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7088A -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 Google Patents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7088A
KR20250027088A KR1020230108418A KR20230108418A KR20250027088A KR 20250027088 A KR20250027088 A KR 20250027088A KR 1020230108418 A KR1020230108418 A KR 1020230108418A KR 20230108418 A KR20230108418 A KR 20230108418A KR 20250027088 A KR20250027088 A KR 2025002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exhaust
hood
module
exhaust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태
전현우
양재경
김남현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7088A/en
Priority to PCT/KR2024/001658 priority patent/WO2025041938A1/en
Publication of KR2025002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708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05B6/6429Aspects relating to mounting assemblies of wall-mounted microwave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기기와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연결모듈은 제1기기의 배기구와 후드모듈의 흡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is disclosed for an exhaust device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The disclosed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on module arranged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hood modul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path therein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n exhaust port of the first device and an intake port of the hood module.

Description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xhaust device that sucks in and discharges polluted air generated during a cooking process, and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the same.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a type of home appliance for cooking food,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and cooking foo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heat source or form used, or the type of fuel used.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If we classify cooking appliances by the way they cook foo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open and closed cooking appliances based on the shape of the space where the food is placed. 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and microwave ovens, while open cooking appliances include cooktops and hobs.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A clos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eals the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heats the sealed space to cook the food. In a closed cooking appliance, a chamber, that is,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ealed space when food is placed and the food is to be cooked,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his cooking chamber actually becomes the space where the food is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r ex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cooking chamber.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Among closed cooking appliances, a microwave oven is a cooking device that uses electricity to generate microwaves, which penetrate the food to be cook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and heat the food by causing molecular movement inside.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Microwave ovens are kitchen appliances that heat the inside and outside of food simultaneously by irradiating it with high-frequency waves from a magnetron. They are widely used due to their advantages, such as high thermal efficiency, which significantly reduces cooking time, reducing nutritional loss during the cooking, defrosting, and reheating of food, and allowing food to be cooked directly while stored in a container.

근래에는,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일명 OTR(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전자레인지의 일반적인 조리 기능과 후드 기능을 겸하는 형태로 제공된다.Recently, microwave ovens with hood functions, also known as OTR (Over the range) type microwave ovens, have been released. A microwave oven with hood functions is provided in a form that combines the general cooking functions of a microwave oven with the function of a hood.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쿡탑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쿡탑의 상측에 설치되며, 쿡탑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This type of hood-type microwave oven is installed above the cookto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oktop, and can suck in and discharg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contaminants such as odors and smoke generated during cooking on the cooktop.

한편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측에 배치되는 쿡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구를 통해 조리 용기에 담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다.Meanwhile, the cooktop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hood-type microwave oven is configured to heat the food contained in the cooking container through at least one burner.

이러한 쿡탑은, 전기레인지(Electric range) 또는 가스레인지(Gas range)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쿡탑 아래에 오븐을 포함하는 오븐레인지(Oven range)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Such cooktop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range or a gas rang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tandalone unit or as an oven range that includes an oven beneath the cooktop.

쿡탑 아래에 오븐을 포함하는 오븐레인지에서는, 쿡탑을 이용한 조리 기능과 오븐을 이용한 조리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an oven range that includes an oven beneath the cooktop, cooking functions using the cooktop and cooking functions using the oven can be provided togeth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조리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a cooking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nd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쿡탑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오븐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capable of removing both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cooking using a cooktop and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cooking using an oven,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드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suction power of a hood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a cooking appliance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배기장치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기기와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연결모듈은 제1기기의 배기구와 후드모듈의 흡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includes a connection module arranged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hood modul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passage therein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n exhaust port of the first device and an intake port of the hood modu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기기와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연결모듈은 제1기기의 배기구와 후드모듈의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module arranged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hood modul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flow path therein for connecting an exhaust port of the first device and an intake port of the hood modu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와,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모듈, 및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devic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inside o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rough a first exhaust port, a hood module disposed above the first device for discharging ga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through a second exhaust port, and a connection module forming a path inside for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기장치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모듈; 및 상기 제1기기와 상기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od module disposed above a first devic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inside o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rough a first exhaust port, and discharging ga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through a second exhaust port; and a connec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and forming a path therein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기기와 상기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모듈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module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on portion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hood module.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는 상부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necting part has an upper passage formed in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제1기기와 마주하는 상기 후드모듈의 저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후드모듈의 저면과 상기 상부연결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module facing the first device, and that the intake port is position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module and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단은, 상기 상부유로의 상부가 상기 흡기구와 연결될 수 있게 상측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be opened upwar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ssage can be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의 하단은, 상부유로의 하부가 상기 제1기기를 향해 개방될 수 있게 하측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be opened down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ssage can be opened toward the first device.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간의 거리의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be at least 1/4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또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하단이 상기 흡기구보다 상기 제1배기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exhaust port than to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상부연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상부유로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기 상부연결부의 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ront hol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and that the front hole forms a passage opening the upper passage for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전면홀은,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하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hole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hift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기기와 상기 상부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기와 상기 상부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module may include a lower connection portion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and connects the first device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상부유로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nnecting part forms a lower passage therein that connects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upper passage.

또한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제1기기 및 상기 상부연결부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nnecting par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and the upper connecting part.

또한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하부연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하부유로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기 하부연결부의 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ront hol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and that the front hole forms a passage opening the lower passage for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전면홀은, 상기 하부연결부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hole be positioned at an upwardly tilted position from the vertical center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module forms a path therein that connects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제1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는, 상기 연결모듈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are plac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connec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와;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모듈; 및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ppliance that discharges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inside o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rough a first exhaust port; a hood module that is arranged above the first appliance and discharges ga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through a second exhaust port; and a connection module that forms a path inside to connect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1기기의 상부에 안착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쿡탑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device may include a cooktop portion for heating food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evice.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쿡탑부의 상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모듈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모듈 내부의 유로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전면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connection module is arranged on the upper and rear sides of the cooktop, and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hole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module to form a passage that opens the flow path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forward.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기기와 상기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제1기기 및 상기 후드모듈보다 상기 연결모듈의 상하방향 중앙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odule is preferably arr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and the front hole is preferably arranged closer to the vertical center of the connection module tha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와;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2기기; 및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device that discharges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inside o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rough a first exhaust port; a second device that is arranged above the first device and discharges ga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through a second exhaust port; and a connecting module that forms a path inside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제1기기는, 제1조리실 및 상기 제1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장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오븐부, 및 상기 제1기기의 상부에 안착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쿡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vice may include an oven section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and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thereof arranged above the first cooking chamber, and a cooktop section for heating food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evice.

또한 상기 제2기기는, 제2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제2조리실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second cook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a hood modul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또한 상기 후드모듈은, 가스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며 상기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od module may include a fan that draws in gas through the intake port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또한 상기 제2조리실은, 상기 쿡탑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oking room be placed above the cooktop unit.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조리실과 상기 쿡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입구, 및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제2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may include a first suction port arrang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 and the cookto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uction port arrang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second exhaust 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쿡탑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제2흡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odule b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cooktop to connect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second intake por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서 수행되는 음식물의 조리 또는 셀프 클리닝 과정에서 연소가스가 조리기기의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후드모듈에 의해 곧바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기기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하고, 더욱 향상된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mbustion gas from spreading around the cooking appliance during the cooking or self-cleaning process of food in the cooking appliance and allows it to be directly sucked in by the hood module, thereby suppressing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cooking appliance by the combustion gas and providing further improved contaminant removal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쿡탑부에서 이루어지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와 오븐부의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모두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apture both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n the cooktop unit and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ven unit,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efficiently removing pollutants generated during various types of cooking processes.

