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21533A - Discharge cap - Google Patents
Discharge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21533A KR20250021533A KR1020257000317A KR20257000317A KR20250021533A KR 20250021533 A KR20250021533 A KR 20250021533A KR 1020257000317 A KR1020257000317 A KR 1020257000317A KR 20257000317 A KR20257000317 A KR 20257000317A KR 20250021533 A KR20250021533 A KR 20250021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t
- valve
- contents
- discharge
- nozz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하는 것,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 및 토출 후에 있어서의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슬릿 밸브(7A)가 구비하는 밸브부(49)는, 슬릿(55)이 마련된 슬릿부(49b)와, 박육 통부(51)(연결부)에 결합된 외주부(49a)를 구비하고 있다. 슬릿부(49b)는 외주부(49a)보다도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다. 슬릿부(49b)는 내용액(CLq)의 토출시에는 내용액(CLq)의 토출 방향으로 변형되고, 내용액(CLq)이 토출된 후에는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uppres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a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to an appropriate size, to prevent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a discharge nozzle (29) from becoming too thick, and to improve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s (CLq) after discharge. A valve portion (49) provided with a slit valve (7A) has a slit portion (49b) provided with a slit (55)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connected to a thin-walled tube portion (51) (connection portion). The slit portion (49b) is more easily deformed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due to pressure change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When the contents (CLq) is discharged,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ntents (CLq), and after the contents (CLq) is discharged, it is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출 캡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ap.
윤활제, 코킹제, 및 꿀 등의 점성을 가지는 액체는, 예를 들면, 탄성을 구비하고, 또한 구부(口部)에 토출 캡이 장착된 용기에 수용된다. 토출 캡에는 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액체(내용액)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이 마련되어 있다. 노즐은, 내부에 액체용의 유로(노즐 유로)를 형성한 중공 통체이다. 노즐 유로는 토출 캡이 용기의 구부에 장착되면 해당 용기의 내부 공간에 연통된다. Lubricants, caulking agents, and viscous liquids such as honey are accommodated in a container having elasticity and a discharge cap mounted on the mouth. The discharge cap is provided with a nozzle f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The nozzle is a hollow body having a flow path (nozzle flow path) formed therein for the liquid. The nozzl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when the discharge cap is mounted on the mouth of the container.
용기에는, 노즐로부터 내용액을 토출시킬 때에 외력이 가해진다. 예를 들면, 노즐 유로 내를 내용액으로 채우고 나서 용기를 압착하면,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증가하여 노즐로부터 내용액이 토출된다.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from the nozzl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For example, when the nozzle path is filled with the contents and the container is compressed, the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increases, causing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from the nozzle.
이러한 토출 캡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토출 캡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의 토출 캡에서는, 십자 형상의 슬릿을 형성한 슬릿 밸브를 노즐에 마련하고 있다. As such a discharge cap, for example, a discharge cap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In the discharge cap of Patent Document 1, a slit valve having a cross-shaped slit is provided in the nozzle.
특허 문헌 1의 토출 캡을 용기의 구부에 장착하고, 노즐 유로 내를 내용액으로 채우고 나서 용기에 외력을 가하면,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노즐 유로 내의 내용액이 슬릿 밸브측으로 밀려나와, 내용액에 의해 십자 형상의 슬릿이 열린다. 그 후, 내용액은 슬릿의 간극(토출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된다.When the discharge cap of Patent Document 1 is mounted on the mouth of the container, and the inside of the nozzle passage is filled with the contents, and t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the contents inside the nozzle passage are pushed out toward the slit valve side as the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increases, and a cross-shaped slit is opened by the contents. Thereafter, the contents pass through the gap (discharge port) of the slit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내용액이 토출된 후에 용기에 대한 외력을 풀면, 용기가 구비하는 탄성에 의해 용기가 부풀어 올라, 슬릿 근방의 내용액과 공기가 노즐 유로 내로 인입된다(색백(sackback)된다). 슬릿은 용기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면 폐색된다. Aft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when the external force on the container is released, the container swell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ents and air near the slit are drawn into the nozzle path (sackback). The slit is closed when the container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토출 캡을 장착한 용기에 있어서, 내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외력은 너무 커지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내용액이 윤활제나 꿀 등의 고점도의 액체여도, 용기에 대해서 적절한 크기의 외력을 가하면 내용액이 토출될 것이 요구된다. In a container equipped with a discharge cap, the external forc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s required not to be too large. For example, even if the contents are high viscosity liquids such as lubricants or honey, the contents are required to be discharged by a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external force to the container.
여기서, 용기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억제하기 위해, 밸브가 구비하는 슬릿을 길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간단하게 슬릿을 길게 한 것만으로는, 노즐로부터 토출된 내용액이 너무 굵어져 버린다고 하는 다른 과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토출 후에 있어서의 내용액의 끊김이 나빠지는 과제도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에 대한 외력을 푼 후에, 노즐 유로 내로 돌아오지 못한 내용액이 실 모양으로 연장되어 버려, 캡의 외표면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Here, in order to suppress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consider lengthening the slit provided in the valve. However, simply lengthening the slit may cause another problem, such as the content liquid discharged from the nozzle becoming too thick. In addition, there may also be a problem tha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after discharge becomes worse. For example, after the external force on the container is released, the content liquid that does not return to the nozzle path may extend into a thread-like shape and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이와 같이, 종래의 토출 캡에는, 용기로 가하는 외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슬릿을 길게 하면,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이 너무 굵어져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In this way, conventional discharge caps have the problem that if the slit is made long to suppress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nozzle become too thick.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내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해 용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하는 것,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이 너무 굵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 및 토출 후에 있어서의 내용액의 끊김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main objects are to suppres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a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ntents to an appropriate size, to prevent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a nozzle from becoming too thick, and to improve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s after dischar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을 구비한 용기의 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내용액을 토출하는 토출 캡으로서, 상기 구부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의 노즐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노즐보다도 유연한 탄성 소재에 의해 제작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노즐 유로 내의 상기 내용액이 토출되는 밸브부와, 유지체에 의해 상기 노즐에 유지되는 통 모양의 피유지부와, 상기 밸브부와 상기 피유지부를 연결하는 통 모양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부는 대기압과 상기 용기의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의 차에 따라서 개폐하는 슬릿이 마련된 슬릿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외주부(外周部)를 구비하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외주부보다도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상기 내용액의 토출시에는 상기 내용액의 토출 방향으로 변형되고, 또한 상기 내용액이 토출된 후에는 상기 노즐 유로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charge cap which is mounted on a bend of a container having elasticity and discharges a liquid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increas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the discharge cap comprises a nozzle which forms a nozzle channel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bend, and a valve which is provided on the nozzle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more flexible than the nozzle, the valve comprises a valve portion through which the liquid content in the nozzle channel is discharged, a cylindrical retaining portion which is retained by a retainer to the nozzle, and a cylindrical connecting portion which connects the valve portion and the retaining portion, the valve portion comprises a slit por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slit that opens and closes in accordance with a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he slit portion being more easily deformed by a change in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quid content is discharged, it is deform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liquid content, and further, after the liquid content is discharged, it is deformed toward the nozzle channel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해 용기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이 너무 굵어지지 않고, 또한 토출 후에 있어서의 내용액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nozzle cannot become too thick, and the interruption of the contents after discharging can be improved.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 및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로서, 덮개체를 씌운 패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 및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로서, 덮개체를 벗긴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슬릿 밸브의 평면도,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노즐 유로 내에 내용액이 채워지고, 또한 용기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노즐 유로 내의 내용액에 의해 슬릿 밸브의 슬릿부가 눌려 넓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슬릿부에서 외부로 내용액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a)는 용기로의 외력을 푼 상태에 있어서 노즐 유로 내의 내용액이 용기측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노즐 유로 내에 공기가 유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노즐 유로 내로의 공기의 유입이 끝나고, 슬릿 밸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의 평면도, (b)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a)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에 덮개체를 씌운 패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의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cap and a part of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closed state with a cover body.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cap and a part of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n open state with the cover body removed.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ure 1.
Fig. 4 (a) is a plan view of the slit valve,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4 (a).
Figure 5 (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nozzle passage and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t portion of the slit valve is pressed and widened by the contents in the nozzle passage, and (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slit portion.
Figure 6 is a drawing showing (a)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inside the nozzle path start to return toward the container side when the external force on the container is released, (b)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starts to flow into the nozzle path, and (c)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of air into the nozzle path is finished and the slit valve is closed.
Fig. 7 (a) is a plan view of a slit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7 (a).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ed exampl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a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3 (a)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discharge ca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13 (a).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d state with a cover body placed on the discharge ca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shown in Figure 14.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a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되는 구성 요소, 종류, 조합,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만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unless specifically stated, the components, types, combinations, shapes, relative arrangements, etc.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A), 및 용기(3)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A)은 노즐(29)을 구비하고 있고, 탄성을 구비한 용기(스퀴즈 용기)(3)의 구부(1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용기(3)의 내부 공간에는 액체(내용액)(CLq)가 수용되어 있다. 토출 캡(1A)은 용기(3)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따라서, 노즐(29)로부터 내용액(CLq)을 토출한다. FIG. 1 and FIG.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discharge cap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part of a container (3).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discharge cap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nozzle (29)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a bend (15) of an elastic container (squeeze container) (3). A liquid (content) (CLq)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The discharge cap (1A) discharges the content (CLq) from the nozzle (29)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increas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용기(3)><Courage (3)>
용기(3)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변형되기 쉽고, 또한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3)는 압착(스퀴즈) 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내부 공간의 용적을 수축시키도록 변형되고, 또한 외력이 풀리면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한다. The container (3) is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easily deformed, and is also elastic.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3) by compression (squeeze), etc., it is deformed to shrink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elasticity.
용기(3)는 내용액(CLq)을 수용하기 위한 몸통부(13)와, 몸통부(13)와 일체로 마련되고, 내용액(CLq)을 출납하는 구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구부(15)의 외주부에는, 토출 캡(1A)를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17)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tainer (3) has a body part (13) for accommodating the liquid content (CLq) and a mouth part (15)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13) and f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 (CLq). A male screw (17) for mounting a discharge cap (1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th part (15).
몸통부(13)의 형상은, 외력이 가해지면 내부 공간의 용적을 수축시키고, 또한 외력이 풀리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몸통부(13)는 바닥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body part (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racts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For example, the body part (13)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bottom.
