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41099A - Imaging system - Google Patents
Imag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41099A KR20250041099A KR1020247036463A KR20247036463A KR20250041099A KR 20250041099 A KR20250041099 A KR 20250041099A KR 1020247036463 A KR1020247036463 A KR 1020247036463A KR 20247036463 A KR20247036463 A KR 20247036463A KR 20250041099 A KR20250041099 A KR 202500410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charging
- imaging
- insect
- imaging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적어도 일면에 벌레를 포충 가능한 포충면이 설치되는 포충 시트의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르는 인장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포충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에 유지된 포충 시트의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한다.An imaging system for capturing an insect-catching surface of an insect-catching sheet having an insect-catching surfac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the system comprises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insect-catching sheet while applying tension in a tensil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insect-catching surface, and an imaging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ect-catching surface of the insect-catching sheet held by the holding portion.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원은, 일본특허출원 2022-12178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fro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2-121789,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포충(捕蟲) 시트의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system for capturing an insect trap surface of an insect trap sheet.
종래, 포획된 벌레류를 동정(同定)하는 포획 벌레류 확인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포획 벌레류 확인 시스템은, 벌레류가 점착한 점착 시트의 화상을 화상 판독 장치로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판독된 화상을 해석하여 포획된 벌레류를 동정하는 해석 장치를 구비한다. 해석 장치는, 판독된 화상에 대하여, 벌레가 찍힌 영역인 벌레 영역과 배경을 구별하기 위한 화상 처리를 하는 전처리 수단과, 전처리된 화상으로부터 벌레류의 메르크말(merkmal) 데이터를 취득하는 특징 추출 수단과, 벌레류의 형태적 특징의 메르크말을 표준화한 표준 메르크말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 수단과, 특징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메르크말 데이터와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표준 메르크말 데이터를 비교하여 벌레류의 동정을 하는 확인 수단을 구비한다.Conventionally, a captured insect identification system for identifying captured insects is known, the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captured insect identification system comprises an image reading means for reading an image of an adhesive sheet to which an insect has adhered using an image reading device, and an analysis device for analyzing the read image to identify the captured insect. The analysis device comprises a pre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the read image to distinguish between an insect area, which is an area where an insect is captured, and a background, a feature extraction means for acquiring merkmal data of the insect from the preprocessed image, a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standard merkmal data in which merkmal of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insect is standardized, and a confirmation means for comparing the merkmal data extracted by the feature extraction means with the standard merkmal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to identify the insect.
상기와 같은 포획 벌레류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수동으로 벌레류의 확인을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객관성 및 일관성이 있는 확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the above-mentioned captured insect identification system can obtain objective and consistent identification results compared to cases where insects are identified manually.
그런데, 상기와 같은 포획 벌레류 확인 시스템으로 벌레류를 동정하는 경우에는, 화상 판독 장치로 판독한 화상으로부터 벌레류의 형태적 특징 등을 판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포충 시트(점착 시트)는, 벌레류를 포획하기 위해 설치된 환경에 있어서 흡습(吸濕)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변형된 상태의 포충 시트를 화상 판독 장치로 판독하면 촛점이 벗어나는 등에 의해, 포획 벌레류의 형태적 특징을 파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identifying insects with the above-described captured insect iden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rea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sects from the image read by the image reader. However, the insect trap sheet (adhesive sheet) may be deformed due to moisture absorption, etc. i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to capture insects. If the deformed insect trap sheet is read by the image reade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ptured insects may not be identified due to the focus being off, etc.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기계에 의해 포획 벌레류를 동정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포충 시트를 촬상한 화상을 바탕으로 사람이 확인 작업을 하는 경우라도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Moreover, 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cases where insects captured by machines are identified, but can equally occur even when a person performs a confirmation task based on an image taken of an insect trap sheet.
이에, 본 발명은, 포충 시트가 변형되어 있더라도 포충 시트의 포충면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는 촬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maging system capable of appropriately capturing an imaging surface of an insect repellent sheet even when the insect repellent sheet is deformed.
본 발명의 촬상 시스템은, 적어도 일면에 벌레를 포충 가능한 포충면이 설치되는 포충 시트의 상기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르는 인장(引張)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포충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포충 시트의 상기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The ima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ing system for capturing an insect-catching surface of an insect-catching sheet having an insect-catching surface install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insect-catching sheet while applying tension in a tensil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insect-catching surface, and an imaging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ect-catching surface of the insect-catching sheet held by the hold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촬상 시스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촬상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촬상 시스템의 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상기 촬상 시스템의 유지부에 포충 시트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포충 시트를 좌우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상기 촬상 시스템의 유지부에 포충 시트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c에 나타내는 VI-VI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VII-VII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촬상 시스템의 촬상 수단이 촬상하는 화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촬상 시스템의 화상 처리부에서의 화상 처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촬상 시스템이 촬상하는 포충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aging device of the imaging system.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the inside of the imaging device.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tenance unit of the above imaging system.
Figure 5a is a drawing showing one end of a charging sheet fixed to a maintenance unit of the imaging system.
Figure 5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ing sheet is tensio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state shown in Figure 5a.
Figure 5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charging sheet are fixed to the maintenance part of the imaging system.
Figure 6 is a VI-VI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ure 5c.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VII-VII shown in Figure 3.
Figure 8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of the imaging system.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image processing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of the above imaging system.
Figure 10 is a schematic drawing of a trap sheet captured by the above-mentioned imaging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촬상 시스템(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 상,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은 도 2에 나타낸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An imaging system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down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and front-back direc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FIG. 2.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시스템(1)으로 촬상되는 포충 시트(9)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harging sheet (9) captured by the captur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충 시트(9)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형이다. 구체적으로, 포충 시트(9)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형의 포충부(91)와, 포충부(91)의 좌우 방향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시트 단부(端部)(92)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0, the charging sheet (9) is a sheet-shaped, approximately rectangular sheet when viewed from the plane. Specifically, the charging sheet (9) has a sheet-shaped charging portion (91)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heet end portions (92)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harging portion (91) in the left-right direction.
포충부(91)는, 상면 및 하면의 양쪽에 포충 가능한 포충면(91a)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포충부(91)는, 좌우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며 시트형의 기재(基材)와, 기재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는 포충면(91a)을 구비하고, 포충면(91a)은, 벌레가 점착 가능한 점착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충부(91)는, 비상(飛翔)하는 벌레가 포충면(91a)에 접촉함으로써, 벌레가 포충면(91a)에 점착하여 벌레를 포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rapping part (91) is configured to have trapping surfaces (91a)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pecifically, the trapping part (91) is provided with a sheet-shaped substrate that is rectangular when viewed in a long plan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rapping surfaces (91a) that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and the trapping surfaces (91a) are configured as adhesive surfaces to which insects can adhere. The trapping part (9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when a flying ins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pping surface (91a), the insect adheres to the trapping surface (91a), thereby trapping the insect.
시트 단부(92)는, 포충부(91)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연결된 판형체이다. 구체적으로, 시트 단부(92)는, 포충부(91)의 좌우 방향의 한쪽(좌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판형의 제1 시트 단부(921)와, 포충부(91)의 좌우 방향의 다른 쪽(우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판형의 제2 시트 단부(922)를 구비한다. 제1 시트 단부(921)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이 구멍(921a)과, 포충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포충 장소나 포충 시간)를 기입 가능한 기입부(921b)를 구비한다. 제2 시트 단부(922)는, 면 방향이 포충부(91)의 상면 및 하면를 따르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도중 부분에 포충부(91)가 연결되어 있고, 포충부(91)와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한쪽(좌측)에 설치되고, 면 방향이 포충부(91)의 상면 및 하면를 따르는 상태에서 포충부(91)와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는 내측 부분(922a)과, 포충부(91)와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다른 쪽(우측)에 설치되는 외측 부분(922b)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시트 단부(921) 및 제2 시트 단부(922)의 전후 방향(폭 방향) 길이는, 포충부(91)의 전후 방향(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The sheet end portion (92) is a plate-shaped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harging portion (91). Specifically, the sheet end portion (92) has a plate-shaped first sheet end portion (921) installed at one end (left) of the charging portion (9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ate-shaped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installed at the other end (right) of the charging portion (9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irst sheet end portion (921) has a hanging hole (921a)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 entry portion (921b) in which information regarding charging (for example, charging location or charging time) can be entered. The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is connected to the filling portion (91) in the left-right middl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direction follow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ing portion (91), and is provided on one side (left) of the left-right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illing portion (91) and has an inner portion (922a) that overlaps the filling portion (91)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direction follow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ing portion (91), and an outer portion (922b) tha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right) of the left-right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illing portion (91).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s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heet end portion (921) and the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ar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filling portion (91).
