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25118A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plurality of markers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plurality of mark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25118A KR20250025118A KR1020230106163A KR20230106163A KR20250025118A KR 20250025118 A KR20250025118 A KR 20250025118A KR 1020230106163 A KR1020230106163 A KR 1020230106163A KR 20230106163 A KR20230106163 A KR 20230106163A KR 20250025118 A KR20250025118 A KR 202500251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ker
- aerosol generating
- generating device
- whee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9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6386 Mentha pule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57 Mentha puleg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57 Mentha x piper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QCWXUUIWCKQGHC-UHFFFAOYSA-N Zirconium Chemical compound [Zr] QCWXUUIWCKQG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1 but not limited to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1 electronic cigaret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5 haf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BJZVLUMGGDVMO-UHFFFAOYSA-N hafnium atom Chemical compound [Hf] VBJZVLUMGGDVM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50 hortel pim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83 mentha spicata herb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21 spearmint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35 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수용하는 챔버, 챔버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에어로졸을 흡입구로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유닛, 에어로졸 생성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입력을 전달받아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배치되는 휠, 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커 및 휠의 회전에 의한 복수의 마커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inlet, a chamber that accommodates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 aerosol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n aerosol from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chamber and provides the aerosol to the inlet, a processor that controls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and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n input,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provides the input signal to the processor. The input module may include a wheel that is arrang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 plurality of markers including a first marker and a second marker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heel, and a sensor unit that detects a change in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arkers due to rotation of the wheel,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based on a detection result.
Description
이하 실시 예들은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rkers.
근래에 전통 궐련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체 물품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 스틱을 전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예: 궐련형 전자 담배) 또는 액상형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그에 적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alternative products that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cigarettes is increasing. For example, the demand for devices that generate aerosol by electrically heating a cigarette stick (e.g., electronic cigarettes in the form of cigarettes) or devices that generate aerosol by vaporizing a liquid-type aerosol-generating product is increasing. Accordingly, research on electronic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aerosol-generating products applied thereto is actively being conducted.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 컨디션을 변경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receive input from the user in various way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change the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the input and control the aerosol atomization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background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technology that the inventor possessed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con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public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present application.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통하여 흡입하는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 에어로졸의 농도 또는 온도, 흡입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과 같은 다양한 경험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control various experience factors such as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inhaled throug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of the aerosol, and the flow rate or velocity of the inhaled air.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복수의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간단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을 필요가 있다.In order to receive various inpu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provide multiple input interfaces or output interfaces such as displays. However, since there is a limit to including multiple input interfaces and output interfac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needs to receive various inputs through a simple input interface.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아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mark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by receiving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상기 에어로졸을 상기 흡입구로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유닛; 상기 에어로졸 생성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입력을 전달받아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모듈은,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휠, 상기 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커 및 상기 휠의 회전에 의한 상기 복수의 마커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housing including an inlet; a chamber accommodat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 aeroso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 aerosol from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chamber and providing the aerosol to the inlet; a process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and an input module receiving an inpu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providing the input signal to the processor, wherein the input module may include a wheel rotatably arranged in the housing about a rotation axis, a plurality of markers including a first marker and a second marker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heel, and a sensor unit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arkers due to rotation of the wheel,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based on a detection resul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은 선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일 단부는 상호 접하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타 단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may have a linear structure, an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마커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마커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마커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is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and can detect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rkers, generate a first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first marker, and generate a second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second mark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대면 신호 및 상기 제2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유닛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increase or decrease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order and time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counter signals are genera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가 접하는 부위에 일 단부가 접하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타 단부가 연장되는 제3 마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arker having one end contact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contac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마커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마커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마커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마커와 대면하면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is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and can detect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rkers, generate a first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first marker, generate a second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second marker, and generate a third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third mark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대면 신호, 상기 제2 대면 신호 및 상기 제3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유닛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increase or decrease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thir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가 상호 접하는 위치로부터 상호 등간격으로 멀어지며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may have shapes extending at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contact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는,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third marker may be arranged vertically relative to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마커는, 상기 휠의 외주면에서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은 상호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are arranged so as to be offset from the cen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and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can detect touch inputs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to generate an input sig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마커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유닛은, 터치 입력에 의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ensor unit can detect a movement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based on a change in current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due to the touch input,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휠은, 상기 회전 축에 수평한 가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휠의 가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heel is arranged to be movabl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pressing direction that is horizontal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sensor unit can detect movement of the wheel in the pressing direction to generate an input sig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휠이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방향에 편향되어 가압되면 제1 가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휠이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에 편향하여 가압되면 제2 가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can generate a first pressure signal when the wheel is pressurized in a first direction set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and can generate a second pressure signal when the wheel is pressuriz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는, 상호 독립적으로 상기 회전 축에 수평한 가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가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are arranged to b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 pressing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e movement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in the pressing direction to generate an input signal.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복수의 마커 및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mark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generate an input signal from an input received from a user using the plurality of markers and a sensor unit, and the user can easily, simp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나의 휠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별적인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rk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generate various input signals tailored to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a user through a single wheel and control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based on the signals.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mark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예: 궐련)이 삽입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예: 궐련)이 삽입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의 개략도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e.g., a cigarette) inserted in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e.g., a cigarette) inserted in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b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b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from the most widely used general term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ngineers working in the field, precedents,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 part", "...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Figures 1 and 2 are drawings illustrating examples of cigarettes inserted in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증기화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이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battery (11), a control unit (12), and a heater (13), and in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vaporizer (14). In addition, a cigarette (2)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llustrated in FIGS. 1 and 2 illustrates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도 1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In Fig. 1, the battery (11), the control unit (12), the vaporizer (14), and the heater (13) are illustrated as being arranged in a row. In addition, in Fig. 2, the vaporizer (14) and the heater (13) are illustrated as being arranged in parallel.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Figs. 1 and 2.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11), the control unit (12), the heater (13), and the vaporizer (14) may be changed.
궐련(2)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When a cigarette (2) is inserted in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an generate an aerosol by operating a heater (13) and/or a vaporizer (14).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er (13) and/or the vaporizer (14) passes through the cigarette (2) and is delivered to the user.
필요에 따라, 궐련(2)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히터(13)를 가열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an heat the heater (13) even when the cigarette (2) is not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배터리(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배터리(11)는 히터(13) 또는 증기화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11) supplies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For example, the battery (11) can supply power so that the heater (13) or the vaporizer (14) can be heated, and can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12) to operate. In addition, the battery (11) can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display, sensor, motor, etc. insta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o operate.
제어부(1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및 증기화기(14)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11), the heater (13), and the vaporizer (14) as well as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 can check the status of each compon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o determine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in an operable state.