용기(3)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내용액(CLq)은, 윤활제, 코킹제, 및 꿀 등의 점성을 가지는 액체이다. 윤활제의 점도는 3100mPa·s 정도이며, 꿀의 점도는 12000mPa·s 정도이다. The content liquid (CLq)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is a liquid having a viscosity such as a lubricant, a caulking agent, and honey. The viscosity of the lubricant is approximately 3100 mPa·s, and the viscosity of the honey is approximately 12000 mPa·s.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내용액(CLq)은, 예를 들면 점도가 500mPa·s 내지 12000mPa·s의 점성을 가지는 액체이다. In the description below, the content liquid (CLq) is, for example, a liquid having a viscosity of 500 mPa·s to 12,000 mPa·s.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A)><Discharge cap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토출 캡(1A)은 토출 노즐(29)을 구비하고, 또한 용기(3)의 구부(1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본체(5)와, 토출 노즐(29)의 선단부에 마련된 슬릿 밸브(7A)(밸브체), 및 유지체(9)(유지부)와, 토출 노즐(29)을 덮도록 캡 본체(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체(11)를 구비하고 있다. The discharge cap (1A)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nozzle (29), and also includes a cap body (5) tha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opening (15) of the container (3), a slit valve (7A) (valve body) provided at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a retainer (9) (retainer), and a cover body (11) tha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p body (5) so as to cover the discharge nozzle (29).
캡 본체(5)는 대략 원반(圓盤) 형상의 천정벽(21)과, 천정벽(21)의 내표면으로부터 용기(3)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통 모양 외측벽부(23), 통 모양 중간벽부(25), 및 통 모양 내측벽부(27)와, 천정벽(21)의 외표면의 중심부로부터 용기(3)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토출 노즐(29)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캡 본체(5)는 내용액(CLq)의 토출시에 변형되지 않는 경도의 합성 수지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The cap body (5) has a roughly disc-shaped ceiling wall (21), a roughly cylindrical outer wall portion (23), a cylindrical middle wall portion (25), and a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27)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21) toward the container (3), and a roughly cylindrical discharge nozzle (29)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21)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iner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 body (5)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hardness that does not deform when the contents (CLq) are discharged.
통 모양 외측벽부(23)는 천정벽(21)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몸통부(13)의 바로 옆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 모양 외측벽부(23)의 단부(端部)(천정벽(21)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의 외벽면에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고리 모양의 연장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1)는 캡 본체(5)에 장착된 덮개체(11)의 개구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The tubular outer wall portion (23) extends from the outer edge of the ceiling wall (21) to right next to the body portion (13).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end portion (the end portion farthest from the ceiling wall (21)) of the tubular outer wall portion (23), an annular extension portion (31) exten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The extension portion (31) is provided to support the opening edge of the cover body (11) mounted on the cap body (5).
통 모양 중간벽부(25)는 통 모양 외측벽부(23)의 내주(內周)측에 적절한 간격을 두고 통 모양 외측벽부(23)와 동심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통 모양 중간벽부(25)의 단부(천정벽(21)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는, 구부(15)의 근원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 모양 중간벽부(25)의 내벽면에는, 구부(15)의 수나사(17)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암나사(33)가 형성되어 있다.The tubular middle wall portion (25)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tubular outer wall portion (23) at an appropriate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ce side of the tubular outer wall portion (23). An end portion (an end on the side farther from the ceiling wall (21)) of the tubular middle wall portion (25)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root of the opening (15). A female screw (33)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bular middle wall portion (25) into which a male screw (17) of the opening (15) is removably fitted.
통 모양 내측벽부(27)는 통 모양 중간벽부(25)의 내주측에 구부(15)의 선단 부분이 감합(嵌合, 끼워 맞춤)되기 위해서 필요한 간격을 두고 통 모양 중간벽부(25)와 동심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통 모양 중간벽부(25)와 통 모양 내측벽부(27)와의 사이에는, 용기(3)의 구부(15)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홈)(35)이 형성되어 있다. The tubular inner wall portion (27)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tubular middle wall portion (25) at a necessary interval so that the tip portion of the bend (15) can be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middle wall portion (25). Accordingly, a space (groove) (35) for inserting the bend (15) of the container (3) is formed between the tubular middle wall portion (25) and the tubular inner wall portion (27).
통 모양 내측벽부(27)의 길이는 통 모양 중간벽부(25)보다도 단척이다. 통 모양 내측벽부(27)의 외주면에는, 천정벽(21)으로부터 떨어질수록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퍼는 구부(15)를 캡 본체(5)에 끼워 맞출 때에 구부(15)를 안내한다. 통 모양 내측벽부(27)의 천정벽(21)측의 외주면은, 구부(15)를 캡 본체(5)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구부(15)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내용액(CLq)의 누출을 억제한다.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27) is short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middle wall portion (25).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27) is provided with a taper whose diameter decreases as it gets further away from the ceiling wall (21). The taper guides the bulb (15) when it is fitted onto the cap body (5).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27) on the ceiling wall (21)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ulb (15) when the bulb (15) is fitted onto the cap body (5), thereby suppressing leakage of the contents (CLq).
<토출 노즐(29)><Discharge nozzle (29)>
토출 노즐(29)은 천정벽(21)측의 기단으로부터 천정벽(21)으로부터 떨어진 선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 형상이며, 토출 노즐(29)의 내부에는 내용액(CLq)이 흐르는 노즐 유로(29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벽(21)에는, 노즐 유로(29a)와 용기(3)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개구부(4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액(CLq)은 용기(3)의 내부 공간과 노즐 유로(29a)와의 사이를 왕래 가능하게 유동한다. The discharge nozzle (29) is a tubular shape that extends from the base on the ceiling wall (21) side toward the tip away from the ceiling wall (21), and a nozzle path (29a) through which the content liquid (CLq) flows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nozzle (29). In addition, an opening (43) is provided in the ceiling wall (21) that connects the nozzle path (29a)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Accordingly, the content liquid (CLq) can flow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and the nozzle path (29a).
노즐 유로(29a)의 단면적(SA29a)은 구부(15)의 개구 면적(OP15)보다도 작기 때문에, 토출 노즐(29)의 선단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내용액(CLq)의 굵기를, 구부(15)로부터 직접 유출시키는 내용액(CLq)보다도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 노즐(29)이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용액(CLq)을 원하는 장소에 토출시키기가 용이해진다.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SA29a) of the nozzle euro (29a)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P15) of the bulb (15), the thickness of the liquid content (CLq) discharged from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can be made thinner than the liquid content (CLq) directly flowing out from the bulb (15).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nozzle (29) has a predetermined length, it becomes easy to discharge the liquid content (CLq) to a desired loca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토출 노즐(29)은 천정벽(21)측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진 원통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즐 유로(29a)의 단면 형상을, 토출 노즐(29)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일정하게 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nozzle (29)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tapers from the base to the tip on the ceiling wall (21) side, bu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ozzle path (29a) may be constant from the base to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노즐(29)의 선단부의 내주측에는,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된 고리 모양의 돌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s. 2 and 3, a ring-shaped protrusion (39) protruding radially inwar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돌출부(39)의 내주면은, 슬릿 밸브(7A)가 구비하는 밸브부(49), 및 박육(薄肉, 얇은 굵기) 통부(51)가 배치되는 토출 개구(37)이다. 그리고, 돌출부(39)의 내표면(노즐 유로(29a) 내에 있어서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리 모양의 면)은, 슬릿 밸브(7A)의 밸브측 벽부(47)에 맞닿아 슬릿 밸브(7A)의 탈락을 방지하는 맞닿음면(38)이다.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9) is a discharge opening (37) in which a valve portion (49) provided by the slit valve (7A) and a thin-walled tube portion (51)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9) (an annular surface protruding radially inwardly within the nozzle path (29a)) is a contact surface (38)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of the slit valve (7A) to prevent the slit valve (7A) from falling off.
토출 노즐(29)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확경(擴徑, 지름이 확대)되는 확경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확경부(45)는 덮개체(11)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an expanding portion (45) is formed that expands radially outward. The expanding portion (45) is provided to detachably fix the cover body (1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노즐(29)의 내주면으로서 토출 노즐(29)의 길이 방향의 중간보다도 선단 근처의 위치에는, 고리 모양의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는 유지체(9)의 토출 노즐(29)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a ring-shaped concave portion (4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29) at a position closer to the tip than the middle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ischarge nozzle (29). The concave portion (41) is provided to prevent the retainer (9) from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슬릿 밸브(7A)><Slit valve (7A)>
도 4의 (a)는 슬릿 밸브(7A)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4의 (a),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밸브(7A)는 원통 모양의 밸브측 벽부(47)(피유지부)와,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이 토출되는 대략 원반 형상의 밸브부(49)와, 밸브측 벽부(47)와 밸브부(49)를 연결하는 박육 통부(51)(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Fig. 4 (a) is a plan view of the slit valve (7A), and Fig.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4 (a). As shown in Figs. 3, 4 (a), and 4 (b), the slit valve (7A) has a cylindrical valve-side wall portion (47) (retaining portion), a valve portion (49) having a substantially disc shape through which the contents (CLq) in the nozzle passage (29a) are discharged, and a thin-walled tube portion (51)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and the valve portion (49).
슬릿 밸브(7A)는 토출 노즐(29)(캡 본체(5))보다도 유연한 탄성 소재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릿 밸브(7A)는 경도(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된 경도)가 약 A20°내지 약 A50°의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슬릿 밸브(7A)는, 일체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있으므로 생산이 용이하다. The slit valve (7A)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discharge nozzle (29) (cap body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valve (7A) is integrally molded us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silicone having a hardness (hardness measured by a durometer type A) of about A20° to about A50°. Since the slit valve (7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nufactured by integral molding, it is easy to produce.
밸브측 벽부(47)는 유지체(9)에 의해 토출 노즐(29)에 유지된다. 밸브측 벽부(47)에 있어서의 박육 통부(51)측의 선단면(47a)(자세한 것은, 박육 통부(51)보다도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면)은, 돌출부(39)의 맞닿음면(38)에 맞닿은 것에 의해, 슬릿 밸브(7A)의 토출 노즐(29)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밸브측 벽부(47)의 두께(TH47)는, 토출 노즐(29)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두께로 정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측 벽부(47)의 두께(TH47)는 약 0.3mm 내지 약 1.0mm이다.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s held to the discharge nozzle (29) by the retainer (9). The end face (47a) (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thin-walled portion (51))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abuts against the abutment surface (38) of the protrusion (39), thereby preventing the slit valve (7A) from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TH47)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s set to a thickness necessary to prevent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TH47)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s about 0.3 mm to about 1.0 mm.