이와 같은 포충 시트(9)는, 포충하는 장소(예를 들면, 벌레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照射)해야 할 장소)에 일정 기간 설치된다. 예를 들면, 포충 시트(9)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는 훅을 걸이 구멍(921a)에 삽통(揷通)하여 설치 장소에 설치되고, 설치된 상태에서 수일 내지 수개월 유지된 후에 회수된다. 여기서, 포충 시트(9)는, 설치된 환경에서의 흡습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면, 좌우 방향 길이가 전체적 또는 국소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Such an insect trap sheet (9) is install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a location for insect trapping (for example, a location to be examined for insects). For example, the insect trap sheet (9) is installed at the location by inserting a hook installed at the location into a hanging hole (921a), and is then collected after being maintained in the installed state for several days to several months. Here, the insect trap sheet (9) may be deformed due to moisture absorption i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for example, the left-right length may be expanded or reduced overall or locally.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시스템(1)은, 포충 시트(9)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2)와, 촬상 장치(2)가 촬상한 결과에 기초하여 포충 시트(9)에 포충된 벌레에 관한 판정을 하는 판정 처리부(3)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정 처리부(3)는, 촬상 장치(2)의 외부에 설치된 서버이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촬상 장치(2)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충하는 장소에 일정 기간 설치된 후에 회수된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을 촬상하는 시스템이다.As shown in Fig. 1, the imaging system (1) comprises an imaging device (2) for imaging an insect trap sheet (9), and a judgment processing unit (3) for judging insects trapped in the insect trap sheet (9) based on the results of imaging by the imaging device (2).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erver installed outside the imaging device (2),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maging device (2) by wire or wirelessly. Such an imaging system (1) is a system for imaging an insect trap surface (91a) of an insect trap sheet (9) that has been recovered after being installed at a trapping loc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s described above.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장치(2)는, 상자형의 하우징(21)과, 촬상하는 포충 시트(9)를 유지하는 유지부(4)와,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3)와, 유지부(4)에 유지된 포충 시트(9)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5)과, 유지부(4)에 유지된 포충 시트(9)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6)와,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7)와, 촬상 수단(5)이 촬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8)를 구비한다. 또한, 유지부(4), 제어부(23), 촬상 수단(5) 및 조사 장치(6)는,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된다. 하우징(21)은, 전면(前面)에 개폐 가능한 도어(22)를 구비하고, 도어(22)를 개방하면 유지부(4)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은, 자성이 있는 금속(예를 들면, 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imaging device (2) comprises a box-shaped housing (21), a holding unit (4) for holding an imaging sheet (9), a control unit (23) for controlling the entire device, an imaging means (5) for imaging the imaging sheet (9) held by the holding unit (4), an irradiation unit (6) for irradiating light onto the imaging sheet (9) held by the holding unit (4), an operation unit (7) for receiving input from the outside,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8) for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In addition, the holding unit (4), the control unit (23), the imaging means (5), and the irradiation unit (6)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 The housing (21) is provided with an openable door (22) on the front side,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retaining portion (4) is pulled out forward when the door (22) is opened. In addition, the housing (21)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ic metal (e.g., ir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4)는, 하우징(21)에 연결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의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유지부(4)는, 포충 시트(9)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부(41)와, 유지 프레임부(41)를 하우징(21)에 연결하는 유지 베이스부(46)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 프레임부(41)는, 유지 베이스부(46)를 통하여 하우징(2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지부(4)는, 하우징(21)의 하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에 일치하게 설치되고, 포충 시트(9)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etaining portion (4) is a rectangular frame-shaped portion when viewed in a plane connected to the housing (21). Specifically, the retaining portion (4) has a retaining frame portion (41) that retains the charging sheet (9), and a retaining base portion (46) that connects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to the housing (21).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21) via the retaining base portion (46). Such a retaining portion (4)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left-right direction, and retains the charging sheet (9) so as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부(41)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체이며, 내부에 포충 시트(9)를 유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유지 프레임부(41)는, 길이 방향(좌우 방향) 및 폭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본체부(42)와, 프레임 본체부(4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1 고정 수단(43)과, 프레임 본체부(42)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 수단(44)과, 유지하는 포충 시트(9)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수단(45)을 구비한다. 프레임 본체부(4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봉형체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봉형체를 조합하여 형성된 프레임이며 후술하는 유지 베이스부(46)의 유지 돌기와 걸어 맞춤 가능한 연결공(41a)을 복수 가진다.As shown in Fig. 4,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is a rectangular frame-shaped body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is capable of retaining a filling sheet (9) therein. Specifically,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comprises a frame main body portion (42) that is rectangular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a first fixing means (43)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rame main body portion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fixing means (44)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main body portion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ension applying means (45) that applies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retaining filling sheet (9). The frame main body portion (42) is a frame formed by combining a pair of rod-shaped bodi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rod-shaped bodi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41a) that can be hooked up with a retaining projection of a retaining base portion (46) described later.
제1 고정 수단(43)은, 포충 시트(9)의 좌우 방향 한쪽(좌측)의 단부를 고정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 수단(43)은, 프레임 본체부(42)에 연결되는 판형의 제1 고정 베이스부(431)와, 제1 고정 베이스부(431)에 연결된 훅부(432)를 구비한다. 제1 고정 베이스부(431)는, 프레임 본체부(42)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훅부(432)는, 제1 시트 단부(921)의 걸이 구멍(921a)에 삽통 가능한 훅이며, 폭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제1 고정 베이스부(431)로부터 위쪽 및 좌측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first fixing means (43) is a portion that fixes one end (left)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illing sheet (9).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means (43) has a plate-shaped first fixing base portion (431) connected to the frame main body portion (42), and a hook portion (432)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base portion (431). The first fixing base portion (431) is fixed to the frame main body portion (42) so as not to move. The hook portion (432) is a hook that can be inserted into a hanging hole (921a) of the first sheet end portion (921), is install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s upward and to the left from the first fixing base portion (431).
제2 고정 수단(44)은, 포충 시트(9)의 좌우 방향 다른 쪽(우측)의 단부를 고정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 수단(44)은, 장력 부여 수단(45)을 통하여 유지 프레임부(41)에 연결된 판형의 제2 고정 베이스부(441)와, 제2 고정 베이스부(44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정지부(442)(도 6 참조)를 구비한다. 정지부(442)는, 제2 고정 베이스부(441)의 길이 방향 한쪽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시트 단부(922)의 내측 부분(922a)이 길이 방향 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The second fixing means (44) is a portion that fixes the other end (right)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filling sheet (9).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means (44) has a plate-shaped second fixing base portion (441) connected to the holding frame portion (41) via a tension-applying means (45), and a plate-shaped stop portion (442) (see FIG. 6)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second fixing base portion (441). The stop portion (442)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base portion (441), and restricts the inner portion (922a) of the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from moving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제2 고정 베이스부(441)는, 길이 방향 일단부를 구성하는 판형의 고정 본체부(443)와, 고정 본체부(443)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위치 결정부(444)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부(444)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고정 본체부(443)의 폭 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위치 결정부(444)는, 폭 방향에 있어서, 고정하는 포충 시트(9)의 포충부(91)의 폭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has a plate-shaped fixed main body portion (443) constitut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ate-shaped positioning portion (444) connected to the fixed main body portion (443) and extending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sitioning portions (444) are installed in pair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ecifically, are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main body portion (443), respective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A, the pair of positioning portions (444)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by a distance approximately equal to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charging portion (91) of the charging sheet (9) to be fixed.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 부여 수단(45)은, 제1 고정 수단(43) 및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된 포충 시트(9)에 대하여 장력을 부여한다. 장력 부여 수단(45)은, 제1 고정 수단(43)과 제2 고정 수단(44)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고정 수단(44)을 제1 고정 수단(4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고정 수단(43) 및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된 포충 시트(9)에 대하여 제1 고정 수단(43)과 제2 고정 수단(44)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장력 부여 수단(45)은, 프레임 본체부(42)에 연결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451)와, 가이드부(451)에 설치되는 가압 수단(452)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6, the tensioning means (45) applies tension to the cushioning sheet (9) fixed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second fixing means (44). The tensioning means (45) applies tens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second fixing means (44) are separated,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essurizing the second fixing means (44)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means (43), tension is applied to the cushioning sheet (9) fixed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second fixing means (4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second fixing means (44) are separated. Specifically, the tensioning means (45)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45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rame main body portion (42), and a pressurizing means (452) installed in the guide portion (451).
가이드부(45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형의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5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형의 가이드 본체부(453)와, 가이드 본체부(453)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설치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형의 가압 연결부(454)와, 가이드 본체부(453)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설치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형의 슬라이드 규제부(455)를 구비한다. 가이드 본체부(453)에는, 제2 고정 베이스부(441)를 장착 가능하며, 장착된 제2 고정 베이스부(441)는, 가이드 본체부(453)를 따라 슬라이드 규제부(455)와 가압 연결부(454)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The guide portion (451) is a rod-shaped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451) includes a rod-shaped guide body portion (45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wall-shaped pressure connection portion (45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453), and a wall-shaped slide control portion (45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453). A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can be mounted on the guide body portion (453), and the mounted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can move between the slide control portion (455) and the pressure connection portion (454) along the guide body portion (453).
제2 고정 수단(44)은, 제2 고정 베이스부(441)가 가이드부(45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고정 수단(43)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 수단(44)은, 가이드 본체부(453)를 따라 가압 연결부(454)와 슬라이드 규제부(455)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가이드부(451)는, 제2 고정 수단(44)이 제1 고정 수단(43)(구체적으로는 훅부(432))에 대하여 포충 시트(9)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가까운 위치와 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51)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 본체부(453)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가압 연결부(454)가 제1 고정 수단(43)에 대하여 포충 시트(9)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가이드 본체부(453)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규제부(455)가 제1 고정 수단(43)에 대하여 포충 시트(9)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수단(44)은, 제1 고정 수단(43)에 대하여 포충 시트(9)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가까운 위치와 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means (44) is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away from the first fixing means (43) by the second fixing base part (441)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part (451).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means (44) is movable between the pressure connection part (454) and the slide control part (455) along the guide main body part (453). Here, the guide part (451) is installed so that the second fixing means (44) can move between a position closer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specifically, the hook part (432)) and a position farther away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9). Specif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part (451) has a pressure connection part (454) installed at one end of the guide main body part (453)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9), and a slide control part (455)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main body part (453) is installed at a position further from the first fixing means (43)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9). 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means (44) can move between a position closer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a position further from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9).
