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19511A - 욕창 예방 패드 - Google Patents
욕창 예방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19511A KR20250019511A KR1020230100722A KR20230100722A KR20250019511A KR 20250019511 A KR20250019511 A KR 20250019511A KR 1020230100722 A KR1020230100722 A KR 1020230100722A KR 20230100722 A KR20230100722 A KR 20230100722A KR 20250019511 A KR20250019511 A KR 202500195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ffected area
- body part
- patient
- prevention pad
- bedsore preven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9—Decubitus ulcer band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elbow, e.g. decubitus ulcer band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 A61F2013/00404—Plasters use skin protection against blisters or bed so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환부의 치료를 위하여 부착된 창상 피복제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창상 피복제가 환부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예방 패드로서,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환자의 환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한 욕창 예방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기력이 약한 고령자나 혹은 환자가 오랫동안 누운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에 환부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환부가 단기간에 치유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창 예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기력이 약한 고령자나 혹은 환자가 오랫동안 누운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에 환부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환부가 단기간에 치유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창 예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패드 또는 환부용 붕대(이하 '패드'라 함)는 가정이나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 용품의 하나로서, 환자의 환부에 감싸져 환부에서 발생되는 혈액이나 고름 또는 진물 등의 분비액을 흡수하여 환부에서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종래의 패드는 패드 내부로 흡수된 분비액이 패드의 이면으로 누출되어 빠져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패드가 얼룩져 불쾌감이 유발되고 축축하게 젖은 부위를 통하여 외부의 세균이 환부에 침투하여 환부를 더욱 악화시키는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패드의 일 예로서, [문헌 1](등록특허 10-0415259호, 발명의 명칭 : 화상환부용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특허에서는 패드의 내측으로 분비액을 흡수하는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의 상부에 합성비닐수지의 재질로 된 방습제로 이루어진 중간패드를 패드의 내부에 삽입하여 분비액의 흡수와 함께 흡수된 분비액이 패드의 이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의료용 패드에 있어서는, 패드 내부로 삽입된 분비액이 비닐로 된 방습제에 의해 흡수된 분비액이 오히려 한 장소에 고이게 되고, 이로 인해 이 부위에서 냄새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통기가 되지 않아 오히려 환부의 치료를 더디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패드가 장시간 환부에 가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게 되는데, 욕창이란 국소부위의 조직 괴사를 의미하며, 주로 뼈 돌출 부위의 연조직이 지속적인 변형 또는 압박을 받을 때 발생하게 된다.
욕창은 척수장애인이나 중증사지마비환자, 인지장애환자, 고령자를 사망까지 이를 수 있게 하는 심각한 합병증이며, 환자의 재활, 직업, 일상생활 등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욕창은 단기간에 빨리 발생하게 되지만 치료를 위해서는 수개월의 회복 시간을 필요로 하며, 치료 및 수술에 드는 비용이 매우 크다. 또한, 욕창 발생은 환자의 예후에 좋지 않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는 욕창이 있는 부위에 적용하여 삼출물(진물)을 흡수하고 욕창부가 박테리아 및 진균등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밀봉을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욕창의 치료용으로 개발된 제품을 욕창 예방용으로 용도를 바꿔서 사용하다 보니 특히 발뒷꿈치에 적용했을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게 된다.
욕창 치료용 폼은 투습이 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폼 자체가 습기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어서 습윤한 환경이 조성되며 폼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단열재처럼 체온을 붙잡아 고온 다습환 환경을 만들게 된다.
