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8173A - portable prefabricated table - Google Patents

portable prefabricated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8173A
KR20250028173A KR1020240009483A KR20240009483A KR20250028173A KR 20250028173 A KR20250028173 A KR 20250028173A KR 1020240009483 A KR1020240009483 A KR 1020240009483A KR 20240009483 A KR20240009483 A KR 20240009483A KR 20250028173 A KR20250028173 A KR 20250028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top plate
legs
edge
bodi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9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토 나가츠마
Original Assignee
타나쿠로.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나쿠로.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타나쿠로.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5002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817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상판을 2분할한 테이블로, 분할된 상판의 2개의 긴 변에,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적절한 높이의 가장자리부를 마련해, 분할된 상판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는 축에 의해 연결되어 2개를 접을 수 있게 형성하고, 상판 이면에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로서, 상기 다리부는, 수납시에 상판에 들어가는 길이의 4개의 다리와 , 가요성 선재의 X자 형상의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은, 4개의 꼭짓점 근방에 삽입부와, 상판의 가장자리에 반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몸체는, 각 선단부에 걸림돌기와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삽입부와 상기 각 걸림돌기가 결합하고, 상기 반전부와 상기 피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경량으로 콤팩트하게 수납 할 수 있고 사이드 테이블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판의 지상 높이를 갖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A portable, modular table comprising: a table with a table top divided into two, wherein an edge portion of an appropriate height for storing legs is provided on two long sides of the divided table top, wherein one edge portion of the divided table top is connected by an axis to form two such that the two can be folded, and wherein the legs can be sto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 top, wherein the leg portions have four legs of a length that enters the table top when stored, and an X-shaped reinforcing portion made of a flexible wire, wherein the table top has insertion portions near four corners and an inversion portion at the edge of the table top, and wherein the leg bodies have a catch projection and a connected portion at each end, wherein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and each of the inversion portions and the connected portion are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modular table having a top height above ground that is lightweight and compact and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Description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portable prefabricated table}{portable prefabricated table}

본 발명은 가볍고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판의 지상높이를 갖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dular table that is lightweight and compact and has a tabletop height above ground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기존 캠프용 테이블은 휴대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이 사용되어 왔으며, 상판의 지상높이를 약 100mm로 낮춰 안정성과 경량성을 겸비한 제품이 많다. 이러한 테이블은 백팩에 수납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 편의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블과 함께 사용되는 경량 의자의 좌석 높이가 300~40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어, 앉은 상태에서 손을 뻗어 테이블을 사용할 때 상판 높이가 100mm 정도인 테이블에서는 조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특히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할 경우를 가정할 때 더욱 두드러진다.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판의 지상높이는 약 300mm가 바람직하다.Existing camping tables have been used as portable, modular tables, and many products have stability and lightness by lowering the table top height to about 100 mm. These tables can be stored in a backpack, which increases portability. However, the seat height of the lightweight chair used with these tables is set to about 300 to 400 mm, so when you stretch out your hand to use the table while sitting, there is a problem of poor operability on tables with a table top height of about 100 mm. This is especially noticeable when assuming use as a side 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the table top height from the ground is preferably about 300 mm.

따라서, 경량으로 콤팩트한 의자와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면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또한 사이드 테이블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상판의 지상높이를 가지는 테이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모든 요소를 겸비한 테이블은 편리성과 조작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able that has a shape that can be carried with a lightweight and compact chair, while also ensuring sufficient stability and having a table top height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It is thought that a table that combines all of these elements will contribute to improved convenience and operability.

특허문헌 1의 조립식 테이블은, 경량이고 콤팩트한 휴대용의 조립식 테이블이지만, 상판의 지상높이가 낮기 때문에, 사이드 테이블로서의 조작성이 좋지 않다.The assembly table of Patent Document 1 is a lightweight, compact, and portable assembly table, but because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bove the ground is low, it is not easy to operate as a side table.

