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3889A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3889A
KR20250023889A KR1020230135994A KR20230135994A KR20250023889A KR 20250023889 A KR20250023889 A KR 20250023889A KR 1020230135994 A KR1020230135994 A KR 1020230135994A KR 20230135994 A KR20230135994 A KR 20230135994A KR 20250023889 A KR20250023889 A KR 2025002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utdoor unit
compressor
bolt
caul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문
김승엽
정재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4178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506628A1/en
Publication of KR2025002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3889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의 하면판에 설치되는 베이스(base); 상기 하면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방진 부재; 및 냉매 흡입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압축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기계실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강체 결합 구조(rigid coupling structure)로 상기 베이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상기 압축기,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므로, 압축기의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rises: a case forming an exterior of the outdoor unit; a base installed on a lower plate of the case; a dustproof member supporting the bas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base; and a compressor and an accumulat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suction pipe, and may include machine room components installed on the base, and the compressor and the accumulator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ase by a rigid coupling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compressor, the accumulator, and the base move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so that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pe and discharge pipe of the compressor can be effectively reduced.

Description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명세서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기계실에 설치되는 기계실 부품 간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흡토출 배관의 응력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stress and vibration of an intake/exhaust pipe caused by relative motion between machine room components installed in a machine room provided inside a case of the outdoor unit.

통상적으로, 공기 조화장치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각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실외에 설치되어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로 이루어진다.Typically, an air conditioner consists of an indoor unit installed indoors to cool the indoor space,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by refrigerant piping, and installed outdoors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의 케이스는, 전방 케이싱, 후방 케이싱 및 상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전방 케이싱 또는 후방 케이싱 중 하나는 하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of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front casing, a rear casing, and a top plate, and one of the front casing or the rear casing may include a bottom plate.

하지만, 하면판은 전방 케이싱 또는 후방 케이싱과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However, the lower plat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ont casing or the rear casing.

실외기의 하면판에는 응축기(열 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응축기의 옆에 마련된 빈 공간(이하, "기계실"이라 함)의 상기 하면판에는 압축기, 어큐뮬레이터, 오일 세퍼레이터와 같은 다수의 기계실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A condenser (heat exchanger)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of the outdoor unit, and a number of machine room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n accumulator, and an oil separator,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of the empty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chine room”) provided next to the condenser.

여기에서, "기계실 부품"은 냉매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부품을 의미한다.Here, “machine room components” means compon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part of the refrigeration cycle using refrigerant.

그리고,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토출부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는 상기 압축기의 흡입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의 흡입부와 상기 압축기의 토출부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 배관 측에 연결된다.A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accumulator and the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ction pipe of the compressor, and the suction portion of the oil separator a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mpressor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side of the compressor.

그런데, 상기 압축기는 구동 시에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압축기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소음 및 압축기의 흡토출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그로멧(grommet)과 같은 방진 고무를 사용하여 압축기를 설치하고 있다.However, the above compressor generates a certain amount of vibration when operating.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noise caused by vibration generated when operating the compressor and stress generated in the suction/discharge pipe of the compressor, the compressor is usually installed using vibration-proof rubber such as a grommet.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elow,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의 한 예(이하, "비교예 1"이라 함)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10)의 저부에 고정된 고정판(20)에는 복수 개의 고정단(21)이 구비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단(21)에는 그로멧(3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그로멧 삽입 구멍(23)이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fixed plate (20) fixed to the bottom of a compressor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ed ends (21), and a grommet insertion hole (23) into which an upper end of a grommet (30)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fixed ends (21).

그리고 실외기 케이스의 하면판(40)에는 코킹 볼트(51)와 너트(53)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50)에 의해 그로멧(30)이 결합되어 있고, 고정판(20)의 고정단(21)에 구비된 그로멧 삽입 구멍(23)에는 그로멧(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로멧(30)과 고정판(20)은 볼트(51)와 너트(53)에 의해 하면판(40)에 결합되어 있다.And, a grommet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40) of the outdoor unit case by a fastening member (50) including a caulking bolt (51) and a nut (53), and the upper part of the grommet (30) is inserted into a grommet insertion hole (23) provided in the fixed end (21) of the fixed plate (20), and the grommet (30) and the fixed plate (20) ar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40) by a bolt (51) and a nut (53).

그리고 압축기(10)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어큐뮬레이터(60)에는 브래킷(61)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어큐뮬레이터(60)에 고정된 브래킷(61)은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면판(40)에 강체 결합 구조(rigid coupling structure)로 결합되어 있다.And a bracket (61) is fixed to an accumulator (60) arranged adjacent to a compressor (10), and the bracket (61) fixed to the accumulator (60) is connected to a lower plate (40) as a rigid coupling structure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여기에서, "강체 결합 구조"는 강체(rigid body)로 형성된 2개의 피체결 요소(fastened element)를 강체로 형성된 체결 부재(예,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한 구조를 말한다.Here, the term “rigid joint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two fastened elements formed as rigid bodies are joined by fastening members formed as rigid bodies (e.g., bolts and nuts).

그리고,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압축기(10)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어큐뮬레이터(60)와 동일한 방식, 즉 강체 결합 구조로 하면판(40)에 결합되어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n oil separator (not shown) arranged adjacent to 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40) in the same manner as the accumulator (60), that is, with a rigid joint structure.

그리고 압축기(10)의 흡입부와 어큐뮬레이터(60)의 토출부는 압축기(10)의 흡입 배관(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기(10)의 토출부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의 흡입부는 압축기(10)의 토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And th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discharge part of the accumulator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uction pipe (11)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discharge part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suction part of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of the compressor (10).

