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33958A - 차량용 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33958A
KR20250033958A KR1020240114964A KR20240114964A KR20250033958A KR 20250033958 A KR20250033958 A KR 20250033958A KR 1020240114964 A KR1020240114964 A KR 1020240114964A KR 20240114964 A KR20240114964 A KR 20240114964A KR 20250033958 A KR20250033958 A KR 20250033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uide rail
panel
guide
roof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1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셀 요한 크리스티안 넬렌
루드 회르츠
비요른 아르놀두스 프란시스쿠스 벨머
라이너 게르하르트 윙글링
Original Assignee
이날파 루프 시스템즈 그룹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날파 루프 시스템즈 그룹 비.브이. filed Critical 이날파 루프 시스템즈 그룹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5003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3395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characterised by the height regulating mechanism of the slid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downward before sliding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60J7/0435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at the outside of the roof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185Locking arrangements
    • B60J7/19Locking arrangements for rigi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185Locking arrangements
    • B60J7/19Locking arrangements for rigid panels
    • B60J7/192Locking arrangements for rigid panels for locking the sunroof panel to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패널(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루프 개구부(3)를 구비한 고정 루프(2)를 가지는 차량(1)용 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루프 시스템은 평행 가이드 레일(9, 61)의 쌍 및 각 가이드 레일(9)에 대한 작동 메커니즘(10)을 포함한다. 각 작동 메커니즘은 전면 메커니즘(20), 틸팅 메커니즘(24), 및 틸팅 메커니즘(24)을 잠그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62)을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62)은 가이드 레일(9, 61)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고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틸팅 메커니즘(24)의 후방에 있고 멀리 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면 메커니즘의 패키지가 줄어들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이드 레일 내부의 필요 공간이 줄어들어 가이드 레일의 더 작은 단면이 허용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시스템{ROOF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 날의 자동차의 경우 루프 시스템에서 헤드룸을 최대화하며 일광 개구부를 최대화하는 노력이 존재한다.
전기 자동차의 등장으로, 자동차의 일반적인 레이아웃이 변화하고 있다. 배터리 팩을 위해 필요한 공간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하단에 있으며, 승객실 및 특히 그 안에 있는 좌석의 바닥 높이가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전반적인 공기 역학적 전면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루프를 올리지 않기때문에 헤드룸이 줄어들게 된다. 결과적으로 루프 시스템을 위한 가용한 높이가 줄어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필요한 감소분을 얻기 위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판유리(glazing) 패널을 도입했으며, 이는 Z-패키지라고 불리운다. 이러한 고정 패널은 외부 주변 환경과 시각적으로 연결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지만, 밝고 화창한 아침에는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어둡고 비오는 오후에는 패널을 가리는 등 다양한 환경적 상황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충되는 요구 사항을 균형있게 충족할 수 있는 루프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헤드룸 및/또는 일광 개구부를 갖춘 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시스템에는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틸팅 메커니즘보다 완전히 후방에 있고 떨어져 있는 잠금 메커니즘이 구비된다.
이 기능의 장점은 작동 메커니즘이 일반적으로 두 가지 주요 부품(전면 메커니즘 및 후면 또는 틸팅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전면 및 후면 메커니즘에 필요한 모든 부품은 가이드 레일에 패키징되거나 배치되어야 한다. 전면 및 후면 메커니즘은 유리 패널이 폐쇄 위치에 있거나, 또는 유리 패널이 틸팅된 위치에 있거나 또는 유리 패널이 완전히 개방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작동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각각의 위치 및 이러한 위치 사이에서 전면 및 후면 메커니즘의 세분화된 부품은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가이드 레일의 경계 내에서 각각의 작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공간이 필요하다. 가이드 레일은 루프 시스템의 중요한 부품으로, 그 크기, 특히 (수직 평면을 연장하는 측면 방향에서 취한) 단면의 크기에 따라 차량 탑승객의 헤드룸과 일광 개구부에 영향을 미친다. 높이와 폭을 줄이면, 각각 헤드룸과 일광 개구부가 개선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으로 중단 없이 연장되고, 전면 메커니즘, 틸팅 메커니즘 및 잠금 메커니즘은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 각각은 길이방향에서 볼 때 후면 가이드 레일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레일은 별도의 부품이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서로 일직선상에 있으며, 전면 가이드 레일은 전면 메커니즘 및 틸팅 메커니즘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면 가이드 레일은 잠금 메커니즘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은 전면 및 후면 부분으로 나뉘며, 전면 가이드 레일의 후면 부분과 후면 가이드 레일의 전면 부분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다. 이 거리는 차량 차체의 크로스 부재와 같은 다른 부분에 사용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전면 메커니즘을 잠금 메커니즘과 연결하고 잠금 메커니즘을 틸팅 메커니즘과 연결하기 위해 연결부가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레일 사이의 거리를 연결하여 작동 메커니즘 부분의 각 부품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잠금 메커니즘은 잠금 레버 및 로케이터를 포함하고, 로케이터와 잠금 레버는 핀 슬롯 및 핀 슬롯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잠금 핀을 포함하고 및 로케이터는 가이드 레일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핀 슬롯은 잠금 핀을 안내하기 위한 실질 수평 제1 슬롯 부분과 잠금 핀을 잠그기 위한 실질 수직 잠금 제2 슬롯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핀 슬롯은 잠금 레버 에 잠금 핀을 갖는 로케이터에 있을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 핀 슬롯은 로케이터에 잠금 핀을 갖는 잠금 레버에 있을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길이방향으로 볼 때 틸팅 메커니즘 뒤의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고 잠금 메커니즘과 틸팅 메커니즘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은 없다. 잠금 메커니즘이 틸팅 메커니즘에 인접하지 않기 때문에 이 잠금 메커니즘을 위해서 틸팅 메커니즘 뒤에 더 많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폭과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로케이터와 잠금 레버는 이제 충분한 공간이 있는 가이드 레일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면 메커니즘은 구동 슬라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부재에 연결된 구동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제2 구동 부재는 구동 슬라이드를 잠금 메커니즘에 연결하여 패널의 후면 에지의 수직 이동 중에 적어도 잠금 메커니즘을 구동한다. 전면 메커니즘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구동 부재에 연결된 구동 슬라이드에 의해 구동된다. 