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38551A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38551A KR20250038551A KR1020230121407A KR20230121407A KR20250038551A KR 20250038551 A KR20250038551 A KR 20250038551A KR 1020230121407 A KR1020230121407 A KR 1020230121407A KR 20230121407 A KR20230121407 A KR 20230121407A KR 20250038551 A KR20250038551 A KR 20250038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supply line
- power
- line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30—Active-matrix LED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2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24—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9/85—Packages
- H10H29/857—Interconnec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투명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원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2 전원 공급선 및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 신호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및 각 신호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화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1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은 각 제1 노출 영역과 각 제2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ere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es a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first pow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o transmit a second power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 plurality of pixel unit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ach signal control line,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exposed areas surrounded by the respectiv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A plurality of second exposure areas are surrounded by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each of the first exposure areas and each of the second exposure areas.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투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의 P-N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 소자를 지칭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GaAs, AlGaAs, GaN, InGaN 또는 AlGaInP 등의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의 재료를 변경하여 다양한 색을 발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A light-emitting diode is a light-emitting device that uses the P-N junction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to create injected minority carriers (electrons or holes) and emit a certain amount of light through their recombination. These light-emitting diodes can be designed to emit various colors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compound semiconductor, such as GaAs, AlGaAs, GaN, InGaN, or AlGaInP.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과 같은 발광 장치보다 소모 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며,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한다.These light-emitting diodes consume less power, have a longer lifespan than light-emitting devi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can be installed in tight spaces.
따라서,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각종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로 상용화되고 있다.Accordingly, these light-emitting diodes are being commercialized as display devices that provide various visual informa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투명 표시 장치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면서, 배선으로 인한 투명 영역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event a reduction in the transparent area due to wiring while performing a stable power supply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원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2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 신호선, 및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및 각 신호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화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1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은 각각의 상기 제1 노출 영역과 각각의 상기 제2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된다.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first pow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ransmitting a second power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pixel portion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ach signal control line,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exposed areas surrounded by the respectiv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xposed areas surrounded by the respectiv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each of the first exposed areas and each of the second exposed area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원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2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 신호선 및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및 각 신호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각 발광 소자 구동부 및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각 발광 소자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화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1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은 각각의 상기 제1 노출 영역과 각각의 상기 제2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된다.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first pow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o transmit a second power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pixel units having respective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unit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ach signal control line, and at least one light-emit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ach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xposed areas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the respectiv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e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xposure areas surrounded by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each of the first exposure areas and each of the second exposure areas.
상기 제1 노출 영역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고, 상기 제2 노출 영역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을 수 있다.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exposure area may be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exposure area may be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and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can have the same planar shape.
상기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상기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각각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each of the abov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may have a polygonal, circular or elliptical planar shape.
상기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상기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each of the abov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may have a hexagonal planar shape.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접해 있는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접해 있는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position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각 제어 신호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두 화소부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두 화소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Each control signal line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pixel units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between the two adjacent pixel units.
각 제어 신호선은 제어 신호선 부분 및 상기 제어 신호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제3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제3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Each control signal line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line portion and a third exposure area surrounded by the control signal line portion,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may be exposed through the third exposure area.
각 화소부는 발광 소자 구동부와 연결되는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결합부,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화소부에 제1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원 인가부 및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화소부에 제2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전원 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pixel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 first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a first power to the pixel uni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a second power to the pixel unit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는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 패드, 상기 제2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2 전원 패드, 상기 제1 방향 방향을 따라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에 연결된 제1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신호 입력 패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바로 이후에 위치한 이후 화소부에 연결된 제2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선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 패드, 상기 발광 소자 결합부와 연결되는 점등 신호 출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power pa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 control signal input pad connected to a first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previous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before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 signal line, a control signal output pad connected to a second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subsequent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after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line, and a lighting signal output pad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unit.
각 발광 소자 결합부는 상기 점등 신호 출력 패드와 연결된 입력 패드 및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전원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Each light emitting element combination may include an input pad connected to the lighting signal output pad and a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상기 제1 전원 인가부는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 상기 제1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전원선,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결합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용 전원 인가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supply line for a driv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and at least one power supply line for a light emitting element ea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unit.
각 화소부는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 패드, 상기 제2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2 전원 패드, 상기 제1 방향 방향을 따라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에 연결된 제1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신호 입력 패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바로 이후에 위치한 이후 화소부에 연결된 제2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선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 패드, 상기 점등 신호 출력 패드와 연결된 입력 패드 및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전원 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원 패드, 상기 제2 전원 패드, 상기 제어 신호 입력 패드 및 상기 제어 신호 출력 패드는 각 발광 소자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입력 패드 및 상기 전원 패드는 각 발광 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Each pixel unit may include a first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power pa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 control signal input pad connected to a first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previous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before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 signal line, a control signal output pad connected to a second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subsequent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after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line, an input pad connected to the lighting signal output pad, and a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power pad, the second power pad, the control signal input pad,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pad may be connected to each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and the input pad and the power pad may be connected to each light-emitting element.
상기 각 화소부는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 상기 제1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전원선,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제1 전원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전원 패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발광 소자용 전원 인가선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pixel unit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supply line for a driv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first power pad, and a power supply line for a light-emitting element ea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power pad.
상기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전원 연결선은 상기 육각형 모양의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Each of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may have a hexagonal planar shape, and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may extend from a vertex portion of the hexagonal shape.
상기 제2 전원 인가부는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원 연결선, 상기 제2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a driv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각 화소부는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원 연결선, 상기 제2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을 포함할 수 있다.Each pixe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a driv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전원 연결선은 상기 육각형의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may have a hexagonal planar shape, and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may extend from a vertex portion of the hexagon.
상기 제1 및 제2 전원 공급선 중 어느 하나는 접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Either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lines can supply ground power.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복수의 제어 신호선 및 이들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부는 하나의 화소군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화소군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and the plurality of pixel units connected thereto can form one pixel group, and the pixel groups can b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제1 전원 공급선, 제2 전원 공급선 및 제어 신호선은 각각 하부에 위치한 투명 기판을 노출하고 있는 노출 영역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se features,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the control signal line can each have an exposure area expos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located underneath.
따라서, 이들 노출 영역으로 인해, 전원과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 제2 전원 공급선 및 제어 신호선으로 인해 표시 영역의 투명도가 감소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se exposed areas, the reduction in transparency of the display area caused b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the control signal line that transmit power and control signals can be reduced.
또한, 제1 전원 공급선과 제2 전원 공급선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인해, 노출 영역을 구비하더라도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과 제2 전원 공급선의 면적은 크게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have a polygonal, circular or elliptical planar shape as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even if they have an exposed area, the area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transmitting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may not be significantly reduced.
이로 인해, 제1 전원 공급선과 제2 전원 공급선은 투명 기판의 투명성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표시 영역으로 전달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can safely transmit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to the display area without significantly damaging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표시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로서, 발광소자 구동부와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가 생략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소부 및 그 주변의 배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발광소자 구동부와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가 가상으로 표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of a display panel assembly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1, with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and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elements omitted.
FIG. 3 is a drawing showing the pixel portion and its surrounding wiring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is a drawing in which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portion and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elements are virtually display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that includ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each step described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listed order, except in cases where it must be performed in the listed order due to a special causal relationship.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s”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신호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구비할 수 있는 구동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판 조립체(display panel assembly)(100)를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ssembly (100)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not shown) that may include a signal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and the like.
표시판 조립체(100)는 투명 기판(101), 투명 기판(101) 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입력 패드(PD1-PD3n), 투명 기판(101) 위에 위치하고 있고 각 입력 패드(PD1-PD3n)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VL11-VL1n, VL21-VL2n, S11-Snm), 투명 기판(101) 위에 위치하고 있고 각 신호선(VL11-VL1n, VL21-VL2n, S11-Snm)에 연결되어 있으며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부(PX11-PXnm)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n과 m은 각각 양의 정수일 수 있다. The display assembly (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substrate (101), a plurality of input pads (PD1-PD3n)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a plurality of signal lines (VL11-VL1n, VL21-VL2n, S11-Snm)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input pads (PD1-PD3n), and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signal lines (VL11-VL1n, VL21-VL2n, S11-Snm)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matrix. Here, n and m may each be a positive integer.
