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33657A -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33657A KR20250033657A KR1020230116094A KR20230116094A KR20250033657A KR 20250033657 A KR20250033657 A KR 20250033657A KR 1020230116094 A KR1020230116094 A KR 1020230116094A KR 20230116094 A KR20230116094 A KR 20230116094A KR 20250033657 A KR20250033657 A KR 202500336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support part
- support
- internal space
- liquefied g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025/087—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omprising self-contained tanks installed in the ship structure as separate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가 제공된다. 상기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부 및 선체의 내부에 구획된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상기 선체의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지 운항 액화가스 운반선의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수직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LNG 운반선 등의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액화가스를 하역하는 선박이며, 이를 위해,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한다.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저장탱크가 화물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탱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형과 멤브레인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화물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선박 또는 해양 부유 구조물 내의 내부공간의 바닥에 놓이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내부공간과 저장탱크와의 사이에는 저장탱크를 내부공간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지지구조가 요구되었다.
특히 극지를 운항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경우에는 바다에 부유하는 빙과의 충돌에 의한 빙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빙 충격에 의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병진운동이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병진운동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구조가 개시되었으나 종래의 구조들은 대부분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추가적인 보강부재를 부가하는 것으로써, 보강부재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부위에서 액화가스의 리크(Leak)가 발생하거나 보강부재의 위치에 단열부재가 형성되지 못하여 열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추가적인 보강부재 없이도 빙 충격에 의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병진운동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서포트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내부공간에 결합시키기 위한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빙 충격의 발생 시에도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병진운동을 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화가스의 리크나 열 손실을 유발하지 않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수직 서포트의 구조 및 배치상태에서 변경이 최소화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상부서포트부 및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선체의 내부에 구획된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의 좌현에 배치된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좌현에 배치된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된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된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서포트경사면 및 상기 하부서포트경사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25도 이하의 범위에서 정해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서포트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공간 중 상기 선체의 선수쪽에 가장 인접한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서포트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의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 중 상기 선체의 좌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 및 상기 선체의 우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제1서포트베이스 및 제1우든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트베이스는 상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우든블록은 상기 제1서포트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제2서포트베이스 및 제2우든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포트베이스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우든블록은 상기 제2서포트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우든블록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우든블록의 상부면과 하부면도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우든블록의 상부면은 상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우든블록의 하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우든블록의 하부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우든블록의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서포트를 포함하는 극지 운항 선박은 내부공간,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상부서포트부 및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은 선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선체의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부 및 선체의 내부에 구획된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부서포트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선체의 내부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선체의 좌현에 배치된 상부서포트부가 선체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고 선체의 좌현에 배치된 상기 하부서포트부가 선체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된 상부서포트부가 선체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고 선체의 우현에 배치된 하부서포트부가 선체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체의 좌현 또는 우현에 충돌하는 빙의 충격력을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 의해 모두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상부서포트경사면 및 하부서포트경사면이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25도 이하의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빙 충돌발생 시 뿐만 아니라 빙 충돌 발생전에도 마찰력에 의하여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병진 운동이 방지되는 경사면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상부서포트부 및 하부서포트부가 선체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공간 중 선체의 선수쪽에 가장 인접한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빙과의 충돌이 발생되는 내부공간에만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를 적용하고 다른 내부공간에는 기존의 수직 서포트를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수직 서포트의 배치상태에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상부서포트부 및 하부서포트부가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의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 중 선체의 좌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 및 선체의 우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수직 서포트의 배치상태에서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빙과의 충돌로 선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상부서포트부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1서포트베이스 및 제1서포트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우든블록을 더 포함하고 하부서포트부가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2서포트베이스 및 제2서포트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우든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서포트부 및 하부서포트부가 강성, 연성 및 마찰력을 모두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는 제1우든블록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우든블록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우든블록 및 제2우든블록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설계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 서포트를 포함하는 극지 운항 선박은 선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부 및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빙과의 충돌 발생시에도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병진 운동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의 선체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V-V선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와 빙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서 빙 충돌 전의 힘의 평형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서 빙 충돌 시의 힘의 평형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의 작용효과를 보인 표.
도 7은 도 2에 따른 V-V선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V-V선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와 빙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서 빙 충돌 전의 힘의 평형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서 빙 충돌 시의 힘의 평형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의 작용효과를 보인 표.