따라서, 어큐뮬레이터(60)의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압축기(10)의 흡입 배관(11)을 통해 압축기(10)의 흡입부에 공급되며, 압축기(10)의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압축기(10)의 토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의 흡입부에 공급된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accumulator (60) is supplied to the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10) through the suction pipe (11)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upplied to the suction portion of the oil separator (not shown) through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of the compressor (10).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압축기(10)는 유연 재질로 형성된 그로멧(30)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어큐뮬레이터(60) 및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하면판(40)에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0)의 구동 시에 압축기(10)는 어큐뮬레이터(60) 및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와는 다른 거동 패턴으로 거동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mpressor (10) is coupled to a grommet (30)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while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re coupled to the lower plate (40) as a rigid joint structure, so that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e compressor (10) behaves in a different behavior pattern from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즉, 어큐뮬레이터(60)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강체 체결 구조(rigid coupling structure)에 의해 하면판(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0)의 구동 시에, 어큐뮬레이터(60)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That is, since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40) by a rigid coupling structure,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re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하지만, 압축기(10)의 고정판(20)은 그로멧(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0)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압축기의 위치는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fixed plate (20) of 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grommet (30), the position of the compressor changes in the up-down and/or left-right directions due to vibrations that occur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따라서, 압축기(10)의 구동 시, 압축기(10)와 어큐뮬레이터(60) 간 및 압축기(10)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 간에는 상대 운동이 발생하며, 상기 상대 운동으로 인해, 압축기(10)의 흡입 배관(11)과 토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에는 진동 및 응력이 작용한다.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relative motion occurs between the compressor (10) and the accumulator (60) and between the compressor (1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nd due to the relative motion, vibration and stress are applied to the suction pipe (11) and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of the compressor (1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흡입 배관(11)과 토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상기 압축기(10)의 흡입 배관(11)과 토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To solve these problems, the suction pipe (11) and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have been formed to be long in the past, thereby reducing the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pe (11) and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of the compressor (10).

그런데, 흡입 배관(11)과 토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기계실 공간을 확장시켜야 하므로 실외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outdoor unit increases because the machine room space must be expanded when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11) and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is increased.

또한, 비교예 1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너트(53)는 그로멧(30)과는 접촉하지만, 고정판(20)의 고정단(21)과는 일정한 간격(D1)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단(21)에 작용하는 너트(53)의 지지력이 약하며, 이로 인해, 그로멧(30)의 변형에 따른 압축기(10)의 변위가 더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nut (53) is in contact with the grommet (30),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end (21) of the fixed plate (20) by a certain distance (D1). Therefore, the support force of the nut (53) acting on the fixed end (21) is weak, an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compressor (10) occurs more significantly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grommet (30).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이하, "비교예 2"이라 함)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ative Example 2”).

도 3의 설치 구조는 일본 특허공보 제6935834호 및 중국 실용신안특허 211116608Y에도 각각 개시되어 있다.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Fig. 3 is also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6935834 and Chinese Utility Model Patent No. 211116608Y,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2는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하면판(40)에 제1 그로멧(30)을 체결하고, 제1 그로멧(30)에는 베이스(70)를 체결하며, 베이스(70)에는 제2 그로멧(35)을 이용하여 압축기(10)를 체결하고, 어큐뮬레이터(60)와 오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강체 결합 구조로 베이스(70)에 체결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Comparative Example 2 uses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to fasten a first grommet (30) to a lower plate (40), a base (70) is fastened to the first grommet (30), a compressor (10) is fastened to the base (70) using a second grommet (35), and an accumulator (60) and an OL separator (not shown) are fastened to the base (70) in a rigid joint structure.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압축기(10)는 제2 그로멧(35)에 체결되어 있는 반면에 어큐뮬레이터(60) 및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는 베이스(70)에 강체 결합 구조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0)의 구동 시에 압축기(10)는 어큐뮬레이터(60) 및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과 서로 다른 거동 패턴으로 거동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grommet (35), while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base (70) in a rigid joint structure, so that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e compressor (10) operates in a different operation pattern from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즉, 어큐뮬레이터(60)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가 베이스(70)에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0)의 구동 시에, 어큐뮬레이터(60)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 및 베이스(70)는 동일한 거동 패턴에 따라 거동한다.That is, since the accumulator (6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re rigidly coupled to the base (70),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e accumulator (60),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nd the base (70) behave according to the same behavior pattern.

하지만, 압축기(10)는 유연 재질의 제2 그로멧(3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0)의 구동 시, 압축기(10)는 어큐뮬레이터(60),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 및 베이스(70)와는 다른 거동 패턴에 따라 거동한다.However, since the compressor (10) is coupled to the second grommet (35)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e compressor (10) operates according to a different operation pattern from the accumulator (60),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nd the base (70).

따라서, 제1 및 제2 그로멧을 구비하는 비교예 2의 실외기는 비교예 1의 실외기에 비해 압축기(10)의 진동을 좀 더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압축기(10)와 어큐뮬레이터(60) 간 및 압축기(10)와 오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 간에 상대 운동이 발생하므로, 전술한 비교예 1의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Accordingly, the outdoor unit of Comparative Example 2 having the first and second grommets can reduce the vibration of the compressor (10) more than the outdoor unit of Comparative Example 1, but, as in Comparative Example 1, relative motion occurs between the compressor (10) and the accumulator (60) and between the compressor (10) and the oil separator (not shown), and therefore, it contains the same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outdoor unit of Comparative Example 1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capable of solving at least one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와 함께 기계실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 및 오일 세퍼레이터 등의 기계실 부품들이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에 상기 압축기와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machine room components, such as an accumulator and an oil separator,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together with the compressor, behave in the same behavior pattern as the compressor when the compressor is operated.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의 흡입 배관과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the compressor.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의 흡입 배관과 토출 배관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length of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a compressor.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계실의 내부 공간을 컴팩트화 할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compactizing the internal space of a machine room.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음 및 차음을 위한 공간을 기계실의 내부 공간에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can easily secure space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in the interior space of a machine room.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의 저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구비된 고정단에 가해지는 너트의 조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tightening force of a nut applied to a fixed end provided on a fixed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a compressor.

