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4034A -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 Google Patents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4034A
KR20250024034A KR1020250017897A KR20250017897A KR20250024034A KR 20250024034 A KR20250024034 A KR 20250024034A KR 1020250017897 A KR1020250017897 A KR 1020250017897A KR 20250017897 A KR20250017897 A KR 20250017897A KR 20250024034 A KR20250024034 A KR 2025002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ode
cam
support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50017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오현
Original Assignee
피씨오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씨오낙(주) filed Critical 피씨오낙(주)
Priority to KR102025001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4034A/en
Publication of KR2025002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403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16Balancing devices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9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mechanical programming means, e.g.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또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다리 형태로서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양방향에서 연결되고 하부의 바닥면과 연결하는 다리부와; 무릎 형태로, 일측면은 상부의 다리부와 결합하여 이동 상태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타측면은 하부의 다리부와 결합하는 무릎 관절부와;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측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일측 단부가 고정 힌지축을 통해 지지 기판에 고정되고 일면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제1 및 제2 링크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운송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 device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n infant or an article; a leg part in the form of a leg,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in both directions at the upper side and is connected to a floor surface at the lower side; a knee joint part in the form of a kne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leg part so as to be angle-adjustabl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leg part;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which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g part through first and second wires and are configur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a support substrate through a fixed hinge axis and connects the wire to one side to perform a lever function; and first and second spring parts which are configur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k hinge axes to provide elasticity.

Description

앉기 모드 전환이 용이한 착용형 운송장치{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Wearable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본 발명은 착용형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를 지지하면서 이동하거나 택배용 등 무거운 물건을 운송할 때 걷기 모드 및 앉기 모드 전환이 자유로운 착용형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transport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earable transportation device that can freely switch between a walking mode and a sitting mode when moving while supporting an infant or transporting a heavy object such as a parcel.

코로나 19 확산 속에 비대면 환경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택배 서비스가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Amid the spread of COVID-19, the need for a non-face-to-face environment has increased, and courier service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is.

이러한 택배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2020년 들어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노동자의 사망사고가 잇따르면서 택배노동자의 과로 방지와 근로 환경 개선의 요구가 있다.Along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courier market, there have been a series of deaths of courier workers presumed to be due to overwork since 2020, leading to calls for preventing overwork and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courier workers.

가령, 택배 노동자는 많은 택배물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허리통증을 겪고 있고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허리통증은 택배 노동자가 무거운 짐을 지면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이동할 때 뿐만 아니라 무거운 짐을 단기간에 옮기느라 무리한 자세로 짐을 들어 올릴 때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most delivery workers suffer from back pain during the process of delivering many packages to consumers, and this needs to be addressed. This back pain can occur not only when delivery workers climb up and down stairs or move while carrying heavy loads, but also when they lift heavy loads in an awkward posture in a short period of time.

현재 택배 노동자는 작은 수레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택배물품을 이송하는 형태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무거운 짐을 들어올릴 때에 사용할 수 없고 이송장치를 끄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여전히 불편을 주고 있다. Currently, delivery workers are solving the aforementioned problem by transporting parcels using transport devices such as small carts, but this still causes inconvenience to users as it cannot be used when lifting heavy loads and the transport devices are turned off.

최근 착용형 메카니즘으로 택배용 물건 운반 또는 유아 캐리어로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는 휴대용 운송장치가 제공되고 있다.Recently, portable transport devices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rrying parcels or as infant carriers with wearable mechanisms have been provided.

게다가 택배용 물품 운송시에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행위가 자주 일어나므로 걷기 모드와 앉기 모드의 자유로운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transporting items for delivery, lifting and lowering of items frequently occurs, so the need for free switching between walking and sitting modes is increasing.

한국 등록특허 제10-1829876호Korean Patent No. 10-1829876 미국 공개특허 US2018/00020843호United States Patent Publication No. US2018/00020843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서, 착용형으로 다리부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일면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 링크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 링크가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힘을 증폭시켜 유아을 지지하면서 이동하거나 택배용 등 무거운 물건을 운송할 때 작은 힘으로도 걷기 모드와 앉기 모드 전환이 자유로운 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ortation device that can freely switch between walking mode and sitting mode with a small force when supporting an infant or transporting a heavy object such as a parcel by using a wire that is wearable and connected to a leg portion and one or more support links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wire, so that the support links function as a lever and amplify force.

게다가, 캠팔로워 구조와 와이어의 연결을 통해 운송하는 유아체중 또는 물품의 무게를 지지하면서도 사용자의 걷기 모드와 앉기 모드의 자유로운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nsport device that provides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user to freely switch between walking mode and sitting mode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an infant or an item to be transported through a cam follower structure and a wire connection.

이를 위해, 유아 또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다리 형태로서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양방향에서 연결되고 하부의 바닥면과 연결하는 다리부와; 무릎 형태로, 일측면은 상부의 다리부와 결합하여 이동 상태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타측면은 하부의 다리부와 결합하는 무릎 관절부와;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측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일측 단부가 고정 힌지축을 통해 지지 기판에 고정되고 일면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제1 및 제2 링크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운송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a transport device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support section for supporting an infant or an article; a leg section in the form of a leg,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ection in both directions at the upp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at the lower side; a knee joint section in the form of a kne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leg section so as to be angle-adjustabl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leg section;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which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g section through first and second wires and are configur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a support substrate through a fixed hinge axis and connects the wire to one side to perform a lever function; and first and second spring sections which are configur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k hinge axes to provide elasticity.

또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 캠과; 구동축으로서 제1 및 제2 캠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캠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캠 회전축을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캠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 캠의 회전 운동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제1 및 제2 캠팔로워와; 상기 제1 및 제2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의 동작에 따라 걷기 모드와 앉기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irst and second cam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a first and second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am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m rotation axes as drive shafts and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cam rotation axes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cams; a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 that moves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to control a walking mode and a sitt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링크는 상기 제1 및 제2 캠과 접촉하면서 지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회복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s are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and the first and second spring portion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ams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pr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k hinge axe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s.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모터 제어시에 캠의 직경 크기, 상기 와이어와 상기 지지 링크에 연결되는 위치, 상기 캠과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링크 힌지축의 설치 위치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use any one of the diameter size of the cam, the position at which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nk hinge axis to which the cam and the spring are connected when controlling the motor.