투명 기판(101) 위에 위치하고 있는 개의 입력 패드(PD1-PD3n) 및 복수의 신호선(VL11-VL1n, VL21-VL2n, S11- Snm)은 모두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안적인 예에서,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있다. The input pads (PD1-PD3n) and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VL11-VL1n, VL21-VL2n, S11-Snm)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may all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n an alternative example,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투명 기판(10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투명하고 절연상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and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이 투명 기판(101)의 일 면 위에 복수의 신호선(VL11-VL1n, VL21-VL2n, S11-Snm)이 인쇄되거나 도포되어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화소부(PX11-PXnm)가 위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ignal lines (VL11-VL1n, VL21-VL2n, S11-Snm) can be printed or applied and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is transparent substrate (101), and a plurality of pixel portions (PX11-PXnm) can be positioned.
복수의 신호선(VL11-VL1n, VL21-VL2n, S11-Snm)은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 공급선(VL11-VL1n, VL21-VL2n)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선(S11-Snm)을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VL11-VL1n, VL21-VL2n, S11-Snm) may have multiple power supply lines (VL11-VL1n, VL21-VL2n) for transmitting power and multiple control signal lines (S11-Snm)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복수의 전원 공급선(VL11-VL1n, VL21-VL2n)은 제1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 및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을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lines (VL11-VL1n, VL21-VL2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transmitting a first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s (VL21-VL2n) transmitting a second power source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source.
제1 전원은 (+)전원일 수 있고, 제2 전원은 (-)전원 또는 접지 전원일 수 있고, 제1 전원과 제2 전원은 서로 바뀔 수 있다. The first power source can be a positive power source, the second power source can be a negative power source or a ground power source, and the first and second power sources can be interchanged.
일 예로,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 중 하나는 접지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 전원선일 수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may be a ground power line that supplies ground power.
각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은 행 방향[표시판 조립체(100)의 가로 방향 또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can extend along the row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first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각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은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평행하게 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s (VL21-VL2n) can be position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and can extend in the row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따라서, 서로 인접해 있는 하나의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하나의 제2 전원 공급선(VL11-VL1n) 사이에 복수 개의 화소부(PX11-PXnm) 및 복수의 제어 신호선(SL11-SLnm)이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SL11-SLnm) can be positioned between on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one second power supply line (VL11-VL1n)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서로 인접해 있는 하나의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하나의 제2 전원 공급선(VL11-VL1n) 사이에 위치한 복수 화소부(PX11-PXnm)는 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복수의 제어 신호선(SL11-SLnm) 각각은 행 방향으로 인접한 두 화소부(PX121-PXnm)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positioned between on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one second power supply line (VL11-VL1n)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and each of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SL11-SLnm) can be connected between two pixel units (PX121-PXnm) adjacent in the row direction.
이러한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은 복수의 화소부(PX11-PXnm)가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화소부행마다 위치할 수 있어, 서로 다른 화소부행에 위치하고 복수의 화소부(PX11-PXnm)는 서로 다른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서로 다른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에 연결될 수 있다. These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and second power supply lines (VL21-VL2n) can be positioned for each pixel unit row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are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can be positioned in different pixel unit rows and connected to different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and different second power supply lines (VL21-VL2n).
또한, 복수의 제어 신호선(S11-Snm)은 행 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 화소부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두 화소부에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S11-Snm)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pixel portions along the row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two adjacent pixel portions.
따라서, 행 방향을 따라 바로 인접해 있는 두 화소부에서,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바로 다음에 위치한 다음 화소부로 입력될 수 있다.Therefore, in two pixel units that are directly adjacent along the row direction,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revious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before can be input to the next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after.
이때, 제어 신호는 해당 화소부(PX11-PXnm)에서 점등하고자 하는 발광 소자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may be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to be lit in the corresponding pixel portion (PX11-PXnm).
따라서, 동일한 행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화소부(PX11-PXnm)는 각각 제어 신호선(S11-Snm)을 통해 바로 이전의 화소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state of multiple pixel units (PX11-PXnm) located in the same row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immediately previous pixel unit via the control signal line (S11-Snm).
이러한 복수의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 복수의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 및 제어 신호선(S11-Snm)의 일단은 표시판 조립체(100)에 위치하여 표시판 조립체(10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 제1 전원 및 제2 전원을 입력받는 복수 개의 입력 패드(PD1~PD3n-2, PD3~PD3n)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the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s (VL21-VL2n) and the control signal lines (S11-Snm) may b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put pads (PD1 to PD3n-2, PD3 to PD3n) that receive control signals, first power and second power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따라서, 각 대응되는 입력 패드(PD1-PD3n)를 통해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 및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은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각각 입력 받아 전달할 수 있고, 제어 신호선(S11-Snm) 역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바로 다음에 위치하고 있는 화소부(PX11-PXnm)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can receive and transmit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respectively, through the corresponding input pads (PD1-PD3n), and the control signal line (S11-Snm) can also receive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pixel unit (PX11-PXnm) located immediately next to it.
이때, 복수의 제어 신호선(S11-Snm) 중에서, 첫번째 열에 위치하고 있는 각 화소부(PX11m PX21, ??, PXn1)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 신호선(S11, S21, …, Sn1)의 일단만이 대응하는 입력 패드(PD2~PD3n-1)에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among the multiple control signal lines (S11-Snm), only one end of the control signal lines (S11, S21, …, Sn1) connected to each pixel unit (PX11m PX21, ??, PXn1) located in the first column can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nput pad (PD2~PD3n-1).
복수의 화소부(PX11-PXnm)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행 방향과 열 방향(예, 표시판 조립체(1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된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n approximate matrix along the row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as illustrated in FIG. 1.
도 1을 참고하면, 동일한 행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 복수의 제어 신호선(S11-Snm) 및 이들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부(PX11-PXnm)는 하나의 화소군(PL1-PLn)을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화소군(PL1-PLn)이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S11-Snm) located in the same row, and the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connected thereto can form one pixel group (PL1-PLn), and the plurality of pixel groups (PL1-PLn) can be arranged and positioned in the column direction.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행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화소부(PX11-PXnm), 즉 동일한 화소군(PL1-PLn)에 속하는 복수의 화소부(PX11-PXnm)는 동일한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동일한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에 연결될 수 있고, 행 방향으로 인접한 두 화소부는 서로 다른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과 서로 다른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positioned in the same row, i.e.,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PXnm) belonging to the same pixel group (PL1-PLn), can be connected to the sam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the same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and two pixel units adjacent in the row direction can be connected to different first power supply lines (VL11-VL1n) and different second power supply lines (VL21-VL2n).
각 화소부(PX11-PXnm)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예,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1-LED3) 및 제1 발광 소자(LED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3)의 동작(예,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발광소자 구동부(CH1)가 위치할 수 있다(도 2 참고). Each pixel unit (PX11-PXnm) may have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e.g.,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elements) (LED1-LED3)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and a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unit (CH1)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e.g., turning on or off) of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see FIG. 2).
제1 발광 소자(LED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3)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출력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can outpu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and thus output different colors.
일 예로,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1-LED3)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고,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 중 하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elements (LED1-LED3) may each be a light-emitting diode (LED), and may each be one of a red, green, and blue light-emitting diode.
