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5248A -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5248A
KR20250025248A KR1020230106478A KR20230106478A KR20250025248A KR 20250025248 A KR20250025248 A KR 20250025248A KR 1020230106478 A KR1020230106478 A KR 1020230106478A KR 20230106478 A KR20230106478 A KR 20230106478A KR 20250025248 A KR20250025248 A KR 2025002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elastomer
elastomer resin
thermoplastic polyester
chemical formula
repeat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만
강재식
황은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5248A/en
Priority to PCT/KR2024/012054 priority patent/WO2025037901A1/en
Priority to TW113130369A priority patent/TW202513657A/en
Publication of KR2025002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524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강도, 신도 등이 높으면서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다양한 물품(예컨대, 섬유, 발포체, 신발 부품 등)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n article comprising the same.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have high mechanical strength, elongation, etc., and excellent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Accordingly,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utilized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articles (e.g., fibers, foams, shoe parts, etc.).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특성을 갖는 경질 블록과 엘라스토머 특성을 갖는 연질 블록(PTMG 및 EO-PPG 도입)을 포함하면서 기계적 강도, 탄성, 압축-탄성 회복력 등의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ile comprising a hard block having thermoplastic properties and a soft block having elastomeric properties (introducing PTMG and EO-PPG).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수지는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유도되어 열가소성 특성을 갖는 경질 블록(Hard segment)과, 고무상 물질인 엘라스토머로부터 유도되어 엘라스토머 특성을 갖는 연질 블록(Soft segment)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열경화성 고무와 비교할 때 결정에 의해 물리적 결합을 한 경질 블록은 "가황"이라는 화학적 가교 결합과 유사하며, 연질 블록은 비결정성 고무상 특성과 유사하다.Thermoplastic elastomer (TPE) resins include hard segments derived from thermoplastic polymers and having thermoplastic properties, and soft segments derived from elastomers, which are rubber-like substances, and having elastomeric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thermosetting rubber, the hard blocks physically bonded by crystals are similar to chemical cross-linking called "vulcanization," and the soft blocks are similar to non-crystalline rubber-like properties.

상기 TPE 수지 중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충격성, 내열성, 유연성, 성형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섬유, 필름 등의 제조에 활용되고 있다.Among the above TPE resins,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resins have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excellent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flexibility, and moldability, and ar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utomobile parts,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fibers, films, etc.

상기 TPEE 수지는 주로 테트라메틸렌 에스테르 결정성 경질 블록과 폴리에테르 폴리올 에스테르 비결정성 연질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TPEE 수지의 연질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폴리에틸렌 에테르 글리콜(PEG), 폴리(1,2-프로필렌)글리콜(PPG),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 등이 사용된 바 있다.The above TPEE resin mainly includes a tetramethylene ester crystalline hard block and a polyether polyol ester amorphous soft block. As raw materials for manufacturing the soft block of the above TPEE resin, polyethylene ether glycol (PEG), poly(1,2-propylene) glycol (PP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etc. have been used.

그러나 상기 PEG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TPEE 수지는 함습 특성이 높은 단점이 있고 상기 PPG는 중합반응성이 떨어져, 이들은 TPEE 수지의 제조 원료로 잘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상기 PTMG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TPEE 수지는 기계적 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좋지만,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 등의 물성을 목적하는 수준 이상으로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TPEE resin manufactured using the above PEG as a raw material has a disadvantage of high moistur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the PPG has poor polymerization reactivity, so they are not often used as a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TPEE resin. On the other hand, the TPEE resin manufactured using the above PTMG as a raw material has goo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and elongation, but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ity and compressive elasticity recovery force to a target level or higher.

따라서 기계적 강도 및 신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면서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높아 다양한 물품의 제조에 활용할 수 있는 신규 TPEE 수지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TPEE resin that ha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strength and elongation, as well as high elasticity and compressive elasticity recovery,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various product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1-0080090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2021-0080090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경질 블록과 연질 블록 간에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연질 블록의 결정성 및 결정화 속도를 낮게 제어한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혼합(blend)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수지가 얻어짐을 확인하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and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resi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improved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is obtained by blending two or more kinds of polyester elastomer resins in which the crystallinity and crystallization speed of the soft block are controlled to be low while preventing phase separation between the hard block and the soft block.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기계적 강도와 더불어,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or article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를 포함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를 포함하는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ing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nd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ing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화학식 2][Chemical formula 2]

[화학식 3][Chemical Formula 3]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R 1 to R 3 are each independently a C 1 to C 12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m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4 내지 6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30의 정수이고, t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40의 정수이다.m is an integer from 2 to 6, n is an integer from 4 to 6, p is an integer from 10 to 30, t is an integer from 1 to 30, and s is an integer from 1 to 40.

또한, 본 발명은, (1-1) 제1 글리콜 성분,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 (1-2) 제2 글리콜 성분,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 및 (1-3)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1-1) a step of reacting a first glycol component, a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to obtain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1-2) a step of reacting a second glycol component, a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to obtain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1-3) a step of melt-blend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es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es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또,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le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연질 블록의 형성에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이 적용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연질 블록의 형성에 폴리올 체인 주쇄 내에 메틸렌 곁가지가 달려서 연질 블록의 고분자 사슬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고분자 사슬 간의 충분한 자유 부피(free volume)를 생성하여 결정성 및 결정화 속도를 낮추며 경질 블록과의 비상용성을 증가시켜 경질 블록과의 상분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이 적용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도 우수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because it includes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o which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is applied for the formation of a soft block.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elasticity and compressive elasticity recovery force because it includes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to which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is applied, which has a methylene side branch attached to the polyol chain main chain for the formation of a soft block to restrict the movement of polymer chains of the soft block and generate sufficient free volume between polymer chains to lower crystallinity and crystallization speed and increase incompatibility with the hard block to promote phase separation from the hard block.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강도,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면서 목적하는 수준의 경도를 나타내어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섬유, 필름, 매트릭스, 쿠션재, 발포체, 신발 부품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As such,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ve elastic recovery while exhibiting a desired level of hardness, and thus can be utilized in the manufacture of various articles such as automobile parts,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fibers, films, matrices, cushioning materials, foams, and shoe parts.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gist of the invention is not changed.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기재는 특정 특성, 영역, 단계, 공정,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특성, 영역, 단계, 공정,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word “comprising” or “including”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specify particular features, regions, steps, processe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regions, steps, processes, elements and/o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구성 요소들이 상기 용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ll numbers and expressions indicating the amounts of ingredients, reaction conditions,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nderstood to be modified by the term "about" in all case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수지는 결정성 경질 블록과 비결정성 연질 블록의 비상용성에 의해 상 분리가 일어나 엘라스토머 매트릭스를 구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무와 같은 탄성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탄성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경질 블록과 상기 연질 블록 간의 경계 구분을 뚜렷하게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질 블록과 상기 연질 블록의 결정성/비결정성의 차이를 크게 하여 비상용성을 높이면서 고분자 사슬의 자유 부피(free volume)를 높일 경우, 상기 상 분리가 보다 명확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질 블록은 최대한 빨리 결정화가 일어나야 되며, 상기 연질 블록은 최대한 늦게 결정화가 유도될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기계적 강도가 높으면서 탄성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을 수 있다.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resin forms an elastomer matrix by phase separation due to the incompatibility of crystalline hard blocks and amorphous soft blocks, thereby exhibiting elastic properties like rubber. In order to improve the elastic properties of such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it is required to clearly control the boundary distinction between the hard blocks and the soft blocks. Specifically, by increasing the difference in crystallinity/amorphism of the hard blocks and the soft blocks to improve the incompatibility while increasing the free volume of the polymer chains, the phase separation can be made to occur more clearly. That is, the hard block needs to crystallize as quickly as possible, and the soft block needs to crystallize as late as possible, whereby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excellent elastic properties can be obtained.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연질 블록 형성 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을 적용하여 연질 블록의 결정성 및 결정화 속도를 낮게 제어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연질 블록 형성 시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를 적용하여 연질 블록과 경질 블록의 비상용성을 높임으로써 상 분리가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제어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혼합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se points,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mixture of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which the crystallinity and crystallization speed of the soft block are controlled to be low by applyin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when forming the soft block, and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which the incompatibility of the soft block and the hard block is increased by applying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when forming the soft block, thereby controlling phase separation to be distinct, whi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follows.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를 포함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를 포함하는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한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nd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화학식 2][Chemical formula 2]

[화학식 3][Chemical Formula 3]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R 1 to R 3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C 1 to C 12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m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4 내지 6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30의 정수이고, t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40의 정수이다.m is an integer from 2 to 6, n is an integer from 4 to 6, p is an integer from 10 to 30, t is an integer from 1 to 30, and s is an integer from 1 to 40.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경질 블록을 구성하는 반복단위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구체적으로 C5 내지 C12의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m은 3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1은 시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고, m은 4의 정수일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cluded 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repeating unit constituting a hard block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the chemical formula 1, R 1 is specifically a C 5 to C 12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and m may be an integer of 3 to 5. For example, R 1 may be a cyclohexylene group or a phenylene group, and m may be an integer of 4.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연질 블록을 구성하는 반복단위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2는 구체적으로 C5 내지 C12의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또한, n은 4, 또는 5의 정수이고, p는 15 내지 25의 정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2은 시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고, n은 4의 정수이고, p는 18 내지 22의 정수일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cluded 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repeating unit constituting a soft block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the chemical formula 2, R 2 may specifically be a C 5 to C 12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In addition, n may be an integer of 4 or 5, and p may be an integer of 15 to 25. For example, R 2 may be a cyclohexylene group or a phenylene group, n may be an integer of 4, and p may be an integer of 18 to 2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는 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1 can be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glycol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2 can be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글리콜 성분(제1 글리콜 성분) 및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 원료로 하여 얻어진 수지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resin obtained by using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 glycol component (first glycol component), and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as reaction raw materials.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예컨대, 디카르복실산, 이의 에스테르, 이의 염화물, 또는 이의 무수물)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abov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e.g., a dicarboxylic acid, an ester thereof, a chloride thereof, or an anhydride thereof) may be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4 이상, 5 이상, 6 이상, 또는 7 이상일 수 있고, 20 이하, 15 이하, 13 이하, 12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4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6 내지 10일 수 있다.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 linear, branched, or cyclic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have 4 or more, 5 or more, 6 or more, or 7 or more carbon atoms, and may have 20 or less, 15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or 10 or less. Specifically,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have 4 to 20, 5 to 15, or 6 to 10 carbon atoms.

예컨대,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아디프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산,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ebacic acid, succinic acid, isodecylsucci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glutaric acid, azelaic acid,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and 1,3-cyclohexanedicarboxylic acid.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6 이상, 7 이상, 8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고,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6 내지 25, 6 내지 15, 또는 6 내지 10일 수 있다.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6 or more, 7 or more, 8 or more, or 10 or more, and 25 or less, 20 or less, or 15 or les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6 to 25, 6 to 15, or 6 to 10.

예컨대,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diphenyldicarboxylic acid, 4,4'-stilbenedicarboxylic acid, 2,5-furandicarboxylic acid, 2,5-thiophenedicarboxy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산 및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1종 이상의 성분)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총 몰%를 기준으로, 50 몰% 이상, 65 몰% 이상, 70 몰% 이상, 85 몰% 이상, 90 몰% 이상, 또는 95 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레프탈산,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량은 50 내지 100 몰%, 55 내지 100 몰%, 60 내지 100 몰%, 70 내지 100 몰%, 85 내지 100 몰%, 또는 90 내지 95 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The amount used (amount introduced during reaction) of at least on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t least 50 mol%, at least 65 mol%, at least 70 mol%, at least 85 mol%, at least 90 mol%, or at least 95 mol% based on the total mol%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pecifically, the amount of the terephthalic acid, the dimethyl terephtha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50 to 100 mol %, 55 to 100 mol %, 60 to 100 mol %, 70 to 100 mol %, 85 to 100 mol %, or 90 to 95 mol %.

