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35530A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35530A KR20250035530A KR1020250028103A KR20250028103A KR20250035530A KR 20250035530 A KR20250035530 A KR 20250035530A KR 1020250028103 A KR1020250028103 A KR 1020250028103A KR 20250028103 A KR20250028103 A KR 20250028103A KR 20250035530 A KR20250035530 A KR 202500355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hine room
- floor
- wall
- elevator
- st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group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6 electrical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work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아파트) 건설공사에서 엘리베이터를 조기에 개통하기 위한 골조공사 공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옥탑층의 엘리베이터 승강로(shaft, 샤프트) 벽체 내부에 철골 칼럼을 설치 한 후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골 말뚝을 형성하고 상기 말뚝(앙카 칼럼)에 엘리베이터 기계실 바닥의 데크 플레이트를 매달아 고정한 후 철근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또는 상기 앙카 칼럼을 연장하여 기계실 벽체 철골기둥과 지붕 철골보를 형성한 후 철골보에 기계실 바닥의 데크 플레이트를 매달아 시공하는 방법으로 기계실 바닥을 시공함으로써 조기에 바닥을 완성하여 엘리베이터 설치하도록 하여 전체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eletal construction method for early opening of an elevator in a joint housing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 and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floor structure by installing a steel column inside a wall of an elevator shaft on a rooftop floor, then pouring wall concrete to form a steel pile, and then suspending and fixing a deck plate of an elevator machine room floor to the pile (anchor column), and then pouring steel bars and concrete, or by extending the anchor column to form a machine room wall steel column and a roof steel beam, and then suspending a deck plate of the machine room floor to the steel beam, thereby constructing a machine room floor, thereby completing the floor early and allowing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thereby shortening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엘리베이터 기계실 바닥 골조공사에서 코어벽체에 철골기둥을 시공하고 상기 철골 기둥에 형틀(거푸집, 데크)을 메다는 방법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안전하며 골조 공사기간을 단축하므로써 전체 사업기간을 단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column on a core wall and attaching a formwork (formwork, deck) to the steel column in the floor skeleton construction of an elevator machine room in an apartment complex, thereby ensuring safety and shortening the skeleton construction period, thereby shortening the overall project period.
공동주택 건설공사는 터파기를 한 후 지하층을 완료하고 지상층 골조공사를 완성한 후 마감공사 인테리어 공사로 진행된다. 골조공사와 마감공사 기간동안에는 상부로 건설자재 및 인력을 양중하여야 하여 이때는 장비를 이용한다.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begins with excavation, completion of the basement, completion of the ground floor frame work, and then finishing and interior work. During the frame work and finishing work periods, construction materials and manpower must be lifted upward, and equipment is used at this time.
양중장비로는 타워크레인과 골조외벽에 세워지는 임시 공사용 엘리베이터(호이스트(hoist), 리프트 카(lift car))와 함께 엘리베이터 중 일부를 공사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As for lifting equipment, some of the elevators will be used for construction purposes, including tower cranes and temporary construction elevators (hoists, lift cars) installed on the outer walls of the skeleton.
타워크레인은 형틀 거푸집 갱폼, 알폼과 철근, 엘리베이터 권상기 등 무거운 자재를 올린다. 임시 공사용 엘리베이터(이하 호이스트)는 작업자, 시멘트, 벽돌, 문틀, 문짝, 가구, 석재, 전기, 설비와 같은 자재를 올린다.Tower cranes lift heavy materials such as formwork gang forms, aluminum forms and rebar, and elevator hoists. Temporary construction eleva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ists) lift materials such as workers, cement, bricks, door frames, door panels, furniture, stone, electricity, and equipment.
골조 외벽에 세워진 호이스트의 설치 위치는 평면상 자재 이동 통로 동선이 가능한 곳이고 건물 입면상으로는 창문쪽으로 벽체가 없어 세대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곳(베란다 등)이어야 한다. 1개동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대수는 2대 내지 3대이다.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hoist built on the outer wall of the frame should be a place where a material movement passageway is possible on the floor plan, and a place where there is no wall facing the window on the building facade and where it is possible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ehold (such as a veranda). The number of hoists installed in one building is 2 to 3.
호이스트가 정차하는 층의 외벽구간, 자재이동 통로 등의 공사는 호이스트 운행중에는 마감공사를 할 수 없으므로 호이스트 철거 후 시공된다.Construction work on the exterior wall section of the floor where the hoist stops, the material movement passage, etc. cannot be completed while the hoist is in operation, so construction is done after the hoist is removed.
호이스트 설치시점은 골조가 5층 정도 완료되어 호이스트를 설치할 수 있는 높이이며, 해체 시점은 골조완료 후 대부분의 마감공사 자재를 양중한 후 공사용 엘리베이터가 개통된 이후이다. 공사용 엘리베이터가 개통되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자재를 인양할 수 있으므로 이제 호이스트는 외관 및 자재 이동통로 공사를 위해 철거해야 한다.The hoist installation point is when the skeleton is completed to about the 5th floor, at which height the hoist can be installed, and the dismantling point is when the skeleton is completed, most of the finishing materials are lifted, and the construction elevator is opened. Once the construction elevator is opened, materials can be lifted using the elevator, so the hoist must now be dismantled for the exterior and material passage construction.
엘리베이터의 개통이 늦어지는 경우 호이스트 철거도 늦어지고 호이스트 설치된 구간의 마감공사도 늦어진다. 그에 따라 호이스트 구간의 마감공사는 본 마감공사와는 별도로 뒤늦게 착수하여 긴급하게 시공하여야 하므로 품질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마감공사가 혼잡하게 되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If the opening of the elevator is delayed, the removal of the hoist is also delayed, and the finishing work of the section where the hoist is installed is also delayed. Accordingly, the finishing work of the hoist section must be started later and carried out urgently separately from the main finishing work, which has the negative effect of lowering the quality and making the overall finishing work crowded.
따라서 공사용 엘리베이터 개통, 호이스트 철거, 호이스트 구간의 마감공사는 마감공사 기간의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Therefore, the opening of the construction elevator, removal of the hoist, and finishing work on the hoist section are the most important matters during the finishing work period.
엘리베이터의 개통이 빨라지는 경우 호이스트를 조기에 철거할 수 있고 마감공사도 시간에 쫓기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If the elevator is opened sooner, the hoist can be removed earlier and finishing work can be carried out smoothly without being pressed for time.
따라서 엘리베이터 개통은 잔여 마감공사와 준공기한을 지키는 중요한 작업이다.Therefore, the opening of the elevator is an important task that meets the remaining finishing work and completion deadline.
아파트 공사의 전체적인 순서를 예로 들면 현장개설 (1개월), 터파기(6개월), 지하골조(4개월), 지상골조(49층, 1년), 마감공사(1년)로 진행된다. For example, the overall sequence of apartment construction is as follows: site opening (1 month), excavation (6 months), underground structure (4 months), above-ground structure (49th floor, 1 year), and finishing work (1 year).
49층 세대가 완료되면 50층은 옥상바닥이고 옥상위에 코어부에 엘리베이터 기계실이 2개층(옥탑층, 기계실) 높이로 별도로 시공된다. When the 49th floor is completed, the 50th floor will be the rooftop, and the elevator machine room will be constructed separately on the rooftop core with a height of two floors (rooftop, machine room).
종래의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시공 방법 및 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method and sequence of a conventional elevator machine room are as follows.
엘리베이터 샤프트(코어)의 내부에는 형틀 거푸집으로서 갱폼 또는 알폼(알루미늄 폼)을 설치하고 작업발판으로서는 RCS 등의 벽에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Inside the elevator shaft (core), gangform or aluminum form is installed as a formwork, and a method of bolting it to a wall such as RCS is used as a working platform.
외부 벽체는 갱폼으로 시공하고 내부(엘리베이터 홀, 계단실)벽체는 기준층에서 알폼, 옥탑층에서는 재래식폼으로 시공한다.The exterior walls are constructed with gang form, and the interior (elevator hall, stairwell) walls are constructed with aluminum form on the standard floor and with conventional form on the rooftop floor.
엘리베이터 벽체의 두께는 30cm(내부벽체), 60cm(외부벽체)이다. 벽체의 길이는 약 6m이고 폭은 3m 정도이다. 여기에는 승객용 엘리베이터 2개가 들어간다.The thickness of the elevator wall is 30 cm (interior wall) and 60 cm (exterior wall). The length of the wall is about 6 m and the width is about 3 m. It can accommodate two passenger elevators.
아파트 골조가 마지막 세대인 최상층(예 49층 벽체 및 50층 옥상 바닥)에서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기계실 2개층 중 아래층인 옥탑층 벽체(50층, 층고 3.8m)를 시공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안쪽의 갱폼, 알폼, 작업발판(RCS)을 해체한다. The apartment frame is poured concrete simultaneously on the top floor (e.g., the 49th floor wall and the 50th floor rooftop), which is the last generation. Next, the rooftop wall (50th floor, 3.8m high) is constructed, which is the lower floor of the two elevator machine room floors. Next, the inner gang form, aluminum form, and working platform (RCS) inside the elevator shaft are dismantled.
위 폼으로 51층 기계실 벽체를 시공하지 않고 해체하는 이유는 기계실 바닥이 시공되므로 더 이상 위로 상승할 수 없이 샤프트 내부에 갇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51st floor machine room wall is not constructed with the above form and is being dismantled is because once the machine room floor is constructed, it cannot rise any further and will be trapped inside the shaft.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기계실 바닥을 시공한다. 기계실 바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 형틀을 설치해야 하고 형틀을 지지하는 동바리를 설치해야 한다. Next, the elevator machine room floor is constructed. To install the machine room floor, the floor formwork must be installed and the support bars to support the formwork must be installed.
이때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지하층까지 약 160m 정도가 마치 굴뚝처럼 빈 공간으로 되어 있고 동바리 설치를 위한 바닥을 최상층 부근에 형성해야 한다. At this time, the elevator shaft has an empty space of about 160m down to the basement, like a chimney, and a floor for installing the elevator must be formed near the top floor.
미리 벽체에 좌우 구멍을 내고 그 벽체 구멍에 파이프 등을 삽입하여 수평재를 시공한다. 그 위에 합판 등 바닥재를 시공한 후 동바리를 설치하고 그 위에 기계실 형틀을 만들고 슬래브를 형성한다. 이후에는 하부의 동바리와 바닥재, 파이프 등을 해체한다.First, make hol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l, insert pipes, etc. into the holes, and construct horizontal materials. After constructing flooring materials such as plywood on top of it, install the slab, and create a machine room formwork on top of it to form a slab. After that, dismantle the slab, flooring materials, pipes, etc. below.
따라서 기계실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빈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추락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achine room slab has the problem of a high risk of falling because work must be done in the empty space of the elevator shaft.
기계실 바닥이 양생되면 그 위에 동바리(서포트)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기계실 벽체(층고 3.4m)와 기계실 지붕을 시공한다. Once the machine room floor is cured, a support is installed on top of it and the elevator machine room wall (floor height 3.4 m) and machine room roof are constructed.
기계실 지붕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기계실 내부의 동바리를 해체한다. 그러면 기계실 공간이 생성되어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시작된다.Once the machine room roof concrete has cured, the siding inside the machine room is dismantled. Then, the machine room space is created and the elevator installation work begins.
기계실 바닥으로부터 지하층까지 내려가는 피아노선, 로프를 시공하기 위하여 기계실 바닥에 10개 이상의 구멍을 뚫는다. To install piano wires and ropes that run from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to the basement, more than 10 holes are drilled into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권상기(엘리베이터 모터)는 기계실 바닥에 설치되며, 타워크레인으로 1층에서 옥상으로 올린 후 기계실 벽체의 반입구(창문)를 통해 비스듬히 이동시켜 내려놓는다. 기계실 천정에 기 매립된 고리에 체인블럭을 매달고 권상기를 들어서 제자리에 놓는다. The hoist (elevator motor)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and is lifted from the first floor to the rooftop by a tower crane, then moved diagonally through the inlet (window) of the machine room wall and lowered. A chain block is hung on a hook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machine room, and the hoist is lifted and placed in place.