제어부(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the microprocessor.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that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other types of hardware.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궐련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heater (13) can be heat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1). For example, when a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e heater (13) can be located outside the cigarette. Accordingly, the heated heater (13)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side the cigarette.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13)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heater (13) may be an electrical resistance heater. For example, the heater (13)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and the heater (13) may be he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 However, the heater (13)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heated to a desired temperature. Here, the desired temperature may be preset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r may be set to a desired temperature by the user.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heater (13) may be an induction heating heater. Specifically, the heater (13) may inclu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il for heating the cigarette in an induction heating manner, and the cigarette may include a susceptor that can be he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heater.
예를 들면, 히터(13)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er (13) may include a tubular heating element, a plate-shaped heating element, a needle-shaped heating element, or a rod-shaped heating element, and may heat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igarette (2)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eating element.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는 히터(1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들은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들 중 일부는 궐련(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ers (13) may be arrang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eaters (13) may be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igarette (2) or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igarette (2).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heaters (13) may be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igarette (2), and the rest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igarette (2).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eater (13)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증기화기(1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aporizer (14) can heat the liquid composition to generate an aerosol, and the generated aerosol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cigarette (2). In other word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vaporizer (14) can travel along the airflow pass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d the airflow passage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vaporizer (14) can pass through the cigarette and be delivered to the user.
예를 들면,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vaporizer (14)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liquid reservoir, a liquid delivery means, and a he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liquid reservoir, the liquid delivery means, and the heating element may be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s independent modules.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The liquid reservoir can store a liquid composition. 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can be a liquid contain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including a volatile tobacco flavoring component, or can be a liquid containing a non-tobacco material. The liquid reservoir can be constructed to be detachable from/attachable to the vaporizer (14), or can be constructed integrally with the vaporizer (14).
예를 들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water, a solvent, ethanol, a plant extract, a flavor, a flavoring agent, or a vitamin mixture. The flavoring ag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nthol, peppermint, spearmint oil, various fruit-flavored ingredients, and the like. The flavoring agent may include ingredients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flavors or tastes to the user. The vitamin mixtur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and vitamin E. In addition,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an aerosol forming agent,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iquid transfer means can transfer the liquid composition from the liquid storage to the heating element. For example, the liquid transfer means can be a wick such as, but not limited to, cotton fibers, ceramic fibers, glass fibers, or porous ceramics.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is an element for heating a liquid composition delivered by a liquid delivery means. For example, the heating elem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etal heating wire, a metal heating plate, a ceramic heater, etc. 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filament such as a nichrome wire, and may be arranged in a structure that is wound around the liquid delivery means. The heating element may be heated by supplying current, and may transfer heat to the liquid composition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hereby heating the liquid composition. As a result, an aerosol may be generated.
예를 들면, 증기화기(14)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vaporizer (14) may be referred to as a cartomizer or an atomiz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궐련(2)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general-purpose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battery (11), the control unit (12), the heater (13), and the vaporizer (14).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or a motor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a puff detection sensor,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 cigarette insertion detection sensor, etc.). In addi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manufactured with a structure in which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or internal gas may be discharged even when the cigarette (2) is inserted.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크래들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배터리(11)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가 가열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 and 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system with a separate cradle. For example, the cradle may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11)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lternatively, the heater (13) may be heated while the cradle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re combined.
궐련(2)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궐련(2)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의 제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cigarette (2) may be similar to a typical combustible cigarette. For example, the cigarette (2)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substance and a second part containing a filter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second part of the cigarette (2) may also contain an aerosol generating substance. For example, an aerosol generating substance in the form of granules or capsules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에는 제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에 제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부분의 전체 및 제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The entire firs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d the second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only a part of the firs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r the entire first part and a part of the second part may be inserted. The user may inhale the aerosol while holding the second part in his mouth. At this time, the aerosol is generated by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rt, and the generated aerosol passes through the second part and is delivered to the user's mouth.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at least one air passage form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d/or the size of the air passage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amount of vapor, the smoking sensation, etc.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As another example,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cigarette (2) through at least one ho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igarette (2).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예: 도 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제어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배터리(140), 히터(150), 사용자 입력부(160), 메모리(170) 및 통신부(18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f FIG. 1 or FIG. 2)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a control unit (110), a sensing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battery (140), a heater (150), a user input unit (160), a memory (170), and a communication unit (180).
단,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may be omitted or new components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상태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10)(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다른 구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0) can detect the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r the state arou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or processor).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5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틱(예: 도 1 또는 도 2의 궐련(2)), 캡슐, 카트리지, 궐련 등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여 히터(150)를 제어하거나, 또는 출력부(130)로 알림을 표시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5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120), controlling the heater (150) by determining whether a stick (e.g., a cigarette (2) of FIG. 1 or FIG. 2), a capsule, a cartridge, a cigarette, etc., is inserted, or displaying a notific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30).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온도 센서(122), 삽입 감지 센서(124) 및 퍼프 센서(1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122), an insertion detection sensor (124), and a puff sensor (126).
일 실시 예에서, 온도 센서(122)는 히터(150)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히터(15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거나, 히터(150) 자체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센서(122)는 배터리(140)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배터리(140)의 주위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122) can detect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heater (150) is heat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50), or the heater (150) itself may act as the temperature sensor. Alternatively, the temperature sensor (122) may be placed around the battery (140) to monitor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40).
일 실시 예에서, 삽입 감지 센서(124)는 스틱 또는 캡슐의 삽입 및/또는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감지 센서(124)는 필름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저항성 센서, 용량성 센서, 유도성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스틱 또는 캡슐이 삽입 및/또는 제거됨에 따른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detection sensor (124) can detect insertion and/or removal of a stick or capsule. For example, the insertion detection sensor (124)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m sensor, a pressure sensor, an optical sensor, a resistive sensor, a capacitive sensor, an inductiv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and can detect a signal change as the stick or capsule is inserted and/or removed.
일 실시 예에서, 퍼프 센서(126)는 기류 통로 또는 기류 채널의 다양한 물리적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126)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uff sensor (126) can detect a user's puff based on various physical changes in an airflow passage or airflow channel. For example, the puff sensor (126) can detect a user's puff based on any one of a temperature change, a flow change, a voltage change, and a pressure change.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전술한 센서 외에도, 온/습도 센서, 기압 센서,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근접 센서,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ensor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 position sensor (e.g., GPS), a proximity sensor, and an RGB sensor (illuminance sensor). Since the function of each sensor can be intuitively inferred from its nam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출력부(13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32), 햅틱부(134) 및 음향 출력부(1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32)와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put unit (130) can output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output unit (13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32), the haptic unit (134), and the sound output unit (136),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display unit (132) and the touch pad form a layered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32)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배터리(140)의 충/방전 상태, 히터(150)의 예열 상태, 스틱 또는 캡슐의 삽입/제거 상태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사용이 제한되는 상태(예: 이상 물품 감지)와 같은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32)는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2)는 LED 발광 소자 형태일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32) can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can include at least some of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e/discharge status of the battery (14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preheating status of the heater (150), the insertion/removal status of a stick or capsule, or the status in which the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restricted (e.g., detection of an abnormal item), and the display unit (132) can output such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display unit (132) can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OLE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2) can also be in the form of an LED light-emitting element.