상기 글리콜 성분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하여 테트라메틸 에스테르 경질 블록(예컨대, 화학식 1의 반복단위(a))을 형성하는 성분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 성분의 탄소수는 2 이상, 3 이상, 또는 4 이상일 수 있고, 15 이하, 12 이하, 10 이하, 또는 8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콜 성분의 탄소수는 2 내지 15, 3 내지 10, 4 내지 8, 또는 4 내지 6일 수 있다.The glycol component may be a component that forms a tetramethyl ester hard block (e.g., repeating unit (a) of chemical formula 1)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wit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glycol component may have 2 or more, 3 or more, or 4 or more carbon atoms, and may be 15 or less, 12 or less, 10 or less, or 8 or less. Specifically, the glycol component may have 2 to 15, 3 to 10, 4 to 8, or 4 to 6 carbon atoms.

예컨대, 상기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렌-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네오펜틸글리콜, 폴리-3-메틸펜탄디올 및 폴리-1,5-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lycol component may be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1,4-cyclohexanedimethanol, 2-methyl-1,3-propanediol, 2-methylene-1,3-propanediol, 2-ethyl-1,3-propanediol, 2-isopropyl-1,3-prop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2,3-butanediol, 3-methyl-1,5-pentanediol, 3-methyl-2,4-pentanediol, 1,6-hexanediol, 1,2-cyclohexanediol, 1,4-cyclohexanediol, di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ytetramethylene glycol, polyhexamethylene glycol, a copolymer of ethylene oxide and tetrahydrofuran, polycarbonate dio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neopentyl glycol, poly-3-methylpentanediol, and poly-1,5-pentanedi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glycol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and 1,4-cyclohexanedimethanol.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리콜 성분은 1,4-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4-부탄디올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글리콜 성분(제1 글리콜 성분) 총 몰%를 기준으로, 75 몰% 이상, 80 몰% 이상, 83 몰% 이상, 85 몰% 이상, 90 몰% 이상, 또는 95 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4-부탄디올의 사용량은 75 내지 100 몰%, 80 내지 100 몰%, 83 내지 100 몰%, 85 내지 100 몰%, 90 내지 100 몰%, 또는 90 내지 95 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glycol component may include 1,4-butanediol. The amount of the 1,4-butanediol used (the amount introduced during the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75 mol% or more, 80 mol% or more, 83 mol% or more, 85 mol% or more, 90 mol% or more, or 95 mol% or more, based on the total mol% of the glycol component (first glycol component). Specifically, the amount of 1,4-butanediol used may be 75 to 100 mol%, 80 to 100 mol%, 83 to 100 mol%, 85 to 100 mol%, 90 to 100 mol%, or 90 to 95 mol%.

이러한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00 g/mol 미만, 350 g/mol 미만, 300 g/mol 미만, 또는 250 g/mol 미만일 수 있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se glycol compon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less than 400 g/mol, less than 350 g/mol, less than 300 g/mol, or less than 250 g/mol.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하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에스테르 연질 블록(예컨대, 화학식 2의 반복단위(b))을 형성하는 성분일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을 포함함에 따라, 이로부터 얻어진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a component that forms a poly(alkylene oxide) ester soft block (e.g., repeating unit (b) of Chemical Formula 2)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wit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includ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Since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es th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the mechanical strength of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ing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obtained therefrom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 총 몰%를 기준으로, 50 몰% 이상, 60 몰% 이상, 75 몰% 이상, 85 몰% 이상, 95 몰% 이상, 또는 97 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의 사용량은 50 내지 100 몰%, 50 내지 99.5 몰%, 60 내지 99 몰%, 65 내지 95 몰%, 70 내지 90 몰%, 75 내지 90 몰%, 또는 75 내지 85 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can be composed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The amount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used (amount introduced during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50 mol% or more, 60 mol% or more, 75 mol% or more, 85 mol% or more, 95 mol% or more, or 97 mol% or more, based on the total mol%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Specifically, the amount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used may be 50 to 100 mol%, 50 to 99.5 mol%, 60 to 99 mol%, 65 to 95 mol%, 70 to 90 mol%, 75 to 90 mol%, or 75 to 85 mol%.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00 g/mol 이상, 500 g/mol 이상, 600 g/mol 이상, 700 g/mol 이상, 또는 800 g/mol 이상일 수 있고, 6,000 g/mol 이하, 5,000 g/mol 이하, 4,000 g/mol 이하, 또는 3,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질 블록과의 상 분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400 내지 5,000 g/mol, 800 내지 3,500 g/mol 또는 1,0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th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400 g/mol or more, 500 g/mol or more, 600 g/mol or more, 700 g/mol or more, or 800 g/mol or more, and may be 6,000 g/mol or less, 5,000 g/mol or less, 4,000 g/mol or less, or 3,000 g/mol or less. Specifically, in order to ensure good phase separation with the hard block,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th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may be 400 to 5,000 g/mol, 800 to 3,500 g/mol, or 1,000 to 3,000 g/mol.

예컨대,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의 수평균분자량은 500 내지 4,000 g/mol, 600 내지 4,000 g/mol, 800 내지 3,500 g/mol, 또는 1,0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can be 500 to 4,000 g/mol, 600 to 4,000 g/mol, 800 to 3,500 g/mol, or 1,000 to 3,000 g/mo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서로 결합되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반복단위 또는 구조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include a structure (repeating unit or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 in which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and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are bonded to each other.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상기 화학식 4에서, m, n 및 p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고, a 및 b는 중량비이다.In the chemical formula 4 above, m, n and p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a and b are weight ratios.

이러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Thes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s can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Formula 1]

0.5 ≤ a / b ≤ 3.00.5 ≤ a / b ≤ 3.0

상기 식 1에서,In the above equation 1,

a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차지하는 중량이고,a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b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차지하는 중량이다.b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구체적으로 상기 식 1에서 a / b의 비율은 0.6 내지 2.9, 0.7 내지 2.8, 0.8 내지 2.7, 0.9 내지 2.6, 또는 1.0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a / b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목적하는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tio of a / b in the above formula 1 may be 0.6 to 2.9, 0.7 to 2.8, 0.8 to 2.7, 0.9 to 2.6, or 1.0 to 2.5. When the ratio of a / b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be achieved at a desired leve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고유 점도(IV)가 1.0 ㎗/g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1 ㎗/g 이상, 1.2 ㎗/g 이상, 1.3 ㎗/g 이상, 1.4 ㎗/g 이상, 또는 1.5 ㎗/g 이상(예컨대, 1.0 내지 1.9 ㎗/g, 1.25 내지 1.88 ㎗/g, 또는 1.32 내지 1.86 ㎗/g)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1.0 ㎗/g or more, and specifically, 1.1 ㎗/g or more, 1.2 ㎗/g or more, 1.3 ㎗/g or more, 1.4 ㎗/g or more, or 1.5 ㎗/g or more (e.g., 1.0 to 1.9 ㎗/g, 1.25 to 1.88 ㎗/g, or 1.32 to 1.86 ㎗/g).

또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강도가 190 kgf/cm2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00 kgf/cm2 이상, 210 kgf/cm2 이상, 220 kgf/cm2 이상, 230 kgf/cm2 이상, 250 kgf/cm2 이상, 300 kgf/cm2 이상, 또는 350 kgf/cm2 이상(예컨대, 190 내지 345 kgf/cm2, 205 내지 340 kgf/cm2, 또는 260 내지 320 kgf/cm2)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190 kgf/cm 2 or greater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and specifically, 200 kgf/cm 2 or greater, 210 kgf/cm 2 or greater, 220 kgf/cm 2 or greater, 230 kgf/cm 2 or greater, 250 kgf/cm 2 or greater, 300 kgf/cm 2 or greater, or 350 kgf/cm 2 or greater (e.g., 190 to 345 kgf/cm 2 , 205 to 340 kgf/cm 2 , or 260 to 320 kgf/cm 2 ).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increase the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경질 블록을 구성하는 반복단위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구체적으로 C5 내지 C12의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m은 3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1은 시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고, m은 4의 정수일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cluded 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repeating unit constituting a hard block of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the chemical formula 1, R 1 is specifically a C 5 to C 12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and m may be an integer of 3 to 5. For example, R 1 may be a cyclohexylene group or a phenylene group, and m may be an integer of 4.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연질 블록을 구성하는 반복단위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3는 구체적으로 C5 내지 C12의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또한, t는 5 내지 25의 정수이고, s는 5 내지 35의 정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3은 시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고, t는 10 내지 20의 정수이고, s는 10 내지 30의 정수일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cluded 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repeating unit constituting a soft block of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the chemical formula 3, R 3 may specifically be a C 5 to C 12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In addition, t may be an integer of 5 to 25, and s may be an integer of 5 to 35. For example, R 3 may be a cyclohexylene group or a phenylene group, t may be an integer of 10 to 20, and s may be an integer of 10 to 30.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는 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1 can be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glycol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3 can be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글리콜 성분(제2 글리콜 성분) 및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 원료로 하여 얻어진 수지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resin obtained by using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 glycol component (second glycol component), and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as reaction raw materials.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예컨대, 디카르복실산, 이의 에스테르, 이의 염화물, 또는 이의 무수물)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abov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e.g., a dicarboxylic acid, an ester thereof, a chloride thereof, or an anhydride thereof) may be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4 이상, 5 이상, 6 이상, 또는 7 이상일 수 있고, 20 이하, 15 이하, 13 이하, 12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4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6 내지 10일 수 있다.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a linear, branched, or cyclic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have 4 or more, 5 or more, 6 or more, or 7 or more carbon atoms, and may have 20 or less, 15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or 10 or less. Specifically,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have 4 to 20, 5 to 15, or 6 to 10 carbon atoms.

예컨대,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아디프산, 세바식산, 숙신산, 이소데실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글루타릭산, 아젤라산,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dipic acid, sebacic acid, succinic acid, isodecylsucci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glutaric acid, azelaic acid,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and 1,3-cyclohexanedicarboxylic acid.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6 이상, 7 이상, 8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고, 25 이하, 20 이하, 또는 15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탄소수는 6 내지 25, 6 내지 15, 또는 6 내지 10일 수 있다.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6 or more, 7 or more, 8 or more, or 10 or more, and 25 or less, 20 or less, or 15 or les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6 to 25, 6 to 15, or 6 to 10.

예컨대,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티오펜디카르복실산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diphenyldicarboxylic acid, 4,4'-stilbenedicarboxylic acid, 2,5-furandicarboxylic acid, 2,5-thiophenedicarboxy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산 및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1종 이상의 성분)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총 몰%를 기준으로, 50 몰% 이상, 65 몰% 이상, 70 몰% 이상, 85 몰% 이상, 90 몰% 이상, 또는 95 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레프탈산,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량은 50 내지 100 몰%, 55 내지 100 몰%, 60 내지 100 몰%, 70 내지 100 몰%, 85 내지 100 몰%, 또는 90 내지 95 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The amount used (amount introduced during reaction) of at least on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t least 50 mol%, at least 65 mol%, at least 70 mol%, at least 85 mol%, at least 90 mol%, or at least 95 mol% based on the total mol%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pecifically, the amount of the terephthalic acid, the dimethyl terephthalat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50 to 100 mol %, 55 to 100 mol %, 60 to 100 mol %, 70 to 100 mol %, 85 to 100 mol %, or 90 to 95 mol %.

상기 글리콜 성분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하여 테트라메틸 에스테르 경질 블록(예컨대, 화학식 1의 반복단위(a))을 형성하는 성분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 성분의 탄소수는 2 이상, 3 이상, 또는 4 이상일 수 있고, 15 이하, 12 이하, 10 이하, 또는 8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콜 성분의 탄소수는 2 내지 15, 3 내지 10, 4 내지 8, 또는 4 내지 6일 수 있다.The glycol component may be a component that forms a tetramethyl ester hard block (e.g., repeating unit (a) of chemical formula 1)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wit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glycol component may have 2 or more, 3 or more, or 4 or more carbon atoms, and may be 15 or less, 12 or less, 10 or less, or 8 or less. Specifically, the glycol component may have 2 to 15, 3 to 10, 4 to 8, or 4 to 6 carbon atoms.