또한, 상기 캠의 직경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캠의 직경 크기를 그대로 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지지 링크에 연결되는 위치를 수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시프트하거나 상기 캠과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는 링크 힌지축의 설치 위치를 수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시프트하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 장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모터의 출력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tension can be increased and the output value of the motor can be decreas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size of the cam, keeping the diameter size of the cam the same but shifting the position where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or shif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nk hinge axis where the cam and the spring are connect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또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보행 동작 또는 앉기 동작에서 상기 와이어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coder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wire in the current walking or sitting motion of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걷기 모드 또는 앉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서의 설정값과 상기 엔코더에서 측정된 회전각 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회전각 값이 상기 선택된 모드에서의 설정값 이하의 범위에 있도록 상기 모터 제어를 통해 상기 캠팔로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mode input section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walking mode or a sitting mode, and the control section compares a set value in th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input section with a rotation angle value measured by the encod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 follower through the motor control so that the measured rotation angle value is within a range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n the selected mod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The major problem-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explained more specifically and clearly through examples such as the 'specific contents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or the attached 'drawings', and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ajor problem-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sol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presented and explained.

본 발명은, 유아 캐리어 또는 물품운송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기 모드와 물품 이동을 위해 앉기 모드의 전환이 용이하여 물품 하중과 같이 상당한 무게를 지지한 상태에서 보행하거나 필요에 따라 물품 들어올리거나 내려 놓을 때 자유로운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by making it easy to switch between a walking mode and a sitting mode for moving an item while wearing an infant carrier or an item transport device, thereby making it easy to freely switch when walking while supporting a considerable weight such as an item load or lifting or putting down an item as need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는 다리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모드 변환부에서 모터와 캠팔로워 동작을 통해 와이어가 지렛대와 같이 모터의 출력값이 작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컴팩트(compact)한 소형장치로 구현가능하고 출력값을 줄일 수 있어, 전원공급장치로서 배터리는 낮은 정격의 파워로도 충분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be applied to cases where the output value of the motor is small, such as when the wire acts as a lever, through the motor and cam follower operation in the mode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bridge unit through the wire,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pact small device and the output value can be reduced, so that the battery as a power supply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sufficient even with a low rated power.

도 1은 기본형태로 착용형 운송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운송장치(200)에서 걷기 모드(mode1)와 앉기 모드(mode2)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2의 운송장치(200)에서 걷기 모드(mode 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걷기 모드(mode 1)에서 림(limb) 상태(phas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운송장치(200)에서 앉기 모드(mode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앉기 모드(mode 2)에서 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earable transport device (100) in its basic form.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ansport device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process of the walking mode (mode1) and the sitting mode (mode2) in the transport device (200) of Figure 2.
FIG. 4 is a drawing explaining the walking mode (mode 1) of the transport device (200) of FIG. 2.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limb phase in the walking mode (mode 1) of Figure 4.
FIGS. 6 and 7 are drawings explaining the sitting mode (mode 2) of the transport device (200) of FIG. 2.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the rim state in the sitting mode (mode 2) of Figures 6 and 7.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component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refer to identical components.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기본 형태로서 착용형 운송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체 장치의 기본 구조 또는 뼈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커버하는 외부 하우징이 추가되어 심미감 또는 장식적인 디자인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기본 구조 위주로 설명한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wearable transport device (100) in its basic for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r skeletal structure of the entire device. An external housing covering it may be added to add an aesthetic or decorative design, but this will be omitted and explained mainly with the basic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물품운송장치(100)는, 유아의 다리 또는 엉덩이 부분 등 유아의 신체 일부(주로 유아 엉덩이)를 위치시켜 지지하거나 택배용 물품 등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와 좌우측의 양방향에서 연결되고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맞게 상기 지지부(110)상의 상기 유아의 체중 또는 물품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보행 또는 주행 상태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여 이동을 손쉽게 하는 이동 보조부(120)와, 상기 이동 보조부(120)와 연결되고 바닥면 접촉부(140)와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다리 형태로서 최상부의 지지부(110)와 최하부의 바닥면 지지부(140)을 연결하는 다리부(15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material transport device (100) comprises a support member (110) for supporting a part of an infant's body (mainly an infant's buttocks), such as an infant's legs or buttocks, or for supporting an item to be transported, such as a parcel, a movement assistance member (120)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110) in both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djusts an angle according to a walking or driving state while distributing the weight of the infant or the load of the item on the support member (110)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tate, thereby facilitating movement, and a leg member (150) that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assistance member (120) and a floor contact member (140) and connects an uppermost support member (110) and a lowermost floor support member (140) in the form of a leg overall.

또한, 무릎 형태로, 일측면은 상부의 이동 보조부(120)와 결합하여 이동 상태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타측면은 하부의 다리부(150)와 결합하는 무릎 관절부(130)를 포함한다. 즉, 상부의 이동 보조부(120)와 하부의 다리부(150)는 무릎형 무릎 관절부(130)를 통해 연결된다. In addition, in the form of a knee, one side is combined with an upper movement assistance part (120)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knee joint part (130) that is combined with a lower leg part (150). That is, the upper movement assistance part (120) and the lower leg part (150) are connected through the knee-type knee joint part (130).

이러한 운송장치(100)는 유아 캐리어 또는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운송하는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물품운송을 위주로 설명한다. This transport device (100) can be utilized as a baby carrier or a device for transporting various types of item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cuses on transporting items.

이때, 운송장치(100)는 착용형 메카니즘으로, 착용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가령, 다리부(150)에는 하우징으로 제1 정강이 지지대(미도시) 또는 제2 정강이 지지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강이 지지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상부의 허벅지에서의 지지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끈 또는 조임 벨트를 통해 정강이 또는 허벅지에 상기 운송장치(100)와 연결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port device (100) is a wearable mechanism, and the wearing form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leg part (150) may form a first shin support (not shown) or a second shin support (not shown) as a housing. In addition, the first shin support may be used as a support on the upper thigh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port device (100) on the shin or thigh through a string or a tightening belt.

다리부(150)는 전체적으로 다리 형태로서 좌우측에 2개 대칭적으로 한쌍으로 형성되고, 최하부의 바닥면 지지부(140)와 연결되어 바닥면에 지지되게 하고 최상부에서 물품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110)와 연결된다. 이때, 다리부(150)는 뼈대 형태의 연결구조이며, 봉타입 구조물로서 로드(lod)로 구성되는 지지구조이므로 금속 또는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The leg part (150) is formed as a pair of two symmetrically formed leg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support part (140)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10)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object at the top. At this time, the leg part (150) is a skeleton-shaped connecting structure, and since it is a support structure composed of a rod as a rod-type structure, a material such as metal or rigid plastic can be used.

또한, 다리부(150)는 상기 지지부(110)를 통해 상부의 물품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부의 바닥면 접촉부(140)로 물품 하중이 받는 힘을 바닥면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게 하여 손쉽게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 part (150) can easily form a stable support structure by supporting the upper load of an item through the support part (110) and distributing the force received from the load of the item to the floor surface by the bottom surface contact part (140).