가압 수단(452)은, 가이드부(451)에 장착된 제2 고정 베이스부(441)를 길이 방향 타단 측으로 가압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가압 수단(452)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가압 연결부(45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고정 베이스부(441)와 맞닿도록 가이드부(451)에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연결부(454)와 제2 고정 베이스부(441)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가압 수단(452)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서 제2 고정 베이스부(441)가 제1 고정 수단(43)에 대하여 포충 시트(9)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2 고정 베이스부(441)를 가압한다.The pressurizing means (452) is a portion that pressurizes the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mounted on the guide portion (451) towar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pressurizing means (452) is formed on the guide portion (451) such th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connection portion (454)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il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pressurizing connection portion (454) and the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In addition, the pressurizing means (452) pressurizes the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so that,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fixed base portion (44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further from the first fixed means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filling sheet (9).
이와 같은 장력 부여 수단(45)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장력 부여 수단(45)은, 프레임 본체부(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체의 한쪽 및 다른 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 한쪽의 장력 부여 수단(45)은, 제2 고정 수단(44)의 폭 방향 일단부에, 폭 방향 다른 쪽의 장력 부여 수단(45)은, 제2 고정 수단(44)의 폭 방향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 한쪽의 장력 부여 수단(45)의 가압부는, 제2 고정 수단(44)의 폭 방향 일단부와 맞닿아 제2 고정 수단(44)을 가압하고, 폭 방향 다른 쪽의 장력 부여 수단(45)의 가압부는, 제2 고정 수단(44)의 폭 방향 타단부와 맞닿아 제2 고정 수단(44)을 가압한다.Such tension-applying means (45) are installed as a pair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Specifically,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are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rod-shaped body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main body (4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one width-direction end of the second fixing means (44), and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width-direction end of the second fixing means (44).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one width-direction end of the second fixing means (44) to pressurize the second fixing means (44),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width-direction end of the second fixing means (44) to pressurize the second fixing means (44).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유지 프레임부(41)에 포충 시트(9)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시트 단부(922)를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하고 나서 제1 시트 단부(921)를 제1 고정 수단(43)에 고정한다.Referring to FIGS. 5A to 5C, a method for mounting a filling sheet (9) on a retaining frame portion (41)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ans (44), and then the first sheet end portion (921)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0030][0030]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 단부(922)를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할 때에는, 제2 고정 베이스부(441)에 제2 시트 단부(922)를 걸어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포충부(91)를 고정 본체부(443)의 위쪽에 배치하고, 제2 시트 단부(922)의 내측 부분(922a)을 고정 본체부(443)의 아래쪽에 배치하고, 고정 본체부(443)의 상면과 하면 사이(두께)에서 제2 시트 단부(922)와 포충부(91)의 연결 부분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시트 단부(922)의 상면이 고정 본체부(443)의 하면과 맞닿아, 제2 고정 베이스부(441)에 걸어서 고정하는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5a, when fixing the second sheet end (922) to the second fixing means (44), the second sheet end (922) is hooked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base (441). Specifically, the catcher (91) is positioned above the fixing main body (443), the inner part (922a) of the second sheet end (922) is positioned below the fixing main body (443),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sheet end (922) and the catcher (91) is suppor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ickness) of the fixing main body (443).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end (92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ain body (443), and is hooked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base (441).
여기서, 고정 본체부(443)의 폭 방향(폭 방향)의 양 단부에는 길이 방향 타단 측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부(44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포충부(91)가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위치 결정부(444)에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트 단부(922)의 폭 방향 길이는 포충부(91)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므로, 폭 방향에서 제2 시트 단부(922)의 포충부(91)보다 외측의 부분이 위치 결정부(444)의 하면에 확실하게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된 포충 시트(9)가 어긋나거나, 제2 고정 수단(44)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Here, since positioning parts (444) extending toward the other end in the leng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main body part (443), the positioning parts (444) can suppress the misalignment of the charging part (91)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sheet end part (922) is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charging part (91), the part of the second sheet end part (922) that is outside the charging part (91)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liably hooked onto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oning parts (444). Therefore, the charging sheet (9)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ans (44) can be suppressed from misalignment or detachment from the second fixing means (44).
다음으로,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정 수단(44)이 제2 시트 단부(922)를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 수단(452)의 가압에 저항하여 제2 고정 베이스부(441)를 길이 방향 일단측(인장 방향 한쪽)으로 이동시키고, 제2 고정 수단(44)을 제1 고정 수단(43)에 대하여 접근시키고, 제1 고정 수단(43)에 제1 시트 단부(921)를 고정한다. 제1 고정 수단(43)에 제1 시트 단부(921)를 고정할 때에는, 제1 시트 단부(921)의 걸이 구멍(921a)에 훅부(432)를 삽통한다.Next, as shown in FIGS. 5b and 5c, while the second fixing means (44) fixes the second sheet end (922), the second fixing base part (441) is mov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in the tensile direction) by resist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means (452), the second fixing means (44) is brought closer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first sheet end (921)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When fixing the first sheet end (921)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the hook part (432) is inserted into the hanging hole (921a) of the first sheet end (921).
이상의 수순에 의해 포충 시트(9)는 유지 프레임부(41)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외의 수순으로 포충 시트(9)를 유지 프레임부(41)에 장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트 단부(921)를 제1 고정 수단(43)에 고정하고 나서, 제2 고정 수단(44)을 제1 고정 수단(43)에 근접시키고, 제2 시트 단부(922)를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charging sheet (9) is mounted on the retaining frame part (41) by the above procedure. In addition, the charging sheet (9) may be mounted on the retaining frame part (41) by a procedure other than the above. For example, the first sheet end part (921) may be fixed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n the second fixing means (44) may be brought close to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second sheet end part (922) may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ans (44).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부(41)에 장착된 포충 시트(9)는, 장력 부여 수단(45)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 수단(44)이 가압부에 의해 길이 방향 타단 측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제2 고정 수단(44)에 고정된 제2 시트 단부(922)가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 가압되고, 포충 시트(9)를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장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장력에 의해, 포충 시트(9)의 변형이 교정된다. 또한, 도 5c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정 수단(44)은, 포충 시트(9)의 폭 방향의 전역(全域)을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고정 수단(44)은, 포충 시트(9)의 포충부(91)와 제2 시트 단부(922)과의 연결 부분의 폭 방향의 전역에 길이 방향 한쪽으로부터 맞닿아서 포충 시트(9)를 지지한다. 따라서, 장력이 포충 시트(9)의 폭 방향의 일부에 치우쳐서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력에 기인하여 포충 시트(9)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c, the charging sheet (9) mounted on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is tens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tensioning means (45).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means (44) is pressed towar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press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ans (44) is pressed towar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ension is applied to tension the charging sheet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9) is corrected by the tens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c and 6, the second fixing means (44) supports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The second fixing means (44) of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the charging sheet (9) by contacting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harging portion (91) of the charging sheet (9) and the second sheet end (922) from one end in the length direction. Accordingly, si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ension from being applied biasedly to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9) due to tension.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베이스부(46)는, 프레임 본체를 받는 프레임 받이부(461)와, 프레임 받이부(461)를 하우징(21)에 연결하는 동시에, 프레임 받이부(461)를 하우징(21)에 대하여 회동(回動)시키기 위한 회동 기구(機構)(K)를 구비한다. 회전 기구는, 프레임 받이부(46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하우징(21)에 연결되는 축부(軸部)(462)와, 프레임 받이부(461)를 축부(462)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지 조작부(463)와, 반전(反轉) 보조부(46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지 베이스부(46)는, 유지 조작부(463)를 제외하고 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된다.As shown in Fig. 4, the retaining base portion (46) has a frame receiving portion (461) that receives the frame body, and a rotation mechanism (K) that connects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to the housing (21) and rotates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relative to the housing (21). The rotation mechanism has a shaft portion (462) that protrudes outside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1), a retaining operating portion (463) that rotates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bout the shaft portion (462), and a reversing auxiliary portion (464). Such a retaining base portion (46)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21) except for the retaining operating portion (463).
프레임 받이부(461)는, 내부에 유지 프레임부(41)를 수용 가능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유지 프레임부(41)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고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받이부(461)는, 내부에 수용한 유지 프레임부(41)의 연결공(41a)에 걸어맞추어지는 프레임 연결부(461a)를 구비한다. 프레임 연결부(461a)는, 프레임 받이부(461)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이며, 프레임 받이부(461)의 내측에 대하여 출퇴(出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연결부(461a)는, 진출한 상태에서 연결공(41a)에 걸어맞추어지고, 유지 프레임부(41)를 프레임 받이부(461)에 대하여 고정하고, 후퇴함으로써, 연결공(41a)에 대한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유지 프레임부(41)의 프레임 받이부(46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 받이부(461)는, 고정하는 유지 프레임부(41)가 유지하는 포충 시트(9)의 상면을 상부로부터 육안 관찰 가능하게 되며, 하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육안 관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is a rectangular frame body when viewed from a plane that can accommodate a retaining frame portion (41) inside, and can be fixed while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is accommodated inside. Specifically,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has a frame connecting portion (461a) that fits into a connecting hole (41a) of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connecting portion (461a)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are installed so as to be retractable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Such a frame connecting portion (461a) is fitted to the connecting hole (41a) in the advanced state, fixes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by retracting, releases the fitting to the connecting hole (41a) and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Such a frame receiving portion (46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sheet (9) held by the retaining frame portion (41) that is fixed can be visually observed from above, and the lower surface can be visually observed from below.
