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1812A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1812A
KR20250021812A KR1020230102916A KR20230102916A KR20250021812A KR 20250021812 A KR20250021812 A KR 20250021812A KR 1020230102916 A KR1020230102916 A KR 1020230102916A KR 20230102916 A KR20230102916 A KR 20230102916A KR 20250021812 A KR20250021812 A KR 2025002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heater
inlet hole
temperatur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3010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1812A/en
Priority to PCT/KR2024/008726 priority patent/WO2025033690A1/en
Priority to US18/770,159 priority patent/US20250049129A1/en
Publication of KR2025002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181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배치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액상이 저장된 액상저장부, 액상저장부와 인입홀에 열을 인가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열을 인가하는 히팅부를 포함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let hole in which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is placed, a liquid storage portion in which a liquid is stored, and a heating portion capable of applying heat to the liquid storage portion and the inlet hole and selectively applying heat.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로 동작되어 다양한 끽미, 풍미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that can be operated in various modes to provide various tastes, flavors, etc.

일반적으로 담배는 쌍떡잎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을 말하지만, 최근에는 담배의 잎을 궐련지로 싸고 일측에 필터부가 구성되어 흡연을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을 통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담배는 전세계적으로 수천 종에 이르며, 다양한 모양이나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Tobacco generally refers to a perennial herb of the Solanaceae family in the Dicotyledonous order, but recently it has also been used to refer to a product manufactured for smoking, with tobacco leaves wrapped in cigarette paper and a filter section on one side. There are thousands of types of these cigarettes worldwide, and they are released in various shapes and forms.

담배는 재료와 제조 공정에서 끽미, 자극 등이 정해지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끽미, 풍미를 보충할 수 있는 보조 장치를 활용하는 담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조 장치는 이용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The taste and stimulation of cigarettes are determined by th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 but recently, cigarettes that utilize auxiliary devices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and supplement various tastes and flavors have been developed, and such auxiliary devices are receiving positive reviews from users and demand is increasing.

보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용 담배를 고정한 후, 전용 담배를 가열하고, 내부에 저장된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만들어 공급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보조 장치를 활용하여 흡연을 하는 경우, 전용 담배가 저온으로 가열된다 하여도 부족한 에어로졸을 인위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The auxiliary device is generally used by fixing a dedicated cigarette, heating the dedicated cigarette, and heating the liquid stored inside to create and supply an aerosol. When smoking using an auxiliary device, even if the dedicated cigarette is heated to a low temperature, the user satisfaction is high because the insufficient aerosol can be artificially supplied.

그러나 최근에는 보조 장치를 활용한 담배에 대해 문제점이 제기되어 개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However, recently, problems have been raised regarding cigarettes using assistive devices, and voices are growing louder calling for improvement.

첫 번째 문제는 액상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The first problem is that liquid is essential.

보조 장치를 활용한 경우, 담배는 저온으로 가열되므로, 물질이 이용자에게 공급되기 위하여는 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곧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액상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액상이 부족한 경우 이용자는 보조 장치를 동작하여 물질을 공급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이른 아침, 늦은 저녁과 같이 액상을 구매할 수 없는 시간 대에 액상이 없다면 장치를 동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고는 하였다.When using an auxiliary device, since the cigarette is heated to a low temperature, an aerosol capable of moving the substance is essential for the substance to be supplied to the user. This means that a liquid for aerosol generation is essential. Therefor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could not operate the auxiliary device to supply the substance if the liquid was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vice could not be operated if there was no liquid at times when liquid could not be purchased, such as early morning or late evening.

두 번째 문제는 끽미, 풍미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The second problem is that the taste and flavor are fixed.

보조 장치를 활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끽미, 풍미 등을 제공받고자 하는 것이나, 보조 장치는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제공하므로, 정해진 끽미, 풍미 등을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One of the reasons for utilizing an auxiliary device is to provide a variety of tastes, flavors, etc., but since the auxiliary devic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and provides an aerosol, it can only provide a set taste, flavor, etc.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2023-065382" (2023.05.12)Domestic public patent publication number "2023-065382" (2023.05.12) 일본 공개특허 공개번호 "2023-065382" (2023.05.12)Japanese Publication Number of Patent Publication "2023-065382" (2023.05.12)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다양한 모드로 동작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that can be operated in various mode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즉,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액상이 부족한 경우에도 담배의 물질이 이용자에게 도달되도록 동작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at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which can be operated so that the substance of a tobacco reaches a user even when the liquid is insufficient.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넓은 범위의 가열 온도를 가져서 다양한 온도로 담배에 열을 인가하여 이용자가 다양한 끽미 및 풍미를 즐길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im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a wide range of heating temperatures so that heat is applied to a cigarette at various temperatures, thereby allowing a user to enjoy various tastes and flavors.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인입되는 인입홀, 상기 인입홀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액상이 저장된 액상저장부, 상기 액상저장부와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연소되도록 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액상저장부 및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n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to which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is introduced, a liquid storage portion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let hole and storing a liquid, and a heating portion that applies heat to the liquid storage portion and the inlet hole to combust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wherein the hea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by applying heat to the liquid storage portion and the inlet hole or applying heat to the inlet hole.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듀얼 모드와 싱글 모드라는 다양한 모드를 통하여 동작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generate and supply an aerosol by operating in various modes, namely, a dual mode and a single mode.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액상이 부족한 경우 싱글 모드가 동작되어 액상이 없이도 이용자에게 에어로졸 및 물질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액상이 부족한 경우에도 이용자가 담배의 끽미 및 풍미를 느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quid is insufficient, the single mode is operated so as to supply the aerosol and substance to the user without the liquid,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taste and flavor of the cigarette even when the liquid is insufficient.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듀얼 모드와 싱글 모드 등 다양한 온도 변화를 통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므로, 이용자에게 다채로운 끽미 및 풍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generates an aerosol through various temperature changes such as dual mode and single mode, so that it can provide a variety of tastes and flavors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도 및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도 및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구조도 및 동작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부 절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structural diagram and an ope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tructural diagram and an ope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of FIG. 5.
Figures 7 and 8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of Figure 6.
Figure 9 illustrates the operation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sign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도이다.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 배터리(120), 액상저장부(130), 히팅부(140)(제1히터(141) 및 제2히터(145)), 인입홀(150), 제어부(160) 및 감지센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10), a battery (120), a liquid storage unit (130), a heating unit (140) (a first heater (141) and a second heater (145)), an inlet hole (150), a control unit (160), and a detection sensor unit (170).