또한, 특허문헌 2의 캠프용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 이면 내에 접어 수납하는 짧은 다리와, 짧은 다리의 연결 다리를 설치함으로써 다리가 높아져,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만큼 무겁고 커진다. 따라서 백팩에 수납하기 어렵고, 경량으로 컴팩트한 테이블은 아니다. 따라서, 경량으로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면서도,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판의 지상 높이를 가지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이 요구되어 왔다.In addition, the camping folding table of Patent Document 2 has short legs that fold and are stored inside the back of the table top, and a connecting leg for the short legs, so that the legs are raised and can be used as a side table, but it is heavy and larg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tore in a backpack, and it is not a lightweight and compact table. Therefore, a portable, modular table that can be stored compactly and lightweight, and has a table top height above the ground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has been demanded.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13-70769[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3-70769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10-165229[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65229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경량으로 콤팩트하게 수납 할 수 있고 사이드 테이블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판의 지상 높이를 갖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modular table having a top height above ground that is lightweight and compact and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상판을 2분할한 테이블에 있어서, 분할된 상판의 양측의 길이 방향의 측면부에,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적절히 높이의 가장자리부를 마련해, 분할된 상판의 한 측의 가장자리부는 축에 의해 연결되어 2개 접을 수 있게 형성하고, 상판 이면에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로서, 상기 다리부는, 수납시에 상판에 들어가는 길이의 4개의 다리몸체와, 가요성 선재의 X자 형상의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은, 4개의 꼭짓점 근방에 삽입부와, 상판의 가장자리부에 반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몸체는 각 선단에 걸림돌기와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삽입부에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반전부와 피결합부가 결합하는 조립식 테이블이다.In a table with a table top divided in two, an edge portion of an appropriate height is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side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divided table top so that legs can be stored, and the edge portion of one side of the divided table top is connected by an axis so as to be folded in two, and a portable, collapsible table in which the legs can be sto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 top, wherein the leg portions have four leg bodies of a length that fits into the table top when stored, and an X-shaped reinforcing portion made of a flexible wire, the table top has insertion portions near four corners, and an inversion portion at the edge portion of the table top, and the leg bodies have a catch projection and a connected portion at each end, the catch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version portion and the connected portion are connected, is an collapsible table.

상기 보강부는 4개의 L자체를 구비하고, 상기 L자체는 상변부와 하족부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L자체의 상변부는 X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중심 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4개의 다리의 기단부는, 상기 4개의 상기 L자체의 하족부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4개의 다리의 기단부 부분이 지면에 접하도록 기립하여 다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립식 테이블이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때 틈이 생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걸림돌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피결합부 상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위치하는 조립식 테이블이다.The above reinforcing part has four L-shaped bodies, the L-shaped bodies are composed of upper parts and lower parts, the upper parts of the four L-shaped bodies are rotatably connect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part so as to intersect in an X shape, the base parts of the four leg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s of the four L-shaped bodies, respectively, and when in use, the base parts of the four legs stand up so as to mak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function as legs, which is an assembly-type table. The insertion part is installed so that a gap is created when the catch projection is inserted, and the coupled part is positio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atch projection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ed part and the height of the edge of the upper plate are the same.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테이블은 가볍고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이드 테이블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판의 지상 높이를 갖는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이 제공된다. 즉, 이 수납 메커니즘과 구조에 의해, 백팩으로 휴대할 수 있는 콤팩트한 수납 형태이면서, 사이드 테이블의 용도에 적합한 상판 높이를 가지고 있어 실용적인 안정성을 실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assembly table is provided which is lightweight and compactly storeable, yet has a tabletop height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That is, by means of this storage mechanism and structure, it has a compact storage form that can be carried as a backpack, while having a tabletop height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thereby realizing practical stability.

또한, 상판에 펀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경량화하어, 운반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by performing punching processing on the top plate, it is lightweight and improves convenience when transporting.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을 수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납 시 다리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테이블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테이블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테이블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테이블 조립 시 평면도 및 다리 부분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시 다리몸체의 장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 시 다리몸체의 장력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 시 다리몸체의 장력 방향을 나타내는 비교예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시 조립식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ored stat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p plate ope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g portion when stored.
Figure 4 is an explanatory drawing showing the order of assembling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anatory drawing showing the order of assembling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order of assembling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anatory drawing showing the order of assembling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and a drawing of the leg portion when assembling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the direction of tension of the leg body dur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leg body dur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mparative example drawing showing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leg body dur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tab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의 수납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판(1)은 접을 수 있으며, 상판(1)은 분할된 상판(11a)과 상판(11b)을 구비하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red. The top plate (1) is foldable, and the top plate (1) is provided with a divided top plate (11a) and a top plate (11b).