제1 구동 부재에 사용되는 가이드 레일의 일부는 채널이며, 채널은 구동 슬라이드로부터 잠금 메커니즘까지 연장되는 제2 구동 부재를 안내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를 통해 전면 메커니즘과 잠금 메커니즘 간의 연결을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틸팅 메커니즘은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가이드는 보조 레버의 일 단부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보조 레버는 슬라이딩 가이드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며, 보조 레버의 일 단부는 슬라이드 클로(slide claw)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드 클로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마주보는 측면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클로는 리프팅 레버의 쌍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마주보는 단부에 있는 상기 리프팅 레버는 피벗방식으로 하우징에 연결되고, 하우징은 가이드 레일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에는 제1, 제2 및 제3 가이드 슬롯이 제공되고, 보조 레버(63)에는 제1, 제2 및 제3 핀이 제공되며 각각은 슬라이딩 가이드의 각 슬롯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의 제1 가이드 슬롯은 실질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슬롯 부분 및 후속해서 직각의 수직으로 잠그는 제2 슬롯 부분을 포함하고, 제2 가이드 슬롯은 실질 수평 슬롯 부분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가이드의 제3 가이드 슬롯은 실질 수평 제1 부분 및 후속 상방 곡선 부분을 포함한다. 틸팅 메커니즘 역시 그 폭을 줄임으로써 더 가늘어졌다. 마찬가지로 전면 메커니즘의 경우 틸팅 메커니즘의 세부적인 부분이 측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대신에 가이드 레일에 일렬로 배치되었다. 본 발명에서 보조 레버가 구비된 슬라이딩 가이드는 슬라이드 클로와 한 쌍의 리프팅 레버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는 가이드 레일의 필요한 폭을 더욱 줄인다. 슬라이드 클로의 핵심은 패널 브라켓 가이드와 함께 패널 브라켓의 하단 절반을 감싸는 U자형 브라켓이다. 하지만, 슬라이드 클로의 플라스틱 슈는 측면과 하단 측면에만 제공된다. 이는 슬라이드 클로 영역에서 메커니즘을 더욱 날씬하게 만든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잠금 레버는 힌지 블록의 일 측면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되고, 연결봉은 힌지 블록의 마주보는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은 슬라이딩 가이드에 연결된다. 그리고 틸팅 메커니즘을 향한 구동 경로를 추가로 설명하면, 제2 구동 부재는 잠금 레버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잠금 레버에 연결되고, 잠금 레버는 힌지 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 블록은 연결봉에 연결되고, 연결봉은 다시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상기 언급된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틸팅 메커니즘의 일부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여 제1 패널 후면의 수직 운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틸팅 메커니즘의 틸팅 동작을 구동하는 경로는 전기 모터로부터 제1 구동 부재를 거쳐 전면의 구동 슬라이드로 연장되고, 그 후 제2 구동 부재를 거쳐 잠금 레버로, 그리고 연결된 힌지 블록과 연결봉을 거쳐 슬라이딩 가이드로 연장된다. 이러한 결합된 구동 부품들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패널의 후면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결합된 구동 부품들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패널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후면 단부의 제2 구동 부재 및 전면 단부의 잠금 레버에는 잠금 캠과의 결합을 위한 잠금 슬롯 및 잠금 캠을 포함하는 잠금 조인트가 제공된다. 잠금 슬롯에는 실질 길이방향 캐칭 부분 및 실질 수직 잠금 부분이 제공된다. 잠금 레버가 로케이터에 잠기면, 잠금 레버는 전면 단부에서 낮아지는데, 그 이유는 후면 단부가 힌지 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잠금 슬롯의 형상으로 인해 잠금 핀이 제2 구동 부재의 캐칭 슬롯으로 낮아지고 구동 부재는 더 이상 잠금 레버 핀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구동 부재를 후면으로 길이방향 이동을 하면, 제2 구동 부재는 잠금 레버를 따라가지 않고 후방으로 계속 이동할 것이다. 잠금 슬롯은 일 단부(캐칭 부분)가 열려 있고 타 단부(잠금 부분)이 닫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메커니즘은 차량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제1 패널의 후면 에지의 완전 후방에 있는 가이드 레일에 배치된다. 제1 패널이 루프 시스템의 유일한 패널인 경우에, 잠금 장치는 이 패널의 후면 에지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런 경우 잠금 메커니즘은 고정 루프의 일부 또는 루프에 고정된 다른 부품 아래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시스템은 제2 패널을 더 포함하고, 잠금 메커니즘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제2 패널의 전면 에지의 완전 후방에 있는 가이드 레일에 배치된다. 구조와 사용 가능한 공간에 따라 잠금 메커니즘은 틸팅 메커니즘의 바로 뒤에(후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루프 시스템이 제2 패널을 갖는 경우에는 잠금 메커니즘이 제2 패널의 전면 에지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패널 아래의 구조가 잠금 메커니즘의 공간을 줄이는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경우, 잠금 장치는 이런 장애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시스템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채널을 더 포함하고, 잠금 메커니즘은 수직 방향으로 볼 때 배수 채널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에서 가이드 레일에 배치된다. 루프 시스템이 제1와 제2 패널로 구성된 경우, 전면 패널의 인접한 후면 에지와 후면 패널의 전면 에지 아래에 배수 채널이 제공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배수 채널은 가이드 레일에 대한 방해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의 플랜지를 국부적으로 제거해야 하지만, 잠금 메커니즘 부분은 잠금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부가 배수 채널 아래에 배치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에는 잠금 메커니즘 바로 아래에 가이드 레일의 바닥에 구멍(56)이 제공된다. 잠금 메커니즘을 수리해야 하고 그리고 위에서 제2 패널을 제거하여 부품을 교환할 수 없는 경우, 가이드 레일의 구멍을 통해 아래로부터 교체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면 가이드 레일은 후면 가이드 레일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동 부재 및 연결봉이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연장되고 가이드 레일의 잠금 메커니즘 및 가이드 레일의 틸팅 메커니즘을 각각 작동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실시예의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전면 가이드 레일의 후면 부분과 후면 가이드 레일의 전면 부분 사이의 공간은 제2 구동 부재와 연결봉에 의해서만 연결되므로 이 영역에는 가이드 레일이 없다. 즉, 이 공간에는 차량 차체의 일부 또는 배수 채널과 같은 다른 부분을 위한 공간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면 메커니즘과 잠금 메커니즘 사이의 연결 및 잠금 메커니즘과 틸팅 메커니즘 사이의 연결은 가이드 레일의 각 채널에서 안내되는 한 쌍의 유연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면 가이드 레일과 후면 가이드 레일 사이에 있는 상기 케이블은 가이드 레일의 반대쪽에 부착된 케이블 튜브에 의해 안내된다. 제2 구동 부재와 연결봉과 같은 중실(solide) 부품 대신에 구동 튜브에서 안내되는 유연한 구동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전면 가이드 레일과 후면 가이드 레일 사이의 연결 공간에 구동 튜브/구동 케이블 조합을 설계하여 구동 튜브/구동 케이블 구성의 곡률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구동 튜브/구동 케이블 조합을 너무 가까운 부품 주위로 안내해야 할 때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후면 가이드 레일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부품이고, 상기 후면 가이드 레일은 고정부, 고정 루프의 내부 부분 또는 제2 패널의 내부 표면 중 하나에 장착된다. 후면 가이드 레일은 전면 가이드 레일과 동일하거나 다른 단면을 갖는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일 수 있다. 후면 가이드 레일은 압출 부품 또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후자의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의 특정 부분이 플라스틱 후면 가이드 레일의 통합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면 가이드 레일은 루프 시스템의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루프 시스템이 두 개의 패널을 갖는 소위 상단 장착 시스템일 때 가능하다. 또한 제2 패널이 고정 패널인 이러한 두 개의 패널을 갖는 루프 시스템에서, 후면 가이드 레일은 제2 패널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패널의 후면 부분이 고정 루프에 인접한, 단 하나의(이동식) 패널을 갖는 상단 적재(top loaded) 시스템의 루프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 가이드 레일은 고정 루프의 내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루프 시스템이 하나의 (이동식) 패널을 갖는 소위 "하단 적재(bottom loaded)" 시스템인 경우에도 동일한 고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시스템은 예시로서만 루프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으로 전면 메커니즘에 결합된 틸팅 메커니즘의 잠금을 보장하는 잠금 메커니즘이 후면 메커니즘의 후방에 배치되고 후면 메커니즘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에서 전면 메커니즘이 변경된다. 그 효과는 전면 메커니즘의 패키지, 예를 들어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고 그리고 그에 따라 가이드 레일 내부에 요구되는 공간이 감소되어 가이드 레일의 단면이 더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루프 시스템을 갖는 차량 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각각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 패널이 도시된다.