발광소자 구동부(CH1)는 제1 발광 소자(LED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3) 에 연결될 수 있고,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발광 소자(LED1-LED3)의 점등 또는 소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해당 상태의 점등 신호를 해당 발광 소자(LED1-LED3)로 출력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LED1) to the third light emitting element (LED3), and can output a lighting signal of a corresponding state to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element (LED1-LED3) to control the lighting or lighting off operation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LED1-LED3)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따라서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3)는 각각 발광소자 구동부(CH1)의 동작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elements (LED3) can be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이러한 발광소자 구동부(CH1)는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고 집적회로 칩(IC chip)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is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may be a processor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
이러한 구조를 갖는 표시판 조립체(100)에서,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부(PX1-PXnm) 및 각 화소부(PX1-PXnm)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의 부분및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의 부분, 그리고 각 화소부(PX1-PXnm)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 신호선(SL11-SLnm)의 부분이 위치하는 영역은 원하는 색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AR100)일 수 있고, 입력 패드(PD1-PD3n), 입력 패드(PD1-PD3n)와 각 화소부(PX1-PXnm)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의 나머지 부분 및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의 나머지 및 제어 신호선(SL11-SLnm)의 나머지 부분이 위치하는 영역은 표시 영역(AR100)의 발광 동작을 위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 커넥터 영역(AR200)일 수 있다..In the display assembly (100) having such a structure,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PXnm)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and a portion of a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a portion of a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connected to each pixel unit (PX1-PXnm) and a portion of a control signal line (SL11-SLnm) connected to each pixel unit (PX1-PXnm) are located may be a display area (AR100)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desired color, and an area where an input pad (PD1-PD3n), a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and a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located between the input pad (PD1-PD3n) and each pixel unit (PX1-PXnm) and a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rol signal line (SL11-SLnm) are located may be a connector through which a signal for a light-emitting operation of the display area (AR100) is transmitted. It could be an area (AR200).
다음, 도 2 및 도 3를 참고하여, 화소부(PX1-PXnm), 제1 전원 공급선(VL11-VL1n) 및 제2 전원 공급선(VL21-VL2n), 그리고 제어 신호선(SL11-SLnm)의 구조 및 그 연결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tructure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pixel portion (PX1-PXn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L11-VL1n),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VL21-VL2n), and the control signal line (SL11-SLn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3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제1 전원 공급선 및 제2 전원 공급선, 그리고 제어 신호선의 도면 부호는 각각 '30', '40' 및 '50'으로 부여한다. In FIGS. 2 and 3,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drawing symbols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the control signal line are given as '30', '40', and '50', respectively.
또한,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2에는 하나의 화소부(PX11)에만 발광 소자(LED1-LED3)와 발광 소자 구동부(CH1)가 실장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나머지 화소부(PX12`PXnm)에는 발광 소자(LED1-LED3)와 발광 소자 구동부(CH1)를 생략하였지만, 나머지 화소부(PX12`PXnm)에도 발광 소자(LED1-LED3)와 발광 소자 구동부(CH1)가 실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light-emitting elements (LED1-LED3) and a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are mounted only in one pixel unit (PX11),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s (LED1-LED3)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are omitted in the remaining pixel units (PX12'PXnm), but it is obvious that light-emitting elements (LED1-LED3) and a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can also be mounted in the remaining pixel units (PX12'PXnm).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 제1 전원 공급선(30)은 해당 입력 패드(PD1-P3n)와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입력 패드(PD1-P3n)로부터 전달되는 제1 전원을 전달하는 제1 부분(31) 및 제1 부분(3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부분(31)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전원을 복수 개의 화소부로 전달하는 제2 부분(32)을 구비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3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ortion (31) that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input pad (PD1-P3n) and transmits the first power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input pad (PD1-P3n), and a second portion (32)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31) and transmits the first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rtion (31) to a plurality of pixel units.
이때, 제1 부분(31)은 표시판 조립체(100)의 커넥터 영역(AR200)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부분(32)은 표시판 조립체(100)의 표시 영역(AR100)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art (31) may be located in the connector area (AR200)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and the second part (32) may be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R100)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제1 부분(31)에 위치한 제1 전원 공급선(30)은 정해진 폭을 갖고 있는 직선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행 방향으로 평행한 부분과 경사진 사선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평행한 부분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사선 부분은 위치에 따라 폭이 상이할 수 있다.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31) may have a straight plane shape with a set width and may have a parallel section in the row direction and an inclined diagonal section. The parallel section may have the same width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ile the diagonal section may have a different width depending on the position.
제2 부분(32)에 위치한 제1 전원 공급선(30)은 직선 부분, 곡선 부분 또는 직선부분과 곡선 부분이 혼합되어 있는 다양한 형상의 평면 구조, 예를 들어,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 에워싸여진 부분은 제1 전원 공급선(30)이 위치하지 않은 빈 공간(S30)일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32) may have a planar structure of various shapes including a straight portion, a curved portion, or a mixture of straight and curved portions, for example, a polygonal, circular, or oval planar shape, and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may be an empty space (S30) wher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is not located.
따라서, 제1 전원 공급선(30)의 제2 부분(32)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 및 테두리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이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으로 에워싸여져 있고 제1 전원 공급선(30)이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인 복수 개의 노출 영역(예, 제1 노출 영역)(S3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1 노출 영역(S3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투명 기판(101)이 노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ortion (32)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321) having a polygonal, circular or elliptical planar shape, and at least one of the edge portions is surrounded by each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321) and may have a plurality of exposed areas (e.g., first exposed areas) (S30) which are empty spaces wher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does not exist. Accordingly,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positioned underneath may be exposed through each of the first exposed areas (S30).
이러한 각 제1 노출 영역(S30)은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 테두리 부분이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을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일 예로, 각 제1 노출 영역(S30) 역시 벌집 모양의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se first exposure areas (S30) may be completely surrounded by a border portion with a first power supply line (30), and as illustrated in FIG. 2,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exposure areas (S30) may also have a honeycomb-shaped hexagonal plane shape.
이러한 제1 노출 영역(S30)은 행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고, 행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고 두 개의 제1 노출 영역(S30) 사이에 열 방향으로 제1 노출 영역(S30)이 추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se first exposure areas (S30) can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row direction, arranged adjacently in the row direction, and an additional first exposure area (S30) can be positioned in the column direction between two first exposure areas (S30).
각 제1 노출 영역(S30)을 에워싸고 있고 벌집 모양의 평면 향상을 갖는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은 모두 6개의 선을 구비할 수 있고, 이들 6개의 선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사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4개의 사선과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직선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직선의 연결 길이는 사선의 연장 길이보다 길 수 있어,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의 열 방향의 폭(W12)보다 행 방향의 폭(W11)보다 클 수 있다.Each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surrounding each first exposure area (S30) and having a honeycomb-shaped planar enhancement may have six lines in total, and these six lines may have four diagonal lines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and two straight lines extending in an up-and-down direction with the same length as each other. In this example, the connection length of the straight lines may be longer tha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diagonal lines, so that the width (W11) in the row direction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12) in the column direction of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제1 전원 공급선(30)의 제2 부분(32)에서, 행 방향으로 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을 구비한 제1 전원 공급선 부분행은 열 방향을 따라서도 서로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제1 전원 공급선(30)의 제2 부분(32)은 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행이 배열될 수 있다. In the second part (32)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the first power supply line sub-rows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arts (321) arranged in a row direction can be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column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part (32) of the same first power supply line (30) can hav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sub-row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이로 인해, 제1 전원 공급선(30)은 행 방향과 교차하는 열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32)에 위치하는 제1 전원 공급선(30)은 교추하는 두 방향(예, 행 방향 및 사선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다층 구조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을 구비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can hav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321)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column direction intersecting the row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32) can hav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32) of a multilayer structure arranged in two intersecting directions (e.g., the row direction and the diagonal direction).
이로 인해, 제1 전원 공급선(30)의 제1 부분(31)은 가운데 부분에 노출 영역이 전혀 구비하지 않는 반면에, 제2 부분(32)은 복수 개의 제1 노출 영역(S30)을 구비할 수 있고, 각 제1 노출 영역(S30)의 테두리 부분은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 완전히 에워싸여 있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portion (31)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may have no exposed area at all in the center portion, while the second portion (32)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exposed areas (S30), and the edge portion of each first exposed area (S30) may be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이와 같이, 본 예의 제1 전원 공급선(30)의 제2 부분(32)은 복수 개의 노출 영역(S30)을 구비하고 있는 벌집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portion (32)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of the present example may have a honeycomb-shaped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exposed areas (S30).
