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5227A -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5227A
KR20250025227A KR1020230106423A KR20230106423A KR20250025227A KR 20250025227 A KR20250025227 A KR 20250025227A KR 1020230106423 A KR1020230106423 A KR 1020230106423A KR 20230106423 A KR20230106423 A KR 20230106423A KR 20250025227 A KR20250025227 A KR 2025002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opening
scrap
closing doo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훈
Original Assignee
(주)가람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람스틸 filed Critical (주)가람스틸
Priority to KR102023010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5227A/ko
Publication of KR2025002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522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3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 B30B1/34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involving a plurality of plungers acting on the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4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wherein pressing is eff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simultaneously or in tu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압축공간에 수용된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압축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가압축과 제1가압축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1가압판을 포함하는 제1가압부; 및 본체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압축공간에 수용된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압축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가압축과 제2가압축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2가압판을 포함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저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METAL SCRAP COMPACTOR}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된 금속이 압축공간 밖으로 배출될 때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도어를 압축공간의 바닥 저면부에 구성한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는 산업, 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발생하는 금속 스크랩의 크기를 줄이고 처리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스크랩 관리 및 재활용 프로세스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자원 활용과 환경 보호에 기여한다. 스크랩을 압축하여 부피를 줄이면 저장 및 운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운반 비용의 절감으로 화물의 이동이 용이해지며, 압축된 금속 스크랩은 재활용 과정에서 처리가 적합하여 재생 자원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금속 스크랩은 적은 운반 횟수로 인해 대기 중 배출되는 온실가스 및 대기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며, 자원 이용을 최적화하여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다만, 금속 스크랩 압축 장치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비용절감 및 압축이 어려운 재질에 대하여 전처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재활용 효율이 저하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는 효과적인 자원 관리와 환경 보호를 위해 중요한 기술이지만,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압축절차의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786호는 종래 고철 압축 장치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7은 위 등록실용신안의 도1에 개시된 고철 압축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철 압축 장치는 상방이 개방부를 이루고 하방은 바닥을 이루되 투입챔버(114)를 형성하는 소정 형상의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본체(100)로서, 그 양측면은 측면벽체(131),(133)을 이루고, 후면측(후면벽체 부분의 부호는 생략함)에서 회동하면서 이 본체(100)의 상부를 덮는 개폐도어(11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벽체(130)와, 이 개폐도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클램핑부(120)와, 상기 개폐도어(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부(112)와, 상기 투입챔버(114)의 내측에서 투입된 스크랩을 1차 가압하도록 설치된 압착대(111)와, 이 압착대(111)로서 가압된 스크랩을 다시 소정형상의 최종 압착스크랩을 형성하도록 상기 양측 측면벽체(131)(133)의 선단과 전면벽체(130)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압챔버(도시생략)를 형성하고, 이 가압챔버의 측면벽체(131)에서 설치된 제1유압실린더(152)로서 압착스크랩을 배출구(115)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서 된다.
