401A
KR20250046401A KR1020230129235A KR20230129235A KR20250046401A KR 20250046401 A KR20250046401 A KR 20250046401A KR 1020230129235 A KR1020230129235 A KR 1020230129235A KR 20230129235 A KR20230129235 A KR 20230129235A KR 20250046401 A KR20250046401 A KR 2025004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aso
beauveria bassiana
insecticidal effect
cul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발란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발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발란스
Publication of KR2025004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4640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2Acar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4Insec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살충 효과를 가지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상기 균주의 생산 방법,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는 살충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인 총채벌레와 가금류에 해를 끼치는 닭진드기 방제에 탁월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며, 포자 생성능 또한 우수하므로, 친환경적 해충 방제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Beauveria bassiana ASO-01 strain with improved insecticidal effect and spore produc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살충 효과를 가지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상기 균주의 생산 방법,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는 살충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곤충은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에서 유익한 역할과 유해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특히, 농업분야에서는 곤충을 활용한 천적 방제 등으로 일부 활용되고 있지만, 해충에 의한 작물 질병 유발과 이에 의한 농업 생산성 저감 문제는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작물의 질병을 유발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화학 살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화학 농약, 특히 살충제의 경우 시냅스 신호 전달물질을 통한 물질전달 방해 등과 같은 비특이적인 기작으로 인해 작물에 질병을 유발하는 해충뿐만 아니라 유익한 곤충에게도 피해가 발생된다. 또한, 살충제를 포함한 화학농약의 경우 반감기를 거치며 발생되는 잔류물질 및 부산물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생물농축으로 인해 생태계 먹이사슬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오래전부터 미생물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적인 해충 방제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미생물제제는 흔히 세균 미생물제제와 진균 미생물제제로 알려져 있는데, 세균 미생물제제의 경우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부분에 있어 진균 미생물제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상 진균 미생물제제의 경우 포자 생산이 원활하지 않을 때 이를 제품화한다. 따라서, 진균 미생물제제의 제품화를 위해서는 빠른 생장속도와 많은 양의 포자를 생산하는 것, 해충을 대상으로 한 살충 효과를 모두 가진 진균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균주는 대표적인 곤충 병원성 진균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진균의 해충 방제 기작으로 균주가 생성하는 포자가 해충의 왁스층을 침투, 해충과 공생하며 해충이 보유한 수분을 빼앗고, 해충이 사멸한 후 해충의 사체를 분해하여 양분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균주의 해충 방제 특성으로 해충에 대한 접촉 및 경구독성이 모두 유효하다.
현재 총채벌레와 닭진드기의 경우 토양 및 가금류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해충이다. 총채벌레의 경우 고추, 오이 등 다양한 작물의 줄기와 잎에 알을 낳으며 해를 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닭진드기의 경우 가금류를 대상으로 흡혈을 하며 이에 의해 빈혈 및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이는 가금류 및 계란 생성량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 두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들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들을 위한 진균 미생물제제에 대한 제품의 수는 많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 균주인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균주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4421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상기 균주의 생산 방법,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는 살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살충 효과를 가지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수탁번호: KCTC15591BP)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충 효과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효과일수 있다.
상기 균주는 7일간 28 ~ 30℃에서 배양 시 포자의 개수가 1.0 x 109 ~ 1010 spore/g까지 자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수탁번호: KCTC15591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은 28 ~ 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ASO-01 균주 (수탁번호: KCTC15591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에 대해 살충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인 총채벌레와 가금류에 해를 끼치는 닭진드기 방제에 탁월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며, 포자 생성능 또한 우수하므로, 친환경적 해충 방제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순수 분리 후 형태학적인 특성 (A)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을 활용한 계통분류학적 모식도 (B)를 나타낸다.
도 2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동정 및 계통발생학적 모식도에 활용된 ITS 영역을 나타낸다.
도 3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총채벌레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닭진드기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5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균사 형성 및 포자 생성능을 기존 뷰베리아 바시아나 균주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활용한 오이 실증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 균주인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균주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분리한 균주를 2023년 9월 8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CTC15591BP).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살충 효과를 가지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에 관한 것이다.