일 실시 예에서, 햅틱부(134)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부(134)는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aptic component (134) can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stimulus or an electrical stimulus to provide tactile information abou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haptic component (134) can includ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음향 출력부(136)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36)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oustic output unit (136)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the user audibly. For example, the acoustic output unit (136) can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and output it externally.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1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히터(15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ttery (140) can supply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battery (140) can supply power to enable the heater (150) to be heated.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1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에 구비된 다른 구성들(예: 센싱부(120), 출력부(130), 히터(150), 사용자 입력부(160) 또는 메모리(170), 통신부(18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4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battery (14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other components (e.g., a sensing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heater (150), a user input unit (160) or a memory (170), a communication unit (180)) provi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battery (14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isposable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140) may be a lithium polymer (LiPoly)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배터리(140)의 전력을 변환하여 히터(150)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예: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배터리(140)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er (15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40) to hea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version circuit (e.g., a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power from the battery (140) and supplies it to the heater (150). In addition,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generates the aerosol by induction he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C/AC converter that converts direct current power from the battery (140) into alternating current power.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히터(150), 사용자 입력부(160), 메모리(170) 및 통신부(180)는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140)의 전력을 변환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 회로, 예를 들면 LDO(low dropout) 회로 또는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the sensing unit (120), the output unit (130), the heater (150), the user input unit (160), the memory (1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140) to perform their functions.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version circuit, for example, an LDO (low dropout) circuit or a voltage regulator circuit, that converts the power of the battery (140) and supplies it to each component.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5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heater (150)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 For example, suitable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s may be metals or metal alloy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itanium, zirconium, tantalum, platinum, nickel, cobalt, chromium, hafnium, niobium, molybdenum, tungsten, tin, gallium, manganese, iron, copper, stainless steel, ni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heater (150) may be implemented as, but not limited to, a metal heating wire, a metal heating plate having electrically conductive tracks arranged thereon, a ceramic heating element,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유도 가열 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는 코일에 의해 인가된 자기장을 통해 발열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eater (15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For example, the heater (150) may include a susceptor that heat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by generating heat through a magnetic field applied by the coil.
일 실시 예에서, 히터(150)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터 및 액상을 가열하기 위한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e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ers. For example, the heater (150) may include a first heater for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 second heater for heating the liquid.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connection interface)를 더 포함하고,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배터리(140)를 충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60) may receive information input by a user, or output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6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tact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pressure resistive film type, infrared detection type,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type, integral tension measurement type, piezo effect type, etc.),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interface, such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r charge a battery (140) by connecting to another external device through a connection interface, such as a USB interface.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7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170) is a hardware that stores various data process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can store data processed and data to be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10). The memory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etc.),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 ROM (read-only memory),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7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 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such as the operating tim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maximum number of puffs, the current number of puffs, at least one temperature profile, and data about the user's smoking pattern.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80)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근거리 통신부(182) 및 무선 통신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4).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82)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2)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nit,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a WLAN (Wi-Fi) communication unit, a zigbee communication unit, an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nit, a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unit, an UWB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nit, an Ant+ communication unit, etc.
일 실시 예에서, 무선 통신부(184)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부, 인터넷 통신부,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184)는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확인 및 인증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4)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 Internet communication unit, a computer network (e.g., a LAN or WAN) communication unit, etc.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4) may also identify and authentic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subscriber information (e.g.,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can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or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the microprocessor.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that th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other types of hardwar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배터리(140)의 전력을 히터(15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히터(1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배터리(140)와 히터(150) 사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가열직접회로가 히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50)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battery (140) to the heater (15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between the battery (140) and the heater (150). In another example, the heating direct circuit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150)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분석하고, 이후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5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15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may analyze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control the processes to be performed thereaft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5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50) is started or ended based on the result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5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5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150) and the time for which the power is supplied so that the heater (150)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ainta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based on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센서(126)를 통해 카운트된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32), 햅틱부(134) 및 음향 출력부(13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가 곧 종료될 것을 예고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퍼프 센서(126)는 사용자의 흡입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30) based on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uffs counted through the puff sensor (126) reaches a preset number, the control unit (110)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ill soon be termina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32), the haptic unit (134), and the sound output unit (136). Or, for example, the puff sensor (126) may detect the user's inhalation state,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based on this.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센싱부(120)에 의해 감지된 스틱 또는 캡슐의 상태에 따라 히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 시간 및/또는 전력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time and/or power supply amount to the heater (150)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tick or capsul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uch as program modules, that ar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can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and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도이다.FIG.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4b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a 및 도 4b를 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예: 도 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 또는 도 3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하우징(205) 및 카트리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f FIG. 1 or FIG. 2 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3) may include a housing (205) and a cartridge (220).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205)은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어셈블리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몸체(210) 및 캡(230)을 포함할 수 있고, 몸체(210) 및 캡(230)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housing (20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 housing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including a body (210) and a cap (230), and the body (210) and the cap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예를 들면, 몸체(21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메인 하우징일 수 있고,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전장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캡(230)은 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dy (210) may be the main hous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 may accommodate the entire bod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rein. The cap (230) may be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210).
일 실시 예에서, 몸체(210)는 스틱(예: 도 1 또는 도 2의 궐련(2))을 수용할 수 있는 세장형 공동(21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은 세장형 공동(212)에 대해 길이 방향(예: Z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210) can include an elongated cavity (212) that can accommodate a stick (e.g., a cigarette (2) of FIG. 1 or FIG. 2). The stick can be inserted longitudinally (e.g., in the Z-axis direction) into the elongated cavity (212).
일 실시 예에서, 몸체(210)는 에어로졸 개구(214) 및 에어로졸 유로(216)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개구(214)는 카트리지(220)와 연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유로(216)는 에어로졸 개구(214) 및 세장형 공동(212)에 연통될 수 있고, 에어로졸 개구(214)를 통하여 카트리지(220)로부터 에어로졸을 전달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210) can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n aerosol opening (214) and an aerosol path (216). The aerosol opening (214) can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artridge (220). The aerosol path (216) can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erosol opening (214) and the elongated cavity (212) and can receive aerosol from the cartridge (220) through the aerosol opening (214).
일 실시 예에서, 캡(230)은 몸체(2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캡(230)은 몸체(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캡(230) 및 몸체(210) 사이에는 카트리지(220)가 수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p (230) can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210). The cap (230) can be removably coupled to the body (210), and a cartridge (220)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cap (230) and the body (210).