예컨대, 상기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메틸렌-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3-부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의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네오펜틸글리콜, 폴리-3-메틸펜탄디올 및 폴리-1,5-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lycol component may be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1,4-cyclohexanedimethanol, 2-methyl-1,3-propanediol, 2-methylene-1,3-propanediol, 2-ethyl-1,3-propanediol, 2-isopropyl-1,3-prop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2,3-butanediol, 3-methyl-1,5-pentanediol, 3-methyl-2,4-pentanediol, 1,6-hexanediol, 1,2-cyclohexanediol, 1,4-cyclohexanediol, di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ytetramethylene glycol, polyhexamethylene glycol, a copolymer of ethylene oxide and tetrahydrofuran, polycarbonate dio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neopentyl glycol, poly-3-methylpentanediol, and poly-1,5-pentanedi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glycol compon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and 1,4-cyclohexanedimethanol.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리콜 성분은 1,4-부탄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4-부탄디올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글리콜 성분(제2 글리콜 성분) 총 몰%를 기준으로, 75 몰% 이상, 80 몰% 이상, 83 몰% 이상, 85 몰% 이상, 90 몰% 이상, 또는 95 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4-부탄디올의 사용량은 75 내지 100 몰%, 80 내지 100 몰%, 83 내지 100 몰%, 85 내지 100 몰%, 90 내지 100 몰%, 또는 90 내지 95 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glycol component may include 1,4-butanediol. The amount of the 1,4-butanediol used (the amount introduced during the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75 mol% or more, 80 mol% or more, 83 mol% or more, 85 mol% or more, 90 mol% or more, or 95 mol% or more, based on the total mol% of the glycol component (second glycol component). Specifically, the amount of 1,4-butanediol used may be 75 to 100 mol%, 80 to 100 mol%, 83 to 100 mol%, 85 to 100 mol%, 90 to 100 mol%, or 90 to 95 mol%.

이러한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00 g/mol 미만, 350 g/mol 미만, 300 g/mol 미만, 또는 250 g/mol 미만일 수 있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se glycol compon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less than 400 g/mol, less than 350 g/mol, less than 300 g/mol, or less than 250 g/mol.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하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에스테르 연질 블록(예컨대, 화학식 3의 반복단위(c))을 형성하는 성분일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을 포함함에 따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a component that forms a poly(alkylene oxide) ester soft block (e.g., repeating unit (c) of chemical formula 3)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wit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include ethylene oxide addition polypropylene glycol (EO-PPG). Since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es the ethylene oxide addition polypropylene glycol (EO-PPG), the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 총 몰%를 기준으로, 50 몰% 이상, 60 몰% 이상, 75 몰% 이상, 85 몰% 이상, 95 몰% 이상, 또는 97 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의 사용량은 50 내지 100 몰%, 50 내지 99.5 몰%, 60 내지 99 몰%, 65 내지 95 몰%, 70 내지 90 몰%, 75 내지 90 몰%, 또는 75 내지 85 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can be composed of ethylene oxide 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The amount of the ethylene oxide 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used (amount added during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50 mol% or more, 60 mol% or more, 75 mol% or more, 85 mol% or more, 95 mol% or more, or 97 mol% or more, based on the total mol%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Specifically, the amount of the ethylene oxide 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used may be 50 to 100 mol%, 50 to 99.5 mol%, 60 to 99 mol%, 65 to 95 mol%, 70 to 90 mol%, 75 to 90 mol%, or 75 to 85 mol%.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400 g/mol 이상, 500 g/mol 이상, 600 g/mol 이상, 700 g/mol 이상, 또는 800 g/mol 이상일 수 있고, 6,000 g/mol 이하, 5,000 g/mol 이하, 4,000 g/mol 이하, 또는 3,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질 블록과의 상 분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400 내지 5,000 g/mol, 800 내지 3,500 g/mol, 또는 1,0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the above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400 g/mol or more, 500 g/mol or more, 600 g/mol or more, 700 g/mol or more, or 800 g/mol or more, and may be 6,000 g/mol or less, 5,000 g/mol or less, 4,000 g/mol or less, or 3,000 g/mol or less. Specifically, in order to ensure good phase separation with the hard block,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400 to 5,000 g/mol, 800 to 3,500 g/mol, or 1,000 to 3,000 g/mol.

예컨대,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4,000 g/mol, 1,500 내지 3,500 g/mol, 2,000 내지 3,500 g/mol, 또는 2,0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can be 1,000 to 4,000 g/mol, 1,500 to 3,500 g/mol, 2,000 to 3,500 g/mol, or 2,000 to 3,000 g/mo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서로 결합되어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반복단위 또는 구조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include a structure (repeating unit or structural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 in which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and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are bonded to each other.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상기 화학식 5에서, m, t 및 s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고, a 및 c는 중량비이다.In the chemical formula 5 above, m, t and 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a and c are weight ratios.

이러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Thes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s can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2:

[식 2][Formula 2]

0.5 ≤ a / c ≤ 2.50.5 ≤ a / c ≤ 2.5

상기 식 2에서,In the above equation 2,

a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차지하는 중량이고,a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c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차지하는 중량이다.c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구체적으로 상기 식 2에서 a / c의 비율은 0.6 내지 2.4, 0.7 내지 2.3, 0.8 내지 2.2, 0.9 내지 2.1,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a / c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을 목적하는 수준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tio of a / c in the above formula 2 may be 0.6 to 2.4, 0.7 to 2.3, 0.8 to 2.2, 0.9 to 2.1, or 1.0 to 2.0. When the ratio of a / c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be optimized to a desired level.

이러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물성을 고려할 때,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제2-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제2-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wo or more types of thes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s can be used. That is, when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1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2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be used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고유 점도(IV)가 1.0 ㎗/g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3 ㎗/g 이상, 1.05 ㎗/g 이상, 1.08 ㎗/g 이상, 1.1 ㎗/g 이상, 또는 1.3 ㎗/g 이상(예컨대, 1.0 내지 1.45 ㎗/g, 1.04 내지 1.38 ㎗/g, 또는 1.2 내지 1.25 ㎗/g)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1.0 ㎗/g or more, specifically, 1.03 ㎗/g or more, 1.05 ㎗/g or more, 1.08 ㎗/g or more, 1.1 ㎗/g or more, or 1.3 ㎗/g or more (e.g., 1.0 to 1.45 ㎗/g, 1.04 to 1.38 ㎗/g, or 1.2 to 1.25 ㎗/g).

또한,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강도가 100 kgf/cm2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05 kgf/cm2 이상, 115 kgf/cm2 이상, 125 kgf/cm2 이상, 140 kgf/cm2 이상, 160 kgf/cm2 이상, 170 kgf/cm2 이상, 또는 180 kgf/cm2 이상(예컨대, 100 내지 200 kgf/cm2, 110 내지 190 kgf/cm2, 또는 150 내지 180 kgf/cm2)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100 kgf/cm 2 or greater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and specifically, 105 kgf/cm 2 or greater, 115 kgf/cm 2 or greater, 125 kgf/cm 2 or greater, 140 kgf/cm 2 or greater, 160 kgf/cm 2 or greater, 170 kgf/cm 2 or greater, or 180 kgf/cm 2 or greater (e.g., 100 to 200 kgf/cm 2 , 110 to 190 kgf/cm 2 , or 150 to 180 kgf/cm 2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포함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은 40:60 내지 99:1의 중량비, 45:55 내지 99:1의 중량비, 50:50 내지 98:2의 중량비, 55:45 내지 98:2의 중량비, 60:40 내지 90:10의 중량비, 65:35 내지 90:10의 중량비, 70:30 내지 85:15의 중량비, 또는 75:25 내지 85:15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기계적 강도와 더불어,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ed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weight ratio of 40:60 to 99:1, a weight ratio of 45:55 to 99:1, a weight ratio of 50:50 to 98:2, a weight ratio of 55:45 to 98:2, a weight ratio of 60:40 to 90:10, a weight ratio of 65:35 to 90:10, a weight ratio of 70:30 to 85:15, or a weight ratio of 75:25 to 85:15.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s is within the above range,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in addition to mechanical strength can be provided.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결합된 가교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혼합된 혼합 수지이거나,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가교 수지(공중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이거나, 상기 혼합 수지와 상기 가교 수지가 혼합된 수지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include a mixture in which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re mixed, a crosslinked product in which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re combined,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cally,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mixed resin in which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re mixed, a crosslinked resin in which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re physically or chemically combined (copolymerized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or a resin in which the mixed resin and the crosslinked resin are mix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반복단위(a), 상기 반복단위(b) 및 상기 반복단위(c)를 포함하는데, 이때, 이들 반복단위 간의 함량비(중량비)가 특정 범위 내로 제어된 수지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e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reby including the repeating unit (a), the repeating unit (b) and the repeating unit (c), wherein the content ratio (weight ratio) between these repeating units is controlled within a specific rang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하기 식 3을 만족함에 따라 목적하는 고분자량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가 보다 높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3. As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3, it can have a desired high molecular weight and higher mechanical strength.

[식 3][Formula 3]

0.5 ≤ (y + z) / x ≤ 3.00.5 ≤ (y + z) / x ≤ 3.0

상기 식 3에서,In the above equation 3,

x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고,x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y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며,y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z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다.z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구체적으로 상기 식 3에서 (y + z) / x의 비율은 0.55 내지 2.95, 0.6 내지 2.90, 0.65 내지 2.88, 0.7 내지 2.85, 0.75 내지 2.75, 0.8 내지 2.65, 1 내지 2.55, 1.15 내지 2.45, 1.16 내지 2.10, 또는 1.17 내지 2.00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above formula 3, the ratio of (y + z) / x can be 0.55 to 2.95, 0.6 to 2.90, 0.65 to 2.88, 0.7 to 2.85, 0.75 to 2.75, 0.8 to 2.65, 1 to 2.55, 1.15 to 2.45, 1.16 to 2.10, or 1.17 to 2.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하기 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하기 식 4를 만족함에 따라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4. As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4, the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can be more excellent.

[식 4][Formula 4]

0.3 ≤ y / z ≤ 370.3 ≤ y / z ≤ 37

상기 식 4에서,In the above equation 4,

y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며,y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z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다.z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구체적으로 상기 식 3에서 y / z의 비율은 0.35 내지 36.5, 0.38 내지 35, 0.4 내지 32, 0.4 내지 30.5, 0.5 내지 20, 0.8 내지 15, 1 내지 10, 1.1 내지 8, 1.2 내지 5, 1.3 내지 3.5, 또는 1.5 내지 4.5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tio of y/z in the above formula 3 can be 0.35 to 36.5, 0.38 to 35, 0.4 to 32, 0.4 to 30.5, 0.5 to 20, 0.8 to 15, 1 to 10, 1.1 to 8, 1.2 to 5, 1.3 to 3.5, or 1.5 to 4.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강도, 신도 등과 더불어,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반응형 상용화제, 반응형 상용화제로부터 유도된 결합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ctive compatibilizer, a bonding structure derived from the reactive compatibilizer, or a combination thereof, in order to further enhance elasticity and compressive-elastic recovery force, as well as mechanical strength, elongation, etc.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는 2종 이상의 수지 혼합물에서 각 수지 성분들 간에 상 분리(Phase separation)를 막고 안정적이면서 장기적인 연속 상(Continuous Phase)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혼화성(Miscibility) 개선에 도움을 주는 첨가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는 2종의 수지를 혼합 시, 하나의 수지와 상용화 가능하고, 다른 수지의 관능기와는 반응하는 반응형 중합체로서, 이를 2종의 수지 혼합물(즉,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첨가하여 반응성 압출 과정을 진행할 경우, 블록(Block)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Graft) 공중합체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The above reactive compatibilizer is an additive that helps improve miscibility by preventing phase separation between each resin component in a mixture of two or more resins and enabling the formation of a stable and long-term continuous phase. Specifically, the reactive compatibilizer is a reactive polymer that is compatibilizable with one resin when two resins are mixed and reacts with a functional group of the other resin, and when this is added to a mixture of two resins (i.e.,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a reactive extrusion process is performed, it can induce the formation of a block copolymer or a graft copolymer.