박육 통부(51)는 밸브측 벽부(47)의 선단면(47a)측의 내주부와 밸브부(49)의 내표면(54)측의 외주부와의 사이를 연결한다. 그리고, 박육 통부(51)의 외경은 토출 개구(37)의 개구 지름과 대략 같다. 이 때문에, 박육 통부(51)의 외주면은, 슬릿 밸브(7A)가 토출 노즐(29)의 선단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토출 개구(37)에 맞닿는다. 바꾸어 말하면, 박육 통부(51)는 토출 노즐(29)의 토출 개구(37)에 감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thin wall portion (51) connect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surface (47a)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54) of the valve portion (49).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in wall portion (51)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opening diameter of the discharge opening (37). Therefor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in wall portion (51) is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opening (37) while the slit valve (7A) is hel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nozzle (29). In other words, the thin wall portion (51) is arranged to fit into the discharge opening (37) of the discharge nozzle (29).
박육 통부(51)의 두께(TH51)는, 밸브측 벽부(47)의 두께(TH47)와 비교하여 충분히 얇다. 예를 들면, 박육 통부(51)의 두께(TH51)는, 밸브측 벽부(47)의 두께(TH47)의 절반 이하(대략 1/4 내지 대략 1/3)이다. 또한, 박육 통부(51)의 길이(L51)는 약 0.3mm 내지 약 0.7mm이다. The thickness (TH51) of the thin wall portion (51) is sufficiently thin compared to the thickness (TH47)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For example, the thickness (TH51) of the thin wall portion (51) is less than half (approximately 1/4 to approximately 1/3) of the thickness (TH47)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n addition, the length (L51) of the thin wall portion (51) is approximately 0.3 mm to approximately 0.7 mm.
이 때문에, 밸브측 벽부(47)의 선단면(47a)의 면적(바꾸어 말하면 토출 노즐(29)이 구비하는 맞닿음면(38)과 맞닿는 부분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슬릿 밸브(7A)의 토출 노즐(29)로부터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area of the front end surface (47a)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n other words, the area of the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38) provided by the discharge nozzle (29))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slit valve (7A)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또한, 박육 통부(51)는 밸브측 벽부(47)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변형된다. 박육 통부(51)는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슬릿 밸브(7A)의 장착에 수반하여 밸브측 벽부(47)가 변형됐다고 하더라도, 밸브측 벽부(47)의 변형을 흡수한다. In addition, the thin wall portion (51) is easily deformed compared to the valve side wall portion (47). Since the thin wall portion (51) is easily deformed, even if the valve side wall portion (47) is deform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lit valve (7A), the deformation of the valve side wall portion (47) is absorb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측 벽부(4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노즐(29)과 유지체(9) 사이에, 외주측과 내주측으로부터 끼워 들어가져 있다. 슬릿 밸브(7A)의 토출 노즐(29)로의 장착은, 예를 들면, 선단부에 슬릿 밸브(7A)가 씌워진 유지체(9)를, 토출 노즐(29)의 내측 공간(즉, 노즐 유로(29a))을 통해서, 토출 노즐(29)의 선단을 향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따라서, 밸브측 벽부(47)는 슬릿 밸브(7A)의 장착시에 있어서, 토출 노즐(29)의 내주면과 유지체(9)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변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박육 통부(51)는 밸브측 벽부(47)가 변형됐다고 하더라도 스스로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밸브부(49)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Specifically,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s fitted between the discharge nozzle (29) and the retainer (9) from the outer and inner sides,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of the slit valve (7A) to the discharge nozzle (29) is performed, for example, by relatively moving the retainer (9) with the slit valve (7A) covered at the tip portion toward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ischarge nozzle (29) (i.e., the nozzle path (29a)). Therefore, when the slit valve (7A) is mounted,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may be deform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2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er (9).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is configured so that even i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is deformed, the valve portion (49) is not affected by being deformed itself.
또한, 박육 통부(51)는 내용액(CLq)의 토출시에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박육 통부(51)는 윤활제(점도:3100mPa·s 정도)나 꿀(점도:12000mPa·s 정도) 등의 비교적 점도가 높은 내용액(CLq)을 토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밸브부(49)에 대해서 토출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되고,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수축한다. 후술하는 것처럼, 박육 통부(51)는 수축시에 외주부(49a)를 노즐 유로(29a)측으로 당기므로, 슬릿부(49b)의 노즐 유로(29a)측으로의 변형을 보조한다. 그 결과, 토출 후에 있어서의 내용액(CLq)의 끊김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thin-walled tube (51) may be deformed when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 (CLq). For example, when discharging a liquid content (CLq) having a relatively high viscosity, such as a lubricant (viscosity: approximately 3100 mPa·s) or honey (viscosity: approximately 12000 mPa·s), the thin-walled tube (51) expands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valve portion (49), and contracts afte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 (CLq). As described later, when the thin-walled tube (51) contracts, it pull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toward the nozzle channel (29a), thereby assisting the deformation of the slit portion (49b) toward the nozzle channel (29a).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liquid content (CLq) after discharging is improved.
<밸브부(49)><Valve section (49)>
밸브부(49)의 외경은 토출 개구(37)의 개구 지름과 대략 같다. 이 때문에, 밸브부(49)의 외주면은, 슬릿 밸브(7A)가 토출 노즐(29)의 선단부에 유지된 상태에서 토출 개구(37)에 접촉한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부(49)는 토출 노즐(29)의 토출 개구(37)에 감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부(49)의 외경(Φ49)은 약 4mm 내지 약 7mm이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valve portion (49)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opening diameter of the discharge opening (37).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valve portion (49) contacts the discharge opening (37) while the slit valve (7A) is held at the tip end of the discharge nozzle (29). In other words, the valve portion (49) is arranged so as to fit into the discharge opening (37) of the discharge nozzle (2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Φ49) of the valve portion (49) is approximately 4 mm to approximately 7 mm.
밸브부(49)의 외표면(53)은, 노즐 유로(29a)측(내용액(CLq)의 토출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해 구면 모양으로 함몰시켜진 오목면이다. 한편, 밸브부(49)의 내표면(54)은 밸브측 벽부(47)의 원통의 중심축선(L)에 직교하는 평탄면이다. The outer surface (53) of the valve portion (49) is a concave surface that is sunken into a spherical shape toward the nozzle path (29a)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ntents (CLq)).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54) of the valve portion (49) is a flat surfac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L) of the cylinder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밸브부(49)에는, 중심점(O)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릿(55)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밸브(7A)에 있어서, 슬릿(55)은 +문자 형상이다. 슬릿(55)은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대기압의 차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릿(55)의 길이 L55는 약 2mm 내지 약 5mm이다. In the valve portion (49), a slit (55) is formed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point (O). In the slit valve (7A), the slit (55) has a +-shaped shape. The slit (55)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55 of the slit (55) is about 2 mm to about 5 mm.
또한, 슬릿(55)에 관해, 한쪽의 슬릿과 다른 쪽의 슬릿의 교차 각도는 90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쪽의 슬릿과 다른 쪽의 슬릿의 교차 각도를 60도 내지 90도의 범위 내에서 변경해도 된다. 또한, 한쪽의 슬릿의 길이와 다른 쪽의 슬릿의 길이를 다르게 해도 된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slit (55), the angl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slit on one side and the slit on the other side is not limited to 90 degrees. For example, the angl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slit on one side and the slit on the other side may be changed within a range of 60 degrees to 90 degree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lit on one side and the length of the slit on the other side may be different.
밸브부(49)는 박육 통부(51)에 결합된 외주부(49a)와, 슬릿(55)이 마련된 슬릿부(49b)와, 슬릿부(49b)와 외주부(49a)와의 사이에 마련된 중간부(49c)를 구비하고 있다. The valve part (49) has an outer portion (49a) coupled to a thin wall portion (51), a slit portion (49b) provided with a slit (55), and an intermediate portion (49c) provided between the slit portion (49b) and the outer portion (49a).
상술한 것처럼, 밸브부(49)의 외표면(53)이 구면 모양의 오목면이고, 또한 내표면(54)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외주부(49a), 중간부(49c), 및 슬릿부(49b)는, 밸브부(49)의 외주로부터 중심점(O)을 향해 점차 얇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부(49c)는 외주부(49a)로부터 슬릿부(49b)를 향해 점차 얇게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surface (53) of the valve portion (49) is a spherical concave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54) is a flat surfac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slit portion (49b) are formed to be gradually thinner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valve portion (49) toward the center point (O). Accordingly, the middle portion (49c) is formed to be gradually thinner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toward the slit portion (49b).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릿부(49b)의 두께는 외주부(49a)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며, 슬릿부(49b)는 외주부(49a)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일례를 들면, 외주부(49a)의 최대 두께(TH49a)는 약 0.6mm 내지 약 0.7mm이며, 슬릿부(49b)의 최대 두께(TH49b)는 약 0.3mm 내지 약 0.35mm이다. 또한, 슬릿부(49b)의 중심점(O)에서의 최소 두께는 약 0.15mm 내지 약 0.25mm이다. For example, the maximum thickness (TH49a) of the outer portion (49a) is about 0.6 mm to about 0.7 mm, and the maximum thickness (TH49b) of the slit portion (49b) is about 0.3 mm to about 0.35 mm. In addition, the minimum thickness at the center point (O) of the slit portion (49b) is about 0.15 mm to about 0.25 mm.
이상의 구성에 의해, 내용액(CLq)의 토출시에 있어서, 슬릿부(49b)는 내용액(CLq)(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 외주부(49a)보다도 용이하게 변형되고, 토출 노즐(29)의 선단측(하류측)의 소경화에 기여한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CLq), the slit portion (49b) is more easily deformed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due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3)), and contributes to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tip side (downstream side) of the discharge nozzle (29).
