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3182A -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3182A
KR20250023182A KR1020230104329A KR20230104329A KR20250023182A KR 20250023182 A KR20250023182 A KR 20250023182A KR 1020230104329 A KR1020230104329 A KR 1020230104329A KR 20230104329 A KR20230104329 A KR 20230104329A KR 20250023182 A KR20250023182 A KR 2025002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ayer
absorbing
electric vehic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석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박창석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석, 박준영 filed Critical 박창석
Priority to KR102023010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3182A/ko
Publication of KR2025002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318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32B2255/1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synthetic resin or rubber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에 비하여 차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대쉬아이솔레이트, 플로어 카페트 등에 적용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1 ~ 3㎜ 두께의 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2),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진 흡음층(3) 및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패널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의 적용에 의해 주파수가 높은 고주파 대역의 전기자동차의 모터엔진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이 우수하여 기존의 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에 비하여 흡음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Sound absorbing and insulating panel for electric veh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대쉬아이솔레이트 등에 적용하는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도 내연기관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모터엔진소음, 타이어의 마찰음 등 각종 소음을 발생하며,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은 저주파수의 큰 소음을 내는데 반하여, 전기자동차의 모터엔진은 소음은 적지만 주파수가 굉장히 높기 때문에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은 오히려 훨씬 더 크며,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각종 소음은 차량의 정숙감을 저해하므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안락한 운행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내, 외장용 소재를 적용하고 있다.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엔진룸과 차실을 구분하는 대쉬패널, 차체의 내측면, 플로어 등에 다양한 형태의 흡차음 소재를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와 관련된 신기술 분야 중 텔레매틱스 장치나 음성 인식 장치의 발전은 보다 정숙한 자동차 실내 소음 수준을 요구하고 있어 향상된 성능의 흡차음 부품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과 관련한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아세탈수지, 염화비닐수지, 폴리스타이렌, ABS수지 및 아크릴수지 중에서 선택된 접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0.05 ~ 1 mm인 차음층 상하에는, 상기 접착성 수지에 비해 융점이 높은 열가소성수지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이 접착되어 일체화된 다층구조의 흡차음재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흡차음재의 절단부가 가열 용융 상태에서 하부가 좁아진 커터날로 수직 절단되어 그 절단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마무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FRP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흡차음재를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되는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어로젤 1 내지 10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중량부 및무기 충전제 50 내지 200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켜 제조되는 흡차음 매트로서,상기 흡차음 매트는 125 내지 6,300 Hz 범위에서 ASTM E 1050에 따라 측정된 투과손실의 평균값이 20dB 이상이고, KS F 2814-2에 따라 측정된 흡음율이 0.08% 이상인 자동차용 흡차음 매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허 3에 카페트 원단부, 차음재부 및 흡음재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에 있어서,상기 흡음재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 ~ 8000g/mol인 폴리올, 중량평균분자량이 5500 ~ 6500g/mol인 폴리올, 중량평균분자량이 4500 ~ 5500g/mol인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에이소시아네이트 45 ~ 55중량부가 혼합된 원료 조성물을 상기 차음재부 상에 직발포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차음재부는 면밀도가 500 ~ 1200 g/m2인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로 이루어지고,상기 카페트 원단부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및 차음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를 개시하고 있다.