이러한 반응형 상용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예컨대, 분자 내 -N=C=N-의 구조를 2 이상 갖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글리시딜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무수말레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수분과의 반응성이 너무 높아 반응성 제어 및 취급(보관)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고가이어서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에폭시 당량 및 관능기 수에 따라 반응성 정도의 차이가 커 반응성 제어가 어려울 수 있고, 상기 옥사졸린 화합물은 다른 화합물 대비 반응성이 떨어져 수지 성분들 간에 혼화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반응형 상용화제로는 상기 글리시딜기(Glycidyl group)를 갖는 화합물, 또는 상기 무수말레산(Maleic anhydride)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se reactive compatibilizers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yanate compounds, carbodiimide compounds (for example, polycarbodiimid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N=C=N- structures in the molecule), epoxy compounds, oxazoline compounds, compounds having a glycidyl group, and compounds having a maleic anhydride structure. Here, the isocyanate compound has too high a reactivity with moisture, so that reactivity control and handling (storage) may be difficult, and the carbodiimide compound is expensive, so that economic feasibility may be low. In addition, the epoxy compound has a larg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activity depending on the epoxy equivalent and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so that reactivity control may be difficult, and the oxazoline compound has low reactivity compared to other compounds,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an effect of improving miscibility between resin components. Therefore, it may be preferable to use a compound having a glycidyl group or a compound having a maleic anhydride structure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상기 글리시딜기를 갖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글리시딜기 변성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고무 공중합체에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중합체(Glycidyl methacrylate grafted polyolefin elastomers)일 수 있다. 상기 무수말레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고무 공중합체에 무수말레산이 그라프된 중합체(Maleic anhydride grafted polyolefin elastomers)일 수 있다.The compound having the glycidyl group may specifically be a glycidyl group-modified olefin rubber polymer, and preferably may be a polymer in which glycidyl (meth)acrylate is grafted onto a polyolefin rubber copolymer (Glycidyl methacrylate grafted polyolefin elastomers). The compound having the maleic anhydride structure may specifically be a polymer in which maleic anhydride is grafted onto a polyolefin rubber copolymer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olefin elastomers).

예컨대,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는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코-에틸아크릴레이트-코-무수말레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ctive compatibilizer may be poly(ethylene-co-methylacrylate-co-glycidyl methacrylate) compris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 In addition, the reactive compatibilizer may be poly(ethylene-co-ethylacrylate-co-maleic anhydride) compris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7.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화학식 7][Chemical formula 7]

상기 화학식 6에서, a는 116 내지 268의 정수이고, b는 12 내지 29의 정수이고, c는 2 내지 7의 정수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6에서,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총 중량을 기준으로, 구조 a는 65 내지 75 중량%이고, 구조 b는 20 내지 25 중량%이고, 구조 c는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In the chemical formula 6, a is an integer from 116 to 268, b is an integer from 12 to 29, and c is an integer from 2 to 7. For example, in the chemical formula 6,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poly(ethylene-co-methylacrylate-co-glycidyl methacrylate), structure a may be 65 to 75 wt%, structure b may be 20 to 25 wt%, and structure c may be 5 to 10 wt%.

또한 상기 화학식 7에서, d는 129 내지 300의 정수이고, e는 8 내지 25의 정수이고, f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7에서, 폴리(에틸렌-코-에틸아크릴레이트-코-무수말레산) 총 중량을 기준으로, 구조 d는 72 내지 84 중량%이고, 구조 e는 15 내지 25 중량%이고, 구조 f는 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hemical formula 7, d is an integer from 129 to 300, e is an integer from 8 to 25, and f is an integer from 1 to 3. For example, in the chemical formula 7,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poly(ethylene-co-ethylacrylate-co-maleic anhydride), structure d may be 72 to 84 wt%, structure e may be 15 to 25 wt%, and structure f may be 1 to 3 wt%.

이러한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시판품으로는 로타더 AX8840, 로타더 AX8900, 로타더 AX4720 등을 들 수 있다.As such reactive commercialization agent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Rotader AX8840, Rotader AX8900, and Rotader AX472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0.3 내지 9 중량%, 0.5 내지 8 중량%, 0.8 내지 7 중량%, 1 내지 5 중량%, 1.5 내지 4.5 중량%, 또는 2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내임에 따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목적하는 수준의 용융 점도를 갖게 되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성형성(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reactive compatibilizer used (amount introduced during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1 to 10 wt%, 0.3 to 9 wt%, 0.5 to 8 wt%, 0.8 to 7 wt%, 1 to 5 wt%, 1.5 to 4.5 wt%, or 2 to 4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s). When the amount of the reactive compatibilizer used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s a melt viscosity at a desired level, thereby improving the moldability (processability)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이러한 반응형 상용화제가 도입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 및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로부터 유도된 결합 구조(예컨대, 상기 화학식 6 또는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 또는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에 의해 결합을 이루고 있는 공중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일 수 있다.By introducing such a reactive compatibilizer,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a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a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and a bonding structure derived from the reactive compatibilizer (for example,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6 or the chemical formula 7). For example,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a copolymerized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in which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4 and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5 are bonded by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6 or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7.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질 블록의 형성을 위해 상기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PTMG, EO-PPG)이 각각 적용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함께,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by selectively including the reactive compatibilizer together with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to which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PTMG, EO-PPG) is respectively applied for forming a soft block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강도가 150 kgf/cm2 이상, 170 kgf/cm2 이상, 190 kgf/cm2 이상, 195 kgf/cm2 이상, 200 kgf/cm2 이상, 205 kgf/cm2 이상, 220 kgf/cm2 이상, 230 kgf/cm2 이상, 240 kgf/cm2 이상, 또는 250 kgf/cm2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장 강도는 190 내지 350 kgf/cm2, 195 내지 335 kgf/cm2, 200 내지 325 kgf/cm2, 또는 210 내지 320 kgf/cm2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ensile strength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of 150 kgf/cm 2 or more, 170 kgf/cm 2 or more, 190 kgf/cm 2 or more, 195 kgf/cm 2 or more, 200 kgf/cm 2 or more, 205 kgf/cm 2 or more, 220 kgf/cm 2 or more, 230 kgf/cm 2 or more, 240 kgf/cm 2 or more, or 250 kgf/cm 2 or more. More specifically, the tensile strength may be 190 to 350 kgf/cm 2 , 195 to 335 kgf/cm 2 , 200 to 325 kgf/cm 2 , or 210 to 320 kgf/cm 2 .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고유 점도(IV)가 0.9 내지 2.4 ㎗/g, 1.0 내지 2.4 ㎗/g, 1.05 내지 2.3 ㎗/g, 1.1 내지 2.2 ㎗/g, 1.2 내지 2 ㎗/g, 1.3 내지 1.9 ㎗/g, 1.35 내지 1.88 ㎗/g, 또는 1.4 내지 1.85 ㎗/g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IV) of 0.9 to 2.4 ㎗/g, 1.0 to 2.4 ㎗/g, 1.05 to 2.3 ㎗/g, 1.1 to 2.2 ㎗/g, 1.2 to 2 ㎗/g, 1.3 to 1.9 ㎗/g, 1.35 to 1.88 ㎗/g, or 1.4 to 1.85 ㎗/g.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쇼어 D 경도가 20 내지 60, 25 내지 55, 28 내지 53, 28 내지 50, 30 내지 48, 또는 30 내지 45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hore D hardness of 20 to 60, 25 to 55, 28 to 53, 28 to 50, 30 to 48, or 30 to 45.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영구압축줄음률(압축-탄성 회복력)이 30 내지 60 %, 33 내지 59 %, 35 내지 58 %, 37 내지 57 %, 40 내지 56 %, 42 내지 55 %, 43 내지 54 %, 또는 44 내지 54 %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mpression set (compression-elastic recovery) of 30 to 60 %, 33 to 59 %, 35 to 58 %, 37 to 57 %, 40 to 56 %, 42 to 55 %, 43 to 54 %, or 44 to 54 %.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리질리언스(탄성)가 50 내지 80 %, 51 내지 79 %, 52 내지 78 %, 54 내지 76 %, 55 내지 75 %, 56 내지 74 %, 58 내지 73 %, 또는 60 내지 70 %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silience of 50 to 80 %, 51 to 79 %, 52 to 78 %, 54 to 76 %, 55 to 75 %, 56 to 74 %, 58 to 73 %, or 60 to 70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하기 식 5 및/또는 식 6을 만족하여 기계적 강도,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5 and/or formula 6.

[식 5][Formula 5]

H / R ≤ 0.95H/R ≤ 0.95

[식 6][Formula 6]

0.6 ≤ H / CS0.6 ≤ H / CS

상기 식 5 및 식 6에서,In the above equations 5 and 6,

H는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쇼어 D 경도이고,H is the Shore D hardness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R은 ASTM D2632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리질리언스이고,R is the resilience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632,

CS는 ISO 816 Method B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영구압축줄음률이다.CS is the compression set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s measured according to ISO 816 Method B.

구체적으로 상기 H / R 비율은 0.3 내지 0.75, 0.32 내지 0.75, 0.34 내지 0.73, 0.38 내지 0.73, 0.4 내지 0.70, 0.45 내지 0.70, 또는 0.5 내지 0.68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H/R ratio can be 0.3 to 0.75, 0.32 to 0.75, 0.34 to 0.73, 0.38 to 0.73, 0.4 to 0.70, 0.45 to 0.70, or 0.5 to 0.68.

또한 상기 H / CS 비율은 0.8 내지 0.95, 0.8 내지 0.93, 0.81 내지 0.92, 0.81 내지 0.91, 0.81 내지 0.9, 0.82 내지 0.89, 또는 0.82 내지 0.88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H/CS ratio can be 0.8 to 0.95, 0.8 to 0.93, 0.81 to 0.92, 0.81 to 0.91, 0.81 to 0.9, 0.82 to 0.89, or 0.82 to 0.88.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본적인 물성(예컨대, 내열성, 내충격성, 성형성 등)이 확보되면서 기계적 강도,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섬유, 필름, 발포체(Foam 형태의 성형품), 신발 부품(예컨대, 신발 중창, 신발 겉창, 신발 깔창용 완충재) 등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the manufacture of various products because it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ve elastic recovery while securing basic physical properties (e.g., hea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moldability, etc.). Specifically,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be useful in the manufacture of fibers, films, foams (molded products in the form of foam), shoe parts (e.g., cushioning materials for shoe midsoles, shoe outsoles, and shoe insoles), etc.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각 반응 원료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후 축중합 반응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1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각각 제조한 후, 이들 수지들을 용융 혼련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은, (1-1) 제1 글리콜 성분,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 (1-2) 제2 글리콜 성분,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 및 (1-3)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subjecting each reactant raw material to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and then a polycondensation reaction to manufacture first and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s, respectively, and then melt-blending these resins. Specificall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1) a step of reacting a first glycol component, a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to obtain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1-2) a step of reacting a second glycol component, a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to obtain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1-3) a step of melt-blend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whi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follows.

단계(1-1):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제조Step (1-1): Preparation of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1-1)은 반응 원료인 제1 글리콜 성분,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기(에스테르화 반응기,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에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물을 얻고, 이를 축중합 반응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글리콜 성분은 1,4-부탄디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 각 성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한 설명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1) is a step of introducing a first glycol component, a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which are reaction raw materials, into a reactor (esterification reactor or ester exchange reactor), performing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to obtain a reactant, and subjecting the reactant to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reaction to obtain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Here, preferably, the first glycol component includes 1,4-butanediol, and the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es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se component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위해, 상기 반응기에는 상기 제1 글리콜 성분, 상기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상기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일괄 투입되거나, 상기 제1 글리콜 성분과 상기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투입하고 온도를 승온시켜 반응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의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투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투입은 180 내지 280 ℃의 온도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부산물인 물이나 메탄올을 제거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For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the first glycol component, the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reactor, or the first glycol component and the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introduc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reaches a certain level, and then the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introduced.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80 to 280° 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while removing by-products such as water or methanol.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촉매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촉매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티타늄계 촉매, 게르마늄계 촉매, 안티몬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및 주석계 촉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The cataly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monly known catalyst, and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itanium-based catalyst, a germanium-based catalyst, an antimony-based catalyst, an aluminum-based catalyst, and a tin-based catalyst can be used.