하기 표 1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동정 및 계통발생학적 모식도에 활용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
ACCTACCTATCGTTGCTTCGGCGGACTCGCCCCAGCCCGGACGCGGACTGGACCAGCGGCCCGCCGGGGACCTCAAACTCTTGTATTCCAGCATCTTCTGAATACGCCGCAAGGCAAAACAAATGAATCAAAACTTTCAACAACGGATCTCTTGGCTCTGGCATCGATGAAGAACGCAGCGAAACGCGATAAGTAATGTGAATTGCAGAATCCAGTGAATCATCGAATCTTTGAACGCACATTGCGCCCGCCAGCATTCTGGCGGGCATGCCTGTTCGAGCGTCATTTCAACCCTCGACCTCCCCTTGGGGAGGTCGGCGTTGGGGACCGGCAGCACACCGCCGGCCCTGAAATGGAGTGGCGGCCCGTCCGCGGCGACCTCTGCGCAGTAATACAGCTCGCACCGGGACCCCGACGCGGCCACGCCGTAAAACACCCAACTTCTGAACGTTGACCTCGAATCAGGTAGGACTACCCGCTGAACTTAAGCATATCAATAAGCGGAGGAA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배양 후 총채벌레와 닭진드기에 처리하여 7일간 관찰한 결과, 총채벌레의 경우 10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닭진드기의 경우 95%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동족종속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TCC 74040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각각 약 30% 및 49% 이상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또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활용한 오이 실증 실험을 통한 결과,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에 의해 오이 총채벌레에 의한 피해가 저감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또한,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우수한 포자 생성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최적 배양 및 포자 생산을 위해 최적 배지를 제작하였으며, 7일간 28 ~ 30℃에서 배양 시 포자의 개수가 1.0 x 109 ~ 1010 spore/g까지 자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양은 28 ~ 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에 계면활성제, 중량제, 영양제등의 부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며, 증량제 및 영양제로는 콩가루, 쌀, 밀, 황토, 규조토, 덱스트린,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며, 붕해제로는 벤토나이트 (bentonite), 탈크 (talc), 다이아라이트 (dialite), 카올린 (kaolin) 및 칼슘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충용 미생물 제제는 상기 균주의 안정적인 제제화를 목적으로 입제, 수화제 또는 캡슐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입제의 경우 표면 활성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및 흐름제, 저비산 분제, 미분제, 수면전개제로 이루어진 제형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추가로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충 방법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당업계에서 토양 또는 식물에 미생물 제제를 처리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군위군 소재 농장의 진균에 감염된 해충과 건강한 작물 토양을 시료로 수집하였다. 시료 수집 후 토양 시료 경우 1 g과 9 mL의 0.8% 생리식염수 (0.8% sodium chloride solution)를 혼합하고 이를 10배씩 희석하는 방식으로 10배부터 10000배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진균에 감염된 해충의 경우 해충 1 g을 칭량하고, 9 mL의 0.8% 생리식염수를 혼합한 후 이를 분쇄하였다. 분쇄 한 후 앞선 방법과 동일하게 10배부터 10000배 희석액을 준비하였다. 이 후 하기 표 2와 같이 사부로드 덱스트로스 아가 배지 (Sabouraud Dextrose Agar media, SDA 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 이후 배양은 30 ℃에서 5일간 시행하였으며, 형태학적 차이를 기반으로 진균 분류를 시행하였다.
성분 양 (%)
포도당 (Glucose) 4.0
효모 추출물 (Yeast extract) 1.0
펩톤 (Peptone) 1.0
폴리소르베이트 80 (Polysorbate 80, tween 80) 0.01
암피실린 (Ampicillin (100 mg/mL)) 0.01
카나마이신 (Kanamycin (100 mg/mL)) 0.01
한천 분말 (Agar powder) 1.5
pH 6.9 ± 0.2
그 결과, 총채벌레 및 닭진드기에 살충력을 가지는 곤충 병원성 균 5종 진균을 선발하고, 이들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이 중 가장 살충 효과가 가장 우수한 진균을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로 명명하였고, 상기 균주를 2023년 9월 8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CTC15591BP).
상기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순수 분리한 후 현미경을 통해 확인된 형태학적인 특징을 도 1A에 나타내었으며, 도 1B에는 ITS 영역의 서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계통분류학적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계통분류학적 모식도는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7.0 vers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neighbor joining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도 2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동정 및 계통발생학적 모식도에 활용된 ITS 영역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방제 효과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활용한 총채벌레 및 닭진드기 방제를 위해 총채벌레 (Palm thrips)를 사용하였으며, 강낭콩을 기주식물로 하여 2~4세대 내에 사육된 충을 활용하였다. 닭진드기 (red mite)의 경우 경상북도 내 양계 농장에서 채집된 후 사육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사육 조건은 25±2℃, 상대습도 60~70%로 유지하면서 사육하였다.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SDA 액체배지에서 전배양 한 후 밀기울을 주 성분으로 하는 고체배지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g당 109 개의 포자를 확인한 후 총채벌레와 닭진드기에 각각 105 개의 포자를 처리하여 7일간 관찰하며, 사멸 개체를 확인하였다. 방제 효과에서 총채벌레와 닭진드기의 수량은 무처리구와 처리구 각각 30마리, 4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 (Aspergillus flavus) ATCC 9643, 양성 대조군으로서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TCC 74040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총채벌레의 경우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닭진드기의 경우 95%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동족종속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TCC 74040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총채벌레는 30% 이상, 닭진드기는 49% 이상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총채벌레 및 닭진드기에 대한 살충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에 대한 최적 배양 조건 확립 및 포자 생성능 확인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최적 배양 및 포자 생산을 위해 최적 배지를 제작하였다.