이때, 동일한 제1 전원 공급선(30)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은 서로 끊김 없이 연결될 수 있어, 대응하는 입력 패드(PD1~PD3n-2)와 제1 부분(31)을 통해 인가되는 제1 전원을 행 방향을 따라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multiple first power supply line sections (321) located on the same first power supply line (3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interruption, so that the first power applied through the corresponding input pads (PD1 to PD3n-2) and the first section (31) can be transmitted along the row direction.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 제2 전원 공급선(40) 역시 제1 전원 공급선(3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40)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따라서, 각 제2 전원 공급선(40) 역시 해당 입력 패드(PD3-PD3n)와 연결되어 있고 해당 입력 패드(PD3-PD3n)로부터 전달되는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1 부분(41) 및 제1 부분(4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부분(41)을 통해 전달되는 제2 전원을 복수 개의 화소부로 전달하는 제2 부분(42)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4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first part (41) tha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nput pad (PD3-PD3n) and transmits the second power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input pad (PD3-PD3n), and a second part (42)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41) and transmits the second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art (41) to a plurality of pixel units.
이때, 제1 부분(41)은 표시판 조립체(100)의 커넥터 영역(AR200)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부분(42)은 표시판 조립체(100)의 표시 영역(AR100)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art (41) may be located in the connector area (AR200)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and the second part (42) may be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R100)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제2 전원 공급선(40)의 제1 부분(41)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전원 공급선(40)은 정해진 폭을 갖고 있는 직선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located in the first part (41)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may have a straight plane shape with a set width.
제2 부분(42)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전원 공급선(40)은 직선 부분, 곡선 부분 또는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이 혼합되어 있는 다양한 형상의 평면 구조, 예를 들어,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행 방향과 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 및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으로 에워싸여져 있으며 하부에 위치한 투명 기판을 노출하는 복수의 노출 영역(예, 제2 노출 영역)(S40)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42) may have a planar structur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portion, a curved portion, or a mixture of straight portions and curved portions, for example, a polygonal, circular, or oval planar shape, and may have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421) arranged in a row direction and a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xposed areas (e.g., second exposed areas) (S40) surrounded by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421) and exposing a transparent substrate located underneath.
본 예에서, 제2 전원 공급선(40)의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의 형상은 제1 전원 공급선(30)의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으로 에워싸여진 각 제2 노출 영역(S40)의 형상 역시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으로 에워싸여진 각 제1 노출 영역(S30)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shape of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421)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and thus, the shape of each second exposed area (S40) surrounded by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421) may also be the same as the shape of each first exposed area (S30) surrounded b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이로 인해, 제1 부분(41)의 제2 전원 공급선(40) 역시 노출 영역을 전혀 구비하지 않는 반면, 제2 부분(42)의 제2 전원 공급선(40)은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S40)을 구비할 수 있고, 각 제2 노출 영역(S40)의 테두리 부분은 제2 전원 공급선(40), 구체적으로는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으로 완전히 에워싸여 있을 수 있다.Due to this, whil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of the first portion (41) also has no exposed area at all,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of the second portion (42) can have a plurality of second exposed areas (S40), and the edge portion of each second exposed area (S40) can be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specifically,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421).
또한, 제2 전원 공급선(40)의 제2 부분(32)에서, 행 방향으로 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을 구비한 제2 전원 공급선 부분행은 열 방향을 따라서도 서로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제2 전원 공급선(40)의 제2 부분(42)은 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행이 배열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part (32)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artial rows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artial rows (421) arranged in a row direction can be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column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part (42) of the sam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can hav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artial row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이로 인해, 제2 전원 공급선(40)은 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 사선 방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을 구비할 수 있어, 제2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전원 공급선(40)은 교차하는 두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있는 다층 구조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을 구비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can have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321)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row direction (e.g.,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can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421) that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intersecting directions.
따라서, 본 예의 제2 부분(42)의 제2 전원 공급선(40)은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S40)을 구비하고 있는 벌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of the second part (42) of the present example may have a honeycomb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exposure areas (S40).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제어 신호선(50)은 해당 입력 패드(PD2~PD3n-1)로 입력되는 각 제어 신호를 동일한 행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화소부(PX11-PXnm)로 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2,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50) are provided to sequentially transmit each control signal input to the corresponding input pads (PD2 to PD3n-1) to a plurality of pixel units (PX11 to PXnm) located in the same row along the row direction.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표시판 조립체(100)는 제2 전원 공급선((40)는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더미선(DL1, DL2, ??)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각 더미선(DL1, DL2)에 각각 연결된 별도의 더미 패드(DPD1,,,,) 역시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display assembly (100) may have a plurality of dummy lines (DL1, DL2, ??)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and may also have separate dummy pads (DPD1,,,,) connected to each dummy line (DL1, DL2).
각 제어 신호선(50)은 표시판 조립체(100)에서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Each control signal line (5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with only different installation positions in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각 제어 신호선(50)은 해당 입력 패드(PD2~PD3n-1)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입력 패드(PD2~PD3n-1)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부분(51) 및 제1 부분(5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부분(51)을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행 방향으로 인접한 화소부로 전달하는 제2 부분(52)을 구비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each control signal line (50) of the present example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ortion (51) that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input pad (PD2 to PD3n-1)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input pad (PD2 to PD3n-1), and a second portion (52)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51)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rtion (51) to an adjacent pixel portion in the row direction.
역시, 제1 부분(51)은 표시판 조립체(100)의 커넥터 영역(AR200)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부분(52)은 표시판 조립체(100)의 표시 영역(AR100)에 위치할 수 있다.Likewise, the first part (51) can be located in the connector area (AR200) of the display assembly (100), and the second part (52) can be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R100) of the display assembly (100).
제1 부분(51)에 위치한 제어 신호선(50)은 정해진 폭을 갖고 있는 직선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부분(51)의 제어 신호선(50)은 행 방향으로 평행한 부분과 경사진 사선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평행한 부분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사선 부분은 위치에 따라 폭이 상이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first portion (51) may have a straight plane shape with a fixed width. As an example, the control signal line (50) of the first portion (51) may have a parallel portion in the row direction and an inclined diagonal portion. The parallel portion may have the same width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ile the diagonal portion may have different widths depending on the position.
제2 부분(52)에 위치한 제어 신호선(50)은 경사진 사선 형상을 갖는 직선일 수 있고,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52) may be a straight line having an inclined diagonal shape and may have the same width regardless of the position.
이러한 제2 부분(52)은 첫번째 열에 위치한 제2 부분(52)을 제외하면, 행 방향으로 인접한 두 화소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 신호를 바로 다음에 위치한 화소부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첫 번째 열에 위치한 화소부를 제외한 모든 화소부는 이러한 제2 부분(52)의 제어 신호선(50)을 통해서 바로 이전에 위치한 화소부의 발광소자 구동부(CH1)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Except for the second part (52) located in the first column, the second part (52) is located between two pixel parts adjacent in the row direction, and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pixel part located immediately next. Accordingly, all pixel parts except for the pixel part located in the first column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part (CH1) of the pixel part located immediately before through the control signal line (50) of the second part (52).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첫 번째 열에 위치한 화소부는 제1 부분(51)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부분(52)의 제어 신호선(50)을 통해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pixel portion located in the first column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rol signal line (50) of the second portion (52)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51).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첫 번째 열에 위치한 제어 신호선(50)의 제2 부분(52)은 나머지 열에 위치한 다른 제2 부분(52)에 비해 연장 길이가 짧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second portion (52) of the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first column may have a shorter extension length than the other second portions (52) located in the remaining columns.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2 부분(52)의 제어 신호선(50)은 각각 가운데 부분에 제어 신호선(50)이 위치하지 않고 해당 제어 신호선(50)으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S50)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trol signal line (50) of the second portion (52) may have an empty space (S50) surrounded by the control signal line (50) without the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제2 부분(52)의 제어 신호선(50)은 제어 신호선 부분(521)과 빈 공간인 노출 영역(예, 제3 노출 영역)(S5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신호선(50)의 제1 부분(51)은 가운데 부분에 노출 영역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아, 안정적으로 표시 영역(AR100)까지 제어 신호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signal line (50) of the second portion (52) may have a control signal line portion (521) and an exposed area (e.g., a third exposed area) (S50) which is a blank spac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ortion (51) of the control signal line (50) does not have any exposed area at all in the center portion, thereby allowing the control signal to be stably supplied to the display area (AR100).