또한, 외주부(49a)는 중간부(49c), 및 슬릿부(49b)보다도 두껍고, 중간부(49c)는 슬릿부(49b)보다도 두껍다. 이 때문에,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외주부(49a)는 중간부(49c)보다도 리턴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하는 힘(복원력)이 커지고, 중간부(49c)는 슬릿부(49b)보다도 복원력이 커진다. 그 결과, 슬릿부(49b)는 자신의 복원력에 더하여,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로부터의 복원력도 받아, 노즐 유로(29a)측으로 신속하게 변형되어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49a) is thicker than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slit portion (49b), and the middle portion (49c) is thicker than the slit portion (49b). Therefore,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outer portion (49a) has a greater force (restoring force) to deform in the return direction than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middle portion (49c) has a greater restoring force than the slit portion (49b). As a result, the slit portion (49b) receives restoring force from the outer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in addition to its own restoring force, and is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thereby improving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또한, 외주부(49a)나 중간부(49c)가 슬릿부(49b)보다도 두껍기 때문에, 슬릿(55)의 양단을 갈라지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portion (49a) or the middle portion (49c) is thicker than the slit portion (49b),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two ends of the slit (55) to split.
이에 더하여, 슬릿 밸브(7A)는 실리콘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49a, 49b, 51)의 두께(TH49a, TH49b, TH51)를 정하는 것에 의해, 각 부(49a, 49b, 51)의 부드러움을 용이하게 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lit valve (7A) is integrally molded using synthetic resin such as silicone, the smoothness of each part (49a, 49b, 51) can be easily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thickness (TH49a, TH49b, TH51) of each part (49a, 49b, 51).
<유지체(9)><Maintenance (9)>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9)는 토출 노즐(29)의 선단측의 내주부에 감합된 중공 통체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유지체(9)는 토출 노즐(29)과 함께 밸브측 벽부(47)를 유지하고 있고, 슬릿 밸브(7A)의 토출 노즐(29)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retainer (9) is a hollow body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ip side of the discharge nozzle (29), and in this embodiment,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The retainer (9) retains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together with the discharge nozzle (29), and prevents the slit valve (7A) from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유지체(9)는 토출 노즐(29)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소경 통부(57)와, 소경 통부(57)보다도 토출 노즐(29)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대경 통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소경 통부(57)의 기단과 대경 통부(59)의 선단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체(9)의 내부 공간(9a)은 노즐 유로(29a)의 일부를 구성한다. The retainer (9) has a small-diameter barrel (57)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nozzle (29) and a large-diameter barrel (59) located at the base end of the discharge nozzle (29) relative to the small-diameter barrel (57). The base end of the small-diameter barrel (57) and the front end of the large-diameter barrel (59) are integr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9a) of the retainer (9) constitutes a part of the nozzle path (29a).
소경 통부(57)의 외경은 밸브측 벽부(47)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대경 통부(59)의 외경은 토출 노즐(29)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diameter tube (57)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side wall (47). The outer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tube (59)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discharge nozzle (29).
대경 통부(59)의 외주면의 기단 부분에는,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부(61)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61)는 토출 노즐(29)의 고리 모양의 오목부(41)에 감합되어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f the large diameter tube (59), a flange portion (61) is provided that protrudes radially outward. The flange portion (61) is fitted into a ring-shaped concave portion (41) of the discharge nozzle (29).
유지체(9)는 플랜지부(61)가 오목부(41)에 감합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또한 토출 노즐(29)에 고정된다. The retainer (9) is positioned by fitting the flange portion (61) into the concave portion (41) and is also fixed to the discharge nozzle (29).
유지체(9)가 토출 노즐(29)에 고정되면, 슬릿 밸브(7A)의 밸브측 벽부(47)는, 토출 노즐(29)과 소경 통부(57)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When the retainer (9) is fixed to the discharge nozzle (29), the valve side wall portion (47) of the slit valve (7A) is placed between the discharge nozzle (29) and the small diameter tube portion (57).
밸브측 벽부(47)의 선단면(47a)은 돌출부(37)의 맞닿음면(38)에 맞닿고, 밸브측 벽부(47)의 기단면(47b)은 대경 통부(59)의 선단면(60)(소경 통부(57)보다도 반경 방향의 외측에 확경된 면)에 맞닿는다. The front end surface (47a)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abuts against the contact surface (38) of the protrusion (37), and the base end surface (47b) of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abuts against the front end surface (60) of the large-diameter barrel portion (59) (a surface that is radially expanded more than the small-diameter barrel portion (57).
이와 같이, 밸브측 벽부(47)는 토출 노즐(29), 및 유지체(9)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유지된다. 그 결과, 슬릿 밸브(7A)의 토출 노즐(29)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박육 통부(51)는 소경 통부(57)와 돌출부(37)의 간극으로부터 토출 노즐(29)의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In this way, the valve side wall portion (47) is maintain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discharge nozzle (29) and the retainer (9). As a result, the slit valve (7A)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In addition,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extends from the gap between the small-diameter tube portion (57) and the protrusion portion (37) to the tip side of the discharge nozzle (29).
<덮개체(11)><Cover (11)>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11)는 원통 형상의 원통벽부(65), 및 원판 형상의 천판부(67)를 구비한 바닥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한 부재이다. 천판부(67)의 내표면(67a)의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걸림부(69)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3, the cover body (11)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bottom with a cylindrical wall portion (65)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a plate-shaped top portion (67). A cylindrical catch portion (69) is provided protruding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67a) of the top portion (67).
걸림부(69)의 내부 공간에는 토출 노즐(29)의 선단 부분이 삽입된다. 걸림부(69)의 개방단부의 내주면에는, 개방단을 향해 확개(擴開)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는 토출 노즐(29)의 선단 부분을 안내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The tip portion of the discharge nozzle (29)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tch (69).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end of the catch (69), a taper is formed that expands toward the open end. This taper is provided to guide the tip portion of the discharge nozzle (29).
천판부(67)에 있어서의 걸림부(69)보다도 내주측의 부분에는, 걸림부(69)의 개방단측을 향해 구면 형상으로 융기된 맞닿음부(71)가 마련되어 있다. 맞닿음부(71)의 표면은, 덮개체(11)의 캡 본체(5)로의 장착시에 있어서 밸브부(49)의 외표면(53)에 접촉되어, 밸브부(49)의 밀폐성을 높인다. In the inner portion of the top plate (67) rather than the engaging portion (69), a contact portion (71) is provided that is spherically raised toward the open end of the engaging portion (69). The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7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53) of the valve portion (49) when the cover body (11) is mounted on the cap body (5), thereby enhancing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valve portion (49).
<내용액(CLq)의 토출시의 동작><Operation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CLq)>
다음으로, 내용액(CLq)의 토출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CLq) is explained.
도 5의 (a)는 노즐 유로(29a) 내에 내용액(CLq)이 채워지고, 또한 용기(3)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b)는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에 의해 슬릿 밸브(7A)의 슬릿부(49b)가 눌려 넓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c)는 슬릿부(49b)로부터 외부로 내용액(CLq)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CLq) are filled in the nozzle passage (29a) and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3), Fig. 5 (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t portion (49b) of the slit valve (7A) is pressed and widened by the contents (CLq) in the nozzle passage (29a), and Fig. 5 (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CLq)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slit portion (49b).
또한, 도 5의 (a)~도 5의 (c)는 토출 노즐(29)의 선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토출 노즐(29)의 선단부는 아래를 향하고 있다. In addition, Figs. 5 (a) to 5 (c) show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In these drawings,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is facing downward.
먼저, 용기(3)에 외력을 가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유로(29a) 내에 내용액(CLq)이 채워지고, 또한 용기(3)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슬릿 밸브(7A)의 슬릿부(49b)는 패쇄 상태이다. First, the opera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3)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contents (CLq) are filled in the nozzle path (29a) and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3), the slit portion (49b) of the slit valve (7A) is closed.
따라서,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은, 패쇄 상태의 슬릿 밸브(7A)(밸브부(49))에 의해 노즐 유로(29a) 내에 머물러 있다. Accordingly, the liquid content (CLq) within the nozzle path (29a) remains within the nozzle path (29a) by the closed slit valve (7A) (valve part (49)).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등에 의해 용기(3)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부 공간의 압력이 높아져,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에 대해서 토출 방향의 힘(PR+)이 가해진다. 토출 방향의 힘(PR+)은,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과 대기압의 차에 비례한다. 토출 방향의 힘(PR+)은, 내용액(CLq)을 거쳐서 전달되어 밸브부(49)의 내표면(54)에 작용한다. As shown in (b) of Fig. 5,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3) by means of compression or the like,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increases, and a force (PR+)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ontents (CLq) in the nozzle path (29a). The force (PR+)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force (PR+) in the discharge direc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ents (CLq) and acts on the inner surface (54) of the valve portion (49).
슬릿부(49b)는 내용액(CLq)에 의해 토출 방향을 향해 변형된다. 슬릿부(49b)의 변형에 의해 슬릿(55)끼리의 사이에는 간극(토출구)이 형성된다.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by the contents (CLq). A gap (discharge port) is formed between the slits (55) by the deformation of the slit portion (49b).
여기서, 슬릿부(49b)는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보다도 두께가 작기 때문에,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보다도 크게 변형된다. 또한, 중간부(49c)는 외주부(49a)와 비교하여 두께가 작기 때문에, 외주부(49a)보다도 크게 변형된다. 이 때문에, 밸브부(49)의 내표면(54)은 토출구를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액(CLq)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Here, since the slit portion (49b)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outer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it deform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outer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In addition, since the middle portion (49c) has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outer portion (49a), it deform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outer portion (49a). For this reason, the inner surface (54) of the valve portion (49) forms a slope facing the discharge port, thereby smoothly guiding the contents (CLq).
그 후,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CLq)은 슬릿(55)끼리의 간극(토출구)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토출된다. 이 토출 캡(1A)에서는, 슬릿부(49b)의 두께가,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의 두께보다도 얇다. 이 때문에, 슬릿부(49b)는,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와 비교하여,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용기(3)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에 대해서 크게 변형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 5, the contents (CLq) are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the gap (discharge port) between the slits (55). In this discharge cap (1A),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Therefore, the slit portion (49b) is great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the pressure chang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compar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그 결과,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토출 노즐(29)로부터 내용액(CLq)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시키는 내용액(CLq)의 굵기를, 슬릿부(49b)(슬릿(55))의 크기에 따라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는 문제가 억제된다. As a result, the contents (CLq)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can be limi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lit portion (49b) (slit (55)), the problem of the contents (CLq) becoming too thick is suppressed.
다음으로, 내용액(CLq)의 토출 노즐(29) 내로의 인입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when the content liquid (CLq)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nozzle (29) will be described.