일 실시 예에서, 캡(230)은 몸체(210)의 세장형 공동(2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련되는 흡입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32)는 캡(230)의 일 면(예: 상면 또는 +Z 방향의 면)에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캡(230)이 몸체(210)에 결합되면, 흡입구(232) 및 세장형 공동(212)은 연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p (230) may include an intake port (232)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ongated cavity (212) of the body (210). The intake port (232) may be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e.g., the upper side or the side in the +Z direction) of the cap (230). When the cap (230) is coupled to the body (210), the intake port (232) and the elongated cavity (212) may be communicated.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20)(예: 도 1 및 도 2의 증기화기(14))는 하우징(205)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220)는 캡(230)이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210)에 결합될 수 있고, 캡(230)은 몸체(210)에 결합되어 카트리지(220)를 커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artridge (220) (e.g., a vaporizer (14) of FIGS. 1 and 2) may be coupled with a housing (205). For example, the cartridge (2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210) with the cap (230) separated, and the cap (230) may be coupled to the body (210) to cover the cartridge (220).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20)는 액체 상태, 고체 상태, 기체 상태 및 겔(gel) 상태 중 적어도 일부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220)는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수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rtridge (220) can accommodate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aving at least some of a liquid state, a solid state, a gaseous state, and a gel state. The cartridge (220) can be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body, and can convert a phase of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therein into a gaseous phase to generate an aerosol.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220)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개구(214)를 통과하여 에어로졸 유로(21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유로(216)는 에어로졸을 세장형 공동(212)으로 전달할 수 있고, 에어로졸은 세장형 공동(212)에 삽입된 스틱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ed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cartridge (220) can pass through an aerosol opening (214) and travel along an aerosol path (216). The aerosol path (216) can deliver the aerosol to an elongated cavity (212), and the aerosol can pass through a stick inserted into the elongated cavity (212) and be delivered to a user.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다양한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히터(218)를 포함하여 가열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진동자(미도시)를 포함하여 초음파 진동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generate an aerosol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generate the aerosol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adopt a heating method including a heater (218). Alternatively,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adopt an ultrasonic vibration method including a vibrator (not shown).
일 실시 예에서, 챔버(222)는 카트리지(220)에 마련될 수 있다. 챔버(222)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고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또는 비-담배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a chamber (222) may be provided in the cartridge (220). The chamber (222) may contain and store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herein.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may comprise a liquid composition. The liquid composition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including a volatile tobacco flavoring component, or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non-tobacco-containing material.
일 실시 예에서, 챔버(222)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 조성물은 히터(218)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스틱(예: 도 1 또는 도 2의 궐련(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quid composition contained inside the chamber (222) may be heated by the heater (218) to generate an aerosol, and the generated aerosol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a stick (e.g., the cigarette (2) of FIG. 1 or FIG. 2).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개구(214)는 몸체(210)에서 카트리지(220)를 바라보는 일 면(예: -Z 방향 또는 +Y 방향의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카트리지(220)가 몸체(210)와 결합하는 경우, 에어로졸 개구(214)는 챔버(222)와 연통할 수 있다. 에어로졸 개구(214)는 에어로졸 유로(216)의 에어로졸 흡입구 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erosol opening (214)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ody (210) facing the cartridge (220) (e.g., a surface in the -Z direction or the +Y direction). When the cartridge (220) is coupled with the body (210), the aerosol opening (214) may communicate with the chamber (222). The aerosol opening (214) may be an aerosol intake port of the aerosol path (216).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유로(216)는 몸체(210)의 세장형 공동(212) 및 흡입구(232)와 연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유로(216)는 챔버(222)로부터 흡입구(232)로 에어로졸을 전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erosol path (216) can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longated cavity (212) of the body (210) and the inlet (232). The aerosol path (216) can deliver aerosol from the chamber (222) to the inlet (232).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에 의하여 챔버(222)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개구(214), 에어로졸 유로(216) 및 세장형 공동(212)을 통과하여 흡입구(232)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aerosol generated in the chamber (222) by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pass through the aerosol opening (214), the aerosol path (216), and the elongated cavity (212) to the intake port (232).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다양한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은 히터(218)를 포함하는 가열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generate an aerosol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generate the aerosol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can adopt a heating method including a heater (218).
일 실시 예에서, 히터(218)는 카트리지(220)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챔버(222) 내부에 또는 챔버(222)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히터(218)는 챔버(222)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액상 조성물)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218)는 심지 및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심지에 권취(roll)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heater (218) may be disposed in the cartridge (220), for example, within the chamber (222) or opposite the chamber (222). The heater (218) may heat a liquid (liquid composition) contained within the chamber (222) to generate an aerosol. The heater (218) may include a wick and a coil. The coil may be rolled around the wick to generate heat.
일 실시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는 프로세서(240)(예: 도 1 및 도 2의 제어부(12) 또는 도 3의 제어부(110)), 메모리(245)(예: 도 3의 메모리(170)) 및 배터리(247)(예: 도 1 및 도 2의 배터리(11) 또는 도 3의 배터리(140)) 중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some of a processor (240) (e.g., the control unit (12) of FIGS. 1 and 2 or the control unit (110) of FIG. 3), a memory (245) (e.g., the memory (170) of FIG. 3), and a battery (247) (e.g., the battery (11) of FIGS. 1 and 2 or the battery (140) of FIG. 3).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4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40)는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45)는 프로세서(24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247)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저장하고, 이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구성 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processor (240) can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The memory (245)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240) and can store executable instructions. The battery (247) can store power for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 provide it to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250)(예: 도 3의 사용자 입력부(16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전달받아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생성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24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250)은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05)에 결합되어, 회전 축(R)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module (250) (e.g., the user input unit (160) of FIG. 3) ma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The input module (250) may provide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processor (240). The input module (250) may receive the inpu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nput module (2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205) and may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R).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300)의 개략도이다.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5b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300) including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예: 도 3의 사용자(U) 입력부(160) 또는 도 4a 및 도 4b의 입력 모듈(250))은 휠(351), 복수의 마커(360) 및 센서 유닛(371)(예: 도 3의 센싱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user (U) input unit (160) of FIG. 3 or the input module (250) of FIGS. 4A and 4B) may include a wheel (351), a plurality of markers (360), and a sensor unit (371) (e.g., the sensing unit (120) of FIG. 3).
일 실시 예에서, 휠(351)은 회전 축(R)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305)(예: 도 4a 및 도 4b의 하우징(405))에 배치될 수 있다. 휠(351)은 하우징(305)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외주면 및 하우징(305)을 바라보는 또는 하우징(305)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heel (351)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the housing (305) (e.g., the housing (405) of FIGS. 4A and 4B) about a rotational axis (R). The wheel (351)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that is visually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housing (305) and an inner surface that faces the housing (305) or is not visually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housing (305).