도 2는 패널은 없고 프레임은 구비된 도 1a의 차량 루프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루프 시스템의 패널용 작동 메커니즘 일부의 분해도로, 더 큰 스케일로 측면 외부 및 내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c 및 도 3d는 도 2의 루프 시스템의 패널용 대체 작동 메커니즘 일부의 분해도로, 측면 외부 및 내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e는 도 2의 루프 시스템의 패널용 다른 대체 작동 메커니즘의 분해도로, 측면 외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이 없는 도 3의 작동 메커니즘의 평면도이다.
도 5a-5c 및 도 6a-6c는 세 가지 다른 위치에서 도 4의 작동 메커니즘을 가이드 레일이 없이 외부 및 내부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12, 13-16은 도 4의 선 VII 내지 선 XVI를 따른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2의 선 XII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슬라이드 위치에서 패널(4)이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가로질러 바라본 단면도로, 전면 슬라이드 슈를 도시한다.
도 18은 잠금 메커니즘 및 서비스 홀이 있는 가이드 부분을 보여주는 작동 메커니즘의 후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도 2의 선 XIX 및 선 XX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차량의 중앙을 향해 측면 외측에서 바라본 슬라이딩 가이드의 실질 측면도이다.
도 22는 잠금 슬롯의 실질 측면도이다.
도 23은 로케이터의 실질 측면도이다.
도 24a-d는 작동 메커니즘의 대체 잠금 메커니즘 부분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5-28은 적어도 이동 가능한 제1 패널을 갖는 루프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 형상의 여러 실시예 및 작동 메커니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9-31은 도 26, 27, 28에 보인 각각의 선 XXVIII-XXVIII, XXIX-XXIX, XXX-XXX에 따른 작동 메커니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예를 들어, 전면, 측면 및 후면, 또는 하부, 아래 및 위, 또는 전방 및 후방 방향과 같은 공간적 기준은 승용차와 같은 차량의 일반적인 방향과 관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뒤에 있는 운전자와 관련하여 형성된다. 또한 X, Y 및 Z 방향은 차량의 길이, 폭 및 높이에 해당하는 방향을 참조할 것이다. 도면에서 차량의 전방 주행 이동은 화살표 D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차량의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우선,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루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차량(1)의 고정 루프(2)에 루프 개구부(3)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한 클로우저, 즉 유리,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만들어진 단단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한 제1 패널(4)에 의해 폐쇄(도 1a)되거나 개방(도 1b)될 수 있다. 루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고정 패널이지만 움직일 수도 있는 제2 패널(4')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 시스템은 소위 상단 적재 루프 시스템으로, 루프 시스템의 고정부(7)가 위에서 루프 개구부(3)로 도입되어 고정 루프(2) 위에, 일반적으로 루프 빔(6)의 플랜지(5) 위에 놓인다(도 19 및 20 참조). 고정부(7)는 차량(1)의 고정 루프(2)에 적절한 방식으로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착되거나,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용접 및 볼트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루프 시스템은 소위 스포일러(spoiler) 루프로서, 패널(4)이 폐쇄 위치(적어도 후측면으로)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 고정 루프(2) 위 또는 이 경우 후면 패널(4') 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10), 특히 패널(4)의 지지부는 주로 루프 개구부(3) 내부에 남아 있는 반면, 상단 슬라이더 루프의 경우 패널(4)의 후면 지지부는 루프 개구부(3) 뒤쪽 위치까지 연장하거나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9)에서 슬라이드된다.
도 2는 루프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것으로, 루프 개구부(3)의 일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7)는 루프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이 경우 고정부(7)는 사출 성형을 통해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설계의 자유도가 매우 크다. 하지만 고정부(7)는 다른 소재, 예를 들어 강철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고정부(7) 또는 가이드 레일(9)은 아래로부터 패널(4)을 밀봉하는 패널 씰(8)(도 12b에 도시됨)을 가진다. 가이드 레일(9)은 패널(4)의 각 측면 에지 아래에서 길이 방향으로 프레임(7)에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9)의 길이는 루프 개구부(3)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충분히 연장되어 있으며, 제2 패널(4')의 경우 가이드 레일(9)은 제2 패널(4')의 후면까지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10)은 각 가이드 레일(9)에 연결되어 안내되며, 전기 모터(11)(도 2에 도시)는 구동 케이블(12, 12')(도 2에 도시)을 통해 작동 메커니즘(10)의 부품을 구동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가이드 레일(9) 중 하나와 작동 메커니즘(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루프 시스템은 거울 이미지로 구성되기는 하지만, 반대편에 동일한 가이드 레일(9) 및 작동 메커니즘(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가이드 레일(9)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17, 17', 50) 및 가이드 채널(28, 29)을 갖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된 압출 프로파일(16)을 포함한다. 압출 프로파일(16)은 직선이거나 차량(1)의 고정 루프(2)의 하향 곡률을 따르도록 약간 아래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차량(1)을 안쪽으로 바라보는 측면 외측으로부터의 그리고 차량(1)의 바깥쪽을 바라보는 측면 내측으로부터의 작동 메커니즘(10)을 도시한다. 작동 메커니즘(10)은 전면 메커니즘(20), 틸팅 메커니즘(24) 및 잠금 메커니즘(62)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커니즘 각각은 패널(4)의 이동에 있어 패널(4)이 위치할 수 있는 각 위치와 관련된 특정한 기능을 갖는다.