도 7은 도 2에 따른 V-V선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전방은 선체의 선수방향을 의미하고 선체의 후방은 선체의 선미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상단은 선체의 상갑판을 의미하며 선체의 선측은 선체의 측면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길이는 선체의 상갑판과 평행한 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폭은 선체의 상갑판과 평행한 일 선측에서 타 선측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의 높이는 선체의 상갑판과 직교하는 상갑판에서 선저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은 선체의 폭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의 선체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20)는 외표면이 수밀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선체(20)는 위치별로 선저(미부호), 갑판(미부호), 격벽(미도시) 및 선측(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선저는 선체(20)의 바닥으로써 수압 및 파랑충격력을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저는 선체(20)에 실리는 화물 또는 기계류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선저는 물과 접하는 선저외판(미부호) 및 선저외판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거나 의장품이 설치되는 내저판(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갑판은 평판모양의 수평 구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갑판은 위에 놓이는 물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갑판은 선체(20)의 내부공간을 층별로 나눌 수 있다. 갑판은 외부로 노출되는 최상층의 상갑판(미부호), 상갑판의 하부에 형성된 제2갑판(미도시) 및 제2갑판의 하부에 형성된 제3갑판(미도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은 선체(20)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수직평판 구조물일 수 있다. 격벽은 선체(20)의 외벽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침수된 해수가 다른 구획으로 넘어들어 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체(20)의 침몰 가능성을 줄이고 선체(20) 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선측은 선체(20)의 양측을 감싸는 수직 외벽일 수 있다. 선측은 수압 및 파랑충격력을 견디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측은 선저처럼 이중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측은 선박이 항만에 정박시 인원 또는 화물을 승하선 시키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선체(20)에는 적어도 한개의 내부공간(10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100)은 육 면이 벽으로 둘러 쌓인 공간일 수 있다. 내부공간(100)의 내부에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일반적으로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로 구분될 수 있다. 맴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탱크의 외관은 단열 및 부식 성능이 뛰어난 금속 재질의 판으로 형성되고 탱크의 형태 유지 및 하중의 지지는 선체의 내부 구조물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는 자기지지(Self-supporting)형으로써 별도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만들어 내부공간(100)의 구획내에 위치시키고 수직 서포트(10)를 통하여 내부공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V-V선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는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를 포함한다. 상부서포트부(300)의 하부면과 하부서포트부(400)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게 형성된다.
상부서포트부(30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부서포트부(300)의 상부면이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에 면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서포트부(300)의 상부면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서포트부(400)는 선체(20)의 내부에 구획된 내부공간(1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하부서포트부(400)는 상부서포트부(300)의 하부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하부서포트부(400)의 하부면이 내부공간(100)의 바닥면에 면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서포트부(400)의 하부면은 내부공간(100)의 바닥면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는 선체(20)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내부공간(100) 중 선체(20)의 선수에 가장 인접한 내부공간(100)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운항 시 적어도 한 개의 내부공간(100) 중 선수에 가장 인접한 내부공간(100)에 빙(30)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는 선체(20)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공간(100) 중 선체(20)의 선수에 가장 인접한 내부공간(100, 또는 No.1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선체(20)의 좌현에 배치된 상부서포트부(300)는 선체(20)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330)을 포함한다. 또한, 선체(20)의 좌현에 배치된 하부서포트부(400)는 선체(20)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선체(20)의 우현에 배치된 상부서포트부(300)는 선체(20)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330)을 포함한다. 또한, 선체(20)의 우현에 배치된 하부서포트부(400)는 선체(20)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43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선체(20)의 좌현 선측에 충돌하는 빙(30)의 충격력 및 선체(20)의 우현 선측에 충돌하는 빙(30)의 충격력에 모두 대응 가능한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서포트부(300)는 제1서포트베이스(310) 및 제1우든블록(320)을 포함한다.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상부서포트부(3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우든블록(320)은 상부서포트부(300)에 연성 및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서포트베이스(310)의 상부면과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이 면 접촉된 후 용접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서포트베이스(310)의 상부면과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이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나사체결방식의 경우 제1서포트베이스(310)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볼트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부분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를 관통홀에 관통시킨 후 너트부재(미도시)를 볼트부에 나사체결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제1서포트베이스(310)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별도의 볼트부재(미도시)를 각각의 관통홀에 삽입시킨 후 너트부재를 볼트부재에 나사체결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값 이상의 강도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와 용접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금속 이외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우든블록(320)은 제1서포트베이스(3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1우든블록(320)과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서로의 경계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는 극저온의 액화가스가 저장되므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우든블록(320)에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서 발생된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응력을 흡수하여 제1서포트베이스(310)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서포트부(400)는 제2서포트베이스(410) 및 제2우든블록(420)을 포함한다. 