따라서, 제어 신호선(50)의 노출 공간(S5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투명 기판이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nsparent substrate located underneath can be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space (S50) of the control signal line (50).
이와 같이, 제어 신호선 부분(521)이 가운데 부분에 빈 공간(S50)을 구비할 경우, 투명 기판(101) 위에 제2 부분(52)이 위치하는 있는 면적이 빈 공간(S50)만큼 감소하게 되므로, 본 예의 투명 표시 장치의 투과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선(50)으로 인한 본 예의 투명 표시 장치의 투과 영역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control signal line portion (521) has an empty space (S50) in the center portion, the area where the second portion (52)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is reduced by the empty space (S50), so that the transparent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xample can increase. Accordingly, the reduction in the transparent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xample due to the control signal line (50) can be reduced.
각 화소부(PX11-PXnm)는 연결되어 있는 제1 전원 공급선(30) 및 제2 전원 공급선(40), 및 신호 제어선(50)만 상이하고,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Each pixel unit (PX11-PXnm) may have the same structure, with onl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and the signal control line (50) being different.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각 화소부(PX11-PXnm)는 발광소자 구동부(CH1) 및 제1 발광 소자(LED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3) 이외에도, 발광소자 구동부(CH1) 및 제1 발광 소자(LED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3)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패드 및 제1 전원, 제2 전원, 제어 신호 및 점등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복수 개의 신호선을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each pixel unit (PX11-PXnm) may have, in addition to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unit (CH1) and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a plurality of pads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unit (CH1) and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and a plurality of signal lines for inputting or outputting the first power supply, the second power supply, the control signal, and the lighting signal.
복수 개의 패드와 복수 개의 신호선은 모두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안적인 예에서,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있다. 본 예에서, 복수 개의 패드는 발광 소자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는 발광소자 구동부 결합부(PAD10)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LED1-LED3)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 결합부(PAD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ds and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may all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n an alternative example,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n this example, the plurality of pads may have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oupling portion (PAD10) that can be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portion (PAD20) that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LED1-LED3).
또한, 복수 개의 신호선은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부터 해당 화소부(PX11-PXnm)에 제1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제1 전원 인가부(L10), 제2 전원 공급선(40)으로부터 해당 화소부(PX11-PXnm)에 제2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전원 인가부(L20) 및 각 발광 소자(LED1-LED3)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점등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점등 신호 입력부(L3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ignal lines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ower supply unit (L10) capable of applying a first power to the corresponding pixel unit (PX11-PXnm) from a first power supply line (30), a second power supply unit (L20) capable of applying a second power to the corresponding pixel unit (PX11-PXnm) from a second power supply line (40), and a lighting signal input unit (L30) capable of applying a light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peration of each light-emitting element (LED1-LED3).
발광소자 구동부(CH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화소부(PX11-PXnm)에 위치하고 있는 각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1-LED3)의 점소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controls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elements (LED1-LED3) located in each pixel unit (PX11-PXnm).
발광소자 구동부 결합부(PAD10)는 발광소자 구동부(CH1)가 위치하여 발광소자 구동부(CH1)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전원 패드(PAD11), 제2 전원 패드(PAD12),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 제어 신호 출력 패드(PAD14) 및 제1 내지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PAD17)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oupling unit (PAD10) may include a first power pad (PAD11), a second power pad (PAD12), a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a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4), and first to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s (PAD15-PAD17) o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is positioned and which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이로 인해, 제1 전원 패드(PAD11), 제2 전원 패드(PAD12),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 제어 신호 출력 패드(PAD14) 및 제1 내지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PAD17)는 각각 그 위에 실장되어 있는 각 발광소자 구동부(CH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는 대응되는 패드(미도시)와 땜납 등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또한, 각 화소부(PX11-PXnm)의 발광소자 결합부(PAD20)는 제1 내지 제3 발광 소자(LED1-LED3)가 각각 위치하여 해당 발광소자(LED1-LED3)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 제1 소자용 전원 패드(PAD24), 제2 소자용 전원 패드(PAD25) 및 제3 소자용 전원 패드(PAD26)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power pad (PAD11), the second power pad (PAD12), the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the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4), and the first to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s (PAD15-PAD17)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oldering or the like with the corresponding pads (not shown) that can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mounted thereon. In addition, the light-emitting element coupling portion (PAD20) of each pixel portion (PX11-PXnm)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ment input pad (PAD21), the second element input pad (PAD22), the third element input pad (PAD23), the first element power pad (PAD24), the second element power pad (PAD25), and the first to third light-emitting elements (LED1-LED3) are positioned thereon, respectively. A third power pad (PAD26) may be provided.
이때,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 및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는 발광소자 구동부(CH1)로부터의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패드일 수 있고, 제1 소자용 전원 패드(PAD24), 제2 소자용 전원 패드(PAD25) 및 제3 소자용 전원 패드(PAD26)는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부터 제1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패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pad for the first element (PAD21), the input pad for the second element (PAD22), and the input pad for the third element (PAD23) may be input pads that receive signals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and the power pad for the first element (PAD24), the power pad for the second element (PAD25), and the power pad for the third element (PAD26) may be power pads that receive first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이로 인해,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와 제1 소자용 전원 패드(PAD24)는 그 위에 실장되어 있는 제1 발광 소자(LED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는 대응되는 패드(미도시)와 땜납 등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Due to this, the input pad for the first element (PAD21) and the power pad for the first element (PAD24)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solder or the like by making electrical contact with corresponding pads (not shown) that can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mounted thereon.
또한,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와 제2 소자용 전원 패드(PAD25)는 그 위에 실장되어 있는 제2 발광 소자(LED2)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는 대응되는 패드(미도시)와 땜납 등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와 제3 소자용 전원 패드(PAD26)는 그 위에 실장되어 있는 제3 발광 소자(LED3)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는 대응되는 패드(미도시)와 땜납 등을 통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element input pad (PAD22) and the second element power pad (PAD25)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king electrical and physical contact with corresponding pads (not shown) that can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LED2) mounted thereon through soldering or the like, and the third element input pad (PAD23) and the third element power pad (PAD26)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king electrical and physical contact with corresponding pads (not shown) that can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mounted thereon through soldering or the like.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는 발광소자 구동부(CH1)로부터의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패드일 수 있고, 제1 소자용 전원 패드(PAD24), 제2 소자용 전원 패드(PAD25) 및 제3 소자용 전원 패드(PAD26)는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부터 제1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패드일 수 있다.The input pad for the first element (PAD21), the input pad for the second element (PAD22), and the input pad for the third element (PAD23) may be input pads that receive signals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and the power pad for the first element (PAD24), the power pad for the second element (PAD25), and the power pad for the third element (PAD26) may be power pads that receive first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제1 전원 패드(PAD11)는 발광소자 구동부(CH1)로 제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전원 인가부(L1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전원 패드(PAD12)는 발광소자 구동부(CH1)로 제2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전원 인가부(L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pad (PAD1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L10) to supply the first power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and the second power pad (PAD12)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L20) to supply the second power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CH1).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는 행 방향을 따라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에 연결된 제어 신호선(40)에 연결되어 해당 제어 신호선(40)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며, 제어 신호 출력 패드(PAD14)는 행 방향을 따라 바로 다음에 위치한 다음 화소부에 연결된 해당 제어 신호선(50)에 연결되어 해당 제어 신호선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signal line (40) connected to a previous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before along the row direction to receive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line (40),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4) may b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line (50) connected to a next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after along the row direction to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line.