예컨대, 상기 티타늄계 촉매는 구체적으로, 테트라에틸 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 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 옥틸렌글리콜 티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티타네이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틱에스테르 티타네이트, 이소스테아릴 티타네이트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계 촉매는 구체적으로, 게르마늄 디옥사이드, 게르마늄 테트라클로라이드, 게르마늄 에틸렌글리코시드(germanium ethyleneglycoxide) 및 게르마늄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tanium-based catalyst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ethyl titanate, acetyltripropyl titanate, tetrapropyl titanate, tetrabutyl titanate, 2-ethylhexyl titanate, octylene glycol titanate, triethanolamine titanate, acetylacetonate titanate, ethylacetoacetic ester titanate, isostearyl titanate, and titanium dioxide. The germanium-based catalyst may specificall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rmanium dioxide, germanium tetrachloride, germanium ethyleneglycoxide, and germanium acetate.

이러한 촉매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반응 조건 및 촉매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촉매는 상기 반응기에 투입된 제1 글리콜 성분,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촉매에 함유된 금속 성분(예컨대, Ti, Ge, Sb, Al, Sn 등)의 중량이 0.0001 내지 0.005 중량부가 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catalyst used (the amount introduced during the reaction)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depending on the reaction conditions and the type of catalyst. For example, the catalyst can be introduced so that the weight of the metal component (e.g., Ti, Ge, Sb, Al, Sn, etc.) contained in the catalyst is 0.0001 to 0.005 weight par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glycol component, the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troduced into the reactor.

한편,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는 결정화제, 산화방지제 및 중합 반응 분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더 투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rystallizer, an antioxidant, and a polymerization reaction branching agent may be further added.

상기 결정화제로는 결정핵제, 자외선 흡수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above crystallizing agent, a crystal nucleating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polyolefin resin, or a polyamide resin can be used.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및 티오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above antioxida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indered phenol compounds, phosphite compounds, and thioether compounds can be used.

상기 중합 반응 분지제로는 3개 내지 6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올; 3개 내지 4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 또는 히드록실기 및 카르복실기를 총 3개 내지 6개로 갖는 히드록시산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롤,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톨, 1,1,4,4-테트라키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1,2,6-헥산 트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은 헤미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피로멜리트산, 1,1,2,2-에탄테트라카르복실산, 1,1,2-에탄트리카르복실산, 1,3,5-펜탄트리카르복실산 및 1,2,3,4-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합 반응 분지제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용융 지수(MI)를 목적하는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해 트리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트리메틸올 프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above polymerization reaction branching agent, a polyol having 3 to 6 hydroxyl groups; a polycarboxylic acid having 3 to 4 carboxyl groups, or an anhydride thereof; or a hydroxy acid having a total of 3 to 6 hydroxyl groups and carboxyl groups can be used. Specifically, the polyol can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ol, sorbitol, pentaerythritol, 1,1,4,4-tetrakis(hydroxymethyl)cyclohexane, trimethylol propane, and 1,2,6-hexane triol. In addition, the polycarboxylic aci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mimellitic acid, trimellitic acid, trimesspiromellitic acid, 1,1,2,2-ethanetetracarboxylic acid, 1,1,2-ethanetricarboxylic acid, 1,3,5-pentanetricarboxylic acid, and 1,2,3,4-cyclopentanetetracarboxylic acid. For example, trimellitic acid, trimellitic anhydride, trimethylol propan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a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branching agent to control the melt index (MI)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 a desired level.

이러한 중합 반응 분지제의 사용량(반응 시 투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100 g 당 0.00015 내지 0.005 당량의 농도가 적용될 수 있다.The amount of this polymerization reaction branching agent to be used (the amount added during the re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concentration of 0.00015 to 0.005 equivalents per 100 g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be applied.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통상적으로 용매의 첨가없이 수행되지만, 휘발성 성분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물 및 디올 등과 같은 불활성 용매가 첨가될 수 있다.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is usually carried out without the addition of a solvent, but an inert solvent such as water or a diol may be add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volatile components.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조건은 반응 환경 및 목적하는 반응물의 분자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적용되는 압력은 0.01 kg/㎠ 이상, 0.05 kg/㎠ 이상, 또는 0.1 kg/㎠ 이상일 수 있고, 1.5 kg/㎠ 이하, 1 kg/㎠ 이하, 0.5 kg/㎠ 이하, 또는 0.3 k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적용되는 온도는 140 ℃ 이상, 160 ℃ 이상, 180 ℃ 이상, 또는 200 ℃ 이상일 수 있고, 300 ℃ 이하, 280 ℃ 이하, 270 ℃ 이하, 250 ℃ 이하, 또는 220 ℃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 0.05 내지 1.5 kg/㎠ 및 180 내지 280 ℃의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conditions of 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action environment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desired reactant. Specificall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may be 0.01 kg/cm2 or more, 0.05 kg/cm2 or more, or 0.1 kg/cm2 or more, and may be 1.5 kg/cm2 or less, 1 kg/cm2 or less, 0.5 kg/cm2 or less, or 0.3 kg/cm2 or less.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may be 140°C or more, 160°C or more, 180°C or more, or 200°C or more, and may be 300°C or less, 280°C or less, 270°C or less, 250°C or less, or 220°C or less.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perform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For example,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0.05 to 1.5 kg/cm2 and 180 to 280°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배치(batch)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performed batchwise or continuously.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종료 시점은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산물인 물, 또는 메탄올의 이론적인 양을 고려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부산물의 유출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로 결정할 수 있다.The end point of 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theoretical amount of water or methanol, which are by-products generated from the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r when the outflow of by-products no longer occurs.

이와 같은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통해 얻어진 반응물은 축중합 반응을 거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중합 반응이 수행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 reactants obtained through such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may underg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At this tim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is performed may not be particularly limited.

구체적으로 상기 축중합 반응은 진공 분위기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중합 반응에 적용되는 압력은 0.01 내지 600 mmHg, 0.05 내지 200 mmHg, 0.1 내지 100 mmHg, 0.5 내지 50 mmHg, 또는 1 내지 10 mmHg일 수 있다. 또 상기 축중합 반응에 적용되는 온도는 150 내지 300 ℃, 200 내지 290 ℃, 220 내지 280 ℃, 또는 230 내지 260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축중합 반응은 진공 분위기 하에 0.1 내지 10 mmHg의 감압 조건 및 200 내지 260 ℃에서 1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함에 따라 부산물을 충분히 제거하면서 목적하는 분자량 및 고유 점도(IV)를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 be performed under a vacuum atmosphere. In additi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 be 0.01 to 600 mmHg, 0.05 to 200 mmHg, 0.1 to 100 mmHg, 0.5 to 50 mmHg, or 1 to 10 mmHg.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 be 150 to 300°C, 200 to 290°C, 220 to 280°C, or 230 to 260°C. For example,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n be performed under reduced pressure conditions of 0.1 to 10 mmHg and 200 to 260°C for 1 to 24 hours in a vacuum atmosphere. By performing a polycondensation reac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a desired molecular weight and intrinsic viscosity (IV) can be manufactured while sufficiently removing by-products.

이러한 과정을 거침에 따라 상술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들((a), (b))을 포함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By going through this process,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ing repeating units ((a),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s 1 and 2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in a high yield.

단계(1-2):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제조Step (1-2): Preparation of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1-2)는 반응 원료인 제2 글리콜 성분,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기(에스테르화 반응기,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에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물을 얻고, 이를 축중합 반응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글리콜 성분은 1,4-부탄디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 각 성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한 설명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2) is a step of introducing a second glycol component, a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which are reaction raw materials, into a reactor (esterification reactor or ester exchange reactor), performing an esterification reaction or an ester exchange reaction to obtain a reactant, and subjecting the reactant to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reaction to obtain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Here, preferably, the second glycol component includes 1,4-butanediol, and the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es ethylene oxide addition polypropylene glycol (EO-PPG). 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se component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위해, 상기 반응기에는 상기 제2 글리콜 성분, 상기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상기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일괄 투입되거나, 상기 제2 글리콜 성분과 상기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투입하고 온도를 승온시켜 반응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의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투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투입은 180 내지 280 ℃의 온도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부산물인 물이나 메탄올을 제거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For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the second glycol component,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reactor, or the second glycol component and the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be introduc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may be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and then the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introduced.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of the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80 to 280° 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while removing by-products such as water or methanol.

이러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를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A description of this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for produc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통해 얻어진 반응물은 축중합 반응을 거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중합 반응이 수행되는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중합 반응에 대한 설명도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를 위한 축중합 반응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reactant obtained through the above esterification reaction or ester exchange reaction may undergo a polycondensation reaction. At this tim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is performed may not be particularly limited. Specifically, the description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for produc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so it is omitted.

이러한 과정을 거침에 따라 상술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들((a), (c))을 포함하는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By going through this process,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cluding repeating units ((a),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s 1 and 3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in high yield.

단계(1-3): 용융 혼련Step (1-3): Melt mixing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1-3)은 상기 단계(1-1)에서 얻어진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단계(1-2)에서 얻어진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단계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3) is a step of melt-mix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obtained in step (1-1)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obtained in step (1-2).

상기 용융 혼련은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믹싱 롤, 밴버리 믹서, 배치식 혼련기, 성형기 등의 용융 혼련 반응기를 사용하여 가열 및/또는 가압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above melt mixing can be performed under heating and/or pressurization conditions using a melt mixing reactor such as a single-screw extruder, a twin-screw extruder, a mixing roll, a Banbury mixer, a batch mixer, or a molding machine.

상기 용융 혼련을 위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예비 혼합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 혼합 과정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V형 블렌더, 리본 블렌더, 헨셀 믹서, 록킹 믹서, 터블러 믹서, 플레너터리 믹서, 밴버리 믹서, 밀 블렌더, 믹싱 롤, 텀블러 등의 각종 혼합기에 투입하여 고상 형태로 미리 혼합시키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상 형태로 혼합시키는 시간은 혼합기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혼합 후 임의로 5곳을 샘플링 했을 때 목표하고자 하는 혼합 비율 대비 표준편차가 1% 이내, 최대 2% 이내가 되도록 혼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For the above melt mix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go through a preliminary mixing process. Specifically, the preliminary mix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putt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nto various mixers such as a V-type blender, a ribbon blender, a Henschel mixer, a rocking mixer, a tubular mixer, a planetary mixer, a Banbury mixer, a mill blender, a mixing roll, or a tumbler to pre-mix in a solid state. The mixing time in the solid stat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ixer, but the mixing tim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standard deviation is within 1% and at most 2% compared to the target mixing ratio when five locations are randomly sampled after mixing.

이러한 예비 혼합 과정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공지된 첨가제(예컨대, 정색제, 충전제, 자외선차단제, 열안정제 등)가 더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상기 예비 혼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용융 혼련 반응기에 직접 투입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의 원료 성분을 미리 예비 혼합 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반응물을 마스터배치로 하고, 상기 마스터배치에 나머지 원료 성분들을 혼합하고, 다시 용융 혼련하는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In this preliminary mixing process, commonly known additives (e.g., colorants, fillers, UV blockers, heat stabilizers, etc.) may be further added as needed. Here,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directly added to the melt mixing reactor without going through the preliminary mixing process. In addition,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some of the raw material components in advance and then melt mixing the resulting reactant to form a masterbatch, mixing the remaining raw material components into the masterbatch, and then melt mixing again.

