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45951A -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45951A KR20250045951A KR1020230129547A KR20230129547A KR20250045951A KR 20250045951 A KR20250045951 A KR 20250045951A KR 1020230129547 A KR1020230129547 A KR 1020230129547A KR 20230129547 A KR20230129547 A KR 20230129547A KR 20250045951 A KR20250045951 A KR 20250045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lock
- hole
- lock stopper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1)에 설치되는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문틀(2)에 장착된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맞물려 잠금/해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는 도어와 문틀 사이 틈새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도어 개방력이 감지되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외부 침입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락플레이트(10), 락홀(20), 걸림편(30), 홀더(40), 락스토퍼(50), 침입감지모듈(60)을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와 문틀 사이 틈새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도어 개방력이 감지되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외부 침입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어록은 현관문을 포함하는 출입도어에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술발전과 더불어 조작 편리성 및 보안을 강화하기 의해 디지털도어락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잠금/해제 기능 외에 침입감지모듈, 기계적 충격 방지, 경보 및 외부 알림의 다양한 기능, 화재나 응급 상황을 대비해서 내부에서 밖으로 나갈때 신속하고 편리하게 나갈 수 있도록 화재감지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에 개시된 도어락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893655호에서,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핸들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문틀에는 잠금쇠와 결합되는 잠금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외측 일면 모서리 부위에 소정길이로 돌출된 마감편이 일체로 형성된 현관문 구조에 설치되는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문틀의 틈새를 막도록 형성된 마감편에 설치되는 장편부재; 상기 장편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쇠 및 잠금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방범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어의 측단에 설치되어 도어잠금장치를 보호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도어잠금장치의 불법적인 해체를 방지하려는 것이나, 외부에서 도어잠금장치를 정상적으로 해제하고 침입하는 경우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바, 일예로서, 여행인구가 늘어나면서 숙박시설을 이용시, 외부인이 키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장금장치를 정상적으로 해제한 후, 침입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도어와 문틀 사이 틈새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도어 개방력이 감지되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외부 침입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여닫이 도어(1)에 설치되는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문틀(2)에 장착된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맞물려 잠금/해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와 문틀(2) 사이 틈새공간(3)으로 삽입되는 끼움단부(11)와, 틈새공간(3) 외부로 노출되는 바디부(12)를 포함하는 락플레이트(10); 상기 끼움단부(11)에 관통되어,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락홀(20); 상기 끼움단부(11)에 돌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30); 상기 바디부(12)에 관통 형성되는 홀더(40); 상기 홀더(40)에 체결되도록 연결축부(51)가 형성되고, 락플레이트(10)에 설치된 상태로 도어(1)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락스토퍼(50); 및 상기 락스토퍼(50)에 설치되고, 도어(1) 열림방향 작동력을 스위치(61)로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침입감지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1)를 개방하고, 락홀(20)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일치되도록 배치하면서 걸림편(30)을 레치홀(2b)에 삽입한 후, 도어(1)를 닫힘 작동하여 끼움단부(11)를 틈새공간(3)에 구속하고,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바디부(12)의 홀더(40)에 설치하면, 락스토퍼(50)에 의해 도어(1)가 구속되고,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지면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61)가 작동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홀(20)이 형성되는 끼움단부(11)는 바디부(12) 양단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락홀(20)은 서로 상이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레치볼트(1b) 및 레치홀(2b) 규격에 대응하여, 한 쌍의 락홀(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설치되고 홀더(40)에 끼움 결합하는 샤프트(51a)와, 샤프트(51a)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락스토퍼(50) 이면에 구속되는 확장편(51b)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0)는, 확장편(51b)이 관통 삽입되는 출입홀(41)과, 출입홀(41)에 연결되고, 출입홀(41)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샤프트(51a)와 결속되는 끼움홀(42)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42)은 출입홀(41)을 중심으로 락홀(2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40)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홀더(40)는 락홀(20)과 서로 상이한 거리로 배치되어,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설치되고 홀더(40)에 끼움 결합하는 샤프트(51a)와, 샤프트(51a)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락스토퍼(50) 이면에 구속되는 확장편(51b)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0)는, 확장편(51b)이 관통 삽입되는 출입홀(41)과, 출입홀(41)에 연결되고, 출입홀(41) 대비 축소된 지름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샤프트(51a)를 수용하는 장공홀(43)을 포함하고, 상기 장공홀(43)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락홀(20)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되면, 락스토퍼(50)와 도어(1)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공홀(43)은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된 상태로 걸림홈(44)에 맞물려 구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은 알림음, 