KR 10-1567176 B KR 10-2145724 B KR 10-2249763 B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에 비하여 차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킨 플로어 카페트, 대쉬아이솔레이트 등에 적용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은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2),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진 흡음층(3), 및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일 실시형태는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1 ~ 3㎜ 두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2),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진 흡음층(3) 및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은 상기 표면층(1)이 300 ~ 2000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음층(2)은 비중이 1 ~ 1.5kg/㎥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흡음층(3)은 100 ~ 1000kg/㎡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지고, 이면층(4)는 100 ~ 2000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제조방법은 a).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및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 각각을 제조하는 제 1 공정, b). 이면층의 일 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흡음층(3)을 형성하는 제 2 공정 및 c) 제 2 공정의 흡음층(3) 상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압출하면서 코팅하여 차음층(2)을 형성하는 제3공정 및 d). 제 3 공정의 차음층(2)과 상기 제 1공정의 표면층(1)을 합지하고 압착하여 흡차음 패널을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은 기존의 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에 비하여 흡음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카페트, 대쉬아이솔레이트 등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의 적용에 의해 주파수가 높은 고주파 대역의 전기자동차의 모터엔진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이 우수하여 기존의 자동차용 흡차음패널에 비하여 흡음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은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카페트, 대쉬아이솔레이트 등에 차음소재로 적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재생섬유를 소재로 사용하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아래 기재 내용 및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단면도로써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은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2),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진 흡음층(3), 및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에서 상기 표면층(1)은 외부로 노출되는 층이고, 상기 이면층(4)은 차체에 접하는 층이며, 다 같이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표면층(1)은 300 ~ 2000g/㎡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면층(4)는 100 ~ 2000g/㎡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며 부직포층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양에 잘 알려진 부직포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에서 상기 차음층(2)은 전기자동차의 모터엔진 소음, 타이어의 마찰음 등의 소음을 차단하는 층으로써, 비중이 1 ~ 1.5kg/㎥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코팅층의 두께는 1 ~ 3㎜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2)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엔진소음에 비하여, 소음은 적지만 주파수가 높은 고주파 대역의 전기자동차의 모터엔진 소음을 차단하는데 우수하여 전기자동차용 차음재로 특히 적합하며, 기존의 자동차 흡차음재에 비하여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은 TPE coating 두께와 면밀도가 높을수록 고차음 성능 구현이 가능하지만, 제한된 부직포 중량과 개발 단가 및 TPE 코팅층의 중량 제한의 한계성을 감안하여 상기한 차음층의 TPE 비중과 두께가 바람직하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올레핀계 DPF라스토머(TPO),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S),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음층(3)은 소음을 흡수하는 층으로 기존의 흠음층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PU form)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흠음층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PU form)은 통기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연소 시 HCN Gas를 발생시키고 성형 후 Recycle 및 Re-use가 불가능하며 장시간 사용 시 황변, 악취가 발생되고, 신차증후군을 유발시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폴리우레탄에서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음층(3)으로 100 ~ 1000kg/㎡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대체하여 폴리우레탄 폼(PU form)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제조방법은 a).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및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 각각을 제조하는 제 1 공정, b). 상기 이면층(4)의 일 면에 100 ~ 1000k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흡음층(3)을 형성하는 제 2 공정, c) 상기 제 2 공정의 흡음층(3) 상부로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압출하면서 두께 1 ~ 3㎜로 코팅하여 차음층(2)를 형성하는 제 3 공정 및 d). 상기 제 3 공정의 차음층(2)과 상기 제1 공정의 표면층(1)을 합지하고 합착하여 흡차음 패널을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제조방법의 상기 제 1 공정의 표면층(1)은 300 ~ 2000g/㎡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면층(4)는 100 ~ 2000g/㎡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지며 부직포층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부직포 제조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제 3 공정에서 차음층(2)은 제 2 공정의 흡음층(3) 상부로 비중 1 ~ 1.5kg/㎥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압출기에 의해 200 ~ 230℃ 온도에서 압출하면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흡차음 패널 제조
미리 제조하여 준비한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500g/㎡의 부직포 및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300g/㎡의 부직포 각각을 표면층(1)과 이면층(4)으로 준비하고, 이면층(4)를 공급하면서 일 면에 1000kg/㎡이 되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흡음층(3)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흡음층(3) 상부로 압출기를 이용하여 비중 1.5kg/㎥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3㎜ 두께로 코팅하여 차음층(2)을 형성한 다음, 차음층(2) 상부로 상기 표면층(1)을 공급하고, 가압하면서 합지하여 흡차음 패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흡차음 패널(흡차음 소재)에 대한 평가시험을 위하여 흡차음 패널(흡차음 소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벙법으로 자동차 내장재용 플로어 카페트를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제작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플로어 카페트 및 기존 제품<비교예>을 각각 동일한 규격의 시편으로 제작하여 차음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로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비고
시험예 비교예
차음성 1,000Hz 28 32 26 Apamat-II로 투과손실 측정[dB]
2,000Hz 35 35 28.5
3,150Hz 45 45 33.6
5,000Hz 48 48 35.9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패널로 제작된 플로어 키페트의 차음 성능이 <비교예>(기존소재)에 비하여 보다 개선되고 특히 2,000 ~ 5,000㎐의 고주파 대역의 차음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차음특성을 갖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흡차음 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가 있다.

