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45344A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 Google Pate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45344A
KR20250045344A KR1020230128501A KR20230128501A KR20250045344A KR 20250045344 A KR20250045344 A KR 20250045344A KR 1020230128501 A KR1020230128501 A KR 1020230128501A KR 20230128501 A KR20230128501 A KR 20230128501A KR 20250045344 A KR20250045344 A KR 2025004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buckle
protective equipment
rope
personal prote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ublication of KR2025004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4534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Abstract

본 발명은 승탑구조물에 대한 작업과정에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를 개시한다.
전술한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는 승탑구조물에 설치되는 수직와이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형 추락방지대, 및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와 작업자의 개인안전대 사이를 연결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는 탈착형 구조의 상부버클과 하부버클,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사이를 상호 연결 가능하게 설치하는 감김형 밴드, 및 상기 감김형 밴드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s, which can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during work on a tower structure.
The aforementione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includes a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that is mov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a vertical wire installed on a climbing structure, and a safety rope that connects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and a personal safety harness of a worker, and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has an upper buckle and a lower buckle of a detachable structure, a coiled band that is mutually connectable between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nd a locking member that is fixably connected to the coiled band.

Description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탑구조물에 대한 작업과정에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s, and more specifically,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s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during work on a build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철탑이나 전주와 같은 승탑구조물을 작업자가 승탑 또는 하탑하는 과정에서는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추락방지용품을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when workers are climbing or descending from a structure such as a steel tower or utility pole, various types of fall prevention equipment are used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이러한 추락방지용품은 승탑구조물에서 작업자가 개인안전대에 대해 안전로프를 연결하고, 승탑구조물에 대해 수직와이어와 수평와이어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승탑구조물에 대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se fall prevention devices enable workers to secure their safety when moving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a scaffolding structure by connecting a safety rope to a personal safety harness and installing vertical and horizontal wires on the scaffolding structure, respectively.

일례로, 수직 추락방지장치는 작업자의 개인안전대에 부착된 안전로프를 승탑구조물에 설치된 수직와이어에 체결함으로써 추락사고의 발생시 추락방지대의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a vertical fall prevention device can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by connecting a safety rope attached to a worker's personal safety harness to a vertical wire installed on a climbing structure, thereby causing the brake devic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to operate in the event of a fall accident.

또한, 수평 추락방지장치는 작업자의 개인안전대에 부착된 죔줄을 승탑구조물에 설치된 수평와이어에 연결함으로써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all prevention device can prevent falling accidents by connecting the lanyard attached to the worker's personal safety harness to the horizontal wire installed on the climbing struc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추락방지용품은 승탑구조물에 대해 작업자가 승탑 또는 하탑하는 과정에서 수평장애물을 만날 경우, 수직와이어 또는 수평와이어로부터 추락방지대를 일시 해제한 다음, 다시 체결하는 과정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크게 대두되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fall prevention products such as the above, when a worker encounters a horizontal obstacle during the process of boarding or disembarking from a tower structure, the fall prevention harness must be temporarily released from the vertical or horizontal wire and then reattached. Since there is a risk of a fall accident occurring during this series of processes, there is a great demand for improvement in this regard.