본 명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의 하면판에 설치되는 베이스(base); 상기 하면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방진 부재; 및 냉매 흡입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압축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기계실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강체 결합 구조(rigid coupling structure)로 상기 베이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rises: a case forming an exterior of the outdoor unit; a base installed on a lower plate of the case; a dustproof member supporting the bas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base; and a compressor and an accumulat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suction pipe, and may include machine room components installed on the base, and the compressor and the accumulator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ase by a rigid coupling structure.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상기 압축기,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므로, 압축기의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compressor, the accumulator, and the base move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so that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pe and discharge pipe of the compressor can be effectively reduced.

또한,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배관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pipes can be reduced as the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are reduced.

따라서, 기계실의 내부 공간을 컴팩트화 할 수 있으며, 흡음 및 차음을 위한 공간을 기계실의 내부 공간에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ernal space of the machine room can be compacted, and space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can be easily secu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chine room.

상기 압축기는 제1 강체 결합 부재(rigid coupling member)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compressor can be coupled to the base by a first rigid coupling member.

상기 실외기는 상기 압축기의 저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판은 나사 삽입 구멍을 구비한 고정단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상기 고정단을 상기 베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The above out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ed plate fixed to a bottom of the compressor, the fixed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fixed ends having screw insertion holes, and the first rigid coupling member may couple the fixed ends of the fixed plate to the base.

본 명세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주 몸체, 및 상기 주 몸체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 개의 보조 몸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보조 몸체는 볼트 삽입 구멍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e may have a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may have a bolt insertion hole.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보조 몸체의 상기 볼트 삽입 구멍에 결합되는 코킹 볼트 및 상기 코킹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코킹 볼트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나사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이격된 코킹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caulking bolt coupled to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auxiliary body and a nut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aulking bolt, and the caulking bolt may have a head portion,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the thread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a caulk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head portion.

그리고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코킹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통부는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방진 부재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And the cocking portion,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of the cocking bolt may have a dustproof memb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dustproof member is inserted.

따라서, 기계실 부품이 강체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된 베이스를 실외기의 하면판 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방진 부재 삽입홈에 상기 방진 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상기 베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 can be installed by a simple operation of inserting the dust-proof member into the dust-proof member insertion groove while the base, to which the machine room parts are joined by a rigid joint structure, is positioned on the lower plate of the outdoor unit.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몸통부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단의 저면과 밀착할 수 있고, 상기 너트의 저면은 상기 고정단의 상면과 밀착할 수 있다.The tip of the body of the above-mentioned cocking bol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nu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따라서, 고정판의 고정단에 가해지는 너트의 조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tightening force of the nut applied to the fixed end of the fixed plate can be increased.

상기 복수 개의 보조 몸체는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는 코킹부 안착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may each have a caulking portion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caulking bolt is mounted.

따라서, 코킹 볼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assembly of the cocking bolt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 몸체의 일부와 상기 보조 몸체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한 보강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 base may have a reinforcing rib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portion of the auxiliary body.

따라서, 베이스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베이스에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base can be maintaine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 구멍을 구비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se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holes.

베이스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볼트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코킹 볼트 및 상기 코킹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코킹 볼트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base is formed in a flat shape, 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caulking bolt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base and a nut coupled to a threaded portion of the caulking bolt, and the caulking bolt may have a head portion,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the thread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몸통부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단의 저면과 밀착할 수 있고, 상기 너트의 저면은 상기 고정단의 상면과 밀착할 수 있다.The tip of the body of the above-mentioned cocking bol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nu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따라서, 고정판의 고정단에 가해지는 너트의 조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tightening force of the nut applied to the fixed end of the fixed plate can be increased.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한 보강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 base may have a reinforcing rib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above base.

따라서, 베이스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베이스에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base can be maintaine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다른 예로,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너트와 상기 고정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브래킷의 한쪽 단부는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몸통부에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rigid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nut and the fixed end,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being coupled to the body of the caulking bolt.

따라서, 고정판의 고정단에 가해지는 너트의 조임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tightening force of the nut applied to the fixed end of the fixed plate can be further increased.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rigid joint member may include a bolt, and the base may have a bolt joint to which the bolt is coupled.

본 명세서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부품은 냉매 토출 배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와 서로 연결되는 오일 세퍼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outdoor un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chine room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 oil separator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through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강체 결합 구조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상기 압축기,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베이스와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할 수 있다.The above oil separator can be coupled to the base with a rigid joint structure, and can move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as the compressor, the accumulator, and the bas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상기 압축기, 상기 어큐뮬레이터,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므로, 압축기의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compressor, the accumulator, the oil separator, and the base move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so that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pe and discharge pipe of the compressor can be effectively reduced.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제2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제3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브래킷은 제2 강체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브래킷은 제3 강체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The accumulator may have a second bracket, the oil separator may have a third bracket, the second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base by a second rigid coupling member, and the third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base by a third rigid coupling member.