축부(462)는, 프레임 받이부(46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의 폭 방향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이와 같은 축부(462)는, 하우징(21)에 대하여 유지 베이스부(46)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하우징(21)에 연결되어 있다.The shaft (462) is an axis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This shaft (462)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1) so that the support base portion (46) can rotate, and specifically,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1) via a bearing (not shown).
유지 조작부(463)는, 축부(462) 주위에서 프레임 받이부(461)를 회동시키기 위한 부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받이부(461)를 하우징(21)의 외부로부터 축부(462) 주위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지 조작부(463)는, 축부(462)에 연결되고, 축부(462)로부터 프레임 받이부(46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 축부(465)와, 조작 축부(465)에 연결된 손잡이부(466)를 구비한다. 조작 축부(465)는, 연신 방향(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축부(46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우징(21)의 외측까지 연장하도록 설치된 축이다. 손잡이부(466)는, 조작 축부(465)의 연신 방향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21)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축부(46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aintenance operating portion (463) is a portion for rotating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1)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otate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 Specifically, the maintenance operating portion (463) has an operating shaft portion (465) that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462)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shaft portion (46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a handle portion (466) tha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haft portion (465). The operating shaft portion (465) is a shaft that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462)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 The handle portion (46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operating shaft portion (465)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the shaft portion (462) by manipul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 보조부(464)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이 후술하는 촬상 수단(5)에 대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프레임 받이부(461)의 축부(462) 주위의 회동을 보조하는 반전 보조부(46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반전 보조부(464)는, 프레임 받이부(461)와 일체가 되어 축부(462) 주위에 회동하는 자성체인 제1 자성체(464a)와, 후술하는 촬상 수단(5)이 유지되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1 자성체(464a)와 흡착하는 제2 자성체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7, the inversion assistant (464) is provided with a inversion assistant (464) that assists the rotation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so that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faces the imaging means (5)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the inversion assistant (464) is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body (464a) that is a magnetic body that is integral with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rotates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and a second magnetic body that is adsorb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in a state where it faces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on which the imaging means (5) described later is held.
제1 자성체(464a)는, 프레임 받이부(461)에 설치되는 자성체이며, 예를 들면 자석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성체(464a)는, 프레임 받이부(46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자성체이다. 이와 같은 제1 자성체(464a)는, 프레임 받이부(461)와 일체가 되어 축부(462) 주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body (464a) is a magnetic body installed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is, for example, a magnet. Specifically,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is a magnetic body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This first magnetic body (464a) is integral with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and can rotate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자성체는, 제1 자성체(464a)에 흡착 가능한 자성체이며, 예를 들면, 철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자성체는, 하우징(21)의 벽면의 일부이다.As shown in Fig. 7, the second magnetic body is a magnetic body capable of being absorbed by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and is, for example, iron. The second magnetic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1).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자성체(464a)는, 프레임 받이부(461)의 축부(462) 주위에서의 회동에 있어서, 유지하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상면 또는 하면)이 촬상 수단(5)과 대향하는 상태일 때, 하우징(21)의 벽면에 가장 근접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 자성체(464a)는 제2 자성체에 흡착 가능하므로, 프레임 받이부(461)의 축부(462) 주위에서의 회동에 의해 제1 자성체(464a)가 제2 자성체에 근접하면, 자력(磁力)에 의해 제1 자성체(464a)가 제2 자성체에 흡착하려고 한다. 따라서, 제1 자성체(464a)가 제2 자성체(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21)의 벽면)에 가장 근접하는 상태가 되므로, 유지부(4)가 유지하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이 촬상 수단(5)과 대향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rotates around the axial portion (462)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the charging surface (91a)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sheet (9) that is maintained faces the imaging means (5), and thus,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is closes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1). Here, since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can be adsorbed to the second magnetic body, when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approaches the second magnetic body by the rotation around the axial portion (462)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61),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tries to be adsorbed to the second magnetic body by magnetic force. Accordingly, since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is closest to the second magnetic body (th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1)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ssist in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held by the holding member (4) to be in a state where it faces the imaging means (5).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수단(5)은, 유지부(4)가 유지하는 포충 시트(9)의 위쪽에 설치되고, 포충 시트(9) 위쪽의 면(포충면(91a))을 촬상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 수단(5)은, 포충면(91a)을 촬상하는 촬상부(51)와, 촬상부(51)를 포충 시트(9)의 인장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부(5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촬상 수단(5)은,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의 전역을 촬상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and FIG. 7, the imaging means (5) is installed above the charging sheet (9) held by the holding part (4),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upper surfac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Specifically, the imaging means (5) has an imaging unit (51)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charging surface (91a), and a driving unit (52) that moves the imaging unit (51) along the tensil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Such an imaging means (5) is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entir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촬상부(51)는, 유지부(4)가 유지하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대향하는 포충면(91a)을 촬상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부(51)는 카메라다. 본 실시형태의 촬상부(51)는, 포충면(91a) 중, 촬상부(51)에 대향하는 부분(촬상부(5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촛점이 맞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상부(51)는, 포충면(91a)의 폭 방향(폭 방향)의 전역을 촬상 가능하며, 그리고, 포충면(91a)의 길이 방향(인장 방향)의 일부를 촬상 가능하다.The image capturing unit (51)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held by the support unit (4),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opposing charging surface (91a). Specifically, the image capturing unit (51) is a camera. The image capturing unit (5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ocus on a portion of the charging surface (91a) facing the imaging unit (51) (a portion located directly below the imaging unit (5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image capturing unit (5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capturing an entire area in the width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charging surface (91a), and is capable of capturing a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ensile direction) of the charging surface (91a).
주행부(52)는, 인장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53)과, 촬상부(51)와 연결되는 동시에 레일(53)에 걸어맞추어지고, 레일(53)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54)를 구비한다. 레일(53)은, 하우징(21)에 연결된 유지 프레임부(41)의 인장 방향(길이 방향) 일단부보다 일단측으로부터, 유지 프레임부(41)의 타단부보다 타단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driving section (52) is provided with a rail (53) extending along the tensil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ving section (54) that is connected to the imaging section (51) and is aligned with the rail (53) and can move along the rail (53). The rail (53)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tensil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frame section (41) connected to the housing (21) to the other end of the retaining frame section (41).
이상과 같은 촬상 수단(5)은, 포충 시트(9)의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위치에서 포충면(91a)을 촬상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51)가 레일(53)을 따라 인장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 위치에서 포충 시트(9)를 촬상한다. 본 실시형태의 촬상부(51)는, 인장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마다 포충면(91a)을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부(51)가 인장 방향으로 인접하는 촬상 위치에서 촬상한 각 화상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촬상부(51)가 포충면(91a)을 촬상하는 간격이 설정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되는 화상의 촛점이 맞는 부분이 인장 방향에서 인접하도록 촬상부(51)가 포충면(91a)을 촬상하는 간격이 설정된다. 여기서, 레일(53)은 인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촬상부(51)가 포충면(91a)과 대략 평행하게 주행한다. 따라서,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촬상 위치에 있어서, 포충면(91a)과 촬상부(51)의 거리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촬상 수단(5)은, 포충면(91a)의 촬상에 앞서, 기입부(921b)를 포함하도록 제1 시트 단부(921)를 촬상한다.The above-described imaging means (5) is capable of capturing images of the charging surface (91a) at multiple locations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Specifically, the imaging unit (51) captures images of the charging sheet (9) at multiple locations while moving along the rail (53) in the tensile direction. The imaging unit (5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of the charging surface (91a)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tensile direction. Specifically, the interval at which the imaging unit (51) captures images of the charging surface (91a) is set so that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respective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51) at adjacent imaging positions in the tensile direction overlap each other,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val at which the imaging unit (51) captures images of the charging surface (91a) is set so that the focused portions of the images to be captured are adjacent in the tensile direction. Here, since the rail (53) extends along the tensile direction, the imaging unit (51) run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charging surface (91a). Therefore, in a plurality of imaging positions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surface (91a) and the imaging unit (51) can be made approximately constant. Then, the imaging means (5) of the present embodiment images the first sheet end portion (921) to include the writing portion (921b) prior to imaging the charging surface (91a).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 장치(6)는, 유지부(4)가 유지하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조사 장치(6)는, 인장 방향의 양 사이드로부터 포충면(91a)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사 장치(6)는, 폭 방향에서 주행부(52)의 레일(53)을 넘은 한쪽과 다른 쪽에 각각 조명부(61)(예를 들면, LED 라이트)를 가지고, 각 조명부(61)가 포충면(91a)에 대하여 광을 조사한다. 