이러한 종래의 압축 장치는 배출구(115)가 측면벽체(133)에 형성되어 있어 2차 가압하는 유압실린더(152)의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한 지지력을 제공해야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배출구(115)의 개폐 동작이 원할하지 않거나 종종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착스크랩을 배출구(115)가 있는 측면벽체(133) 바깥으로 밀어내기 위해서는 유압실린더(152)에 의한 왕복동작이 그만큼 길어야 하고 이로 인해 유압실린더의 용량이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장치 전체 설치면적의 증대 요인이 되어 수미터 이상의 공간 확보가 요구되는 문제를 가져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786호(등록일 2015. 11. 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여 압축 처리 공정에서 압축처리된 금속 스크랩의 배출에 소요되는 이동 거리와 시간을 감소시켜 압축 싸이클을 효율화 할 수 있는 압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도어를 압축공간의 저면부에 구성하여 압축된 금속이 자중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축 금속 배출을 위한 유압실린더의 추가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 압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가압부의 유압실린더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장비 전체적인 소형화가 가능하고 설치 공간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압축공간에 수용된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압축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가압축과 제1가압축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1가압판을 포함하는 제1가압부; 및 본체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압축공간에 수용된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압축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가압축과 제2가압축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2가압판을 포함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저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도어를 개폐를 전자 및 기계적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간은, 제1가압부의 제1가압판이 왕복되는 제1압축공간; 및
제2가압부의 제2가압판이 왕복되고, 압축완료된 스크랩이 낙하 전에 위치되며, 개폐도어 상에 형성되는 비가압공간을 포함하는 제2압축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크랩의 압축이 완료된 이후 제1가압부가 가압하는 제1압축방향 또는 제2가압부가 가압하는 제2압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폐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가압부의 가압 및 제2가압부의 가압이 순차적으로 실시되고, 제2가압부가 압축공간 측으로 최대 스트로크만큼 이동하여 스크랩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개폐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의 개방은 저면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가압축 및 제2가압축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가 감지한 스트로크를 통해 압축상태를 판단하여 개폐도어의 개방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부; 신호부가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기계적 연동 또는 전기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져 개폐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개폐도어의 개방시 압축공간 내에서 개폐도어의 상방에 스크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감지부에 의해 스크랩이 미감지되면 제1가압축 및 제2가압축의 스트로크가 원점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의 하방에는 낙하되는 스크랩이 안착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처리 공정에서 압축처리된 금속 스크랩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압축 싸이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장치는 압축된 스크랩 배출을 위한 이동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치를 그만큼 짧게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비가 차지하는 바닥면적(footprint)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의 사시도로서, 본체에 형성된 압축공간을 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간 중 제1압축공간에 대하여 압축이 실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간 중 제1압축공간에 이어 제2압축공간에 대하여 압축이 실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간 및 개폐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개폐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의 실시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의 사시도로서, 본체(100)에 형성된 압축공간(PS)을 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축장치는 본체(100) 및 본체(100)에 수용되는 스크랩을 압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압축공간(PS)이 내부에 마련되어 비압축된 금속 스크랩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가압부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압축공간(PS) 내에서 스크랩을 압축하여 스크랩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압축을 실시하는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는 본체(100)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압축공간(PS) 중 제1압축공간(PS1)에 대하여 스크랩을 압축시킬 수 있으며, 압축공간(PS)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가압축(210)과 제1가압축(210)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1가압판(2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압부는 본체(100)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압축공간(PS) 중 제2압축공간(PS2)에 대하여 수용된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압축공간(PS)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가압축(220)과 제2가압축(220)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2가압판(22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는 가압부에 의해 압축이 완료된 스크랩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100) 외부로 스크랩이 배출되는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구는 개폐도어(111)의 개폐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본체(100)의 저면에 마련되며, 개구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도어(111)도 저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개폐도어(111)는 실린더에 의한 슬라이드 또는 모터에 의한 힌지 회동에 의해 개방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개폐도어(111)는 본체(100) 저면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는 