본 명세서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따르면, 압축기와 함께 기계실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 및 오일 세퍼레이터 등의 기계실 부품들이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에 상기 압축기와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한다.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of this specification, machine room components such as an accumulator and an oil separator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together with the compressor operate with the same operation pattern as the compressor when the compressor is operated.

따라서, 종래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at least one of the problems occurring in conventional outdoor units for air conditioners can be solved.

본 명세서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따르면, 압축기의 흡입 배관과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of this specification,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the compressor can be reduced.

본 명세서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따르면, 압축기의 흡입 배관과 토출 배관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of this specification, the length of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the compressor can be reduced.

본 명세서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따르면, 기계실의 내부 공간을 컴팩트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of this specifica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chine room can be compact.

본 명세서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따르면, 흡음 및 차음을 위한 공간을 기계실의 내부 공간에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of this specification, a space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can be easily secured in the internal space of a machine room.

본 명세서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따르면, 압축기의 저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구비된 고정단에 가해지는 너트의 조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of this specification, the tightening force of a nut applied to a fixed end provided on a fixed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a compressor can be increased.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코킹 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그로멧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제1 실시 예의 흡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기계실 부품과 배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이용한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이용한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한 실시 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이용한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 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다른 실시 예에 사용되는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를 이용한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와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방사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are intended to provide an ai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which constitute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ed plat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cking bolt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rommet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the magnitude of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echanical room components and piping of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4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s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parts using the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one embodimen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parts using a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parts using the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FIG. 16.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parts using the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1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adiation noise of the ba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조립체"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assembly"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is specifica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있다거나 "접촉하고"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upled to"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or in direct contact with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present in between.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하고"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upled to" or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intervening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는 기계실 부품이 강체 결합 구조(rigid coupling structure)로 베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fore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 characteristic part of this specification will be explained first.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machine room part is coupled to a base with a rigid coupling structure.

여기에서, "강체 결합 구조"는 강체(rigid body)로 형성된 2개의 피체결 요소(fastened element)를 강체로 형성된 체결 부재(예,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한 구조를 말한다.Here, the term “rigid joint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two fastened elements formed as rigid bodies are joined by fastening members formed as rigid bodies (e.g., bolts and nuts).

그리고, "기계실 부품"은 냉매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압축기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오일 세퍼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machine room components" means compon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a part of a refrigeration cycle using a refrigerant, and may include a compressor and an accumulator, and additionally, may further include an oil separator.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기계실 부품이 상기 베이스와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므로, 압축기의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machine room components move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as the base, so that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the compressor can be effectively reduced.

이하에서는 기계실 부품이 압축기, 어큐뮬레이터 및 오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수적이지는 않다.In the following, the machine room components are described as including a compressor, an accumulator, and an oil separator, but this is not essential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예를 들면, 기계실 부품은 압축기, 어큐뮬레이터 및 오일 세퍼레이터 외에 다른 요소(elemen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achine room components may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compressor, accumulator, and oil separator.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 부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machine room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를 포함한다.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outdoor unit.

케이스는, 전방 케이싱, 후방 케이싱 및 상면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전방 케이싱 또는 후방 케이싱 중 하나는 하면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front casing, a rear casing and a top plate, and either the front casing or the rear casing may include a bottom plate (110).

하지만, 하면판(110)은 전방 케이싱 또는 후방 케이싱과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However, the lower plate (11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ont casing or the rear casing.

실외기의 하면판(110)에는 응축기(열 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응축기의 옆에 마련된 빈 공간(이하, "기계실"이라 함)의 상기 하면판(110)에는 다수의 기계실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A condenser (heat exchanger)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110) of the outdoor unit, and a number of machine room components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110) of the empty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chine room”) provided next to the condenser.

여기에서, "기계실 부품"은 냉매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의 일부분을 담당하는 부품을 의미한다.Here, “machine room components” means compon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part of the refrigeration cycle using refrigerant.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계실 부품이 압축기(120), 어큐뮬레이터(130), 오일 세퍼레이터(14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achine room components are described as including a compressor (120), an accumulator (130), and an oil separator (140), but this is not essential.

그리고, 본 실시 예의 실외기는 기계실 부품을 하면판(110)에 설치하기 위한 부재, 예를 들면, 고정판(150), 베이스(160), 방진 부재(170), 제1 강체 결합 부재(180), 제2 강체 결합 부재(191) 및 제3 강체 결합 부재(19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ember for installing the machine room component on the lower plate (110), for example, a fixed plate (150), a base (160), a vibration-proof member (170), a first rigid body coupling member (180), a second rigid body coupling member (191), and a third rigid body coupling member (193).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기(120)의 저부에는 고정판(150)이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a fixed plate (15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120).

고정판(150)은 압축기(120)를 베이스(16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판(150)에 구비된 복수 개의 고정단(151)에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의 코킹 볼트(181)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1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plate (150) is for fixing the compressor (120) to the base (160), and a plurality of fixed ends (151) provided on the fixed plate (150) are each form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153) into which a caulking bolt (181) of a first rigid body connecting member (180) is inserted.

복수 개의 고정단(151)은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3개 이상일 수 있다.A plurality of fixed ends (151) extend radially, and there may be three or more of them.

고정판(150)을 사용하는 대신에, 고정단(151)에 대응하는 요소(element)를 압축기(120)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stead of using a fixed plate (15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fixed end (151) integrally with the housing of the compressor (120).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고정판(150)이 결합되는 베이스(160)는, 주 몸체(161), 및 상기 주 몸체(161)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 개의 보조 몸체(16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보조 몸체(163)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의 코킹 볼트(181)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163a)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7, the base (160) to which the fixed plate (150) is coupled may have a main body (161)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163)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ain body (161),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163) may have a bolt insertion hole (163a) into which a caulking bolt (181) of the first rigid body coupling member (180) is inserted.