공개특허 제10-2021-0041451호Publication Patent No. 10-2021-004145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승탑구조물에 대한 작업과정에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s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during work on a tower structur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탑구조물에 설치되는 수직와이어, 상기 수직와이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형 추락방지대, 및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와 작업자의 개인안전대 사이를 연결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는 탈착형 구조의 상부버클과 하부버클,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사이를 상호 연결 가능하게 설치하는 감김형 밴드, 및 상기 감김형 밴드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includes a vertical wire installed in a climbing structure, a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mov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ire, and a safety rope connecting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and a personal safety harness of a work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has an upper buckle and a lower buckle of a detachable structure, a winding band that is mutually connectable between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nd a locking member that is fixably connected to the winding b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감김형 밴드는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band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nd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감김형 밴드를 감아주는 권취형 감김부, 및 상기 권취형 감김부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김형 밴드가 상기 권취형 감김부의 외주면을 따라 탄력적으로 감겨지게 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inding-type winding part for winding the winding-type band, and a return spring install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so that the winding-type band is elastically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감김형 밴드는 자유단부에 상기 잠금부와 결합 가능한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ed band has a fastening ring at a free end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lock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잠금부는 상기 체결고리와의 결합을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member has a release button for switching the engagement with the fastening ring to a release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사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자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gnetic coupling portion that detachably couples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안전로프는 상기 개인안전대와 결합 가능한 구명로프, 상기 구명로프로부터 분기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1분기로프와 제2분기로프, 상기 제1분기로프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버클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제1텅, 및 상기 제2분기로프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버클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제2텅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rope includes a life rope connectable with the personal safety belt, a first branch rope and a second branch rope branched from the life rope and individually connectable to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 first tongue provided at a free end of the first branch rope and fastened to an insertion portion of the upper buckle, and a second tongue provided at a free end of the second branch rope and fastened to an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buck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구명로프는 자유단부에 상기 개인안전대와 결합 가능한 체결후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e rope has a fastening hook at the free en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ersonal safety be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는 승탑구조물에 대한 작업과정에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승탑구조물에 대한 작업자의 승탑 또는 하탑하는 과정에서 분리형 추락방지대의 상부버클과 하부버클에 대해 안전로프의 제1분기로프와 제2분기로프 중 적어도 하나는 항상 지속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preventing f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during the process of working on a tower structure. Sinc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ranch ropes of a safety rope can always be continuously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uckles of a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during the process of the worker boarding or disembarking from the tower structure, it provides the effect of ensuring the safety of workers from falling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에 있어, 잠금부에 대한 체결고리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usage statu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a fastening ring to a locking part in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exemplary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and the sizes of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exemplary matters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that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substituted as equivalents in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는 철탑이나 전주와 같은 승탑구조물(미도시)에서 작업자에 의한 승탑이 필요한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during a work process requiring workers to climb onto a structure (not shown) such as a steel tower or a utility pol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승탑구조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와이어(미도시), 상기 수직와이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형 추락방지대(10), 및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와 작업자가 착용하는 개인안전대(미도시) 사이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안전로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wire (not shown)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climbing structure, a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wir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wire and having a mutually detachable structure, and a safety rope (20) detachably connecting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nd a personal safety belt (not shown) worn by a worker.

여기서,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 구조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20),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사이를 상호 연결 가능하게 설치하는 감김형 밴드(130), 및 상기 감김형 밴드(130)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1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에는 추락사고의 발생시 제동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미도시)가 각각 구비됨은 물론이다.Here,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have an upper buckle (110) and a lower buckle (120) that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respectively, a winding band (130)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mutually connectable betwee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and a locking member (140) that is fixably connected to the winding band (130). In additio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that constitute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re of course each equipped with a brake device (not shown) that can implement a braking function in the event of a fall accident.

이 경우, 상기 감김형 밴드(130)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140)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winding band (13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In addition, the locking part (14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한편,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는 상기 감김형 밴드(130)를 감아주는 권취형 감김부(150), 및 상기 권취형 감김부(150)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김형 밴드(130)가 상기 권취형 감김부(150)의 외주면을 따라 탄력적으로 감겨지게 하는 리턴스프링(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further comprises a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that winds the winding-type band (130), and a return spring (not shown) that is install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and allows the winding-type band (130) to be elastically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이 경우, 상기 권취형 감김부(150)는 보빈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기 감김형 밴드(130)를 외주면에 대해 권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권취형 감김부(150)는 상기 하부버클(120)에 대해 내부에서 내장되게 장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is a bobbin-shaped structure that performs the role of winding the winding-type band (130) about the outer surface. In addition,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built-in from the inside to the lower buckle (120).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권취형 감김부(150)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감김형 밴드(130)가 상기 권취형 감김부(150)의 외주면에 대해 항상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ing-type band (130) is alway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type winding part (150).

또한, 상기 감김형 밴드(130)는 자유단부에 상기 잠금부(140)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체결고리(132)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고리(132)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자유단부에 상기 잠금부(14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 걸림부(132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132a)는 상기 체결고리(132)에 대해 배면이 스프링(132b)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winding band (130) is configured to have a fastening ring (132)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locking part (140) at the free end. In this case, the fastening ring (132) has a catch (132a) that is hingedly coupled in a downwardly inclined manner toward the locking part (140) at the front free end, as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atch (132a) is installed so that the back surface is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ring (132) by means of a spring (132b).