일 실시 예에서, 휠(351)의 외주면은 휠(351)이 배치되는 하우징(305)의 일 면이 바라보는 방향(예: -Y 방향)을 바라보는 제1 면(351a)(또는, '전면') 및 제1 면(351a)의 단부로부터 하우징(305)을 향하는 방향(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또는, '측면')인 제2 면(351b)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351) may include a first surface (351a) (or, 'front surface') facing a direction (e.g., -Y direction) toward one side of the housing (305) in which the wheel (351) is disposed, and a second surface (351b) that is a surface (or, 'side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surface (351a) in a direction (e.g., +Y direction) toward the housing (305).
다만, 도면에 도시되는 휠(351)의 형상, 구조, 크기, 및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며, 휠(351)의 실제 구현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휠(351)은 구, 반구, 다각형 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형 기둥과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However, the shape, structure, size, and configuration of the wheel (351) depicted in the drawing are merely examples,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wheel (351)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heel (351) may have various geometric shapes such as a sphere, a hemisphere, a polygonal column, a cylinder, or an elliptical column.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360)는 휠(35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마커(360)는 휠(351)의 제1 면(351a)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마커(36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휠(351)의 제1 면(351a)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마커(360)는 휠(35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또는 하우징(305)을 바라보는 내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마커(360)는 제1 면(351a)으로부터 이에 반대되는 면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마커(360)가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 휠(351)은 복수의 마커(36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 또는 요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35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have at least a portion of an area visually exposed to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heel (351), or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facing the housing (305).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from the first surface (351a) to an opposite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are not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wheel (351) may include a pattern or a protruding structur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360)는 도전성 물질 내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마커(360)는 휠(351)과 상이한 색상, 패턴, 형상, 높이 또는 무게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마커(360)는 휠(351)과 상이한 기하학적 또는 물성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r a metallic material.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have a different color, pattern, shape, height, or weight than the wheel (351), or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have different geometric or physical characteristics than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360)는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는 휠(351)의 제1 면(351a) 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5a의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의 배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배열로 제1 면(351a) 위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include a first marker (361) and a second marker (362).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b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Howev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of FIG. 5A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be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351a) in various arrangements.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1)은 휠(351)의 회전에 의한 복수의 마커(36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1)은 감지 결과를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340)(예: 도 1 및 도 2의 제어부(12), 도 3의 제어부(110) 또는 도 4b의 프로세서(24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전달받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예: 도 4b의 에어로졸 생성 유닛(2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1) can detect a change in the position of a plurality of markers (360) due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351). The sensor unit (371) can convert the detection result into an input signal and provide the input signal to the processor (340) (e.g., the control unit (12) of FIGS. 1 and 2, the control unit (110) of FIG. 3, or the processor (240) of FIG. 4b).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e.g.,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11) of FIG. 4b) based on the received input signal.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U)는 휠(351)을 통하여 직관적이고 쉽고 용이하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300)(예: 도 1 또는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 도 3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또는 도 4a 및 도 4b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a user (U) can intuitively, easily and conveniently control the ope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300) (e.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of FIG. 1 or FIG. 2,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3 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S. 4a and 4b) through a wheel (351).
예를 들면, 사용자(U)는 휠(351)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 주기, 세기 및/또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는, 사용자(U)는 휠(351)을 제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 주기, 세기 및/또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U) can increase the driving period, intensity and/or power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y rotating the wheel (351)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or the user (U) can increase the driving period, intensity and/or power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y rotating the wheel (351)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는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입력 모듈(350)의 실제 구현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어도 일부 구성이 변형, 교체,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Below,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described.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input module (3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some of the configurations may be modified, replaced, omitted, or added.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은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의 일 단부(예: 도 5a의 -Z 방향의 단부)는 상호 접하고,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의 타 단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는 'V'자 형상으로 휠(351)의 제1 면(351a)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have a linear structure.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e.g., the end in the -Z direction of FIG. 5A)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be arranged in a 'V' shape on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1)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의 마커(360)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유닛(371)은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1) may be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to detect an encounter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371)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예를 들면,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유닛(371)은 제2 마커(362)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1)이 복수의 마커(360)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프로세서(340)는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second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second marker (362). By the sensor unit (371)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a plurality of markers (360),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order and time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facing signals are generated.
예를 들면, 사용자(U)는 휠(351)의 제1 면(351a) 및/또는 제2 면(351b)을 파지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를 대면하고,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휠(351)이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센서 유닛(371) 2번의 제1 대면 신호 및 2번의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U) may grasp and rotate a first face (351a) and/or a second face (351b) of a wheel (351).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may face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and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and a second facing signal. While the wheel (351) rotates one turn, the sensor unit (371) may generate two first facing signals and two second facing signals.
예를 들면,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이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의 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인접하는 경우, 센서 유닛(371)은 상대적으로 빠르게(또는, 연속적으로)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이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의 단부가 이격되는 위치에 인접하는 경우, 센서 유닛(371)은 상대적으로 느리게(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371) is adjacent to a position where the ends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are in contact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relatively quickly (or continuously). 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371) is adjacent to a position where the ends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are spaced apart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relatively slowly (or at time intervals).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가 빠르게 생성되는 단계에서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가 느리게 생성되는 단계에서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in a stage where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quickly. Alternatively,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in a stage where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slowly.
예를 들면, 도 5a의 입력 모듈(350)의 상태를 기준으로, 휠(35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대기 시간 그리고 다시 제1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휠(3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2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제1 대면 신호, 제1 대면 신호, 대기 시간 그리고 다시 제2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state of the input module (350) of FIG. 5A, when the wheel (351) rotates 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following order: a first facing signal, a first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 waiting time, and then the first facing signal again. In addition, when the wheel (35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following order: a second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 first facing signal, a first facing signal, a waiting time, and then the second facing signal agai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센서 유닛(371)으로부터 전달받는 2가지 대면 신호와, 대면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대기 시간의 전후에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wo fac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71)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acing signals.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signals generated before and after a waiting time.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350)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과 구조를 통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입력 모듈(35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the input module (350) can recognize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351)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module (350).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개략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의 마커(360)는 제1 마커(361a) 및 제2 마커(362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markers (3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arker (361a) and a second marker (362a).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입력 모듈(350)에 있어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 구성 및 구조가 교체되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모듈(35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of the input module (350) may be replaced, added, or omit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below. In addition, at least one configuration or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the input module (350) unless it is technically clearly im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a) 및 제2 마커(362a) 각각은 상호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커(361a)는 '+'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마커(362a)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마커(361a) 및 제2 마커(362a)의 형상을 상이하게 설계함으로써, 사용자(U)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361a) and the second marker (362a) may each have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marker (361a) may have a '+' shape, and the second marker (362a) may have a '-' shape. By designing the shapes of the first marker (361a) and the second marker (362a) differently, the intuitiveness of the user (U) can be improved.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360)는, 휠(351)의 외주면에서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마커(361a) 및 제2 마커(362a)는 휠(351)의 제1 면(351a)의 중심부로부터 일 방향(예: +Z 방향)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from the cen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351).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a first marker (361a) and a second marker (362a) may be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one direction (e.g., +Z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1)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의 마커(360)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1) may be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to detect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a plurality of markers (360)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예를 들면,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a)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유닛(371)은 제2 마커(362a)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1)이 복수의 마커(360)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프로세서(340)는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first marker (361a), and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second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second marker (362a). By the sensor unit (371)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a plurality of markers (360),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order and time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facing signals are generated.