그리고, 복수 개의 보조 몸체(163) 중 일부, 예를 들면 2개의 보조 몸체(163)에는 볼트 삽입 구멍(163a)과 인접한 위치에 볼트 삽입 구멍(163b)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볼트 삽입 구멍(163b)에는 제2 강체 결합 부재(191)의 볼트와 제3 강체 결합 부재(193)의 볼트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And,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163), some of the auxiliary bodies (163), for example, two auxiliary bodies (163), are provided with bolt insertion holes (163b)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bolt insertion holes (163a), and the bolts of the second rigid body coupling member (191) and the bolts of the third rigid body coupling member (193) can be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163b), respectively.

상기 베이스(160)는 상기 주 몸체(161)의 일부와 상기 보조 몸체(163)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한 보강 리브(165)를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 base (160)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165)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161) and a portion of the auxiliary body (163).

따라서, 베이스(160)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베이스(160)에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rength required for the base (160) can be maintaine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160).

고정판(150)와 베이스(160)는 보조 몸체(163)의 볼트 삽입 구멍(163a)과 고정단(151)의 볼트 삽입 구멍(153)이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The fixed plate (150) and the base (160) can be aligned so that the bolt insertion hole (163a) of the auxiliary body (163) and the bolt insertion hole (153) of the fixed end (151)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고정판(150)과 베이스(160)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에 의해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plate (150) and the base (160) can be joined into a rigid joint structure by a first rigid joint member (180).

베이스(160)는 체결 부재에 의해 방진 부재(170)와 체결되지 않고, 방진 부재(170) 상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로 상기 방진 부재(17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160) can be joined to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by simply being placed on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without being joined to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by a fastening member.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판(150)을 베이스(160)에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하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는 상기 고정판(150)의 고정단(151)에 구비된 볼트 삽입 구멍(153)와 상기 보조 몸체(163)의 상기 볼트 삽입 구멍(163a)에 결합되는 코킹 볼트(181) 및 상기 코킹 볼트(181)의 나사부(181a)에 결합되는 너트(183)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first rigid connection member (180) that connects a fixed plate (150) to a base (160) with a rigid connec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153) provided in a fixed end (151) of the fixed plate (150), a caulking bolt (181) that is connected to the bolt insertion hole (163a) of the auxiliary body (163), and a nut (183) that is connected to the screw portion (181a) of the caulking bolt (181).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의 볼트가 코킹 볼트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코킹 볼트 외에 통상적인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bolt of 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180) is described as a caulking bolt as an examp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normal bolt other than a caulking bolt.

상기 코킹 볼트(181)는, 헤드부(181b), 상기 헤드부(181b)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181c), 헤드부(181b)로부터 이격된 코킹부(181d), 및 상기 몸통부(181c)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나사부(181a)를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aulking bolt (181) may be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81b), a body portion (181c)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181b), a caulking portion (181d) spaced from the head portion (181b), and a screw portion (181a)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181c).

그리고 상기 코킹 볼트(181)의 상기 코킹부(181d)와 상기 헤드부(181b) 및 상기 몸통부(181c)는 상기 방진 부재(170)의 일부가 삽입되는 방진 부재 삽입홈(181e)을 구비할 수 있다.And the caulking portion (181d), the head portion (181b) and the body portion (181c) of the caulking bolt (181) may be provided with a dustproof member insertion groove (181e) into which a part of the dustproof member (170) is inserted.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150)를 지지하는 방진 부재(170)는 유연 재질의 그로멧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vibration-proof member (170) supporting the base (150) may be formed of a gromme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방진 부재(170)는, 볼트(171)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 구멍(173)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볼트(171)에 의해 하면판(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dustproof member (170) may be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173) into which a bolt (171) is inserted,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lower plate (110) by the bolt (171).

볼트(171)는 코킹 볼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olt (171) may be a cocking bolt.

이하, 도 4,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여, 기계실 부품의 강체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5, and 10, the rigid body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하면판(110)에는 볼트(171)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방진 부재(170)가 결합되고, 방진 부재(170)의 선단부에는 베이스(160)가 안착된다.A vibration-proof member (170) i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110) by a bolt (171) and a nut (not shown), and a base (160) is secured to the tip of the vibration-proof member (170).

방진 부재(170)는 유연 재질의 그로멧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베이스(160)를 지지할 수 있다.The anti-vibration member (170) can be made of a gromme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can support the base (160).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의 코킹 볼트(181)는 보조 몸체(163)의 볼트 삽입 구멍(163a)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몸체(163)에 결합되어 있다.The cocking bolt (181) of 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180)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63a) of the auxiliary body (163) a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body (163).

이때, 코킹 볼트(181)의 코킹부(181d)는 보조 몸체(163)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고, 코킹 볼트(181)의 헤드부(181b)는 보조 몸체(163)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cking portion (181d) of the cocking bolt (18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163), and the head portion (181b) of the cocking bolt (18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body (163).

따라서, 코킹 볼트(181)의 몸통부(181c)와 나사부(181a)는 보조 몸체(163)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Accordingly, the body (181c) and screw portion (181a) of the cocking bolt (181)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body (163).

코킹 볼트(181)의 몸통부(181c)에는 압축기(120)의 저부에 고정된 고정판(150)의 고정단(151)이 결합될 수 있고, 고정단(151)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코킹 볼트(181)의 나사부(181a)에는 너트(183)가 결합될 수 있다.A fixed end (151) of a fixed plate (150) fixed to the bottom of a compressor (120) can be coupled to a body part (181c) of a cocking bolt (181), and a nut (183) can be coupled to a threaded part (181a) of a cocking bolt (181)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ixed end (151).