49층 마지막 세대 시공 후 상기 과정(옥탑 50층 벽체~기계실 지붕 및 건축자재 정리)을 완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0일 내지 45일이 소요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기계실과 엘리베이터 홀, 계단실 2개층을 재래식(유로폼, 동바리, 슬라브 양생기간)으로 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last generation on the 49th floor, it takes 30 to 45 days to complete the above process (50th floor rooftop wall ~ mechanical room roof and construction materials arrangement). This is because the elevator machine room, elevator hall, and two floors of the stairwell must be constructed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Euroform, donbari, slab curing period).
기계실 골조공사, 파라펫 벽체골조, 지붕방수공사, 태양광 설비 설치, 외벽 공사용 발판(RCS(Rail Climbing System))해체, 코어내부 작업발판(RCS)해체,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 형틀 및 건축자재의 1층으로의 하역 등이 작업이 완료되면 타워크레인을 해체한다When the work including the mechanical room skeleton construction, parapet wall skeleton construction, ro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solar power facility installation, dismantling of the external wall construction scaffold (RCS (Rail Climbing System)), dismantling of the core internal work scaffold (RCS),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traction machine, and unloading of the formwork and building materials to the first floor is completed, the tower crane is dismantled.
이후 엘리베이터 공사 착수 후 완성까지는 약 90일이 소요되며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지하층과 기계실(높이 약 170m)간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형판을 피트(샤프트 지하 바닥)와 기계실에 2개를 설치한다. 형판은 상하 위치 지정을 위한 피아노선(철선), 가이드레일, 로프 등의 위치를 지정하는 도구이다. After the elevator construction begins, it takes about 90 days to complete, and the work order is as follows. In order to specif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between the basement and the machine room (approximately 170m high), two templates are installed in the pit (shaft basement floor) and the machine room. The template is a tool that specifies the positions of piano wire (steel wire), guide rail, rope, etc. for specify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기계실 바닥에 뚤어진 구멍을 통해 피아노선을 지하 피트까지 내리고 끝에는 추를 매달아 수직선을 만든다.A piano wire is lowered into the underground pit through a hole drilled i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and a weight is hung at the end to create a vertical line.
기계실에서 권상 로프를 내리고 그 로프에 피트에서 카(car)를 제작하고 작업자가 탑승하여 상승하면서 가이드레인, 문틀 등을 시공한다.In the machine room, a hoisting rope is lowered, a car is built on the rope in the pit, and workers climb up to install guide rails, door frames, etc.
결선 및 시운전을 통해 엘리베이터를 시운전한다.Test run the elevator through final selection and commissioning.
그리고 엘리베이터 일부를 개통하여 공사용으로 사용한다. 그러면 외벽에 설치된 호이스트를 약 10일에 걸쳐 해체한다. 그러면 최상층 49층 완료후 기계실 45일, 엘리베이터 설치 90일, 호이스트 해체 10일을 포함하여 약 5개월 후에 호이스트 구간이 정리된다, 이후에는 호이스트 구간 49개층 라인을 마감공사를 해야 한다.And some of the elevators are opened and used for construction purposes. Then, the hois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is dismantled over a period of about 10 days. Th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op 49th floor, the hoist section will be organized in about 5 months, including 45 days for the machine room, 90 days for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10 days for the hoist dismantling. After that, the 49-floor hoist section line must be finished.
최상층 골조완료 후 10개월 내지 1년 후 준공이며 준공시점 약 2개월에 모든 공사가 완료되고 잔여 2개월은 소방점검 및 입주자 점검 등이 진행된다.Completion is 10 months to 1 year after the top floor frame is completed, and all construction will be completed approximately 2 months after completion, with the remaining 2 months being for fire inspections and occupant inspections.
따라서 아파트 49층까지의 골조 완료(0 시점), 엘리베이터 기계실 골조 완성(1.5개월), 엘리베이터 개통(3개월), 호이스트 해체(0.3개월), 호이스트 구간 마감공사(5개월), 소방검사 및 입주자 사점점검(2개월)로 순서로 진행된다. 골조 완성 후 약 10개월 내지 1년후에 준공이 된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will proceed in the following order: completion of the frame up to the 49th floor of the apartment (starting point 0), completion of the frame of the elevator machine room (1.5 months), opening of the elevator (3 months), dismantling of the hoist (0.3 months), finishing work on the hoist section (5 months), fire inspection and occupant inspection (2 months). Completion will occur approximately 10 months to 1 yea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rame.
여기서 호이스트 구간의 마감공사(5개월) 기간이 부족한 편에 속하므로 다른 작업들에서 기간을 단축하여야 하나 다들 단축이 어려운 편에 속하므로 엘리베이터 기계실 골조 완성(1.5개월)을 줄일 필요가 있다.Here, the period for finishing work on the hoist section (5 months) is on the short side, so the period for other tasks needs to be shortened, but since it is difficult to shorten them all,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period for completing the elevator machine room frame (1.5 months).
엘리베이터 기계실 골조 완성(1.5개월)에 대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공사방법과 소요기간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The following is a look at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period required to complete the elevator machine room skeleton (1.5 months).
49층 마지막 세대는 49층 벽체와 49층 지붕(50층 바닥, 층고 3.0m)을 시공한다. 다음으로 그 윗층인 옥탑층 벽체를 2회에 나누어 시공(10일 소요, 층고 3.8m)한 후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의 갱폼과 RCS발판을 해체(2일)하여 1층으로 내린다. 다음으로 기계실 바닥을 시공(5일)한 후 양생(7일)한다. The last generation on the 49th floor is to construct the 49th floor walls and the 49th floor roof (50th floor floor, 3.0m high). Next, the rooftop walls above it are constructed in two stages (10 days required, 3.8m high), and then the gang form and RCS footing inside the elevator shaft are dismantled (2 days) and lowered to the 1st floor. Next, the machine room floor is constructed (5 days) and cured (7 days).
양생이 되면 동바리를 설치하고 기계실 벽체와 지붕을 시공(10일)한 후 양생(10일)한다. 이후 기계실 내부의 동바리와 거푸집을 해체(5일)하여 기계실 공간을 확보한다. 이를 합산하면 약 45일이 소요된다. 기계실은 시스템 폼을 사용하지 못하고 재래식 거푸집을 사용하고 하부층에 동바리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시간이 소요되고 마지막으로 양생 후 동바리를 설치, 해체하는 과정까지 포함하므로 절차가 복잡하다.After curing, the ridgepole is installed and the walls and roof of the machine room are constructed (10 days), and then cured (10 days). After that, the ridgepole and formwork inside the machine room are dismantled (5 days) to secure the machine room space. In total, this takes about 45 days. Since the machine room cannot use system form and uses conventional formwork, and the ridgepole cannot be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it takes time, and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because it includes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ridgepole after curing.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사는 사업전체의 공사기간을 결정하는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 주요 공정선)에 속한다. 기계실 공사기간이 단축되면 전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기간이 늘어나면 공사기간이 늘어나거나 마감공사를 급속히 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elevator machine room construction belongs to the critical path (main process line) that determines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entire project. If the machine room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the entir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if the construction period is extended, the construction period is extended or the finishing work must be done quickly.
위와 같이 종래와 같은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사는 공사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conventional elevator machine room construc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cluding the complex and time-consuming construction process.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 형틀(거푸집)을 지지할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샤프트 내부의 작업발판(RCS)상에 동바리를 지지하는 경우 작업발판이 벽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동바리 하중, 기계실 바닥 하중, 시공중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machine room floor, a structure to support the floor formwork is required. To this end, if the slab is supported on the working platform (RCS) inside the shaft, the working platform is bolted to the wall, so it must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slab, the load of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 load during construction.
그렇지 못한 경우 지하까지 추락하는 위험이 있다. 기계실 바닥을 시공한 후에는 윈치 등을 이용하여 작업발판(RCS)을 메달아 아래층으로 반출하여야 하는데 이 또한 매우 위험한 작업이다.If not, there is a risk of falling to the basement. After constructing the machine room floor, a winch or similar must be used to hang the working platform (RCS) and bring it down to the lower floor, which is also a very dangerous task.
샤프트 벽체에 구멍을 내고 파이프를 이용하여 보를 형성한 후 합판을 깔고 그 위에 동바리를 지지하는 경우, 이를 샤프프 내 공중에서 시공하여야 하고 탈락 및 해체시의 추락(작업자), 낙하(자재)의 위험이 있다.When drilling a hole in the shaft wall, forming a beam using a pipe, laying plywood, and supporting the slab on top of it, this must be done in the air inside the shaft, and there is a risk of falling (workers) or dropping (materials) during dismantling or dismantling.
작업발판(RCS)을 이용하여 벽체에 브라켓, ㄱ자 앵글을 시공한 후 여기에 데크 플레이트를 시공하는 경우, 벽체에 볼트로 고정해야 하고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데크 플레이트가 벽체 부분에서 고정이 되지 않을 경우 탈락할 위험이 있다. 바닥 완료 후에는 브라켓, 앵글을 엘리베이터 설치시 해체해야 한다. When constructing brackets and L-angles on a wall using a scaffold (RCS) and then constructing a deck plate on top of them, they must be bolted to the wall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the load. If the deck plate is not secured to the wall, there is a risk of it falling off. After the floor is completed, the brackets and angles must be dismantled when installing the elevator.
아니면 40년 동안 벽체에 브라켓, 앵글이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녹이 슬어 오랜 후에 낙하할 수 있다. Otherwise, the brackets and angles will have to be fixed to the wall for 40 years and may rust and fall off after a long time.
권상기는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여 기계실 벽체의 장비반입구(1.4m*1.4m)를 통해 비스듬히 끌어들인 후 천정 슬라브에 매설된 고리를 통해 체인블럭 등으로 권상기의 하부 철재빔과 권상기를 설치한다. 인력에 의해 권상기를 기계실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설치하여야 하므로 안전의 위험이 있다. The hoist is lifted by a tower crane and dragged diagonally through the equipment introduction port (1.4m*1.4m) on the wall of the machine room. Then, the hoist is installed to the lower steel beam of the hoist and the hoist using chain blocks, etc. through rings embedded in the ceiling slab. Since the hoist must be moved and installed to the center of the machine room by manpower, there is a safety risk.
기계실 바닥에 10개 이상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 작업에서는 바닥 콘크리트 타설 후 코어링을 하는 경우, 콘크리트 코어의 낙하 위험이 있다.In work requiring more than 10 holes to be drilled in the machine room floor, there is a risk of the concrete cores falling if coring is done after pouring the floor concrete.
동바리를 이용하여 기계실 지붕을 시공하는 경우 지붕 슬라브의 양생, 동바리 해체까지 엘리베이터 공사가 대기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진다. 또한 기계실과 계단실을 같이 콘크리트 타설하는 경우(코어 전체를 동일 시공), 작업기간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When constructing a machine room roof using a slab,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er because the elevator construction must wait until the roof slab is cured and the slab is dismantled. In addition, when pouring concrete for the machine room and stairwell together (constructing the entire core in the same manner), the construction period is further extended.
종래(기존)의 엘리베이터 기계실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machine room is as follows.
1. 최상층 벽체 골조 시공(49층 벽체 및 50층 바닥)1. Construction of the top floor wall frame (49th floor wall and 50th floor floor)
2. 옥탑층 벽체 시공 (50층 벽체) - 받침보용 구멍 선시공(벽체)2. Rooftop wall construction (50th floor wall) - Pre-construction of holes for support beams (wall)
3. 벽체 내부 갱폼(알폼), 작업발판 해체(타워크레인 이용) - 빈공간 형성됨 3. Dismantle the inner gang form (alform) and work platform (using a tower crane) - a void is created.