도 5a-6c는 정상 폐쇄 위치(NC), 틸트 위치(Tilt) 및 개방 위치(Slide)인 이러한 위치들을 도시한다. 폐쇄 위치에서 전면 메커니즘(20)은 패널(4)을 길이방향으로 잠글 수 있다. 그리고 패널(4)의 후면이 소위 "틸트" 위치 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전면 메커니즘(20)은 패널(4)의 전면을 들어올리고 이어서 패널(4)을 길이방향에서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전기 모터(11)에 의해 차례로 구동되는 제1 구동 부재(12, 12')에 의해 전면 메커니즘(20)이 작동된다. 틸팅 메커니즘(24)은 패널(4)의 후면을 틸트 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패널(4)이 길이방향에서 후방으로 움직일 때 패널(4)을 지지할 수 있다. 틸팅 메커니즘(24)은 잠금 메커니즘(62)에 의해 구동된다. 잠금 메커니즘(62)은 제2 구동 부재(25)의 길이방향 운동을 틸팅 메커니즘(24) 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틸팅 메커니즘(24)이 패널(4) 후면의 필요한 틸트 높이에 도달하면, 잠금 메커니즘(62)은 틸팅 메커니즘(24)을 잠근다. 이것은 잠금 메커니즘(62)이 기계적 잠금 장치로 작동하여 틸팅 메커니즘(24)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잠금 메커니즘(62)은 전면 메커니즘(20)의 구동 슬라이드(23)에 의해 구동되는 제2 구동 부재(25)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잠금 메커니즘(62)은 제2 구동 부재(25)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구동 부재(25)는 길이방향으로 계속 움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전면 메커니즘(20)은 길이방향 운동을 계속하여 패널(4)을 후면으로 밀어낼 수 있다(도 5a-6c 참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전면 메커니즘(20)은 가이드 레일(9)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고 제1 구동 부재(12, 1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슬라이드(23)를 포함하며, 전면 레버(21)의 곡선 트랙(52) 또는 패널 브라켓(22)의 곡선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 캠(51)이 제공된다. 이 전면 레버(21)는 피벗 핀(13)을 통해 그 후면 단부에서 피벗 블록(26)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도 8 참조) 그리고 반대쪽 전면 단부에서 전면 레버(21)에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 홈(17, 1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한 쌍의 전면 슬라이드 슈(shoe)(19)가 장착되고 패널(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 슈(19)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인서트(18)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으로 안내되며, 이 인서트(18)는 곡선 모양이기는 하지만 가이드 홈(17, 17')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슈(19)는 전면 레버(21)의 측면에 부착되고 길이방향으로 볼 때 엇갈리는 방식으로, 즉, 하나씩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전면 레버(21)의 전면 단부는 패널 브라켓(22)의 전면 단부와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패널 브라켓(22)은 길이방향에서 후면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드 클로(claw)(32)를 통해 틸팅 메커니즘(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패널 브라켓(22)은 나사(14)를 통해 패널(4)에 연결된다. 기본적으로, 구동 슬라이드(23)는 제2 구동 부재(25)를 통해 길이방향 후면으로 연장된다. 구동 부재(25)는 기본적으로 제1 구동 부재(12, 12')의 연장이지만, 이 경우 구동 슬라이드(23)에 연결되고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 채널(28)에서 슬라이딩으로 안내되는 플라스틱 부품이다.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 채널(28)에서 슬라이딩으로 안내되는 제1 구동 부재(12, 12')가 길이방향에서 후면으로 이동하면, 구동 슬라이드(23)가 후면으로 이동하고 구동 슬라이드(23) 상의 구동 캠(51)이 전면 레버(21)의 곡선 트랙(52)에서 후면으로 이동한다. 전면 레버(21)의 곡선 트랙(52)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제1 부분(52')을 갖고 있으므로 구동 캠(51)은 곡선 트랙(52)의 제1 부분(52')에서 미끄러져서 전면 레버(2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곡선 트랙(52)의 후면 단부는 하향 반경 모양의 제2 부분(52'')을 갖고, 곡선 트랙(52)의 제3 부분(52''')은 트랙(52)의 제1 부분(5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곡선 트랙(52)에서 캠(51)이 후방으로 이동을 계속함으로써, 구동 캠(51)은 트랙의 제2 부분(52'')에 도달하고, 따라서 구동 캠(51)은 제2 부분(52'')의 반경 모양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전방 레버(21)의 전방 단부를 위쪽 방향으로 당기기 시작하고, 구동 캠(51)이 제3 부분(52''')에 도달하면, 캠(51)은 제3 부분(52''')에서 "잠겨지고" 레버(21)가 길이방향 후방 방향으로 당겨진다. 전면 레버(21)는 전면 단부에서 패널 브라켓(22)의 전면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곡선 트랙(52)의 제2 부분(52'')에 의해 유도된, 전면 레버(21)의 수직 운동 시, 전면 단부에 부착된 전면 슬라이드 슈(19)는 인서트(18)의 곡선 가이드 홈(17, 17')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유사하게 패널 브라켓(22)의 전면 단부는 수직 이동을 따라가서 패널(4)의 전면 에지를 상승시킨다. 구동 슬라이드(23)의 구동 캠(51)이 곡선 트랙(52)의 제3 부분(52''')에 있으면, 전면 레버(21)가 후방으로 당겨지고 전면 레버(21)의 슬라이드 슈(19)가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 홈(17, 17')으로 미끄러지게 안내되어(도 17 참조) 따라서 길이방향에서 후방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전면 레버(21)와 패널 브라켓(22)이 후방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패널(4)이 점진적으로 열린다.
패널(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틸팅 메커니즘(24)은 가이드 레일(9) 내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접힌다(도 9-13 참조). 가이드 홈(50)에 배열되어 있는 잠금 메커니즘(62)과 동일하다(도 14, 15 및 16 참조). 이러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레일(9)의 중앙에 잠금 메커니즘(62)을 배열할 충분한 공간이 있다. 제2 구동 부재(25)는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 채널(28)에서 후방으로 미끄러진다. 제2 구동 부재(25)는 잠금 레버(41)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므로, 잠금 레버(41)도 후면으로 미끄러진다. 잠금 레버(41)는 잠금 레버(41)의 한 측면에 있는 전면 단부에 잠금 캠(4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잠금 캠(47)은 제2 구동 부재(25)의 단부에 있는 잠금 조인트(45), 이 실시예에서는 잠금 슬롯(45)과 맞물린다. 잠금 슬롯(45)은 한쪽 개방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잠금 부분(45')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캐칭 부분(45'')을 갖는다(도 22 참조). 캐칭(catching) 부분(45'')은 루프 패널이 닫힐 때 잠금 캠(47)을 붙잡기 위한 부분이다. 잠금 핀(42)은 잠금 레버(41)의 반대쪽 측면에 부착된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 핀(42)은 로케이터(40)의 핀 슬롯(44)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된다. 로케이터(40)는 가이드 레일(9)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핀 슬롯(44)은 기본적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제1 부분(44')은 수평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제2 부분(44'')은 제1 부분(44')에 수직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다. 잠금 레버(41)는 후면 단부에서 힌지 블록(65)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힌지 블록(65)는 가이드 레일(9)의 가이드 홈(50)에서 미끄러지게 안내되고, 연결봉(66)에 추가로 연결되는데, 이 연결봉은 다른 가이드 채널(29)에서 틸팅 메커니즘(24) 쪽으로 뻗어 있다. 계속해 후방으로 움직이면, 잠금 레버(41)와 잠금 핀(42)은 핀 슬롯(44)의 제1 부분(44')에서 후방으로 움직이다. 이 제1 부분이 상당히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레버(41)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은 힌지 블록(65)을 통해 연결봉(66)에서 틸팅 메커니즘(24)을 향해 중단없이 연속된다. 잠금 핀(42)이 잠금 트랙(44)의 제2 부분(44'')으로 이동하면, 잠금 레버(41)는 힌지 블록(65)(도 16 참조)에서 힌지(43) 주위로 피벗하며 잠금 레버(41)의 전면 단부는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잠금 캠(47)을 잠금 조인트(45)에서 분리하고, 따라서 제2 구동 부재(25)로부터 분리한다.