또한, 조명부(61)는, 포충면(91a)의 폭 방향(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위쪽으로 대략 45도 이격된 위치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사 장치(6)는, 인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명부(61)가 나란히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유지 프레임부(41)의 인장 방향(길이 방향) 일단부보다 일단측으로부터, 유지 프레임부(41)의 타단부보다 타단측까지 걸쳐 조명부(61)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사 장치(6)는, 백색광을 포충면(91a)에 조사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7, the irradiation device (6) is a portion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held by the holding portion (4). The irradiation device (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91a) from both sides in the tensile direction. Specifically, the irradiation device (6) has a lighting portion (61) (e.g., an LED light)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at exceed the rail (53) of the running portion (52)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lighting portion (61) irradiates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91a). In addition, the lighting portion (61) is installed to irradiate light from a position spaced approximately 45 degre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charging surface (91a). The investigation device (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61) are installed in a row along the tensile direction, and specifically, the lighting units (61) are installed in a row from one end of the tensile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holding frame unit (41) to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frame unit (41).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device (6) of the present embodiment irradiates white light onto the charging surface (91a).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7)는, 하우징(21) 외부로부터 다양한 조작을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7)에 촬상부(51)로 포충 시트(9)를 촬상시키는 조작에 관한 입력이나, 촬상한 결과를 외부의 판정 처리부(3)에 송신하는 조작 등에 관한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작부(7)는, 하우징(21)의 외면에 설치되는 터치패널이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1) 외부에 설치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콘트롤러로서 구성하는 것이나,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조작을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operation unit (7) is configured to allow various operations to be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 For example, an input regarding an operation to take an image of the inoculation sheet (9) with the image capturing unit (51) or an input regarding an operation to transmit the image capturing result to an external judgment processing unit (3) can be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7). The operation unit (7)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ouch panel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1),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as a wired or wireless controll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 or may be configured to allow operations to be input from an external computer.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8)는, 촬상 수단(5)이 포충면(91a)을 촬상한 복수의 화상(P1, P2)에 기초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처리에서는, 촬상 수단(5)이 포충면(91a)을 촬상한 복수의 화상을 조합한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처리에서는, 1면의 포충면(91a)을 촬상한 복수의 화상(P1, P2)을 인장 방향에서 결합한 1개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처리에서는, 촬상 수단(5)이 촬상한 화상(P1, P2) 중, 촛점이 맞는 부분(P1a, P2a)을 추출하고, 각 화상(P1, P2)으로부터 추출된 촛점이 맞는 부분(P1a, P2a)을 인장 방향으로 배열하고 결합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한다. 그리고, 촛점이 맞다는 것은, 후술하는 판정 처리부(3)에서의 처리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촛점이 맞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각 화상(P1, P2)의 촛점이 맞는 부분은, 촬상부(51)의 성능이나 후술하는 판정 처리부(3)에서의 처리에 대한 영향을 감안하여 사전에 규정된 범위를 나타낸다. 촛점이 맞는 부분(P1a, P2a)을 좁게 하면,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있어서의 촛점이 맞지 않는 악영향을 적게 할 수 있는 한편,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촬상부(51)가 촬상하는 화상의 수가 증가하고, 촛점이 맞는 부분(P1a, P2a)을 넓게 하면,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있어서의 촛점이 맞지 않는 악영향이 커지는 한편,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촬상부(51)가 촬상하는 화상의 수를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image processing unit (8) executes image processing to generate processed image data (D) based on a plurality of images (P1, P2)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of the charging surface (91a). In the image processing, the imaging means (5) generates processed image data (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charging surface (91a). Specifically, in the image processing, a single processed image data (D) is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images (P1, P2) captured by capturing a single charging surface (91a) in the tensile direction. In the image process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images (P1, P2)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in-focus portions (P1a, P2a) are extracted, and the in-focus portions (P1a, P2a) extracted from each image (P1, P2) are arranged in the tensile direction and combined to generate processed image data (D). In addition, being in-focus means that the focus is in-focus to a degre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cessing in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described lat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cus portions of each image (P1, P2) represent a range that is specified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imaging unit (51) and the influence on the processing in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described later. By narrowing the in-focus portion (P1a, P2a), the adverse effect of out-of-focus in the processed image data (D) can be reduced, while the number of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51) required to generate the processed image data (D) increases, and by widening the in-focus portion (P1a, P2a), the adverse effect of out-of-focus in the processed image data (D) increases, while the number of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51) required to generate the processed image data (D) can be suppressed.
제어부(23)는, 촬상 장치(2)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는, 조작부(7)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촬상 수단(5)을 동작시키거나, 화상 처리부(8)에 촬상 수단(5)이 촬상한 화상을 화상 처리시킨다. 또한, 제어부(23)는, 화상 처리부(8)가 화상 처리한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외부의 판정 처리부(3)에 송신한다.The control unit (23) controls the entire imaging device (2).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3) operates the imaging means (5) based on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7) or causes the image processing unit (8) to perform image processing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 transmits the image data (D) that has been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8) to the external judgment processing unit (3).
이상과 같은 구성의 촬상 장치(2)로 포충면(91a)을 촬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상 장치(2)로 포충면(91a)을 촬상할 때는, 먼저 유지부(4)에 포충 시트(9)를 고정한다. 유지부(4)에 포충 시트(9)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포충 시트(9)를 유지 프레임부(41)에 고정할 때에는, 유지 베이스부(46)로부터 유지 프레임부(41)를 제거한 상태에서 포충 시트(9)를 유지 프레임부(41)에 고정할 수도 있고, 유지 프레임부(41)가 유지 베이스부(46)에 고정된 상태에서 포충 시트(9)를 유지 프레임부(41)에 고정할 수도 있다. 포충 시트(9)가 유지 프레임부(41)에 고정되면, 장력 부여 수단(45)에 의해 포충 시트(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력이 인가되므로, 포충 시트(9)의 변형이 억제된다. 유지부(4)에 포충 시트(9)가 고정되고 나서 하우징(21)의 도어(22)를 닫는다.Hereinafter, a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of a charging surface (91a) using an imaging device (2)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capturing an image of a charging surface (91a) using an imaging device (2), first, a charging sheet (9) is fixed to a holding member (4). The method for fixing the charging sheet (9) to the holding member (4) is as described above. Here, when fixing the charging sheet (9) to the holding frame member (41), the charging sheet (9) may be fixed to the holding frame member (41) while the holding frame member (41) is removed from the holding base member (46), or the charging sheet (9) may be fixed to the holding frame member (41) while the holding frame member (41) is fixed to the holding base member (46). When the filling sheet (9) is fixed to the retaining frame (41), tension is appl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ling sheet (9) by the tension applying means (45), so that deformation of the filling sheet (9) is suppressed. After the filling sheet (9) is fixed to the retaining member (4), the door (22) of the housing (21) is closed.
다음으로, 조작부(7)를 조작하여, 촬상 수단(5)으로 포충 시트(9)를 촬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제1 시트 단부(921)의 기입부(921b) 및 양면에 설치되는 포충면(91a) 중 표면 측(위쪽에 위치하는)의 포충면(91a)을 촬상한다. 위쪽에 위치하는 면의 촬상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유지 조작부(463)의 손잡이부(466)를 축부(462) 주위에서 회동시키고, 유지부(4) 및 유지부(4)에 유지된 포충지를 축부(462) 주위에서 반전시키고, 위쪽에 위치하는 포충면(91a)을 교체하고, 이면 측의 포충면(91a)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유지부(4)는 반전 보조부(464)를 구비함으로써, 유지부(4)의 축부(462) 주위의 회동을 포충면(91a)이 촬상부(5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으므로, 이면 측의 포충면(91a)이 확실하게 촬상부(51)와 대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포충 시트(9)를 반전시키고나서 다시 조작부(7)를 조작하여, 이면 측의 포충면(91a)을 촬상 수단(5)에 의해 촬상한다.Next, by operating the operating unit (7), the charging sheet (9) is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In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charging surface (91a) on the surface side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filling surface (91a) installed on both sides and the writing portion (921b) of the first sheet end (921) is captured. When the capturing of the surface located at the top is completed, the operator rotates the handle portion (466) of the holding operating unit (463)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reverses the holding portion (4) and the charging sheet held by the holding portion (4) around the shaft portion (462), replaces the charging surface (91a) located at the top, and positions the charging surface (91a) on the back side at the top. Here, since the support member (4) is provided with a reversing auxiliary member (464), the rotation around the shaft member (462) of the support member (4) can be stopped at a position where the charging surface (91a) faces the imaging member (51), so that the charging surface (91a) on the back side can be reliably brought into a state where it faces the imaging member (51). Then, after the charging sheet (9) is reversed, the operating member (7) is operated again to capture an image of the charging surface (91a) on the back side by the imaging means (5).
양면의 포충면(91a)의 촬상이 완료되면, 화상 처리부(8)는, 각 포충면(91a)에 대하여 촬상된 화상을 처리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처리부(8)는, 표면 측의 포충면(91a)에 대응한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와, 이면 측의 포충면(91a)에 대응한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각각 생성한다.When the capturing of the double-sided charging surface (91a) is completed, the image processing unit (8) processes the captured images for each charging surface (91a) to generate processed image data (D). The image processing unit (8) of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processed image data (D)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surface (91a) on the front side and processed image data (D)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surface (91a) on the back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제어부(23)가 외부의 판정 처리부(3)에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및 이면의 포충면(91a)에 대응한 2면분의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와 기입부(921b)를 촬상한 화상을 관련시켜 판정 처리부(3)에 송신한다. 이상으로 촬상 장치(2)에 있어서의 촬상 등의 처리가 완료한다.Then, the control unit (23) transmits the processed image data (D) to the external judgment processing unit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ed image data (D) of two sid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back filling surfaces (91a)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writing unit (921b) are related and transmitted to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Thus, the processing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2), etc., is completed.