상기 용융 혼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축 압출기, 또는 상기 이축 압출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들)를 통해 용융 혼련이 수행되는 온도(예컨대, 압출기의 배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혼화성, 압출 용이성, 압출 반응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융 혼련은 목적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용융 온도(Tm) 대비 20 내지 30 ℃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융 혼련이 수행되는 온도는 170 내지 230 ℃, 180 내지 225 ℃, 190 내지 220 ℃, 195 내지 215 ℃, 또는 200 내지 210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기(들)의 압출 속도(스크류 회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150 내지 230 rpm, 160 내지 225 rpm, 170 내지 220 rpm, 180 내지 210 rpm, 190 내지 205 rpm, 또는 195 내지 200 rpm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 용융 혼련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위 시간당 처리량이 적절하면서도 충분한 용융 혼련 및 반응 압출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건을 벗어날 경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열분해되거나, 용융 특성이 불량하여 용융 혼련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e above melt mixing can preferably be performed in the single-screw extruder or the twin-screw extruder.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 mixing is performed through the extruder(s) (e.g., the barrel temperature of the extru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miscibility, ease of extrusion, extrusion reaction efficiency, etc. Specifically, the melt mixing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which is 20 to 30 ℃ high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T m ) of the target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For exampl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 mixing is performed can be 170 to 230 ℃, 180 to 225 ℃, 190 to 220 ℃, 195 to 215 ℃, or 200 to 210 ℃. Meanwhile, the extrusion speed (screw rotation speed) of the extrud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pecifically may be 150 to 230 rpm, 160 to 225 rpm, 170 to 220 rpm, 180 to 210 rpm, 190 to 205 rpm, or 195 to 200 rpm. Since melt mixing is performed under these conditions, sufficient melt mixing and reactive extrusion can be performed while having an appropriate throughput per unit time. If the above conditions are exceeded,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may be thermally decomposed, or the melting characteristics may be poor, so that melt mixing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상기 용융 혼련 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할 때, 40:60 내지 99:1의 중량비, 45:55 내지 99:1의 중량비, 50:50 내지 98:2의 중량비, 55:45 내지 98:2의 중량비, 60:40 내지 90:10의 중량비, 65:35 내지 90:10의 중량비, 70:30 내지 85:15의 중량비, 또는 75:25 내지 85:15의 중량비일 수 있다.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during the above melt mix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nsidering the target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mixing ratio may be a weight ratio of 40:60 to 99:1, a weight ratio of 45:55 to 99:1, a weight ratio of 50:50 to 98:2, a weight ratio of 55:45 to 98:2, a weight ratio of 60:40 to 90:10, a weight ratio of 65:35 to 90:10, a weight ratio of 70:30 to 85:15, or a weight ratio of 75:25 to 85:15.

한편, 상기 단계(1-3)의 용융 혼련은 반응형 상용화제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1-3)은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함께 반응형 상용화제를 예비 혼합하고 용융 혼련하는 것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예비 혼합 없이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를 상기 융용 혼련 반응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lt mixing of the step (1-3) may b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 reactive compatibilizer. Specifically, the step (1-3) may be performed by pre-mix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with the reactive compatibilizer and melt mixing, or may be performed by introduc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reactive compatibilizer into the melt mixing reactor and melt mixing without the pre-mixing.

상기 용융 혼련이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의 존재 하에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분산성이 극대화되고 화학적 가교 결합이 이루어져, 기본적인 물성을 확보하면서 기계적 강도,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우수한 공중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Since the above melt mixing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the reactive compatibilizer, the dispersibility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s maximized and chemical cross-linking is achieved, thereby securing basic physical properties while producing a copolymer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force.

특히,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가 도입(첨가)됨으로써, 에너지 반발 탄성 효과를 갖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화학식 3의 반복단위(c))를 갖는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기계적 강도를 좌우하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화학식 2의 반복단위(b))를 갖는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마이크로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분산 및 결합이 이루어져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매우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introducing (adding) the above-mentioned reactive compatibilizer,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a repeating unit (repeating unit (c) of chemical formula 3) derived from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having an energy repulsion elastic effect and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a repeating unit (repeating unit (b) of chemical formula 2) derived from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that determines mechanical strength are dispersed and combined without causing micro-phase separation, thereby produc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ity recovery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가 도입(첨가)된 용융 혼련을 거침에 따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각각에 존재하는 히드록실기(-OH) 또는 카르복실기(-COOH)는 반응형 상용화제가 가지고 있는 글리시딜기 또는 무수말레인산 구조와 반응하여 에테르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is introduced (added) and melt-blended, the hydroxyl group (-OH) or carboxyl group (-COOH) present in each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can react with the glycidyl group or maleic anhydride structure of the reactive compatibilizer to form an ether bond or an ester bond.

이러한 반응형 상용화제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Descriptions of these reactive commercialization agent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are therefore omitted.

조성물 및 물품Compositions and 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탄성 및 압축-탄성 회복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products because it comprises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on-elastic recover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용매 및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conventionally known solvents and additives as nee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섬유, 발포체(Foam 형태의 성형품), 또는 신발 부품일 수 있다.Meanwhile, th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described above. Th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fiber, a foam (a molded article in the form of foam), or a shoe part.

상기 섬유는 일성분 섬유 및/또는 다성분 섬유(예컨대, 이성분 섬유)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로는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The fibers may be monocomponent fibers and/or multicomponent fibers (e.g., bicomponent fibers). Such fibers may be used to produce woven, knitted, or nonwoven fabrics.

상기 발포체(Foam 형태의 성형품)는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금형, 또는 오토클래이브(autoclave)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발포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0.15 내지 0.45 g/cm3일 수 있다. 이러한 발포체는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 의해 높은 탄성과 에너지 리턴 특성을 가져, 스트랩, 보고 기어, 고탄성 완충 부품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foam (a molded product in the form of foam)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physically or chemically foam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described above in a mold or an autoclave. The density of the foa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15 to 0.45 g/cm 3 . This foam has high elasticity and energy return properties due to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described above, and can be applied to straps, reporting gears, high-elasticity buffer parts, etc.

상기 신발 부품은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금형에 투입하고 성형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신발 중창, 신발 겉창, 신발 깔창용 완충재 등일 수 있다.The above shoe part is obtained by inject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described above into a mold and molding it, and can be specifically a shoe midsole, a shoe outersole, a cushioning material for a shoe insole, etc.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중합예 1][Polymerization Example 1]

단계 (1-1):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통한 반응물의 제조Step (1-1): Preparation of reactants through ester exchange reaction

물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콘덴서와 컬럼이 연결되어 있는 1.2 ㎡ 용적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기에, 글리콜 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1,4-BD) 15.8 kg;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으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 69.7 kg;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29.4 kg; 중합 반응 분지제로서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MA) 0.05 kg; 반응 촉매로서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TBT) 0.25 kg; 1차 산화방지제로서 I1098 0.15 kg 및 I1019 0.15 kg; 및 2차 산화방지제로서 I168 0.1 kg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반응기를 배기시키고 질소를 흘려주어 반응기 내의 압력을 1 kg/㎠로 역충전하여 불활성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투입 원료들을 교반하면서 승온하였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약 200 ℃에 도달하면, 3 시간 동안 200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에스테르 교환 반응 중에 컬럼과 콘덴서를 통해 부산물인 메탄올을 배출시켰고, 메탄올의 유출이 멈출 때까지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계속하였다. 이후,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종료되면, 가압 상태의 반응기 내의 질소를 외부로 배출시켜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으로 낮춘 후, 반응기 내의 반응물(결과물)을 진공 반응이 가능한 0.75 ㎡ 용적의 축중합 반응기로 이송시켰다.In a 1.2 m2 volume ester exchange reactor connected to a water-coolable condenser and a column, 15.8 kg of 1,4-butanediol (1,4-BD) as a glycol component; 69.7 kg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as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29.4 kg of dimethyl terephthalate (DMT) a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0.05 kg of trimellitic anhydride (TMA) as a polymerization reaction branching agent; 0.25 kg of tetrabutyl titanate (TBT) as a reaction catalyst; 0.15 kg of I1098 and 0.15 kg of I1019 as primary antioxidants; and 0.1 kg of I168 as a secondary antioxidant were charged. Subsequently, the reactor was evacuated and nitrogen was flowed to reverse the pressure inside the reactor to 1 kg/cm2 to create an inert atmosphere. Thereafter, the input raw materials were stirred and heat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actor reached about 200°C, the ester exchange reaction wa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200°C for 3 hours. At this time, methanol, a by-product, was discharged through the column and condenser during the ester exchange reaction, and the ester exchange reaction was continued until the outflow of methanol stopped. Thereafter, when the ester exchange reaction was completed, the nitrogen inside the pressurized reactor wa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reactor to normal pressure, and the reactant (result) inside the reactor was transferred to a 0.75 m2 polycondensation reactor capable of vacuum reaction.

단계 (1-2): 축중합 반응을 통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Step (1-2): Preparation of polyester elastomer resin through polycondensation reaction

축중합 반응기의 압력을 상압 상태에서 5 Torr(절대 압력: 5 mmHg)까지 30 분에 걸쳐 낮추고, 동시에 축중합 반응기의 온도를 245 ℃까지 1 시간에 걸쳐서 올리고, 축중합 반응기의 압력을 1 Torr(절대 압력: 1 mmHg) 이하로 유지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축중합 반응의 초기에는 교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였고, 축중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부산물인 글리콜 성분을 컬럼과 콘덴서를 통해 배출시키면서 반응물의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교반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반응물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교반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였다. 이후, 반응기 내의 반응물(용융물)의 고유점도(IV)가 1.85 dl/g이 될 때까지 축중합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반응물의 고유점도(IV)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면, 반응물을 반응기의 외부로 토출하여 스트랜드(strand)화하였다. 이어서, 냉각액으로 고화시킨 후 커팅한 펠릿 100 개의 평균 무게가 2.5 내지 4.0 g 정도가 되도록 펠릿화하는 과정을 거쳐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The pressure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or was lowered from normal pressure to 5 Torr (absolute pressure: 5 mmHg) over 30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or was raised to 245°C over 1 hour, and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or at 1 Torr (absolute pressure: 1 mmHg) or less. At this time, the stirring speed was set fast in the early stage of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and as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progressed, the glycol component, which is a by-product, was discharged through the column and condenser, and when the stirring force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reactant or the temperature of the reactant rose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 stirring speed was appropriately adjusted. Thereafter,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performed until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reactant (melt) inside the reactor became 1.85 dl/g, and when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reactant reached the desired level, the reactant was discharged outside the reactor to be stranded. Next, a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a pelletizing process in which 100 cut pellets were solidified with a cooling liquid and then cut to have an average weight of about 2.5 to 4.0 g.

[중합예 2 및 3][Polymerization examples 2 and 3]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서,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으로서 투입되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의 투입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중합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In the ester exchange reaction, a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in Polymeriz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introduced as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was appli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중합예 4 및 5][Polymerization examples 4 and 5]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서,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으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G) 대신에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EO-PPG)을 투입하고, 중합 반응 분지제로서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MA) 대신에 트리메틸올 프로판(TMP)을 투입하되, 이들의 투입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중합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In the ester exchange reaction,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EO-PPG) was used instead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 as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and trimethylol propane (TMP) was used instead of trimellitic anhydride (TMA) as a polymerization reaction branching agent, and except that the amounts of these were applied as shown in Table 1 below, a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in Polymerization Example 1.