따라서, 고정판(150)에 고정된 압축기(120)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에 의해 베이스(160)에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pressor (120) fixed to the fixed plate (150) can be rigidly coupled to the base (160) by the first rigid coupling member (180).

방진 부재(170)와 제1 강체 결합 부재(180)는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vibration-proof member (170) and the first rigid body connecting member (180) can b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코킹 볼트(181)의 상기 몸통부(181c)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단(151)의 저면과 밀착할 수 있고, 상기 너트(183)의 저면은 상기 고정단(151)의 상면과 밀착할 수 있다.The tip of the body (181c) of the above cocking bolt (181)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 fixed member (15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 nut (183)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above fixed member (151).

따라서, 고정판(150)의 고정단(151)에 가해지는 너트(183)의 조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nut (183) applied to the fixed end (151) of the fixed plate (150) can be increased.

상기 베이스(16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보조 몸체(163)는 상기 코킹 볼트(181)의 상기 코킹부(181d)가 안착되는 코킹부 안착홈(167)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163) provided on the above base (160) may each have a caulking part mounting groove (167) in which the caulking part (181d) of the caulking bolt (181) is mounted.

따라서, 코킹 볼트(181)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assembly of the cocking bolt (181) can be easily performed.

압축기(120)의 측부에는 어큐뮬레이터(130)가 위치하고, 압축기(120)의 냉매 흡입부와 어큐뮬레이터(130)의 냉매 토출부는 압축기(120)의 흡입 배관(12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An accumulator (130)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or (120), and the refrigerant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120)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of the accumulator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ction pipe (121) of the compressor (120).

어큐뮬레이터(130)의 흡입 배관(131)은 4-방향 밸브(133)에 연결되고, 4-방향 밸브(133)에는 오일 세퍼레이터(140)와 응축기 등이 배관에 의해 더 연결된다.The suction pipe (131) of the accumulator (130) is connected to a 4-way valve (133), and an oil separator (140) and a condenser, etc. are further connected to the 4-way valve (133) by pipes.

어큐뮬레이터(130)에는 제2 브래킷(135)이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브래킷(135)은 제2 강체 결합 부재(191)에 의해 베이스(160)의 보조 몸체(163)에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A second bracket (135) is fixed to the accumulator (130), and the second bracket (135) is rigidly coupled to the auxiliary body (163) of the base (160) by a second rigid coupling member (191).

제2 강체 결합 부재(191)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rigid connecting member (191) may be formed of a bolt and a nut.

그리고 상기 압축기(120)의 또 다른 측부에는 오일 세퍼레이터(140)가 위치하며, 압축기(120)의 냉매 토출부와 오일 세퍼레이터(140)의 냉매 흡입부는 압축기(120)의 토출 배관(12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And on another side of the compressor (120), an oil separator (140) is position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ion of the compressor (120) and the refrigerant suction portion of the oil separator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ischarge pipe (123) of the compressor (120).

오일 세퍼레이터(140)에는 제3 브래킷(141)이 고정되어 있으며, 제3 브래킷(141)은 제3 강체 결합 부재(193)에 의해 베이스(160)의 보조 몸체(163)에 강체 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A third bracket (141) is fixed to the oil separator (140), and the third bracket (141) is rigid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body (163) of the base (160) by a third rigid connecting member (193).

제3 강체 결합 부재(193)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rigid connecting member (193) may be made of a bolt and a nut.

이러한 구성의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는 압축기(120), 어큐뮬레이터(130) 및 오일 세퍼레이터(140)를 포함하는 기계실 부품(120, 130, 140)이 베이스(160)에 강체 결합 구조로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압축기(120)의 구동 시, 상기 기계실 부품(120, 130, 140)은 베이스(160)와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한다.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of this configuration has machine room parts (120, 130, 140) including a compressor (120), an accumulator (130), and an oil separator (140) each rigidly coupled to a base (160), so that when the compressor (120) is driven, the machine room parts (120, 130, 140) move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as the base (160).

따라서, 흡입 배관(121) 및 토출 배관(123)에 작용하는 진동 및 응력이 감소한다. Accordingly, the vibration and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pe (121) and the discharge pipe (123) are reduced.

도 11은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제1 실시 예의 흡토출 배관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the magnitude of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and discharge pipes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의 실외기에서는 흡입 배관(121) 및 토출 배관(123)에 작용하는 응력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stress applied to the suction pipe (121) and the discharge pipe (123) in the outdoor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실외기에서는 흡입 배관(121) 및 토출 배관(123)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크게 감소하므로,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outdoor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pe (121) and the discharge pipe (123)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o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can be reduced.

한 예로, 본 실시 예의 실외기에서는 흡입 배관과 토출 배관의 곡관부의 곡률을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outdoor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can be reduced by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ipe portions of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larger than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본 발명인이 실험한 바에 따르면, 흡입 배관의 길이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대략 5 내지 10% 정도 줄일 수 있고, 토출 배관의 길이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대략 30 내지 40% 정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5 to 10%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30 to 40%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또한, 본 발명인이 실험한 바에 따르면, 흡입 배관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은 흡입 배관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대략 50% 정도 줄일 수 있고, 토출 배관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대략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 conduct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stress applied to the suction pipe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50%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the case of the suction pipe, and that it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pipe.