도 6의 (a)는 용기(3)로의 외력을 푼 상태에 있어서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이 용기(3)측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b)는 노즐 유로(29a) 내에 공기(AR)가 유입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c)는 노즐 유로(29a) 내로의 공기(AR)의 유입이 끝나고, 슬릿 밸브(7A)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quid content (CLq) in the nozzle path (29a) starts to return toward the container (3) when the external force to the container (3) is released, Fig. 6 (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AR) starts to flow into the nozzle path (29a), and Fig. 6 (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of air (AR) into the nozzle path (29a) is finished and the slit valve (7A) is closed.
또한, 도 6의 (a)~도 6의 (c)에서도 도 5의 (a)~도 5의 (c)와 마찬가지로, 토출 노즐(29)의 선단부는 아래를 향하고 있다. Also, in (a) to (c) of Fig. 6, as in (a) to (c) of Fig. 5,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faces downward.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용기(3)에 대한 외력이 풀리면,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에는 용기(3)를 향해 돌아가려고 하는 힘(PR-)(이하, 리턴 방향의 힘(PR-)이라고 함)이 가해진다. 리턴 방향의 힘(PR-)은 수축 상태인 용기(3)가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려고 하기 때문에 생긴다. As shown in (a) of Fig. 6, when the external force on the container (3) is released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Lq), a force (P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turn direction force (PR-)) is applied to the contents (CLq) in the nozzle path (29a) to return toward the container (3). The return direction force (PR-) is generated because the container (3) in a contracted state tries to swell back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elasticity.
그리고, 외주부(49a), 중간부(49c), 및 슬릿부(49b)도 또한,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여기서, 외주부(49a)는 중간부(49c), 및 슬릿부(49b)보다도 두께가 크기 때문에, 중간부(49c), 및 슬릿부(49b)와 비교하여 복원력이 강하다. 마찬가지로, 중간부(49c)는 슬릿부(49b)와 비교하여 복원력이 강하다. And, the outer portion (49a),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slit portion (49b) also try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hapes by their own elasticity. Here, since the outer portion (49a) is thicker than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slit portion (49b), the restoring force is stronger than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slit portion (49b). Similarly, the middle portion (49c) has a stronger restoring force than the slit portion (49b).
그 결과, 슬릿부(49b)는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자신의 복원력에 더하여,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의 복원력도 받아, 노즐 유로(29a)측으로 신속하게 변형된다. As a result,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Lq), the slit portion (49b) receives, in addition to its own restoring force, the restoring force of the outer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and is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CLq)이 밸브부(49)를 통과한 후에 있어서, 토출된 내용액(CLq)을 보충하는 양의 공기(AR)가 노즐 유로(29a) 내에 유입된다. 공기(AR)의 유입시에 있어서, 슬릿부(49b)는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되는 것에 의해, 슬릿(55)끼리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As shown in (b) of Fig. 6, after the liquid content (CLq) passes through the valve portion (49), air (AR) in an amount that replenishes the discharged liquid content (CLq) flows into the nozzle passage (29a). When the air (AR) flows in,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ssage (29a),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the slits (55).
여기서, 슬릿부(49b)의 두께는,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의 두께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슬릿부(49b)는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와 비교하여 크게 변형된다. 슬릿부(49b)의 변형에 의해서, 슬릿(55)끼리의 간극을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어, 공기(AR)를 노즐 유로(29a) 내에 효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Therefore, the slit portion (49b) is greatly deformed compar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By deforming the slit portion (49b), the gap between the slits (55) can be made sufficiently large, so that air (AR) can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nozzle path (29a).
또한, 얇은 두께로 형성된 박육 통부(51)는, 박육 통부(51)의 내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박육 통부(51)는 공기(AR)가 노즐 유로(29a) 내로 유입되는 양이 충분히 많거나, 공기(AR)의 유입 속도가 충분히 높거나, 내용액(CLq)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 내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슬릿부(49b)는 박육 통부(51)가 기울어지면, 박육 통부(51)가 기울어지는 만큼 노즐 유로(29a)측으로 크게 기울어진다. 이 때문에, 슬릿(55)끼리의 간극은 기울어져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커진다. 그 결과, 박육 통부(51)의 기울어짐에 의해서도, 공기(AR)를 노즐 유로(29a) 내에 효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n-walled tube (51) formed with a thin thickness may be inclin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n-walled tube (51). For example, the thin-walled tube (51) may be inclin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amount of air (AR) flowing into the nozzle passage (29a) is sufficiently large, the flow rate of the air (AR) is sufficiently high, or the viscosity of the content liquid (CLq) is high. When the thin-walled tube (51) is inclined, the slit portion (49b) is greatly inclined toward the nozzle passage (29a) by the amount that the thin-walled tube (51) is inclined. For this reason, the gap between the slits (55) becomes larg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y are not inclined. As a result, air (AR) can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nozzle passage (29a) even by the inclination of the thin-walled tube (51).
그 후,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CLq)에 대한 리턴 방향의 힘(PR-)은, 용기(3)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에 의해 없어진다. 리턴 방향의 힘(PR-)이 없어지는 것에 의해, 슬릿 밸브(7A)의 슬릿부(49b)는 패쇄 상태가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 6, the force (PR-) in the return direction for the contents (CLq) is eliminated as the container (3)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As the force (PR-) in the return direction is eliminated, the slit portion (49b) of the slit valve (7A) is closed.
따라서,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은, 패쇄 상태의 슬릿 밸브(7A)(밸브부(49))에 의해 노즐 유로(29a) 내에 머무른다. Accordingly, the liquid content (CLq) within the nozzle path (29a) remains within the nozzle path (29a) by the closed slit valve (7A) (valve part (49)).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슬릿부(49b)는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된다. 이 때문에, 리턴 방향의 힘(PR-)에 의해 슬릿(55)끼리의 간극을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내용액(CLq) 및 공기(AR)를 효율적으로 노즐 유로(29a) 내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크기로 할 수 있어,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is clear from the above explanation,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the pressure chang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slits (55) can be made sufficiently large by the force (PR-) in the return direction. As a result, the size required to efficiently introduce the contents (CLq) and air (AR) into the nozzle path (29a) can be made, thereby improving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s (CLq).
또한, 슬릿 밸브(7A)에서는, 외주부(49a)를 충분한 두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의 외주부(49a)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부(49c)에 대해서도, 슬릿부(49b)와 비교하고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lit valve (7A), sinc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can be made sufficiently thick, the restoring for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Lq) can be increased. Similarl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iddle portion (49c)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slit portion (49b).
또한, 내용액(CLq)의 토출시에 있어서 밸브부(49)(특히 밸브부(49)의 내표면(54))가 받는 토출 방향의 힘(PR+)은, 내용액(CLq)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박육 통부(51)는 밸브부(49)의 외주부(49a)와 비교하여 얇게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도 5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49a)가 받은 토출 방향의 힘(PR+)에 의해서 토출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CLq), the force (PR+) in the discharge direction received by the valve portion (49) (particularly, the inner surface (54) of the valve portion (49)) increases as the viscosity of the contents (CLq) increases. Since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is easily de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of the valve portion (49), there are cases wher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is elongat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by the force (PR+) in the discharge direction received,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5 (b).
박육 통부(51)가 신장된 채로 용기(3)에 대한 외력이 풀리면, 박육 통부(51)는, 도 6의 (a)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리턴 방향으로의 수축을 개시한다. 외주부(49a)는, 박육 통부(51)의 수축에 의해 용기(3)측으로 당겨진다. 박육 통부(51)의 수축력은,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부(49b)가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되기 위한 보조를 한다. When the external force on the container (3) is released while the thin wall portion (51) is extended, the thin wall portion (51) begins to contract in the return direction by its own elasticity,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6 (a).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is pulled toward the container (3) by the contraction of the thin wall portion (51). The contraction force of the thin wall portion (51) assists in the deformation of the slit portion (49b) toward the nozzle path (29a)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Lq).
이와 같이, 박육 통부(51)의 신축에 의해서, 내용액(CLq)의 끊김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In this way, there are cases where the breakage of the contents (CLq) can be further improved by stretching the thin wall (51).
또한, 토출 캡(1A)의 토출 노즐(29)은, 기단(상류측)으로부터 선단(하류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진 원통 모양이기 때문에, 오목한 부분에 내용액을 토출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그 결과, 내용액(CLq)을 다양한 개소에 대해서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nozzle (29) of the discharge cap (1A) is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end tapered from the base (upstream side) to the tip (downstream side), it is easy to discharge the contents into a concave portion. As a result, the contents (CLq) can be easily discharged to various locations.
<슬릿 밸브의 변형예><Variations of slit valves>
이하, 슬릿 밸브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Below, a modified example of the slit valve is described.
도 7의 (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B)의 평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C)의 단면도, 도 9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D)의 단면도, 도 10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E)의 단면도, 도 11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F)의 단면도이다. Fig. 7 (a) is a plan view of a slit valve (7B)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xample, Fig.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7 (a),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7C)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7D)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7E) according to a fourth modified example,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t valve (7F) according to a fifth modified example.
<제1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B)><Slit valve (7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B)는, 슬릿(55B)이 -문자 형상인 것, 바꾸어 말하면 슬릿(55B)을 1개의 직선 모양의 슬릿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The slit valve (7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7 (a) and Fig. 7 (b)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lit (55B) in the shape of a - letter, or in other words, the slit (55B) is formed by a single straight slit.
슬릿 밸브(7B)는, 슬릿(55B)이 1개의 직선 모양의 슬릿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술한 슬릿 밸브(7A)와 상위하지만, 다른 구성은 슬릿 밸브(7A)와 동일하다. The slit valve (7B) is superior to the above-described slit valve (7A) in that the slit (55B) is formed by a single straight slit, but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identical to the slit valve (7A).
따라서, 토출 캡(1A)에 슬릿 밸브(7B)를 이용해도, 슬릿부(49b)가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지 않는다.Accordingly, even if a slit valve (7B) is used in the discharge cap (1A),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so tha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also,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does not become too thick.
또한, 슬릿 밸브(7B)에 있어서, 슬릿부(49b)의 두께는 외주부(49a)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며, 슬릿부(49b)는 외주부(49a)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slit valve (7B),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따라서, 토출 캡(1A)에 슬릿 밸브(7B)를 이용해도,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의 외주부(49a)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a slit valve (7B) is used in the discharge cap (1A), the restoring for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fter discharge of the contents (CLq) can be increased.