Claims (7)

  1.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1 ~ 3㎜ 두께의 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차음층(2),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이루어진 흡음층(3) 및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표면층(1) 및 이면층(4)는 각각 300 ~ 2000g/㎡ 및 100 ~ 2000g/㎡의 부직포층이고, 차음층(2)은 비중이 1 ~ 1.5kg/㎥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이며, 흡음층(3)은 100 ~ 1000k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S) 및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또는 대쉬아우솔레이트.
  5. a).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 및 3 ~ 10데니어의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조성된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층(4) 각각을 제조하는 제 1 공정,
    b). 이면층(4)의 일 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으로 흡음층(3)을 형성하는 제 2 공정,
    c). 상기 제 2 공정의 흡음층(3) 상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압출하면서 코팅하여 차음층(2)을 형성하는 제 3 공정 및
    d). 상기 제 3 공정의 차음층(2)과 상기 제 1 공정의 표면층(1)을 합지하고, 압착하여 흡차음 패널을 제조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표면층(1) 및 이면층(4)는 각각 300 ~ 2000g/㎡ 및 100 ~ 2000g/㎡의 부직포층이고, 흡음층(3)은 100 ~ 1000k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폼(PET form)이며, 차음층(2)은 비중이 1 ~ 1.5kg/㎥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S) 및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30104329A 2023-08-09 2023-08-09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ending KR20250023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329A KR20250023182A (ko) 2023-08-09 2023-08-09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329A KR20250023182A (ko) 2023-08-09 2023-08-09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3182A true KR20250023182A (ko) 2025-02-18

Family

ID=9482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329A Pending KR20250023182A (ko) 2023-08-09 2023-08-09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2318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176B1 (ko) 2010-10-06 2015-11-06 루르-우니베어지테트 보쿰 플라즈마의 밀도 및/또는 전자 온도 및/또는 충돌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2145724B1 (ko) 2018-06-21 2020-08-19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 및 흡차음 매트
KR102249763B1 (ko) 2017-04-05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 및 차음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176B1 (ko) 2010-10-06 2015-11-06 루르-우니베어지테트 보쿰 플라즈마의 밀도 및/또는 전자 온도 및/또는 충돌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2249763B1 (ko) 2017-04-05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음 및 차음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KR102145724B1 (ko) 2018-06-21 2020-08-19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 및 흡차음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223B2 (en) Sound attenuating material for use within veh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3304264B2 (ja) 自動車用車体パネルインシュレータ
US680238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910008871B1 (ko) 향상된 음흡(sound-absorbing)특성을 갖는 헤드라이너(headliner)
US6971475B2 (en) Vehicle trim components with selectively applied foam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60246799A1 (en) Sound attenuating/absorb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060111459A (ko) 차음 시스템
WO2003058600A2 (en) Tunable or adjustable liner for selectively absorbing sound energy and related methods
JP3247629B2 (ja) 自動車用内装材
KR101919855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차량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3019930A (ja) 自動車用吸音タイプ防音材
US20130277146A1 (en) Convergence sound-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284729B2 (ja) 自動車用遮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50023182A (ko) 전기자동차용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388488B1 (ko) 자동차 엔진 대쉬 아우터용 섬유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엔진 대쉬 아우터의 제조방법
KR20210110762A (ko) 경량 차음 시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펫
JP2000202933A (ja) 遮音材
JPH1120570A (ja) 自動車用内装材
KR101424214B1 (ko) 차량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9856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차량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16518B1 (ko) 자동차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29877Y1 (ko) 자동차용 방음재
KR102254107B1 (ko) Lwtpe 차음소재를 이용한 흡차음 일체형 내장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240171298A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4209018A1 (en) Sound absorbing and sound insulating automotive noise attenuating trim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8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