하우징(110)은 본 발명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장치로, 내부에 각종 전자 장치 및 물품들이 배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전술한 각 구성들이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여 설명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도 6 내지 도 8 참조)이 인입홀(15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단단하게 형성되어, 흡연 시 이용자가 손으로 하우징(110)을 움켜 쥘 수 있을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a device tha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items can be placed and stored inside.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can be fixed and plac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an aerosol generating item (200) (see FIGS. 6 to 8)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ixed to the inlet hole (150). The housing (110) is formed firmly, so that a user can hold the housing (110) with his or her hand when smoking.

배터리(120)는 하우징(110) 내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히팅부(140) 및 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히팅부(140)를 구성하는 제1히터(141) 및 제2히터(145)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또는 제2히터(145)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The battery (12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battery (120) may store power and supply power when necessary. The battery (120) is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60), so that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heater (141) and the second heater (145) constituting the heating unit (140) or to the second heater (145)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60).

액상저장부(13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액상저장부(130)는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액상저장부(130)에는 액상 조성물, 액상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저장부(130)는 히팅부(140)에 의하여 열을 받으면 액상 조성물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The liquid storage unit (13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The liquid storage unit (13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housing (100). The liquid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a liquid composition and a liquid delivery means. Whe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receives heat from the heating unit (140), the liquid composition is heated, and an aerosol may be generated.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상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상일 수 있다. The liquid composition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including a volatile tobacco flavor component, or may be a liquid comprising a non-tobacco material.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water, a solvent, ethanol, a plant extract, a flavor, a flavoring agent, or a vitamin mixture. Here, the flavoring ag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nthol, peppermint, spearmint oil, various fruit flavoring ingredient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flavoring agent may include an ingredien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flavors or tastes to the user. The vitamin mixtur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mixture of at least one of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and vitamin E. In addition, the liquid composition may include an aerosol forming agent, such as glycerin and propylene glycol.

또한, 액상저장부(130)의 액상 전달 수단(미도시)은 액상저장부(130)의 액상 조성물을 히팅부(140)(제1히터(14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상 전달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일례로 심지가 액상저장부(130) 내에 배치되어 액상을 흡수한 채 일측이 히팅부(140)와 맞닿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transfer means (not shown) of the liquid storage unit (130) can transfer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liquid storage unit (130) to the heating unit (140) (first heater (141)). For example, the liquid transfer means can be a wick such as cotton fiber, ceramic fiber, glass fiber, or porous ceram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quid transfer mean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but as an example, the wick can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heating unit (140) while being arrange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to absorb the liquid.

한편, 도면상 액상저장부(130)와 인입홀(150) 사이는 연통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와 같이 도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하며, 실제로는 연통되어 액상저장부(130)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이 인입홀(150)로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nd the inlet hole (150) are depicted as not being connected in the drawing,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depicted as such for clarity of explanation. In reality, they are connected so that aerosol generate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can be supplied to the inlet hole (150).

히팅부(14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배터리(120)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액상저장부(130)와 인입홀(150)에 고정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열을 인가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히팅부(140)는 액상저장부(130)를 가열하는 제1히터(141)와, 인입홀(150)에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매질부(210)를 가열하는 제2히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140) can be powered by the battery (120) inside the housing (110) to apply heat to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nd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fixed to the inlet hole (150) to generate aerosol. The heating unit (140) can include a first heater (141) that heats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nd a second heater (145) that heats the medium unit (2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placed in the inlet hole (150).

제1히터(141)는 전력이 공급되면 설정된 온도로 액상저장부(130)에 열을 인가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액상저장부(13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저온으로 가열되는 경우 부족한 에어로졸을 보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포함된 물질이 이용자에게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포함된 물질은 니코틴, 향미, 에어로졸 생성 물질 등 다양한 물질이 있는데, 이는 후술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설명할 때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first heater (141) can apply heat to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t a set temperature when power is supplied to generate an aerosol.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can supplement the insufficient aerosol whe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s heated to a low temperature, thereby allowing the substance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to reach the user. Here, the substance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es various substances such as nicotine, flavoring, and aerosol generating substance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hen explaining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제1히터(141)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히터(141)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액상저장부(130)를 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heater (141)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etal heating wire, a metal heating plate, a ceramic heater, etc. In addition, the first heater (141)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filament such as a nichrome wire, and may not be a problem even if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wraps around the liquid storage unit (130).

제2히터(145)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매질부(210)(도 6 내지 도 8 참조))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매질부(210)에 열이 인가되면 니코틴(일례로 프리 베이스 니코틴, 니코틴 염)과 에어로졸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145) can apply heat to the medium portion (210) (see FIGS. 6 to 8)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When heat is applied to the medium portion (2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nicotine (e.g., free base nicotine, nicotine salt) and an aerosol can be formed.