이상의 구성에 의해,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부(49b)는 신속하게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릿 밸브(7B)에 있어서도, 내용액(CLq)의 점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외주부(49a)는 박육 통부(51)의 수축에 의해 용기(3)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slit portion (49b) is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And, in the slit valve (7B), when the viscosity of the content liquid (CLq) is sufficiently hig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is pulled toward the container (3) by the shrinkage of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so tha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제2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C)><Slit valve (7C)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도 8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C)는, 밸브부(49)의 외표면(53C)이 평탄면이고, 내표면(54C)이 내용액(CLq)의 토출 방향을 향해 구면 모양으로 함몰시켜진 오목면인 것이 특징적이다. The slit valve (7C)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53C) of the valve portion (49) is a flat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54C) is a concave surface that is sunken into a spherical shape towar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ntents (CLq).
토출 캡(1A)에 슬릿 밸브(7C)를 이용해도, 슬릿부(49b)가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지 않는다.Even if a slit valve (7C) is used in the discharge cap (1A), since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also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does not become too thick.
또한, 외주부(49a)나 중간부(49c)는,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부(49b)를 신속하게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시킨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액(CLq)의 점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박육 통부(51)의 신축에 의해서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49a) or the middle portion (49c) quickly deforms the slit portion (49b) toward the nozzle path (29a)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viscosity of the content liquid (CLq) is sufficiently high,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제3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D)><Slit valve (7D)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도 9에 나타내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D)는, 밸브부(49)의 외표면(53D), 및 내표면(54D) 각각이, 구면 모양으로 함몰시켜진 오목면인 것이 특징적이다. The slit valve (7D)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9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outer surface (53D) and the inner surface (54D) of the valve portion (49) is a concave surface sunken into a spherical shape.
토출 캡(1A)에 슬릿 밸브(7D)를 이용해도, 슬릿부(49b)가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지 않는다.Even if a slit valve (7D) is used in the discharge cap (1A), since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also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does not become too thick.
또한, 외주부(49a)나 중간부(49c)는,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부(49b)를 신속하게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시킨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액(CLq)의 점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박육 통부(51)의 신축에 의해서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49a) or the middle portion (49c) quickly deforms the slit portion (49b) toward the nozzle path (29a)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viscosity of the content liquid (CLq) is sufficiently high,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제4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E)><Slit valve (7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도 10에 나타내는 제4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E)는, 밸브부(49)의 중간부(49c)의 두께가 밸브부(49)의 중심을 향해 단계적으로 얇아지고 있고, 또한 슬릿부(49b)가 외주부(49a)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The slit valve (7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middle portion (49c) of the valve portion (49)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center of the valve portion (49), and further,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토출 캡(1A)에 슬릿 밸브(7E)를 이용해도, 슬릿부(49b)가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지 않는다.Even if a slit valve (7E) is used in the discharge cap (1A), since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also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does not become too thick.
또한, 슬릿부(49b)의 두께는 외주부(49a)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고, 또한 슬릿부(49b)는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부(49b)는 신속하게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furthermore,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Therefore,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slit portion (49b) is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As a result,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제5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F)><Slit valve (7F)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ed example>
도 11에 나타내는 제5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7F)는, 밸브부(49)의 외표면(53F)에 있어서의 중간부(49c)에 대응하는 부분과 내표면(54F)에 있어서의 중간부(49c)에 대응하는 부분이 슬릿부(49b)를 향해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슬릿부(49b)가 외주부(49a)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The slit valve (7F)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1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49c) on the outer surface (53F) of the valve portion (49)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49c) on the inner surface (54F) are tapered surfaces that are inclined toward the slit portion (49b), and further,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토출 캡(1A)에 슬릿 밸브(7F)를 이용해도, 슬릿부(49b)가 내용액(CLq)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노즐(29)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지 않는다.Even if a slit valve (7F) is used in the discharge cap (1A), since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contents (CLq),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also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does not become too thick.
또한, 슬릿부(49b)의 두께는 외주부(49a)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고, 또한 슬릿부(49b)는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부(49b)는 신속하게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furthermore,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Therefore,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slit portion (49b) is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As a result,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B)><Discharge cap (1B)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B)의 단면도, 도 13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B)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ap (1B)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3 (a)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discharge cap (1B)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3 (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13 (a).
도 12,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B)은, 제1 실시 형태의 토출 캡(1A)과 비교하여, 토출 노즐(29)이 단척인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토출 캡(1A)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12, Fig. 13 (a), and Fig. 13 (b), a discharge cap (1B)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nozzle (29) is short, compared to the discharge cap (1A)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scharge cap (1A)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토출 캡(1B)의 캡 본체(5)에는, 덮개체(11)가 힌지(75)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덮개체(11)에 있어서의 힌지(75)와는 반대측에는 돌기(7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캡 본체(5)에 있어서의 힌지(75)와는 반대측에는 오목부(77)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79)는, 덮개체(11)가 캡 본체(5)에 씌워져 있는 패쇄 상태(도 12를 참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클로우를 걸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77)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돌기(79)에 걸기 쉽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The cap body (5) of the discharge cap (1B) is equipped with a cover body (11) via a hinge (75). A projection (79)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75) in the cover body (11). In addition, a recessed portion (77)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75) in the cap body (5). The projection (79) is provided to catch a user's finger or claw when the cover body (11) is in a closed state (see Fig. 12) in which the cap body (5) is covered. The recessed portion (77) is provided to make it easy for a user's finger, etc., to be caught on the projection (79).
이와 같이, 단척인 토출 노즐(29)을 가지는 변형예의 토출 캡(1B)에 있어서도,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과도하게 크게 하지 않고, 토출 노즐(29)로부터 내용액(CLq)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 캡(1B)에서도, 토출 노즐(29)의 선단부를 소경화할 수 있어, 소량의 내용액(CLq)을 토출시킬 수 있다. Likewise, in the modified discharge cap (1B) having a single discharge nozzle (29), the contents (CLq)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In addition, in the discharge cap (1B), the tip of the discharge nozzle (29) can be made smaller, so that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CLq) can be discharged.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C)><Discharge cap (1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C)에 덮개체(11)를 씌운 패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E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d state in which a cover body (11) is placed on a discharge cap (1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shown in Fig. 14.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C)은, 제1 실시 형태의 토출 캡(1A)과 비교하여, 토출 노즐(29C)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유지체(9C)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토출 캡(1A)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14 and FIG. 15, the discharge cap (1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ared to the discharge cap (1A) of the first embodiment, a retainer (9C)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portion of the discharge nozzle (29C).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scharge cap (1A) of the first embodiment, and explanation is omitted.
토출 노즐(29C)은 천정벽(21)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차례로, 가장 대경인 대경 원통벽(81)과, 대경 원통벽(81)보다도 소경인 중경 원통벽(83)과, 중경 원통벽(83)보다도 소경의 소경 원통벽(85)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경 원통벽(81)이 가장 길고, 토출 노즐(29C)의 길이의 4/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중경 원통벽(83)이 2번째로 길고, 소경 원통벽(85)이 가장 짧다. 따라서, 토출 노즐(29C)은 선단측의 부분에 있어서 외경이 단계적으로 축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discharge nozzle (29C) is provided with, in order from the ceiling wall (21) side toward the tip side, a large-diameter cylindrical wall (81) having the largest diameter, a medium-diameter cylindrical wall (83)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wall (81), and a small-diameter cylindrical wall (85)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medium-diameter cylindrical wall (8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wall (81) is the longest and occupies approximately 4/3 of the length of the discharge nozzle (29C). Furthermore, the medium-diameter cylindrical wall (83) is the second longest, and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wall (85) is the shortes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charge nozzle (29C) is gradually reduced in the portion on the tip side.
소경 원통벽(85)의 외경은, 슬릿 밸브(7A)의 밸브측 벽부(47)의 내경과 대략 같다. 중경 원통벽(83)의 외주면에는 고리 모양의 돌기부(8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87)는 유지체(9C)의 탈락 방지를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cylindrical wall (85)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side wall (47) of the slit valve (7A). A ring-shaped protrusion (8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um diameter cylindrical wall (83). The protrusion (87) is provided to prevent the retainer (9C) from falling off.
유지체(9C)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유지체(9C)의 내경은 선단 부분을 제외하고 중경 원통벽(8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경 원통벽(83)의 외경은, 슬릿 밸브(7)의 원통 모양의 밸브측 벽부(47)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유지체(9C)는 토출 노즐(29C)의 중경 원통벽(83)에 감합되어 있다. 유지체(9C)가 끼워 맞춘 상태에 있어서, 소경 원통벽(85)은 유지체(9C)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The retainer (9C)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er (9C)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medium-diameter cylindrical wall (83) except for the tip portion. 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of the medium-diameter cylindrical wall (8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valve-side wall portion (47) of the slit valve (7). The retainer (9C) is fitted to the medium-diameter cylindrical wall (83) of the discharge nozzle (29C). When the retainer (9C) is fitted,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wall (85) is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tainer (9C).
유지체(9C)의 선단부의 내주측에는,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된 고리 모양의 돌출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9)는 제1 실시 형태의 토출 캡(1A)이 구비하는 돌출부(39)와 마찬가지의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유지체(9C)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덮개체(11)의 걸림부(69)와 맞물리는 확경부(93)가 마련되어 있다.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ip of the retainer (9C), a ring-shaped protrusion (89) is formed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The protrusion (89) is provide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protrusion (39) provided in the discharge cap (1A) of the first embodiment.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p of the retainer (9C), an expanded portion (93) is provided that engages with the engaging portion (69) of the cover body (11).
유지체(9C)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기단 쪽의 위치에는 고리 모양의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1)는 중경 원통벽(83)의 외주면에 마련된 돌기부(87)와 감합되어, 유지체(9C)의 토출 노즐(29C)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A ring-shaped concave portion (91) is formed at a position toward the bas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tainer (9C). The concave portion (91) engages with a protrusion (87)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diameter cylindrical wall (83), thereby preventing the retainer (9C) from falling off from the discharge nozzle (29C).