예를 들면, 사용자(U)는 휠(351)의 제1 면(351a) 및/또는 제2 면(351b)을 파지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a) 및 제2 마커(362a)를 대면하고,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휠(351)이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센서 유닛(371) 1번의 제1 대면 신호 및 1번의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U) may grasp and rotate a first face (351a) and/or a second face (351b) of a wheel (351).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may face the first marker (361a) and the second marker (362a) and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and a second facing signal. While the wheel (351) rotates one turn, one sensor unit (371) may generate one first facing signal and one second facing signal.
예를 들면,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이 제1 마커(361a) 및 제2 마커(362a)가 편향되어 배치되는 위치에 인접하는 경우, 센서 유닛(371)은 상대적으로 빠르게(또는, 연속적으로) 제1 대면 신호 및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센서 유닛(371)은 다음의 제1 마커(361a) 또는 제2 마커(362a)가 인식될 때까지 대기 시간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371) is adjacent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marker (361a) and the second marker (362a) are biased and arranged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can relatively quickly (or continuously) generate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Thereafter, the sensor unit (371) can have a waiting time until the next first marker (361a) or second marker (362a) is recognized.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대기 시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waiting time.
예를 들면, 도 6의 입력 모듈(350)의 상태를 기준으로, 휠(35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대기 시간, 그리고 다시 제1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휠(3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2 대면 신호, 제1 대면 신호, 대기 시간, 그리고 다시 제2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state of the input module (350) of FIG. 6, when the wheel (351) rotates 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order of a first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 waiting time, and then the first facing signal again. In addition, when the wheel (35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order of a second facing signal, a first facing signal, a waiting time, and then the second facing signal agai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센서 유닛(371)으로부터 전달받는 2가지 대면 신호와, 대면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대기 시간의 전후에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wo fac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71)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acing signals.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signals generated before and after a waiting time.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350)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과 구조를 통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입력 모듈(35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the input module (350) can recognize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351)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module (350).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개략도이다.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의 마커(360)는 제1 마커(361b), 제2 마커(362b) 및 제3 마커(363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markers (3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arker (361b), a second marker (362b), and a third marker (363b).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입력 모듈(350)에 있어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 구성 및 구조가 교체되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모듈(35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of the input module (350) may be replaced, added, or omit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below. In addition, at least one configuration or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the input module (350) unless it is technically clearly im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b) 및 제2 마커(362b) 각각은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마커(361b) 및 제2 마커(362b) 각각의 일 단부(예: -Z 방향의 단부)는 상호 접하고, 제1 마커(361b) 및 제2 마커(362b) 각각의 타 단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marker (361b) and the second marker (362b) may have a linear structure. One end (e.g., an end in the -Z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b) and the second marker (362b)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b) and the second marker (362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제3 마커(363b)는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마커(363b)의 일 단부는 제1 마커(361b) 및 제2 마커(362b)가 접하는 부위에 접하고, 제3 마커(363b)의 타 단부는 제1 마커(361b) 및 제2 마커(362b)와 이격되는 방향(예: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marker (363b) may have a linear structure. One end of the third marker (363b)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first marker (361b) and the second marker (362b) are in contact,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rker (363b) may extend in a direction (e.g., in the -Z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arker (361b) and the second marker (362b).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b), 제2 마커(362b) 및 제3 마커(363b)는, 제1 마커(361b), 제2 마커(362b) 및 제3 마커(363b)가 상호 접하는 위치로부터 상호 등간격으로 멀어지며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마커(361b), 제2 마커(362b) 및 제3 마커(363b)는 'Y'자 형상으로 휠(351)의 제1 면(351a)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361b), the second marker (362b), and the third marker (363b) may have shapes that extend away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from a position where the first marker (361b), the second marker (362b), and the third marker (363b) contact each other.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marker (361b), the second marker (362b), and the third marker (363b)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in a 'Y' shape.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1)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의 마커(360)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1) may be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to detect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a plurality of markers (360)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예를 들면,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b)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유닛(371)은 제2 마커(362b)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유닛(371)은 제3 마커(363b)와 대면하면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1)이 복수의 마커(360)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프로세서(340)는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first marker (361b),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second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second marker (362b), and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third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third marker (363b). Since the sensor unit (371) distinguishes and recognizes a plurality of markers (360),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제3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thir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예를 들면, 사용자(U)는 휠(351)의 제1 면(351a) 및/또는 제2 면(351b)을 파지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b), 제2 마커(362b) 및 제3 마커(363b)를 대면하고,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휠(351)이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센서 유닛(371) 1번의 제1 대면 신호, 1번의 제2 대면 신호 및 1번의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U) may grasp and rotate a first face (351a) and/or a second face (351b) of a wheel (351).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may encounter a first marker (361b), a second marker (362b), and a third marker (363b), and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nd a third facing signal. While the wheel (351) rotates one turn, one sensor unit (371) may generate one first facing signal, one second facing signal, and one third facing signal.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제3 대면 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third facing signal.