이때, 상기 잠금부(140)는 상기 체결고리(132)와의 결합을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제버튼(142)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140)는 상기 체결고리(132)의 걸림부(132a)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고리 형태의 구속부(14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해제버튼(142)의 자유단부는 상기 체결고리(132)의 걸림부(132a)를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해제버튼(142)의 가압시 상기 걸림부(132a)는 상기 구속부(144)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잠금부(140)는 상기 상부버클(110)에 대해 외부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locking part (140) is configured to have a release button (142)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with the fastening ring (132) to a release state. In addition, the locking part (140) is provided with a restraining part (144) in the form of a catch ring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ring (13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tch part (132a). In this case, the free end of the release button (142)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press the catch part (132a) of the fastening ring (132), so that when the release button (142) is pressed, the catch part (132a) can be detached from the restraining part (144). In addition, the locking part (140)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separately provided extern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buckle (110).

한편,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사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자력 결합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agnetic coupling part (160) that enables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이 경우, 상기 자력 결합부(160)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에 대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자력 결합부(160)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사이에서 상호 마주보는 위치, 즉 두 부재 사이의 결합위치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자력 결합부(160)는 자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it would be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coupling part (160) be provided for each of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In particular, the magnetic coupling part (160) may be provided at a mutually facing position betwee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that is, at a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two members. In addition, the magnetic coupling part (160) may be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magnetism.

또한,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는 상기 수직와이어와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위해 상기 수직와이어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170)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170)는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have a stand (17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vertical wire therein for detachable connection with the vertical wir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 (170) be integrally provided with each of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constituting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에 있어, 상기 안전로프(20)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인안전대와 결합 가능하게 적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구명로프(210), 및 상기 구명로프(210)로부터 분기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적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1분기로프(220)와 제2분기로프(230)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In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rope (20) is configured to have a life rope (210) that is extended to have an appropriate length so as to be connectable with the personal safety belt, as shown in FIGS. 1 and 2, respectively, and a first branch rope (220) and a second branch rope (230) that are connected to be branched from the life rope (210) and extended to have an appropriate length so as to be individually connectable to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이 경우, 상기 구명로프(210)는 상기 개인안전대와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위해 자유단부에 체결후크(212)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life rope (210) is configured to have a fastening hook (212) at the free end for detachable connection with the personal safety belt.

또한, 상기 안전로프(20)는 상기 제1분기로프(220)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버클(110)의 삽입부(112)에 끼워져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텅(222), 및 상기 제2분기로프(230)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버클(120)의 삽입부(122)에 끼워져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텅(2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afety rope (20) further includes a first tongue (222) that is provided on the free end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and is detachably faste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2) of the upper buckle (110), and a second tongue (232) that is provided on the free end of the second branch rope (230) and is detachably faste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2) of the lower buckle (120).

특히,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은 상기 제1분기로프(220)의 제1텅(222)과 상기 제2분기로프(230)의 제2텅(232)에 대해 각각 키락(Key Lock) 방식의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constituting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be configured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ongue (222)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and the second tongue (232) of the second branch rope (230) with a key lock type fastening structure,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에는 상기 제1분기로프(220)의 제1텅(222)과 상기 제2분기로프(230)의 제2텅(232)에 대한 체결을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제버튼(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constituting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re separately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not shown)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ongue (222)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and the second tongue (232) of the second branch rope (230) to a release sta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follows.

먼저, 작업자가 사다리 또는 철탑과 같은 승탑구조물(미도시)에 대해 승탑 또는 하탑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거치대(170)를 승탑구조물에 설치되는 수직와이어(미도시)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First, when a worker is boarding or disembarking from a structure (not shown) such as a ladder or a tower, the stand (17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is fixed by inserting it into a vertical wire (not shown) installed on the structure.