알림등, 진동, 통신모듈을 이용한 알림신호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편(51b)은 원을 일부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10) 상에 연결축부(51)와 맞물리는 견착홀(13)이 형성되며, 상기 견착홀(13)은 원을 일부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어, 연결축부(51)의 확장편(51b)과 소정의 각도에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견착홀(13)에 연결축부(51)를 조립한 상태로 락스토퍼(50) 각도를 변경하면, 확장편(51b)과 견착홀(13)의 원을 일부 자른 모양이 불일치한 상태로 구속되어, 락스토퍼(50)가 락플레이트(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세로방향 길이 중심에서 상측으로 편심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61)는 락스토퍼(50) 세로방향 길이 중심에서 하측으로 편심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홀더(40)에 장착한 상태로, 락스토퍼(50)의 하단부가 도어(1)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락스토퍼(50)를 경사각으로 각도 세팅하고, 상기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지면, 락스토퍼(50)가 도어(1)에 가압되어 연결축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51)가 도어(1)가 터치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락스토퍼(50)의 선회작동으로 인해, 락스토퍼(50)의 상부 영역이 도어(1)에 접지되어 열림작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51a) 외주면에 피니언(70)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40)의 장공홀(43) 내주면 일측에 래크(72)가 형성되며, 상기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홀더(40)에 장착한 상태로, 락스토퍼(50)의 하단부가 도어(1)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락스토퍼(50)를 경사각으로 각도 세팅하고,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질 경우, 락스토퍼(50)가 도어(1)에 가압되어 연결축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 피니언(70)이 래크(72)에 치합되어 락스토퍼(50)가 장공홀(43)을 타고 경사각으로 하향 이송되면서 도어(1) 측으로 밀착력 가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 사이 틈새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도어 개방력이 감지되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외부 침입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 양단에 락홀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 일단에 락홀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의한 도어 잠금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홀더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와 락스토퍼를 휴대하기 위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스토퍼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피니언과 래치 치합구조를 락스토퍼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 일단에 락홀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의한 도어 잠금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홀더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와 락스토퍼를 휴대하기 위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스토퍼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피니언과 래치 치합구조를 락스토퍼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 양단에 락홀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 일단에 락홀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의한 도어 잠금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홀더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플레이트와 락스토퍼를 휴대하기 위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락스토퍼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의 피니언과 래치 치합구조를 락스토퍼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1)에 설치되는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문틀(2)에 장착된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맞물려 잠금/해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는 도어와 문틀 사이 틈새공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침입자로부터 도어 개방력이 감지되면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외부 침입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락플레이트(10), 락홀(20), 걸림편(30), 홀더(40), 락스토퍼(50), 침입감지모듈(60)을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플레이트(10)는 상기 도어(1)와 문틀(2) 사이 틈새공간(3)으로 삽입되는 끼움단부(11)와, 틈새공간(3) 외부로 노출되는 바디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락플레이트(10)는 틈새공간(3) 폭 대비 축소된 두께를 가진 판재로서, 끼움단부(11)가 틈새공간(3)에 삽입된 상태로 레치볼트(1b) 및 레치홀(2b)에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홀(20)은 상기 끼움단부(11)에 관통되어,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락홀(20)은 레치볼트(1b) 외형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고, 레치홀(2b)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락홀(20)은 레치볼트(1b)에 끼워진 상태로 락플레이트(10)를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상기 락홀(20)이 형성되는 끼움단부(11)는 바디부(12) 양단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락홀(20)은 서로 상이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레치볼트(1b) 및 레치홀(2b) 규격에 대응하여, 한 쌍의 락홀(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도어타입에 적합한 락홀(20)을 적용하여 락플레이트(10)를 유격없이 장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한편, 도 2는 락홀(20)이 형성되는 끼움단부(11)가 바디부(12) 일단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걸림편(30)은 상기 끼움단부(11)에 돌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30)은 락홀(20) 내주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끼움단부(11)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걸림편(30)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에 따라 레치볼트(1b)가 레치홀(2b) 상에서 잠금해제되더라도 걸림편(30)에 의해 락플레이트(10)의 구속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더(40)는 상기 바디부(12)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홀더(40)는 후술하는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와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도 3과 같이, 상기 홀더(40)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홀더(40)는 락홀(20)과 서로 상이한 거리로 배치된다.