제2히터(145)는 일례로 서셉터가 인입홀(15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코일이 이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서셉터를 가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셉터는 페라이트(ferrite), 강자성 합금(ferromagnetic alloy),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145)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heats the susceptor when, for example, the susceptor is positioned facing the inlet hole (150) and the coil is position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susceptor and power is supplied. Here, the suscept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errite, a ferromagnetic alloy, stainless steel, and aluminum (Al).

또한, 서셉터는 흑연(graphite), 몰리브덴(molybdenum),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니오븀(niobium), 니켈 합금(nickel alloy), 금속 필름(metal film), 지르코니아(zirconia) 등과 같은 세라믹, 니켈(Ni)이나 코발트(Co) 등과 같은 전이 금속, 붕소(B)나 인(P)과 같은 준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suscept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ramic such as graphite, molybdenum, silicon carbide, niobium, a nickel alloy, a metal film, zirconia, a transition metal such as nickel (Ni) or cobalt (Co), or a metalloid such as boron (B) or phosphorus (P).

아울러 본 발명의 제2히터(145)는 전술한 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열을 인가할 수 있는 수단이면 동작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 한도(예를 들면 히터봉과 같은 구성)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eater (14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any means capable of applying heat to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may be chang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 problem in operation (for example, a configuration such as a heater rod).

한편, 제2히터(145)는 모드(듀얼모드 또는 싱글모드)에 따라 제1온도 또는 제2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1온도는 제2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heater (145) can be heated to a first temperature or a second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mode (dual mode or single mode). The first temperature can be low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제1온도는 제2온도와 비교 시 비교적 낮은 온도로, 120도 내지 200도 사이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온도는 120도 내지 190도일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i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second temperature, and may be between 120 degrees and 200 degrees. More preferably,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between 120 degrees and 190 degrees.

제2온도는 제1온도와 비교 시 비교적 높은 온도로 제1온도의 최저 온도인 120도 보다 40도 높은 160도가 최저 온도 이상일 수 있다. 즉, 제2온도는 160도 내지 280도 사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온도는 180도 내지 250도일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the first temperature, and may be 160 degrees, which is 40 degrees higher than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which is 120 degrees. That is,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between 160 degrees and 280 degrees. More preferably,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between 180 degrees and 250 degrees.

제2히터(145)가 듀얼모드일 때 제1온도로 가열되는 이유는 액상저장부(130)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서 연소된 물질의 이행을 보조하기 때문이다. 즉, 액상저장부(130)에 열이 인가되어 가열되는 경우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제1온도로 가열되어도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포함된 물질이 흡연자에게 이행될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second heater (145) is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when in dual mode is because the aerosol formed by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ssists in the transfer of the combusted substanc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That is, when heat is applied to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nd it is heated, even i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s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the substance contain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can be transferred to the smoker.

그러면 역으로 액상저장부(130)가 가열되지 않는 싱글모드의 경우, 에어로졸의 생성량이 저감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물질의 이행력이 매우 낮아져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포함된 물질이 흡연자에게 이행될 수 없을 것이다. Then, in the case of single mode in which the liquid storage unit (130) is not heated, the amount of aerosol generated is reduced, so the transfer power of the material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s very low,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cannot be transferred to the smoker.

그러므로 제2히터(145)만 가열되는 싱글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자체에서 높은 이행력이 필요한바, 제2히터(145)는 제2온도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로 가열하여 많은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ingle mode where only the second heater (145) is heated, high transfer power is requir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tself, so the second heater (145) can heat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at the second temperature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aerosol.

인입홀(15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홀(150)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하우징(110)의 내측의 면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제2히터(145)에 의하여 가열되어 연소될 수 있다.An inlet hole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inlet hole (150),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refore,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may be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45) and combusted.

한편,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할 제어부(16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즉, 전술하거나 후술하여 제어부(160)의 제어는 제어부(160)가 생략된 채 다양한 신호 및 정보의 연산을 통하여 자동으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60)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제어되는 것으로 살명하도록 하겠다.Meanwhil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control unit (160)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be omitted as needed. That is,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described above or below may be automatically possible through the calculation of various signals and information without the control unit (160). Howev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60).

제어부(160)는 기설정된 듀얼모드 또는 싱글모드에 따라 히팅부(140)를 동작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다르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apply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heating unit (140) according to a preset dual mode or single mode to operate it differently.

제어부(160)가 듀얼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를 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1히터(141)와 제2히터(145)가 동시에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듀얼모드에서 제어부(160)의 제어는 배터리(120)와 제1히터(141) 및 제2히터(145)가 연결되도록 하고 제2히터(145)가 듀얼모드에 대응되는 온도로 열을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히터(141)는 기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200도 내지 250도 사이)로 가열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o operate in dual mode,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to heat the first heater (141) and the second heater (145) simultaneously. In the dual mode,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can be to connect the battery (120) and the first heater (141) and the second heater (145) and to apply heat to the second heater (145) at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dual mode. At this time, the first heater (141) can be heated to a preset temperature (for example, between 200 and 250 degrees).

제2히터(145)는 듀얼모드로 동작되면 제1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은 액상저장부(130)에서 생성되어 인입홀(150)을 통하여 이동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서 생성된 물품이 에어로졸과 함께 이동되어 이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er (145) can be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when operated in dual mode. In this case, the aerosol is generate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and moved through the inlet hole (150), and the product gener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aerosol and supplied to the user.