4. 받침보, 받침판 설치 (옥탑층(50층) 바닥 레벨) - 옥상으로 나가는 층4. Installation of support beams and support plates (rooftop (50th floor) floor level) - floor leading to the rooftop
5. 옥탑층 동바리 설치 (50층 바닥 ~ 51층 바닥(기계실 바닥))5. Rooftop floor bunk installation (50th floor ~ 51st floor (machine room floor))
6. 기계실 바닥(51층) 콘크리트 (기계실 바닥에 형틀, 철근) - 기계실 바닥완성6. Machine room floor (51st floor) concrete (formwork, rebar on machine room floor) - Machine room floor completed
*7. 기계실 바닥(51층) 콘크리트 양생*7. Concrete curing of the machine room floor (51st floor)
8. 기계실 내부에 동바리 설치 (51층 바닥 ~ 52층 바닥(기계실 바닥~천정))8. Installation of a siding inside the machine room (51st floor ~ 52nd floor (machine room floor ~ ceiling))
기계실 벽체 및 지붕 - 철근 및 형틀공사 동시진행Machine room walls and roof - Reinforcement and formwork work carried out simultaneously
9. 기계실 천정 슬래브 콘크리트 (기계실 천정에 형틀, 철근) - 기계실 완성9. Machine room ceiling slab concrete (formwork, rebar on machine room ceiling) - Machine room completed
10. 기계실 천정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10. Curing of concrete ceiling slab in machine room
11. 기계실 내부 동바리 해체, 내외부 형틀 해체11. Dismantle the inner and outer formwork of the machine room.
12. 엘리베이터 권상기 기계실 내부로 반입(타워크레인 양중 후 창문을 통해서 경사지게 유도해서 반입, 반입이 어려움)12. Bringing it into the elevator machine room (after the tower crane is lifted, it is brought in by guiding it at an angle through the window, making it difficult to bring it in)
13. 엘리베이터 설치 시작(개통까지 90일 소요)13. Start of elevator installation (90 days until opening)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공사 과정을 단순화하고 기간을 단축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devise a new method for simplifying the elevator machine room construction process and shortening the period.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엘리베이터 기계실 골조공사 방법을 단순화하고 안전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실 바닥 윗부분에 철골 칼럼 또는 철골보를 형성한 후 칼럼, 보에 바닥 형틀(데크 플레이트)을 와이어 등으로 메달아 시공하는 무지주 방법으로 바닥으로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nd ensure the safety of the elevator machine room skeleton construction method of an apartment complex an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The method comprises forming a steel column or steel beam on the upper part of the machine room floor, and then constructing a floor formwork (deck plate) by hanging it from the column or beam with wire or the like, thereby forming a floor using a non-supporting method.
최상층(49층) 이후 옥탑층 벽체 윗부분에 앵커 철골 기둥을 설치한 후 옥탑층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옥탑층 골조와 기계실 바닥 보다 높게 올라온 앵커 철골 기둥(말뚝)을 4개 이상 설치한다.After installing anchor steel columns on the upper part of the rooftop wall from the top floor (49th floor), pour the rooftop concrete and install at least four anchor steel columns (piles) higher than the rooftop frame and the machine room floor.
샤프트 내부 알폼, 갱폼, 작업발판(RCS)를 위로 빼낸다.Remove the shaft inner foam, gang foam, and working platform (RCS) upwards.
상기 앵커 칼럼에 와이어 등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메달아 기계실 바닥 형틀을 고정시킨다. The deck plate is hung from the above anchor column using wire, etc., and the machine room floor formwork is fixed.
또는 상기 앵커 칼럼에 철골보를 설치한 후 와이어 등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메달아 기계실 바닥 형틀을 고정시킨다. Or, after installing a steel beam on the above anchor column, a deck plate is hung with wire, etc. to secure the machine room floor formwork.
또는 상기 앵커 칼럼에 철골기둥을 추가로 연장 설치한 후 기계실 지붕 철골보를 설치한 후 철골보에 와이어 등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메달아 기계실 바닥 형틀을 고정시킨다. Or, after additionally extending the steel column to the above anchor column and installing the steel beam for the roof of the machine room, a deck plate is hung from the steel beam using wire, etc. to secure the machine room floor formwork.
기계실 바닥에 데크 플레이트가 고정되면 바닥 철근을 깐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계실 바닥 골조를 완성한다.Once the deck plate is fixed to the machine room floor, floor reinforcement is laid and concrete is poured to complete the machine room floor frame.
권상기와 하부 철골빔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기계실 바닥에 내려 놓는다.The hoist and lower steel beam are lowered to the machine room floor using a tower crane.
기계실 벽체 외부 갱폼 인상, 벽체 및 지붕철근, 내부벽체 형틀을 시공한 후 기계실 벽체 지붕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After constructing the external gang form of the machine room wall, the wall and roof reinforcement, and the internal wall formwork, the machine room wall roof concrete is poured.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시작한다.Elevator installation work begins.
옥탑층~기계실 공사기간이 종래의 시공방법으로는 45일 정도 소요되었으나 수일내로 단축된다. 사업의 전체공사기간이 1개월 이상 단축된다(예 40개월에서 39개월로 단축).The rooftop ~ machine room construction period, which used to take about 45 days with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s, has been shortened to a few days. The entire construction period of the project has been shortened by more than a month (e.g., from 40 months to 39 months).
경제적인 측면으로서 다수의 호이스트를 조기에 해체 할 수 있으므로 호이스트 임대비용이 줄어들고 호이스트 구간 각층 마감공사를 조기에 시작할 수 있어 공기단축 또는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From an economic perspective, since multiple hoists can be dismantled early, the cost of hoist rental is reduced, and the finishing work on each floor of the hoist section can be started ear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r ensuring quality.
지붕의 옥탑공사가 조기에 완료되고 이에 따라 고가의 임대장비인 여러대의 CPB(콘크리트 타설장비)와 타워크레인을 조기에 해체할 수 있다.The roof construction work will be completed early, which will allow for the early dismantling of several CPB (concrete placing machines) and tower cranes, which are expensive rental equipment.
공기가 단축되어 아파트 사업전체의 금융비용을 줄어든다.The air is shortened, reducing the financial cost of the entire apartment project.
입주자들이 조기에 입주하여 행복한 삶을 빠르게 경험한다.Tenants move in early and quickly experience a happy life.
건설회사, 골조회사, 수많은 마감공사 회사, 전기 설비회사의 직원들의 현장 근무기간이 줄어들어 인건비와 현장관리비가 줄어든다.The on-site working period of employees of construction companies, framing companies, numerous finishing companies, and electrical installation companies is reduced, reducing labor costs and on-site management costs.
기계실 바닥을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므로 하부의 동바리(서포트)가 필요없다. 옥탑층 샤프트 내부에서의 바닥재, 동바리, 슬라브 형틀의 설치 해체 작업이 필요없어 시간을 단축하고 안전위험이 없다.Since the machine room floor uses a deck plate, there is no need for a support underneath. There is no need to install or dismantle the floor material, support, or slab formwork inside the rooftop shaft, which saves time and eliminates safety hazards.
기계실 바닥 하부 벽체에 앙카, 브라켓, 앵글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추후 해체 또는 녹으로 인한 낙하위험이 없다.Since no anchors, brackets, or angles are installed on the lower walls of the machine room floor, there is no risk of falling due to later dismantling or rust.
*기계실 바닥을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므로 기계실 하부 및 샤트프 내부에 동바리(서포트)가 필요없고 이에따라 자재 양중, 설치, 해체 작업이 삭제된다. *Because the machine room floor uses a deck plate, there is no need for support under the machine room and inside the shaft, and thus material lifting,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are eliminated.
기계실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에 동바리 설치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빈 공간에서 작업함(받침파이프, 받침판)으로 인한 추락사고의 위험이 제거된다.The risk of falling accidents due to working in the empty space of the elevator shaft to install support (support pipe, support plate) to form the machine room floor is eliminated.
기계실 바닥 하부에 자재 및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바닥을 시공할 수 있다.Since materials and workers do not enter the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floor, the floor can be constructed safely and quickly.
벽체에 매립되어 강력하게 고정되는 철골 기둥 또는 철골 기둥에 연결된 철골보를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메달아 다수 지점에서 데크 플레이트가 지지되므로 추락, 낙하, 탈락의 위험이 없다.The deck plate is suspended using steel columns or steel beams connected to steel columns that are strongly fixed and embedded in the wall, and the deck plate is supported at multiple points, so there is no risk of falling, dropping, or detachment.
벽체내부의 철골기둥 또는 철골보의 위치로부터 기계실 바닥 구멍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구멍 슬리브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바닥 철근 시공방안도 명확하게 수립할 수 있다.Since the location of the machine room floor hol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of the steel columns or steel beams inside the wall, the hole sleeve can be fixed in the exact location and the floor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can also be clearly established.
앙카 철골기둥에 와이어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추락방지망을 샤프트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Fall arrest nets can be installed inside the shaft by fixing them to anchor steel columns using wire or rope.
철골기둥을 이용하여 안전난간대 또는 안전로프를 설치하면 안전시설로 확보된다. If a safety railing or safety rope is installed using a steel column, it is secured as a safety facility.
철골보에 작업자의 안전대(안전벨트)를 메달아 사용할 수 있어 추락을 예방할 수 있다.Workers can wear safety belts attached to steel beams to prevent falls.
기계실층 동바리(서포트)가 필요 없으므로 기계실 지붕의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이 기계실 공간이 형성되고 가장 중요한 엘리베이터 권상기를 조기에 설치할 수 있다.Since there is no need for machine room floor supports, there is no need to wait for the concrete of the machine room roof to cure, allowing the machine room space to be formed and the most important elevator traction machine to be installed early.
권상기 모터와 하부 철골빔을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제자리에 놓을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감소한다. 기계실 지붕 철골보에 설치된 고리를 조기에 이용할 수 있어 조기에 권상기를 제자리에 설치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설치 시작이 빨라진다.The hoist motor and lower steel beam can be placed vertically in place using a tower crane,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e hook installed on the machine room roof steel beam can be used early, allowing the hoist to be installed in place early, thus accelerating the start of elevator installation.
데크 플레이트 위에 기계실 바닥 구멍용 슬리브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설치 시작(형판, 피아노선 내림 등)이 빨라진다. Accurately constructing sleeves for machine room floor holes on deck plates speeds up elevator installation (lowering templates, piano wires, etc.).
만약 기계실층 철골 구조물을 지상에서 조립하고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설치하는 경우, 안전하고 신속하게 기계실 철골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If the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is assembled on the ground and then lifted and installed using a tower crane, the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can be completed safely and quickly.
도 1은 코어 평면도
도 2는 엘리베이터 벽체의 평면도
도 3은 49층, 옥탑층, 엘리베이터 기계실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앙카 칼럼에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작업분류체계 예시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앙카 칼럼에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공정표 예시
도 7은 도 5 공정표의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순서도)
도 8 내지 도 12는 도 7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의 부분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앙카 칼럼에 중간보를 설치하고 중간보에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작업분류체계 예시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강보에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공정표 예시
도 16은 도 14 공정표의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순서도)
도 17 내지 도 21은 도 16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의 부분 상세도
도 22은 본 발명에 따른 앙카 칼럼에 지붕보를 설치하고 지붕보에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작업분류체계 예시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강보에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공정표 예시
도 25은 도 23 공정표의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순서도)
도 26 내지 도 30은 도 25 전체 로직 다이어그램의 부분 상세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옥탑층 코어벽체 타설시 앙카 칼럼을 설치한 예시
도 32는 옥탑층 코어벽체 타설후 내부 알폼을 제거하는 과정
도 33은 추락방지망을 설치하는 과정
도 34는 앙카 칼럼에 데크를 매다는 과정
도 35는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 타설
도 36은 권상기 설치
도 37은 기계실 벽체 및 지붕 철골구조물 양중과정
도 38은 기계실 벽체 및 지붕 철골구조물 설치
도 39은 기계실 외부 벽체 갱폼 인상
도 40은 기계실 지붕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도 41내지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옥탑층 앙카 칼럼에 매다는 방식의 단면도 예시
도 53 내지 도 55는 앙카 칼럼 고정장치의 예시
도 55는 와이어 방식
도 56 내지 도 57은 중간보에 매다는 방식
도 58은 지붕보에 매다는 방식
도 59내지 도 64는 본 발명에 따른 앙카 칼럼에 매다는 방식의 평면도 예시
도 65는 중간보 또는 지붕보에 매다는 방식의 평면도 예시Figure 1 is a core plan view.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wall.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49th floor, rooftop, and elevator machine room floors.
Figure 4 is an example of a work classification system for a method of hanging a deck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examples of process charts of a method for hanging a deck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the overall logic diagram (flow chart) of the process table of Figure 5.