또한, 다리부(15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앉거나 서는 상태에 따라, 서서 상태를 유지할 때는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게 또는 사용자의 허벅지, 엉덩이, 허리 등의 지지하는 신체 일부의 높이에 따른 길이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앉을 때에도 높낮이에 맞게 길이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다리부(15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탄성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g part (150) is adjustable in length,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sitting or standing, the length needs to be adjusted to the user's height when maintaining a standing state 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body part such as the user's thigh, hip, or waist. In addition, the length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when the user is sitting. In addition, the leg part (150) can be implemented as an elastic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shock.

또한, 다리부(150)는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110)와 좌우측의 양방향에서 연결되고 착용형으로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맞게 상기 지지부(110)상의 물품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보행 또는 주행 상태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여 이동을 손쉽게 하는 이동 보조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치(100)는 착용형 구조로서 상기 이동 보조부(120)를 통해 물품 하중과 같이 상당한 무게를 지지한 상태에서 보행하거나 주행시에 사용자의 이동상태에 맞추어 상기 물품 하중을 분산시켜주므로, 사용자 이동시에 대략 20kg 이상의 무게 부담(유아 체중 또는 물품 하중의 무게)을 줄여준다. In addition, the leg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10) in both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t the top, and a movement assistance part (120) is formed to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the walking or driving state while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goods on the support part (110)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tate in a wearable manner to facilitate movement. At this time, the transpo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structure that supports a considerable weight, such as the load of the goods, through the movement assistance part (120) and distributes the load of the goods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tate when walking or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weight burden (the weight of the infant's weight or the load of the goods) of approximately 20 kg or more when the user moves.

또한, 상기 다리부(150)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지면 등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바닥면에 안정되게 지지하는 바닥면 접촉부(140)를 구비한다. 이때, 바닥면 접촉부(140)은, 하부의 바닥판(미도시)과, 상기 다리부(150)와 상기 바닥판의 연결부에는 발목 관절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목 관절부는 상기 바닥판을 지면에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여 상하 또는 좌우 이동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한다. 또한, 바닥면 접촉부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외 아치형 구조 등으로 형성하여 다리부(150)가 전달하는 유아 체중 또는 물품 하중의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t has a floor contact portion (140) that is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leg portion (150) to come into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such as the ground and stably supports the floor surface. At this time, the floor contact portion (14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late (not shown) at the bottom, and an ankle joint portion (not shown)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eg portion (150) and the bottom plate. In addition, the ankle joint portion allows the bottom plate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ground so as to freely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floor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as a footrest structure that supports the user's feet.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as an arch-shaped structure, etc. to disperse the force of the weight of an infant or the load of an item transmitted by the leg portion (150).

또한, 지지부(110)는 유아용 캐리어로 구성할 경우에는 아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아기의 다리가 올려질 수 있는 판형 구조를 비롯하여 아기가 앉을 수 있는 의자 구조까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아기가 발, 엉덩이 등 신체가 닿는 부분에 쿠션 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아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아기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안전 착용물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10) is a part that can support a baby while the baby is placed in the carrier,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ncluding a plate-shaped structure that can raise the baby's legs, and a chair structure that the baby can sit in.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10) can be configured by adding a cushion material or a similar structure to the part that the baby's body touches, such as the feet or buttocks.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10) can additionally be configured with a safety wearable item, such as a belt, that can be worn by the baby to prevent the baby from falling.

또한, 지지부(110)가 물품 운반용인 경우에는 물품 운반시 낙하를 방지하도록 전체를 둘러싸는 테두리를 형성하거나, 부가적으로 물품을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는 끈 묶음 구조 또는 물품 운반용 박스 구조물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기본적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할 수 있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경량의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주로 유아의 엉덩이 또는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리에 닿는 부분에는 쿠션 소재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support (110) is for transporting goods, a frame surrounding the entire body may be formed to prevent falling when transporting goods, or additionally, a string bundling structure or a box structure for transporting goods may be added to secure the goods to the support. This support (110) may basically be composed of a hard synthetic resin or a lightweight metal material capable of supporting and transmitting a load, and it is preferable that a cushion material is added to the part that mainly touches the buttocks of an infant or the buttocks or waist of a user.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인 형태로 도 1의 착용형 운송장치를 이용하면서 물품 이송을 위해 무거운 짐을 들어올리거나 배달 장소에 무거운 짐을 내려놓을 때의 걷기 모드(mode1)과 앉기 모드(mode2)의 모드 전환이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by facilitating mode switching between walking mode (mode 1) and sitting mode (mode 2) when lifting a heavy load for transporting goods or putting down a heavy load at a delivery location while using the wearable transport device of FIG. 1 in its basic form,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ansport device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200)는, 유아 또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다리 형태로서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양방향에서 연결되고 하부의 바닥면과 연결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218)를 통해 연결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지그를 포함하는 다리부와; 무릎 형태로, 일측면은 상부의 다리부와 결합하여 이동 상태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타측면은 하부의 다리부와 결합하는 무릎 관절부와;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측(220)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218)를 통해 연결되고 제2 와이어 지그(222b)에 고정되고 제1 와이어 지그(222a)에 관통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일측 단부가 고정 힌지축을 통해 지지 기판에 고정되고 일면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링크와 제1 및 제2 링크축을 통해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transport device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section for supporting an infant or an article; a leg sec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wire jigs that are connected in both directions to the support section at the upper portion in the form of a leg a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at the lower portion and connected through first and second wires (218) to fix the wires; a knee joint sect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leg s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lower leg section;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that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220) of the leg s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s (218), are fixed to the second wire jig (222b), penetrate the first wire jig (222a), are configur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nd have one end fixed to a support substrate through a fixed hinge axis and have the wire connected to one side to perform a lever function; 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pring sections configur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nd conn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axes to provide elastic force.

특히, 사용자의 등쪽에 부착되는 모드 변환부(210)와, 상기 모드 변환부(210)와 양측에서 와이어(wire)로 연결된 다리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t can be composed of a mode conversion unit (210) attached to the user's back, and a leg unit (220) connected to the mode conversion unit (210) on both sides by wires.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변환부(210)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는 하쌍의 구조로서, 캠(211)과, 구동축으로서 캠 회전축(212)을 통해 상기 캠(211)과 연결되고 상기 캠 회전축(212)을 구동시켜 상기 캠(211)을 회전시키는 모터(213)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a, the mode conversion unit (210) is a pair of structures configur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and includes a cam (211) and a motor (213) that is connected to the cam (211) through a cam rotation shaft (212) as a driving shaft and drives the cam rotation shaft (212) to rotate the cam (211).