또한 본 발명은, 연소가스 또는 조리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제1기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연소가스를 포집하여 실외로 배출하거나 상부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한 후드모듈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가스 포집 성능 및 냉각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사용자 편의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improves the gas collection performance and cooling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also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module to simultaneously collect the combustion gas and discharge it outdoors or cool the upper space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vice that causes the emission of combustion gas or cooking gas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오븐 기능과 쿡탑 기능을 함께 갖는 오븐레인지와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후드 기능을 함께 갖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일체로 포함하고, 이들의 동작이 연동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쿠킹 타워를 구현함으로써, 조리의 효율성, 조리 환경의 청정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cooking tower that includes an oven range having both oven functions and cooktop functions, and a hood-compatible microwave oven having both microwave oven functions and hood functions, and allows their operations to be linked,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cooking efficiency, cleanliness of the cooking environment, and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후드팬이 마련되는 후드모듈과 송풍팬이 마련되는 상부공간 사이를 연결모듈로 연결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과 후드팬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이 상부공간에서 함께 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blower fan and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hood fan to work together in the upper space by connecting the hood module in which the hood fan is provided and the upper space in which the blower fan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module.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풍량 및 유속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상부공간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에 대한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for the upper space and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by increasing the air volume and flow rate of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upper space.

또한 본 발명은, 쿡탑부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의 생성원에 가까운 위치에서 조리가스를 흡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가스의 흐름을 후드흡기구 측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리가스 포집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cooking gas collection performance of a cooking appliance by not only sucking the cooking gas at a location close to the source of the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unit, but also directing the flow of the cooking gas toward the hood intake port.

쿡탑의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의 증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러한 오염공기의 증감에 대응하여 후드모듈의 출력과 작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ct an increase or decrease in polluted air generated during a cooking process using a cooktop, and adjust at least one of the output and operating time of the hood module in response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polluted air.

이러한 본 발명은, 쿡탑의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polluted air generated during a cooking process using a cooktop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기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다른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또 다른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연결모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모듈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econd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s 6 and 7 are enlarged views showing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on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8.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8.
FIG. 11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8.
Figure 12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module illustrated in Figure 8.
Figure 13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module illustrated in Figure 8.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a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with various modification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ubstituting or add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may b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in size or thicknes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due to thi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s or example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etc.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that includ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only positioned directly above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placed on the flo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efined as the front. Therefo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the rear.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facing forward and backward can be called the first direction. Then, the front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ar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we could define the direction of gravity as down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as upward.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And,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looking at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door, can be called the left-right direction. For convenience, the left-right direction can be called the second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Also,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ove cooking appliance can be called the lateral direction. Then, the right side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And, the above-mentioned up-down direction can be called the third direction. Then, the up direction can be called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and the down direction can be calle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direction.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Also, the above-mentioned up-down direction can be called the vertical direction. The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an be included as the horizontal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ence is made to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reference is made to "C through D", this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unless otherwise stated.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 In addi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기기(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기(1)가 오븐레인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devic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evice (1) is exemplifi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n oven range.

오븐레인지 형태로 제공되는 제1기기(1)는, 밀폐형 조리기기인 오븐의 기능과 개방형 조리기기인 쿡탑의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기(1)는, 오븐부(10)와 쿡탑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 provided in the form of an oven range can provide both the function of an oven, which is a closed cooking device, and the function of a cooktop, which is an open cooking device. This first device (1) can include an oven section (10) and a cooktop section (15).

오븐부(10)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기기(1)의 오븐부(10)에 마련되는 조리실을 제1조리실(10a)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오븐부(10)에서는, 제1조리실(10a) 내부가 가열되면서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A cooking chamber may be formed inside the oven section (10). Hereinafter, the cooking chamber provided in the oven section (10) of the first device (1)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In the oven section (10), food can be cooked while the in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is heated.

제1조리실(10a)은, 캐비티(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는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실(10a)은 이러한 캐비티(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리실(10a)은, 캐비티(11) 내부에 배치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by a cavity (11). The cavity (11)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and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inside this cavity (11). That is,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formed as a space having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arranged inside the cavity (11), and can be formed as a space that is open to the front.

오븐부(10)에는, 제1조리실(10a)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부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oven section (10), a heating section for heating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may be provided. The heating section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device using gas fuel or as a heater using electricity.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가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10a)의 상측에는 브로일 버너(11a)가 제공될 수 있으며, 조리실(10a)의 후측에는 컨벡션장치(11b)가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he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using gas fuel. According to this, a broil burner (11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and a convection device (11b)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a).

브로일 버너(11a)는 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벡션장치(11b)는, 제1조리실(10a)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제1조리실(10a)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제1조리실(10a)의 내부공간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The broil burner (11a) can heat the interio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a) from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convection device (11b) heats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and discharges it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while causing the air to flow, thereby allow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to be evenly heated.

제1기기(1)에는, 제1조리실(1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3)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13)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을 개폐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first device (1), a door (13)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may be provided in a rotatably manner. As an example, the door (13)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in a pull-down manner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door (13) rotates up and down around the lower part.

오븐부(10)의 상측에는, 쿡탑부(15)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15)는, 쿡탑부(15)의 상부에 안착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다.A cooktop section (15)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oven section (10). The cooktop section (15) is provided to heat food or a container containing food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top section (15).

쿡탑부(15)에는, 쿡탑부(15)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15a)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쿡탑부(15)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구(15b)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구(15b)는 전기를 이용하는 인덕션 히팅 코일 또는 열선 코일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oktop unit (15) may be provided with a top plate (15a) forming the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cooktop unit (15). In addition, the cooktop unit (15)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burner (15b) for heating food to be cooked or a container containing food. For example, the burner (15b)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n induction heating coil or a heating wire coil that uses electricity.

다른 예로서, 화구(15b)는 가스 연료를 이용하는 가스버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화구(15b)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rater (15b) may be equipped with a gas burner using gas fuel.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crater (15b)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heat source used.

제1기기(1)의 전면 상부에는 컨트롤패널(14)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은, 제1기기(1)의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14)에는, 제1기기(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4a) 및 제1기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b) 등이 구비될 수 있다.A control panel (1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irst device (1). The control panel (14) may form a part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first device (1). The control panel (14) may be provided with a knob (14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vice (1) and a display (14b)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first device (1).

한편 조리기기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기(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기기(2)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Meanwhile,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second device (2), as shown in FIGS. 1, 2,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evice (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od-compatible microwave ove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로 제공되는 제2기기(2)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 기능, 그리고 쿡탑부(15)에서 음식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조리 가스'라 한다)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거나 또는 정화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 provided as a microwave oven with a hood can provide both a microwave oven cooking function that heats food using microwaves and a hood function that sucks in air containing contamina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heating food in the cooktop unit (15) and discharges it outdoors or purifies it and discharges it indoors.