최적 배지는 밀기울, 물, 효모추출물, 인산염, 펩톤, 백강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나 기타 물질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최적 배양을 위한 고체 배지 제조 후 121℃ 15분 고압 멸균하였으며,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포자를 고상 배지 1g 당 109 포자 (spore)/mL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접종 후 7일간, 30℃에서 배양하였다.
균사 성장은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고체 배양물에서 확인되는 균사를 관측하였으며, 포자 생성능 확인은 균주 배양물을 멸균 거즈로 거른 후 포자만을 획득하여 혈구계수기 (hemocytometer)로 관찰하였다. 포자 생성능 확인의 경우 대조군으로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 (Aspergillus falvus) ATCC 9643,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TCC 7404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는 동일 기간동안 더 많은 포자를 생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배양한 배지 1g 당 1.0 x 109 ~ 1010 spore/g 개의 포자가 관측되었으며, 대조군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 ATCC 9643 균주 대비 2.0 ~ 2.1배 이상 포자 생성능이 우수하였고, 뷰베리아 바시아나 ATCC 74040 균주 대비 1.4 ~ 2.1배 이상 포자 생성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를 활용한 오이 실증 실험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의 실제 오이 총채벌레에 대한 피해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증 시험을 시행하였다. 실증시험은 총채벌레 피해가 발생된 오이 농가부터 오이 및 오이 토양을 확보하여 진행하였으며, pot scale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오이의 생육 조건은 25~28℃, 장일조건에서 수행되었다. 시험 기간은 3주동안 진행되었으며, 음성 대조군으로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 (Aspergillus flavus) ATCC 9643, 양성 대조군으로서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TCC 74040을 처리하였으며, 각 균주의 포자는 g 당 105 개의 포자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6을 살펴보면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에 의해 오이 총채벌레에 의한 피해가 저감된 것이 확인되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KCTC15591BP 20230908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살충 효과를 가지는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수탁번호: KCTC15591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 효과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7일간 28 ~ 30℃에서 배양 시 포자의 개수가 1.0 x 109 ~ 1010 spore/g까지 자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제1항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수탁번호: KCTC15591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균주의 생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8 ~ 3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의 생산 방법.
  7. 제1항의 뷰베리아 바시아나 (Beauveria bassiana) ASO-01 균주 (수탁번호: KCTC15591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에 대해 살충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
  9. 제7항의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총채벌레 또는 닭진드기 살충 방법.
KR1020230129235A 2023-09-26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 Pending KR20250046401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46401A true KR20250046401A (ko) 2025-04-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2942B (en) Bacillus sp.d747 strain, agent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nd agent for controlling pests us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36007B1 (ko) 해충방제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곤충병원성 곰팡이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sd4-2 균주
KR101666968B1 (ko)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농업해충 방제용 액상제제
MX2007008234A (es) Una nueva cepa de trichoderma atroviride, un medio de cultivo conteniendola, asi como la utilizacion de dicha cepa en particular como estimulante de la germinacion y/o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KR100914451B1 (ko)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KR101680638B1 (ko) 신규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274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20180079240A (ko)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엠130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
KR102251508B1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26801B1 (ko)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수도해충 방제용 제제
KR20180033774A (ko) 곤충병원성 곰팡이 보베리아 바시아나 anu1 및 이를 이용한 파밤나방, 배추좀나방, 담배나방 또는 좁은가슴잎벌레 방제용 미생물제제
JP4792685B2 (ja) 広宿主範囲を持つ昆虫病原性糸状菌
KR101896932B1 (ko) 신규 미생물 보베리아 바시아나 fg317 또는 이를 함유하는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101524557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eml―cap3를 포함하는 살충 조성물
MOHAMMED et al. Efficacy of Beauveria bassiana and Trichoderma viride against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on tomato plants
KR20250046401A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 생성능을 갖는 신규 뷰베리아 바시아나 aso-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791983B1 (ko) 아쓰로보트리스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기생성선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2207732B1 (ko)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 ft319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KR20160021155A (ko)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엠130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
KR101680639B1 (ko) 신규미생물 이사리아 푸모소로세 fg340와 이를 함유하는 파밤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
US20230076846A1 (en) Novel Beauveria Bassiana KNU-101 Strain Having Excellent Insecticidal Effect and Sporulation Potential and Use Thereof
KR20130092313A (ko) 신규한 뷰베리아 바시아나 엠130 균주 및 그를 이용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
Smith An integrated control scheme for cocoa pests and diseases in Papua New Guinea
KR100458765B1 (ko) 파리목 해충에 대해 방제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슈린지에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의 제조방법
KR102504389B1 (ko) 신규한 보베리아 슈도바시아나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가루이 방제용 조성물
US660772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coleopteran infe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