Figures 8 to 12 are partial detailed views of the entire logic diagram of Figure 7.
Figure 13 is an example of a work classification system for a method of installing an intermediate beam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anging a deck on the intermediate beam.
Figures 14 and 15 are examples of process charts of a method for hanging a deck on a mid-lev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the overall logic diagram (flow chart) of the process table of Figure 14.
Figures 17 to 21 are partial detailed views of the entire logic diagram of Figure 16.
Figure 22 is an example of a work classification system for a method of installing a roof beam on an anchor column and suspending a deck on the roof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3 and 24 are examples of process charts of a method for hanging a deck on a mid-lev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the overall logic diagram (flow chart) of the process table of Figure 23.
Figures 26 to 30 are partial detailed views of the entire logic diagram of Figure 25.
Figure 31 is an example of installing an anchor column when pouring a rooftop cor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nternal foam after pouring the rooftop core wall.
Figure 33 shows the process of installing a fall prevention net.
Fig. 34 shows the process of hanging a deck on an anchor column.
Fig. 35: Concrete pouring for the machine room floor
Fig. 36 shows the installation of a winding machine.
Figure 37 shows the process of lifting the machine room wall and roof steel structure.
Fig. 38 shows the installation of the machine room wall and roof steel structure.
Fig. 39 is an impression of the external wall of the machine room.
Fig. 40: Concrete pouring of machine room roof slab
Figures 41 to 5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method of hanging on a rooftop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3 to 55 are examples of anchor column fixing devices.
Fig. 55 is wire method
Figures 56 and 57 are methods of hanging on an intermediate beam.
Fig. 58 is a method of hanging on a roof beam.
Figures 59 to 64 are plan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method of hanging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5 is an example of a plan view of a method of hanging from a middle beam or roof beam.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엘리베이터 기계실 철골구조는 최상층 세대의 그 윗층인 옥탑층 엘리베이터 샤프트 벽체내에 상부 기계실 철골 기둥이 매립되어 설치됨으로써, 기계실 바닥 공사를 먼저 시공하도록 하고, 그 위에 엘리베이터 선시공 운행을 위한 권상기(양중용 윈치)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structure of an elevator machine room in an apartment complex is installed by embedding an upper machine room steel column in the wall of an elevator shaft on the rooftop floor of the highest unit, thereby allowing construction of the machine room floor first, and then installing a winch (double-head winch) for elevator pre-construction operation thereon, thereby enabling construction of the elevator structure.
먼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엘리베이터 벽체내부에 앙카 칼럼을 설치한 후 상기 앙카 칼럼을 이용하여 기계실 바닥 데크 플레이트를 매달아 시공하는 앙카 칼럼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을 예시를 통하여 설명한다.First,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nchor column, in which an anchor column is installed inside an elevator wall and a machine room floor deck plate is hung using the anchor column, is explained through an example.
도 1은 49층 아파트의 2개의 코어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왼쪽에 2대의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는 샤프트가 있고 중앙에는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홀이 있다. 홀에는 설비 수직 배관 샤프트 벽체 일부 공간과 벽체가 포함되어 있다. 오른쪽에는 계단이 있다. 아래쪽으로는 2개의 세대 현관문이 있다.Figure 1 is a floor plan of one of the two cores of a 49-story apartment building. On the left is a shaft carrying two elevators, and in the center is a waiting hall for the elevators. The hall includes a portion of the vertical piping shaft wall and a wall. On the right is a staircase. Below are two entrance doors to the apartments.
도 2는 엘리베이터 벽체의 평면도이다. 벽체의 길이는 약 6m이고, 폭은 3m이고 외부벽체의 두께는 60cm이고 엘리베이터 홀에 속하는 내부벽체의 두께는 30cm이다. Figure 2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wall. The wall is about 6 m long, 3 m wide, 60 cm thick on the exterior wall, and 30 cm thick on the interior wall belonging to the elevator hall.
도 3은 옥탑층, 기계실층의 단면도이다. 49층 다음은 옥탑층이며 높이는 3.8m이고 기계실층은 3.6m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oftop and machine room floors. The rooftop floor is next to the 49th floor and is 3.8 m high, while the machine room floor is 3.6 m high.
도 4 본 발명에 따른 앙카 칼럼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의 업무분류체계 또는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이다. Figure 4 is a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or work breakdown structure of a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9층 최상층 세대 완료 후 50층인 옥탑층과 마지막층인 기계실의 골조을 완성하기 위한 작업들이 분류되어 있다. 붉은색으로 표기된 작업은 본 발명에서 새로 고안한 작업들이다. L1에서 L은 Level의 약자이다.After completing the top floor of the 49th floor, the work to complete the frame of the rooftop floor and the mechanical room on the last floor is classified. The work marked in red is a new work designed in this invention. L in L1 is an abbreviation for Level.
도 5내지 도 6는 앙카 칼럼을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의 공정표이다. 공정표는 공정표 작성 전문 전산 프로그램인 MS-Project로 작성되었다.Figures 5 and 6 are process tables for deck construction using anchor columns. The process tables were created using MS-Project, a computer program specialized in creating process tables.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첫 번째 칼럼에는 작업의 번호인 ID가 있고, 작업의 이름, 세 번째 칼럼에는 본 발명의 특징이라는 항목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고안한 새로운 공사방법의 항목은 별표로 표기되어 있다. 오른쪽 부분의 바 챠트 영역의 상단 1,2,3는 공사의 단계를 나타내며 날짜(작업일수)는 아니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lumn has an ID, which is a work number, and the name of the work, the third column has an item called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tem of a new construction method dev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rked with an asterisk. The upper 1, 2, and 3 of the bar chart area on the right side indicate the stages of the construction, not the date (the number of work days).
옥탑층은 공정표의 ID1번부터 ID7번까지이며, 49층 다음의 층이며 옥상으로 나가는 바닥과 문이 있고 49층 엘리베이터와 기계실층과의 중간에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는데 필요한 여유공간의 역할을 한다.The rooftop is the floor numbered from ID1 to ID7 on the construction schedule, and is the floor after the 49th floor. It has a floor and door leading to the rooftop, and serves as an extra space needed to operate the elevator between the 49th floor elevator and the machine room floor.
49층 등 세대는 층고가 2.8m이지만, 옥탑층은 3.8m로써 높아 갱폼 및 내부 알폼의 높이가 2.8m에 해당하므로 엘리베이터 벽체 콘크리트를 2번에 나누어 타설해야 한다. The 49th floor and other units have a floor height of 2.8 m, but the rooftop is 3.8 m high, so the height of the gang form and internal aluminum form is 2.8 m, so the elevator wall concrete must be poured in two parts.
1차는 2.5m 내지 2.8m를 타설한 후 2차는 1.3m 내지 1.0m를 타설한다.The first layer is poured 2.5 m to 2.8 m, and the second layer is poured 1.3 m to 1.0 m.
1차 콘크리트를 타설 후 2차를 타설할 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벽체 내부에 앙카 칼럼을 설치한다. When pouring the second concrete after pouring the first concrete, an anchor column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앙카 칼럼은 땅에 박힌 말뚝처럼 아래부분은 옥탑층 2차 벽체에 묻히고 윗부분은 기계실 벽체 부분에 노출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The anchor column is like a stake driven into the ground, with the lower part buried in the secondary wall of the rooftop floor and the upper part exposed to the wall of the machine room.
앙카 칼럼을 설치하는 목적은 벽체에 매립되어 강하게 고정된 앙카 칼럼의 상단 또는 기둥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한쪽은 데크 플레이트에 연결하여 데크를 매달아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함이다.The purpose of installing an anchor column is to attach a wire to the top or pillar of an anchor column that is embedded in a wall and strongly fixed, and to suspend the deck by connecting one end to a deck plate to pour concrete for the machine room floor.
와어어는 여러가닥의 철사가 나선형으로 꼬여진 줄로서 자재를 양중할 때 사용한다.A wire rope is a rope made up of several wires twisted into a spiral shape and is used to lift materials.
앙카 칼럼 또 다른 기능은 앙카 칼럼에 와이어를 매달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부에 추락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함이다.Another function of the anchor column is to hang wires from the anchor column and install fall protection nets inside the elevator shaft.
앙카 칼럼 또 다른 기능은 앙카 칼럼에 기계실 벽체 철골과 지붕의 철골구조물을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붕의 철골구조물은 지붕에 데크 플레이트로 시공하여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아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Another function of the anchor column is to connect the steel frame of the machine room wall and the steel structure of the roof to the anchor column. The steel structure of the roof is constructed with a deck plate on the roof,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without using a sill.
앙카 칼럼은 벽체 내부의 철근 또는 별도의 고정 장치를 통해 고정된다. 앙카 칼럼은 옥탑층 2차 벽체에 60cm 정도 매립되고 50cm 내지 100cm 정도 기계실 벽체 위로 나와 있을 수 있으며 자세한 규격과 구조는 구조계산에 따른다. Anchor columns are fixed through rebar inside the wall or through separate fixing devices. Anchor columns are embedded in the secondary wall of the rooftop floor by about 60 cm and can be protruded above the machine room wall by about 50 cm to 100 cm. Detailed specifications and structures are based on structural calculations.
앙카 칼럼의 정확한 위치와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칼럼간을 연결하는 수평 자재(철골 파이프, 각 파이프, 철근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앙카 칼럼에는 볼트 구멍, 홈을 내어 다른 부재를 연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fix the exact position and height of the anchor column, horizontal materials (steel pipes, angle pipes, rebar, etc.) can be used to connect the columns. Bolt holes and grooves can be made in the anchor column to allow other materials to be connected.
앙카 칼럼을 정확한 위치와 높이로 고정하기 위하여, 샤프트 벽체 외부의 갱폼, 내부의 알폼과 엘리베이터 홀 부분의 바닥 알폼에 고정 장치를 설치하여 앙카 칼럼을 볼트,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어 앙카 칼럼이 고정되면 해체한다.In order to fix the anchor column at the correct position and height, fixing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gang form outside the shaft wall, the inner form, and the floor form in the elevator hall area, and the anchor column is fixed by bolting, welding, etc. The fixing devices are dismantl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anchor column is fixed.
앙카 칼럼을 시공하는 또 다른 방법은 옥탑층 벽체 2차 콘크리트 타설 후 앙카 칼럼을 콘크리트 내부로 삽입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점점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갈 때 앙카 칼럼의 정확한 위치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Another way to install anchor columns is to insert anchor columns into the concrete after the secondary concrete for the rooftop walls has been poured, and then workers can manually adjust the exact position of the anchor columns and fix them in place as the concrete hardens over time.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어지면 앙카 칼럼은 강력하게 고정되고 구조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기계실 바닥 데크를 매다는 것과 상부의 철골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As the concrete cures and hardens, the anchor columns are strongly fixed and function as a structure, suspending the machine room floor deck and supporting the steel structure above.
앙카 칼럼은 엘리베이터 벽체내에 매립되므로 그 크기는 벽체 보다 작으며 벽체 두께가 300mm 내지 600mm이므로 칼럼은 100mm*100mm 내지 150mm*150mm 규모의 H 형강, I형강, 알루미늄 바 또는 각 파이프 형태가 바람직하다. Since the anchor column is embedded in the elevator wall, its size is smaller than the wall, and since the wall thickness is 300 mm to 600 mm, the colum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n H-shaped steel, I-shaped steel, aluminum bar, or square pipe measuring 100 mm*100 mm to 150 mm*150 mm.
앙카 칼럼은 벽체 내부의 철근에 고정되는 방법, 외부 갱폼과 내부 알폼 상단에 수평재를 연결하고 수평재에 앙카 칼럼을 고정하는 방법, 바닥이 평평한 형태의 철판을 덧붙여 모르타르로 평탄화된 1차 벽체 상부면위에 앙카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방법 등으로 고정된다. Anchor columns are fixed by a method such as fixing them to the reinforcing bars inside the wall, a method of connecting horizontal members to the top of the external gang form and internal alform and fixing the anchor column to the horizontal members,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m by attaching a flat steel plate to the top surface of the primary wall that has been leveled with mortar and fixing it with an anchor bolt.