제2서포트베이스(410)는 하부서포트부(400)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우든블록(420)은 하부서포트부(400)에 연성 및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서포트베이스(410)는 내부공간(100)에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서포트베이스(410)의 하부면과 내부공간(100)의 바닥면이 면 접촉된 후 용접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서포트베이스(410)의 하부면과 내부공간(100) 바닥면이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나사체결방식의 경우 제2서포트베이스(410)와 내부공간(1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 볼트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부분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를 관통홀에 관통시킨 후 너트부재(미도시)를 볼트부에 나사체결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제2서포트베이스(410)와 내부공간(100)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별도의 볼트부재(미도시)를 각각의 관통홀에 삽입시킨 후 너트부재를 볼트부재에 나사체결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2서포트베이스(41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값 이상의 강도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서포트베이스(410)는 내부공간(100)과 용접방식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서포트베이스(410)는 금속 이외의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서포트베이스(410)는 내부공간(100)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우든블록(420)은 제2서포트베이스(4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제1우든블록(320)과 제1서포트베이스(310)는 서로의 경계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는 극저온의 액화가스가 저장되므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우든블록(320)에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에서 발생된 열팽창 및 수축에 따른 응력을 흡수하여 제1서포트베이스(310)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우든블록(3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우든블록(320)의 횡단면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포트베이스(310)의 하단면과 제1우든블록(320)의 상단면은 서로 맞닿으며 제1경사면(3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우든블록(320)의 하단부에는 제2경사면(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331)과 제2경사면(332)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경사면(331)과 제2경사면(33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경사면(332)은 상부서포트부(300) 전체의 경사면인 상부서포트경사면(330)과 동일한 경사면 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우든블록(4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우든블록(420)의 횡단면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서포트베이스(410)의 상단면과 제2우든블록(420)의 하단면은 서로 맞닿으며 제3경사면(4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우든블록(420)의 상단부에는 제4경사면(4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면(431)과 제4경사면(432)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경사면(431)과 제4경사면(43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4경사면(432)은 하부서포트부(400) 전체의 경사면인 하부서포트경사면(430)과 동일한 경사면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와 빙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는 빙(30)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힘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중력에 의한 힘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20)의 좌현에 구비된 상부서포트부(300)의 경사면 및 하부서포트부(400)의 경사면은 각각 선체(20)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선체(20)의 우현에 구비된 상부서포트부(300)의 경사면 및 하부서포트부(400)의 경사면은 각각 선체(20)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중력에 의한 힘과 빙(30)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서 빙 충돌 전의 힘의 평형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에서 빙 충돌 시의 힘의 평형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는 빙(30)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 발생 전에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중력에 의한 힘과 상부서포트부(300)와 하부서포트부(40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어 상부서포트부(300)는 하부서포트부(4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는 빙(30)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 발생 시에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중력에 의한 힘과 상부서포트부(300)와 하부서포트부(40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합한 합력이 빙(30)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과 힘의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빙(30)이 충돌하여도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가 병진운동을 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의 작용효과를 보인 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는 상부서포트부(300)와 하부서포트부(400)와의 사이의 경사면의 마찰력이 증가됨에 따라 경사면의 기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빙(30)의 충돌 시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10)에서 발생되는 힘(중력 + 마찰력)도 증가될 수 있다.
마찰계수가 0.2인 경우에는 상부서포트부(300)와 하부서포트부(400)와의 사이의 경사면의 경사면 각도가 10도 이하의 범위에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가 미끄러짐 없이 내부공간(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힘이 빙(30)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지탱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마찰계수가 0.5인 경우에는 상부서포트부(300)와 하부서포트부(400)와의 사이의 경사면의 경사면 각도가 25도 이하의 범위에서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가 미끄러짐 없이 내부공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부서포트부(300)와 하부서포트부(400)와의 사이의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힘은 마찰계수가 0.2인 경우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의 경사면의 각도는 각각 내부공간(100)의 바닥면으로부터 25도 이하의 범위에서 정해진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V-V선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지 서포트(10)는 제1우든블록(320)의 상부면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우든블록(320)의 하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우든블록(320)의 횡단면은 삼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서포트베이스(310)의 하부면은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서포트베이스(310)의 하부면과 제1우든블록(320)의 상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우든블록(320)은 제1서포트베이스(3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우든블록(420)의 하부면은 내부공간(100)의 바닥면과 평행하다. 제2우든블록(420)의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우든블록(420)의 횡단면은 삼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서포트베이스(410)의 상부면은 내부공간(10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서포트베이스(410)의 상부면과 제2우든블록(420)의 하부면은 서로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우든블록(420)은 제2서포트베이스(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서포트베이스(310)와 제1우든블록(320)과의 사이의 마찰력 및 제2서포트베이스(410)와 제2우든블록(420)과의 사이의 마찰력은 제1우든블록(320)과 제2우든블록(420)과의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우든블록(320)과 제2우든블록(420)이 맞닿은 면에만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 선박은 내부공간(100),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를 포함한다.