이어,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개인안전대(미도시)에 대해 상기 안전로프(20)의 구명로프(210)에 구비되는 체결후크(212)를 체결한 다음, 상기 안전로프(20)의 제1분기로프(220)의 제1텅(222)을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상부버클(110)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로프(20)의 제2분기로프(230)의 제2텅(232)을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하부버클(120)에 체결하게 된다.Next, the fastening hook (212) provided on the life rope (210) of the safety rope (20) is fastened to the personal safety belt (not shown) worn by the worker, and then the first tongue (222)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of the safety rope (20) is fastened to the upper buckle (11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tongue (232) of the second branch rope (230) of the safety rope (20) is fastened to the lower buckle (12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이어, 작업자는 승탑구조물에 설치되는 수직와이어를 따라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를 이동시키면서 승탑구조물을 승탑하게 된다.Next, the worker climbs onto the tower structure while moving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long the vertical wire installed on the tower structure.

이 과정에서 승탑구조물에 구비되는 수평장애물(미도시)을 만나게 되면,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상부버클(110)에 체결된 상기 안전로프(20)의 제1분기로프(220)의 제1텅(222)을 분리하고, 이어서 상기 잠금부(140)의 해제버튼(142)을 조작하여 상기 감김형 밴드(130)의 체결고리(132)를 상기 잠금부(140)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하부버클(120)로부터 상기 상부버클(11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사이의 분리는 외력에 의한 상기 자력 결합부(160)의 결합을 해제시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process, when a horizontal obstacle (not shown) provided on the climbing structure is encountered, the first tongue (222)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of the safety rope (20) fastened to the upper buckle (11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is separated, and then the release button (142) of the locking part (140) is operated to separate the fastening ring (132) of the winding band (130) from the locking part (140), and then the upper buckle (11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buckle (12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t this time, the separation betwee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may be implemented 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magnetic coupling part (160) by an external force.

이어,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상부버클(110)만을 수평장애물로부터 회피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상부버클(110)에 대해 상기 제1분기로프(220)의 제1텅(222)을 다시 체결시키게 된다.Next, only the upper buckle (11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is moved upward to avoid the horizontal obstacle, and then the first tongue (222)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is re-attached to the upper buckle (110).

이어,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하부버클(120)로부터 상기 제2분기로프(230)의 제2텅(232)을 분리한 다음, 상기 하부버클(120)을 수평장애물로부터 회피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이어서 상기 잠금부(140)에 대해 상기 감김형 밴드(130)의 체결고리(132)를 다시 체결한 후, 상기 상부버클(110)에 대해 상기 하부버클(120)을 다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버클(110)과 상기 하부버클(120) 사이의 결합은 상기 자력 결합부(160)에 의한 자성을 매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second tongue (232) of the second branch rope (23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buckle (12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and the lower buckle (120) is moved upward to avoid a horizontal obstacle, and then the fastening ring (132) of the winding band (130) is re-fastened to the locking member (140), and then the lower buckle (120) is re-coupled to the upper buckle (110). 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may be implemented by means of magnetism by the magnetic coupling member (160).

이어, 상기 하부버클(120)에 대해 상기 제2분기로프(230)의 제2텅(232)을 다시 체결시킨 다음, 작업자는 승탑구조물에 대한 승탑 과정을 지속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일련의 승탑 과정은 하탑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second tongue (232) of the second branch rope (230) is reattached to the lower buckle (120), and then the worker continues the process of mounting the upper structure.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eries of mounting processes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in the lower mounting process.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는 승탑구조물에 대한 승탑 과정에서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10)의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20)에 대해 상기 안전로프(20)의 제1분기로프(220)와 제2분기로프(230) 중 적어도 하나는 지속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anch rope (220) and the second branch rope (230) of the safety rope (20) in a continuous state of fastening to the upper buckle (110) and the lower buckle (120) of th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10) during the process of boarding a building structur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worker from a falling accident.