이런 환경에서는 욕창 발생 가능성이 올라갈 수 있고 발에 무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고, 무좀은 아니더라도 발 냄새의 원인균이 대부분 진균이나 박테리아 등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판매중인 의료용 패드들은 욕창 예방에 효과적인 제품은 없기 때문에 욕창 환자들이 관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기력이 약한 고령자나 혹은 환자가 오랫동안 누운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에 환부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환부가 단기간에 치유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창 예방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욕창 예방 패드는,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환부의 치료를 위하여 부착된 창상 피복제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창상 피복제가 환부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예방 패드로서,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환자의 환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를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자의 환부가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판면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를 고정시켜야 하는 환부의 둘레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여 몸체부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각각 권취되어 부착되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욕창 예방 패드는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기력이 약한 고령자나 혹은 환자가 오랫동안 누운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에 환부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환부가 단기간에 치유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욕창 예방 패드는 환부에서 효과적으로 압력을 감소 또는 분산시키고 과도하게 습윤한 환경을 조절하지 않도록 하여 욕창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가 환자의 환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가 환자의 호나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가 환자의 환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가 환자의 호나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가 환자의 환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가 환자의 호나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는,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환부의 치료를 위하여 부착된 창상 피복제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창상 피복제가 환부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예방 패드로서,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환자의 환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100)는 환자의 환부를 치유하기 위한 창상 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창상 피복제가 유동하지 않도록 창상 피복제와 환자의 환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환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몸체부(100)가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몸체부(100)에 의하여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100)는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포성 우레탄 재질은 화학 고분자를 혼합 반응시켜 얻어진 발포 생성물로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며, 우레탄에 발포제를 섞어 만드는 제품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외력을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있는 재료이다.
몸체부(100)가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부(100)가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장시간 환부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압력을 흡수하여 감소시키거나 혹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에 욕창이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100)를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자의 환부가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판면에는 복수의 통기공(11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의 판면에 복수의 통기공(11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0)가 메쉬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가 환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부가 진물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며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하나의 라인은 종단면이 원형을 갖도록 형성하여 몸체부(100)를 인체에 착용시에 인체와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형태의 몸체부(100)는 인체의 적용 부위에 효과적으로 압력을 감소 또는 분산시켜 혈행을 원활하게 하고, 격자 사이의 통기공(110)을 통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도하게 습윤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격자 사이의 통기통(110)을 통하여 피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욕창의 발생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이 편평하지 않고 굴곡되거나 돌출되어 있어도 원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인해 인체에 적용시에 거의 모든 부위에 적용이 가능하며, 원통 형태로 제작한다면 튜브 형태의 인체구조(팔, 다리)에는 추가적인 고정 없이(픽싱롤, 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어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인한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종단면이 환형의 고리를 갖고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환자의 환부에 착용시에 환부의 형태에 따라 변형되면서 환부를 감쌀 수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이도 몸체부(100)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별도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 수단에 의하여 환자의 피부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경우에 몸체부(100)를 고정시켜야 하는 환부의 둘레에 따라 몸체부(100)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여 몸체부(10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연결수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를 구성하는 몸체부(100)는 평탄하게 형성된 판형으로 구비되며,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전체적인 종단면이 환형의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 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욕창 예방 패드의 경우에는 환자의 환부 둘레에 따라 알맞도록 욕창 예방 패드를 환부에 감싸지도록 하여 욕창 예방 패드의 유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를 구성하는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몸체부(100) 구성과 동일하며, 그에 따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연결수단(200)은 절개되어 상호 이격되어 있는 몸체부(10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경우에는 신속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210)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수단(200)은 절개되어 이격된 몸체부(10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성일 뿐이며, 몸체부(100)가 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환자의 환부를 