내부공간(100)은 선체(20)에 형성된다.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는 내부공간(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부서포트부(300)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20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하부서포트부(400)는 내부공간(1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상부서포트부(300)의 하부면과 하부서포트부(400)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도시 또는 설명한 것은 단지 예일뿐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는 선체(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10) 중 선체(20)의 좌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10)에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서포트부(300) 및 하부서포트부(400)는 선체(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10) 중 선체(20)의 우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10)에 구비된다. 선체(20)의 좌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 및 선체(20)의 우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10)는 종래의 수직 서포트(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내부공간
200 :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300 : 상부서포트부
310 : 제1서포트베이스 320 : 제1우든블록
330 : 상부서포트경사면 331 : 제1경사면
332 : 제2경사면
400 : 하부서포트부
410 : 제2서포트베이스 420 ; 제2우든블록
430 : 하부서포트경사면 431 : 제3경사면
432 : 제4경사면
10 : 수직 서포트 20 : 선체
30 : 빙 40 : 빙의 충격력
50 : 수직 서포트에서의 중력 60 : 수직 서포트에서의 마찰력
200 :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300 : 상부서포트부
310 : 제1서포트베이스 320 : 제1우든블록
330 : 상부서포트경사면 331 : 제1경사면
332 : 제2경사면
400 : 하부서포트부
410 : 제2서포트베이스 420 ; 제2우든블록
430 : 하부서포트경사면 431 : 제3경사면
432 : 제4경사면
10 : 수직 서포트 20 : 선체
30 : 빙 40 : 빙의 충격력
50 : 수직 서포트에서의 중력 60 : 수직 서포트에서의 마찰력
Claims (9)
-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부; 및
선체의 내부에 구획된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게 형성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좌현에 배치된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의 좌현에 배치된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좌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된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의 우현에 배치된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우현 선측쪽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서포트경사면을 포함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포트경사면 및 상기 하부서포트경사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25도 이하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포트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공간 중 상기 선체의 선수쪽에 가장 인접한 내부공간에 각각 구비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포트부는 상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1서포트베이스; 및
상기 제1서포트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우든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2서포트베이스; 및
상기 제2서포트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우든블록을 더 포함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우든블록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우든블록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우든블록의 상부면은 상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우든블록의 하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우든블록의 하부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우든블록의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 선체의 내부에 구획된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
상기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서포트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서포트부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서포트부의 상부면은 각각 경사지며 서로 매칭되도록 형성되는,
극지 운항 선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포트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부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 중 상기 선체의 좌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 및 상기 선체의 우현 선측에 가장 인접한 열을 형성하는 수직 서포트에 각각 구비되는 극지 운항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16094A KR20250033657A (ko) | 2023-09-01 | 2023-09-01 |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16094A KR20250033657A (ko) | 2023-09-01 | 2023-09-01 |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33657A true KR20250033657A (ko) | 2025-03-10 |
Family
ID=9502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6094A Pending KR20250033657A (ko) | 2023-09-01 | 2023-09-01 |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33657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5514B1 (ko) | 1993-05-27 | 2001-11-22 | 타케이 토시후미 | 액화가스운반선의자립형저장탱크용지지구조 |
KR20100011978U (ko) | 2009-06-01 | 2010-12-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
-
2023
- 2023-09-01 KR KR1020230116094A patent/KR20250033657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5514B1 (ko) | 1993-05-27 | 2001-11-22 | 타케이 토시후미 | 액화가스운반선의자립형저장탱크용지지구조 |
KR20100011978U (ko) | 2009-06-01 | 2010-12-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85118B2 (ja) |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 |
JP5715699B2 (ja) | Lng船 | |
US3064612A (en) | Carrier constructions for bulk fluids | |
KR20070115240A (ko) | 액화천연가스 슬러싱 감소 기능을 갖는 화물창 | |
AU2014251665B2 (en) | LNG ship or LPG ship | |
KR20120002218A (ko) |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구조 | |
CN102171094A (zh) | 用于舱整合的现有船舶的船体转换 | |
KR101041782B1 (ko) | 독립형 lng 저장탱크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 |
AU2014255598B2 (en) | 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vessel | |
US20170320548A1 (en) | Lng ship | |
KR102672995B1 (ko) | 종방향 스와시 격벽이 구비된 독립 액체 탱크 구조 | |
KR20250033657A (ko) | 극지 운항 선박용 수직 서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90060224A (ko) |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1164084B1 (ko) | 저장탱크의 2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 |
KR20100133700A (ko) | 개선된 상부갑판 구조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 |
KR20100127470A (ko) |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 |
KR102277370B1 (ko) |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 |
KR20170141547A (ko) | 선박 | |
KR20100101874A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 |
CN116353772A (zh) | 一种低温存储液货舱结构及船舶 | |
KR100839748B1 (ko) | Lng 수송선의 저장탱크 구조 | |
KR101210915B1 (ko) | 2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lng 저장탱크 | |
KR101686503B1 (ko) | 횡동요 저감구조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 |
KR20100012663U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복수열 배치 구조 | |
JP2010120491A (ja) | 船体の耐氷補強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