또한, 본 발명인이 실험한 바에 따르면, 4-방향 밸브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들의 길이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10 내지 30% 정도 줄일 수 있고, 상기 각종 배관들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20 내지 30%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conduct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lengths of various pipes connected to the 4-way valve can be reduced by about 10 to 30%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the maximum stress applied to the various pipes can be reduced by 20 to 30%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실외기에서는 흡입 배관 및 토출 배관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의 기계실 부품을 제1 영역(A1)에 설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utdoor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s of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can be reduced, so that the machine room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in the first area (A1), as shown in Fig. 12.

따라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실외기에서 기계실 부품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영역(A2)에 비해 제3 영역(A3)만큼 공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pace required to install the machine room components in the outdoor unit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an be reduced by a third area (A3) compared to the second area (A2).

본 발명인이 실험한 바에 따르면, 제1 영역(A1)의 면적은 제2 영역(A2)의 면적에 비해 대략 15% 정도 작게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 conducted by the inventor, it was found that the area of the first region (A1) was formed to be approximately 15%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region (A2).

따라서, 제3 영역(A3)만큼 기계실의 내부 공간을 컴팩트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영역(A3)을 흡음 및 차음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ernal space of the machine room can be made compact as much as the third area (A3), and the third area (A3) can be used as a space for 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이하,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8.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베이스(26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base (26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in a flat shape.

베이스(260)에는 제1 강체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 구멍(260a)와, 제2 강체 결합 부재와 제3 강체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2개의 볼트 삽입 구멍(260b)을 구비할 수 있다.The base (26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holes (260a) into which the first rigid body joining member is joined, and two bolt insertion holes (260b) into which the second rigid body joining member and the third rigid body joining member are joined.

제1 내지 제3 강체 결합 부재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rigid coupling members can be configured identically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베이스(260)는 상기 베이스(260)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한 보강 리브(260c)를 구비할 수 있다.And the above base (260)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260c) formed to have a curved portion of the above base (260).

따라서, 베이스(260)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베이스(260)에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rength required for the base (260) can be maintaine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ase (260).

한편, 제1 실시 예에서는 방진 부재(170)와 제1 강체 결합 부재(180)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 부재(170)와 제1 강체 결합 부재(180')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지 않다. 즉, 방진 부재(170)는 제1 강체 결합 부재(180')로부터 일정한 간격(D2)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and the first rigid body coupling member (18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and the first rigid body coupling member (180')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is arrang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gid body coupling member (180') by a constant interval (D2).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방진 부재(170)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에 의해 평판 형상의 베이스(26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lat-shaped base (260)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appropriately designing the position of the anti-vibration member (170).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에 구비된 코킹 볼트(181')의 몸통부(181'c)의 선단부는 고정판에 구비된 고정단(151)의 저면과 밀착할 수 있고, 제1 강체 결합 부재(180')에 구비된 너트(183')의 저면은 상기 고정단(151)의 상면과 밀착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15, the tip end of the body part (181'c) of the cocking bolt (181') provided on the first rigid body connecting member (18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end (151) provided on the fixed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nut (183') provided on the first rigid body connecting member (18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end (151).

도 16 내지 도 18은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Figures 16 to 18 illustrate modified example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강체 결합 부재(180')는, 상기 너트(183')와 상기 고정단(15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브래킷(18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브래킷(185)의 한쪽 단부는 상기 코킹 볼트(181')의 상기 몸통부(181'c)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first rigid coupling member (18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racket (185) positioned between the nut (183') and the fixed end (150), and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85)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81'c) of the caulking bolt (181').

따라서, 고정판의 고정단(151)에 가해지는 너트(183')의 조임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ightening force of the nut (183') applied to the fixed end (151) of the fixed plate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강체 결합 부재(180")는 볼트(18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260a)에는 상기 볼트(181"a)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부(183"a)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first rigid coupling member (180") may include a bolt (181"a), and the base (260a) may be provided with a bolt joint (183"a) to which the bolt (181"a) is coupl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제2 및 제3 강체 결합 부재도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igid coupling member can be deformed in various ways, and the second and third rigid coupling members can also be deformed in various ways.

그리고, 위에서는 1개의 베이스가 사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베이스와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베이스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one base is used w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base of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ase of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combination.

예를 들면, 하면판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를 제1 방진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상에, 제2 방진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b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n the lower plate using the first anti-vibration member, and to install a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n the b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using the second anti-vibration member.

도 19는 제1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와 제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방사 소음(ERP, Equivalent radiated power)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1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quivalent radiated power (ERP) of the ba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a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의 실외기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소음 피크가 제2 실시 예의 실외기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소음 피크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oise peak of the base used in the outdoor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is lower than the noise peak of the base used in the outdoor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또한, 제1 실시 예의 실외기에 사용되는 베이스는, 제2 실시 예의 실외기에 사용되는 베이스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used in the outdoor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base used in the outdoor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respects as restrictive but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cy range of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110: 하면판 120: 압축기
130: 어큐뮬레이터 135: 제2 브래킷
140: 오일 세퍼레이터 141: 제3 브래킷
150: 고정판 151: 고정단
160: 베이스 161: 주 몸체
163: 보조 몸체 170: 방진 부재
180: 제1 강체 결합 부재 181: 코킹 볼트
183: 너트 191: 제2 강체 결합 부재
193: 제3 강체 결합 부재
110: Bottom plate 120: Compressor
130: Accumulator 135: 2nd bracket
140: Oil separator 141: Third bracket
150: Fixed plate 151: Fixed end
160: Base 161: Main body
163: Auxiliary body 170: Anti-vibration member
180: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181: Cocking bolt
183: Nut 191: Second rigid connecting member
193: Third rigid body joint member