이상의 구성에 의해, 토출 캡(1C)에서는, 유지체(9C)를 토출 노즐(29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슬릿 밸브(7A)의 원통 모양의 밸브측 벽부(47)가 유지체(9C)의 내주면과 토출 노즐(29C)의 소경 원통벽(8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유지되고, 또한 밸브부(49)가 고리 모양의 돌출부(89)의 내주 부분에 유지된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discharge cap (1C), the retainer (9C) is mounted on the discharge nozzle (29C), so that the cylindrical valve-side wall portion (47) of the slit valve (7A) is maintai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tainer (9C)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wall (85) of the discharge nozzle (29C), and further, the valve portion (49) is maintai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rotrusion (89).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C)에서도,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A)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In the discharge cap (1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of the discharge cap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chieved.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D)><Discharge cap (1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D)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D)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B)(도 12 등을 참조)에 대해서, 제2 실시 형태의 토출 노즐(29C), 및 유지체(9C)의 구성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B),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C)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ap (1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a discharge cap (1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applie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nozzle (29C) and the retainer (9C) of the second embodiment to the discharge cap (1B)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12, etc.).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discharge cap (1B)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ischarge cap (1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1D)에서도,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1A)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한다. In the discharge cap (1D)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at of the discharge cap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chieved.
<그 외의 변형예><Other variations>
상술의 토출 캡(1A, 1C)은 덮개체(11)를 캡 본체(5)에 감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캡 본체(5)의 통 모양 외측벽부(23)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덮개체(11)의 원통벽부(65)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해도 된다. The discharge cap (1A, 1C) described above has adopte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ver body (11) is fitted to the cap body (5),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 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outer wall portion (23) of the cap body (5), and a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65) of the cover body (11).
또한, 상술의 토출 캡(1B, 1D)은 덮개체(11)와 캡 본체(5)를 힌지(75)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덮개체(11)와 캡 본체(5)를 연결하지 않고, 덮개체(11)를 캡 본체(5)에 감합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discharge cap (1B, 1D) described above adopt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ver body (11) and the cap body (5) are connected by a hinge (75),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ver body (11) is fitted to the cap body (5) without connecting the cover body (11) and the cap body (5) may be adopted.
상술의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토출 노즐(29, 29A)의 길이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In the discharge caps (1A, 1B, 1C, 1D)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discharge nozzle (29, 29A)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와 작용, 효과의 정리][Summary of embodiments,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본 양태는 탄성을 구비한 용기(3)의 구부(15)에 장착되고, 용기(3)에 가해진외력에 의한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내용액(CLq)을 토출하는 토출 캡(1A, 1B, 1C, 1D)으로서, 구부(15)의 개구 면적(OP15)보다도 작은 단면적(SA29a)의 노즐 유로(29a)를 형성하는 토출 노즐(29, 29C)과, 토출 노즐(29, 29C)에 마련되고, 또한 토출 노즐(29, 29C)보다도 유연한 탄성 소재에 의해 제작된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를 구비하고,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는 노즐 유로(29a) 내의 내용액(CLq)이 토출되는 밸브부(49)와, 유지체(9, 9C)에 의해 토출 노즐(29, 29C)에 유지되는 통 모양의 밸브측 벽부(47)(피유지부)와, 밸브부(49)와 밸브측 벽부(47)를 연결하는 통 모양의 박육 통부(51)(연결부)를 구비하고, 밸브부(49)는 대기압과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의 차에 따라서 개폐하는 슬릿(55, 55B)이 마련된 슬릿부(49b)와, 박육 통부(51)에 결합된 외주부(49a)를 구비하고, 슬릿부(49b)는 외주부(49a)보다도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내용액(CLq)의 토출시에는 내용액(CLq)의 토출 방향으로 변형되고, 또한 내용액(CLq)이 토출된 후에는 노즐 유로(29a)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embodiment is a discharge cap (1A, 1B, 1C, 1D) mounted on a ball (15) of a container (3) having elasticity and discharging a content liquid (CLq)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comprising: a discharge nozzle (29, 29C) forming a nozzle passage (29a)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SA29a) than the opening area (OP15) of the ball (15); and a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provided on the discharge nozzle (29, 29C) and manufactured using an elastic material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discharge nozzle (29, 29C); and the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discharges the content liquid (CLq) in the nozzle passage (29a). It is provided with a valve portion (49), a cylindrical valve-side wall portion (47) (retaining portion) maintained by a discharge nozzle (29, 29C) through a retainer (9, 9C), and a cylindrical thin-walled tube portion (51)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valve portion (49) and the valve-side wall portion (47), and the valve portion (49) is provided with a slit portion (49b) provided with a slit (55, 55B) that opens and clos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and an outer portion (49a) coupled to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and the slit portion (49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re easily deformed by a change in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than the outer portion (49a), and when the contents (CLq) is discharged, it is deform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ntents (CLq), and further, after the contents (CLq) is discharged, it is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 슬릿부(49b)가 변형되고, 슬릿(55, 55B)이 열려 내용액(CLq)의 토출구를 형성한다. 슬릿부(49b)는 외주부(49a)보다도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내용액(CLq)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용기(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적절한 크기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노즐(29, 29C)로부터 토출되는 내용액(CLq)이 너무 굵어지는 문제를 억제한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by the pressure change in the internal space, and the slit (55, 55B) is opened to form a discharge port for the contents (CLq). Since the slit portion (49b) is deformed more easily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3) to discharge the contents (CLq) can be suppress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also the problem of the contents (CLq)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29, 29C) becoming too thick is suppressed.
또한, 외주부(49a)는 슬릿부(49b)보다도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변형 후의 복원력이 슬릿부(49b)보다도 높아진다. 이 때문에,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외주부(49a)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다. 외주부(49a)의 복원력은, 슬릿부(49b)가 패쇄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을 보조한다. 그 결과, 토출 후에 있어서의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is less likely to be deformed than the slit portion (49b), the restoring force after deformation becomes higher than that of the slit portion (49b). 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can be increased afte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CLq). The restoring for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ssists the restoring force of the slit portion (49b) to return to the closed state.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s (CLq) after the discharge can be improved.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의 슬릿부(49b)는, 외주부(49a)와 동일한 탄성 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슬릿부(49b)의 두께(TH49b), 및 박육 통부(51)의 두께(TH51)는 외주부(49a)의 두께(TH49a)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portion (49b) of the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me elastic material as the outer portion (49a), and further, the thickness (TH49b) of the slit portion (49b) and the thickness (TH51) of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are thinner than the thickness (TH49a) of the outer portion (49a).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의 생산이 용이하고, 또한 각 부(49a, 49b)의 두께(TH49a, TH49b)에 의해 유연성을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duction of the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is easy, and flexibility can be managed by the thickness (TH49a, TH49b) of each part (49a, 49b).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의 밸브부(49)는 슬릿부(49b)와 외주부(49a)와의 사이에 중간부(49c)를 구비하고 있고, 중간부(49c)는 외주부(49a)로부터 슬릿부(49b)를 향해 점차 얇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lve portion (49) of the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has an intermediate portion (49c) between the slit portion (49b)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49c)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toward the slit portion (49b).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외주부(49a)는 중간부(49c)보다도 복원력이 커지고, 중간부(49c)는 슬릿부(49b)보다도 복원력이 커진다. 그 결과, 슬릿부(49b)는 자신의 복원력에 더하여, 외주부(49a), 및 중간부(49c)로부터의 복원력도 받아, 노즐 유로(29a)측으로 신속하게 변형되어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has a greater restoring force than the middle portion (49c), and the middle portion (49c) has a greater restoring force than the slit portion (49b). As a result, the slit portion (49b) receives restoring forces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middle portion (49c) in addition to its own restoring force, and is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to improve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슬릿 밸브(7A, 7B)의 밸브부(49)는, 외표면(53)을 노즐 유로(29a)측으로 함몰시킨 구면 모양의 오목면으로 하고, 내표면(54)을 평탄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lve part (49) of the slit valve (7A, 7B)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uter surface (53) as a spherical concave surface sunken toward the nozzle path (29a), and an inner surface (54) as a flat surface.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외주부(49a)의 내표면(54)에서 받은 내용액(CLq)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한 외주부(49a)의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외주부(49a)가 리턴 방향으로 변형되려고 하는 힘을 높일 수 있어, 슬릿부(49b)를 노즐 유로(29a)측으로 신속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due to the pressure from the content liquid (CLq) received on the inner surface (54)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force with whic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tends to deform in the return direction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slit portion (49b) can be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th (29a).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 liquid (CLq) can be improved.
<제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슬릿 밸브(7A, 7B, 7E, 7F)의 밸브부(49)는, 슬릿부(49b)의 두께가 외주부(49a)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며, 슬릿부(49b)는 외주부(49a)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lve portion (49) of the slit valve (7A, 7B, 7E, 7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lit portion (49b) is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closer to the nozzle path (29a) than the middle position (TC49)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슬릿부(49b)가 중간 위치(TC49)보다도 노즐 유로(29a)측에 치우쳐 마련되어 있으므로, 중간 위치(TC49)보다도 토출측으로 치우쳐 마련된 구성과 비교하여, 내용액(CLq)의 토출시에 있어서의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의 슬릿부(49b)의 복원력이 높아진다. 그 결과, 슬릿부(49b)를 노즐 유로(29a)측으로 신속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to be offset from the middle position (TC49) toward the nozzle passage (29a), the amount of deformation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CLq)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t portion (49b) is provided to be offset from the middle position (TC49) toward the discharge side. Accordingl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lit portion (49b) after discharging the contents (CLq)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slit portion (49b) can be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ssage (29a), thereby improving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s (CLq).
<제6 실시 형태><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의 박육 통부(51)(연결부)는, 외주부(49a)보다도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내용액(CLq)의 토출시에는 토출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내용액(CLq)이 토출된 후에는 리턴 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n-walled portion (51) (connection portion) of the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is more easily deformed by pressure change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pands in the discharge direction when the contents (CLq) are discharged, and further contracts in the return direction after the contents (CLq) are discharged.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내용액(CLq)이 토출된 후에 있어서, 박육 통부(51)의 수축력에 의해 외주부(49a)를 노즐 유로(29a)측으로 당길 수 있으므로, 슬릿부(49b)를 노즐 유로(29a)측으로 신속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내용액(CLq)의 끊김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contents (CLq) is discharge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can be pulled toward the nozzle passage (29a) by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thin-walled tube portion (51), so that the slit portion (49b) can be quickly deformed toward the nozzle passage (29a). As a resul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tents (CLq) can be improved.