제어부(160)가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제2히터(145)만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의 제어는 배터리(120)와 제2히터(145)를 연결하고 제2히터(145)가 제2온도로 가열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16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single mode,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only the second heater (145) to be heated. Here,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can be to connect the battery (120) and the second heater (145) and heat the second heater (145) to a second temperature.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로 다양한 모드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다양한 풍미를 가하여 이용자가 다채로운 만족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sers with a variety of flavors through various modes using a single device, allowing users to experience diverse satisfaction.

제어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따라 자동으로 듀얼모드, 싱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감지센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automatically set the dual mode or single mode depending on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unit (170).

감지센서부(170)는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120)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으며, 인입홀(150)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구별하며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부(170)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감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종류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is powered by the battery (120), and can distinguish and recognize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placed in the inlet hole (150). Meanwhile, the detec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by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may mean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the type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일례로 감지센서부(170)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내 포함된 수분량에 따라서 유전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부(17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그림의 형상, 색 등을 감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electrostatic capacitance. Therefore,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may be recognized by detecting a change in dielectric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may be operated in a manner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by detecting the shape, color, etc. of the pi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감지센서부(17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구별하여 인식하고, 인식신호를 제어부(160)로 송신하면 제어부(160)는 듀얼모드, 싱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distinguishes and recognizes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and transmits a recogn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60) can operate by selecting either a dual mode or a single mode.

일례로 A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듀얼모드에 적합하고, B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싱글모드에 적합하다고 가정하면, A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인식하여 감지센서부(170)가 A 인식신호를 제어부(160)에 송신하면 제어부(160)는 듀얼모드가 동작되도록 하고, B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인식하여 감지센서부(170)가 B 인식신호를 제어부(160)에 송신하면, 제어부(160)는 싱글모드가 동작되도록 배터리(120)와 히팅부(140)(제2히터(145)의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 is suitable for dual mode and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B is suitable for single mode, when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 (200) is recognized and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transmits an A recogn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unit (160) can operate in dual mode, and when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B (200) is recognized and the detection sensor unit (170) transmits a B recogn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the battery (120) and the heating unit (140)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heater (145)) to operate in single mode.

제어부(160)가 이와 같이 동작되는 이유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대한 매질부(21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충진 정도, 냉각부(220) (도 6 내지 도 8 참조)의 냉각정도를 고려하여 최상의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in this man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but it is to allow the user to experience the best flavor by considering the degree of fill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 the medium unit (210) for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and the degree of cooling in the cooling unit (220) (see FIGS. 6 to 8).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도 및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llustrates a structural diagram and an ope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구성에 대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described below includes a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unless there is a separat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도 2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살펴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선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선택부(180)로 인하여 이용자가 임의로 듀얼모드 또는 싱글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unit (18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allow a user to arbitrarily select a dual mode or a single mode due to the selection unit (180).

선택부(180)는 버튼, 스위치, 터치스크린, 무선으로 단말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무선장치 등 어떠한 구성이어도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인입홀(150)에 인입하고, 선택부(180)를 동작하여 제어부(160)가 듀얼모드 또는 싱글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lection unit (180) may be configured in any manner, such as a button, a switch, a touch screen, or a wireless device controlled wirelessly by a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nto the introduction hole (150) and operate the selection unit (180) to cause the control unit (160) to operate in either dual mode or single mode.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선택부(180)와 더불어 경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부(190)는 특정한 색을 발하는 조명, 스크린, 소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등 오감을 자극하여 이용자에게 특정한 경고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구성은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unit (190)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unit (180). The configuration of the warning unit (190) may not be a problem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specific warning to the user by stimulating the five senses, such as a light emitting a specific color, a screen, or a speaker generating noise.

경고부(190)는 이용자가 선택부(180)를 통하여 선택한 모드(듀얼모드 및 싱글모드 중 어느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인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적합하지 않은 모드일 때 이를 경고하여 이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충진된 물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선택된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이용자가 풍미를 즐길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warning unit (190) can warn the user when the mode (either dual mode or single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lection unit (180) is not suitable for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ntroduc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so that the user can be aware of it. This is becaus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enjoy the flavor i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operated in the selected mode depending on the material fi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일례로 이용자가 인입홀(150)에 듀얼모드에 적합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인입하고, 선택부(180)를 이용하여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조작한 경우라고 가정하면, 이 경우 경고부(190)는 동작되어 이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인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싱글모드에 부적합한 물품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경고부(19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a user inserts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suitable for dual mode into the introduction hole (150) and operates the selection unit (180) to operate in single mode, the warning unit (190) may be operated to inform the user that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not suitable for single mode. Alternatively, the warning unit (19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일례로 이용자가 인입홀(150)에 듀얼모드에 적합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인입하고 선택부(180)를 이용하여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경우, 경고부(19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싱글모드로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선택부(180)를 이용하여 듀얼모드로 선택하여야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되어 풍미를 느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serts an aerosol generating product suitable for dual mode into the inlet hole (150) and operates in single mode using the selection unit (180), the warning unit (190) can control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not to operate in single mode. Accordingly, the user must select dual mode using the selection unit (180) so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perates and can experience the flavor.

이처럼 경고부(190)는 선택부(180)를 보조하여 이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warning unit (190) can assist the selection unit (180) to enable the user to properly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도 및 동작방식을 도시한 것이다.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and operation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살펴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액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액상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60)가 듀얼모드 또는 싱글모드로 동작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can detect the amount of liquid stored in a liquid storage unit (130) and operate the control unit (160) to operate in dual mode or single mode.