투입 원료Input raw materials 중합예 1Polymerization example 1 중합예 2Polymerization example 2 중합예 3Polymerization example 3 중합예 4Polymerization example 4 중합예 5Polymerization Example 5 DMTDMT 29.429.4 37.637.6 59.659.6 35.835.8 53.153.1 1,4-BD1,4-BD 15.815.8 22.122.1 36.836.8 21.321.3 34.534.5 PTMGPTMG 69.769.7 60.060.0 35.535.5 -- -- PTMG MnPTMG Mn 2,0002,000 2,0002,000 1,0001,000 -- -- EO-PPGEO-PPG -- -- -- 61.761.7 41.341.3 EO-PPG MnEO-PPG Mn -- -- -- 2,4002,400 2,4002,400 TMATMA 0.050.05 0.060.06 0.110.11 -- -- TMPTMP -- -- -- 0.160.16 0.140.14 I1098I1098 0.150.15 0.150.15 0.150.15 0.150.15 0.150.15 I1019I1019 0.150.15 0.150.15 0.150.15 0.150.15 0.150.15 I168I168 0.10.1 0.10.1 0.10.1 0.10.1 0.10.1 TBTTBT 0.250.25 0.250.25 0.250.25 0.250.25 0.250.25 DMT: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1,4-BD: 1,4-부탄디올
PTMG: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EO-PPG: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TMG: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TMA: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TMP: 트리메틸올 프로판
TBT: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DMT: Dimethyl Terephthalate
1,4-BD: 1,4-butanediol
PTM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EO-PPG: Ethylene oxide added polypropylene glycol
PTM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TMA: Trimellitic anhydride
TMP: Trimethylol propane
TBT: Tetrabutyl Titanate

[실시예 1][Example 1]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1의 수지 2.1kg;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4의 수지 0.9 kg; 및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로타더 AX8900 60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70:30의 중량비)한 후, 배럴 온도 200 ℃(단, 피더부 150 ℃)로 설정된 이축 스크류 압출기(바우텍社, KZW20TW-30)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스크류 회전수를 200 rpm으로 하여 용융 혼련한 후, 펠렛화하는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2.1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1;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0.9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4; and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60 g of Rotader AX8900 were mixed in a solid stat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70:30), and then placed into a twin-screw extruder (Bautech, KZW20TW-30) set to a barrel temperature of 200°C (however, the feeder section is 150°C). Subsequently, melt kneading was performed at a screw rotation speed of 200 rpm, and then a pelletizing process was performed to obtain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실시예 2][Example 2]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2의 수지 2.4 kg;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4의 수지 0.6 kg; 및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로타더 AX8840 60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80:20의 중량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Example 1, except that 2.4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2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0.6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4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60 g of Rotader AX8840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were mixed in a solid phas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80:20).

[실시예 3][Example 3]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2의 수지 2.4 kg;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4의 수지 0.30 kg 및 중합예 5의 수지 0.30 kg; 및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로타더 AX4720 60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80:20의 중량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Example 1, except that 2.4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2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0.30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4 and 0.30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5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s; and 60 g of Rotader AX4720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were mixed in a solid phas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80:20).

[실시예 4][Example 4]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2의 수지 1.8 kg;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5의 수지 1.2 kg; 및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로타더 AX8900 60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60:40의 중량비)하는 것과, 배럴 온도를 220 ℃(단, 피더부 160 ℃)로 설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Example 1, except that 1.8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2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1.2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5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60 g of Rotader AX8900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were mixed in a solid phas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60:40) and the barrel temperature was set to 220°C (however, 160°C in the feeder section).

[실시예 5][Example 5]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2의 수지 2.925 kg;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4의 수지 0.075 kg; 및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로타더 AX8900 60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97.5:2.5의 중량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Example 1, except that 2.925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2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0.075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4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60 g of Rotader AX8900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were mixed in a solid phas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97.5:2.5).

[실시예 6][Example 6]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3의 수지 1.5 kg;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5의 수지 1.5 kg; 및 반응형 상용화제로서 로타더 AX4720 60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50:50의 중량비)하는 것과, 배럴 온도를 220 ℃(단, 피더부 160 ℃)로 설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obtain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Example 1, except that 1.5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3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1.5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5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60 g of Rotader AX4720 as the reactive compatibilizer were mixed in a solid phas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50:50) and the barrel temperature was set to 220°C (however, 160°C in the feeder section).

[실시예 7][Example 7]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3의 수지 0.6 kg;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5의 수지 2.4k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20:80의 중량비)한 후, 배럴 온도가 210 ℃(단, 피더부 150 ℃)로 설정된 이축 스크류 압출기(바우텍社, KZW20TW-30)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스크류 회전수를 200 rpm으로 하여 용융 혼련한 후, 펠렛화하는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0.6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3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2.4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5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were mixed in a solid phas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20:80), and then placed into a twin-screw extruder (Bautech, KZW20TW-30) having a barrel temperature set to 210°C (however, the feeder section is 150°C). Subsequently, melt kneading was performed at 200 rpm, and then a pelletizing process was performed to obtain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실시예 8][Example 8]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1의 수지 2.1 kg;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중합예 4의 수지 0.9 kg을 고상 혼합(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 = 70:30의 중량비)한 후, 배럴 온도가 200 ℃(단, 피더부 150 ℃)로 설정된 이축 스크류 압출기(바우텍社, KZW20TW-30)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스크류 회전수를 200 rpm으로 하여 용융 혼련한 후, 펠렛화하는 과정을 거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었다.2.1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1 as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0.9 kg of 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4 as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were mixed in a solid stat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 weight ratio of 70:30), and then placed into a twin-screw extruder (Bautech, KZW20TW-30) having a barrel temperature set to 200°C (however, the feeder section is 150°C). Subsequently, melt kneading was performed at 200 rpm, and then a pelletizing process was performed to obtain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중합예 3의 수지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단독 적용하였다.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3 was applied solely as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중합예 4의 수지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단독 적용하였다.The resin of polymerization example 4 was applied solely as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2 각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조성 및 물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The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s of each of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were evaluated as follow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2 and 3 below.

[시험예 1] 경질 블록(화학식 1)과 연질 블록(화학식 2 및 3)의 함량[Test Example 1] Contents of hard block (chemical formula 1) and soft block (chemical formula 2 and 3)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CDCl3 용매에 3 mg/mL의 농도로 용해한 후 핵자기공명장치(JEOL, 600MHz FT-NMR)를 이용하여 25 ℃에서 1H-NMR 스펙트럼을 얻었다. 상기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모든 글리콜(BD, PTMG, EO-PPG 등)에서 유래한 잔기의 총 몰 수를 기준으로 한, BD, PTMG 및 EO-PPG의 함량(중량부)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에 포함된 경질 블록과 연질 블록의 함량을 확인하였다.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dissolved in CDCl 3 solvent at a concentration of 3 mg/mL, and then 1 H-NMR spectrum was obtained at 25 ℃ using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device (JEOL, 600 MHz FT-NMR). By analyzing the spectrum, the content (parts by weight) of BD, PTMG, and EO-PPG based on the total mole number of residues derived from all glycols (BD, PTMG, EO-PPG, etc.) was calculated, and this was used to confirm the contents of hard blocks and soft blocks included in the total weight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시험예 2] 쇼어 D 경도(H)[Test Example 2] Shore D hardness (H)

ASTM D2240(듀로미터 타입 D)에 의거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펠릿을 사출 성형기(ENGEL사, Victory 80)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가로 100 ㎜, 세로 100㎜ 및 두께 2㎜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를 3장 겹친 두께 6㎜의 시험편을 적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The hardness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Durometer Type D). Specifically,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pellets were injection-molded us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NGEL, Victory 80) to produce test pieces measuring 100 mm in width, 100 mm in length, and 2 mm in thickness, and the hardness was measured by applying a test piece of 6 mm in thickness, which was made by overlapping three of these.

[시험예 3] 고유 점도(IV)[Test Example 3] Intrinsic Viscosity (IV)

150 ℃ 오르쏘클로로페놀(OCP)에 0.12 % 농도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해시켜 용액(solution)을 얻은 후, 35 ℃의 항온조에서 우벨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고유 점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점도관의 온도를 35 ℃로 유지하고, 점도관의 특정 내부 구간 사이를 용매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efflux time)과 용액(solution)이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비점도(specific viscosity)를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고유 점도를 산출하였다.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dissolved in orthochlorophenol (OCP) at a concentration of 0.12% at 150°C to obtain a solution, and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measured using a Ubbelrod-type viscometer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at 35°C.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viscosity tube was maintained at 35°C, and the time taken for the solvent to pass through a specific internal section of the viscosity tube (efflux time) and the time taken for the solution to pass through were measured to obtain the specific viscosity, which was then used to calculate the intrinsic viscosity.

[시험예 4] 용융 지수(MI)[Test Example 4] Melting Index (MI)

ASTM D1238에 의거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220 ℃ 및 2.16 kg 하중에서 4 분 동안 체류시킨 후 시간 당 토출물의 양을 3회 평균하여 용융 지수를 산출하였다.According to ASTM D1238, the melt index was calculated by averaging the amount of discharged material per hour for three times after allowing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to remain at 220°C and a 2.16 kg load for 4 minutes.

[시험예 5] 융점(Tm)[Experimental Example 5] Melting Point (Tm)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50 ℃에서 15 시간 동안 감압 건조하고 용융 급냉시킨 후에 시차주사열량계(DSC, TA Instruments)에서 10℃/분으로 승온시켜 스캔하였다. 이후, 수지 용융에 의한 흡열 피크의 최고점을 융점(Tm)으로 하였다.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at 50°C for 15 hours, rapidly melted and then scanned at a temperature of 10°C/min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A Instruments). The highest point of the endothermic peak due to resin melting was then defined as the melting point (Tm).

[시험예 6] 인장 강도[Test Example 6] Tensile strength

ASTM D638에 의거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펠릿을 사출 성형기(ENGEL사, Victory 80)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가로 120 ㎜, 세로 120 ㎜ 및 두께 2 ㎜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를 펀칭하여 ASTM 유형 I(덤벨 모양 바)의 인장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다음, 인장 시험기(Zwick Roell, Z010)의 속도를 50 mm/min로 하여 인장 시험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The tensile strength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Specifically,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pellets were injection-molded us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NGEL, Victory 80) to produce test specimens measuring 120 mm in width, 120 mm in length, and 2 mm in thickness, and these were punched to prepare tensile test specimens of ASTM Type I (dumbbell-shaped bar). Nex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tensile test specimens was measured at a speed of 50 mm/min using a tensile tester (Zwick Roell, Z010).

[시험예 7] 영구압축줄음률(Compression Set, CS)[Experimental Example 7] Compression Set (CS)

ISO 816 Method B에 의거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영구압축줄음률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펠릿을 압축 몰드(WithLab사, WL1700)로 사출 성형하여 직경(Diameter) 29 ㎜ 및 두께 12.5 ㎜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를 70 ℃에서 두께 25 % 압축비율로 22 시간 동안 가압하여 압축하였다. 이후, 압축한 힘을 제거했을 때 잔존하는 변형률를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영구압축줄음률을 산출하였다.The compression set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measured according to ISO 816 Method B. Specifically,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pellets were injection-molded with a compression mold (WithLab, WL1700) to produce test pieces having a diameter of 29 mm and a thickness of 12.5 mm, which were then compressed at 70°C with a compression ratio of 25% for 22 hours. After the compressive force was removed, the residual strain was obtained, which was then used to calculate the compression set.