칼럼의 설치 위치는 벽체의 4곳의 모서리와 벽체의 중간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2대를 포함하는 전체 벽체 또는 1대 부분만에 대하여 칼럼을 설치할 수 있다.The column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wall and in the middle of the wall. The column can be installed for the entire wall including two elevators or only for one part.
앙카 칼럼은 벽체 내부에 설치되며, 옥탑층(3.8m)은 2회에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므로 기계실 바닥까지 올라오는 벽체 2차 타설시 벽체 내부에 매립되며 기계실 바닥보다 60cm 내지 1m정도 올라오는 것이 바람직하다.Anchor columns are installed inside the wall, and since the rooftop (3.8 m) requires concrete to be poured in two stages, they are embedded inside the wall when the second stage of pouring the wall goes up to the machine room floor, and it is desirable that it be 60 cm to 1 m higher than the machine room floor.
앙카 칼럼이 고정되면, 옥탑층 벽체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옥탑층 벽체를 완성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벽체는 슬라브와 달리 다음날 내부 알폼 등을 해체할 수 있다.Once the anchor column is fixed, the second layer of concrete for the rooftop wall is poured to complete the rooftop wall. Once the concrete is poured, the wall, unlike the slab, can be dismantled the next day to remove the internal foam, etc.
벽체 외부의 갱폼은 기계실까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벽체 내부의 알폼과 작업발판 RCS는 해체해야 한다. 기계실 바닥 슬라브가 시공되면 더 이상 위로 올라갈 수 없고 아래쪽으로 해체해야 하며 이때는 작업이 위험하기 때문이다.The gang form outside the wall can be used continuously up to the machine room. However, the alform and work platform RCS inside the wall must be dismantled. Once the machine room floor slab is constructed, it cannot be moved upwards any further and must be dismantled downwards, which is dangerous work at this time.
기계실 바닥이 시공된다는 것은 160m 높이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두껑을 덮는 것이며, 마치 굴뚝의 두껑을 덮는 것과 같아 그 안에 든 형틀, RCS는 두껑이 덮히면 그 안에 갇히게 된다. 유리병의 뚜껑이 닫히기 전에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것과 같다.The construction of the machine room floor is like putting a lid on a 160m high elevator shaft, and it is like putting a lid on a chimney. The molds and RCS inside are trapped inside when the lid is put on. It is lik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a glass bottle before it is closed.
벽체 내부의 알폼은 인력에 의해 한 판씩 외부로 들어낼 수 있으며, 작업발판 RCS는 무게가 무거우므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상1층으로 내려 놓은다.The foam inside the wall can be lifted out one sheet at a time by manpower, and the working platform RCS is heavy, so it is lowered to the first floor using a tower crane.
작업발판 RCS가 해체되면 샤프트 내부는 지하까지 낭떠러지 이므로 추락방지시설 또는 안전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과거에는 벽체 내부에 구멍을 내고 수평재를 삽입하여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있다.When the working platform RCS is dismantled, the inside of the shaft is a cliff all the way to the ground, so fall prevention facilities or safety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In the past, safety facilities were installed by drilling holes inside the wall and inserting horizontal materials.
본 발명에서는 앙카 칼럼을 이용하여 안전망을 설치하며, 앙카 칼럼에 와이어나 로프를 매달거나, 앙카 칼럼 상부에 구멍을 내거나, 브라켓을 설치하여 와이어를 고정시킨다. 추락방지 그물망을 샤프트 내부에 내리고 6개의 앙카 칼럼에 묶어서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샤프트에 그물이 덮여지고 작업자, 자재, 데크가 낙하시 막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net is installed using an anchor column, and a wire or rope is hung on the anchor column, a hole is made in the upper part of the anchor column, or a bracket is installed to fix the wire. A fall prevention net is lowered into the shaft and fixed by tying it to six anchor columns. In this way, the net covers the shaft and prevents workers, materials, and decks from falling.
상기 과정을 통해 옥탑층 벽체시공과 내부 형틀해체 및 안전시설이 구비되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ooftop wall construction, internal formwork dismantling, and safety facilities were installed.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을 이용하여 매다는 방법으로 기계실 바닥에 데크 플레이를 시공하는 예시를 나타낸다.The following shows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deck play on a machine room floor by hanging it using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기계실층의 바닥공사는 도 5 공정표의 ID 9번부터 ID 18번까지이다. The floor construction of the machine room floor is from ID 9 to ID 18 in the process table of Figure 5.
기계실 바닥에 놓여질 데크 플레이트는 앙카 칼럼에 매달리게 되는 방법이다.The deck plate to be placed on the machine room floor is hung from anchor columns.
기계실 바닥 데크 플레이트는 앙카 칼럼에 와이어 등으로 고정되거나, 기계실 중간보 또는 지붕보에 와이어 등으로 메달아 진다. 즉, 데크 플레이트는 상부의 수직재 또는 수평재에 매달아지는데 본 예시에서는 먼저 앙카 칼럼에 공정되는 것을 나타낸다.The machine room floor deck plate is fixed to an anchor column with wire, etc., or hung from a machine room intermediate beam or roof beam with wire, etc. That is, the deck plate is hung from an upper vertical member or horizontal member, and this example shows it being hung first on an anchor column.
와이어는 앙카 칼럼과 데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데크의 하중을 앙카 칼럼으로 전달한다. 와이어는 철선이 나선형 묶음 또는 로프이며 데크의 하중을 견디는 구조이다.The wire performs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anchor column and the deck and transmits the load of the deck to the anchor column. The wire is a spiral bundle or rope of steel wire and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deck.
와이어와 데크간의 연결방법은 사각형의 데크 모서리 부분에 구멍을 내고 와이어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방법, 한 쪽 모서리 구성으로 와이어가 내려 들어간 다음 다음 모서리 구멍으로 올라와 데크를 떠 받치는 방법, 데크 하부에 각재를 추가로 대고 와이어를 각재 내부로 통과시켜 각재가 하중을 받도록 하는 방법, 와이어가 지나는 데크 평면부분을 보강하여 데크가 받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Methods for connecting wires to decks include a method in which a hole is drilled in a square deck corner and the wire is passed through it to connect, a method in which the wire is lowered into a corner configuration and then raised through the next corner hole to support the deck, a method in which lumber is additionally placed under the deck and the wire is passed through the lumber so that the lumber can bear the load, and a method in which the flat portion of the deck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reinforced so that the deck can bear the load.
와이어와 앙카 칼럼간의 연결방법은 말뚝처럼 묶어서 고정하는 방법, 앙카 칼럼 상부에 구멍을 내고 와이어를 그 구멍에 통과시켜 고정하는 방법, 앙카 칼럼에 브라켓이 설치되는 경우 브라켓에 고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Methods of connecting wires to anchor columns include a method of fixing them by tying them like a stake, a method of fixing them by making a hole in the top of the anchor column and passing the wire through the hole, and a method of fixing them to a bracket when a bracket is installed on the anchor column.
데크 플레이트가 와이어로 매달아지고 철근, 작업자,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는 데크 플레이트의 사변 모서리에 구멍을 내고 데크 아래로 와이어를 넣어 반대쪽 구멍으로 나와 보에 앙카 칼럼에 매다는 방식을 사용된다. 이때 와이어로 인하여 모서리의 구멍이 찢어지거나 데크가 휠 수가 있기 때문에 데크 하부에 사각형 파이프(각재), 원형 파이프로 받히고 파이프 내부로 와이어를 통과시켜 하중을 파이프(각재)가 받도록 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In order for the deck plate to be hung with wire and to withstand the load of rebar, workers, and concrete, a method is used in which holes are made in the corners of the four sides of the deck plate, wires are passed under the deck, and the wires come out through the opposite holes and are hung on anchor columns in the beam. At this time, the wire may tear the holes in the corners or bend the deck, so the load can be distributed by passing the wire through the inside of the pipes to support the deck with square pipes (lumber) and round pipes.
데크 하부에 있는 파이프와 와이어는 슬라브 타설 후 나중에 엘리베이터 설치시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해체한다. 이로써 샤프트 내부에는 아무런 자재가 없고 수십년후에도 낙하물이 없게 된다.The pipes and wires under the deck are removed from the elevator car later when the elevator is installed after the slab is poured. This leaves no material inside the shaft and prevents any falling objects even after decades.
데크 플레이트는 샤프트 중 짧은 단변 방향으로 시공되며, 4장 내지 6장 정도 놓이며 일부가 서로 겹치며 일반적인 데크 플레이트 보다 바닥판 강도가 높은 특수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deck plates are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of the shaft, and are laid in 4 to 6 pieces, some of which overlap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use special ones with higher floor strength than general deck plates.
*데크 플레이트의 크기는 엘리베이터의 샤프트 폭(3m)과 같거나 1cm ~ 2cm정도 크다. 샤프트 폭과 같으면 콘크리트가 벽체와 데크 사이로 일부가 아래로 내려갈 수가 있으므로 접합부를 콘크리트 누수 방지 재료(철제 망)로 막는다. 1cm ~ 2cm정도 크면, 데크가 벽체위에 올려질 수 있고 못 등으로 벽체 상부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콘크리트 아래로 새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벽체 상부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벽체 상부 콘크리트를 평평하게 마무리해야 한다.*The size of the deck plate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elevator shaft (3m) or 1cm to 2cm larger. If it is the same as the shaft width, some of the concrete may go down between the wall and the deck, so block the joint with a concrete leak prevention material (steel mesh). If it is 1cm to 2cm larger, the deck can be placed on the wall and fixed to the top of the wall with nails, etc. Then, it will not leak under the concrete. To this end, when pouring the concrete on the top of the wall, the concrete on the top of the wall must be finished flat.
데크 플레이트의 높이와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줄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와이어에 턴 버클을 연결하고 턴 버클을 돌리면 와이어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게 되어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한다.In order to precisely adjust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deck plate, a device that can finely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is required. To do this, a turnbuckle is attached to the wire, and when the turnbuckle is turned, the length of the wire is shortened or lengthened, there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데크 플레이트와 와이어의 연결은 기계실 층 바닥에서 시공하여야 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비록 추락방지망이 설치되어 있지만 샤프트 상부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여건이 좋지 않다. 이를 위해 옥상 또는 지상에서 앙카 칼럼과 데크 및 와이어를 미리 조립하고 실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한지 실험 목업 테스트를 해야 한다.The connection of the deck plate and wires must be constructed on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so the work space is narrow, and although a fall prevention net is installed, the work must be done on the top of the shaft, so the conditions are not good. To this end, the anchor column, deck, and wire must be assembled in advance on the roof or ground, and actual concrete must be poured to conduct an experimental mock-up test to confirm structural stability.
이에 따라 지상에서 미리 구조 시험을 하고, 와이어의 줄 길이, 데크와의 와이어 연결방법, 앙카 칼럼과의 와이어 연결방법을 정확하게 조정하였으므로 기계실층에서 바로 연결만하면 데크 설치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by conducting structural tests on the ground in advance and precis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wire to the deck,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wire to the anchor column, the deck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by simply connecting it on the machine room floor.
기계실 바닥 데크가 설치되면, 그 위에 철근과 슬리브를 시공한다. Once the machine room floor deck is installed, rebar and sleeves are constructed on top of it.
데크 플레이트 철근은 슬리브의 위치를 피하여 배근하고 슬리브 주변의 높은 하중을 견디는 철근 보강을 미리 지상1층에서 선시공할 수 있다. 바닥철근은 데크 플레이트에 이미 철근이 되어 있고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을 몇 시간내에 시공한다.Deck plate reinforcement can be arranged to avoid the location of the sleeve, and reinforcement to withstand the high load around the sleeve can be pre-installed on the first floor above ground. The floor reinforcement is already installed in the deck plate, and the lower and upper reinforcement can be installed within a few hours.
슬리브는 엘리베이터 로프, 전기선, 피아노선 등을 위하여 바닥에 10개 이상의 구멍을 만드는 자재이다. 즉,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형틀 기능을 하여 구멍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구멍은 피아노선, 권상 로프, 가이드 레인 기준선 등을 지하까지 내려보내기 위한 것이므로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Sleeves are materials that create more than 10 holes in the floor for elevator ropes, electric cables, piano cables, etc. In other words, they function as a formwork to prevent concrete from entering, thereby forming holes. Since these holes are for sending piano cables, hoisting ropes, guide lane reference lines, etc. down to the ground, precision is very important.