다음으로, 판정 처리부(3)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정 처리부(3)에서는,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기초하여, 포충면(91a)에 포충된 벌레의 종류 및 종류마다 벌레의 수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Next, the processing in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is described.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performs judgment processing to determine the type of insects trapped in the trapping surface (91a) and the number of insects for each type based on the processed image data (D).
본 실시형태의 판정 처리부(3)는, 교사 데이터를 사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구축된 학습 완료 모델에 의해,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포함되는 벌레의 종류를 확인하고, 종류마다 벌레의 수를 계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학습 완료 모델은, 후술하는 교사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사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구축된다.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nfirm the types of bugs included in the processed image data (D) and count the number of bugs for each type by using a learning completion model constructed by machine learning using teacher data. The learning completion model is constructed by machine learning using the teacher image data described below as teacher data.
교사 화상 데이터는, 벌레을 포함하는 화상에 대하여, 상기 화상 중의 벌레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프레임 정보 벌레의 자세를 특정하기 위한 자세 정보, 및 벌레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종류 정보가 부여된 데이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세 정보는, 벌레의 두부 및 복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3점에 부여된 점정보와, 점정보에 부여된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Teacher image data is data to which fram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position of an insect in an image including an insect, postur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posture of the insect, and type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type of insect are assig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ure information includes point information assigned to at least three points including the head and abdomen of the insect, and order information regarding the order assigned to the point information.
이와 같은 판정 처리부(3)는,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처리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포함되는 벌레를 발견하고, 상기 발견한 벌레의 종류를 동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정 처리부(3)는,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대하여, 발견된 벌레의 종류 정보를 부여하고, 종류마다 벌레의 수를 확인 결과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의 판정 처리부(3)에서는, 확인 결과를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와 관련된 기입부(921b)에 기재된 정보를 관련시켜 출력한다. 예를 들면, 기입부(921b)에 기입된 벌레의 포획 장소 및 포획 시간과 확인 결과를 관련시켜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벌레의 종류로서 주로 과(科) 레벨에서의 분류를 채용한다.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as described above processes the processed image data (D), finds bugs included in the processed image data (D), and identifies the types of the found bugs.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ypes of bugs found to the processed image data (D), and outputs the number of bugs for each type as a confirmation result.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outputs the confirmation result by relating it to information written in the entry section (921b) related to the processed image data (D). For example, the capture location and capture time of the bug written in the entry section (921b) are related to the confirmation result and output. In the present embodiment, classification at the family level is mainly adopted as the type of bug.
이와 같은 판정 처리부(3)에 의하면, 학습 완료 모델은, 교사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벌레 데이터에 대하여 지정된 적어도 3점에 관한 점정보와 순서 정보를 포함하는 자세 정보를 포함한 교사 데이터를 사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구축되므로, 예를 들면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포함되는 벌레가 구부러져 있어도 벌레의 종류를 적절하게 동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of this type, the learning completion model is constructed by machine learning using teacher data including point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about at least three points specified for the insect data included in the teacher image data, so that even if the insect included in the processed image data (D) is bent, the type of the insect can be appropriately identified.
이상과 같은 구성의 촬상 시스템(1)에 의하면, 유지부(4)는 포충면(91a)의 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포충 시트(9)를 유지하므로, 장력에 의해 포충 시트(9)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을 억제한다는 것은, 나중의 공정(예를 들면, 판정 처리부(3)에서의 처리)에 있어서 영향이 없을 정도까지 변형을 억제한다는 의미이며, 변형을 완전히 없애는 경우로는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imaging system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holding unit (4) holds the charging sheet (9) while applying tens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charging surface (91a),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9) due to the tension can be suppressed. Accordingly,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appropriately imaged. In addition, suppressing deformation means suppressing deformation to a degree that has no effect on a later process (for example, processing in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and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deformation is completely eliminated.
또한, 장력 부여 수단(45)이 고정 수단에 고정된 포충 시트(9)에 장력을 부여하므로, 유지부(4)에 유지된 포충 시트(9)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포충 시트(9)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applies tension to the charging sheet (9) fixed to the fixing means, tension can be reliably applied to the charging sheet (9) held by the holding member (4), and thus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suppressed.
또한, 장력에 의해 포충면(91a)의 변형을 억제한 상태에서 촬상 수단(5)이 인장 방향과 평행하게 주행하므로, 포충면(91a)과 촬상 수단(5)의 거리를 대략 일정하게 하면서, 촬상 장치(2)의 위치를 변경하여 포충면(91a)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aging means (5) runs parallel to the tensile direction while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urface (91a) due to tension, the charging surface (91a) can be captur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maging device (2)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surface (91a) and the imaging means (5) approximately constant. Accordingly,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appropriately captured.
또한, 조사 장치(6)는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포충면(91a)에 광을 조사하므로, 장력에 의해 인장 방향에 있어서의 포충지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확실하게 포충지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vestigation device (6) irradiates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91a) from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light can be reliably irradiated to the charging sheet even if the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in the tensile direction changes due to tension. Accordingly,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appropriately captured.
또한, 화상 처리부(8)는, 촬상 수단(5)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에 기초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하므로, 인장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위치의 화상을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로 할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취급하기 쉽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processing unit (8) generates processed image data (D) based on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images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tension direction can be processed image data (D), so the obtained image data is easy to handle.
또한, 장력 부여 수단(45)은, 한 쌍의 고정 수단의 한쪽(제2 고정 수단(44))을 다른 쪽(제1 고정 수단(4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452)을 구비하고, 가압 수단(452)은, 한 쌍의 고정 수단에 고정되는 포충 시트(9)의 폭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장력이 포충 시트(9)의 폭 방향의 일부에 치우쳐서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력에 기인하여 포충 시트(9)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ing means (45) i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means (452) that pressurizes one side (the second fixing means (44)) of a pair of fixing mea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ther side (the first fixing means (43)), and the pressurizing means (452)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shioning sheet (9) that is fixed to the pair of fixing means. Accordingly, since the tension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applied biasedly to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shioning sheet (9),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cushioning sheet (9) due to the tension.
또한, 장력 부여 수단(45)은, 고정 수단의 한쪽을 다른 쪽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고정 수단 중 적어도 한쪽(제2 고정 수단(44))은, 포충 시트(9)의 폭 방향의 전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력이 포충 시트(9)의 폭 방향의 일부에 치우쳐서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력에 기인하여 포충 시트(9)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is configured to pressurize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ther side, and at least one side (the second fixing means (44)) of the pair of fixing means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Accordingly, since the tension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applied biasedly to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the charging sheet (9)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tension.
또한, 한 쌍의 고정 수단의 이격 거리는, 포충를 위하여 설치되기 전의 포충 시트(9)의 인장 방향 길이보다 짧은 거리로부터 긴 거리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따라서, 변형에 의해 포충 시트(9)가 줄어든 경우와 길어진 경우 모두 포충 시트(9)에 대하여 장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포충 시트(9)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xing means can be changed from a shorter distance to a longer distance than the tensile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9) before installation for charging. Therefore, sinc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charging sheet (9) in both cases where the charging sheet (9) is shortened or lengthened due to deformation,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reliably suppressed. Therefore,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appropriately captured.
또한, 유지부(4)는, 유지하는 포충 시트(9)를 인장 방향을 따르는 축부(462) 주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 기구(K)를 구비한다. 따라서, 포충 시트(9)를 반전시켜 촬상 수단(5)에 대향하는 면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양면에 포충면(91a)이 설치되는 포충 시트(9)에 대하여 양면을 원활하게 촬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tenance unit (4) is provided with a rotation mechanism (K) that rotates the retaining sheet (9) around the shaft (462) along the tensile direction. Accordingly, the retaining sheet (9) can be reversed to change the surface facing the imaging means (5), so that both surfaces of the retaining sheet (9) on which retaining surfaces (91a) are installed can be smoothly imaged.
또한, 회동 기구(K)는,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이 카메라에 대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반전을 보조하는 반전 보조부(464)를 구비한다. 따라서, 확실하게 포충면(91a)이 촬상부(51)에 대향하는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포충 시트(9)의 포충면(91a)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mechanism (K) is provided with a reversal assisting part (464) that assists reversal so that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faces the camera. Accordingly, since the charging surface (91a) can be reliably made to face the imaging part (51), the charging surface (91a)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appropriately captured.
또한, 반전 보조부(464)는, 포충면(91a)과 함께 축부(462) 주위에서 회동하는 제1 자성체(464a)와, 포충면(91a)이 촬상 수단(5)과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성체(464a)와 흡착하는 제2 자성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포충면(91a)이 촬상 수단(5)에 대향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versing auxiliary part (464) has a first magnetic body (464a) that rotates around the shaft part (462) together with the charging surface (91a), and a second magnetic body that is adsorb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464a) while the charging surface (91a) faces the imaging means (5). Therefore, the charging surface (91a) can be made to face the imaging means (5) by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회동 기구(K)는, 포충 시트(9)를 반전시키는 조작을 하기 위한 유지 조작부(463)를 구비하고, 유지 조작부(463)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2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21)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포충 시트(9)를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포충 시트(9)를 반전시키는 동작을 하기 쉽다.In addition, the rotation mechanism (K) is provided with a maintenance operation part (463)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o reverse the charging sheet (9), and the maintenance operation part (463) is installed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21). Therefore, since the charging sheet (9) can be reversed by an operation from outside the housing (21), it is easy to perform an operation to reverse the charging sheet (9).