이러한 제2기기(2)는, 쿡탑부(15)의 상측에 배치되되, 쿡탑부(15)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is second device (2) may be placed above the cooktop (15), but may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oktop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례로서, 제2기기(2)는 제2기기(2)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는, 대략 직융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econd device (2) may include a main body (2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device (2). 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clud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rism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a number of components installed in its internal space.

본체(20)는, 본체(2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2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2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1)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2기기(2)에 마련되는 조리실을 제2조리실(20a)이라 지칭하기로 한다.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cavity (21) forming an internal skeleton of the main body (20). The cavity (2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A cooking chamber may be formed inside the cavity (21). Hereinafter, the cooking chamber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2)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oking chamber (20a).

제2조리실(20a)은, 캐비티(2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조리실(20a)이 차폐된 상태에서, 제2조리실(20a)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면서 요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can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cavity (21), that is,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Whe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is shielded, cooking can be done while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is heated.

본체(20)의 내부에는 제2조리실(20a) 내 가열을 위한 가열부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는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 The heat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one unit, or may be implemented as two or more units.

본 실시예에서, 제2기기(2)의 가열부는 제2조리실(20a)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2조리실(20a)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 of the second device (2) is exemplified as including a magnetron capable of supplying a high-frequency heat sourc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At this time, the magnetro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0), bu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top or sid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본체(20)의 전방에는, 제2조리실(20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3)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23)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제2조리실(20a)을 개폐할 수 있다.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 a door (23)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can be provided in a rotatably manner. The door (23) can open and close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in a side-swing manner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door (23) rotates left and right around one side of the door.

아울러 제2기기(2)에도 컨트롤패널(24)이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4)은, 본체(20)의 전면 또는 도어(2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4)은, 제2기기(2)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 또는 스위치, 그리고 제2기기(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panel (24)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device (2). The control panel (2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20) or the front of the door (23). The control panel (24) may be provided with a knob or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evice (2), and a display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econd device (2).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제1기기(1) 및 제2기기(2)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는 제2기기(2)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는 제1기기(1)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oking appliance is exemplified as including both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As another example,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only the second device (2). As yet another example,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only the first device (1).

일례로서, 제1기기(1)와 제2기기(2)는 통신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는, 제1기기(1)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기기(2)로 송신할 수 있고, 제2기기(2)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기기(1)로 송신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device (1) to the second device (2), and can also transmit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second device (2) to the first device (1).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Wireless Fidelity Direct), Zigbee, NF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via a local area network (LAN), an Internet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als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via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T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Fidelity Direct), Zigbee, and NFC.

[오븐부의 배기 구조][Oven exhaust structure]

캐비티(11)의 외부에는, 상부공간(10b)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공간(10b)은, 캐비티(11)의 상부 및 컨트롤패널(14)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공간(10b)의 내부에는, 쿡탑부(15)의 화구(15b)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이나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pace (10b)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vity (11). The upper space (10b) may be arranged above the cavity (11) and behind the control panel (14). Inside the upper space (10b), a space may be formed for installing parts or electrical components for forming the burner (15b) of the cooktop unit (15).

상부공간(10b)의 전면은, 프런트패널(1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은, 캐비티(11)와 도어(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패널(12)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공간(10b)의 전방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upper space (10b) can be shielded by a front panel (12). The front panel (12) can be arranged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door (13). The front panel (12) can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blocks the front of the upper space (10b).

일례로서, 조리실(10a)의 상부에 배치된 프런트패널(12)의 상부 영역이 상부공간(10b)과 컨트롤패널(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14)은 프런트패널(12)의 상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패널(12)에 결합된 컨트롤패널(14)이 상부공간(10b)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pper area of the front panel (12)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chamber (10a) can be arranged between the upper space (10b) and the control panel (14), and the control panel (14) can be coupled to the upper area of the front panel (12). In this way, the control panel (14)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 can shield the front of the upper space (10b).

프런트패널(12)에는, 흡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제1기기(1)의 프런트패널(12)에 마련되는 흡기구를 전방흡기구(12a)라 지칭하기로 한다.An intake por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2). Hereinafter, the intake port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2) of the first device (1) will be referred to as a front intake port (12a).

전방흡기구(12a)는, 프런트패널(12)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흡기구(12a)는, 상부공간(10b) 외부의 공기가 상부공간(10b)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프런트패널(12) 상에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intake port (12a)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panel (1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is front intake port (12a) can form a passage on the front panel (12) for air from outside the upper space (10b) to flow into the upper space (10b).

제1기기(1)의 상단에는,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제1기기(1)에 마련되는 배기구를 제1배기구(16)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1배기구(16)는, 쿡탑부(15)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부공간(10b) 내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제1조리실(10a)에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제1기기(1)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1기기(1)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An exhaust port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device (1). Hereinafter, the exhaust port provided in the first device (1)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exhaust port (16). The first exhaust port (16) is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cooktop section (15), and may form a passage at the top of the first device (1) necessary for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10b) or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evice (1).

일례로서, 제1배기구(16)는 제1기기(1)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공간(10b)은 제1배기구(16)를 통해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exhaust port (16) may b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upper space (10b) may be opened upwar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제1조리실(10a)의 상측에는, 배기덕트(17)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덕트(17)는, 제1조리실(10a)의 상부에서 제1조리실(1a)의 내부와 제1배기구(16)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배기덕트(17)의 내부에는, 제1조리실(1a)에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제1배기구(16)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An exhaust duct (1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oking room (10a). The exhaust duct (17) may connect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king room (1a) and the first exhaust port (16) a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oking room (10a). A path may be formed on the interior of the exhaust duct (17) to guide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first cooking room (1a) to flow toward the first exhaust port (16).

또한 제1기기(1)는, 송풍팬(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8)은, 상부공간(10b) 내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배기덕트(17)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제1배기구(16)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fan (18). The blower fan (18) may form an airflow that causes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10b) or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duct (17) to flow toward the first exhaust port (16).

송풍팬(18)은, 상부공간(40)에 배치되되, 제1기기(1)의 배면에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송풍팬(18)은 캐비티(11)와 제1배기구(16) 사이에 배치되는 터보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wer fan (18) may be placed in the upper space (40), but may be plac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device (1). As an example, the blower fan (18) may include a turbofan placed between the cavity (11) and the first exhaust port (16).

이러한 송풍팬(18)은, 외부 공기를 전방흡기구(12a)를 통해 상부공간(10b)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상부공간(10b) 내부로 유입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제1배기구(16)를 통해 제1기기(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18)은, 배기덕트(17)의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제1배기구(16)를 통해 제1기기(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is blower fan (18) can draw outside air into the upper space (10b) through the front intake port (12a), and can discharge the outside air drawn into the upper space (10b)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evice (1)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In addition, the blower fan (18) can discharg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exhaust duct (17)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evice (1)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후드모듈의 구조][Structure of the hood modul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기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econd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후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장치는, 쿡탑부(15)의 상측에 배치되며, 쿡탑부(15)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hood device. The hood device is positioned above the cooktop portion (15) and can suck in steam flow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top portion (15).