또한, 지지 링크(214)는 우측 에지부에서 고정 힌지축(214a)을 통해 지지 기판에 고정되며, 다리부(220)와 양측에서 연결된 와이어가 일면에 연결되어, 지지 링크(214)가 지렛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 링크(214)가 지렛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와이어의 힘이 100kg 이면 가스 스프링은 50kg 정도의 힘으로 가능하다. 또한, 지지 링크(214)를 복수개 설치하거나 지지 링크(214)의 판 길이를 조정하여 와이어의 힘에 비례하여 지렛대 기능으로 1/2, 1/3, ....1/10 등으로 가스 스프링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 스프링을 컴팩트한 소형 또는 저용량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link (214) is fixed to the support substrate through the fixed hinge axis (214a) at the right edge, and the wires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220)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one side, so that the support link (214) can perform the role of a lever. That is, since the support link (214) can perform the lever function, if the force of the wire is 100 kg, the gas spring can perform with a force of about 50 kg. In addi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214) or adjusting the plate length of the support link (214), the force required for the gas spring as a lever function can be reduced by 1/2, 1/3, .... 1/10, etc. in proportion to the force of the wire. Through this, the gas spring can be implemented in a compact and small size or with a low capacity, so that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at a low cost.

여기서, 캠(211)은 캠구조로서 원판 형태를 가지며 캠의 원형 단면 내에 캠 회전축(212)을 구비하고 하부에서 상기 캠(211)이 와이어(218)가 일면에 연결된 지지 링크(214) 및 가스 스프링(215)와 단면상 선접촉 또는 면접촉하면서, 가스 스프링을 눌러주기 때문에, 팽팽한 와이어의 장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원판캠과 종동체(follower, 팔로워)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모터(21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캠 회전축(212)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 캠(211)과, 상기 원판 캠(211)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운동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원판 캠의 팔로워(follower)를 구비한다. 이러한 팔로워는 상기 원판 캠(211)과 접촉하면서 지지하는 지지 링크(214)와, 상기 지지 링크(214)와 링크힌지축(216)을 통해 연결되어 캠팔로워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회복력을 제공하는 가스스프링(215)을 구비한다. 이때, 가스스프링(215)의 상부는 상기 지지 링크(214)와 링크축(216)을 통해 연결되고 하부는 지지축(217)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지지축(217)은 회전하지 않고 지지축으로서 상기 가스스프링(215)을 소정 위치에 고정 지지하게 한다.Here, the cam (211) has a disc shape as a cam structure and has a cam rotation axis (212) within the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cam, and since the cam (211) from the lower part makes cross-sectional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link (214) and the gas spring (215) to which the wire (218) is connected on one side, and presses the gas spring, the tension of the taut wire can be relieved.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disc cam and the follower is as follows. That is, the disc cam (211) that rotates clockwise through the cam rotation axis (212)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of the motor (213), and the follower of the disc cam that moves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angular rotational movement of the disc cam (21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e provided. This follow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link (214) that supports while in contact with the above-described disc cam (211), and a gas spring (215)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14) through a link hinge shaft (216)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m follower movement.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gas spring (21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14) through the link shaft (216), and the lower part is fixed through the support shaft (217). The support shaft (217) does not rotate, but serves as a support shaft to fix and support the gas spring (215)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캠팔로워의 동작에 따라 걷기 모드(mode1)와 앉기 모드(mode2) 전환을 제공한다. 가령, 사용자가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놓을 때 운송장치에서 와이어를 통해 전달되는 가스스프링의 예압이 있어서 팽팽한 와이어 장력으로 뻣뻣한 감이 있다. 이때, 상기 캠팔로워 동작을 통해 가스 스프링을 눌러 지지링크와 연결된 좌우 양측의 제1 및 제2 와이어를 이전의 팽팽한 와이어 장력 상태에서 느슨하게 스 연결되게 하여 가스 스프링의 반력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switching between walking mode (mode 1) and sitting mode (mode 2)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cam follower. For example, when a user lifts or puts down an object, there is a preload of a gas spring transmitted through a wire from a transport device, so there is a stiff feeling due to the taut wire tension. At this time, by pressing the gas spring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am follower, the first and second wir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are loosely connected from the previous taut wire tension state, thereby removing the reaction force of the gas spring.

또한, 모드 변환부(210)에서 캠팔로워 동작은 좌우 양측의 제1 및 제2 와이어(218a, 218b)와,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와 연결되는 좌우측의 다리부(220)가 상호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ode conversion unit (210), the cam follower opera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wires (218a, 218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leg parts (22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respectively, are mutually symmetrically configured.

또한, 모드 변환부(210)는 캠팔로워 동작은 좌우 양측의 제1 및 제2 와이어(218a, 218b)와,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와 연결되는 좌우측의 다리부(220)가 상호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de conversion unit (210)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am follower operation is symmetrically configu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wires (218a, 218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leg parts (22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ires, respectively.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220)는,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와 연결되고 바닥면 접촉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다리 형태로서 최상부의 지지부와 최하부의 바닥면 지지부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다리부(220)는 무릎형 무릎 관절부(211)를 통해 상기 다리부(220)가 분리되어 상부 다리부와 하부다리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부 다리부는 상부에서 허벅지 역할을 수행하고, 하부 다리부는 하부에서 정강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무릎 관절부(221)를 통해 상부 다리부와 하부 다리부가 연결되며,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무릎 관절과 같이 굽힐 수 있어 사용자가 몸을 구부리거나 앉기 모드 등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b, the leg part (220) is connected to a support part (not illustrated) that supports an item to be transported and is connected to a floor contact part (not illustrated), and connects the uppermost support part and the lowermost floor support part in the overall leg shape. At this time, the leg part (220)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leg part and a lower leg part by separating the leg part (220) through a knee-type knee joint part (211). That is, the upper leg part can perform the role of a thigh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leg part can perform the role of a shin at the lower part, so that the upper leg part and the lower leg part are connected through the knee joint part (221), and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 can bend the body or implement a sitting mode, etc.,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 지지부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아의 다리 또는 엉덩이 부분 등 유아의 신체 일부(주로 유아 엉덩이)를 위치시켜 지지하거나 택배용 물품 등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Fig. 1, the above support member can support a part of the infant's body (mainly the infant's buttocks), such as the infant's legs or buttocks, or can support an item to be transported, such as a delivery item.