또한, 유지부(4)는, 포충 시트(9)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부(41)와, 유지 프레임부(41)를 하우징(21)에 고정하는 유지 베이스부(46)를 구비하고, 유지 프레임부(41)는, 유지 베이스부(46)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유지 프레임부(41)는 유지 베이스부(46)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유지 프레임부(41)를 유지 베이스부(46)로부터 제거하고 포충 시트(9)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9)를 유지부(4)에 장착하기 쉽다.In addition, the retaining part (4) has a retaining frame part (41) that retains the filling sheet (9), and a retaining base part (46) that fixes the retaining frame part (41) to the housing (21), and the retaining frame part (41) is detachably installed to the retaining base part (46). Therefore, since the retaining frame part (41) is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base part (46), the retaining frame part (41) can be removed from the retaining base part (46) and the filling sheet (9) can be mounted as needed. Therefore, it is easy to mount the filling sheet (9) to the retaining part (4).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포충 시트(9)의 구성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충면(91a)이 점착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충 가능한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낙하한 벌레의 시체가 일면에 탑재되는 트레이의 상면을 포충면(91a)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고, 점착면으로서 구성하는 경우라도, 포충면(91a)이 양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 면에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포충면(91a)이 인장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충면(91a)을 원형이나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trapping sheet (9)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 For example, although the case where the trapping surface (91a) is an adhesive surface has been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various trapping-capable configurations can be adopted.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a tray on which fallen insect corpses are mounted on one surface can be configured as the trapping surface (91a). Even in the case where it is configured as an adhesive surface, the trapping surface (91a) is not limited to being installed on both sides, and can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only one side.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trapping surface (91a) i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long in the tensile direction has been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trapping surface (91a)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또한, 고정 수단의 구성은 훅부(432)를 가지는 제1 고정 수단(43)과, 제2 시트 단부(922)의 전체를 걸어서 고정 가능한 제2 고정 수단(44)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충 시트(9)의 단부를 고정 가능한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충 시트(9)의 양단을 훅 또는 시트 단부(92) 전체를 거는 부분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시트 단부(92)을 협지하여 포충 시트(9)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means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having a first fixing means (43) having a hook portion (432) and a second fixing means (44) that can be fixed by hanging the entire second sheet end portion (922), and various means that can fix the end portion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employed.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configured as hooks or a portion that hangs the entire sheet end portion (92), or the end portion of the charging sheet (9) can be fixed by pinching the sheet end portion (92).
또한, 유지부(4)는 장력 부여 수단(45)으로 포충 시트(9)에 인장 방향의 장력을 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자의 힘으로 인장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고, 그 상태에서 포충 시트(9)의 양 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포충 시트(9)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tenance unit (4)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ension in the tensil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harging sheet (9) by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tension may be applied in the tensile direction by the worker's force, and the charging sheet (9) may be maintained in the tension-applied state by fixing both ends of the charging sheet (9).
또한, 유지부(4)는, 포충 시트(9)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포충 시트(9)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충 시트(9)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중력과 장력 부여 수단(45)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tenance member (4)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charging sheet (9) is maintained so that the charging sheet (9)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charging sheet (9) may be maintained so that it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is configuration is adopted,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by the synergistic effect of gravity and the tension-applying means (45).
또한, 유지부(4)가 회동 기구(K)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유지부(4)가 유지하는 포충 시트(9)를 반전시킬 수 없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촬상 수단(5)이 한쪽 면을 촬상한 후에 작업자가 포충 시트(9)를 유지부(4)로부터 제거하고, 반전시켜 다시 유지부(4)에 고정함으로써, 양면을 촬상 가능하게 하거나, 촬상 수단(5)을 포충 시트(9)의 표면 측과 이면 측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포충 시트(9)를 반전시키지 않고 양면을 촬상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support member (4) is provided with a rotation mechanism (K)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support member (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harging sheet (9) held by the support member (4) cannot be inverted. In the case of adopting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fter the imaging means (5) has captured one side, the operator removes the charging sheet (9) from the support member (4), inverts it, and re-fixes it to the support member (4), thereby enabling imaging of both sides, or by installing the imaging means (5)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charging sheet (9),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nable imaging of both sides without inverting the charging sheet (9).
또한, 촬상 수단(5)은 인장 방향으로 주행하고,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서 점착면을 촬상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촬상부(51)를 설치하고, 각 촬상부(51)로 촬상함으로써,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서 점착면을 촬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포충 시트(9)의 인장 방향으로 주행하고, 촬상에 적합한 1개소에서만 포충면(91a)을 촬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ing means (5) has been described as traveling in the tensile direction and capturing images of the adhesive surface at multiple locations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imaging units (51) may be installed at multiple locations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and images may be captured by each imaging unit (51) so as to capture images of the adhesive surface at multiple locations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Alternatively, the imaging means (5) may be configured to travel in the tensile direction of the charging sheet (9) and capture images of the charging surface (91a) at only one location suitable for capturing.
또한, 화상 처리부(8)는, 촬상 장치(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2)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촬상 수단(5)이 촬상한 화상을 화상 처리부(8)로서의 외부의 컴퓨터에 송신하고, 외부의 컴퓨터가 화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8)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imaging device (2),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imaging device (2).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5)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computer as the image processing unit (8), and the external computer executes image processing.
또한, 화상 처리에서는,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대하여 촛점이 맞는 부분으로서 미리 규정된 범위를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을 연결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대하여, 촛점이 맞는 부분을 판정하고, 촛점이 맞는 것으로 판정된 부분을 잘라내어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age processing, a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a range defined in advance as a part in focus is cut out for each of a plurality of images, and the cut out parts are connected to generate processed image data (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a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which a part in focus is determin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images, and the part determined to be in focus is cut out and connected.
또한, 화상 처리부(8)는, 화상 처리에 의해 생성한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를 촬상 장치(2)의 외부에 설치되는 판정 처리부(3)에 송신하고, 판정 처리부(3)가, 포충면(91a)에 포충된 벌레에 관한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판정 처리부(3)를 촬상 장치(2)의 내부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8) transmits the processed image data (D)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to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installed outside the imaging device (2), and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executes the judgment processing on the insect trapped in the trapping surface (91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side the imaging device (2).
또한, 판정 처리부(3)는, 화상 처리에 의해 생성한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D)에 기초하여, 포충면(91a)에 포충한 벌레에 관한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판정 처리부(3)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판정 처리부(3)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예시한 판정 처리의 일부만을 실행(예를 들면, 벌레의 총수를 계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has been described as executing judgment processing on insects trapped in the trapping surface (91a) based on the processed image data (D) generated by image processing,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not to have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or even if the judgment processing unit (3) is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ly a part of the judgment processing illustrated (for example, counting and outputting the total number of insects).
또한, 촬상 장치(2)를 포충기의 일부로서 구성하고, 유지부(4)에 고정된 포충 시트(9)로 벌레를 포획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촬상 수단(5)이 소정 시간마다 포충면(91a)을 촬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포충하고 있는 포충 시트(9)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벌레의 발생이나 증가 등을 파악하기 쉽다. 그리고,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포충 시트(9)에 벌레를 유인(誘引)하는 유인 수단(예를 들면, 냄새나 광 등을 발하여 벌레를 유인하는 기구)을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device (2) may be configured as a part of the trap, and the trapping sheet (9) fixed to the support member (4)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apturing insects, while the photographing means (5) may be configured to capture the trapping surface (91a)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ituation of the trapping sheet (9) being trapped can be monitored, so that occurrence or increase of insects can be easily identified. 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an attracting means (for example, a mechanism that attracts insects by emitting a smell or light, etc.) for attracting insects may be installed on the trapping sheet (9).
본 실시형태의 요약하여 이하에 기재한다.A summar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below.
본 실시형태의 촬상 시스템은, (1) 포충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설치된, 벌레를 포충 가능한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르는 인장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포충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포충 시트의 상기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The imag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1) an imaging system for capturing an insect-catching surface install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 insect-catching sheet, the imaging system comprising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insect-catching sheet while applying tension in a tensil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insect-catching surface, and an imaging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ect-catching surface of the insect-catching sheet held by the holding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는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포충 시트를 유지하므로, 장력에 의해 포충 시트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의 포충면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maintenance member maintains the charging sheet while applying tension in a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charging surface, so that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due to the tension can be suppressed. Accordingly, the charging surface of the charging sheet can be appropriately captured.
또한, (2) 상기 유지부는, 상기 포충 시트의 상기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양 단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 수단과, 상기 한 쌍의 고정 수단이 상기 포충 시트의 양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하는 (1)에 기재된 촬상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2) the maintenance unit may be configured as an imaging system described in (1) having a pair of fixing mean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charging sheet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and a tension applying means for applying tension in the tensile direction while the pair of fixing means fixes both ends of the charging shee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력 부여 수단이 고정 수단에 고정된 포충 시트에 장력을 부여하므로, 유지부에 유지된 포충 시트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포충 시트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ension-applying means applies tension to the charging sheet fixed to the fixing means, tension can be reliably applied to the charging sheet held by the holding member, thereby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heet.
또한, (3)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인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된 (1) 또는 (2)에 기재된 촬상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3) the imaging means may be configured as an imaging system described in (1) or (2) tha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raveling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tensile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의하면, 장력에 의해 포충면의 변형을 억제한 상태에서 촬상 수단이 인장 방향과 평행하게 주행하므로, 포충면과 촬상 수단의 거리를 대략 일정하게 하면서, 촬상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여 포충면을 촬상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의 포충면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imaging means runs parallel to the tensile direction while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charging surface due to tension, the charging surface can be captur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maging device while keep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surface and the imaging means approximately constant. Accordingly, the charging surface of the charging sheet can be appropriately captured.