가압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연결수단(200)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수단(200)으로 인한 피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연결수단(200)인 벨크로 테이프(210)는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몸체부(100)가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각각 권취되어 부착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벨크로 테이프(210)가 연장 형성되는 길이는 몸체부(100)로 감싸고자 하는 환부의 둘레 길이 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최소 환부의 둘레를 한 바퀴 감싸면서 몸체부(100)를 감싼 상태로 몸체부(100)의 양단부에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벨크로 테이프(210)가 몸체부(100) 양단부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권취되기 때문에 몸체부(100)의 일측이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창상 피복제가 환부와 접촉되ㅍ어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가 판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필요한 크기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고 더 큰 압력을 감소 또는 분산이 요구는 부위에 적용 시에는 여러 겹을 겹쳐서 적용하거나 팔다리처럼 원통형의 인체구조에는 여러 번 돌려 감아서 필요한 만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경우에는 환자의 환부에 창상 피복제를 붙힌 상태에서 몸체부(100)를 환부에 끼워넣어 몸체부(100)가 환부 전체를 감싸도록 하면, 창상 피복제가 환자의 환부와 몸체부(10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환부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탄성을 갖는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부(100)에 의하여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흡수되어 감소하거나 혹은 분산되기 때문에 환자의 환부에 욕창이 발생함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의 경우에는 환자의 환부에 창상 피복제를 붙힌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환부를 감싸도록 환부에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감아서 감싸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일단부에 구비된 연결수단(200)인 벨크로 테이프(210)를 이용하여 환부를 감싸도록 감아서 벨크로 테이프(21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0)가 환부를 감싼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환부의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부(100)가 탄성을 갖는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부(100)에 의하여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흡수되어 감소하거나 혹은 분산되기 때문에 환자의 환부에 욕창이 발생함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 예방 패드는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기력이 약한 고령자나 혹은 환자가 오랫동안 누운 자세로 생활하는 경우에 환부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환부가 단기간에 치유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통기공
200 : 연결수단 210 : 벨크로 테이프
200 : 연결수단 210 : 벨크로 테이프
Claims (5)
-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환부의 치료를 위하여 부착된 창상 피복제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창상 피복제가 환부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욕창 예방 패드로서,
환자의 환부 주변을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환자의 환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1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부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발포성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 패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를 환자의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환자의 환부가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판면에는 복수의 통기공(110)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 패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를 고정시켜야 하는 환부의 둘레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연결수단(200)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 패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가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각각 권취되어 부착되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예방 패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0722A KR20250019511A (ko) | 2023-08-01 | 2023-08-01 | 욕창 예방 패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0722A KR20250019511A (ko) | 2023-08-01 | 2023-08-01 | 욕창 예방 패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19511A true KR20250019511A (ko) | 2025-02-10 |
Family
ID=9462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0722A Pending KR20250019511A (ko) | 2023-08-01 | 2023-08-01 | 욕창 예방 패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19511A (ko) |
-
2023
- 2023-08-01 KR KR1020230100722A patent/KR20250019511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11225B2 (en) | Limited stretch compression garment apparatus and method | |
US6211426B1 (en) | Device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pressure ulcers and related impaired blood circulation problems | |
US7297128B2 (en) | Arm suspension sleeve | |
US5882324A (en) | Protection and treatment device for ankle, heel and elbow prominences | |
US20180296394A1 (en) | Wound dressing with elastic properties for contouring to the shape of a limb | |
US9392874B2 (en) | Pressure reducing device | |
JP2002204816A (ja) | 膨張可能な保護具 | |
US9775747B2 (en) | Wound barrier pad | |
US20140121627A1 (en) | Compressive dressing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EP1154743A1 (en) | Bandage | |
KR20250019511A (ko) | 욕창 예방 패드 | |
US12053356B2 (en) | Self-attaching absorbent wrap | |
WO2008047576A1 (fr) | Analgésique | |
TWM602409U (zh) | 供一褥瘡患者使用之內褲 | |
JP3073193B2 (ja) | 巻着式鎮痛材 | |
Finnie | Bandages and bandaging techniques for compression therapy | |
CN110200675A (zh) | 一种女性私密整型术后护理用具 | |
CN217219382U (zh) | 一种梯度压力袜 | |
CN213525707U (zh) | 一种360度全方位足踝减压套 | |
US20230047698A1 (en) | Expansion sock | |
US11813144B1 (en) | Multi-layer compression wrap system for treating venous ulcers and related conditions | |
WO2023244852A2 (en) | Elev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of use | |
WO2025030182A2 (en) | Pre-formed absorbent wound dressing,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 |
EP3662877A1 (en) | heel protector | |
WO2024227573A1 (en) | A pressure offloading pad for use in a gar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8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