구동 부재(25)가 더 후방으로 구동되는 경우, 잠금 레버(41)에 연결되지 않고 계속 이동한다. 즉, 로케이터(40)에 잠겨진 잠금 레버(41)가 틸팅 메커니즘(24)을 더 이상 이동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틸팅 메커니즘은 수직 이동의 끝단에 있으며 이 위치에서 고정된 지지 패널(4)이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패널(4)의 폐쇄 위치로부터 패널(4)의 틸트 위치로의 틸팅 메커니즘(24)이 작동하는 것을 고려하면 패널(4)의 후면이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먼저, 연결봉(66)은 앞서 설명한 대로 가이드 채널(29)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연결봉(66)에는 슬라이딩 가이드(3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가이드(36)는 3개의 가이드 슬롯(35, 35', 35'')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21 참조). 보조 레버(63)는 3개의 가이드 슬롯(35, 35', 35'')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3개의 가이드 핀(64, 64' 64'')을 통해 슬라이딩 가이드(36)에 맞물린다. 가이드 슬롯(35)은 슬라이딩 가이드(36)의 전면에 위치하며 수평 슬롯 부분(68) 및 상호 연결된 수직 슬롯 부분(68')을 포함한다. 가이드 슬롯(35')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슬롯(69)을 가지는 슬롯이고 슬라이딩 가이드(36)의 제3 가이드 슬롯(35'')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제1 부분(70) 및 그 뒤를 이어 상방으로 휘어진 제2 부분(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레버(63)는 또한 상기 레버의 후면 단부에 슬라이드 클로(claw)(32)를 피벗으로 결합하는 피벗 핀(31)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벗 핀은 리프팅 레버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 클로(32)에는 패널 브래킷(22)의 하부 및 패널 브래킷 가이드(3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둘러싸는 플라스틱 라이닝(34)(도 12b 참조)이 제공된다. 슬라이드 클로(32)는 리프팅 레버(30, 30')의 쌍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되고, 레버들은 반대쪽 단부에서 하우징(27)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7)은 가이드 레일(9)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봉(66)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딩 가이드(36)도 역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가이드(36)의 길이방향 이동으로 인해 가이드 핀(64, 64', 64'')이 가이드 슬롯(35, 35', 35'')의 모양을 따라가도록 강제된다. 즉, 패널(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가이드 레일(9)의 길이방향 위치로부터 패널(4)의 후면이 들어올려졌을 때의 위치를 향해, 패널(4)의 후면 단부가 들어올려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보조 레버(63)가 제2 가이드 슬롯(35')에서 가이드 핀(64')의 이동 피벗점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선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동작 동안 제3 가이드 핀(64'')은 제3 가이드 슬롯(35'')에서 상방의 제2 부분(70')으로 안내되고, 따라서 가이드 핀(64')의 이동 피벗점 후방으로 보조 레버(63)의 상방 이동을 초기화한다. 제1 가이드 핀(64)이 하방으로 안내되는 수직 슬롯 부분(68')에 도달할 때까지 제1 가이드 핀(64)은 이 동작 중에 제1 가이드 슬롯(35)의 수평 슬롯 부분(68)에서 우선 안내된다. 패널(4)의 후면 단부를 들어올리는 작업 중에 제1 가이드 핀(64) 및 제2 가이드 핀(64')은 각자의 가이드 슬롯(35, 35')에서 움직이지만, 제3 가이드 핀(64'')은 제3 가이드 슬롯(35'')을 그 상단부에서 나온다. 제3 가이드 핀(64'')이 제3 가이드 슬롯(35')에서 나오면, 보조 레버(63)의 이동 제어 및 지지가 가이드 슬롯(35)에 있는 제1 가이드 핀(64)에 의해 인계된다.
패널(4)의 후면 단부의 수직 이동과 관련하여, 패널(4)의 후면 단부가 들어올려졌지만 패널(4)의 전면 단부는 여전히 실질적으로 닫혀진 "틸트(tilt)" 위치가 생성된다는 점을 상세히 명시해야 한다. 이는 패널(4)의 전면 단부는 여전히 고정부(7)와 패널(4) 사이의 씰(8)과 접촉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패널(4)의 이 특정 "틸트" 위치는 차량(1)의 내부를 환기할 수 있는 환기 위치에 대한 함수이다. 또한 패널(4)이 "틸트" 위치에서 루프 후면으로 구동될 때, 먼저 패널(4)의 전면부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고 패널(4)의 후면부가 "슬라이드" 위치로 다소 더 들어올려진 후 패널(4)이 차량(1)의 후면으로 이동하여 루프 개구부(3)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에서 잠금 레버(41)로부터 잠금 조인트(45)를 통해 제2 구동 부재(25)가 잠금 해제될 때 잠금 위치의 잠금 메커니즘(62)이 전면 메커니즘으로부터 잠금 해제된다. 그리고 잠금 메커니즘(62)은 제3 구동 부재(66)가 잠금 레버(41)를 통해 잠금 로케이터(40)에 잠길 때 틸팅 메커니즘(24)을 잠근다. 또한, 제2 구동 부재(25)가 잠금 조인트(45)를 통해 잠금 레버(41)로 잠기면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잠금 메커니즘(62)은 전면 메커니즘(20)에 잠기고, 제3 구동 부재(66)가 잠금 레버(41)를 통해 잠금 로케이터(40)에서 잠금 해제되면 틸팅 메커니즘(24)이 잠금 해제된다.