여하한 수단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개폐도어(111)를 설명할 일 실시예는 슬라이드를 통해 개폐되는 타입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도어(111)는 제어부(300)에 의해 개폐여부가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소정의 조건의 만족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가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도어(111)의 개폐는 전자 및 기계적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기계적 수단에 의한 경우 제1가압축(210) 또는 제2가압축(220)의 스트로크 등의 변위를 감지하여 도어와 연동되어 개폐도어(111)가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개방 또는 폐쇄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은 제1가압축(210) 또는 제2가압축(220)의 전진 및 후퇴의 동작과 함께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종래의 압축장치의 특성상 압축을 위해 원점으로부터 스트로크가 발생하고, 원점으로 복귀하기 위해 발생한 스트로크만큼 복귀하는 행정을 할 수 있는데, 추가적으로 압축된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가압방향 등으로 제거 목적의 행정을 추가 실시해야하나, 본 발명의 압축장치는 자중을 통해 낙하되도록 설계되어 제1가압축(210) 및 제2가압축(220)이 압축된 스크랩의 제거를 위해 별도의 행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압축공간(PS) 내부로부터 낙하되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압축장치와 달리 제1가압축(210) 또는 제2가압축(220)은 압축된 금속 스크랩 배출을 위해 추가적인 압축 이동이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압축행정은 압축단면적이 넓은 제1가압부의 가압 및 상대적으로 압축단면적이 낮은 적어도 제2가압부의 압축력이 제1가압부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도어(111)는 제2가압부가 압축공간(PS) 측으로 최대 스트로크만큼 이동하여 스크랩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개폐도어(111)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스크랩이 압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측방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개폐도어(111)가 개방되는데 있어 저항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가압부 및 제2가압부가 일정 유격 후퇴한 상태에서 개폐도어(111)가 개방됨으로써 스크랩에 수평방향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개폐도가(111)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행정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도 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압축행정의 완료 후 개폐도어(111)의 개방을 통해 압축된 스크랩은 자중에 의해 낙하될 수 있다. 낙하된 스크랩은 이후 처리되는 공정이 실시될 수 있도록 이동을 위해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개폐도어(111)의 하방에 마련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간(PS) 중 제1압축공간(PS1)에 대하여 압축이 실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압축행정 중 제1가압축(210)의 스트로크 발생을 통한 압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가압축(210)은 압축공간(PS)에 스크랩이 수용되면, 제1가압축(210)의 스트로크 발생에 의해 스크랩이 압축될 수 있다. 제1가압축(210)의 압축방향의 단부에는 제1가압판(211)이 마련되어 스크랩과 접촉하여 스크랩을 가압시킬 수 있다. 가압판이 압축방향으로 전진하고 후퇴하는 왕복구간은 제1가압구간(PD1)이 될 수 있으며, 제1가압구간(PD1)이 형성하는 체적은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간(PS) 중 제1압축공간(PS1)일 수 있다. 제1가압판(211)은 제2가압판(221)에 근접하는 지점까지 전진할 수 있다.
이어서, 압축공간(PS) 중 제1압축공간(PS1)에 이어 제2압축공간(PS2)에 대하여 압축이 실시된 것을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압축행정 중 제1가압축(210)에 의해 압축된 스크랩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제2가압축(220)의 스트로크 발생을 통한 압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가압부의 압축이 완료되면, 제2가압부의 압축이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제1가압부는 압축을 완료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2가압부는 제2가압축(220)의 전진을 통해 제2가압판(221)이 스크랩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판(221)의 압축은 제2가압구간(PD2)을 대상을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가압구간(PD2)은 제2가압판(221)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폐도어(111)가 마련된 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으며, 이는 제2가압구간(PD2)만큼 전진하며 압축을 실시하는 것과 같다. 제2압축공간(PS2)에서 제2가압구간(PD2)만큼 전진하며 압축을 실시하면, 스크랩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압축된 위치는 개폐도어(111) 상에 형성되는 비가압공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압축된 금속 스크랩은 600 ㎜ X 600 ㎜ 단면적의 정육면체 형상을 갖거나, 300 ㎜ X 600 ㎜ 단면적의 직육면체 형상, 300 ㎜ X 1,000 ㎜ 단면적의 직육면체 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폐도어(111)는 다양한 규격으로 압축된 금속 스크랩이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간(PS)은 제1압축공간(PS1) 및 제2압축공간(PS2)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압축공간(PS2)은 비가압구간(NPS)과 제2가압구간(PD2)의 궤적이 형성하는 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가압구간(NPS)은 개폐도어(111) 상방에 형성되며, 이를 통해 압축과정을 완료하면 비가압구간(NPS)에 압축완료된 스크랩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방으로 자중을 통해 압축스크랩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는 압축공간(PS) 및 개폐도어(111)의 위치를 개시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111)는 압축된 스크랩이 낙하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는데 개방방향은 전후방향(D1방향) 또는 좌우방향(D2방향)일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압축장치에 있어서 압축된 금속 스크랩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도어는 측면벽체에 구성되었던 것과 대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폐도어(111)가 저면부(110)의 일부 면적, 즉 비가압공간의 하부를 개폐하는 점에서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종래 압축장치는 금속 스크랩을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압축이 진행되었고, 개폐도어가 측면벽체에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져야 했다.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폐도어(111)가 압축공간의 바닥인 저면부(110)에 구성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직접 지지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 압축장치에 대비하여 개폐도어(111)가 지지해야 하는 하중 부담이 감소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감소되는 장점을 갖는다.