이에 상기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설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스토퍼(50)는 상기 홀더(40)에 체결되도록 연결축부(51)가 형성된다.
상기 락스토퍼(50)는 락플레이트(10)에 설치된 상태로 도어(1)를 구속하는 구성으로서, 락플레이트(10) 상에서 설치 위치가 조절되어 다양한 규격의 도어(1)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모듈(60)은 상기 락스토퍼(50)에 설치되고, 도어(1) 열림방향 작동력을 스위치(61)로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61)는 도어(1)와 대응하는 락스토퍼(50) 일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도어(1) 열림 작동력에 의해 가압되어 침입감지모듈(60)의 on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은 알림음, 알림등, 진동, 통신모듈을 이용한 알림신호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일예로서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은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의 어플과 페어링되어 침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도어(1)를 개방하고, 락홀(20)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일치되도록 배치하면서 걸림편(30)을 레치홀(2b)에 삽입한 후, 도어(1)를 닫힘 작동하여 끼움단부(11)를 틈새공간(3)에 구속한다.
이어서,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바디부(12)의 홀더(40)에 설치하면, 락스토퍼(50)에 의해 도어(1)가 구속되고,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지면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61)가 작동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이 외부 침입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침입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전달하여 침입행위를 중단하도록 경고하고, 사용자는 침입자의 침입 행위에 신속하게 대비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설치되고 홀더(40)에 끼움 결합하는 샤프트(51a)와, 샤프트(51a)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락스토퍼(50) 이면에 구속되는 확장편(51b)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0)는, 확장편(51b)이 관통 삽입되는 출입홀(41)과, 출입홀(41)에 연결되고, 출입홀(41)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샤프트(51a)와 결속되는 끼움홀(42)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홀(42)은 출입홀(41)을 중심으로 락홀(2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40)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홀더(40)는 락홀(20)과 서로 상이한 거리로 배치되어,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락스토퍼(50)를 다양한 규격의 도어(1)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설치되고 홀더(40)에 끼움 결합하는 샤프트(51a)와, 샤프트(51a)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락스토퍼(50) 이면에 구속되는 확장편(51b)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0)는, 확장편(51b)이 관통 삽입되는 출입홀(41)과, 출입홀(41)에 연결되고, 출입홀(41) 대비 축소된 지름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샤프트(51a)를 수용하는 장공홀(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홀(43)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락홀(20)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되면, 락스토퍼(50)와 도어(1)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도 1에서, 상기 장공홀(43)은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된 상태로 걸림홈(44)에 맞물려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된 지점에서 걸림홈(44)에 맞물려 위치 고정됨에 따라 도어(1)에 의한 강한 가압력이 락스토퍼(50) 측으로 가해지더라도 유동이 방지된다.
도 6에서, 상기 확장편(51b)은 원을 일부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10) 상에 연결축부(51)와 맞물리는 견착홀(13)이 형성되며, 상기 견착홀(13)은 원을 일부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어, 연결축부(51)의 확장편(51b)과 소정의 각도에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견착홀(13)에 연결축부(51)를 조립한 상태로 락스토퍼(50) 각도를 변경하면, 확장편(51b)과 견착홀(13)의 원을 일부 자른 모양이 불일치한 상태로 구속되어, 락스토퍼(50)가 락플레이트(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이종 부품을 일체형으로 관리할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에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세로방향 길이 중심에서 상측으로 편심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61)는 락스토퍼(50) 세로방향 길이 중심에서 하측으로 편심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상에 있어서, 상기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홀더(40)에 장착한 상태로, 락스토퍼(50)의 하단부가 도어(1)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락스토퍼(50)를 경사각으로 각도 세팅한다.