상판(1)의 이면에 다리부(2)를 수납한다. 상기 상판(1)은 경량으로 하기 위해 펀칭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의 소재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leg part (2) is stored on the back side of the top plate (1).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punching process on the top plate (1) to make it lightweight.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top plate is preferably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수납시의 상판을 열었을 때의 조립식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판 (11a)은 상판의 2 개의 긴 변에 다리부를 수납 할 수있는 적절한 높이의 가장자리부 (12a, 12a ')를 구비하고있다. 마찬가지로, 상판 (11b)은 상판의 2 개의 긴 변에 다리부를 수납 할 수있는 적절한 높이의 가장자리부 (12b, 12b ')를 가지고 있다. 가장자리부(12a ')와 가장자리부(12b')는 축(14)에 의해 연결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table when the top plate is opened for storage. The top plate (11a) has edge portions (12a, 12a') of an appropriate height for storing legs on two long sides of the top plate. Similarly, the top plate (11b) has edge portions (12b, 12b') of an appropriate height for storing legs on two long sides of the top plate. The edge portions (12a') and the edge portions (12b') are connected by a shaft (14).

즉, 상기 분할된 상판(11a)과 상판(11b)은, 축(14)에 의해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판 이면에 다리부(2)를 수납할 수 있다.That is, the divided top plate (11a) and top plate (11b) are formed to be foldable by being connected by an axis (14), and a leg part (2) can be sto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도 3은 수납 시 다리부(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리부(2)는 수납 시 상판에 맞는 길이의 세 개의 다리몸체(2a, 2b, 2c, 2d)와 X자형 보강부(3)를 구비하고 있다. 조립하면 도 12와 같이 된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g part (2) when stored. The leg part (2) is equipped with three leg bodies (2a, 2b, 2c, 2d) of a length that matches the top plate when stored and an X-shaped reinforcing part (3). When assembled, it becomes as shown in Figure 12.

상기 X자형 보강부 (3)은 4개의 L자체의 가요성 선재 (31a, 31b, 31c, 31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L자체(31a)는 상변부 (311a)와 하족부 (312a)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L자체(31b)는 상변부 (311b)와 하족부 (312b)로 구성되고, L자체 (31c)는 상변부 (311c)와 하족부(312c)로 구성되며, L자체 (31d)도 상변부 (311d)와 하족부 (312d)로 구성된다.The above X-shaped reinforcing member (3) has four L-shaped flexible wires (31a, 31b, 31c, 31d). The L-member (31a) is composed of an upper edge portion (311a) and a lower edge portion (312a). Similarly, the L-member (31b) is composed of an upper edge portion (311b) and a lower edge portion (312b), the L-member (31c) is composed of an upper edge portion (311c) and a lower edge portion (312c), and the L-member (31d) is also composed of an upper edge portion (311d) and a lower edge portion (312d).

상기 4개의 L자체 상변부 (311a~311d)는 상기 보강부의 중앙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above four L-shaped upper edges (311a to 311d) are rotatably connected to intersect in an X shape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part.

L자체의 재질은 탄력성이 있는 것,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SW 또는 SWP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aterial of L itself is preferably elastic, such as stainless steel, SW or SW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7은 상판(1)에서 다리(2)를 꺼내어 조립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ures 4 to 7 are explanatory drawings showing the procedure for removing the legs (2) from the top plate (1) and assembling them.

도 4에서, 4개의 다리몸체 (2a~2d)를 보강부 (3)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In Fig. 4, four leg bodies (2a to 2d) are rot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part (3).