또한, 상기 무릎 관절부(221)와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다리부는 대칭형 구조로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상부 및 하부 다리부는 중공부를 갖는 봉타입 구조물로서 상부 로드부(224)와 하부 로드부(22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로드부(224, 225)는 금속 또는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 상부 로드부(224)와 하부 로드부(225)는 무릎 관절부(221)를 통해 연결되고, 이때, 상기 무릎 관절부(221)는 상부 로드부(224)와 연결되는 상부 힌지축(226a)과 하부 로드부(225)와 연결되는 하부 힌지축(226b)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무릎 관절부(2121)와 다리부(220)를 연결하는 상/하부힌지축(226a, 226b)을 통해 0 ~ 180°범위에서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leg parts connected to the knee joint part (221) may be configur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in a symmetrical structure.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leg parts are hollow rod-type structures having an upper load part (224) and a lower load part (225). Here, the upper and lower load parts (224, 225) may be made of metal or a rigid plastic material. Next, the upper load part (224) and the lower load part (225) are connected through the knee joint part (221), and at this time, the knee joint part (221) may have an upper hinge axis (226a) connected to the upper load part (224) and a lower hinge axis (226b) connected to the lower load part (225). That is, it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in a range of 0 to 180° through the upper/lower hinge axes (226a, 226b) connecting the knee joint (2121) and the leg (220).

또는, 무릎 관절부(221)의 상부 로드부(224)와 연결되는 상부 힌지축(226a)은 제1 관절연결부(227a)와 결합되어 상부 다리부와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부 로드부(225)와 연결되는 하부 힌지축(226b)은 제2 관절연결부(227b)와 연결되어 하부 다리부과 연결되어 지지된다.Alternatively, the upper hinge axis (226a) connected to the upper load portion (224) of the knee joint portion (221) is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connection portion (227a) and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leg portion, and the lower hinge axis (226b) connected to the lower load portion (225) is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connection portion (227b) and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leg portion.

이때, 상부 및 하부 힌지축(226a, 226b)의 중심에는 소정 직경의 제1 및 제2 힌지공을 형성하고, 제1 관절연결부(227a)의 상부 힌지축(226a)가 상기 제1 힌지공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결합되고, 제2 관절연결부(227)의 하부 힌지축(226b)가 상기 제2 힌지공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결합된다.At this tim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of predetermined diameters are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upper and lower hinge axes (226a, 226b), and the upper hinge axis (226a) of the first joint connecting portion (227a) is connected by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hinge hole and is combined, and the lower hinge axis (226b) of the second joint connecting portion (227) is connected by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hinge hole.

또한, 제1 관절연결부(227a)에는 상부 힌지축(226a)과 연결되는 상부 로드부(224)는 일측에 펀칭을 통해 쓰루홀(through hole)을 형성하고, 쓰루홀의 내부로 무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무두 볼트를 통해 상부 로드부(224)와 결합시키는 외부 하우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절연결부(227b)에는 하부 힌지축(226b)과 연결되는 하부 로드부(225)는 일측에 펀칭을 통해 쓰루홀(through hole)을 형성하고, 쓰루홀의 내부로 무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무두 볼트를 통해 하부 로드부(225)와 결합시키는 외부 하우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rod part (224) connected to the upper hinge axis (226a) may further have an external housing added to form a through hole on one side through punching, insert a headless bolt into the through hole, and connect it to the upper rod part (224) through the headless bolt. In addition, the second joint connection part (227b) may further have an external housing added to form a through hole on one side through punching, insert a headless bolt into the through hole, and connect it to the lower rod part (225) through the headless bolt.

또한, 사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라 상부 다리부의 상부 로드부(224)의 가변길이에 대응되게 무릎 관절부(221)의 상부 및 하부 힌지축(226a, 226b)의 회전량을 설정하여 상기 힌지축의 가변길이에 따른 회전량 조절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upper and lower hinge axes (226a, 226b) of the knee joint (221) is set to correspond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upper load part (224) of the upper leg part depending on the user's walking state, so that the amount of rot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hinge axes.

또한, 다리부(220)는 상부의 모드 변환부(210)와 제1 및 제2 와이어(218a, 218b)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1 또는 제2 와이어(218a, 218b)를 각각 상부 다리부와 하부 다리부에 고정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지그(222a, 22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모드 변환부(210)가 캠팔로워의 동작을 통해 제1 및 제2 와이어(218a, 218b)의 장력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반력의 생성되지 않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 section (220) is connected to the upper mode conversion section (2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s (218a, 218b), and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wire jigs (222a, 222b) that fix the first or second wires (218a, 218b) to the upper leg section and the lower leg section,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ode conversion section (210) controls the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218a, 218b)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am follower, and thereby controls the generation of a reaction force.

또한, 다리부(220)의 상부에는 지지부(110)의 좌우측의 양방향에서 연결되고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맞게 상기 지지부(110)상의 상기 유아의 체중 또는 물품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보행 또는 주행 상태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여 이동을 손쉽게 하는 이동 보조부(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leg part (22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assistance part (120) that is connected in both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art (110) and adjusts the angle according to the walking or driving state while distributing the weight of the infant or the load of the object on the support part (110)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tate, thereby facilitating movement.

도 3은 도 2의 운송장치(200)에서 걷기 모드(mode1)와 앉기 모드(mode2)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4은 도 2의 운송장치(200)에서 걷기 모드(mode 1)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걷기 모드(mode 1)에서 림(limb) 상태(phase)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운송장치(200)에서 앉기 모드(mode 2)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앉기 모드(mode 2)에서 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process of a walking mode (mode 1) and a sitting mode (mode 2) in the transport device (200) of FIG. 2, FIG. 4 is a drawing explaining a walking mode (mode 1) in the transport device (200) of FIG. 2, FIG. 5 is a drawing explaining a limb phase in the walking mode (mode 1) of FIG. 4, FIGS. 6 and 7 are drawings explaining a sitting mode (mode 2) in the transport device (200) of FIG. 2, and FIG. 8 is a drawing explaining a limb phase in the sitting mode (mode 2) of FIGS. 6 and 7.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200)에서 걷기 모드와 앉기 모드의 제어 동작을 살펴본다.Referring to FIGS. 3 to 8, the control operations of the walking mode and the sitting mode in the transport device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200)는, 사용자가 걷기 모드 또는 앉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입력부(미도시)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걷기 동작 또는 앉기 동작에서 상기 와이어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엔코더(미도시)와, 상기 선택된 모드에서의 설정값과 상기 엔코더에서 측정된 회전각 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회전각 값이 상기 설정값 이하에서 유지하도록 상기 모터 제어흘 통해 상기 캠팔로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First, a transport device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input unit (not shown)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walking mode or a sitting mode, an encoder (not shown) that measures a rotation angle of the wire in the user's current walking or sitting motion, and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a set value in the selected mode with a rotation angle value measured by the encod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 follower through the motor control loop so that the measured rotation angle value is maintained below the set valu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걷기 모드를 선택하면(S101), 사용자 걷기 모드의 초기값은 θmode1 ≤ 90°이고, 상기 초기값 θmode1 에서는 초기 가스 스프링이 예압되어 안늘어지고 뻑뻑한 상태로 사용자의 걷기 모드시의 반력이 생성되기 때문에 운송장치를 사용하여 물건을 이송시에 사용자에게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팔로워의 가스 스프링의 반력이 생성되지 않도록 무릎 관절부(211)에서 와이어 설정값 θknee1 ≤ 35°이다. 이때, 설정값은 무릎 각도로서 중력방향의 수직선에서 사용자 보행 동작에 따른 와이어 동작으로 생성된 회전 각도를 의미하며, 무릎 각도로서 설정값이 θknee1 즉, 35°이하 일때 와이어장력이 없고 가스 스프링 반력이 생성되지 않고 가스 스프링의 예열없이 손쉽게 걷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5, when the user first selects the walking mode (S101), the initial value of the user's walking mode is θ mode1 ≤ 90°, and at the initial value θ mode1 , the gas spring is initially preloaded and does not stretch, but is stiff, and a reaction force is generated when the user is in the walking mode, so that a lot of force is applied to the user when transporting an object using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5, the wire setting value θ knee1 ≤ 35° at the knee joint part (211) is used so that the reaction force of the gas spring of the cam follower is not generated. At this time, the setting value means the rotation angle generated by the wire movement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in the vertical line of the direction of gravity as the knee angle, and when the setting value as the knee angle is θ knee1 , that is, 35° or less, there is no wire tension, the gas spring reaction force is not generated, and the walking mode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out preheating the gas spring.