일례로서, 후드장치는 제2기기(2)의 본체(2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후드장치는 제2기기(2)의 본체(2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드장치는 본체(2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쿡탑부(15)와 본체(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hood device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20) of the second device (2). As another example, the hood devic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20) of the second device (2). In this case, the hood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may be arranged between the cooktop part (15) and the main body (20).

본 실시예에서는, 후드장치가 본체(20)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후드장치는 제2기기(2)의 본체(20)와 일체로 마련되는 후드모듈(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드모듈(25)은 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에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hood device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20). This hood device may include a hood module (25)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20) of the second device (2), and the hood module (25) may include a fan. In addition,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이하, 제2기기(2)에 마련되는 팬과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각각 후드팬(26)과 후드흡기구(27a,27b) 및 제2배기구(28)라 지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an, intake port, and exhaust port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2) are referred to as the hood fan (26),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and the second exhaust port (28), respectively.

후드팬(26)은, 제2기기(2)의 내부에 수용되며, 후드흡기구(27a,27b)를 통해 조리 가스를 흡입하고, 흡입한 조리 가스를 제2배기구(28)를 통해 제2기기(2)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hood fan (26) i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device (2), and can suck in cooking gas through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and discharge the sucked cooking ga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evice (2)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8).

후드흡기구(27a,27b)는, 본체(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기기(2)의 저면(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배기구(28)는, 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본체(2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od intake port (27a, 27b) is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0) and can b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second device (2). The second exhaust port (28) is arranged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0) and can b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일례로서, 제2배기구(28)는 본체(2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배기구(28)는 제2조리실(20a)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exhaust port (28) may be positioned at a rearward position from the main body (20). For example, the second exhaust port (28)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후드흡기구(27a,27b)는, 제1후드흡기구(27a)와 제2후드흡기구(27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후드흡기구(27a)는, 제2기기(2)의 저면(22)에 배치되되, 후드팬(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후드흡기구(27b)는, 제1후드흡기구(27a)와 마찬가지로 제2기기(2)의 저면(22)에 배치되되, 제1후드흡기구(27a)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hood intakes (27a, 27b) can be divided into a first hood intake (27a) and a second hood intake (27b). The first hood intake (27a) is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second device (2), but can be arranged below the hood fan (26). The second hood intake (27b), like the first hood intake (27a), is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second device (2), but can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od intake (27a).

본체(20)의 내부에는, 배기유로(29)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29)는, 제2조리실(20a)의 외측에 배치되며, 후드흡기구(27a,27b)와 제2배기구(28)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본체(20)의 내부에 형성한다.An exhaust passage (29) can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20). The exhaust passage (29) is arranged outside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and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hood intake (27a, 27b) and the second exhaust port (28) inside the main body (20).

예컨대, 후드팬(26)은 배기유로(29)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드흡기구(27a,27b)를 통해 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 조리 가스는 배기유로(29)를 통해 본체(20)의 내부를 통과한 후 제2배기구(28)를 통해 제2기기(2)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od fan (26) can be placed inside the exhaust passage (29), and the cooking gas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can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exhaust passage (29)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evice (2)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8).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모듈(25)은 제2조리실(20a)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후드흡기구(27a)와 배기유로(29)와 송풍팬(18) 및 제2배기구(28)가 제2조리실(20a)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d module (25) may b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oking room (20a). For example,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the exhaust duct (29), the blower fan (18), and the second exhaust port (28) may b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oking room (20a).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조리실(20a)은 쿡탑부(1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하방향에 대해서, 제1후드흡기구(27a)는 제2조리실(20a)과 쿡탑부(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후드흡기구(27b)는 제1배기구(16)와 제2배기구(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may be arranged above the cooktop section (15).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0a) and the cooktop section (15), and the second hood intake port (27b)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second exhaust port (28).

[연결모듈의 구조][Structure of the connection module]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FIGS. 6 and 7 are enlarged views showing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연결모듈(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모듈(3)은, 제1기기(1)와 제2기기(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모듈(3)은, 제1배기구(16)와 흡기구,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기기(1)의 제1배기구(16)와 제2기기(2)의 후드흡기구(27a,27b)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8,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nnection module (3). The connection module (3)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The connection module (3) may form a path therein that connects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intake port,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xhaust port (16)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of the second device (2).

좀 더 구체적으로, 연결모듈(3)은 제1기기(1)와 연결모듈(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모듈(3)은, 쿡탑부(15)의 상측에 배치되되, 쿡탑부(15)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module (3) can be plac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connection module (3). This connection module (3)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oktop unit (15), but can b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top unit (15).

일례로서, 연결모듈(3)은 후드모듈(25)과 함께 배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연결모듈(3)과 후드모듈(25)의 결합체가 배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모듈(3)은 조리기기가 제1기기(1)과 제2기기(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조리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module (3) can form an exhaust device together with the hood module (25).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ion module (3) and the hood module (25) can form an exhaust device.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module (3) can form a cooking device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모듈(3)은 상부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연결부(30)는, 제1기기(1)와 후드모듈(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연결부(30)는, 후드모듈(25)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module (3)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on part (30).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hood module (25). This upper connection part (30) may be connected to the hood module (25).

일례로서, 상부연결부(3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덕트(Duc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연결부(30)는 상하방향 길이 및 측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uct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For example,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 shorter front-back length than the vertical length and the lateral length.

상부연결부(30)의 내부에는, 후드흡기구(27a,27b)와 연결되는 상부유로(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유로(32)의 상단은 상측으로 개방되며, 상부유로(32)와 후드흡기구(27a,27b)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Inside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an upper passage (32) connected to the hood intake (27a, 27b) can be formed.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ssage (32) is opened upward, and the upper passage (32) and the hood intake (27a, 27b) can b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부연결부(30)의 상단은, 후드흡기구(27a,27b)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제2기기(2)의 저면(22)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연결부(30)는 제2기기(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드흡기구(27a,27b)는, 후드모듈(25)의 저면과 상부연결부(30)로 둘러싸인 공간, 바꾸어 말하면 제2기기(2)의 저면(22)과 상부연결부(3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can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second device (2) while surrounding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from the lateral outer side. Preferably,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evice (2).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can be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module (25) and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in other words,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22) and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of the second device (2).

일례로서, 상부유로(32)는 제1후드흡기구(27a)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30)의 상단은, 제1후드흡기구(27a)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제2기기(2)의 저면(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후드흡기구(27a)는, 후드모듈(25)의 저면과 상부연결부(30)로 둘러싸인 공간, 바꾸어 말하면 제2기기(2)의 저면(22)과 상부연결부(3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pper passage (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od intake (27a).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30) may surround the first hood intake (27a) from the lateral outer side and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second device (2). The first hood intake (27a) may be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module (25)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30), in other words,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22)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30) of the second device (2).

상부연결부(30)의 상단은, 상부유로(32)의 상부가 후드흡기구(27a,27b),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후드흡기구(27a)와 연결될 수 있게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연결부(30)의 하단은, 상부유로(32)의 하부가 제1기기(1)를 향해 개방될 수 있게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can be opened upwar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ssage (32) can be connected to the hood intake (27a, 27b), more specifically, the first hood intake (27a).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can be opened down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ssage (32) can be opened toward the first device (1).