앙카 칼럼을 이용하여 기준 위치를 측량할 수 있고 고정되고 식별과 거리측정이 용이하므로 슬리브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지상에서 선 조립시 슬리브의 위치를 미리 지정할 수 있다.The anchor column can be used to measure the reference position and is fixed, easy to identify and measure distances, so the sleeve can be installed accurately.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sleeve can be specified in advance when assembling the line on the ground.
데크 위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로프를 어디에 매달아야 하며 앙카 칼럼 상부에 안전벨트를 매어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한다. When working on the deck, a safety rope must be hung somewhere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and a safety belt must be fastened to the top of the anchor column to protect workers.
다음으로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기간을 거친다. 그러면 바닥이 완성된다. 이로써 기계실 바닥은 앙카 칼럼에 매다는 방법으로 몇일만에 완료된다. Next, the concrete for the machine room floor is poured and allowed to cure. Then, the floor is completed. With this, the machine room floor can be completed in a few days by hanging it on anchor columns.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와이어를 절단하며, 데크 하부의 추락방지망, 와이어, 각재는 엘리베이터 시공시 철거한다.After pouring the concrete, the wire is cut, and the fall prevention net, wire, and lumber under the deck are removed during elevator construction.
상기 과정을 통해 기계실 바닥이 몇 일만에 완성되었으며 엘리베이터 권상기(모터)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설치공사를 시작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achine room floor was completed in a few days, and the elevator installation work, including the elevator traction machine (motor), began.
본 방법은 샤프트내부에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은 무지주 방법이며, 샤프트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샤프트 내부에 건설자재를 설치하지 않아 자재 낙하 및 수십년 후 녹슬어 낙하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기계실 바닥을 시공한다.This method is a non-supporting method that does not install a support inside the shaft, so there is no risk of safety accidents because workers do not enter the shaft, and no construction materials are installed inside the shaft, so there is no risk of materials falling or rusting and falling after several decades. Therefore, the machine room floor is constructed quickly and safely.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을 이용하여 기계실 벽체와 지붕을 시공하는 예시를 나타낸다.An example of constructing a machine room wall and roof using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기계실층의 벽체공사는 도 5 공정표의 ID 19번부터 ID 27번까지이며 지붕공사는 도 6의 ID 28번부터 ID 33번 까지이다.The wall construction of the mechanical room floor is from ID 19 to ID 27 in the process table of Figure 5, and the roof construction is from ID 28 to ID 33 in Figure 6.
기계실 공사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지붕 설치를 위해 기계실 내부에 동바리(비계)를 설치하는 기존의 방법이다. 동바리는 설치부터 해체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기계실을 차지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시작할 수 없어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주요 원인이다. The problem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achine room is the existing method of installing a ladder inside the machine room for roof installation. The ladder takes a lot of time from installation to dismantling, and since it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machine room, it is the main reason why the construction period increases because the elevator installation construction cannot begin.
동바리는 기계실 바닥으로부터 지붕까지 3.6m 높이이며 지붕 슬라브의 형틀을 지지하며 지중 하중을 기계실 바닥으로 전달한다.The ridge is 3.6 m high from the machine room floor to the roof, supports the formwork of the roof slab, and transfers the ground load to the machine room floo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지붕을 타설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지붕에 철골보를 설치하여 그 위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는 무지주(non supporting) 방법으로서 기계실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설치팀에게 내부 공간을 넘겨주어 엘리베이터를 조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evises a method of pouring a roof without installing a support beam, and is a method of installing a steel beam on the roof and installing a deck plate on top of it. This is a non-supporting method, which does not occupy a machine room space and allows the elevator installation team to install the elevator early,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지붕 철골보는 벽체 철골 기둥에 얹혀지고 철골 기둥은 앙카 칼럼과 연결된다. 따라서 지붕의 하중은 기계실 바닥으로 가지 않고 벽체로 이동한다.The roof steel beams rest on the wall steel columns, which are connected to anchor columns. Therefore, the roof load is transferred to the walls rather than to the machine room floor.
이를 위해 먼저 벽체 철골 기둥을 앙카 칼럼과 연결하고, 이후 지붕의 철골보를 설치한다. 벽체(기둥)와 지붕의 보가 설치되면 지붕의 형틀인 데크를 시공한 후 벽체 철근과 지붕철근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기계실 골조가 완성된다. 이후 형틀 자재를 해체하여 지상으로 내리면 공사가 종료되고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만 남게 된다.To do this, first connect the wall steel columns to the anchor columns, and then install the roof steel beams. Once the wall (columns) and roof beams are installed, the deck, which is the roof formwork, is constructed, and then the wall steel and roof steel are constructed,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machine room frame is completed. After that, the formwork materials are dismantled and lowered to the ground, and the construction is complete, and only the elevator installation work remains.
벽체 철골 기둥과 철골보를 기계실층에서 조립하는 것은 높은 위치에서 접근을 위한 이동 시설(비계)가 필요하다. 이때는 자재낙하나 작업자의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 재래적인 방법으로 동바리를 설치하는 방식에서도 마찬가지이다.Assembling the wall steel columns and beams on the machine room floor requires a mobile facility (a ladder) for access from a high position. At this time,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falling materials and the safety of workers. The same applies to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labs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이러한 고공에서의 작업에 의한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계실 철골구조물(기둥, 보)를 지상에서 미리 조립하여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앙카 칼럼과 연결시킬 수 있다. As a way to solve the safety issues caused by working at such high altitudes, the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columns, beams) can be pre-assembled on the ground, lifted by a tower crane, and connected to the anchor column.
이렇게 하면 작업자가 지붕까지 올라가 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철골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This allows for quick and safe installation of steel structures without the need for workers to climb up to the roof to install beams.
지상에서는 앙카 칼럼과 철골구조물이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사전에 앙카 칼럼과 철골구조물을 미리 조립하여 본다. On the ground, the anchor column and steel structure are pre-assembled to ensure that they are accurately connected.
앙카 칼럼과 철골 기둥과의 연결은 볼트, 용접, 연결부재를 덧대어 붙이고 조이는 방법을 사용한다.The connection between anchor columns and steel columns is made by bolting, welding, or attaching and tightening connecting members.
기둥 및 지붕보의 자재는 철골, 알루미늄 바 등 일 수 있다.The materials for columns and roof beams can be steel, aluminum bars, etc.
따라서 철골구조물은 지상에서 먼저 조립한 후 양중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각각의 부재를 기계실층에서 설치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Therefore, steel structures can be assembled on the ground first and then installed by lifting, or each member can be installed on the machine room floor.
기계실 바닥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기계실 바닥위에서 철골 기둥을 설치할 수 있고 지붕보와 데크는 비계위에서 조립할 수 있다. 지붕 데크 위의 철근 시공시에는 작업자가 데크 위까지 올라가야 하므로 별도의 접근 시설이 필요하다. 이는 종래의 방법에서도 마찬가지이다.Since the machine room floor is installed, workers can install steel columns on the machine room floor and assemble the roof beams and deck on the scaffolding. When installing the steel bars on the roof deck, workers must climb up to the deck, so separate access facilities are required. This is the same as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엘리베이터 모터인 권상기는 기계실 바닥 완료 후 타워크레인으로 수직으로 내려 놓을 수 있다. 종래에는 골조 후 반입구를 통해 비스듬히 이동시켜 작업이 어렵고 안전상의 우려가 있었다.The elevator motor, which is a hoist, can be lowered vertically by a tower crane after the machine room floor is completed.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work with and there were safety concerns because it was moved diagonally through the inlet after the frame was built.
권상기 양중 후에는 지붕 보와 지붕 데크를 덮어 지붕(뚜껑)을 완성한다. After the gable roof is raised, the roof beams and roof deck are covered to complete the roof (lid).
권상기 하부의 철재빔 또한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한다.The steel beam under the hoist is also lifted by a tower crane.
그 이후에는 권상기와 철재빔의 위치 이동은 철골보에 고리를 연결하여 체인블럭으로 이동시키며 구조 계산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조기에 권상기를 세팅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설치가 빨라진다.After that, the positioning of the hoist and steel beam is moved by connecting a ring to the steel beam and moving it with a chain block, and structural calculation is required. Accordingly, the hoist can be set up early, which speeds up the elevator installation.
기계실 벽체와 지붕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며, 그 전에 철근과 갱폼, 알폼 작업은 통상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진행된다.The machine room walls and roof concrete are poured simultaneously, and before that, the reinforcing bars, gang forms, and aluminum forms are installed using the usual and traditional methods.
다음은 도 5의 공정표를 로직 다이그램 기능으로 나타낸 것이며 공정표와 동일하다.The following is a logic diagram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 table in Fig. 5 and is identical to the process table.
도 7은 전체 공정표의 로직이다. 붉은색과 녹색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고안된 기능 작업 단계이며, 붉은색은 철골 기둥, 보와 관련된 작업이며, 녹색은 데크 외 기타이다. 박스 상단의 번호는 공정표의 ID번호 (작업번호)이고 아래칸은 작업의 이름이다.Figure 7 is the logic of the entire process table. Red and green are functional work steps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 is work related to steel columns and beams, and green is other than decks. The number at the top of the box is the ID number (work number) of the process table, and the box below is the name of the work.
도 8은 옥탑층 부분의 로직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hows the logic of the rooftop section.
도 9, 10은 기계실 바닥을 나타낸 것이다.Figures 9 and 10 show the machine room floor.
도 11, 12는 기계실 벽체와 지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s 11 and 12 show the machine room walls and roof.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이 아닌 앙카 칼럼상부에 연결된 중간보에 데크를 매다는 두 번째 방법으로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machine room floor using a second method of suspending a deck from an intermediate beam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an anchor column rather tha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앙카 칼럼은 옥탑층 벽체에 일부가 매립되고 일부는 기계실 벽체 부분에 말뚝처럼 노출되어 있다. Some of the anchor columns are embedded in the rooftop wall, while others are exposed like piles in the mechanical room wall.
앙카 칼럼 상부에 브라켓 또는 홈, 구멍을 내고 앙카 칼럼간에 수평 철골보를 설치할 수 있다. 철골보는 가로 세로 격자로 구성될 수 있고 기계실 바닥으로부터 1m 내지 1.5m정도 높이에 설치된다.A bracket or groove or hole can be drilled on the top of the anchor column, and a horizontal steel beam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anchor columns. The steel beam can be configured as a horizontal or vertical grid and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1 m to 1.5 m from the machine room floor.
중간보가 설치되면 하중은 앙카 칼럼으로 전달된다.Once the intermediate beam is installed, the load is transferred to the anchor column.
중간보에 와이어를 매달고 기계실 바닥 데크 플레이트를 매달아 시공한다.The construction is done by hanging wires on the intermediate beam and hanging the machine room floor deck plate.
중간보는 엘리베이터 벽체의 폭인 3m 단변 벽체에 매립된 앙카 칼럼 상부 부분에 설치된다. The intermediate beam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nchor column embedded in the 3m short-side wall, which is the width of the elevator wall.
중간보는 알루미늄 바, 원형 파이프, 사각 파이프(각관), 철골 빔(H형강, I형강) 등이다.Intermediate beams include aluminum bars, round pipes, square pipes, and steel beams (H-beams and I-beams).
철골 중간보는 I형강, ㄱ형강, T형강을 포함하여 높이는 10cm~15cm이고 길이는 3m 정도이다.The steel intermediate beam is made of I-beams, L-beams, and T-beams and is 10 to 15 cm high and about 3 m long.
중간보와 앙카 칼럼과의 연결방법은 앙카 칼럼에 브라켓을 추가하고 그 위에 중간보를 올려놓는 방법, 앙카 칼럼의 상단에 홈을 파고 그 홈에 중간보를 올려놓는 방법, 앙카 칼럼의 상단 부분의 원형 구멍을 내고 그 구멍안에 원형 파이프를 넣어 고정하는 방법 등이다.The methods for connecting the intermediate beam to the anchor column include adding a bracket to the anchor column and placing the intermediate beam on top of it, digging a groove in the top of the anchor column and placing the intermediate beam on the groove, and drilling a circular hole in the top of the anchor column and inserting a circular pipe into the hole and fixing it.