<제7 실시 형태><Seventh embodiment>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있어서, 슬릿 밸브(7A, 7B, 7C, 7D, 7E, 7F)의 박육 통부(51)(연결부)는, 외주부(49a)보다도 용기(3)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내용액(CLq)이 토출된 후에 있어서, 박육 통부(51)의 내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n-walled portion (51) (connection portion) of the slit valve (7A, 7B, 7C, 7D, 7E, 7F) is more easily deformed by a change in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3)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49a),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ilts in the inner peripheral direction of the thin-walled portion (51) after the contents (CLq) are discharged.
본 양태에 따른 토출 캡(1A, 1B, 1C, 1D)에 의하면, 내용액(CLq)의 토출 후에 있어서, 슬릿(55)끼리의 간극을 크게 할 수 있어, 공기(AR)를 노즐 유로(29a) 내에 효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ap (1A, 1B, 1C, 1D) according to this aspect, after the content liquid (CLq) is discharged, the gap between the slits (55) can be made large, so that air (AR) can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nozzle path (29a).
1A…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
1B…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
1C…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토출 캡
1D…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토출 캡
3…용기
5…캡 본체
7A…슬릿 밸브
7B…제1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
7C…제2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
7D…제3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
7E…제4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
7F…제5 변형예에 따른 슬릿 밸브
9…유지체
9C…유지체
9a…유지체의 내부 공간
11…덮개체
13…몸통부
15…구부
17…수나사
21…천정벽
23…통 모양 외측벽부
25…통 모양 중간벽부
27…통 모양 내측벽부
29…토출 노즐
29C…토출 노즐
29a…노즐 유로
31…연장부
33…암나사
35…공간(홈)
37…토출 개구
38…맞닿음면
39…돌출부
41…오목부
43…개구부
45…확경부
47…밸브측 벽부
47a…밸브측 벽부의 선단면
49…밸브부
49a…밸브부의 외주부
49b…밸브부의 슬릿부
49c…밸브부의 중간부
51…박육 통부
53…밸브부의 외표면
53C…밸브부의 외표면
53D…밸브부의 외표면
54…밸브부의 내표면
54C…밸브부의 내표면
54D…밸브부의 내표면
55…+문자 형상의 슬릿
55B…-문자 형상의 슬릿
57…유지체의 소경 통부
59…유지체의 대경 통부
60…대경 통부의 선단면
61…유지체의 플랜지부
65…덮개체의 원통벽부
67…덮개체의 천판부
67a…천판부의 내표면
69…덮개체의 걸림부
71…덮개체의 맞닿음부
75…힌지
77…캡 본체의 오목부
79…덮개체의 돌기
81…토출 노즐의 대경 원통벽
83…토출 노즐의 중경 원통벽
85…토출 노즐의 소경 원통벽
87…중경 원통벽의 돌기부
89…유지체의 돌출부
91…유지체의 오목부
CLq…내용액
OP15…구부의 개구 면적
SA29a…노즐 유로의 단면적
TH47…밸브측 벽부의 두께
Φ49…밸브부의 외경
TC49…외주부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
TH49a…외주부의 최대 두께
TH49b…슬릿부의 최대 두께
TH51…박육 통부의 두께
L51…박육 통부의 길이
L55…슬릿의 길이
O…밸브부의 중심점
L…밸브측 벽부의 중심축선
PR+…토출 방향의 힘
PR-…리턴 방향의 힘
AR…공기1A… Discharge c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B… Discharge ca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C… Discharge ca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D… Discharge cap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3…
7A…
7C… Slit valv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7D… Slit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7E… Slit valve according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7F… Slit valve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ed example
9…
9a… Internal space of the
13…
17…
23… Tubular
27… Tubular
29C…
31…
35… Space (home) 37… Discharge opening
38…
41…
45…
47a… Cross-section of the
49a… Outer circumference of
49c… Middle part of
53… Outer surface of
53D… Outer surface of
54C… Inner surface of
55…+Letter-shaped
57… Small diameter of the
60… Section of the
65… Cylindrical wall portion of the
67a… Inner surface of the
71… Contact portion of
77… Concave part of
81… Large diameter cylindrical wall of
85… Small diameter cylindrical wall of the
89… Protrusion of the
CLq… Content OP15… Opening area of the ball
SA29a…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 euro TH47… Thickness of valve side wall
Φ49…Outer diameter of valve part
TC49… The middle posi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49a… Maximum thickness of outer circumference TH49b… Maximum thickness of slit portion
TH51… Thickness of the thin wall L51… Length of the thin wall
L55… Slit length O… Center point of valve part
L… Central axis of valve side wall PR+… Force in discharge direction
PR-… Force in the return direction AR… Air
Claims (7)
상기 구부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의 노즐 유로를 형성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노즐보다도 유연한 탄성 소재에 의해 제작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노즐 유로 내의 상기 내용액이 토출되는 밸브부와, 유지체에 의해 상기 노즐에 유지되는 통 모양의 피유지부와, 상기 밸브부와 상기 피유지부를 연결하는 통 모양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부는, 대기압과 상기 용기의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의 차에 따라서 개폐하는 슬릿이 마련된 슬릿부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외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외주부보다도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상기 내용액의 토출시에는 상기 내용액의 토출 방향으로 변형되고, 또한 상기 내용액이 토출된 후에는 상기 노즐 유로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A discharge cap mounted on the bend of a container having elasticity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A nozzle forming a nozzle path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above-mentioned portion,
A valve is provided on the above nozzle and is also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above nozzle.
The above valve has a valve part through which the contents in the nozzle path are discharged, a cylindrical retention part maintained in the nozzle by a retention body, and a cylindrical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valve part and the retention part.
The above valve part has a slit part having a slit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and an outer peripheral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portion is more easily deformed by changes in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deforms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further deforms toward the nozzle path aft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상기 슬릿부는 상기 외주부와 동일한 탄성 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상기 외주부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In claim 1,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me elastic material a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is thinner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상기 밸브부는, 상기 슬릿부와 상기 외주부와의 사이에 중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외주부로부터 상기 슬릿부를 향해 점차 얇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In claim 2,
The above valve part has a middle part between the slit part and the outer peripheral part.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ortion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outer portion toward the slit portion.
상기 밸브부는, 외표면을 상기 노즐 유로측으로 함몰시킨 구면 모양의 오목면으로 하고, 내표면을 평탄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In claim 3,
The above valve part is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a spherical concave surface sunken toward the nozzle path, and the inner surface is a flat surface.
상기 슬릿부의 두께는, 상기 외주부의 두께의 절반 이하이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외주부의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도 상기 노즐 유로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In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above slit portion is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portion is provided further from the nozzle path side than the middle posi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주부보다도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상기 내용액의 토출시에는 상기 토출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상기 내용액이 토출된 후에는 리턴 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In claim 1,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is more easily deformed by a change in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than the above-mentioned outer portion, and expands in the discharge direction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further contracts in the return direction aft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주부보다도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상기 내용액이 토출된 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캡.In claim 1,
A discharge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is more likely to be deformed by a change in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than the above-mentioned outer portion, and is til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ft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2-111327 | 2022-07-11 | ||
JP2022111327 | 2022-07-11 | ||
PCT/JP2023/014259 WO2024014071A1 (en) | 2022-07-11 | 2023-04-06 | Discharge c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21533A true KR20250021533A (en) | 2025-02-13 |
Family
ID=8912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57000317A Pending KR20250021533A (en) | 2022-07-11 | 2023-04-06 | Discharge cap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556398A1 (en) |
JP (1) | JP7398722B1 (en) |
KR (1) | KR20250021533A (en) |
CN (1) | CN119486945A (en) |
TW (1) | TWI857654B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78554B2 (en) * | 1998-08-31 | 2009-12-09 |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 Disc |
JP2003081296A (en) * | 2001-09-10 | 2003-03-19 | Katsutoshi Masuda | Tube type container |
US20140231462A1 (en) * | 2013-02-18 | 2014-08-21 | Gojo Industries, Inc. |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
JP6496154B2 (en) * | 2015-02-02 | 2019-04-03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Laminated peeling container for high viscosity materials |
JP7031969B2 (en) * | 2017-09-29 | 2022-03-08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Container cap |
-
2023
- 2023-04-06 JP JP2023551734A patent/JP7398722B1/en active Active
- 2023-04-06 EP EP23839250.0A patent/EP4556398A1/en active Pending
- 2023-04-06 CN CN202380052112.9A patent/CN119486945A/en active Pending
- 2023-04-06 KR KR1020257000317A patent/KR20250021533A/en active Pending
- 2023-06-13 TW TW112121990A patent/TWI857654B/en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4014071A1 (en) | 2024-01-18 |
EP4556398A1 (en) | 2025-05-21 |
TWI857654B (en) | 2024-10-01 |
CN119486945A (en) | 2025-02-18 |
TW202417340A (en) | 2024-05-01 |
JP7398722B1 (en) | 2023-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88495B2 (en) | Tube-type container | |
US7249694B2 (en) |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 |
US7025233B2 (en) | Fluid discharge pump for discharging fluid stored inside fluid storing portion | |
KR100701225B1 (en) | Valve mechanism for tubular fluid containers | |
RU2369544C2 (en) | Flow controller and discharge device comprising it | |
US7954674B2 (en) | Pump for delivering a fluid product | |
CN101945603A (en) | A disposable pump, a dispensing system comprising a pump and a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 |
US20230013434A1 (en) | Double container | |
JP2021519246A (en) | Flip top cap for dispensing fluid dental material | |
US20070181611A1 (en) | Pump having a sealing mechanism | |
KR20250021533A (en) | Discharge cap | |
KR20040017789A (en) |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 |
US20080302830A1 (en) | Squeeze Bottle and Eye Dropper Using the Same | |
JP4331952B2 (en) | Valve mechanism | |
JP7183060B2 (en) | Application container | |
WO2024014071A1 (en) | Discharge cap | |
JP2008260539A (en) | Piston and fluid container using this piston | |
JP2004161336A (en) | Valve mechanism | |
US20250162774A1 (en) | Sealing system between a manifold and a liquid container | |
JP2024017615A (en) | Dispenser | |
JP2008133016A (en) | Container for liquid | |
JP2024051683A (en) | Application container | |
KR200166434Y1 (en) | Piston of airless type dispenser | |
KR200186605Y1 (en) | Piston of airless type dispenser | |
JPH03229660A (en) | Spray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