개폐도어(1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결합에 의한 회동 동작으로 개방되는 실시예도 있을 수 있으나. 본 예시에는 슬라이드를 통해 개방되는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는, 스크랩의 압축이 완료된 이후 제1가압부가 가압하는 제1압축방향(P1) 또는 제2가압부가 가압하는 제2압축방향(P2)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도어(1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이며, 도 5(본체(100)를 저면측에서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를 통해 개시한 바와 같이 기계적인 연동구조를 통해 개방되는 경우에 제1개폐방향(D1)으로 개폐되는 경우 제1압축방향(P1)과 평행하게 왕복되는 제1가압축(210)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제2개폐방향(D2)으로 개폐되는 경우에 제2압축방향(P2)과 평행하게 왕복되는 제2가압축(220)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기계적인 연동구조가 아닌 전자적인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개폐도어(111)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드시키는 모터 또는 실린더가 별도로 마련되고, 신호를 발신 및 수신하는 발신수단과 수신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의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111)의 개방 및 폐쇄 중 하나 이상의 실시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축장치는 압축장치의 압축사이클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압축사이클을 감지하고 압축시간, 압축스트로크, 개폐도어(111)의 개방 및 폐쇄시점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구성으로서, 센서부(310), 신호부(320), 구동부(340) 및 감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10)는 제1가압축(210) 및 제2가압축(220)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감지하고, 신호부(320)는 센서부(310)가 감지한 스트로크를 통해 압축상태를 판단하여 개폐도어(111)의 개방신호를 전달하며, 구동부(340)는 신호부(320)가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기계적 연동 또는 전기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져 개폐도어(111)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개폐도어(111)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폐쇄되는 메커니즘은 감지부(33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감지부(330)를 통해 개폐도어(111)의 개방시 압축공간(PS) 내에서 개폐도어(111)의 상방에 스크랩을 감지하고, 감지부(330)에 의해 스크랩이 미감지되면 제1가압축(210) 및 제2가압축(220)의 스트로크가 원점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압축이 다시 실시되어 개방된 개구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점검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40)는 전자제어를 통한 구동일 수 있고, 기계적인 장치와 장치간의 연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압축(210) 및 제2가압축(220)과 연동되어 압축 후 스트로크만큼 복귀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111)의 개방 또는 폐쇄가 연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30)의 경우 구동부(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본체(100)의 내표면에 매립되어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개폐도어(111)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비가압구간(NPS)에 대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종래 압축 장치에 있어서 금속 스크랩 압축하는데 소요되는 1행정 시간은 통상 2분30초 내지 3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장치는 압축 스크랩 배출에 따른 제2가압부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1행정 당 소요 시간을 10 ~ 20초 이상 절감할 수 있어 10% 이상의 시간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가압부는 압축 스크랩 이동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그만큼 짧게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비가 차지하는 바닥면적(footprint)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저면부
111 : 개폐도어 111a : 가이드레일
210 : 제1가압축 211 : 제1가압판
220 : 제2가압축 221 : 제2가압판
300 : 제어부 310 : 센서부
320 : 신호부 330 : 감지부
340 : 구동부 PS : 압축공간
PS1 : 제1압축공간 PS2 : 제2압축공간
PD1 : 제1가압구간 PD2 : 제2가압구간
NPS : 비가압구간 P1 : 제1압축방향
P2 : 제2압축방향 D1 : 제1개폐방향
D2 : 제2개폐방향

Claims (9)