액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액상량은 별도의 액상을 감지하는 측정센서부(165)로 측정될 수 있다. 다만, 측정센서부(165)가 미포함된다 하여도 제어부(160) 자체로 액상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제1히터(141)에 전력이 공급되는 횟수를 확인하여 액상제어부(160) 내 액상량을 체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에는 제1히터(141)가 1회 동작 시 감소되는 액상량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amount of liquid store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can be measured by a separate liquid-detecting measuring sensor unit (165). However, even if the measuring sensor unit (165) is not included, the liquid amount can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60) itself.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can check the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control unit (160) by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heater (141).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can store in advance the amount of liquid that decreases when the first heater (141) operates once.

액상저장부(130) 내 액상량이 기설정된 양 이하로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싱글모드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되도록 히팅부(140)(제2히터(145))를 제어 할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is detected to be less than a preset amount,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the heating unit (140) (second heater (145)) so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perates in single mode.

따라서 이용자는 액상저장부(130) 내 액상이 없다하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이용하여 풍미를 느낄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feel the flavor by 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even if there is no liquid in the liquid storage unit (130).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구조도 및 동작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제4 실시예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타이머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imer unit (195).

타이머부(195)는 현재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시간에 따라 싱글모드 또는 듀얼모드 동작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1시간에는 싱글모드가, 제2시간에는 듀얼모드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간은 오전 7시 내지 8시 사이, 제2시간은 제1시간 이외의 시간일 수 있다. The timer unit (195) can measure the current time. The control unit (160) can operate only one of the single mode or dual mode operations depending on the time.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single mode at a first time and in dual mode at a second time. Here, the first time can be between 7:00 and 8:00 AM, and the second time can be a time other than the first tim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른 아침 시간과 같이 액상을 구입하거나 또는 움직이기 어려운 시간 대에는 액상을 소모하지 않고 동작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간 구간이 아닌 복수의 시간 구간(오전 7시 내지 8시, 오후 10시 내지 11시) 등일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without consuming liquid during times when it is difficult to purchase liquid or move, such as early in the morning,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promoted. In addition, the first time period may be a plurality of time periods (such as 7 to 8 a.m., 10 to 11 p.m.) rather than the time period described above.

한편, 제4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도, 전술한 선택부(180, 도 2 참조)가 포함되어 싱글모드만 동작되는 시간에도 이용자는 임의로 듀얼모드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Meanwhile, even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it will be obvious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and operate the dual mode even when only the single mode is operated due to the inclusion of the aforementioned selection unit (180, see FIG. 2).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5 illustrates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부 절개도이다.FIG. 6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of FIG. 5.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싱글모드로 동작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nd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of any on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through FIGS. 1 to 4.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may complement a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perates in a single mode.

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싱글모드를 동작할 때 제2온도로 제2히터(145)만이 가열되어 동작된다.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싱글모드로 동작된다 하여도 충분한 양의 무화량(에어로졸 양)이 발생되지 않아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포함된 물질들이 이용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상대적 고온이 가해지므로, 고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불쾌한 느낌을 이용자가 느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in single mode, in which only the second heater (145) is hea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Even if the conventional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perates in single mode, a sufficient amount of vapor (amount of aerosol) is not generated, and thus,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substance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are not delivered to the user. In addition, sinc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s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the user may feel an unpleasant feeling caused by the high temperature.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것으로, 고온으로 가열 시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되고, 냉각부(220)로 인하여 높은 희석율(냉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이 이용자에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고, 고온이 인가된다 하여도 충분한 냉각을 하여 이용자가 불쾌한 느낌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6 solves these problems, and when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 large amount of aerosol is generated, and a high dilution rate (cooling) can be achieved due to the cooling unit (220), so that various substance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can reach the user, and even if a high temperature is applied, sufficient cooling can be achieved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an unpleasant sensation.

본 발명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매질부(210)와 냉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dium portion (210) and a cooling portion (220).

매질부(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인입홀(150)에 인입되면 제2히터(14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매질부(210)는 제2히터(145)에 의하여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질부(210)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보습제가 적어도 10% 이상으로 충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매질부(210)는 제2히터(145)에 의하여 가열되면 에어로졸을 다량 발생시켜 니코틴 등이 이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edium part (21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eater (145) when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150)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The medium part (210) can be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45) to generate an aerosol. Here, the medium part (210) can be filled with at least 10% or more of a moisturizer that generates an aerosol. Therefore, when the medium part (210)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s heated by the second heater (145), a large amount of aerosol can be generated so that nicotine or the like can be supplied to the user.

보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보습제는 15% 이상 내지 30% 이며, 15%가 매질부(210)에 충진되면 가장 이상적인 예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mount of the moisturizer that generates the aerosol is 15% to 30%, and the most ideal example would be if 15% is filled in the medium portion (210).

여기서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보습제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에틸렌글리콜 (Eth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 (Diprop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 (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 (Triethylene glycol), 테트라에틸렌글리콜 (Tetraethylene glycol), 올레일알코올 (Oleyl alcoh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을 수 있다.Here, the humectant for aerosol gener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Oleyl alcohol.