다리몸체 (2a, 2b)는 다리몸체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약 270도 회전 할 수 있다.The leg body (2a, 2b) can rotate about 270 degrees in the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around the base of the leg body.

다리몸체 (2c 및 2d)는 다리몸체의 기단부를 중심으로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약 270도 회전 할 수 있다.The leg bodies (2c and 2d) can rotate about 270 degrees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round the base of the leg body.

상기 다리몸체(2a)는 외측 방향으로 270도 회전할 때, 상기 하족부(312a)와 부딪히지 않고 상기 하족부(312a)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When the above leg body (2a) rotates 270 degrees in the outward direction, it can accommodate the lower leg part (312a) inside without colliding with the lower leg part (312a).

즉, 상기 다리몸체(2a)는 사용시 상기 하족부(312a)를 수납할 수 있는 적당한 내부공간을 구비한다.That is, the leg body (2a) has an appropriate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the lower leg (312a) when in use.

상기 다리몸체(2a~2d)는 사용시 상기 하족부를 수납할 수 있는 적당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이다.The above leg body (2a to 2d) is an assembly table characterized by having an appropriate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the lower leg portion when in use.

다리몸체(2a)는 다리몸체(2a)의 기단부(21a)에서 보강부의 하족부(312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리몸체(2a)의 기단부(21a)를 중심으로 보강부(3)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사용 시에는 다리몸체(2a)의 기단부(21a)가 지면에 접하도록 세워져 다리로 기능한다.The leg body (2a)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leg (312a) of the reinforcement part at the base (21a) of the leg body (2a), and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part (3) with the base (21a) of the leg body (2a) as the center. When in use, the base (21a) of the leg body (2a) is erected so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functions as a leg.

다리몸체(2b)는 다리몸체(2b)의 기단부(21b)에서 보강부의 하부 발판(312b)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리몸체(2b)의 기단부(21b)를 중심으로 보강부(3)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사용시에는 다리몸체(2b)의 기단부(21b)가 지면에 접하도록 세워져 다리로 기능한다.The leg body (2b)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foot plate (312b) of the reinforcement part at the base part (21b) of the leg body (2b), and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part (3) around the base part (21b) of the leg body (2b). When in use, the base part (21b) of the leg body (2b) is erected so that it touches the ground and functions as a leg.

다리몸체(2c)와 다리몸체(2d)도 마찬가지로, 사용 시에는 다리몸체(2c)의 기단부(21c), 다리몸체(2d)의 기단부(21d)가 지면에 접하도록 세워져 다리로 기능한다.Likewise, the leg body (2c) and the leg body (2d) are erected so that the base part (21c) of the leg body (2c) and the base part (21d) of the leg body (2d)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in use, thereby functioning as legs.

즉, 상기 4개의 다리몸체의 기단부는 상기 4개의 L자체 하족부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4개의 다리몸체의 기단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세워져 다리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이다.That is, it is an assembly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arts of the four leg bodie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ur L-shaped lower legs, and when in use, the base parts of the four leg bodies are erected so as to touch the ground and function as legs.

도 5는 도 4의 다리몸체 (2a, 2b)를 다리몸체 기단부를 중심으로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약 270도 회전시키고, 다리몸체 (2c, 2d)를 다리몸체 기단부를 중심으로 (그림의) 우측 방향으로 약 270도 회전하여 기립된 상태이다.FIG. 5 is a standing state in which the leg bodies (2a, 2b) of FIG. 4 are rotated about 270 degrees in the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about the leg body base part as the center, and the leg bodies (2c, 2d) are rotated about 270 degrees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about the leg body base part as the center.

도 6은 도 5에서 겹쳐져 있던 다리몸체 (2a, 2b, 2c, 2d)를 개방한 상태이다. 다리몸체 (2a)의 기단부 (21a), 다리몸체 (2b)의 기단부 (21b), 다리몸체 (2c)의 기단부 (21c) 및 다리몸체 (2d)의 기단부 (21d)의 4 개가 지면에 접하도록 기립하여 다리몸체 2a-2d가 테이블의 네 개의 다리로 기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Fig. 6 shows the leg bodies (2a, 2b, 2c, 2d) that were overlapped in Fig. 5 in an open state. It shows that the four parts of the base part (21a) of the leg body (2a), the base part (21b) of the leg body (2b), the base part (21c) of the leg body (2c), and the base part (21d) of the leg body (2d) are standing up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indicating that the leg bodies 2a-2d function as four legs of a table.