이어, 사용자가 보행을 시작하고 엔코더를 통해 현재 사용자 보행시의 무릎각도(와이어 회전량)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릎각도로서 상기 와이어 회전각도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현재 수신된 와이어 회전각도가 35°를 초과하면 모터를 구동하여 캠을 반시계방향으로 θmode1 만큼 회전시키고 캠팔로워 동작을 통해 와이어 회전각도를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θknee1 (≤ 35°) 이하 값을 갖도록 유지한다(S102, S103, S104). Then, when the user starts walking, the current knee angle (wire rotation amount) while the user is walking is measured through the encoder, and the wire rotation angle is received as the measured knee angle. If the currently received wire rotation angle exceeds 35°,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cam counterclockwise by θ mode1, and maintains the wire rotation angle to be less than θ knee1 (≤ 35°) at which no tension is generated through cam follower operation (S102, S103, S104).

가령,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걷기 모드에서 가스 스프링에서 반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터가 상기 원판캠(211)을 반시계 방향으로 θmode1 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원판캠(211)과 선접촉하는 지지링크(214)는 중력방향(지면에서 수직방향)에서 상부쪽으로 경사가 더 기울어지면서 와이어(215)를 당기게 되고, 지지링크(214)와 연결된 링크 힌지축(216)의 회전에 따라 가스 스프링(215)은 캠팔로워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중력방향에서 하부쪽으로) 스프링이 인장되게 하여 반력이 생성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상태는 상호 인장력이 팽팽한 상태에서 이완되어 다소 와이어가 헐거워지면서 가스스프링의 부하를 줄여주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가 헐거워지는 이완상태에서는 사용자 걷기 모드에서 보행 동작에서 걷기 쉽게 만들어준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motor rotates the disc cam (211) counterclockwise by θ mode1 so that no reaction force is generated from the gas spring in the user walking mode, the support link (214)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c cam (211) is inclined more upwardly in the direction of gravit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o pull the wire (215),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 hinge axis (216)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14), the gas spring (215) is tens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am follower movement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no reaction force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wire state is relaxed from a state where the mutual tensile force is tight, and the wire is somewhat loosened,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gas spring. In this loosened state, the wire makes it easy to walk in the walking motion in the user walking mode.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앉기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 앉기 모드의 초기값은 θmode2 ≤ 90°이고, 상기 초기값 θmode2 에서는 초기 가스 스프링이 예압되어 안늘어지고 뻑뻑한 상태로 사용자의 앉기 모드시에 반력이 생성되기 때문에 운송장치를 사용하여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앉기 모드 수행시에 사용자에게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어 무릎을 굽히게 어렵게 된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팔로워의 가스 스프링의 반력이 생성되지 않도록 무릎 관절부(211)에서 와이어 설정값 θknee2 ≤ 45°이다. 이때, 설정값은 무릎 각도로서 중력방향의 수직선에서 사용자 앉기 동작에 따른 와이어 동작으로 생성된 회전 각도를 의미하며, 무릎 각도로서 설정값이 θknee2 즉, 45°이하 일때 와이어장력이 없고 가스 스프링 반력이 생성되지 않아 가스스프링의 예열없이 앉기 편한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앉기 동작을 시작하고 엔코더를 통해 현재 사용자 앉기 동작에서 무릎각도(와이어 회전량)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릎각도로서 상기 와이어 회전각도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6 to 8, when the user selects the sitting mode, the initial value of the user sitting mode is θ mode2 ≤ 90°, and at the initial value θ mode2 , the initial gas spring is preloaded and does not stretch, and is stiff, so that a reaction force is generated when the user is in the sitting mode, and therefore, when the user performs the sitting mode to lift an object using a transport device, a lot of force is applied to the user, making it difficult to bend the knees.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8, the wire setting value θ knee2 ≤ 45° at the knee joint part (211) is used so that the reaction force of the gas spring of the cam follower is not generated. At this time, the setting value means the rotation angle generated by the wire movement according to the user's sitting motion in the vertical line of the direction of gravity as the knee angle, and when the setting value as the knee angle is θ knee2 , that is, 45° or less, there is no wire tension and the gas spring reaction force is not generated, so that a comfortable sitting angle can be maintained without preheating the gas spring. Next, the user starts a sitting motion, and the knee angle (wire rotation amount) in the current user sitting motion is measured through an encoder, and the wire rotation angle is received as the measured knee angle.

이어, 제어부는 현재 와이어 회전각도가 45°를 초과하면 모터를 구동하여 캠을 반시계방향으로 θmode2 만큼 회전시키고 캠팔로워 동작을 통해 와이어 회전각도를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θknee2 (≤ 45°) 이하 값을 갖도록 유지한다(S202, S203, S204, S205, S206). Next, if the current wire rotation angle exceeds 45°,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cam counterclockwise by θ mode2 and maintains the wire rotation angle to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θ knee2 (≤ 45°) at which no tension is generated through cam follower operation (S202, S203, S204, S205, S206).