또한, 매질부(210)에는 니코틴이 포함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니코틴일 수 있으며, 합성 니코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은 프리 베이스 니코틴(free base nicotine), 니코틴 염(nicotine salt)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dium (210) may contain nicotine. The nicotine may be naturally occurring nicotine or may be synthetic nicotine. For example, the nicotine may contain free base nicotine, a nicotine salt, or a combination thereof.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Organic acids) 또는 무기산(Inorganic acids)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Nicotine salts can be formed by adding a suitable acid, including an organic acid or an inorganic acid, to nicotine.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가열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acid for forming a nicotine sal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considering the rate of nicotine absorption in the blood, heating temperature, flavor or taste, solubility, etc.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Benzoic acid), 락트산(Lact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소르브산(Sorbic acid), 레불린산(Resorcinol), 피루브산(Pyruvic acid), 포름산(Form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발레르산(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페닐아세트산(Phenylacet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푸마르산(Pumar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사카린산(Sacchar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말산(Malic acid)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acids for the formation of nicotine salts are Benzoic acid, Lactic acid, Salicylic acid, Lauric acid, Sorbic acid, Resorcinol, Pyruv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Caprylic acid, Capric acid, Cit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henylacetic acid, It may be a single aci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rta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gluconic acid, saccharic acid, malonic acid, and malic aci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acids selected from the abov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매질부(210)는 제2히터(145)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2히터(145)와 유사한 가로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매질부(210)의 가로길이와 제2히터(145)의 가로길이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질부(210)는 제2히터(145)가 발생하는 열을 모두 받게되어 가열될 수 있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um portion (210) be formed to have a similar horizontal length to the second heater (145) based on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heater (145). That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medium portion (210)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heater (145) can be formed similarly. Therefore, the medium portion (210) can receive all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second heater (145) and be heated.

매질부(210)는 일례로 담배 시트가 주름지게 접혀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채널이 형성된 복수의 담배 가닥이 합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질부(21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싸여질 수 있다. 여기서 열 전도 물질은 금속호일, 알루미늄 및 이와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The medium (210)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folding a tobacco sheet into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formed by joining together a plurality of tobacco strands with channels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medium (210) may be wrapped with a heat-conducting material. Here, the heat-conducting material may be a metal foil, aluminum, or a similar material.

냉각부(220)는 매질부(210)에 인접하여 매질부(210)에 의하여 생성된 물질의 온도를 낮춰 이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흡인력을 인가하면 매질부(210)에서 발생된 물질은 냉각부(220)를 통과하여 이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The cooling unit (220) is adjacent to the medium unit (210) and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a substance generated by the medium unit (210) so that the user can inhale it. 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suction force, the substance generated in the medium unit (210) can pass through the cooling unit (220) and be delivered to the user.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싱글모드로 본 발명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제2온도로 가열되어 기존과 비교 시 더욱 높은 온도로 가열되므로 불쾌한 느낌이 이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냉각부(220)는 약 10% 이상의 공기희석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0%의 공기희석율을 가질 수 있으며, 20%이상의 공기희석율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single mode,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s heated to a second temperature and is heated to a higher tempera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so an unpleasant feel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e cooling unit (220) may be formed to have an air dilution rate of about 10% or more. Preferably, it may have an air dilution rate of about 15% to 30%, and it may be desirable to form it to have an air dilution rate of 20% or more.

냉각부(220)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220)는 냉각부(220)를 이동하여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물질을 냉각하는 것으로, 중공의 원통 형태의 지관일 수 있다. 냉각부(220)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oling unit (22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he cooling unit (220) may be a hollow cylindrical tube that cools a material that is transferred to a user by moving the cooling unit (220). The cooling unit (220) may be manufactured from a polymer material or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또한, 냉각부(220)는 복수의 천공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천공홀(23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냉각부(22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부(220)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물질은 천공홀(23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희석되며 냉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unit (22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230). Therefor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oling unit (220) through the perforation holes (230). Accordingly, a material that passes through the cooling unit (220) may be diluted and cool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perforation holes (230).

이러한 매질부(210)와 냉각부(220)는 외부래퍼(24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se medium portion (210) and cooling portion (220) can be fixed in a form surrounded by an outer wrapper (240).

한편, 별도의 지시번호가 부여되지 않았으나, 냉각부(220) 다음 필터부가 배치되어 유해 물질을 필터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입에 물려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a separate instruction number is not assigned, a filter unit is placed after the cooling unit (220) so that it can filter harmful substances and be fixed in the user's mouth.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변형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Below, we will examine variations of aerosol generating articles in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변형예이다.Figures 7 and 8 are modified examples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of Figure 6.

도 7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변형례를 살펴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냉각부(220)가 제1냉각부(221), 제2냉각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냉각부(221)와 제2냉각부(222)는 연속되어 배치되어 물질은 제1냉각부(221)와 제2냉각부(222)를 통과하여 이용자의 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modified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is examined.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may include a cooling unit (220) composed of a first cooling unit (221) and a second cooling unit (222). The first cooling unit (221) and the second cooling unit (222) are arranged in series, so that a substance can pass through the first cooling unit (221) and the second cooling unit (222) and be delivered to the user's mouth.

제1냉각부(221)는 중공의 필터세그먼트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냉각부(221)의 중공을 통하여 물질이 이동되면 제1냉각부(221)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제2냉각부(222)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서 천공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냉각부(222)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물질은 천공홀(230)을 통하여 인입되는 공기로 인하여 공기와 희석되어 냉각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unit (221) may be a hollow filter segment. Therefore, when a substance mov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cooling unit (221), it may be cooled by the first cooling unit (221). The second cooling unit (222) may be formed with an empty space on the inside and may have perforations (230)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fore, a substance moving through the second cooling unit (222) may be cooled by being diluted with air due to air drawn in through the perforations (230).

제1냉각부(221)와 제2냉각부(222)는 내부레퍼(250)에 둘러싸이며 고정되고, 외부레퍼(240)에 의하여 둘러싸이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레퍼(250) 중 제2냉각부(222)와 대응되는 부분 중 일부와 외부레퍼(240) 중 내부레퍼(250)와 대응되는 일부에는 천공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unit (221) and the second cooling unit (222) may be surrounded and fixed by the inner cover (250) and surrounded and fixed by the outer cover (240). Here, a perforation hole (230)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inner cover (25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oling unit (222) and a part of the outer cover (240) corresponding to the inner cover (250).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제1냉각부(221), 제2냉각부(222)를 통하여 물질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cool a material through the first cooling unit (221) and the second cooling unit (222).