잠금 메커니즘(62)의 대체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도 24a-d를 참조하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 24a는 도 22 및 2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잠금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4b의 잠금 메커니즘 실시예에서, 캠(47) 및 잠금 슬롯(45)과 같은 잠금 조인트를 작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잠금 캠(45a) 및 레버 슬롯(47a)으로 대체되거나 상호 교환된다. 여기서 레버 슬롯(47a)은 캐칭 부분(47a'') 및 잠금 부분(47a')를 포함한다. 캐칭 부분(47a'')은 루프 패널이 폐쇄될 때 잠금 캠(45a)을 붙잡기 위한 것이다. 반면에 도 24c의 잠금 메커니즘의 실시예에서, 잠금 레버(41)의 잠금 핀(42) 및 로케이터(40)의 핀 슬롯(44)은 로케이터 캠(44a) 및 레버 슬롯(42a)으로 대체되거나 상호 교환된다. 이해하겠지만, 조인트의 대체 변형은 해당 슬롯과 핀의 다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힌지 블록(65)의 힌지 핀(43)과 잠금 레버(41)의 연결 힌지 구멍(43')도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도 24d에 도시된 잠금 메커니즘(62)의 대체 실시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핀 및 슬롯의 배향은 도 24a-c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약 90° 회전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핀 슬롯(44)은 여전히 두 부분을 포함하는데, 제1 부분(4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부분(44'')은 제1 부분(44')에 수직으로 연장되지만, 도 24a-c에서와 같은 수직 방향 대신에 횡방향, 차량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4a-d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며, 이들 도면의 설명이 이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이해하겠지만, 도 24a-c의 모든 변형은 도 24d와 유사한 잠금 메커니즘의 배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4d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22 및 도 23의 도면은 측면도 대신 저면도로 간주될 수 있으며, 구성 요소의 동작은 유사하다. 도 22 및 도 23은 또한 다른 회전된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4d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미러링된 실시예,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 쌍의 반대쪽에 위치하기에 적합한 실시예를 도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잠금 메커니즘은 제2 구동 부재의 바깥쪽 단부에 장착된 잠금 조인트, 제3 구동 부재의 바깥쪽 단부에 있는 힌지 블록, 가이드 레일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잠금 로케이터, 및 잠금 로케이터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잠금 레버를 포함한다. 잠금 레버는 또한 일 단부에서 힌지 블록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에서 잠금 조인트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잠금 레버는 제2 구동 부재의 이동을 통해 슬라이딩 위치와 틸트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위치에서, 잠금 레버는 잠금 로케이터에서 잠금 해제되고 잠금 조인트에서 잠기는 반면, 틸트 잠금 위치에서, 잠금 레버는 잠금 로케이터에서 잠기고 잠금 조인트에서 분리된다. 잠금 레버가 틸트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메커니즘은 틸트 메커니즘을 가이드 레일에 잠근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은 잠금 위치에 있다. 잠금 레버가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메커니즘은 틸트 메커니즘을 가이드 레일로부터 잠금 해제한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위치에 있다.
도 3c 및 3d를 참조하면, 작동 메커니즘(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틸팅 메커니즘(24) 및 잠금 메커니즘(62)은 도 3a 및 3b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설명되는 대안 중 하나로 구체화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25, 25')와 제3 구동 부재(66, 66') 모두의 전면 및 후면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은 파선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연장된 가이드 레일(9)에서 틸팅 메커니즘(62)을 위치시키는 데 필요한 거리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이다. 도 3c 및 3d의 실시예에서, 전면 메커니즘(20)이 두 개의 전면 레버(21', 21'')를 포함하는 대안적으로 전면 메커니즘(20)이 구성된다. 제1 전면 레버(21')는 슬라이드 슈(19)를 구비하며 이는 가이드(9)의 가이드 홈 및 위에서 설명된 인서트(18)와 협력한다. 제2 전면 레버(21'')는 커브 트랙(52)을 구비하며 이는 가이드 레일(9)'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구동 슬라이드(23)의 구동 캠(51)과 협력한다. 제1 전면 레버(21')는 피벗 구멍(13b)을 통해 제2 전면 레버(21'')의 피벗 핀(13c)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된다. 제2 전면 레버(21'')는 피벗 구멍(13a)을 통해 피벗 블록(26)의 피벗 핀(13)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전면 레버는 폐쇄 위치 안 및 바깥으로 패널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전면 레버는 패널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거나 피벗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면 레버는 캠-커브 조인트 또는 슬롯 및 핀 조인트 등을 통해 전면 레버에 결합되고 피벗 블록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 레버는 구동 슬라이드를 구동하여, 특히 제1 구동 부재를 작동하여 가이드 레일에 대해 제1 패널의 전면 에지를 들어올리고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면 메커니즘(20)의 전반적인 기능과 빌드업은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기술된 바와 같이 두 실시 예 모두에서 동일하다.
도 3e를 참조하면, 작동 메커니즘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도 3a-d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틸팅 메커니즘(24)은 도 3a-d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3e의 실시 예에서, 잠금 메커니즘(62)은 위에서 도 24d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90°회전된다는 점에서 대안적으로 구성된다. 작동은 동일하며, 즉, 제2 구동 부재(25)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3 구동 부재(66, 66')가 따라서 이동하는 반면에 잠금 로케이터(40)를 통해 이동하는 잠금 레버(41)의 잠금 핀(45)에 의해 잠금 캠(47)이 잠금 슬롯(45)에 유지된다. 잠금 핀(45)이 잠금 로케이터(40)의 직각,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 캠(47)이 잠금 슬롯(45)의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잠금 슬롯(45)으로부터 분리되면, 제2 구동 부재(25)는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제3 구동 부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 3e의 실시예에서, 전면 메커니즘(20)이 또한 대안적으로 구성된다. 피벗 핀(13) 대신에, 피벗 블록(26)은 곡선형 바닥 및/또는 곡선형 상단 표면 위에서 피벗할 수 있는 외측 곡선형 윤곽을 갖는다. 제2 구동 부재(25)에 연결된 구동 슬라이드(23)는 제1 구동 부재(12, 12')(도 3 참조)에 의해 구동되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구동 캠(51)을 통해 전면 레버(21)를 작동시킨다.
도 3 및 도 12-14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9)에는 제1 및 제2 구멍(55, 56)이 제공된다. 제1 구멍(55)은 틸팅 메커니즘(24) 하부에 위치하며 패널(4)이 폐쇄 위치에 있고 틸팅 메커니즘(24)이 가이드 레일(9)의 경계 내에서 실질적으로 접힐 때 틸팅 메커니즘(24) 부품용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제공한다. 구멍(55)으로 인해 슬라이드 클로(32) 및 하우징(27)은 이러한 부품이 가이드 홈(50) 위에 장착되었을 때보다 수직적으로 다소 낮게 패키징될 수 있다. 제2 구멍(56)은 잠금 메커니즘(62) 하부에 놓인다. 특히 제2 패널(4')이 접착제로 장착되는 경우, 잠금 메커니즘(62)에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해 접착된 패널을 제거하는 데 매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를 피하기 위한 더 저렴한 해결방안은 아래에서 잠금 메커니즘(62)의 부품을 서비스하기 위한 구멍(56)을 사용하는 것이다.