연결모듈(3)은, 하부연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결부(40)는, 제1기기(1)와 상부연결부(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연결부(40)는, 제1기기(1)와 상부연결부(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3) may include a lower connection part (40).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may be plac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This lower connection part (40) may connect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일례로서, 하부연결부(40)는 상부연결부(30)와 마찬가지로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덕트(Duc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연결부(40)는 상부연결부(30)의 형상과 유사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uct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similar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For example,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하부연결부(40)의 내부에는, 상부유로(32)와 연결되는 하부유로(4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유로(42)의 상단은 상측으로 개방되며, 하부유로(42)와 상부유로(32)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Inside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a lower channel (42) connected to the upper channel (32) can be forme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hannel (42) is opened upward, and the lower channel (42) and the upper channel (32) can b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부연결부(40)는, 제1기기(1) 및 상부연결부(30)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연결부(40)의 하단은 제1기기(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연결부(40)의 상단은 상부연결부(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1) and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1),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일례로서, 상부연결부(30)의 일부분이 하부연결부(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부연결부(30)의 일부분과 하부연결부(40)의 일부분이 세로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이들을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can be made while a part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For example, while a part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a part of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are vertically align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can be made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at penetrates them vertically.

하부연결부(40)의 하단은, 제1배기구(16)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제1기기(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배기구(16)는, 제1기기(1)의 상면과 하부연결부(4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can surround the first exhaust port (16) from the lateral outer side and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evice (1). The first exhaust port (16) can be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정리하면, 상기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를 포함하는 연결모듈(3)은, 제1배기구(16)와 후드흡기구(27a,27b)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 즉 상부유로(32)와 하부유로(42)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연결모듈(3)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 즉 상부유로(32)와 하부유로(42)가 연결된 형태의 유로를 연결유로(P)라 칭하기로 한다.In summary, the connection module (3) including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can form a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that is, an upper flow path (32) and a lower flow path (42) inside. Hereinafter,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3), that is, a flow path in which the upper flow path (32) and the lower flow path (42) are connected, will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flow path (P).

그리고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는, 연결모듈(3)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는, 제2기기(2)의 저면(22)과 연결모듈(3)과 제1기기(1)의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nd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can be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connection module (3). Specifically,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can be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second device (2), the connection module (3),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device (1).

이에 따라, 제1배기구(16)는 하부유로(42) 및 상부유로(32)를 통해 제1후드흡기구(27a)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배기구(16)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 또는 공기는, 연결모듈(3)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유로(P)를 통해 제1후드흡기구(27a) 측으로 유동한 후, 제1후드흡기구(27a)를 통해 배기유로(29)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xhaust port (16)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through the lower passage (42) and the upper passage (32). That is, the combustion gas 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can flow towar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P)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3) and then flow into the exhaust passage (29) through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한편 연결모듈(3)에는, 전면홀(34,44)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홀(34,44)은, 연결모듈(3)의 전면에 마련되며, 연결모듈(3) 내부의 연결유로(P)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 front hole (34, 44)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module (3). The front hole (34, 44)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module (3) and may form a passage that opens the connection path (P)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3) forward.

전면홀(34,44)은,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부연결부(30)에는 상부전면홀(34)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연결부(40)에는 하부전면홀(44)이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hole (34, 44)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As an example,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may have an upper front hole (34)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may have a lower front hole (44).

다른 예로서, 전면홀(34,44)은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ront hole (34, 44) may be provided in only on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30)의 전면에 상부전면홀(34)이 마련되고 하부연결부(40)의 전면에 하부전면홀(44)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an upper front hole (34)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30) and a lower front hole (44)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40).

상부전면홀(34)은, 상부유로(32)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부연결부(30)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전면홀(34)은, 상부연결부(30)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ont hole (34) can form a passage that opens the upper passage (32) for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30). This upper front hole (34)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3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하부전면홀(44)은, 하부유로(42)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하부연결부(40)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전면홀(44)은, 하부연결부(40)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ront hole (44) can form a passage that opens the lower passage (42) for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40). This lower front hole (44)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전면홀(34,44)은, 쿡탑부(15)의 후방측에 배치된 연결유로(P)를 쿡탑부(15)를 향해 개방하는 통로를 연결모듈(3)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홀(34,44)은, 쿡탑부(15)에 의해 조리 중인 음식물에서 발생된 조리가스가 연결모듈(3)의 내부, 즉 연결유로(P)로 유입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연결모듈(3)의 전면에 형성할 수 있다.The above front holes (34, 44) can form a passage in the connection module (3) that opens the connection path (P)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top unit (15) toward the cooktop unit (15). These front holes (34, 44) can form a passage necessary for the cooking gas generated from food being cooked by the cooktop unit (15)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module (3), i.e., into the connection path (P), on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3).

바람직하게는, 전면홀(34,44)은 제1기기(1)와 후드모듈(25) 사이에 배치되되, 제1기기(1) 및 후드모듈(25)보다 연결모듈(3)의 중앙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ront hole (34, 44)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hood module (25), but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module (3) than the first device (1) and the hood module (25).

일례로서, 상부전면홀(34)은 후드모듈(25)과 하부연결부(40) 사이에 배치되되, 후드모듈(25)보다 연결모듈(3)의 중앙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전면홀(44)은 상부연결부(30)와 제1기기(1) 사이에 배치되되, 제1기기(1)보다 연결모듈(3)의 중앙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pper front hole (34) may be arranged between the hood module (25)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but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module (3) than the hood module (25). In addition, the lower front hole (44) may be arrang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the first device (1), but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module (3) than the first device (1).

다른 예로서, 상부전면홀(34)은 상부연결부(30)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하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전면홀(44)은 하부연결부(40)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pper front hole (34)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hifted downward from the vertical center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Also, the lower front hole (44)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from the vertical center of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상기와 같이 연결모듈(3)의 상단 또는 하단보다 연결모듈(3)의 상하방향 중앙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전면홀(34,44)은, 쿡탑부(15)의 상판(15a)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 그리고 제2후드흡기구(27b)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hole (34, 44)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is offset from the top or bottom of the connection module (3)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top plate (15a) of the cooktop part (15)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second hood intake (27b).

이에 따라 전면홀(34,44)은, 제2후드흡기구(27b) 주변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의 영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음식물을 수용하며 쿡탑부(15)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과 비슷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ront hole (34, 44)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omewhat removed from the influence of the suction force acting around the second hood intake (27b), and can also be positioned at a similar height to the top of the container that receives food and is placed on the cooktop (15).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Operation and effect of cooking appliance]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on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8.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모듈(3)은 제1기기(1)와 후드모듈(25)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모듈(3)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유로(P)는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nection module (3) is plac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hood module (25), and the connection path (P)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3) can connect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이와 같이 제1기기(1)와 후드모듈(25)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모듈(3)은,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 사이를 연결하면서 연결모듈(3)의 외부와 분리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유로(P)는, 이러한 연결모듈(3)의 내부공간에서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nection module (3) installed between the first device (1) and the hood module (25) can form an internal space separated from the exterior of the connection module (3) while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The connection path (P) can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module (3).