또한, 상기 다리몸체(2a~2d)는 각각의 선단에 걸림돌기(22a, 22b, 22c, 22d)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다리몸체는 피결합부 (23a, 23b, 23c, 23d)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leg bodies (2a to 2d) are provided with catches (22a, 22b, 22c, 22d) at each tip. In addition, the leg bodies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parts (23a, 23b, 23c, 23d).

도 7에서, 상판은 대략 사각형의 상판의 꼭짓점 부근에 구멍 형태의 삽입부 (13a, 13b, 13c, 13d)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판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장방형의 구멍이다.In Fig. 7, the top plate includes hole-shaped inserts (13a, 13b, 13c, 13d) near the corners of the roughly rectangular top plate. The inserts are rectangular holes that ar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상기 다리몸체(2a~2d)는 각각의 선단에 걸림돌기(22a, 22b, 22c, 22d)를 구비하고, 각각 상기 삽입부(13a, 13b, 13c, 13d)에 삽입된다. 도 8에서, 상기 삽입부(13a~13d)는 다리몸체가 상판에 고정될 때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상판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에는 걸림돌기와 삽입부 사이에 의도적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The above leg bodies (2a to 2d) are provided with catches (22a, 22b, 22c, 22d) at their respective ends, and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s (13a, 13b, 13c, 13d), respectively. In Fig. 8, the insertion portions (13a to 13d) are not positioned vertically when the leg bodies are fixed to the upper plate, but are position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A gap is inten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catches and the insertion portions.

도 9는 다리몸체를 상판에 고정할 때 가해지는 장력 방향을 나타낸 그림이다.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the direction of tension applied when fixing the leg body to the top plat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몸체의 걸림돌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피결합부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상판 가장자리부 (12a)의 높이와 동일하다. 즉,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걸림돌기 하단에서 상기 피결합부 상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상판 가장자리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위치한다.As shown in Fig. 10,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atch projection of the leg body to the upper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edge portion (12a). That is, the engagement portion is positio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catch projection to the upper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edge portion.

다리몸체를 상판에 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The process of attaching the bridge body to the top plate is as follows.

(1) 상기 다리몸체 (2a)의 선단부분의 걸림돌기 (22a)를 삽입부 (13a)에 상판 뒷면으로부터 삽입한다,(1) Insert the catch (22a) of the tip of the above leg body (2a) into the insertion part (13a) from the back of the top plate.

(2) 도 6에서 다리몸체(2a)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림과 같이 상판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든다,(2) In Fig. 6, the leg body (2a) is made to be tilted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plate as shown in the figure while being erected vertically.

(3) 다리몸체의 피결합부 (23a)에 상판 가장자리 반전부 (15a)를 결합한다,(3) Attach the upper plate edge inversion part (15a) to the connecting part (23a) of the leg body.

다리몸체(2a)는 상판(1)에 고정된다.The leg body (2a) is fixed to the top plate (1).

위의 과정(1)~(2)를 다른 세 개의 다리몸체(2b ~ 2d)에 대해 순서대로 진행한다. 순서는 특별히 고집하지 않는다.The above processes (1) to (2) are performed sequentially for the other three leg bodies (2b to 2d). The order is not particularly strict.

다리몸체(2a)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림과 같이 상판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될 때, 가요성 선재인 보강부(3)의 탄성 변형(처짐)에 의해 다리몸체(2a)에 상판의 중심에서 삽입부 쪽으로 방사형으로 장력이 가해진다.When the leg body (2a) is tilted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plate as shown in the figure from a vertically erected state, tension is appli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toward the insertion part to the leg body (2a) due to elastic deformation (sagging) of the flexible reinforcing member (3).