따라서, 복수의 제어 신호선(50)에서 첫 번째 열에 위치한 제어 신호선(50)을 제외한 모든 제어 신호선(50)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이전 화소부의 제어 신호 출력 패드(PAD14)와 해당 화소부의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에 연결되어 제어 신호 출력 패드(PAD14)와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신호 입력선은 행 방향을 따라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화소부로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ly, all control signal lines (50) except for the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first column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50) may be connec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4) of the previous pixel unit and the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of the corresponding pixel unit, respectively, and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4) and the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input lin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revious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before along the row direction and input it to the corresponding pixel unit.
복수의 제어 신호선(50)에서 첫 번째 열에 위치한 제어 신호선(50)의 제2 부분(52)은 첫번째 열에 위치한 화소부의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에 연결되어 첫번째 열에 위치한 화소부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 second part (52) of a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first column among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50) is connected to a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of a pixel unit located in the first column so as to input a control signal to a pixel unit located in the first column.
이러한 제어 신호선(50)의 연결에 의해, 동일한 행에 위치한 각 화소부는 해당 제어 신호선(52)을 통해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By connecting these control signal lines (50), each pixel unit located in the same row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previous pixel unit located immediately before it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line (52).
제1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 내지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7)은 각각 해당 발광 소자 결합부(PAD20)와 결합되어, 해당 발광 소자(LED1-LED3)의 점등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5) to the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7) are each coupled with a corresponding light-emitting element coupling part (PAD20) so that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light-emitting element (LED1-LED3) can be controlled.
제1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는 제1 발광 소자(LED1)로 점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6)는 제2 발광 소자(LED2)로 점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7)는 제3 발광 소자(LED3)로 점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5) may be for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to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he secon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6) may be for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to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LED2), and the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7) may be for outputting a lighting signal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따라서, 이들 제1 전원 패드(PAD11), 제2 전원 패드(PAD12), 제어 신호 입력 패드(PAD13), 제어 신호 출력 패드(PAD14) 및 제1 내지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PAD17)는 발광소자 구동부(CH1)의 하면 등에 위치하고 있는 각 대응되는 단자)(예, 제1 및 제2 전원 입력단, 제어 신호 입력단, 제어 신호 출력단 및 구동신호 출력단)와 땜납 등으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se first power pad (PAD11), second power pad (PAD12),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3),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4), and first to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s (PAD15-PAD17)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corresponding terminals (e.g., first and second power input terminals,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 and driving signal output terminal)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etc.,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by soldering or the like.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발광 소자 결합부(PAD20)는 각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PAD17)와 연결된 입력 패드(PAD21-PAD23)와 제1 전원 인가부(L10)와 연결될 수 있는 전원 패드(PAD24-PAD26)를 구비할 수 있다. As previously described,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mbination (PAD20) may be provided with input pads (PAD21-PAD23) connected to each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5-PAD17) and power pads (PAD24-PAD26)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L10).
따라서, 입력 패드(PAD21-PAD23)의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는 발광소자 구동부(CH1)에서 제1 발광 소자(LED1)로 출력하는 점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고,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는 발광소자 구동부(CH1)에서 제2 발광 소자(LED2)로 출력하는 점등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것이며,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는 발광소자 구동부(CH1)에서 제3 발광 소자(LED3)로 출력하는 점등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것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element input pad (PAD21) of the input pads (PAD21-PAD23) may be for receiving a lighting signal outpu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to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he second element input pad (PAD22) may be for receiving a lighting signal outpu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to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LED2), and the third element input pad (PAD23) may be for receiving a lighting signal outpu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전원 패드(PAD24-PAD26)의 제1 소자용 전원 패드(PAD24)는 제1 발광 소자(LED1)로 제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소자용 전원 패드(PAD25)는 제2 발광 소자(LED2)로 제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3 소자용 전원 패드(PAD26)는 제3 발광 소자(LED3)로 제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각 화소부(PX11-PXnm)의 제1 전원 인가부(L10)는 제1 전원 연결선(L11), 제1 전원선(L12),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L13),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용 전원 인가선인 제1 소자용 전원 인가선(L14), 제2 소자용 전원 인가선(L15), 제3 소자용 전원 인가선(L16)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pad (PAD24) for the element of the power pads (PAD24-PAD26) may be for supplying the first power to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he second power pad (PAD25) for the element may be for supplying the first power to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LED2), and the third power pad (PAD26) for the element may be for supplying the first power to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The first power supply unit (L10) of each pixel unit (PX11-PXnm)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a first power supply line (L12), a first power supply line (L13) for the driving unit, at least one power supply line for the light-emitting element, which is a first power supply line (L14), a second power supply line (L15), and a third power supply line (L16) for the element.
각 화소부(PX11-PXnm)의 제2 전원 인가부(L20)는 제2 전원 연결선(L21), 제2 전원선(L22) 및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L23)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L20) of each pixel unit (PX11-PXnm)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L21), a second power supply line (L22),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L23) for the driving unit.
각 화소부(PX11-PXnm)의 점등 신호 입력부(L30)는 제1 점등신호 입력선(L31), 제2 점등신호 입력선(L32) 및 제3 점등신호 입력선(L33)을 구비할 수 있다.The lighting signal input unit (L30) of each pixel unit (PX11-PXnm)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1), a second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2), and a third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3).
또한, 각 화소부(PX11-PXnm)는 발광소자 구동부(CH1)의 장착 위치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알림선(DP11-Pl14)이 위치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발광소자 구동부(CH1)는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정렬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pixel unit (PX11-PXnm) can have multiple notification lines (DP11-Pl14) indica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unit (CH1), and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er unit (CH1) can be stably positioned and aligned at a desired position.
제1 전원 연결선(L11)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각 제1 전원 연결선(L11)은 인접해 있는 제1 전원 공급선(30)의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L11)은 각각 행 방향과 교차하는 열 방향[예, 표시판 조립체(100)의 세로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는 세로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re may be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and each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of an adjacent first power supply line (30). Each of these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may have a vertical line shap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long a column direction (e.g., a vertical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assembly (100)) intersecting the row direction.
본 예에서,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런 경우, 각 제1 전원 연결선(L11)은 육각형의 꼭지점의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may have a hexagonal planar shape, and in this case, each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may extend from a portion of a vertex of the hexagon.
제1 전원선(L1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L11)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전원 신호선(3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게, 행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고 인접한 제1 전원 공급선(30)과 나란히 연장되는 가로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ower line (L12) may have a horizontal line shape that ext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row direc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power signal line (30) that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and extends parallel to the adjacent first power supply line (30).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L13)은 제1 전원선(L12)과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PAD10)의 제1 전원 패드(PAD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line (L13) for the driving unit can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L12) and the first power pad (PAD11)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PAD10).
따라서,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L13)의 일단과 타단이 제1 전원선(L12)과 제1 전원 패드(PAD11)에 각각 연결될 수 있어, 제1 전원선(L12)과 제1 전원 패드(PAD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L13) for the driv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L12) and the first power pad (PAD11), respectively, so that it can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L12) and the first power pad (PAD11).
이로 인해, 제1 전원 연결선(L11), 제1 전원선(L12) 및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L13)은 서로 끊김 없이 연결될 수 있어, 제1 전원 공급선(30)으로 제1 전원이 공급되면, 제1 전원 연결선(L11), 제1 전원선(L12) 및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L13)을 따라서 제1 전원이 전달되어 발광소자 구동부(CH1)로 인가될 수 있다. Due to this,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the first power line (L12), and the first power supply line (L13) for the driving uni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interruption, so that when the first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the first power can be transmitted along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the first power line (L12), and the first power supply line (L13) for the driving unit and applied to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H1).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소자용 전원 인가선(L14), 제2 소자용 전원 인가선(L15) 및 제3 소자용 전원 인가선(L16)은 각각 제1 전원선(L12)과 발광 소자 결합부(PAD20)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lement power supply line (L14), the second element power supply line (L15), and the third element power supply line (L16),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connect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L12)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coupling portion (PAD20), respectively.