또한, (4) 상기 포충면에 광을 조사하는 조사 장치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조사 장치는, 상기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라, 그리고, 상기 인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상기 포충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4) the imaging system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irradiation device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and the irradiation device irradiates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from at least one side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charging surface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nsile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사 장치는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포충면에 광을 조사하므로, 장력에 의해 인장 방향에 있어서의 포충지의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포충지에 대하여 광을 확실하게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포충 시트의 포충면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investigation device irradiates light to the charging surface from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light can be reliably irradiated to the charging sheet even if the length of the charging sheet in the tensile direction changes due to tension. Accordingly, the charging surface of the charging sheet can be appropriately imaged.
또한, (5) 화상 처리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인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복수 위치에서 상기 포충면을 촬상하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복수 위치에서 촬상한 복수의 화상에 기초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시스템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5) an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image capturing means captures images of the charging surface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ensile direction,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as an imag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for executing image processing to generate processed image data based on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means at the plurality of position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상 처리부는, 촬상 수단이 촬상한 복수의 화상에 기초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인장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위치의 화상을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로 할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취급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es processed image data based on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images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tensile direction can be processed image data, so the obtained image data is easy to handle.
1: 촬상 시스템
2: 촬상 장치
21: 하우징
22: 도어
23: 제어부
3: 판정 처리부
4: 유지부
41: 유지 프레임부
41a: 연결공
42: 프레임 본체부
43: 제1 고정 수단
431: 제1 고정 베이스부
432: 훅부
44: 제2 고정 수단
441: 제2 고정 베이스부
442: 정지부
443: 고정 본체부
444: 위치 결정부
45: 장력 부여 수단
451: 가이드부
452: 가압 수단
453: 가이드 본체부
454: 가압 연결부
455: 슬라이드 규제부
46: 유지 베이스부
461: 프레임 받이부
462: 축부
463: 유지 조작부
464: 반전 보조부
464a: 제1 자성체
465: 조작 축부
466: 손잡이부
5: 촬상 수단
51: 촬상부
52: 주행부
53: 레일
54: 이동부
6: 조사 장치
61: 조명부
7: 조작부
8: 화상 처리부
9: 포충 시트
91: 포충부
91a: 포충면
92: 시트 단부
921: 제1 시트 단부
921a: 제1 시트 단부
921b: 기입부
922: 제2 시트 단부
922a: 내측 부분
922b: 외측 부분1: Imaging system 2: Imaging device
21: Housing 22: Door
23: Control unit 3: Judgment processing unit
4: Maintenance section 41: Maintenance frame section
41a: connecting hole 42: frame body
43: First fixing means 431: First fixing base portion
432: Hook 44: Second fixing means
441: Second fixed base part 442: Stop part
443: Fixed body part 444: Positioning part
45: Tensioning means 451: Guide part
452: Pressurizing means 453: Guide body
454: Pressurized connection 455: Slide regulator
46: Maintenance base part 461: Frame support part
462: Axle 463: Maintenance operating section
464: Reversing auxiliary part 464a: First magnetic body
465: Operating shaft 466: Handle
5: Image capturing means 51: Image capturing unit
52: Driving part 53: Rail
54: Moving part 6: Investigation device
61: Lighting section 7: Control section
8: Image processing unit 9: Insect sheet
91: Pochungbu 91a: Pochungmyeon
92: Sheet end 921: First sheet end
921a: First sheet end 921b: Entry section
922: Second sheet end 922a: Inner part
922b: Outer part
Claims (5)
상기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르는 인장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포충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포충 시트의 상기 포충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시스템.An imaging system for capturing an insect-catching surface capable of capturing insects, which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an insect-catching sheet,
A holding part that maintains the filling sheet while applying tension in a tensile direction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filling surface;
An imaging system having an imaging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charging surface of the charging sheet mai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maintenance unit.
상기 유지부는,
상기 포충 시트의 상기 인장 방향으로 이격된 양 단부(端部)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 수단과,
상기 한 쌍의 고정 수단이 상기 포충 시트의 양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aintenance part,
A pair of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wo ends spaced apart in the tensile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filling sheet,
An imaging system having a tension applying means for applying tension in the tensile direction while the pair of fixing means fixes both ends of the charging sheet.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인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촬상 시스템.In paragraph 1 or 2,
An imaging system, wherein the above imag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raveling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tensile direction.
상기 포충면에 광을 조사(照射)하는 조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사 장치는, 상기 포충면의 면 방향을 따라, 그리고, 상기 인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상기 포충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시스템.In paragraph 1 or 2,
It further comprises an irradiation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onto the above-mentioned charging surface,
An imaging system, wherein the above-mentioned investig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above-mentioned charging surface from at least one side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charging surface 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bove-mentioned tensile direction.
화상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인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복수 위치에서 상기 포충면을 촬상하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복수 위치에서 촬상한 복수의 화상에 기초하여, 처리 완료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시스템.In paragraph 1 or 2,
Equipped with additional image processing unit,
The above imaging means captures the charging surface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ensile direction,
An imaging system,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execute image processing to generate processed image data based on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by the imaging means at the plurality of lo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2-121789 | 2022-07-29 | ||
JP2022121789A JP7587283B2 (en) | 2022-07-29 | 2022-07-29 | Imaging System |
PCT/JP2023/025848 WO2024024522A1 (en) | 2022-07-29 | 2023-07-13 | Imag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41099A true KR20250041099A (en) | 2025-03-25 |
Family
ID=8970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36463A Pending KR20250041099A (en) | 2022-07-29 | 2023-07-13 | Imaging system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587283B2 (en) |
KR (1) | KR20250041099A (en) |
WO (1) | WO2024024522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42833A (en) | 2013-01-24 | 2014-08-07 | Earth Kankyo Service Kk | Captured ins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9584A (en) * | 2001-12-07 | 2003-06-17 | Kyoritsu Seiyaku Kk | Noxious insect trap |
JP3796526B2 (en) * | 2002-04-17 | 2006-07-12 | 北海道 | Pest counting device |
JP2004275035A (en) * | 2003-03-13 | 2004-10-07 | Sanko Denki Kk | Insect trap |
JP2005021074A (en) * | 2003-07-01 | 2005-01-27 | Terada Seisakusho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counting |
JP2005245312A (en) * | 2004-03-04 | 2005-09-15 | Benhaa Hakari Kk | Insect trap |
JP4200171B2 (en) | 2006-10-19 | 2008-12-24 | ニューリー株式会社 | Insect catching sheet inspection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for catching insects on the catching sheet |
JP4953073B2 (en) * | 2007-04-12 | 2012-06-13 | 日本パルスモーター株式会社 | Insect trapping device |
JP5795190B2 (en) | 2011-03-18 | 2015-10-14 | アース製薬株式会社 | Insect c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insect catching device |
JP5759929B2 (en) * | 2012-05-15 | 2015-08-05 | イカリ消毒株式会社 | Insect trapping device, insect trap manufacturing method and insect monitoring method |
JP6562438B1 (en) | 2019-05-08 | 2019-08-21 | 有限会社さいとう | Insect capturing device |
JP3235866U (en) * | 2021-11-08 | 2022-01-14 | 株式会社ピオニーコーポレーション | Insect trap |
-
2022
- 2022-07-29 JP JP2022121789A patent/JP7587283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7-13 KR KR1020247036463A patent/KR20250041099A/en active Pending
- 2023-07-13 WO PCT/JP2023/025848 patent/WO202402452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42833A (en) | 2013-01-24 | 2014-08-07 | Earth Kankyo Service Kk | Captured ins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24522A1 (en) | 2024-02-01 |
JP7587283B2 (en) | 2024-11-20 |
JP2024018438A (en) | 2024-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53073B2 (en) | Insect trapping device | |
US7649686B2 (en) | Box-type microscope apparatus | |
DE102010061611B3 (en) | Identification of slides | |
US20160304821A1 (en) | Subject moving device | |
CN107433373B (en) |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system | |
DE102007055203A1 (en) | A robotic device, medical workstation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 object | |
KR102329462B1 (en) | An apparatus for supplying component | |
CN104066312B (en) | Nozzle inspection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system | |
KR20250041099A (en) | Imaging system | |
JP2009106300A (en) | Insect-ca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insect-catching sheet | |
JP7232427B1 (en) | Inspection auxiliary device | |
JP2009072131A (en) | Insect catcher, and method for examining insect-catching sheet | |
CN112908186B (en) | Automatic maintenance system of splicing display device | |
TWI759612B (en) |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rocessing equip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 |
CN103183276B (en) |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CN104174989A (en) | Laser processing machine | |
KR102119429B1 (en) | Exposure/rendering device, exposure/rendering system, program, and exposure/rendering method | |
JP6854396B2 (en) |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omponent mounting device | |
JP5853781B2 (en) | X-ray inspection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for X-ray inspection | |
KR101255067B1 (en) | Inspection equipmen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ATE531464T1 (en) | INSPECTION DEVICE FOR EMPTY BOXES AND THE CONTAINERS CONTAINED IN THESE | |
JP6333667B2 (en) | Portal observation device | |
KR10137149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ttachment presence of anti-chipping film on vehicle | |
JP4754618B2 (en) | Refueling machine | |
JP2000346810A (en) | Lead frame flapping prevention mechanism and lead frame inspec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