Claims (18)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의 하면판에 설치되는 베이스(base);
상기 하면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방진 부재; 및
냉매 흡입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압축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기계실 부품
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강체 결합 구조(rigid coupling structure)로 상기 베이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상기 압축기,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A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outdoor unit;
A bas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of the above case;
A vibration-proof member supporting the bas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base; and
A machine room component having a compressor and an accumulat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frigerant suction pipe and installed on the base
Including,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compressor and the accumulator are each coupled to the base with a rigid coupling structure, and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compressor, the accumulator, and the base move with the same movement pattern.
제1항에서,
상기 압축기는 제1 강체 결합 부재(rigid coupling member)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paragraph 1,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compressor is coupled to the base by a first rigid coupling member.
제2항에서,
상기 압축기의 저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나사 삽입 구멍을 구비한 고정단을 복수 개 구비하며,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상기 고정단을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paragraph 2,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xed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the fix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ed ends having screw insertion holes, and 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xed ends of the fixed plate to the base.
제3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주 몸체, 및 상기 주 몸체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 개의 보조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조 몸체는 볼트 삽입 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paragraph 3,
The above base has a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ain body,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has a bolt insertion hole.
제4항에서,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보조 몸체의 상기 볼트 삽입 구멍에 결합되는 코킹 볼트 및 상기 코킹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코킹 볼트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나사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이격된 코킹부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4,
The above first rigid body connecting member has a cocking bolt connected to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auxiliary body and a nut connect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cking bolt.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above-mentioned caulking bolt comprises a head portion,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the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a caulking portion spaced from the head portion.
제5항에서,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코킹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통부는 상기 방진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방진 부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5,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caulking portion, the hea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of the caulking bolt have a dustproof memb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dustproof member is inserted.
제5항에서,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몸통부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단의 저면과 밀착하고, 상기 너트의 저면은 상기 고정단의 상면과 밀착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5,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tip of the body of the above-mentioned caulking bol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제5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보조 몸체는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코킹부가 안착되는 코킹부 안착홈을 각각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5,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above plurality of auxiliary bodies each have a caulking part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caulking part of the caulking bolt is mounted.
제5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주 몸체의 일부와 상기 보조 몸체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한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5,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base has a reinforcing rib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portion of the auxiliary body.
제3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 구멍을 구비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paragraph 3,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above base is formed in a flat shape having a plurality of bolt insertion holes.
제10항에서,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볼트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코킹 볼트 및 상기 코킹 볼트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코킹 볼트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돌출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나사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이격된 코킹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0,
The abov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has a cocking bolt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of the base and a nut connect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cking bolt.
The above-mentioned caulking bolt is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having a head portion,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ad portion, the screw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a caulking portion spaced from the head portion.
제11항에서,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몸통부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단의 저면과 밀착하고, 상기 너트의 저면은 상기 고정단의 상면과 밀착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1,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tip of the body of the above-mentioned caulking bol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ed end.
제11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한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1,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base has a reinforcing rib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base.
제11항에서,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상기 너트와 상기 고정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래킷의 한쪽 단부는 상기 코킹 볼트의 상기 몸통부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1,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first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nut and the fixed end, and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caulking bolt.
제10항에서,
상기 제1 강체 결합 부재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0,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first rigid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lt, and the base has a bolt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bolt is connected.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기계실 부품은 냉매 토출 배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와 서로 연결되는 오일 세퍼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ny one of paragraphs 1 to 15,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wherein the above machine room component further includes an oil separator connected to the compressor by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제16항에서,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강체 결합 구조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기의 구동 시, 상기 압축기, 상기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베이스와 서로 동일한 거동 패턴으로 거동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6,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wherein the above oil separator is connected to the base with a rigid joint structure, and moves in the same movement pattern as the compressor, the accumulator, and the bas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제17항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제2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제3 브래킷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브래킷은 제2 강체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브래킷은 제3 강체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장치용 실외기.
In Article 17,
The above accumulator has a second bracket, and the above oil separator has a third bracket,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second bracket is connected to the base by a second rigid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rd bracket is connected to the base by a third rigid connecting member.
KR1020230135994A 2023-08-10 2023-10-12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Pending KR202500238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4178460.2A EP4506628A1 (en) 2023-08-10 2024-05-28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724 2023-08-10
KR20230104724 2023-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3889A true KR20250023889A (en) 2025-02-18

Family

ID=9482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994A Pending KR20250023889A (en) 2023-08-10 2023-10-12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238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0263A1 (en) Compressor module,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and compresso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KR20250023889A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EP4506628A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JP4859801B2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WO2024040917A1 (en) Base plate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recreational vehicle
JP2010243033A (en) Heat pump outdoor unit
JP2009085485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2855545A (en) Rotor type compressor
CN117948382A (en) New energy automobile and shock insulation device for compressor thereof
CN100510555C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JP6506030B2 (en) Electric compressor mounting structure
CN108518755B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222228769U (en) Compressor fixed knot constructs, off-premises station and heating ventilation equipment
CN201121969Y (en) Fix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for outdoor set of air-conditioner
CN207865564U (en) A kind of air-conditioner outdoor unit
CN220062211U (en) Heating and ventilation equipment
CN221055125U (en) Air conditioner
CN219037168U (en) Refrigerant recycling machine
CN2467944Y (en) Fan motor installation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221763807U (en) Air conditioner panel beating subassembly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10118888U (en) Plate heat exchanger's mounting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CN108407571B (en) Four-way valve fixing structure of motor home air conditioner and motor home air conditioner
KR200142858Y1 (en) Anti-vibrating device of an airconditioner
CN217423456U (en) Outdoor unit casing structure and outdoor unit
CN214841252U (en) Integral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