가령,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앉기 모드에서 가스 스프링에서 반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터가 상기 원판캠(211)을 반시계 방향으로 θmode2 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원판캠(211)과 선접촉하는 지지링크(214)는 중력방향(지면에서 수직방향)에서 상부쪽으로 경사가 더 기울어지면서 와이어(215)를 당기게 되고, 지지링크(214)와 연결된 링크 힌지축(216)의 회전에 따라 가스 스프링(215)은 캠팔로워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중력방향에서 하부쪽으로) 스프링이 인장되게 하여 반력이 생성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상태는 상호 인장력이 팽팽한 상태에서 이완되어 다소 와이어가 헐거워지면서 가스스프링의 부하를 줄여주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가 헐거워지는 이완상태에서는 사용자 앉기 모드에서 앉기 동작이 수월하도록 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A, when the motor rotates the disc cam (211) counterclockwise by θ mode2 so that no reaction force is generated from the gas spring in the user sitting mode, the support link (214)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c cam (211) is tilted more up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o pull the wire (215), and the gas spring (215) is tens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am follower movement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 hinge axis (216)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14) so that no reaction force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wire state is relaxed from a state where the mutual tensile force is tight, and the wire is somewhat loosened,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gas spring. In this loosened state, the sitting motion is made easy in the user sitting mode.

여기서, 도 7 및 도 8에서 θend 는 스쿼드 자세와 같이 완전 앉기 동작의 상태를 말하며, θend ≤ 60° 범위를 갖고 무릎 각도가 θknee2 (≤ 45°)이상 θend ≤ 60°이하일 때에서 무릎 각도가 커질수록 와이어 장력도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캠팔로워 동작을 증가시켜 회전각도를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θknee2 (≤ 45°) 이하 값을 갖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Here, in FIGS. 7 and 8, θ end refers to a state of a complete sitting motion such as a squat posture, and has a range of θ end ≤ 60°. When the kne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θ knee2 (≤ 45°) and less than or equal to θ end ≤ 60°, the wire tension increases as the knee angle increas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am follower motion to maintain the rotation angle to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θ knee2 (≤ 45°) at which tension is not gen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는 다리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모드 변환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일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링크가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여 힘을 증폭시킬 수 있어 가스 스프링이 부담하는 힘은 반면에 지렛대 효과만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스스프링을 컴팩트(compact)한 소형장치로 구현하거나 저기능 제품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amplify the force by having at least one support link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in the mode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bridge unit through the wire, thereby reducing the force borne by the gas spring by the amount of the lever effect. Through this, the gas spring can be implemented as a compact small device, or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with a low-function product, resulting in a cost reduction effect.

또한, 캠팔로워 구조를 적용하여 가스 스프링의 예압에 따른 팽팽한 와이어 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걷기 모드에서나 앉기 모드에서 모터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낮은 출력의 모터로서도 구현가능하고 전원공급장치로서 배터리도 낮은 정격의 파워로도 충분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cam follower structure, the taut wire state due to the preload of the gas spring can be loosened, thereby reducing the motor driving force in walking mode or sitting mode,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even with a low output motor, and as a power supply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battery with a low rated power is sufficient.

또한, 모터 구동의 제어시에 캠의 회전축 중심에서 선접촉하는 팔로워 까지의 캠의 직경값을 크게 하면 모멘텀이 증가하게 되고 캠의 모터에 작은 출력(인가되는 입력전압 또는 입력파워를 작게 설정할 수 있음)이 가능하여 저전력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캠의 직경값을 그대로 하고 와이어가 캠팔로워인 지지 링크에 연결되는 위치(접촉점)을 수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위치변경(shift)하거나 캠과 가스스프링이 연결되는 링크 힌지축의 설치 위치를 수평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위치변경(shift) 하는 형태로 설치 위치를 가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 장력을 증가시켜 작은 출력의 모터를 사용한 컴팩트 소형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즉, 인가 되는 입력전압 또는 입력파워를 작게 설정함). In addition, when controlling the motor drive, if the diameter value of the cam from the center of the cam's rotation axis to the follower in line contact is increased, the momentum increases and a small output (the applied input voltage or input power can be set small) can be achieved for the cam motor,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as a low-power device. In addition, by keeping the diameter value of the cam as it is and changing the position (contact point) at which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which is the cam follower,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or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nk hinge axis where the cam and the gas spring are connect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the wire tension can be increased,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pact small device using a small-output motor (i.e., setting the applied input voltage or input power small).

또한, 모드 변환부는 캠팔로워 동작이 좌우 대칭형 구조이므로 좌측 캠의 제1 캠팔로워 동작과 우측 캠의 제2 캠팔로워 동작은 중심축을 상태로 상호 대칭적으로 회전 및 동작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mode conversion section has a cam follower operation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left and right, the first cam follower operation of the left cam and the second cam follower operation of the right cam rotate and operat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and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200: 운송장치
110: 지지부
120: 이동 보조부
130: 무릎형 관절부
140: 바닥면 접촉부
150, 220: 다리부
210: 모드 변환부
100, 200: Transport device
110: Support
120: Movement Assistance Unit
130: Knee joint
140: Bottom surface contact area
150, 220: Legs
210: Mode converter

Claims (8)