이후 상기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지면, 락스토퍼(50)가 도어(1)에 가압되어 연결축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51)가 도어(1)가 터치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락스토퍼(50)의 선회작동으로 인해, 락스토퍼(50)의 상부 영역이 도어(1)에 접지되어 열림작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도어(1) 개방력이 작용시, 스위치(51)가 먼저 가압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락스토퍼(50)가 선회되면서 도어(1) 개방력을 흡수하므로, 순간적인 도어(1) 가압력에 의한 스위치(51) 손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도어(1)의 미세한 열림 작동력까지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에서, 상기 샤프트(51a) 외주면에 피니언(70)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40)의 장공홀(43) 내주면 일측에 래크(72)가 형성되며, 상기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홀더(40)에 장착한 상태로, 락스토퍼(50)의 하단부가 도어(1)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락스토퍼(50)를 경사각으로 각도 세팅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질 경우, 락스토퍼(50)가 도어(1)에 가압되어 연결축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 피니언(70)이 래크(72)에 치합되어 락스토퍼(50)가 장공홀(43)을 타고 경사각으로 하향 이송되면서 도어(1) 측으로 밀착력 가해지도록 구비됨에 따라 도어(1) 구속력이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
10: 락플레이트 20: 락홀
30: 걸림편 40: 홀더
50: 락스토퍼 60: 침입감지모듈
30: 걸림편 40: 홀더
50: 락스토퍼 60: 침입감지모듈
Claims (10)
- 여닫이 도어(1)에 설치되는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문틀(2)에 장착된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맞물려 잠금/해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와 문틀(2) 사이 틈새공간(3)으로 삽입되는 끼움단부(11)와, 틈새공간(3) 외부로 노출되는 바디부(12)를 포함하는 락플레이트(10);
상기 끼움단부(11)에 관통되어, 잠금모듈(1a)의 레치볼트(1b)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락홀(20);
상기 끼움단부(11)에 돌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걸림편(30);
상기 바디부(12)에 관통 형성되는 홀더(40);
상기 홀더(40)에 체결되도록 연결축부(51)가 형성되고, 락플레이트(10)에 설치된 상태로 도어(1)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락스토퍼(50); 및
상기 락스토퍼(50)에 설치되고, 도어(1) 열림방향 작동력을 스위치(61)로 감지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침입감지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를 개방하고, 락홀(20)이 스트라이커(2a)의 레치홀(2b)에 일치되도록 배치하면서 걸림편(30)을 레치홀(2b)에 삽입한 후, 도어(1)를 닫힘 작동하여 끼움단부(11)를 틈새공간(3)에 구속하고,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바디부(12)의 홀더(40)에 설치하면, 락스토퍼(50)에 의해 도어(1)가 구속되고,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지면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61)가 작동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홀(20)이 형성되는 끼움단부(11)는 바디부(12) 양단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락홀(20)은 서로 상이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상기 레치볼트(1b) 및 레치홀(2b) 규격에 대응하여, 한 쌍의 락홀(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설치되고 홀더(40)에 끼움 결합하는 샤프트(51a)와, 샤프트(51a)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락스토퍼(50) 이면에 구속되는 확장편(51b)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0)는, 확장편(51b)이 관통 삽입되는 출입홀(41)과, 출입홀(41)에 연결되고, 출입홀(41)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샤프트(51a)와 결속되는 끼움홀(42)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42)은 출입홀(41)을 중심으로 락홀(2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40)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홀더(40)는 락홀(20)과 서로 상이한 거리로 배치되어,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설치되고 홀더(40)에 끼움 결합하는 샤프트(51a)와, 샤프트(51a) 단부에 확장 형성되어 락스토퍼(50) 이면에 구속되는 확장편(51b)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40)는, 확장편(51b)이 관통 삽입되는 출입홀(41)과, 출입홀(41)에 연결되고, 출입홀(41) 대비 축소된 지름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샤프트(51a)를 수용하는 장공홀(43)을 포함하고,