가요성 선재의 탄성 변형(처짐)을 활용하는 것이므로, 선재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it utilizes the elastic deformation (sagging) of the flexible wire, it is desirable that the wire material be elastic.

상기 걸림돌기에는 걸림돌기와 삽입부 사이에 의도적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삽입부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있는 것만으로 장력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과정의 (3)에 나타낸 피결합부 (23a)와 상판 가장자리의 반전부 (15a)의 결합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bove-mentioned catch is intentionally spaced between the catch and the insertion portion. This is to ensure that tension is not applied simply by inserting the catch into the insertion portion, but rather to ensure that tens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joined portion (23a) shown in (3) of the above-mentioned process and the inverted portion (15a) of the edge of the upper plate.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결합부 (23a, 23b)는 축 (14)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s (23a, 23b) are made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haft (14).

만약 축과 피결합부를 연결한 선의 수평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지 않으면, 도 11과 같이 상판이 수평이 되지 않는다.If tension is not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ine connecting the shaft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top plate will not be horizontal, as shown in Fig. 11.

즉, 상기 상판은 상판에 다리몸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상판은 두 개의 꼭짓점 부근에 삽입부와 상판의 가장자리에 반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몸체는 각 선단에 걸림돌기와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삽입부에 상기 각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반전부와 상기 피결합부가 결합한다.That is, in order to fix the leg body to the top plate, the top plate has insertion portions near two vertices and an inversion portion at an edge of the top plate, the leg body has a catch and a connecting portion at each end, and each of the catch projection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and the inversion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때 틈이 생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걸림돌기 하부로부터 상기 피결합부 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상판 가장자리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so that a gap is created when the catch is inserted,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ositio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tc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edge of the top plate are the same.

다리의 보강부(3)은 X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이 부분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3) of the leg is shaped like an X, so objects can be placed on this part.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시 조립식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tab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use.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은 캠핑, 야외활동, 행사, 작업현장 등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하다.The assembly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amping, outdoor activities, events, and work sites.

가볍고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이드 테이블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판 지상높이를 갖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이 제공된다. 백팩으로 휴대할 수 있는 작고 컴팩트한 수납 형태이면서도 사이드 테이블 용도에 적합한 상판 높이를 가지고 있어 실용적인 안정성을 구현한다.A portable, modular table is provided that is lightweight and compact to store, yet has a tabletop height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It has a small and compact storage form that can be carried as a backpack, yet has a tabletop height suitable for use as a side table, thus realizing practical stability.

1 : 상판
11a  11b : 분할된 상판
12a 12a’ 12b 12b’: 상판의 가장자리부
13a 13b 13c 13d : 상판의 삽입부
14 : 축
15a 15b : 상판 가장자리의 반전부
2 : 다리부
2a 2b 2c 2d : 다리몸체
21a 21b 21c 21d : 다리의 기단부
22a 22b 22c 22d : 다리의 걸림돌기
23a 23b 23c 23d : 다리의 피결합부
3 : 보강부
31a 31b 31c 31d : L자체
311a 311b 311c 311d : L자체의 상변부
312a 312b 312c 312d : L자체의 하족부
1 : Top plate
11a 11b : Split top
12a 12a' 12b 12b': Edge of the top plate
13a 13b 13c 13d : Insert part of the top plate
14 : Axis
15a 15b : Inverted part of the top edge
2: Legs
2a 2b 2c 2d : leg body
21a 21b 21c 21d : Base of the bridge
22a 22b 22c 22d : stumbling block on the bridge
23a 23b 23c 23d : Joints of the legs
3: Reinforcement
31a 31b 31c 31d : L itself
311a 311b 311c 311d : Upper edge of L itself
312a 312b 312c 312d : Lower part of L itself

Claims (5)