중간보위에 직각으로 가로보를 설치하면 샤프트 평면의 여러 지점에 와이어를 수직으로 매달 수 있고 데크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stalling crossbeams perpendicular to the midships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wires to be hung vertically at multiple points on the shaft plane and properly distributing the deck load.
기계실 지붕에 와이어를 이용하는 세 번째 방법보다 중간보를 이용하면 높이 1m 내지 1.5m 높이의 와이어 설치와 조정이 용이하고 앙카 칼럼에 고정되어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일 수 있다.Compared to the third method of using wires on the roof of the machine room, using an intermediate beam makes it easier to install and adjust the wires at a height of 1 to 1.5 m, and is structurally more stable as it is fixed to an anchor column.
도 13은 중간보를 이용하여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작업분류체계이다. 데크는 바닥에 있고 중간보는 벽체 중앙 하단에 있고 노란색으로 표기되어 서로 매다는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13 is a work classification system for a method of hanging a deck using an intermediate beam. The deck is on the floor, and the intermediate beam is at the bottom center of the wall, and is marked in yellow to indicate that they are connected by hanging each other.
붉은색은 본 발명에 따라 새로 고안된 작업들이다.The red ones are newly designed tas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내지 도 15는 중간보를 이용하여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공정표이다. Figures 14 and 15 are process charts of a method of hanging a deck using an intermediate beam.
*앙카 칼럼 설치(ID 3)후 옥탑 2차 콘크리트를 타설(ID 4)한 후 중간보를 앙카 칼럼 상부에 설치(ID 20)한 후, 기계실 바닥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ID 10~13)하며 바닥 콘크리트 타설(ID 16) 후에는 중간보를 해체(ID 21)하고 벽체 철골(ID 24)과 지붕 철골보(ID 31)와 데크(ID 32)를 시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After installing the anchor column (ID 3), pouring the secondary concrete for the rooftop (ID 4), installing the intermediate beam on top of the anchor column (ID 20), installing the machine room floor deck plate (ID 10-13), and after pouring the floor concrete (ID 16), dismantling the intermediate beam (ID 21) and constructing the wall steel frame (ID 24), roof steel frame (ID 31), and deck (ID 32).
따라서 중간보에 바닥에 매달아 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Therefor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structed by hanging it on the floor in the middle.
다음은 도 15의 공정표를 로직 다이그램 기능으로 나타낸 것이며 공정표와 동일하다.The following is a logic diagram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 table in Fig. 15 and is identical to the process table.
도 16은 전체 공정표의 로직이다. 붉은색과 녹색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고안된 기능 작업 단계이며, 붉은색은 철골 기둥, 보와 관련된 작업이며, 녹색은 데크 외 기타이다.Figure 16 is the logic of the entire process table. Red and green are functional work steps design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 is work related to steel columns and beams, and green is work related to decks and others.
도 17은 옥탑층 벽체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7 shows a section of the rooftop wall.
도 18, 19는 중간보에 데크를 매달아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ures 18 and 19 show the construction of a machine room floor by hanging a deck on an intermediate beam.
도 20, 21는 중간보 해체, 기계실 벽체와 지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s 20 and 21 show the dismantling of the intermediate beam and the machine room walls and roof.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상부에 연결된 기계실 지붕 철골보에 데크를 매다는 세 번째 방법으로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이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machine room floor using a third method of suspending a deck from a machine room roof steel beam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앙카 칼럼은 옥탑층 벽체에 일부가 매립되고 일부는 기계실 벽체 부분에 말뚝처럼 노출되어 있다. Some of the anchor columns are embedded in the rooftop wall, while others are exposed like piles in the mechanical room wall.
앙카 칼럼과 기계실 철골 구조물을 연결하여 벽체 철골 기둥과 지붕 철골보를 시공한다.The wall steel columns and roof steel beams ar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anchor column and the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지붕의 하중은 벽체 철골 기둥을 통해 앙카 칼럼으로 전달된다.The roof load is transferred to the anchor columns through the wall steel columns.
기둥과 보의 재질은 앞서 기술한 재질과 동일하다.The materials of the columns and beam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기둥과 앙카 칼럼과의 연결방법은 볼트, 용접, 덧판을 대고 그 위에 볼팅, 용접하는 방법을 사용한다.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pillar and anchor column is by bolt, welding, or by placing an additional plate and then bolting or welding it on top.
도 22는 지붕보를 이용하여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작업분류체계이다. 데크는 바닥에 있고 지붕보 지붕에 있고 노란색으로 표기되어 서로 매다는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22 is a work breakdown structure for a method of hanging a deck using roof beams. The deck is on the floor and the roof beams are on the roof, and are indicated in yellow to indicate that they are connected by hanging.
붉은색은 본 발명에 따라 새로 고안된 작업들이다.The red ones are newly designed tas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내지 도 24는 지붕보를 이용하여 데크를 매다는 방법의 공정표이다. Figures 23 and 24 are process charts of a method of suspending a deck using roof beams.
앙카 칼럼 설치(ID 3)후 옥탑 2차 콘크리트를 타설(ID 4)한 후 벽체 철골 기둥을 설치(ID 22)한 후, 기계실 지붕의 철골 보를 설치(ID 29)하고 기계실 바닥 데크를 와이어로 연결(ID 10~13)한 후, 바닥 콘크리트 타설(ID 16) 후벽체와 지붕 데크(ID 30) 골조를 시공하는 순서로 진행된다.After installing the anchor column (ID 3), pouring the secondary concrete for the rooftop (ID 4), installing the wall steel columns (ID 22), installing the steel beams for the machine room roof (ID 29), connecting the machine room floor deck with wires (ID 10-13), then pouring the floor concrete (ID 16), and constructing the rear wall and roof deck (ID 30) frames.
따라서 지붕의 보에 기계실 바닥의 데크를 매달아 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Therefore, it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 in which the deck of the machine room floor is hung on the roof beams.
다음은 도 23의 공정표를 로직 다이그램 기능으로 나타낸 것이며 공정표와 동일하다.The following is a logic diagram representation of the process table in Fig. 23, which is identical to the process table.
도 25는 전체 공정표의 로직이다. 붉은색과 녹색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고안된 기능 작업 단계이며, 붉은색은 철골 기둥, 보와 관련된 작업이며, 녹색은 데크 외 기타이다.Figure 25 is the logic of the entire process table. Red and green are functional work steps design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 is work related to steel columns and beams, and green is other than the deck.
도 26은 옥탑층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6 shows the rooftop section.
도 27은기계실 벽체 및 지붕 철골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7 shows the machine room wall and roof steel structure.
도 28, 29, 30은 지붕보에 데크를 매달아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다.Figs. 28, 29 and 30 illustrate hanging a deck from a roof beam to form a floor.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에 데크를 매달아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는 것을 3차원 도형으로 나타낸 예시이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showing in three dimensions the construction of a machine room floor by hanging a deck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옥탑층 2차에서 앙카 칼럼을 매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이다. 그 결과 앙카 칼럼이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말뚝을 형성하고 있다.Fig. 31 shows concrete being poured after embedding anchor columns on the second floor of the rooftop. As a result, the anchor columns are embedded inside the wall to form piles.
도 32는 기계실 바닥 시공에 앞서 샤프트 내부의 형틀(알폼, 갱폼)과 작업발판(RCS)을 해체하여 1층으로 내려 놓는 것이다.Figure 32 shows the formwork (alform, gangform) and work platform (RCS) inside the shaft being dismantled and lowered to the first floor prior to construction of the machine room floor.
도 33은 앙카 칼럼에 와이어를 매달아 추락방지방을 설치한 것이다.Fig. 33 shows a fall prevention device installed by hanging a wire on an anchor column.
도 34는 앙카 칼럼에 와이어를 매달고 데크 플레이트를 기계실 바닥에 설치한 것이다. Fig. 34 shows the wires hanging from the anchor columns and the deck plate installed on the machine room floor.
도 35는 기계실 바닥에 철근, 슬리브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형성한 것이다.Figure 35 shows the floor formed by pouring concrete after installing reinforcing bars and sleeves on the machine room floor.
도 36은 기계실 바닥에 권상기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내려 놓은 것이다.Figure 36 shows a hoisting machine lowered vertically onto the machine room floor using a tower crane.
도 37은 기계실 벽체와 지붕 철골구조물을 지상에서 조립한 후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는 것이다.Figure 37 shows the machine room walls and roof steel structure being assembled on the ground and then lifted by a tower crane.
도 38은 철골구조물을 앙카 칼럼위에 올려놓고 용접, 볼트, 연결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Fig. 38 is a method of installing a steel structure by placing it on an anchor column and using welding, bolts, and connecting materials.
도 39는 외부 형틀인 갱폼을 인상한 것이다.Figure 39 shows the impression of the external formwork, the gang form.
도 40은 철골구조물 상부인 기계실 지붕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철근 시공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붕을 형성하여 기계실 공사를 완료한 것이다.Fig. 40 shows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machine room by installing a deck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structure, pouring concrete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bars, and forming the roof.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에 데크를 매달아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는 것을 단면도를 통해 나타낸 예시이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showing, through a cross-sectional view, construction of a machine room floor by hanging a deck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은 옥탑층 1차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이다Fig. 41 shows the first wall concrete of the rooftop floor being poured.
도 42는 옥탑층 2차 벽체 철근, 외부 갱폼, 내부 알폼 및 엘리베이터 홀 슬라브 형틀을 설치한 것이다.Figure 42 shows the installation of the rooftop second wall reinforcement, external gang form, internal alform, and elevator hall slab formwork.
도 43은 옥탑층 2차 벽체 내부에 앙카 칼럼을 고정하여 설치한 것이다.Fig. 43 shows the installation of an anchor column fixed inside the second wall of the rooftop floor.
도 44는 옥탑층 2차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앙카 칼럼 말뚝을 형성한 것이다.Fig. 44 shows the formation of anchor column piles by pouring concrete for the second wall of the rooftop floor.
도 45는 샤프트 내부의 알폼, 작업발판(RCS)를 해체하는 것이다.Figure 45 is to dismantle the foam and working platform (RCS) inside the shaft.
도 46은 안전로프와 추락방지망을 설치한 것이다.Fig. 46 shows the installation of a safety rope and fall prevention net.
도 47은 앙카 칼럼에 와이어를 매다는 것이다.Fig. 47 shows how to hang wires on anchor columns.
도 48 내지 도 49는 앙카 칼럼에 기계실 바닥의 데크 플레이트를 연결한 후 줄 길이를 턴 버클로 조정하는 것이다.Figures 48 and 49 show how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ine with a turn buckle after connecting the deck plate of the machine room floor to the anchor column.
도 50은 슬리브와 바닥 하부 철근을 시공하는 것이다.Fig. 50 is the construction of sleeves and bottom reinforcement bars.
도 51은 데크의 상부 철근을 시공하는 것이다.Fig. 51 shows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of the deck.
도 52는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계실 바닥이 완성되고 엘리베이터 설치를 시작할 수 있다.Fig. 52 shows the pouring of concrete for the machine room floor. This completes the machine room floor and allow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to begin.
샤프트 내부에는 무지주 공법으로서 동바리가 없으며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아 추락의 위험이 없다. 앙카 칼럼에 안전로프를 묶어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기계실 바닥을 공사기간도 2일 내지 4일만에 시공할 수 있다. 샤프트 외부에서만 작업하며 향후 자재의 철거, 녹슬어 낙하하는 것이 없다.There is no risk of falling inside the shaft as it is a non-supporting construction method and workers do not enter. Safety ropes are tied to anchor columns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The machine room floor can be constructed in 2 to 4 days. Work is done only outside the shaft, so there is no demolition of materials or rusting and falling.