도 8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다른 변형례를 살펴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냉각부(220)는 제1세그먼트(225), 제2세그먼트(2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세그먼트(225), 제2세그먼트(226)는 냉각 세그먼트일 수 있으며,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s shown. The cooling section (220)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may include a first segment (225) and a second segment (226). The first segment (225) and the second segment (226) may be cooling segments and may be formed in corresponding shapes.

일례로 제1세그먼트(225)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세그먼트(226)는 제1세그먼트(225)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세그먼트(225)와 제2세그먼트(226)는 나란하게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내부레퍼(250)에 의하여 싸여져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egment (225)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segment (226)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egment (225). The first segment (225) and the second segment (226) may be positioned in parallel adjacent positions and may be wrapped and fixed by an inner wrapper (250).

따라서 물질은 제1세그먼트(225)와 제2세그먼트(226)의 중공을 통과하며 이동하고, 그로 인하여 냉각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terial can move through the hollow space of the first segment (225) and the second segment (226) and thereby be cooled.

또한, 제1세그먼트(225), 제2세그먼트(226)에는 복수의 천공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천공홀(230)은 내부레퍼(250)에 의하여 폐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내부레퍼(250)를 감싸는 외부레퍼(240)에도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230) may be formed in the first segment (225) and the second segment (226). The perforation holes (230) may not be closed by the inner wrapper (250),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may also be formed in the outer wrapper (240) that wraps the inner wrapper (250).

따라서 이용자가 흡인력을 인가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천공홀(230)을 투과하여 제1세그먼트(225), 제2세그먼트(226)를 통과하여 중공에 인입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물질은 공기에 의하여 희석되어 냉각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user applies suction force, external air can pass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230) and pass through the first segment (225) and the second segment (226) to be drawn into the hollow space, thereby allowing the material to be diluted by the air and cooled.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9 illustrate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별 타겟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동작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종류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set a target temperature for each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can include a detection sensor unit (170) as described above, and its operation can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type of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as described above.

제어부(16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 별 타겟온도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싱글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제2히터(145)가 다른 온도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온도는 제1온도 또는 제2온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제2온도의 온도 범위 중 특정한 어느 한 온도(예를 들면 220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매질부(210)에 충진된 보습제의 정도, 냉각부(220)가 냉각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ntrol unit (160) may store a target temperature for each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Accordingly,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operated in a single mode, the second heater (145) may be operated at a different temperature. Here, the different temperature may not mean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but may mean a specific temperature (for example, 220 degrees)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econd temperatur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moisturizing agent filled in the medium unit (210) and the degree that the cooling unit (220) can cool.

일례로 A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매질부(210)에 보습제가 20% 충진되어 있고, 냉각부(220)가 10%의 공기희석율을 가지고 있고, B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매질부(210)에 보습제가 20% 충진되어 있고, 냉각부(220)가 20%의 공기희석율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겠다. 그리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싱글모드로 동작된다고 가정하겠다. A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인입홀(150)에 배치되면 제어부(160)는 제2히터(145)가 200도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B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인입홀(150)에 배치되면 220도가 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it will be assumed that the A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has a medium portion (210) filled with 20% of a moisturizer and a cooling portion (220) having an air dilution rate of 10%, and the B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has a medium portion (210) filled with 20% of a moisturizer and a cooling portion (220) having an air dilution rate of 20%. In addi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operates in a single mode. When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of A is placed in the inlet hole (150)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60) can apply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cond heater (145) is at 200 degrees, and when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of B is placed in the inlet hole (150)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60) can apply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temperature is 220 degrees.

즉, 제2 실시예에 의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따라 제2히터(145)가 다르게 온도를 인가하므로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좋은 풍미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heater (145) applies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200), so that a variety of good flavor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improv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 하우징
120 : 배터리
130 : 액상저장부
140 : 히팅부
141 : 제1히터
145 : 제2히터
150 : 인입홀
160 : 제어부
165 : 측정센서부
170 : 감지센서부
180 : 선택부
190 : 경고부
195 : 타이머부
200 : 에어로졸 생성 물품
210 : 매질부
220 : 냉각부
221 : 제1냉각부
222 : 제2냉각부
225 : 제1세그먼트
226 : 제2세그먼트
230 : 천공홀
240 : 외부레퍼
250 : 내부레퍼
100 :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 : Housing
120 : Battery
130 : Liquid storage compartment
140 : Heating part
141: 1st heater
145: 2nd heater
150 : Inlet hole
160 : Control Unit
165: Measuring sensor section
170 : Detection sensor section
180 : Selection section
190 : Warning
195 : Timer section
200 : Aerosol generating articles
210 : Medium section
220 : Cooling section
221: 1st cooling unit
222: Second cooling unit
225: 1st segment
226: 2nd segment
230 : Sky Hole
240 : External reference
250 : Internal reference