상판을 2분할한 테이블로,
분할된 상판의 2개의 긴 변에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적절한 높이의 가장자리부를 마련하여,
분할된 상판의 한쪽의 가장자리부는 축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형성하고,
상판 이면에 다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상기 다리부는, 수납시 상판에 수납되는 길이의 4개의 다리몸체와, 가요성 선재의 X자 형상의 보강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판은 4개의 꼭짓점 근방에 삽입부와, 상판의 가장자리부에 반전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다리몸체는, 각 선단에 걸림돌기와 피결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삽입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반전부와 상기 피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able with a table top divided into two,
Provide an edge of appropriate height to accommodate the legs on the two long sides of the split table top.
One edge of the split top plat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olded by connecting it to an axis,
Portable, modular table with legs that can be stored behind the table top:
The above leg part includes four leg bodies of a length that can be stored in the top plate when stored, and an X-shaped reinforcing part made of flexible wire.
The above top plate includes inserts near the four corners and inverted parts at the edges of the top plate,
The above leg body includes a hook and a connecting part at each ti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t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version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re comb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보강부는 4개의 L자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L자체는 상변부와 하족부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L자체의 상변부는 X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다리몸체의 기단부는 상기 4개의 상기 L자체의 하족부의 선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있고,
사용 시에는 4개의 다리몸체의 기단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기립하여 다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X-shaped reinforcement part contains four L-shaped members.
The above L itself include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upper edges of the above four L members are rotatably connect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member so as to intersect in an X shape,
The base portions of the above four leg bodie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p portions of the lower legs of the above four L bodies,
An assembly tab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n use, the base portion of the four leg bodies stands upright so that it touches the ground and functions as leg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때 틈이 생기도록 구성되고,
피결합부는 걸림돌기의 하단으로부터 피결합부의 상단까지의 거리와 상판의 가장자리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a gap is created when the above catch is inserted,
An assembly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positio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catch to the top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edge of the top plate are the sa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몸체는 사용시 상기 하족부를 수납할 수있는 적당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In paragraph 1 or 2,
An assembly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leg body includes a suitable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the lower leg portion when in us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펀칭 가공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In paragraph 1 or 2,
An assembly table characterized by having a punching process applied to the top plate.

KR1020240009483A 2023-08-21 2024-01-22 portable prefabricated table Pending KR2025002817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133860A JP7477926B1 (en) 2023-08-21 2023-08-21 Portable collapsible table
JPJP-P-2023-133860 2023-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8173A true KR20250028173A (en) 2025-02-28

Family

ID=9082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9483A Pending KR20250028173A (en) 2023-08-21 2024-01-22 portable prefabricated tab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77926B1 (en)
KR (1) KR20250028173A (en)
CN (1) CN118766215A (en)
TW (2) TWM663390U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38390Y (en) 2005-09-09 2006-11-22 厦门世宗贸易有限公司 Assembling folding desk support structure
TWM379374U (en) * 2009-06-01 2010-05-01 Shui-Yi Zheng Portable folding desk
JP5909221B2 (en) 2013-11-19 2016-04-26 株式会社スノーピーク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71265B (en) 2025-01-21
TWM663390U (en) 2024-11-21
JP2025029313A (en) 2025-03-06
JP7477926B1 (en) 2024-05-02
CN118766215A (en) 202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266B2 (en) Modular folding table
US5882098A (en) Preassembled foldable printer stand
US11478071B2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and folding frame thereof
US6039419A (en) Foldable ready-to-use entertainment stand
CA2823967C (en) Vertically elevated foldable frame
US7337728B2 (en) Collapsible folding article of furniture
EP1938711A1 (en) Table and bench set
US20090261643A1 (en) Locking collapsible seat apparatus
KR20080003634U (en) Folding structure of the folding table
KR20250028173A (en) portable prefabricated table
US20120007484A1 (en) Folding TV table
CN2522976Y (en) Integral foldable musical instrument seat set
KR102661430B1 (en)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TW202508491A (en) Portable assembled table
CN108968446A (en) A kind of piece desk and chair used simultaneously for more people
JPH0741375Y2 (en) Mobile folding table
JPH0730754U (en) Folding table
KR20200001999U (en) Folding desk
CN119791397A (en) Folding picnic table
JP2005204732A (en) Folding frame, and folding table using the frame
GB2422101A (en) Portable folding step stool
JPH0998840A (en) Foldable desk
JPH09206133A (en) Foldable table of foldable object mounting base for which leg bodies are successively provi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