유아 또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제1 및 제2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캠팔로워의 동작에 따라 걷기 모드와 앉기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변환부와;
다리 형태로서 상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양방향에서 연결되는 상부 다리부와, 하부의 바닥면과 연결하는 하부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변환부와 제1 및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지그를 포함하는다리부와;
무릎 형태로, 일측면은 상기 상부 다리부와 결합하여 이동 상태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타측면은 상기 하부 다리부와 결합하는 무릎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구조로서,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구동제어에 따라 제1 캠회전축 및 제2 캠회전축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캠구조와;
상기 제1 및 제2 캠구조를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운동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하는 제1 캠구조의 팔로워 및 제2 캠구조의 팔로워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A support for supporting a child or an object;
A mode conversion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to control the walking mode and the sitt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s;
A leg section having an upper leg sec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section in both directions at the upper part in the form of a leg section, and a lower leg sec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t the lower part,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wire jigs connected to the mode conversion s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to fix the wires;
In the form of a kne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leg part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knee joint part connected to the lower leg part;
The above first and second camp followers,
As a pair of structures composed of left and right symmetry,
First and second cam structures that rotate clockwise through the first cam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cam rotation shaft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 transport device including a follower of a first cam structure and a follower of a second cam structure that cause the first and second cam structures to move in a linear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ngular rotational motio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캠구조의 팔로워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구조로서,
상기 다리부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를 통해 제2 와이어 지그에 고정되고 제1 와이어 지그에 관통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일측 단부가 고정 힌지축을 통해 지지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캠구조와 접촉하면서 지지하고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연결하여 지렛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지지링크와;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링크와 제1 링크축 및 제2 링크축을 통해 연결되고 하부는 제1 및 제2 지지축을 통해 상기 지지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캠팔로워 동작에서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회복력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운송장치.
In paragraph 1.
The followers of the first and second cam structures above are,
As a pair of structures composed of left and right symmetry,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which are fixed to a second wire jig through first and second wir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leg section, respectively, and are configur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by penetrating the first wire ji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a support substrate through a fixed hinge axis, and which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am structures while contacting them, and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wires to one side to perform a lever function;
A trans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pring sections, the upper part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inks and the first link shaft and the second link shaft, and the lower part being fixed to the support substr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haf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ovement in the cam follower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사용자가 상기 걷기 모드 또는 앉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걷기 동작 또는 앉기 동작에서 상기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회전각 값을 측정하는 엔코더와,
상기 모드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서의 설정값과 상기 엔코더에서 측정된 회전각 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회전각 값이 상기 설정값 이하에서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모터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mode conversion unit is,
A mode input section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the above walking mode or sitting mode,
An encoder for measuring the rotation angle values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n the current walking or sitting motion of the user,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a set value in a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input unit with a rotation angle value measured from the encoder and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tor controls so that the measured rotation angle value is maintained below the set val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걷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걷기 모드의 초기값은 θmode1 ≤ 90°이고,
상기 무릎 관절부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설정값 θknee1 ≤ 35°이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설정값은 무릎 각도로서 중력방향의 수직선에서 사용자 보행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동작으로 생성된 회전 각도를 의미하는, 운송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When the user selects the walking mode through the above mode input section,
The initial value of the above walking mode is θ mode1 ≤ 90°,
In the above knee joint, the first and second wire setting values θ knee1 ≤ 35°,
A transport device in which the above first and second wire setting values are knee angles, which represent rotation angles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wire movements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motion from a vertical lin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보행을 시작하고 상기 엔코더를 통해 현재 사용자 보행시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량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각도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각도가 35°를 초과하면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캠구조를 반시계방향으로 θmode1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각도를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θknee1 (≤ 35°) 이하 값을 갖도록 유지하는, 운송장치.
In paragraph 4,
When the user starts walking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mounts during the current user's walking are measured through the encoder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ngles are received as the measured rotation amounts,
A transport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cam structures counterclockwise by θ mode1 when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ngles exceed 35°, and maintains the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ngles to have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θ knee1 (≤ 35°) at which no tension i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 opera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앉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앉기 모드의 초기값은 θmode2 ≤ 90°이고,
상기 무릎 관절부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설정값 θknee2 ≤ 45°이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설정값은 무릎 각도로서 중력방향의 수직선에서 사용자 앉기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동작으로 생성된 회전 각도를 의미하는, 운송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If the user selects the sitting mode through the above mode input section,
The initial value of the above sitting mode is θ mode2 ≤ 90°,
In the above knee joint, the first and second wire setting values θ knee2 ≤ 45°,
A transport device in which the above first and second wire setting values are knee angles, which are rotation angles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wire movements according to the user's sitting motion from a vertical lin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앉기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엔코더를 통해 현재 사용자 앉기 동작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량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각도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각도가 45°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캠구조 및 제2 캠구조를 반시계방향으로 θmode2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캠팔로워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회전각도를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θknee2 (≤ 45°) 이하 값을 갖도록 유지하는, 운송장치.
In Article 6,
When the user starts a sitting motion and the encoder measures the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mounts in the current user sitting motion and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ngles as the measured rotation amounts,
A transport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and second motors to rotate the first cam structure and the second cam structure counterclockwise by θ mode2 when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ngles exceed 45°, and maintains the first and second wire rotation angles to have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θ knee2 (≤ 45°) at which no tension i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m follower oper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다리부는 중공부를 갖는 봉타입 구조물로서 상부 로드부와 하부 로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로드부 상기 무릎 관절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상부 로드부와 연결되는 상부 힌지축은 제1 관절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다리부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하부 로드부와 연결되는 하부 힌지축은 제2 관절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다리부과 연결되어 지지되는, 운송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upper and lower leg parts are hollow rod-type structures having an upper load part and a lower load part,
The upper and lower load parts are connected through the knee joint,
A transport device wherein the upper hinge axis connected to the upper load s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connecting section and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leg section, and the lower hinge axis connected to the lower load sec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connecting section and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leg section.
KR1020250017897A 2022-04-30 2025-02-12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Pending KR202500240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17897A KR20250024034A (en) 2022-04-30 2025-02-12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74A KR20230154118A (en) 2022-04-30 2022-04-30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KR1020250017897A KR20250024034A (en) 2022-04-30 2025-02-12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74A Division KR20230154118A (en) 2022-04-30 2022-04-30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4034A true KR20250024034A (en) 2025-02-18

Family

ID=887471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74A Ceased KR20230154118A (en) 2022-04-30 2022-04-30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KR1020250017897A Pending KR20250024034A (en) 2022-04-30 2025-02-12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74A Ceased KR20230154118A (en) 2022-04-30 2022-04-30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5411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20843A1 (en) 2016-07-22 2018-01-25 Jason Hornor Wearable Portable Baby Changing Table
KR101829876B1 (en)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Baby carr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20843A1 (en) 2016-07-22 2018-01-25 Jason Hornor Wearable Portable Baby Changing Table
KR101829876B1 (en)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118A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35B1 (en) Exercise aids
US10130535B2 (en) Four bar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lowering, exercise and self-propelled transit
JP6307023B2 (en) Transportation equipment
CN106214368A (en) A kind of novel seat mechanism and be provided with the wheel-chair of this chair mechanism
KR20150098321A (en) Hybrid baby carrier
DE60207423D1 (en) BACKPACK HIP WITH BELTED SUPPLEMENTS AND SUPPORT STRUCTURE
CA2460230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load and suitable attaching device
KR20250024034A (en) transporter for goods or carrier for child for using sit down mode easily
CN106137576A (en) A kind of novel Wheelchair for patient standing car
KR101736329B1 (en) Walking device by spring
US12096866B2 (en) Infant carrier or article carrier
US20040112415A1 (en) Walkable leg crutch
CN2136653Y (en) Recovering bed
EP0497750B1 (en) Bench for ground level low surfaced work
CN209315005U (en) A kind of labour protection device for paving operation
CN206315209U (en) A kind of novel seat mechanism and the wheel-chair provided with the chair mechanism
CN218891869U (en) Reverse support type load exoskeleton
PT1020206E (en) MUSCULATION APPARATUS
CN115888039B (en) Passive exoskeleton pole climbing foot buckle
CN2904760Y (en) Back carrying device
KR200498417Y1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CN206730060U (en) A kind of chair mechanism and the standing rehabilitation wheelchair car provided with the chair mechanism
CN211163926U (en) Buttock support structure of walking device
KR200287445Y1 (en) A pair of crutches
EP0836821A2 (en) An improved portable seat and knee-res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2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043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05387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