상기 장공홀(43)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락홀(20)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되면, 락스토퍼(50)와 도어(1)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도어(1) 규격에 대응하여 락스토퍼(5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홀(43)은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51a)가 장공홀(43)을 타고 하향 위치 이동된 상태로 걸림홈(44)에 맞물려 구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은 알림음, 알림등, 진동, 통신모듈을 이용한 알림신호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편(51b)은 원을 일부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락플레이트(10) 상에 연결축부(51)와 맞물리는 견착홀(13)이 형성되며,
상기 견착홀(13)은 원을 일부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어, 연결축부(51)의 확장편(51b)과 소정의 각도에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견착홀(13)에 연결축부(51)를 조립한 상태로 락스토퍼(50) 각도를 변경하면, 확장편(51b)과 견착홀(13)의 원을 일부 자른 모양이 불일치한 상태로 구속되어, 락스토퍼(50)가 락플레이트(1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51)는 락스토퍼(50) 세로방향 길이 중심에서 상측으로 편심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61)는 락스토퍼(50) 세로방향 길이 중심에서 하측으로 편심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홀더(40)에 장착한 상태로, 락스토퍼(50)의 하단부가 도어(1)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락스토퍼(50)를 경사각으로 각도 세팅하고,
상기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지면, 락스토퍼(50)가 도어(1)에 가압되어 연결축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침입감지모듈(60)의 스위치(51)가 도어(1)가 터치되어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락스토퍼(50)의 선회작동으로 인해, 락스토퍼(50)의 상부 영역이 도어(1)에 접지되어 열림작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1a) 외주면에 피니언(70)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40)의 장공홀(43) 내주면 일측에 래크(72)가 형성되며,
상기 락스토퍼(50)의 연결축부(51)를 홀더(40)에 장착한 상태로, 락스토퍼(50)의 하단부가 도어(1)에 국부적으로 접촉되도록 락스토퍼(50)를 경사각으로 각도 세팅하고,
침입자로부터 도어(1) 개방력이 가해질 경우, 락스토퍼(50)가 도어(1)에 가압되어 연결축부(51)를 중심으로 선회되면, 피니언(70)이 래크(72)에 치합되어 락스토퍼(50)가 장공홀(43)을 타고 경사각으로 하향 이송되면서 도어(1) 측으로 밀착력 가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45951A true KR20250045951A (ko) | 2025-04-02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29642C (en) | Door security device for use in security systems | |
US7843312B2 (en) |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 |
CA2181906A1 (en) | Alarm-triggering locking device for the catch and/or hinge region of a door or window to be protected | |
AU2011357333B2 (en) |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 |
KR20150011679A (ko) |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 |
KR20250045951A (ko) | 휴대용 도어 방범장치 | |
US4848030A (en) | Removable window guard assembly | |
KR102673015B1 (ko) | 셀프 도어 방범장치 | |
KR100222204B1 (ko) | 금고용 록킹 장치 | |
US12276144B1 (en) | Door security device | |
US5041814A (en) | Lock with alarm device | |
JPH09184332A (ja) | サッシ | |
KR100924624B1 (ko) |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 |
US3468142A (en) | Key-actuated latch for casement windows | |
JP4913413B2 (ja) | 施錠装置および施錠方法 | |
US20110156409A1 (en) | Door guard | |
JP4812490B2 (ja) | 引き戸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 |
KR200407915Y1 (ko) |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 |
KR200190886Y1 (ko) | 투입구 이중잠금장치 | |
US20240368922A1 (en) | Safe Door and Safe Comprising Same | |
KR101990692B1 (ko) |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 |
JP3109392U (ja) | バールでのドア破り用警報装置 | |
KR19990034059U (ko) | 도어용 보조 자물쇠. | |
KR20000001156U (ko) |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 |
JPS63902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