[시험예 8] 리질리언스(Resilience, R)[Example 8] Resilience (R)

ASTM D2632에 의거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리질리언스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펠릿을 압축 몰드(WithLab사, WL1700)로 사출 성형하여 직경(Diameter) 29 ㎜ 및 두께 12.5 ㎜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다음, 시험편에 28 g의 추를 떨어뜨린 후 리바운드 되는 높이를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리질리언스를 산출하였다.The resilience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632. Specifically,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pellets were injection-molded with a compression mold (WithLab, WL1700) to produce test pieces having a diameter of 29 mm and a thickness of 12.5 mm. Next, a 28 g weight was dropped on the test piece, and the rebound height was obtained, which was used to calculate the resilience.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8Example 8 화학식 2의
반복단위(b) 중량부 (y)
Chemical formula 2
Repeat unit (b) Weight part (y)
52.052.0 51.251.2 48.648.6 36.536.5 59.359.3 30.430.4 12.212.2 52.052.0
화학식 3의 반복단위(c) 중량부 (z)Repeating unit (c) of chemical formula 3, weight part (z) 19.519.5 13.013.0 11.011.0 17.417.4 1.61.6 21.821.8 52.052.0 19.519.5 화학식 1의 반복단위(a) 중량부 (x)Repeating unit (a) of chemical formula 1 (weight part) (x) 28.428.4 35.735.7 40.340.3 46.046.0 39.139.1 47.747.7 35.635.6 28.428.4 y/z
(연질 블록의 중량비)
y/z
(Weight ratio of soft block)
2.672.67 3.943.94 4.414.41 2.102.10 36.4636.46 1.401.40 0.230.23 2.672.67
(y+z) / x
(연질 블록/경질 블록의 중량비)
(y+z) / x
(Weight ratio of soft block/hard block)
2.522.52 1.801.80 1.481.48 1.171.17 1.561.56 1.091.09 1.801.80 2.522.52
H (shore D)H (shore D) 3030 3535 4040 4444 4141 4949 5050 3030 IV (㎗/g)IV (㎗/g) 1.581.58 1.511.51 1.701.70 1.411.41 1.571.57 1.141.14 0.970.97 1.351.35 MI
(g/10min, 220℃)
MI
(g/10min, 220℃)
2626 2121 2121 2020 2121 2020 3838 3535
Tm (℃)Tm (℃) 197197 195195 198198 216216 193193 213213 208208 213213 인장 강도
(kgf/cm2)
tensile strength
(kgf/cm 2 )
212212 217217 241241 289289 242242 303303 155155 174174
영구압축줄음율
(CS, %)
Permanent compression set ratio
(CS, %)
3737 4343 4949 5454 5050 5858 5454 4343
리질리언스
(R, %)
Resilience
(R, %)
7171 6363 6363 6868 5555 6565 5353 5151
H/CSH/CS 0.82 0.82 0.81 0.81 0.82 0.82 0.81 0.81 0.82 0.82 0.84 0.84 0.93 0.93 0.700.70 H/RH/R 0.42 0.42 0.56 0.56 0.63 0.63 0.65 0.65 0.75 0.75 0.75 0.75 0.95 0.95 0.590.59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화학식 2의 반복단위(b) 중량부 (y)Repeating unit (b) of chemical formula 2, weight part (y) 40.140.1 -- 화학식 3의 반복단위(c) 중량부 (z)Repeating unit (c) of chemical formula 3, weight part (z) -- 65.065.0 화학식 1의 반복단위(a) 중량부 (x)Repeating unit (a) of chemical formula 1 (weight part) (x) 59.959.9 34.634.6 y/z (연질 블록의 중량비)y/z (weight ratio of soft block) -- -- (y+z) / x (연질 블록/경질 블록의 중량비)(y+z) / x (weight ratio of soft block/hard block) 0.670.67 1.881.88 H (shore D)H (shore D) 5555 2828 IV (㎗/g)IV (㎗/g) 1.331.33 1.381.38 MI (g/10min, 220℃)MI (g/10min, 220℃) 1212 2424 Tm (℃)Tm (℃) 202202 194194 인장 강도 (kgf/cm2) Tensile strength (kgf/cm 2 ) 340340 120120 영구압축줄음율 (CS, %)Compression loss ratio (CS, %) 6060 5353 리질리언스 (R, %)Resilience (R, %) 5252 5555 H/CSH/CS 0.920.92 0.53 0.53 H/RH/R 1.061.06 0.51 0.51

상기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8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PTMG 및 EO-PPG 유도 반복단위(화학식 2 및 화학식 3)를 포함하는 연질 블록과, 경질 블록(화학식 1)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 탄성(리질리언스) 및 장시간 변형 후 탄성 회복력인 영구압축줄음률(Compression set)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반응형 상용화제가 도입된 실시예 1 내지 6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분자량이 높아 목적하는 고유 점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s 2 and 3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s of Examples 1 to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elasticity, and compression set, which is elastic recovery after long-term deformation, because they include soft blocks containing PTMG and EO-PPG derived repeating units (chemical formulae 2 and 3) and hard blocks (chemical formulae 1).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s of Examples 1 to 6 into which a reactive compatibilizer is introduced ha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a high molecular weight, thereby exhibiting the desired intrinsic viscosity.

반면, PTMG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1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나, 탄성 및 탄성 회복력이 떨어지고, EO-PPG 단독으로 사용된 비교예 2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PTMG alone was used, has good mechanical strength, but poor elasticity and elastic recovery force, and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of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EO-PPG alone was used, has significantly poor mechanical strength.

Claims (2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를 포함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를 포함하는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m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4 내지 6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30의 정수이고,
t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40의 정수이다.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nd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Chemical Formula 1]

[Chemical formula 2]

[Chemical Formula 3]

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R 1 to R 3 are each independently a C 1 to C 12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m is an integer from 2 to 6,
n is an integer from 4 to 6,
p is an integer between 10 and 30,
t is an integer from 1 to 30,
s is an integer from 1 to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반응형 상용화제, 반응형 상용화제로부터 유도된 결합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further comprises a reactive compatibilizer, a bonding structure derived from the reactive compatibilizer,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가 글리시딜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무수말레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the second paragraph,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reactive compatibilizer is a compound having a glycidyl group or a compound having a maleic anhydride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가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코-에틸아크릴레이트-코-무수말레산)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the second paragraph,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reactive compatibilizer is poly(ethylene-co-methylacrylate-co-glycidyl methacrylate) or poly(ethylene-co-ethylacrylate-co-maleic anhydr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상용화제의 사용량이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the second paragraph,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amount of the reactive compatibilizer used is 0.1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혼합 비율이 40:60 내지 99:1의 중량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mixing ratio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s a weight ratio of 40:60 to 99: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결합된 가교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ing a mixture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 crosslinked product of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식 1]
0.5 ≤ a / b ≤ 3.0
상기 식 1에서,
a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차지하는 중량이고,
b는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차지하는 중량이다.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Formula 1]
0.5 ≤ a / b ≤ 3.0
In the above equation 1,
a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b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식 2]
0.5 ≤ a / c ≤ 2.5
상기 식 2에서,
a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차지하는 중량이고,
c는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차지하는 중량이다.
In paragraph 1,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is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2:
[Formula 2]
0.5 ≤ a / c ≤ 2.5
In the above equation 2,
a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c is the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식 3]
0.5 ≤ (y + z) / x ≤ 3.0
상기 식 3에서,
x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고,
y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며,
z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다.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3:
[Formula 3]
0.5 ≤ (y + z) / x ≤ 3.0
In the above equation 3,
x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1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y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z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식 4]
0.3 ≤ y / z ≤ 37
상기 식 4에서,
y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며,
z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차지하는 총 중량이다.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4:
[Formula 4]
0.3 ≤ y / z ≤ 37
In the above equation 4,
y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2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z is the total weight occupied by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chemical formula 3 in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 강도가 190 kgf/cm2 이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190 kgf/cm 2 or greater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5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식 5]
H / R ≤ 0.75
상기 식 5에서,
H는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쇼어 D 경도이고,
R은 ASTM D2632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리질리언스이다.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5:
[Formula 5]
H/R ≤ 0.75
In the above equation 5,
H is the Shore D hardness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R is the resilience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63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6을 만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식 6]
0.8 ≤ H / CS
상기 식 6에서,
H는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쇼어 D 경도이고,
CS는 ISO 816 Method B에 의거하여 측정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영구압축줄음률이다.
In paragraph 1,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6:
[Formula 6]
0.8 ≤ H / CS
In the above equation 6,
H is the Shore D hardness of the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CS is the compression set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s measured according to ISO 816 Method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가 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 및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가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며,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가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paragraph 1,
The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1 i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glycol component including 1,4-butanediol; and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2 i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 3 i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ethylene oxide addition polypropylene glyco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 및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Article 15,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and dimethyl terephthalat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과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이 각각 400 내지 5,000 g/mol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In Article 15,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the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and the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including the ethylene oxide-added polypropylene glycol are each 400 to 5,000 g/mol.
(1-1) 제1 글리콜 성분, 제1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
(1-2) 제2 글리콜 성분, 제2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을 반응시켜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얻는 단계; 및
(1-3)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와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a)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C6 내지 C12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m은 2 내지 6의 정수이고,
n은 4 내지 6의 정수이고,
p는 10 내지 30의 정수이고,
t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s는 1 내지 40의 정수이다.
(1-1) A step of reacting a first glycol component, a first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to obtain a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1-2) a step of reacting a second glycol component, a secon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to obtain a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1-3) A step of melt mixing th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The above first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es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b)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second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rises a repeating unit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a repeating unit (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Chemical Formula 1]

[Chemical formula 2]

[Chemical Formula 3]

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R 1 to R 3 are each independently a C 1 to C 12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or a C 6 to C 12 divalent aromatic hydrocarbon group,
m is an integer from 2 to 6,
n is an integer from 4 to 6,
p is an integer between 10 and 30,
t is an integer from 1 to 30,
s is an integer from 1 to 4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1-3)의 용융 혼련이 반응형 상용화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
In Article 18,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melt mixing of the above step (1-3)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 reactive compatibiliz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리콜 성분과 상기 제2 글리콜 성분 각각이 1,4-부탄디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분자량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
In Article 18,
Each of the first glycol component and the second glycol component contains 1,4-butanediol,
The above first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comprises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wherein the second high molecular weight glycol component comprises ethylene oxide addition polypropylene glycol.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물품.An article comprising a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섬유, 발포체, 또는 신발 부품인, 물품.
In paragraph 22,
An article wherein the above article is a fiber, foam, or shoe part.
KR1020230106478A 2023-08-14 2023-08-14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ending KR20250025248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478A KR20250025248A (en) 2023-08-14 2023-08-14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24/012054 WO2025037901A1 (en) 2023-08-14 2024-08-13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TW113130369A TW202513657A (en) 2023-08-14 2024-08-13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478A KR20250025248A (en) 2023-08-14 2023-08-14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5248A true KR20250025248A (en) 2025-02-21

Family

ID=9463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478A Pending KR20250025248A (en) 2023-08-14 2023-08-14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50025248A (en)
TW (1) TW202513657A (en)
WO (1) WO202503790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090A (en)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paration method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2457B1 (en) * 2001-10-31 2003-05-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er ester elastomer comprising polytrimethylene ether ester soft segment and tetramethylene ester hard segment
JP5424171B2 (en) * 2009-12-22 2014-02-26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composition for substrate storage container gasket and gasket molded body for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20150035013A (en) * 2013-09-27 2015-04-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Thermoplastic Polyetherester Elastomer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290294B1 (en) * 2017-04-20 2021-08-13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olymer resin composition
KR20230060447A (en)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molding products comprising th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090A (en)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paration method of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37901A1 (en) 2025-02-20
TW202513657A (en) 202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917B2 (en) Production and use of new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based on polyether carbonate polyols
CN102060969B (en) High melt strength polyster elasto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5952450A (en) Crosslinked polycarbonate an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2781552B1 (en) Polylactic acid resin and copolymer polyester resin blend,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US6579952B1 (en) Polyesterurethane elastomer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EP0095189B1 (en) Improved polyester block copolymer composition
JP3783426B2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carbonate compound
EP3553111B1 (en) Thermoplastic polyether ester elastomer comprising anhydrosugar alcohol derivativ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0396245A2 (en) Thermoplastic polyblends of aromatic polycarbonates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EP0893463A1 (en) Polyester elastomer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mpositions of the same
KR101801702B1 (en) Blend of polylactic acid resin and copolyester resin having superior impac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nd articles using the same
KR102289472B1 (en) Thermoplastic polyester ester elastomer comprising anhydrosugar alcohol derivative and polyester polyo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0684270A2 (en) Aliphatic polyester 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01782B1 (en) Fiber reinforced tpu composites
KR101801705B1 (en) Blend of polylactic acid resin and copolyester resin having superior impac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nd articles using the same
JPH05302022A (en) Polyester-polyester block copolymer composition
KR20250025248A (en)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50025249A (en)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171911A (en)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171910A (en)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97963B1 (en) Copolyester resin and articles using the same
Aleksandrovic et al. Poly (ether–ester) s modified with different amounts of fumaric moieties
EP1314749A2 (en) Polyester elastomer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mpositions of the same
JP2004155871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 resin and polyester resin
JP5050610B2 (en) Molded product of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