일례로서, 제1조리실(10a) 내부에서 가열부의 연소가 이루어지면, 제1조리실(10a) 내부가 가열되고, 제1조리실(10a)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For example, when combustion of the heating part occurs inside the first cooking room (10a), the inside of the first cooking room (10a) is heated and food is cooked inside the first cooking room (10a).

다른 예로서, 제1기기(1)의 오븐부(10)는 셀프 클리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셀프 클리닝은, 제1조리실(10a)의 가열부로 내부를 가열하여 제1조리실(10a)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을 태워서 제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oven section (10) of the first device (1) can provide a self-cleaning function. Self-cleaning can remove contaminants by burning them by heating the interior with the heating section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와 같이 오븐부(10)에서 수행되는 음식물의 조리 또는 셀프 클리닝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배기덕트(17)를 통해 제1조리실(10a)의 외부로 이송된 후, 제1배기구(16)를 통해 제1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송풍팬(18)은, 제1조리실(10a)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배기덕트(17)를 통해 제1배기구(16)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r self-cleaning process of food in the oven section (10)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through the exhaust duct (17)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evice (1)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At this time, the blower fan (18) can form an air current that causes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10a) to flow toward the first exhaust port (16) through the exhaust duct (17).

이와 같이 제1기기(1)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제1배기구(16)와 연결된 연결유로(P)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P)는 후드팬(26)이 배치된 배기유로(29)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연결유로(P)에는 후드팬(26)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vice (1)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passage (P)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ort (16). The connecting passage (P)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29) in which the hood fan (26) is arranged, and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hood fan (26)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ng passage (P).

이와 같이 연결유로(P)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제1기기(1)의 내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의 흐름을 연결유로(P)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유로(P)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연결유로(P)로 유입된 연소가스의 흐름을 후드흡기구(27a,27b),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결유로(P)와 연결된 제1후드흡기구(27a)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passage (P) can guide the flow of combustion gas generated inside the first device (1) toward the connecting passage (P). In addition,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passage (P) as described above can guide the flow of combustion ga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passage (P) toward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ssage (P).

즉 제1배기구(16)에서 연결유로(P)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연결유로(P)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제1후드흡기구(27a) 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1후드흡기구(27a)를 통과하여 배기유로(29)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유로(29)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제2배기구(28)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connecting passage (P) from the first exhaust port (16) can flow towar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by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passage (P) and can flow into the exhaust passage (29) through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exhaust passage (29) can be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8).

연결모듈(3)은, 오븐부(10)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조리기기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못하도록, 제1배기구(16)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3) can capture combustion ga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to prevent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y the oven section (10) from spreading around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연결모듈(3)은, 연결모듈(3)의 내부로 포집된 연소가스가 후드모듈(25)에 흡입될 수 있도록, 연소가스의 흐름을 후드모듈(25)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연결유로(P)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연소가스의 흐름을 후드모듈(25) 측으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odule (3) can guide the flow of combustion gas toward the hood module (25) so that the combustion gas captured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3) can be sucked into the hood module (25). At this time,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connection path (P) can effectively guide the flow of combustion gas toward the hood module (25).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연결모듈(3)은 오븐부(10)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후드모듈(25) 측으로 강제로 유도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3)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path for forcibly guiding the flow of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y the oven section (10) toward the hood module (25).

이러한 연결모듈(3)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오븐부(10)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조리기기의 주변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후드모듈(25)에 의해 곧바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가스에 의해 조리기기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하고, 더욱 향상된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equipped with such a connection module (3) can prevent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a cooking process by the oven section (10) from spreading to the surroundings of the cooking appliance but instead being sucked directly by the hood module (25), thereby suppressing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cooking appliance by combustion gas and providing further improved contaminant removal performance.

일례로서, 제1기기(1)와 제2기기(2)는 통신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기기(1)와 제2기기(2)의 동작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기(1)의 오븐부(10)에서 조리 기능 또는 셀프 클리닝 기능이 수행되면, 제2기기(2)에 마련된 후드모듈(25)의 동작이 함께 개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can be link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 cooking function or a self-cleaning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oven unit (10) of the first device (1), the operation of the hood module (25)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2) can be initiated simultaneously.

즉 연소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제1기기(1)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연소가스를 포집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모듈(25)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vice (1) that causes combustion gas emission is performed, the operation of the hood module (25) for capturing combustion gas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다른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ure 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제1기기(1)의 전방측에서 전방흡기구(12a)를 통해 상부공간(10b)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공간(10b)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부공간(10b)을 통과하며 상부공간(10b)을 냉각시킨 후, 제1배기구(16)를 통해 제1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은, 송풍팬(18)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10b) through the front intake port (12a) 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device (1).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10b) in this way can pass through the upper space (10b) and cool the upper space (10b),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evice (1)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The air flow as described above can be induced by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blower fan (18).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유로(P)에는 후드팬(26)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유로(P)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제1배기구(16)를 통해 연결유로(P)와 연결된 상부공간(10b)에도 작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hood fan (26) can act on the connecting passage (P). In this way,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passage (P) can also act on the upper space (10b)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ssage (P)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즉 상부공간(10b)에서는, 송풍팬(18)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과 후드팬(26)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이 함께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공간(10b)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풍량 및 유속이 증가됨으로써, 상부공간(10b)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에 대한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upper space (10b),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blower fan (18) and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hood fan (26) can work together. Accordingly, the air volume and velocity of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upper space (10b) increase,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upper space (10b) and the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제1기기(1)와 제2기기(2)의 동작이 서로 연동되는 경우, 송풍팬(18)의 동작과 후드팬(26)의 동작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기(1)의 오븐부(10)에서 조리 기능 또는 셀프 클리닝 기능이 수행되면, 제1기기(1)에 마련된 송풍팬(18)의 동작과 후드모듈(25)에 마련된 후드팬(26)의 동작이 함께 개시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are linked to each other, the operations of the blower fan (18) and the hood fan (26) can be link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 cooking function or a self-cleaning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oven section (10) of the first device (1), the operations of the blower fan (18) provided in the first device (1) and the operations of the hood fan (26) provided in the hood module (25) can be initiated simultaneously.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또 다른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1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illustrated in FIG. 8.

도 11을 참조하면, 쿡탑부(15)에 의해 조리 중인 음식물에서 발생된 조리가스는 후드모듈(25)에 의해 포집되어 배기유로(29)로 유입된 후,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쿡탑부(15)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조리가스 중 일부는, 제2후드흡기구(27b)를 통해 배기유로(29)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cooking gas generated from food being cooked by the cooktop unit (15) is captured by the hood module (25),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ssage (29),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doors. Some of the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y the cooktop unit (15) may be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ssage (29) through the second hood intake port (27b).