루프 시스템은 제1 패널과 제2 패널(4, 4') 사이에서 누출될 수 있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채널(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채널(67)은 통상 제1 및 제2 패널(4, 4') 사이에 장착된 씰 아래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수 채널(67)은 씰링을 통과해 떨어질 수 있는 물을 모으고 가이드 레일(9)의 젖은 영역으로 배수 채널(67) 측면으로의 물을 배출하는 홈통 역할을 한다. 잠금 메커니즘(62)은 수직 방향에서 볼 때 배수 채널(67)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의 가이드 레일(9)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도 2의 선 XIX 및 선 XX를 따라 취해진 루프 시스템 단면이 도시된다. 도 19에 고정부(7)가 도시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9)이 부착되어 있고, 고정부(7)는 접착제를 사용해 차체 플랜지(5)에 연결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고정부(7)는 차체 플랜지(5)의 위에 놓여있다. 이는 차체 위에 조립되는 이러한 유형의 상단 적재형 루프에서 전형적인 경우이다. 가이드 레일(9)은 측면 방향으로 볼 때 차체 플랜지(5)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도 20에서 가이드 레일(9)은 차체 플랜지(5)에 밀접하게 인접해 있다. 고정부(7)는 가이드 레일(9)의 중앙에 연결되도록 형상이 되어 있는데, 이는 차체 플랜지(5)에 인접한 가이드 레일(9)의 플랜지에 연결할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가이드 레일(9)이 루프 시스템의 일광 개구부를 늘리기 위해 가능한 한 차체 플랜지(5) 쪽으로 측면 외곽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차체에서 루프(즉, 소위 캔트-레일(cant-rail))는 차량 후면을 향해 테이퍼진 모양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평면도에서 볼 때 가이드 레일(9)이 직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9)은 캔트-레일 라인과 평행하지 않으며, 따라서 차체 플랜지(5)와도 평행하지 않으므로, 가이드 레일(9)은 차량(1)의 후면에서 차체 플랜지(5)에 가까이 접근한다. 가이드 레일(9)은 측면 외곽쪽 플랜지를 절단하여 감소하여 폭이 감소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5-28을 참조하면, 여러 실시예에서 개략적인 작동 메커니즘(10) 및 가이드 레일(9)을 갖는 차량의 고정 루프(2)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는 차량(1)의 고정 루프(2)가 제1 및 제2 패널(4, 4')을 갖는 상부 장착 루프 시스템과 함께 도시된다. 작동 메커니즘(10)은 패널(4, 4')의 표면 아래에 (명확성을 위해) 실선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이 제1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9)은 루프 개구부(3)의 왼쪽 및 오른쪽 측면 위에서 하나의 조각(one peice)으로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된다.
도 26에서 유사한 고정 루프(2), 제1 및 제2 패널(4, 4') 및 작동 메커니즘(10)이 도시되어 있으며, 패널(4, 4')의 표면 아래에 (명확성을 위해)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9)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전면 가이드 레일(60) 및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각각 작동 메커니즘(10)의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한다. 도 26으로부터,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레일(60, 61) 사이의 거리가 일반적으로 차량 차체의 크로스 부재가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영역에 정확히 생성됨을 알 수 있다.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도 29와 같이 고정부(7)에 고정될 수 있지만, 가이드 레일(61)이 도 30과 같이 제2 패널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7은 하나의 제1(이동식) 패널(4) 및 작동 메커니즘(10)만을 구비한 상단 적재 루프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며, 패널(4) 및 고정 루프(2)의 표면 아래에 (명확성을 위해) 실선으로 도시되고,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레일(60, 61)에서 가이드되는 점을 도시한다. 제1 패널(4)의 차량 루프 후면 부분은 강철 고정 루프(2)이다.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루프(2)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도 28은 제1 패널(4)만 있는 하단 적재 루프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며,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루프(2)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작동 메커니즘(10)은 패널(4) 및 고정 루프(2)의 표면 아래에 (명확성을 위해)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작동 메커니즘(10)의 모든 부품 및 가이드 레일(9, 60, 61)의 다양한 실시예는 각각의 도면에 그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대부분 루프 시스템의 한쪽(좌측 또는 우측)에 대해 설명한다. 루프 시스템에는 좌 및 우 작동 메커니즘(10)과 서로 거울 이미지인 좌 및 우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 있는 도면에 도시되고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다. 원칙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의 특징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고정 루프(2)에 루프 개구부(3)를 갖는 차량(1)용 루프 시스템으로,
    고정 루프(2)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고정부(7),
    고정부(7)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폐쇄 위치에서 루프 개구부(3)를 닫으며 및 루프 개구부(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리는 개방 위치로 적어도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전면 에지 및 후면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널(4),
    루프 개구부(3)의 마주보는 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9, 60, 61),
    전기 모터(11)와 제1 구동 부재(12, 12', 25)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메커니즘(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9, 60, 61) 각각은 제1 패널(4)에 대한 작동 메커니즘(10)의 적어도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작동 메커니즘(10)은 전면 메커니즘(20)을 포함하며, 전면 메커니즘은 수직 방향으로 제1 패널(4)의 전면 에지를 이동할 수 있고 가이드 레일(9, 60, 61)에서 작동 메커니즘(10)의 적어도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면 메커니즘(20)은 제1 패널(4)에 부착되는 패널 브래킷(22)을 포함하고,
    작동 메커니즘(10)은 수직 방향으로 제1 패널(4)의 후면 에지를 이동할 수 있는 틸팅 메커니즘(24)을 더 포함하고, 틸팅 메커니즘(24)은 패널 브래킷(22)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드 클로(32)를 포함하고,
    작동 메커니즘(10)은 잠금 메커니즘(62)을 더 포함하고, 잠금 메커니즘은 틸팅 메커니즘(24)을 가이드 레일(9, 61)에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틸팅 메커니즘(24)을 가이드 레일(9, 61)에 대해 잠글 수 있으며, 제1 패널(4)이 틸팅 메커니즘(24)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잠금 메커니즘(62)은 가이드 레일(9, 61)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며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틸팅 메커니즘(24)보다 완전히 후방에 있고 멀리 떨어져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9)은 길이방향으로 중단 없이 연장되고, 전면 메커니즘(20), 틸팅 메커니즘(24) 및 잠금 메커니즘(62)은 가이드 레일(9)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9) 각각은 길이방향에서 볼 때 후면 가이드 레일(61)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가이드 레일(60)을 포함하고,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레일(60, 61)은 별도의 부품이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서로 일직선상에 있으며, 전면 가이드 레일(60)은 전면 메커니즘(20) 및 틸팅 메커니즘(24)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잠금 메커니즘(6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62)은 잠금 레버(41) 및 로케이터(40)를 포함하고, 로케이터와 잠금 레버(41)는 핀 슬롯(44) 및 핀 슬롯(44)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잠금 핀(42)을 포함하고; 및