일 예로, 제1 소자용 전원 인가선(L14), 제2 소자용 전원 인가선(L15) 및 제3 소자용 전원 인가선(L16)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형상을 가질 있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supply line (L14) for the first element, the power supply line (L15) for the second element, and the power supply line (L16) for the third element may have a straigh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t least one straight line.
따라서, 제1 발광 소자(LED1), 제2 발광 소자(LED2) 및 제3 발광 소자(LED3)는 제1 전원선(L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자용 전원 인가선(L14), 제2 소자용 전원 인가선(L15) 및 제3 소자용 전원 인가선(L16)을 통하여 동작에 필요한 제1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LED2), and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can receive the first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through the first element power supply line (L14), the second element power supply line (L15), and the third element power supply line (L16), which are each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L12).
제2 전원 인가부(L20)의 제2 전원 연결선(L21) 역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각 제2 전원 연결선(L21)은 인접해 있는 제2 전원 공급선(40)의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원 연결선(L21)은 각각 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는 세로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L21)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L20) may also be at least one, and each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L21)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421) of an adjacent second power supply line (40). Each of these at least on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L21) may have a vertical line shap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heat direction.
본 예에서,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런 경우, 각 제2 전원 연결선(L21)은 육각형의 꼭지점의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421) may have a hexagonal planar shape, and in this case, each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L21) may extend from a portion of a vertex of the hexagon.
제2 전원선(L2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L11)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전원 공급선(4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게 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인접한 제2 전원 공급선(40)과 나란히 연장되는 가로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power line (L22) may have a horizontal line shape extending parallel to an adjacent second power supply line (40) extending in the row direc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that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L11).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L23)은 제2 전원선(L22)과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PAD10)의 제2 전원 패드(PAD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power supply line (L23) for the driving unit can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L22) and the second power pad (PAD12)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PAD10).
따라서,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L23)의 일단과 타단이 제2 전원선(L22)과 제2 전원 패드(PAD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어, 제2 전원선(L22)과 제2 전원 패드(PAD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L23) for the driv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L22) and the second power pad (PAD12), respectively, so that it can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power line (L22) and the second power pad (PAD12).
이로 인해, 제2 전원 연결선(L21), 제2 전원선(L22) 및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L23)은 서로 끊김 없이 연결될 수 있어, 제2 전원 공급선(40)으로 제2 전원이 공급되면, 제2 전원 연결선(L21), 제2 전원선(L22) 및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L23)을 따라서 제2 전원이 전달되어 발광소자 구동부(CH1)로 인가될 수 있다. Due to this,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L21), the second power line (L22),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L23) for the driving uni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interruption, so that when the second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the second power can be transmitted along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L21), the second power line (L22),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L23) for the driving unit and applied to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H1).
점등 신호 입력부(L30)는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PAD10)와 발광 소자 결합부(PAD2) 사이에 위치하여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PAD10)와 발광 소자 결합부(PAD2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ing signal input unit (L30) is loca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PAD10)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unit (PAD2) and can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PAD10)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unit (PAD220).
점등 신호 입력부(L30)의 제1 점등신호 입력선(L31)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와 제1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에 연결되어 있어, 제1 소자용 입력 패드(PAD21)와 제1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1) of the lighting signal input unit (L30) is connec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first element input pad (PAD21) and the first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5), respectively,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ment input pad (PAD21) and the first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5).
점등 신호 입력부(L30)의 제2 점등신호 입력선(L32)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와 제2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6)에 연결되어 있어, 제2 소자용 입력 패드(PAD22)와 제2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점등신호 입력선(L33)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와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7)에 연결되어 있어, 제3 소자용 입력 패드(PAD23)와 제3 점등 신호 출력 패드(PAD1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2) of the lighting signal input unit (L30)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element input pad (PAD22) and the secon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6), respectively,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lement input pad (PAD22) and the secon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6), and the third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3)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element input pad (PAD23) and the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7), respectively, 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element input pad (PAD23) and the third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17).
이로 인해, 제1 발광 소자(LED1), 제2 발광 소자(LED2) 및 제3 발광 소자(LED3)는 각각 제1 점등신호 입력선(L31) 내지 제3 점등신호 입력선(L33)을 이용하여 발광소자 구동부(CH1)로부터 점등 신호를 입력받아, 점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LED1),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LED2), and the third light-emitting element (LED3) can each receive a lighting signal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driver (CH1) using the first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1) to the third lighting signal input line (L33) to perform a lighting opera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영역(AR100)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전원 공급선(30), 제2 전원 공급선(40)및 제어 신호선(50)은 각각 하부에 위치한 투명 기판(101)을 노출하고 있는 노출 영역(S30, S40, S50)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and the control signal line (50) located in the display area (AR100) may each have an exposure area (S30, S40, S50) expos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101) located thereunder.
따라서, 노출 영역(S30, S40, S50)을 구비하지 않는 제1 전원 공급선(30), 제2 전원 공급선(40)및 제어 신호선(50)에 비해, 본 예의 표시 영역(AR100)은 노출 영역(S30, S40, S50)이 차지하는 면적만큼 투명도가 증가할 수 있다. Accordingly, compar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and the control signal line (50) that do not have exposure areas (S30, S40, S50),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area (AR100) of the present example can increase by the area occupied by the exposure areas (S30, S40, S50).
또한, 제1 전원 공급선(30)과 제2 전원 공급선(40)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전원 공급선 부분(321)과 제2 전원 공급선 부분(421)으로 인해, 제1 전원 공급선(30)과 제2 전원 공급선(40)은 투명 기판의 투명성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제1 전원과 제2 전원을 표시 영역(AR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hav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321)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421) having a polygonal, circular or oval plane shape,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40) can safely transmit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to the display area (AR100) without significantly damaging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at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each embodiment will focus on explaining each technical feature, but unless each technical feature i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it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se claims.
101: 투명기판
30: 제1 전원 공급선
40: 제2 전원 공급선
50: 제어 신호선
321: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421: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521: 제어 신호선 부분
PAD10: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PAD11: 제1 전원 패드
PAD12: 제2 전원 패드
PAD13: 제어 신호 입력 패드
PAD14: 제어 신호 출력 패드
PAD15~PAD17: 점등 신호 출력 패드
PAD20: 발광 소자 결합부
PAD21~PAD23: 소자용 입력 패드
PAD24~PAD26: 소자용 전원 패드
L10: 제1 전원 인가부
L11: 제1 전원 연결선
L12: 제1 전원선
L13: 제1 전원 인가선
L14~L16: 발광 소자용 전원 인가선
L20: 제2 전원 인가부
L21: 제2 전원 연결선
L22: 제2 전원선
L23: 제2 전원 인가선
L30: 점등 신호 입력부
L31~L33: 점등신호 입력선
PX11-PXnm: 화소부
S30, S40, S50: 노출 영역101: Transparent substrate 30: First power supply line
40: Second power supply line 50: Control signal line
321: First power supply line section 421: First power supply line section
521: Control signal line section PAD10: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section coupling section
PAD11: 1st power pad PAD12: 2nd power pad
PAD13: Control signal input pad PAD14: Control signal output pad
PAD15~PAD17: Lighting signal output pad PAD20: Light-emitting element coupling part
PAD21~PAD23: Input pads for components PAD24~PAD26: Power pads for components
L10: 1st power supply L11: 1st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L12: 1st power line L13: 1st power supply line
L14~L16: Power supply line for light-emitting element
L20: Second power supply L21: Second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L22: Second power line L23: Second power supply line
L30: Lighting signal input section L31~L33: Lighting signal input line
PX11-PXnm: Pixel area S30, S40, S50: Exposure area
Claims (22)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원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2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 신호선; 및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및 각 신호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화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1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은 각각의 상기 제1 노출 영역과 각각의 상기 제2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투명 표시 장치.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first pow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ransmitting a second power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pixel units ar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ach signal control line.
Including,
The first power supply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exposed areas surrounded by each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xposed areas surrounded by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e abov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each of the above first exposure areas and each of the above second exposure areas.