쿡탑부(15)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조리가스 중 일부는, 연결모듈(3)에 마련된 전면홀(34,44)을 통해 연결유로(P)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유로(P)로 유입된 조리가스는, 제1후드흡기구(27a)를 통해 배기유로(29)로 유입될 수 있다.Some of the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y the cooktop unit (15)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th (P) through the front hole (34, 44) provided in the connection module (3). In this way, the cooking ga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th (P) can be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th (29) through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홀(34,44)은 연결모듈(3)의 상단 또는 하단보다 연결모듈(3)의 상하방향 중앙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홀(34,44)은 후드흡기구(27a,27b), 특히 제2후드흡기구(27b)에 비해 조리가스 생성원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면홀(34,44)은 음식물을 수용하며 쿡탑부(15)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과 비슷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holes (34, 44)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that is offset from the upper or lower center of the connection module (3). The front holes (34, 44)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cooking gas generation source than the hood intakes (27a, 27b), particularly the second hood intakes (27b). For example, the front holes (34, 44) may be arranged at a similar height to the top of a container that receives food and is placed on the cooktop (15).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전면홀(34,44)을 통해, 연결모듈(3)은 제2후드흡기구(27b)에 비해 조리가스 생성원에 훨씬 가까운 위치에서 조리가스를 흡입할 수 있다. 이처럼 쿡탑부(15) 주변에서 전면홀(34,44)을 통해 조리가스를 흡입하는 연결모듈(3)은, 쿡탑부(15)에 의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조리가스를 매우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Through the front holes (34, 44) arranged in this manner, the connection module (3) can suck in cooking gas at a location much closer to the cooking gas generation source than the second hood intake port (27b). In this way, the connection module (3) that sucks in cooking gas through the front holes (34, 44) around the cooktop unit (15) can very effectively capture cooking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by the cooktop unit (15).

또한 전면홀(34,44)이 마련된 연결모듈(3)의 내부에는, 후드팬(26)에 의해 제공되는 흡입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전면홀(34,44)의 주변에서는 쿡탑부(15) 주변의 공기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inside the connection module (3) provided with the front hole (34, 44), the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hood fan (26) acts, and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acts around the front hole (34, 44) to pull the air around the cooktop part (15) toward the rear.

이러한 흡입력은, 쿡탑부(15) 주변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가 전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조리가스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전면홀(34,44)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은, 쿡탑부(15) 주변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의 흐름을 후드흡기구(27a,27b) 측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This suction force can act as a force that pulls the cooking gas generated around the cooktop part (15) toward the rear to prevent the cooking gas from spreading forward. In other words,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round the front hole (34, 44) can act to guide the flow of the cooking gas generated around the cooktop part (15) toward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이에 따라 쿡탑부(15) 주변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의 흐름이 전방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후드흡기구(27a,27b) 측으로 유도될 수 있고,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더욱 향상된 조리가스 포집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low of cooking gas generated around the cooktop (15) can be guided toward the hood intake (27a, 27b) instead of spreading forward, and thu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further improved cooking gas collection performance.

즉 본 실시예의 연결모듈(3)은, 조리가스 생성원에 가까운 위치에서 조리가스를 흡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가스의 흐름을 후드흡기구(27a,27b) 측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조리가스 포집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module (3)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not only suck in cooking gas at a location close to the cooking gas generation source, but also effectively improve the cooking gas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by directing the flow of cooking gas toward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제1기기(1)와 제2기기(2)의 동작이 서로 연동되는 경우, 쿡탑부(15)의 동작과 후드모듈(25)의 동작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기(1)의 쿡탑부(15)에서 가열을 위한 동작이 개시되면, 제2기기(2)에 마련된 후드모듈(25)의 동작이 함께 개시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second device (2) are linked to each other, the operations of the cooktop unit (15) and the hood module (25) can be linke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for heating is initiated in the cooktop unit (15) of the first device (1), the operation of the hood module (25)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2) can be initiated simultaneously.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연결모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2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module illustrated in Figure 8.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전면홀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부연결부(30)에 복수개의 상부전면홀(34)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하부연결부(40)에 복수개의 하부전면홀(44)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연결부(30)와 하부연결부(40) 모두에 복수개의 상부전면홀(34) 및 하부전면홀(44)이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 a plurality of front holes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upper front holes (34)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lower front holes (44) may be arranged in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upper front holes (34) and lower front holes (44) may be arranged in both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4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연결모듈(3)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전면홀들은, 쿡탑부(15) 주변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가 연결모듈(3)로 흡입되는데 필요한 통로의 개수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front holes arrang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on module (3) can increase the number and area of passages required for the cooking gas generated around the cooktop part (15) to be sucked into the connection module (3).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모듈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3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module illustrated in Figure 8.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모듈(3)은 하부연결부(40) 없이 상부연결부(30)만이 단독으로 채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모듈(3)은 후드모듈(25) 및 제1후드흡기구(27a)와만 직접 연결되고, 제1기기(1) 및 제1배기구(16)와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connection module (3)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ly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is employed without the lower connection part (4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odule (3) may be directly connected only to the hood module (25)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vice (1) and the first exhaust port (1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연결모듈(3)에서, 상부연결부(30)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배기구(16)와 후드흡기구(27a,27b),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 간의 거리의 1/4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연결부(30)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배기구(16)와 제1후드흡기구(27a) 간의 거리의 1/2 이상일 수 있다.In the connection module (3)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may be at least 1/4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hood intake port (27a, 27b),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Preferably,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may be at least 1/2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16)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상부연결부(30)의 하측에는, 필터(35)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필터(35)는 상부연결부(30)의 개방된 하단을 덮으며 상부연결부(3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쿡탑부(15) 주변에서 발생되는 조리가스나 제1배기구(16)를 통해 배출되는 조리가스는, 필터(35)에 의해 필터링된 후 연결모듈(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 filter (35)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filter (35) may cover the open lower side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30). Cooking gas generated around the cooktop part (15) or cooking ga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16)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35)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module (3).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기(2a)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아닌 후드장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2기기(2a)는, 본체(20; 도 4 참조) 없이 후드모듈(25; 도 4 참조)의 구성만을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4, the second device (2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od device rather than a microwave oven that is also a hood. That is, the second device (2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ncludes only a hood module (25; see Fig. 4) without a main body (20; see Fig. 4).

연결모듈(3)은,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제2기기(2a)와 제1기기(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기기(1)의 제1배기구(16; 도 8 참조)와 제2기기(2a)의 제1후드흡기구(27a)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3) can be placed between the second device (2a) and the first device (1)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nd can form a path inside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16; see FIG. 8) of the first device (1) and the first hood intake port (27a) of the second device (2a).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 : 제1기기
10 : 오븐부
10a : 제1조리실
10b : 상부공간
11 : 캐비티
11a : 브로일 버너
11b : 컨벡션장치
12 : 프런트패널
12a : 전방흡기구
13 : 도어
14 : 컨트롤패널
14a : 노브
14b : 디스플레이
15 : 쿡탑부
15a : 상판
15b : 화구
16 : 제1배기구
17 : 배기덕트
18 : 송풍팬
2 : 제2기기
20 : 본체
20a : 제2조리실
21 : 캐비티
22 : 도어
25 : 후드모듈
26 : 후드팬
27a : 제1후드흡기구
27b : 제2후드흡기구
28 : 제2배기구
29 : 배기유로
3 : 연결모듈
30 : 상부연결부
32 : 상부유로
34 : 상부전면홀
35 : 필터
40 : 하부연결부
42 : 하부유로
44 : 하부전면홀
P : 연결유로
1: 1st device
10: Oven section
10a: Kitchen 1
10b: Upper space
11 : Cavity
11a : Broil Burner
11b: Convection device
12 : Front panel
12a : Front intake
13 : Door
14: Control Panel
14a : Knob
14b : Display
15: Cooktop section
15a : Top plate
15b : Crater
16: 1st exhaust port
17: Exhaust duct
18 : Blower fan
2: 2nd device
20 : Body
20a: Second kitchen
21 : Cavity
22 : Door
25 : Hood module
26 : Hood fan
27a: 1st hood intake
27b: 2nd hood intake
28: Second exhaust port
29: Exhaust oil
3: Connection module
30 : Upper connection part
32: Upper Euro
34: Upper front hole
35 : Filter
40 : Lower connection
42 : Lower Euro
44: Lower front hole
P: connecting euro