  1.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간에 수용된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상기 압축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가압축과 상기 제1가압축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1가압판을 포함하는 제1가압부; 및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해 전진 및 후퇴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간에 수용된 상기 스크랩을 압축시키고, 상기 압축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가압축과 상기 제2가압축의 인입측 단부와 결합된 제2가압판을 포함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어 저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를 개폐를 전자 및 기계적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간은,
    상기 제1가압부의 제1가압판이 왕복되는 제1압축공간; 및
    상기 제2가압부의 제2가압판이 왕복되고, 압축완료된 상기 스크랩이 낙하 전에 위치되며, 상기 개폐도어 상에 형성되는 비가압공간을 포함하는 제2압축공간;을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랩의 압축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1가압부가 가압하는 제1압축방향 또는 상기 제2가압부가 가압하는 제2압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가압부의 가압 및 상기 제2가압부의 가압이 순차적으로 실시되고, 상기 제2가압부가 상기 압축공간 측으로 최대 스트로크만큼 이동하여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은 상기 저면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개방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7.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가압축 및 상기 제2가압축 중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스트로크를 통해 상기 압축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부; 및
    상기 신호부가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기계적 연동 또는 전기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져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압축공간 내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상방에 상기 스크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스크랩이 미감지되면 상기 제1가압축 및 상기 제2가압축의 상기 스트로크가 원점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하방에는 낙하되는 상기 스크랩이 안착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KR1020230106423A 2023-08-14 2023-08-14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Pending KR20250025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423A KR20250025227A (ko) 2023-08-14 2023-08-14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423A KR20250025227A (ko) 2023-08-14 2023-08-14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5227A true KR20250025227A (ko) 2025-02-21

Family

ID=9482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423A Pending KR20250025227A (ko) 2023-08-14 2023-08-14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252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86Y1 (ko) 2015-04-07 2015-11-17 (주)아이셈자원 고철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786Y1 (ko) 2015-04-07 2015-11-17 (주)아이셈자원 고철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0332B (zh) 双向垃圾压缩机
US201602364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organic material out of waste
KR102016280B1 (ko)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CN105564874A (zh) 垃圾车压缩装置
JPH04251697A (ja) 廃棄物特に圧縮可能なごみ用の圧縮装置
US3942430A (en) Trash compactor
KR20250025227A (ko) 금속 스크랩 압축장치
CN103213796A (zh) 一种地埋垂压式垃圾压缩装置
CN105437596B (zh) 单缸压制的切削废料分类压块机及其液压控制系统
KR102497252B1 (ko) 고철 압축장치
EP0013587B1 (en) Apparatus for compacting waste
US3538844A (en) Waste compressor including ejector chute
CN107934290A (zh) 一种垃圾压缩机
CN209506742U (zh) 具有隔离门的垃圾压缩主机及垃圾压缩站
CN217649002U (zh) 一种金属打包机
KR102038109B1 (ko) 고철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259320B2 (ja) 塵芥収集車
KR101401672B1 (ko) 3차원 다기능 고철압축기
CN101875428A (zh) 一种无立柱垂直式垃圾压缩机
CN209352016U (zh) 移动式压缩转运设备
KR200351208Y1 (ko) 압축진개차량
JP2005194038A (ja) 塵芥収集車
KR200238508Y1 (ko) 압축식 감용 장치
JP2006206302A (ja) 塵芥収集車の排出板後退制御装置
IT201800011144A1 (it) Apparecchiatura per lo stivamento costipato e lo scarico di rifiuti in e da un cassone trasporta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