10-분리형 추락방지대 20-안전로프
110-상부버클 112-삽입부
120-하부버클 122-삽입부
130-감김형 밴드 132-체결고리
132a-걸림부 132b-스프링
140-잠금부 142-해제버튼
144-구속부 150-권취형 감김부
160-자력 결합부 170-거치대
210-구명로프 212-체결후크
220-제1분기로프 222-제1텅
230-제2분기로프 232-제2텅
10-Detachable fall arrester 20-Safety rope
110-Upper buckle 112-Insertion
120-Lower buckle 122-Insertion
130-Wrapped band 132-Locking ring
132a-Hanging part 132b-Spring
140-Lock 142-Release Button
144-Restraint 150-Winding type winding part
160-Magnetic coupling 170-Stand
210-Life rope 212-Attachment hook
220-1st Quarter Rope 222-1st Tongue
230-2nd Quarter Rope 232-2nd Tongue

Claims (8)

승탑구조물에 설치되는 수직와이어;
상기 수직와이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형 추락방지대; 및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와 작업자의 개인안전대 사이를 연결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추락방지대는
탈착형 구조의 상부버클과 하부버클;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사이를 상호 연결 가능하게 설치하는 감김형 밴드; 및
상기 감김형 밴드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Vertical wire installed on the tower structure;
A detachable fall arrester movably installed relative to the above vertical wire; and
Including a safety rope connecting the above detachable fall prevention device and the worker's personal safety device,
The above detachable fall protection belt
Upper and lower buckles of detachable structure;
A winding band installed so as to be interconnected between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nd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by having a locking member that is fixably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winding ba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김형 밴드는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1,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winding band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nd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김형 밴드를 감아주는 권취형 감김부; 및
상기 권취형 감김부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김형 밴드가 상기 권취형 감김부의 외주면을 따라 탄력적으로 감겨지게 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2,
A winding-type winding part for winding the above-mentioned winding-type band; and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turn spring that is install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above-mentioned winding part and allows the above-mentioned winding band to be elastically wou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winding pa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김형 밴드는 자유단부에 상기 잠금부와 결합 가능한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2,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winding band has a fastening ring at the free end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above-mentioned locking par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체결고리와의 결합을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4,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art has a release button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with the fastening ring to a release st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 사이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자력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1,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coupling part that detachably connects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로프는
상기 개인안전대와 결합 가능한 구명로프;
상기 구명로프로부터 분기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버클과 상기 하부버클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합 가능한 제1분기로프와 제2분기로프;
상기 제1분기로프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버클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제1텅; 및
상기 제2분기로프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버클의 삽입부에 체결되는 제2텅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1,
The above safety rope
A life rop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above personal safety belt;
A first branch rope and a second branch rope which are connected to be branched from the above life rope and can b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upper buckle and the lower buckle;
A first tongue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first branch rope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upper buckle; and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ongue which is provided on the free end of the second branch rope a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lower buck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명로프는 자유단부에 상기 개인안전대와 결합 가능한 체결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개인보호장비.

In claim 7,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life rope has a fastening hook at the free en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above personal safety belt.

KR1020230128501A 2023-09-2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Pending KR20250045344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45344A true KR20250045344A (en) 2025-04-0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946B1 (en) Roping harness with an offset attachment strip
CA2761368C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reserve lifeline portion
US11136823B1 (en) Ladder fall protection system and fall arrester
CA2259620C (en) Guarded snap hook
CA2768585C (en) Fall protection device for use in climbing poles
US20050205356A1 (en) Simplification of donning a safety harness and connecting a connecting element to the safety harness
EP3337987B1 (en) Carabiner divider and fall arrest system
EP2536913B1 (en) A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ho use ladders
US20220266075A1 (en) Fall-protection apparatus with multimodal inductive sensing
US20070114095A1 (en) Positioning and safety lanyar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JP2017080364A (en) Double harness safety work belt for gardening tree high-place work
KR20170053703A (en) Personal descent system
KR20250045344A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all prevention
CN114100007B (en) Communication iron tower construction safety anti-falling combined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JP6733884B2 (en) Harness type safety belt
KR102672742B1 (en) A drag downment
JP2004141480A (en) Harness-like safety belt
CN219579751U (en) Automatic shrink formula transmission line climbing anti-falling protection device
CN111714804A (en) Safety belt
KR20200062398A (en) length control safety belt
CN211215056U (en) Anti-falling safety device
KR20190049962A (en) Personal anchorage connector and method of preventing worker from dropping by using the same
KR20040052946A (en) A safety swing for transmissive iron tower
CN211050767U (en) A mobile fall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 operators
JP3230404U (en) Fall preven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