Claims (18)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모듈; 및
상기 제1기기와 상기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배기장치.
A hood modul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vice that discharges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inside o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and discharges gas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and
An exhaust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and forming a path therein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기기와 상기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드모듈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는 상부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배기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nection module includes an upper connection part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hood module,
The upper connecting part is an exhaust device that forms an upper flow path in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와 마주하는 상기 후드모듈의 저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후드모듈의 저면과 상기 상부연결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module facing the first device,
The above intake port is an exhaust device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module and the upper connect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단은, 상기 상부유로의 상부가 상기 흡기구와 연결될 수 있게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의 하단은, 상부유로의 하부가 상기 제1기기를 향해 개방될 수 있게 하측으로 개방되는 배기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is opened upwar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ssage can be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is an exhaust device that opens downwar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ssage can be opened toward the firs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간의 거리의 1/4 이상인 배기장치.
In paragraph 4,
An exhaust device in which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is at least 1/4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하단이 상기 흡기구보다 상기 제1배기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In paragraph 4,
An exhaust device in whic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first exhaust port than to the intake 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상부연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상부유로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기 상부연결부의 전면에 형성하는 배기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ront hole arranged on the front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The above front hole is an exhaust device that forms a passage that opens the upper passage forward in the front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홀은, 상기 상부연결부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하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In Article 7,
The above front hole is an exhaust device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upper connect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기기와 상기 상부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기와 상기 상부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상부유로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배기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onnection module includes a lower connection part that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and connects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The above lower connecting part is an exhaust device that forms a lower passage inside to connect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upper passa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제1기기 및 상기 상부연결부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기장치.
In Article 9,
The lower connecting part is an exhaust device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and the upper connecting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하부연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하부유로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기 하부연결부의 전면에 형성하는 배기장치.
In Article 9,
The above lower connecting part includes a front hole arranged on the front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The above front hole is an exhaust device that forms a passage that opens the lower passage forward in the front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홀은, 상기 하부연결부의 상하방향 중앙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In Article 11,
The above front hole is an exhaust device positioned at an upwardly tilted posi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lower connec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는, 상기 연결모듈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necting module forms a path inside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The above first exhaust port and the above intake port are exhaust devices arrang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connection module.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모듈; 및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A first devic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o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through a first exhaust port;
A hood module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vice and discharges gas taken in through the intake port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connecting module forming a path therein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1기기의 상부에 안착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쿡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쿡탑부의 상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모듈의 전면에는, 상기 연결모듈 내부의 유로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전면홀이 마련되는 조리기기.
In Article 14,
The first device includes a cooktop portion that heats food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evice,
The above connection module is placed on the upper and rear sides of the cooktop unit,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front hole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module to form a passage that opens the flow path inside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module forwar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기기와 상기 후드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홀은, 상기 제1기기 및 상기 후드모듈보다 상기 연결모듈의 상하방향 중앙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In Article 15,
The above connection module is placed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front hole is positioned closer to the vertical center of the connection module than the first device and the hood module.
내부에서 생성되거나 내부를 통과한 조리 가스 또는 공기를 제1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1기기;
제1기기의 상측에 배치되며, 흡기구를 통해 흡입한 가스를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제2기기; 및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A first device for discharging cooking gas or air generated o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through a first exhaust port;
A second device,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vice and discharges gas taken in through the intake port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connecting module forming a path therein connecting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제1조리실 및 상기 제1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장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오븐부, 및 상기 제1기기의 상부에 안착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쿡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기는, 제2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제2조리실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후드모듈은, 가스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며 상기 제2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리실은, 상기 쿡탑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조리실과 상기 쿡탑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입구, 및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제2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쿡탑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제2흡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기기.
In Article 17,
The first device includes an oven section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and a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the first cooking chamber, and a cooktop section for heating food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evice.
The second devic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econd cooking chamber formed inside, and a hood modul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The above hood module includes a fan that sucks gas through the intake port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The above second cooking room is placed above the cooktop section,
The above suction port includes a first suction port arrang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 and the cookto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uction port arrang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second exhaust p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above connection module is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top and connects the first exhaust port and the second intake port.
KR1020230108418A 2023-08-18 2023-08-18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Pending KR20250027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418A KR20250027088A (en) 2023-08-18 2023-08-18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PCT/KR2024/001658 WO2025041938A1 (en) 2023-08-18 2024-02-05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418A KR20250027088A (en) 2023-08-18 2023-08-18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7088A true KR20250027088A (en) 2025-02-25

Family

ID=9473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418A Pending KR20250027088A (en) 2023-08-18 2023-08-18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50027088A (en)
WO (1) WO2025041938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940A (en) * 1997-04-18 1998-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oker unit
KR200191339Y1 (en) * 1997-07-24 2000-08-16 윤종용 Exhaust structure of gas oven range coupled with microwave oven
KR20050097713A (en) * 2004-04-02 2005-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exhaust in gas oven range
JP2008202852A (en) * 2007-02-20 2008-09-04 Air Navi Kankyo Keikaku:Kk Exhaust air guide device for heating cooker
KR100938385B1 (en) * 2007-12-06 201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Euro in the oven and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41938A1 (en) 202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9422B1 (en) Cooking appliance
EP1731843B1 (en) Oven
KR101291412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AU2020220259B2 (en) Hob system
KR101263519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KR100565222B1 (en) Hood guide microwave exhaust guide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CN111520775B (en) heating cooker
CN111503668A (en) Integrated stove with cooking device
KR100739156B1 (en) Hooded microwave oven
CN210801292U (en) Integrated kitchen range capable of quickly dissipating heat
KR101261646B1 (en) Microwave range having hood
CN210399026U (en) Integrated stove with cooking device
KR20250027088A (en) Exhaust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100551488B1 (en) Wall-mounted Microwave
KR20200012307A (en) Cooking appliance
JP4462778B2 (en) Cooker
KR101650574B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53891A (en) Cooking appliance having hood
KR20220134078A (en) Cooking appliance
CN217274302U (en) Gas stove and integrated stove with cooking device
KR20040061116A (en) Door of electric oven range
CN216079908U (en) Integrated kitchen with cooking device
CN216790242U (en) Integrated kitchen with cooking device
KR101681773B1 (en) Gas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