    로케이터(40)는 가이드 레일(9, 61)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및
    핀 슬롯(44)은 잠금 핀(42)을 안내하기 위한 길이방향 제1 부분(44') 및 잠금 핀(42)을 잠그기 위한 수직 잠금 제2 부분(44'')을 갖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 메커니즘(20)은 구동 슬라이드(23)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부재(12, 12')에 연결된 구동 슬라이드(23)를 포함하고, 제2 구동 부재(25)는 구동 슬라이드(23)를 잠금 메커니즘(62)에 연결하여 패널(4)의 후면 에지의 수직 이동 중에 적어도 잠금 메커니즘(62)을 구동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틸팅 메커니즘(24)은 가이드 레일(9, 6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딩 가이드(36)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가이드는 보조 레버(63)의 일 단부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보조 레버(63)는 슬라이딩 가이드(36)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며, 보조 레버(63)의 일 단부는 슬라이드 클로(32)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드 클로(32)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및
    마주보는 측면에 있는 상기 슬라이드 클로(32)는 리프팅 레버(30, 30')의 쌍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마주보는 단부에 있는 상기 리프팅 레버는 피벗방식으로 하우징(27)에 연결되고, 하우징은 가이드 레일(9, 6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및
    슬라이딩 가이드(36)에는 제1, 제2 및 제3 가이드 슬롯(35, 35', 35'')이 제공되고, 보조 레버(63)에는 제1, 제2 및 제3 핀(64, 64', 64'')이 제공되며 각각은 슬라이딩 가이드(36)의 각 슬롯(35, 35', 35'')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고, 및
    슬라이딩 가이드(36)의 제1 가이드 슬롯(35)은 실질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슬롯 부분(68) 및 후속해서 직각의 수직으로 잠그는 제2 슬롯 부분(68')을 포함하고, 제2 가이드 슬롯(35')은 실질 수평 슬롯 부분(69)을 포함하고, 및
    슬라이딩 가이드(36)의 제3 가이드 슬롯(35'')은 실질 수평 제1 부분(70) 및 후속 상방 곡선 부분(70')을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레버(41)는 힌지 블록(65)의 일 측면에 피벗방식으로 연결되고, 연결봉(66)은 힌지 블록(65)의 마주보는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66)은 틸팅 메커니즘(24)에 연결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구동 부재(25)는 잠금 레버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잠금 레버(41)에 연결되고, 잠금 레버(41)는 힌지 블록(65)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블록(65)은 연결봉(66)에 연결되고, 연결봉은 다시 슬라이딩 가이드(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상기 언급된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틸팅 메커니즘(24)의 일부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여 제1 패널(4) 후면의 수직 운동을 유발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 단부의 제2 구동 부재(25) 및 전면 단부의 잠금 레버(41)에는 잠금 캠(47, 45a)과의 결합을 위한 잠금 슬롯(45, 47a) 및 잠금 캠(47, 45a)을 포함하는 잠금 조인트가 제공되며, 잠금 슬롯(45, 47a)에는 실질 길이방향 캐칭 부분(45''. 47a'') 및 실질 수직 잠금 부분(45', 47a')이 제공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62)은 차량(1)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제1 패널(4)의 후면 에지의 완전 후방에 있는 가이드 레일(9, 61)에 배치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루프 시스템은 제2 패널(4')을 더 포함하고, 잠금 메커니즘(62)은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제2 패널(4)'의 전면 에지의 완전 후방에 있는 가이드 레일(9, 61)에 배치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루프 시스템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채널(67)을 더 포함하고, 잠금 메커니즘(62)은 수직 방향으로 볼 때 배수 채널(67)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에서 가이드 레일(9, 61)에 배치되고, 및/또는 가이드 레일(9, 61)에는 잠금 메커니즘(62) 바로 아래에 가이드 레일의 바닥에 구멍(56)이 제공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13. 제3항 및 제8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60)은 가이드 레일(61)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60, 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동 부재(25) 및 연결봉(66)이 상기 가이드 레일(60, 61) 사이에서 연장되고 가이드 레일(61)의 잠금 메커니즘(62) 및 가이드 레일(60)의 틸팅 메커니즘(24)을 각각 작동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14. 제3항에 있어서,
    전면 메커니즘(20)과 잠금 메커니즘(62) 사이의 연결 및 잠금 메커니즘(62)과 틸팅 메커니즘(24) 사이의 연결은 가이드 레일(60, 61)의 각 채널에서 안내되는 한 쌍의 유연 케이블(58, 59)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면 가이드 레일(60)과 후면 가이드 레일(61) 사이에 있는 상기 케이블(58, 59)은 가이드 레일(60, 61)의 반대쪽에 부착된 케이블 튜브(53, 54)에 의해 안내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15. 제3항에 있어서,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부품이고, 상기 후면 가이드 레일(61)은 고정부, 고정 루프의 내부 부분 또는 제2 패널(4')의 내부 표면 중 하나에 장착되는, 차량용 루프 시스템.
KR1020240114964A 2023-09-01 2024-08-27 차량용 루프 시스템 Pending KR20250033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94819.1 2023-09-01
EP23194819 2023-09-01
EP23210230.1 2023-11-16
EP23210230 2023-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33958A true KR20250033958A (ko) 2025-03-10

Family

ID=9245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4964A Pending KR20250033958A (ko) 2023-09-01 2024-08-27 차량용 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50074168A1 (ko)
EP (1) EP4516544A1 (ko)
JP (1) JP2025036303A (ko)
KR (1) KR20250033958A (ko)
CN (1) CN11955079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550792A (zh) 2025-03-04
US20250074168A1 (en) 2025-03-06
JP2025036303A (ja) 2025-03-14
EP4516544A1 (en) 202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638B2 (en) Automotive vehicle open air system
US6945590B2 (en) Automotive vehicle with open air system
US7032962B2 (en) Retractable roof panel
US6669278B2 (en) Automotive vehicle roof system having multiple sunroofs
EP1207067B1 (en) Vehicle
US20080164726A1 (en) Multi-panel sunroof system
US7404587B2 (en) Motor vehicle
US11485205B2 (en) Vehicle roof having a roof opening system and drive device for kinematic units
US6224146B1 (en) Spoiler sunroof mechanism
US6604782B2 (en) Openable motor vehicle roof
US6789830B2 (en) Vehicle
US6880884B2 (en) Vehicle sunroof structure
US11926202B2 (en) Roof system
KR20250033958A (ko) 차량용 루프 시스템
US7222908B1 (en) Automotive open air system
CN115635832A (zh) 车顶系统
KR20250033959A (ko) 차량용 루프 시스템
GB2386868A (en) Seat assembly incorporating vehicle partition
EP4592113A1 (en) Roof system
US20250242672A1 (en) Roof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