Transparent display device.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원을 제1 방향으로 전달하는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전달하는 제2 전원 공급선;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제어 신호선; 및
상기 투명 기판 위에서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및 각 신호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각 발광 소자 구동부 및 상기 제1 전원 공급선과 각 발광 소자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화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1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및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복수 개의 제2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은 각각의 상기 제1 노출 영역과 각각의 상기 제2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투명 표시 장치.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first pow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ransmitting a second power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pixel sections, each of which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each of which has a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ach signal control line, and at least one light-emit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ach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section.
Including,
The first power supply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exposed areas surrounded by each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xposed areas surrounded by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e abov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each of the above first exposure areas and each of the above second exposure areas.
Transparent display device.
상기 제1 노출 영역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고, 상기 제2 노출 영역의 테두리 부분은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으로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는 투명 표시 장치.In claim 1 or 2,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erein a border portion of the first exposure area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and a border portion of the second exposure area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해 있는 복수 개의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해 있는 복수 개의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 투명 표시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each first power supply line section and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section have the same plane shape.
상기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상기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각각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투명 표시 장치.In clause 5,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each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and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has a polygonal, circular or oval flat shape.
상기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과 상기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6,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each of the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and each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have a hexagonal flat shape.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접해 있는 제1 전원 공급선 부분 사이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접해 있는 제2 전원 공급선 부분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7,
The first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 position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between first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second power supply lin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각 제어 신호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두 화소부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두 화소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투명 표시 장치.In claim 1 or 2,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each control signal line is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pixel units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between the two adjacent pixel units.
각 제어 신호선은 제어 신호선 부분 및 상기 제어 신호선 부분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제3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기판은 상기 제3 노출 영역을 통해 노출되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9,
Each control signal line includes a control signal line portion and a third exposed area surrounded by the control signal line portio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bov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through the third exposure area.
각 화소부는,
발광 소자 구동부와 연결되는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결합부;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화소부에 제1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원 인가부; 및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화소부에 제2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전원 인가부
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Each pixel section,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part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A first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a first power to the pixel uni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 second power supply to the pixel unit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는,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 패드;
상기 제2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2 전원 패드;
상기 제1 방향 방향을 따라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에 연결된 제1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신호 입력 패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바로 이후에 위치한 이후 화소부에 연결된 제2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선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 패드; 및
상기 발광 소자 결합부와 연결되는 점등 신호 출력 패드
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11,
The abov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part is,
A first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power pa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 control signal input pad connected to a first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previous pixel portion located immediately before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 signal line;
A control signal output pad connected to a second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subsequent pixel portion locate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direction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line; and
A lighting signal output pad connected to the above light emitting element coupling part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각 발광 소자 결합부는,
상기 점등 신호 출력 패드와 연결된 입력 패드; 및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전원 패드
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12,
Each light emitting element combination,
An input pad connected to the above lighting signal output pad; and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bove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상기 제1 전원 인가부는,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
상기 제1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전원선;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결합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용 전원 인가선
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11,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unit is,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supply line for a driving uni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and
At least one power supply line for a light-emitting element, ea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at least one light-emitting element coupling portio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각 화소부는,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1 전원 패드;
상기 제2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제2 전원 패드;
상기 제1 방향 방향을 따라 바로 이전에 위치한 이전 화소부에 연결된 제1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 제어 신호 입력 패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바로 이후에 위치한 이후 화소부에 연결된 제2 제어 신호선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제어 신호선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 패드;
점등 신호 출력 패드와 연결된 입력 패드; 및
상기 제1 전원 인가부와 연결되는 전원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패드, 상기 제2 전원 패드, 상기 제어 신호 입력 패드 및 상기 제어 신호 출력 패드는 각 발광 소자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력 패드 및 상기 전원 패드는 각 발광 소자와 연결되어 있는
투명 표시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Each pixel section,
A first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power pa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 control signal input pad connected to a first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previous pixel portion located immediately before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 signal line;
A control signal output pad connected to a second control signal line connected to a subsequent pixel portion located immediately thereafter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line;
Input pad connected to the lighting signal output pad; and
Power pad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bove
Including,
The above first power pad, the second power pad, the control signal input pad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pad are connected to each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The above input pad and the above power pad are connected to each light emitting element.
Transparent display device.
상기 각 화소부는,
상기 제1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원 연결선;
상기 제1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전원선;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제1 전원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1 전원 인가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전원 패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발광 소자용 전원 인가선
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In Article 15,
Each pixel above,
At least on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lin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supply line for the driving uni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first power pad; and
Power supply lines for light-emitting elements, ea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power pad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상기 각 제1 전원 공급선 부분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전원 연결선은 상기 육각형 모양의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되는
투명 표시 장치.In clause 14 or 16,
Each of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line sections has a hexagonal flat shape,
The abov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extends from the top of the hexagonal shape.
Transparent display device.
상기 제2 전원 인가부는,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원 연결선;
상기 제2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전원선;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
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In Article 11,
The abov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At least on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he driving uni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각 화소부는,
상기 제2 전원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원 연결선;
상기 제2 전원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1 전원선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용 제2 전원 인가선
을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Each pixel section,
At least on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for the driving unit locat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unit coupling unit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각 제2 전원 공급선 부분은 육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전원 연결선은 상기 육각형의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되는
투명 표시 장치.In clause 18 or 19,
Each second power supply line section has a hexagonal flat shape,
The above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extends from the top of the hexagon.
Transparent display device.
상기 제1 및 제2 전원 공급선 중 어느 하나는 접지 전원을 공급하는 접지 전원선인 투명 표시 장치.In claim 1 or 2,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lines is a ground power line that supplies ground power.
상기 제1 전원 공급선, 상기 제2 전원 공급선, 복수의 제어 신호선 및 이들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부는 하나의 화소군을 구성하고,
상기 화소군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되어 있는 투명 표시 장치.In claim 1 or 2,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line, the above second power supply lin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pixel parts connected thereto constitute one pixel group,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bove pixel groups ar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1407A KR20250038551A (en) | 2023-09-12 | 2023-09-12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1407A KR20250038551A (en) | 2023-09-12 | 2023-09-12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38551A true KR20250038551A (en) | 2025-03-19 |
Family
ID=9520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1407A Pending KR20250038551A (en) | 2023-09-12 | 2023-09-12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38551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9067A (en) | 2008-01-16 | 2009-07-21 | (주)럭스맥스네트웍스 |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chip level LED package |
KR20190008124A (en) | 2017-07-13 | 2019-01-23 | 탈레스 | Transparent active matrix display comprising emitting pixels with colored light-emitting diodes |
-
2023
- 2023-09-12 KR KR1020230121407A patent/KR2025003855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9067A (en) | 2008-01-16 | 2009-07-21 | (주)럭스맥스네트웍스 |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chip level LED package |
KR20190008124A (en) | 2017-07-13 | 2019-01-23 | 탈레스 | Transparent active matrix display comprising emitting pixels with colored light-emitting diod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54410B2 (en) | LED display device | |
TWI453944B (en) | Sub-mount,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sub-mount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sub-mount and/or light emitting device | |
US8476826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 |
JP4456102B2 (en) |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 |
US7847306B2 (en) | Light emitting diode device, method of fabrication and use thereof | |
KR20190026617A (en) |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7670712B2 (en) | Display device | |
KR101763107B1 (en) | Light emitting packag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it | |
US20100109981A1 (en) | Cut-to-measur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 |
US11023194B2 (en) | Modular module | |
KR102519201B1 (en) | light emitting element for pixel and LED display apparatus | |
CN108957852A (en)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
KR20120070278A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JP7459201B2 (en) | Illumination and display devices | |
US20200185361A1 (en) | Led display module | |
CN111261096B (en) | display device | |
KR20250038551A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TW202224176A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50038552A (en)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 |
CN217881566U (en) | LED carrier plate and Mini LED or Micro LED display panel | |
JP2021182613A (en) | LED board and display device | |
KR20250046881A (en) | Display apparatus of flexible bending film | |
JP7596630B2 (en) | Light emitting module, surface light source and control circuit | |
KR20250046877A (en) |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image quality | |
KR20250046878A (en) |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height differ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