도 53은 앙카 칼럼을 외부 갱폼과 내부 알폼을 이용하여 앙카 칼럼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앙카 칼럼 수평대를 통해 제자리를 잡는 것이다. 고정장치는 갱폼 또는 알폼과의 연결부재, 수직부재, 수평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외부 갱폼 상부나 알폼 상부에 ㄷ자 형태로 끼워서 고정하며 고정핀이나 볼트로 고정한다. 수직재는 각 파이프나 철판으로 열결부재위에 용접이나 볼트로 연결된다. 수평부재는 수직부재위에 브라켓이나 볼트, 또다른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앙카 칼럼은 수평부재 위에 얹혀지거나 매달려 고정되며 주변의 철근 등에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앙카 카럼은 강하게 고정된 알폼과 고정장치와 수평대를 통해 위치와 높이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앙카 칼럼은 오랜기간 고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나절 또는 다음날 옥탑층 2차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까지 유지되며, 콘크리트 타설 후 30분 정도 경과하면 콘크리트가 굳어지므로 이때 위치를 확인하거나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기계실 철골구조물과 정확하게 연결되는 위치에 말뚝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Fig. 53 is a method of installing an anchor column fixing device using an external gang form and an internal alform and fixing the anchor column in place through an anchor column horizontal bar. The fix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with the gang form or the alform,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fixed by inserting it in a T shape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rnal gang form or the alform and is fixed with a fixing pin or bolt. The vertical member is connected to a heat-connecting member by welding or bolting each pipe or steel plate. The horizontal memb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through a bracket, bolt, or another connecting member. The anchor column is fixed by being placed on or hung on the horizontal member and is additionally fixed to the surrounding reinforcing bars, etc.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anchor column are fixed through the strongly fixed alform, the fixing device, and the horizontal bar. In this state, the anchor column is not fixed for a long time, and is maintained until the second wall concrete of the rooftop is poured for half a day or the next day. After pouring the concrete, the concrete hardens after about 30 minutes, so the position can be checked or finely adjusted at this time. This makes it possible to form a pile at a position that is precisely connected to the upper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도 54는 오른쪽 고정장치를 엘리베이터 홀 슬라브 형틀위에 올려놓고 고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54 shows a method of placing and fixing the right fixing device on the elevator hall slab formwork.
도 55는 앙카 칼럼과 와이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구멍에 넣은 방식, 각재형 브라켓에 연결하는 방식과 파이프형 브라켓에 연결하는 방식의 예시이다.Figure 55 is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necting an anchor column and a wire, including a method of inserting it into a hole, a method of connecting it to a square bracket, and a method of connecting it to a pipe-shaped bracket.
도 56은 앙카 칼럼 상부에 중간보를 얹고 중간보에 와이어를 걸고 데크를 매다는 방식으로서 가로방향의 보에 와이어를 매다는 방식이다.Fig. 56 is a method of placing an intermediate beam on top of an anchor column, hanging a wire on the intermediate beam, and hanging the deck, which is a method of hanging a wire on a horizontal beam.
도 57은 가로보위에 직각으로 얹혀진 세로방향의 중간보에 와이어를 매다는 방식이다.Fig. 57 is a method of hanging wires on a vertical intermediate beam placed perpendicular to a crossbeam.
도 58은 앙카 칼럼에 연결된 기계실 벽체와 지붕의 철골구조물을 설치한 후 지붕의 철골보에 와이어를 매달아 데크를 매다는 방식이다. Fig. 58 is a method of hanging a deck by hanging wires on the steel beams of the roof after installing the steel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wall and roof connected to the anchor column.
다음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앙카 칼럼에 데크를 매달아 기계실 바닥을 시공하는 것을 평면도를 통해 나타낸 예시이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showing, through a plan view, the construction of a machine room floor by hanging a deck on an anchor colum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9는 옥탑층 2차 벽체에 앙카 칼럼을 설치한 것이다.Fig. 59 shows an anchor column installed on the second wall of the rooftop floor.
도 60은 앙카 칼럼 설치시 제자리에 위치하기 위하여 앙카 칼럼 고정용 수평대를 설치한 것이다.Fig. 60 shows the installation of a horizontal bar for fixing an anchor column to position it in place when installing the anchor column.
도 61은 앙카 칼럼에 와이어를 매달아 기계실 바닥 데크 플레이트를 매달은 것이다.Fig. 61 shows the machine room floor deck plate suspended by hanging wires from anchor columns.
도 62는 기계실 바닥에 엘리베이터 로프 설치를 위한 구멍을 내기 위한 슬리브를 설치한 것이다. Fig. 62 shows the installation of a sleeve for making holes in the machine room floor for installing elevator ropes.
도 63은 철근을 시공한 것이다.Fig. 63 shows the construction of reinforcing bars.
도 64는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이다.Fig. 64 shows the concrete poured on the machine room floor.
도 65는 앙카 칼럼 상부에 중간보 또는 지붕보를 연결하여 설치한 후 보에 와이어와 데크를 매달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Figure 65 show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connecting an intermediate beam or roof beam to the top of an anchor column, installing it, and then hanging wires and a deck on the beam.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엘리베이터 기계실 바닥 시공에 있어서 앙카 칼럼과 매다는 구조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은 건축 및 구조설계 회사에 의해 구조 설계되고 시공사에 의해 공사방법이 결정되면 현재 공사중인 현장 또는 향후 착수할 공사현장에 단기간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of an elevator machine room in an apartment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nchor column and a hanging structure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o a construction site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or a construction site to be started in the future once the structure is designed by an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design compan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is determined by a construction company.
11 : 옥탑벽체 1차 콘크리트
12 : 옥탑벽체 2차 콘크리트
13 : 외부 갱폼
14 : 내부 알폼, RCS
15 : 벽체 철근
16 : 앙카 칼럼
17 : 홀(구멍)
18 : 브라켓
19 : 앙카 칼럼 고정장치
20 : 앙카 칼럼 수평대
21 : 추락방지망
22 : 기계실 바닥 데크 플레이트
23 : 와이어
24 : 턴 버클
25 : 각 파이프
26 : 기계실 바닥 철근
27 : 바닥 슬리브
28 : 기계실 바닥 콘크리트
29 : 중간보 세로
30 : 중간보 가로
31 : 기계실 벽체 칼럼
32 : 내부 형틀
41 : 기계실 지붕 보
42 : 기계실 지붕 데크 플레이트
43 : 기계실 지붕 철근
44 : 기계실 지붕 콘크리트
51 : 권상기
52 : 권상기 받침 철골빔
53 : 안전로프11: Rooftop wall 1st concrete
12: Rooftop wall secondary concrete
13: External gang form
14: Internal Alform, RCS
15: Wall reinforcement
16: Angka Column
17 : Hole
18 : Bracket
19: Anchor column fixing device
20: Anka Column Horizontal
21: Fall prevention net
22: Machine room floor deck plate
23 : Wire
24 : Turn Buckle
25 : each pipe
26: Machine room floor rebar
27 : Bottom sleeve
28: Concrete floor of machine room
29: Intermediate beam vertical
30: Intermediate beam width
31: Machine room wall column
32 : Inner mold
41: Machine room roof beam
42: Machine room roof deck plate
43: Machine room roof reinforcement
44: Machine room roof concrete
51: Kwon Sang-ki
52: Steel beam for supporting the sling
53 : Safety rope
Claims (1)
a) 옥탑층 승강로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앵커를 상기 벽체 내부에 매립하고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b) 기계실 벽체 및 지붕을 위한 철골 구조물을 선조립하되, 상기 철골 구조물은 복수의 수직 철골 기둥과 상기 철골 기둥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철골보를 포함하며, 상기 철골 기둥의 하단에는 상기 수직 방향 앵커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선조립된 철골 구조물을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여, 상기 철골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 부재를 상기 옥탑층 벽체에 매립된 앵커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구조물을 상기 옥탑층 벽체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철골 구조물의 철골보 상부에 기계실 지붕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 동바리 없이 용접 또는 볼트로 직접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지붕 데크 플레이트 위에 지붕 철근을 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지붕 데크 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계실 지붕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골조공사 방법.In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machine room frame using a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and anchor joints,
a) A step of embedding a plurality of anchors extending vertically into the wall of a rooftop elevator shaft inside the wall and pouring wall concrete;
b) a step of prefabricating a steel structure for a machine room wall and roof, wherein the steel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teel columns and a plurality of steel beams connecting the steel column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tep of forming a connecting member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s for connection with the vertical anchor;
c) a step of lifting th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with a tower crane, and firmly fixing the steel structure to the upper part of the rooftop wall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column to the anchor embedded in the rooftop wall;
d) a step of directly installing a machine room roof deck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eam of the steel structure without a support bar by welding or bolting;
e) a step of constructing roof reinforcement on the roof deck plate; and
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keleton of an elevator machine roo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machine room roof by pouring concrete on the roof deck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50028103A KR20250035530A (en) | 2020-01-07 | 2025-03-05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749A KR20210088811A (en) | 2020-01-07 | 2020-01-07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KR1020250028103A KR20250035530A (en) | 2020-01-07 | 2025-03-05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1749A Division KR20210088811A (en) | 2020-01-07 | 2020-01-07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35530A true KR20250035530A (en) | 2025-03-12 |
Family
ID=768902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1749A Ceased KR20210088811A (en) | 2020-01-07 | 2020-01-07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KR1020250028103A Pending KR20250035530A (en) | 2020-01-07 | 2025-03-05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1749A Ceased KR20210088811A (en) | 2020-01-07 | 2020-01-07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10088811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093A (en) | 2000-03-02 | 2002-03-18 | 구타라기 켄 | Entertainment apparatus and loading method for digital information |
KR20110048569A (en) | 2008-08-29 | 2011-05-11 | 노키아 코포레이션 | Device with auto-slide keypad |
-
2020
- 2020-01-07 KR KR1020200001749A patent/KR20210088811A/en not_active Ceased
-
2025
- 2025-03-05 KR KR1020250028103A patent/KR2025003553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093A (en) | 2000-03-02 | 2002-03-18 | 구타라기 켄 | Entertainment apparatus and loading method for digital information |
KR20110048569A (en) | 2008-08-29 | 2011-05-11 | 노키아 코포레이션 | Device with auto-slide keypad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8811A (en) | 2021-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44203B (en) | High-altitude long-span overhanging corridor typ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US20030041555A1 (en) |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with large modular units | |
CN112854745A (en) | Construction process of assembled building aluminum alloy template | |
CN114232805B (en) | Construction method of ultrahigh-height large-span steel concrete beam hanging structure | |
CN109025291A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separate type precast stair | |
CN114427258B (en) | High-altitude large-span cantilever concrete member disassembly-free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250036109A (en) | Structural Systems and Methods for Floor Structural Work in Elevator Machine Room of Apartment Housing | |
CN102337782A (en) | Lift system for constructing truss platform on top of tall and large spa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lift system | |
CN111926911B (en) | Construction method of super high-rise air corridor structure | |
CN103061508A (en) | Triangular slip form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triangular slip form | |
CN115538792B (en)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building construction structure by using residential building machine | |
CN111576878A (en) | Construction process for quick-release system of aluminum alloy template | |
CN114658214A (en) | High-rise building disc buckle type high-altitude large-cantilever support frame support and anchor pressing integrated construction method | |
CN106193621A (en) | Fabricated construction superimposed sheet string hangs construction method | |
KR20210141194A (en)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Wall and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and Office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by Steel and Deck Plate in Top-down Structure | |
KR20250035530A (en) |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of Floor Structure in Elevator's Machine Room in Apartment Building Using Hanging Structural Method | |
CN113266148A (en) | Installation method of large-section beam template | |
US3295266A (en) | Suspended floor system for a multi-level building | |
KR20250061777A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machine room on the rooftop of an apartment building by recycling the gangform of typical floor | |
KR20250048506A (en) | Elevator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CN112627543A (en) | Shaft inner lifting frame for mounting steel beams of core tube elevator shaft and steel beam construction method | |
KR20250058092A (en) |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Mechanical Room Frames on the Roof Floor, such as Offices and Apartments, Using Steel Structures | |
KR20250061106A (en) |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Mechanical Room Frames on the Roof Floor, such as Offices and Apartments, Using Steel Structures | |
KR20250054214A (en) |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Mechanical Room Frames on the Roof Floor, such as Offices and Apartments, Using Steel Structures | |
KR20250048507A (en) | Elevator machine room ste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3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010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00174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50305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