예를 들면, 도 7의 입력 모듈(350)의 상태를 기준으로, 휠(35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3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그리고 다시 제1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휠(3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2 대면 신호, 제3 대면 신호, 제1 대면 신호, 그리고 다시 제2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state of the input module (350) of Fig. 7, when the wheel (351) rotates 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order of a first facing signal, a third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nd then the first facing signal again. In addition, when the wheel (35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order of a second facing signal, a third facing signal, a first facing signal, and then the second facing signal agai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센서 유닛(371)으로부터 전달받는 3가지 대면 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대기 시간의 전후에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ree fac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71).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signals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waiting time.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350)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과 구조를 통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입력 모듈(35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the input module (350) can recognize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351)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module (350).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개략도이다.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의 마커(360)는 제1 마커(361c), 제2 마커(362c) 및 제3 마커(363c)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markers (3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arker (361c), a second marker (362c), and a third marker (363c).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입력 모듈(350)에 있어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 구성 및 구조가 교체되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모듈(35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of the input module (350) may be replaced, added, or omit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below. In addition, at least one configuration or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the input module (350) unless it is technically clearly im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 각각은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 각각의 일 단부(예: -Z 방향의 단부)는 상호 접하고,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 각각의 타 단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may have a linear structure. One end (e.g., an end in the -Z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제3 마커(363c)는 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마커(363c)의 일 단부는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가 접하는 부위에 접하고, 제3 마커(363c)의 타 단부는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와 이격되는 방향(예: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ird marker (363c) may have a linear structure. One end of the third marker (363c)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are in contact,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marker (363c) may extend in a direction (e.g., in the -Z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는,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고, 제3 마커(363c)는 제1 마커(361c) 및 제2 마커(362c)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마커(361c), 제2 마커(362c) 및 제3 마커(363c)는 'T'자 형상으로 휠(351)의 제1 면(351a)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third marker (363c) may be arranged vertically relative to the first marker (361c) and the second marker (362c).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marker (361c), the second marker (362c), and the third marker (363c) may be arranged in a 'T' shape on the first surface (351a)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1)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의 마커(360)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1) may be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to detect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a plurality of markers (360)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예를 들면,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c)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유닛(371)은 제2 마커(362c)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센서 유닛(371)은 제3 마커(363c)와 대면하면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1)이 복수의 마커(360)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프로세서(340)는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first marker (361c),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second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second marker (362c), and the sensor unit (371) can generate a third facing signal when it faces the third marker (363c). Since the sensor unit (371) distinguishes and recognizes a plurality of markers (360),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제3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thir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예를 들면, 사용자(U)는 휠(351)의 제1 면(351a) 및/또는 제2 면(351b)을 파지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 휠(35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유닛(371)은 제1 마커(361c), 제2 마커(362c) 및 제3 마커(363c)를 대면하고,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휠(351)이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센서 유닛(371) 1번의 제1 대면 신호, 1번의 제2 대면 신호 및 1번의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U) may grasp and rotate a first face (351a) and/or a second face (351b) of a wheel (351). As the wheel (351) rotates, the sensor unit (371) may face a first marker (361c), a second marker (362c), and a third marker (363c), and generate a first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nd a third facing signal. While the wheel (351) rotates one turn, one sensor unit (371) may generate one first facing signal, one second facing signal, and one third facing signal.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및 제3 대면 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third facing signal.
예를 들면, 도 8의 입력 모듈(350)의 상태를 기준으로, 휠(35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1 대면 신호, 제3 대면 신호, 제2 대면 신호, 그리고 다시 제1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휠(3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로세서(340)는 제2 대면 신호, 제3 대면 신호, 제1 대면 신호, 그리고 다시 제2 대면 신호 순서로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state of the input module (350) of FIG. 8, when the wheel (351) rotates 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order of a first facing signal, a third facing signal, a second facing signal, and then the first facing signal again. In addition, when the wheel (35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rocessor (340) may receive input signals in the order of a second facing signal, a third facing signal, a first facing signal, and then the second facing signal again.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센서 유닛(371)으로부터 전달받는 3가지 대면 신호의 순서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40)는 대기 시간의 전후에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the order of three fac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71). For example, the processor (340) can predi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351) based on signals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waiting time.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서, 입력 모듈(350)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과 구조를 통하여 휠(35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입력 모듈(35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the input module (350) can recognize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351) throug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module (350).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개략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센서 유닛(372)(예: 도 3의 센싱부(120), 또는 도 5a, 도 5b, 도 6, 도 7 또는 도 8의 센서 유닛(371))은 터치 및 스윕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sensor unit (37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sensing unit (120) of FIG. 3, or the sensor unit (371) of FIG. 5a, FIG. 5b, FIG. 6, FIG. 7, or FIG. 8) can recognize touch and sweep actions.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입력 모듈(350)에 있어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 구성 및 구조가 교체되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모듈(35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of the input module (350) may be replaced, added, or omit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below. In addition, at least one configuration or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the input module (350) unless it is technically clearly im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2)은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유닛(372)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2)은 사용자(U)가 터치하는 마커(361 또는 362)가 복수의 마커(360) 중 어느 것인지, 또는 사용자(U)가 터치하는 휠(351)의 일부 영역이 어느 위치인지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2) can detect touch inputs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372) can include a touch sensor. The sensor unit (372) can detect which of the markers (361 or 362) touched by the user (U) is among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or which location of a part of the wheel (351) touched by the user (U).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U)가 터치하는 위치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상술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감지 뿐 아니라,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하나의 휠(351)을 통하여 사용자(U)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U)는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user (U) touches. The input module (350) can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U) through one wheel (351) by detecting not only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ouch and/or the location of the touch, and the user (U) can easily, simp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360)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마커(360)에는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기설정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센서 유닛(372)은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센서 유닛(372)은 스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 prese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and a preset current may flow. The sensor unit (372) may detect a movement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372) may include a sweep sensor.
예를 들면, 센서 유닛(372)은 사용자(U)의 터치 입력에 의한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의 전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사용자(U)의 스윕 방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터치 감지 뿐 아니라, 스윕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하나의 휠(351)을 통하여 사용자(U)로부터 더욱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U)는 더욱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72) can recognize the current change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due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U).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sweep direction of the user (U). The input module (350) can receive more diverse inputs from the user (U) through one wheel (351) by detecting the sweep direction as well as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peed, and touch detection, and the user (U) can control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more easily, simply, and intuitively.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개략도이다.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센서 유닛(373)(예: 도 3의 센싱부(120), 도 5a, 도 5b, 도 6, 도 7 또는 도 8의 센서 유닛(371) 또는 도 9의 센서 유닛(372))은 휠(351)의 가압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sensor unit (37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sensing unit (120) of FIG. 3, the sensor unit (371) of FIG. 5a, FIG. 5b, FIG. 6, FIG. 7, or FIG. 8, or the sensor unit (372) of FIG. 9) can recognize the pressing motion of the wheel (351).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입력 모듈(350)에 있어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 구성 및 구조가 교체되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모듈(35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of the input module (350) may be replaced, added, or omit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below. In addition, at least one configuration or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the input module (350) unless it is technically clearly im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휠(351)은, 회전 축에 수평한 가압 방향(예: Y 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351)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사용자(U)의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heel (351) may be positioned to be mov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f pressure (e.g., Y-axis direction) that is horizontal to the rotation axis. For example, the wheel (351) may be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moved by an external force from a user (U),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3)은 휠(351)의 가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3)은 가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가압 센서는 압력 센서일 수 있고, 또는, 휠(35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 또는 전자기 센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3) can detect movement of the wheel (351)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sensor unit (373) can include a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can be a pressure sensor, or an optical sensor or an electromagnetic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wheel (35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U)가 휠(351)을 가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상술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감지 뿐 아니라, 휠(351)의 가압을 감지함으로써, 하나의 휠(351)을 통하여 사용자(U)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U)는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an input of a user (U) pressing the wheel (351). The input module (350) can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U) through one wheel (351) by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wheel (351) as well a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detection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U) can easily, simp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3)은, 휠(351)이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방향(예: -X 방향)에 편향되어 가압되면 제1 가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3)은 휠(351)이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예: +X 방향)에 편향하여 가압되면 제2 가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373)은 사용자(U)가 터치하는 휠(351)의 일부 영역이 어느 위치인지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3) may generate a first pressure signal when the wheel (351) is pressurized in a first direction (e.g., -X direction) set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The sensor unit (373) may generate a second pressure signal when the wheel (351) is pressurized in a second direction (e.g., +X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The sensor unit (373) may detect the location of a portion of the wheel (351) that the user (U) touches.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U)가 터치하는 위치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상술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감지 뿐 아니라, 가압 유무 및/또는 가압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하나의 휠(351)을 통하여 사용자(U)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U)는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user (U) touches. The input module (350) can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U) through one wheel (351) by detecting not only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described above, but als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ization and/or the pressurization location, and the user (U) can easily, simp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aerosol atomization state.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모듈(350)의 개략도이다.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put module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1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센서 유닛(374)(예: 도 3의 센싱부(120), 도 5a, 도 5b, 도 6, 도 7 또는 도 8의 센서 유닛(371), 도 9의 센서 유닛(372) 또는 도 10의 센서 유닛(373))은 복수의 마커(360)의 가압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 sensor unit (37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sensing unit (120) of FIG. 3, the sensor unit (371) of FIG. 5a, FIG. 5b, FIG. 6, FIG. 7 or FIG. 8, the sensor unit (372) of FIG. 9 or the sensor unit (373) of FIG. 10) can recognize a pressing motion of a plurality of markers (360).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며, 입력 모듈(350)에 있어서,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고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일부 구성 및 구조가 교체되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 모듈(350)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명백히 불가능하지 않는 한 결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an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of the input module (350) may be replaced, added, or omit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below. In addition, at least one configuration or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the input module (350) unless it is technically clearly impossible.