Claims (12)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인입되는 인입홀;
상기 인입홀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액상이 저장된 액상저장부; 및
상기 액상저장부와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가열되도록 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액상저장부 및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housing;
An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to which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s introduced;
A liquid storage unit located adjacent to the above-mentioned inlet hole and storing liquid; and
It includes a heating unit that applies heat to the liquid storage unit and the inlet hole so that the aerosol generating product is heated.
The above heating unit applies heat to the liquid storage unit and the inlet hole or applies heat to the inlet hol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액상저장부에 열을 인가하는 제1히터와,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 및 제2히터가 동시에 동작되면 상기 제2히터는 제1온도로 열을 인가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제2히터가 동작되면,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로 열을 인가하도록 동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eating part
It includes a first heater that applies heat to the liquid storage portion and a second heater that applies heat to the inlet hole.
When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he second heater is operated to apply heat at the first temperature.
When the above second heater is operated, it operates to apply heat at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20도 이상이며, 상기 제2온도는 상기 제1온도보다 적어도 40도 이상 높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temperature is 120 degrees or higher, and the above second temperature is at least 40 degrees higher than the above first temperatur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20도 내지 200도 사이이며, 상기 제2온도는 160도 내지 280도 사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first temperature is between 120 degrees and 200 degrees,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between 160 degrees and 280 degre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저장부에 액상이 기설정된 양보다 작으면,
상기 제2히터가 가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If the liquid level in the above liquid storage tank is less than the preset amount,
The above second heater is heat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입홀로 인입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가 배치되며,
상기 감지센서부가 기설정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감지하면 상기 제2히터가 가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In the above housing
A detection sensor unit is placed to detect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above-mentioned inlet hole,
When the abov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preset aerosol generating item, the second heater is heat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by: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인입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가열되면 에어로졸로 변환되는 액체가 저장되는 액상저장부;
상기 액상저장부와 상기 인입홀을 동시에 또는 상기 인입홀에만 열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히팅부; 및
상기 인입홀에 인입되며 상기 히팅부가 열을 인가하는 부분과 대응되어 배치되는 매질부에는 10% 이상의 보습제가 충진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
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housing;
An inlet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above housing;
A liquid storage unit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and storing a liquid that is converted into an aerosol when heated;
A heating unit that allows heat to be applied to the liquid storage unit and the inlet hole simultaneously or only to the inlet hole; and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 which a medium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inlet hole and i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rtion to which the heating portion applies heat, and in which 10% or more of a moisturizing agent is fille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상기 매질부의 일측에 복수의 천공홀이 형성된 냉각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In Article 7,
The above aerosol generating article is,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cool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medium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내외를 관통하는 복수의 천공홀이 형성된 복수의 세그먼트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In Article 8,
The above cooling unit
A plurality of segments are arranged in a parallel manner, with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홀로 인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부가 상기 냉각부를 포함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감지하면,
상기 히팅부는 상기 인입홀에만 열을 인가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In Article 8,
It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unit that detects an aerosol generating item introduced into the above-mentioned inlet hole,
When the abov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the cooling unit,
The above heating part operates so as to apply heat only to the above inlet hol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액상저장부에 열을 인가하는 제1히터와 상기 인입홀에 열을 인가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 및 제2히터가 동시에 동작되면 상기 제2히터는 제1온도로 열을 인가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제2히터가 동작되면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로 열을 인가하도록 동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In Article 8,
The above heating part
It includes a first heater that applies heat to the liquid storage and a second heater that applies heat to the inlet hole.
When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he second heater is operated to apply heat at the first temperature.
When the above second heater is operated, it operates to apply heat at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는 160도 내지 280도 사이이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천공홀을 통하여 공기가 인입되어 상기 매질부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상기 공기와 혼합되어 10% 이상 희석되어 냉각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In Article 11,
The above second temperature is between 160 and 280 degrees,
The above cooling unit is such that air is drawn in through the perforated hole, and the aerosol generated in the medium unit is mixed with the air and diluted by 10% or more to be coole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haracterized by:
KR1020230102916A 2023-08-07 2023-08-07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Pending KR20250021812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916A KR20250021812A (en) 2023-08-07 2023-08-07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PCT/KR2024/008726 WO2025033690A1 (en) 2023-08-07 2024-06-24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US18/770,159 US20250049129A1 (en) 2023-08-07 2024-07-11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916A KR20250021812A (en) 2023-08-07 2023-08-07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1812A true KR20250021812A (en) 2025-02-14

Family

ID=9448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916A Pending KR20250021812A (en) 2023-08-07 2023-08-07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50049129A1 (en)
KR (1) KR20250021812A (en)
WO (1) WO202503369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382A (en) 2018-07-13 2023-05-11 알렉터 엘엘씨 Anti-sortilin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9890B2 (en) * 2018-06-07 2023-12-18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Electric heating assembly for he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KR102203851B1 (en) * 2018-11-12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2336565B2 (en) * 2019-01-24 2025-06-24 Inno-It Co., Ltd. Liquid cartridge that can be inserted into electrically heated smoking article, electrically heated smoking article including the sam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102455535B1 (en) * 2020-06-16 2022-10-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20050687A (en)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382A (en) 2018-07-13 2023-05-11 알렉터 엘엘씨 Anti-sortilin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33690A1 (en) 2025-02-13
US20250049129A1 (en) 202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838B1 (en) System for generating aerosol by using multiple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and apparatus thereof
EP3704968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KR10241211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1726996B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1629611B (en) Cigarette comprising an outer wrapper
JP2022174176A (en)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CN110612034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with cigarette insertion detection function
CN111741688A (en) Cigarett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cigarette
EP4011220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liquid composition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same
KR20190051785A (en) Method for providing smoking experience using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0493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20190049392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KR102455535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43350B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multiple susceptors
KR20190010432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erosols
KR20210088402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40349804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method for optimizing frequency of current flowing through coil
KR102522127B1 (en) Heater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98932A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heating time of heater
KR20210158260A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Tread filter, and Cooling article including tread filter
EP4023079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2487084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50021812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487085B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KR20210157603A (en) Liquid cartridge and aerosol-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