일 실시 예에서,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는,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 축에 수평한 가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사용자(U)의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be positioned to be movab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pressure direction to the rotation axi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may each be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moved by an external force from a user (U),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유닛(374)은 제1 마커(361) 및 제2 마커(362) 각각의 가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가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가압 센서는 압력 센서일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마커(36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 또는 전자기 센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74) can detect movement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marker (361) and the second marker (362), and generate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sensor unit can include a pressing sensor, and the pressing sensor can be a pressure sensor, or an optical sensor or an electromagnetic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position of a plurality of markers (36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사용자(U)가 복수의 마커(360)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3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상술한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감지 뿐 아니라, 복수의 마커(360) 각각의 가압을 감지함으로써, 하나의 휠(351)을 통하여 사용자(U)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사용자(U)는 쉽고 간단하게 그리고 직관적으로 에어로졸의 무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311) based on an input of a user (U) pressing one of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The input module (350) can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U) through one wheel (351) by detecting the press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rkers (360) as well a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detection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U) can easily, simply, and intuitively control the atomization state of the aerosol.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are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15)
흡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수용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상기 에어로졸을 상기 흡입구로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유닛;
상기 에어로졸 생성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입력을 전달받아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모듈은,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휠,
상기 휠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커 및
상기 휠의 회전에 의한 상기 복수의 마커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 housing comprising an intake port;
A chamber for receiv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n aerosol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n aerosol from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chamber and provides the aerosol to the inlet;
a process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and
An input module is included that receives an input,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provides the input signal to the processor.
The above input module,
A wheel position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of rotation;
A plurality of markers including a first marker and a second marker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ensor unit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markers due to rotation of the wheel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은 선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일 단부는 상호 접하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타 단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has a linear structu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센서 유닛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마커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마커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마커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ensor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positioned at a preset location to detect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rkers, generating a first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first marker, and generating a second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second mark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대면 신호 및 상기 제2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유닛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increases or decreases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order and time at which the first facing signal and the secon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상기 복수의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가 접하는 부위에 일 단부가 접하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타 단부가 연장되는 제3 마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markers a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rd marker having one end contact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contact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상기 센서 유닛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마커 중 어느 하나와의 대면(encounter)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마커와 대면하면 제1 대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마커와 대면하면 제2 대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마커와 대면하면 제3 대면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paragraph 5,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sensor unit is arranged at a preset position and detects an encounter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rkers, and generates a first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first marker, a second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second marker, and a third encounter signal when encountering the third mark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대면 신호, 상기 제2 대면 신호 및 상기 제3 대면 신호가 생성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유닛에 인가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Article 6,
The above process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increases or decreases power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facing signal, the second facing signal, and the third facing signal are generated.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상기 제2 마커 및 상기 제3 마커가 상호 접하는 위치로부터 상호 등간격으로 멀어지며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paragraph 5,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first marker, the second marker, and the third marker have a shape extending at an equal interval from a position where they contact each other.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는,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마커는,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paragraph 5,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are position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third marker is position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상기 복수의 마커는,
상기 휠의 외주면에서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은 상호 상이한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markers a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wheel, it is arranged with a deviation from the center to one s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has a different shape from each other.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nsor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etects touch inputs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상기 복수의 마커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유닛은
터치 입력에 의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Article 11,
The above multiple markers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above sensor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ouch input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based on a change in current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due to the touch input.
상기 휠은, 상기 회전 축에 수평한 가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휠의 가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wheel is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ressure direction horizontal to the rotation axis,
The above sensor unit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wheel in the pressure direction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휠이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방향에 편향되어 가압되면 제1 가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휠이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에 편향하여 가압되면 제2 가압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Article 13,
The above sensor unit,
When the wheel is biased and pressurized in a first direction set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a first pressurization signal is generat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wheel generates a second pressurization signal when the wheel is pressuriz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는, 상호 독립적으로 상기 회전 축에 수평한 가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 각각의 가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are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 pressur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above sensor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etects movement in the pressure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marker and the second marker to generate an input sig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6163A KR20250025118A (en) | 2023-08-14 | 2023-08-14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plurality of mark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6163A KR20250025118A (en) | 2023-08-14 | 2023-08-14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plurality of mark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25118A true KR20250025118A (en) | 2025-02-21 |
Family
ID=9482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6163A Pending KR20250025118A (en) | 2023-08-14 | 2023-08-14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plurality of mark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25118A (en) |
-
2023
- 2023-08-14 KR KR1020230106163A patent/KR20250025118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6115B1 (en) | Electric aerosol generating system | |
KR20250025118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plurality of markers | |
KR102758700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KR102684537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US20240245128A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upport providing air to aerosol generating article | |
KR20230120683A (en) |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 |
KR20230068948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771330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50025115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aerosol controlling unit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817691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50046609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spray unit | |
KR102815643B1 (en) | Inhaler | |
KR102771331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KR102817672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728724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751183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20230068962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urpport providing air to aerosol generating article | |
KR20230121297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800080B1 (en) |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aerosol generating article | |
KR102752201B1 (en) | Aerosol generating modul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817667B1 (en) | Mask typ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777353B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KR20240054848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tick accommodated therein | |
JP2025516618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 |
KR20250022505A (en) | Vaporize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