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16906A - Vari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Vari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16906A
KR20250016906A KR1020230097485A KR20230097485A KR20250016906A KR 20250016906 A KR20250016906 A KR 20250016906A KR 1020230097485 A KR1020230097485 A KR 1020230097485A KR 20230097485 A KR20230097485 A KR 20230097485A KR 20250016906 A KR20250016906 A KR 2025001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axis direction
display device
variable display
mov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길평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16906A/en
Publication of KR2025001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1690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화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 일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Y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를 X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소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screen modes by three-dimensionally transforming the shape of a display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display device is introduced, which comprises: a display portion that displays an image; a pusher that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and selectively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to partially protrude the display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Description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Variable display device}Variable display device {Vari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화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screen modes by three-dimensionally transforming the shape of a display portion.

디스플레이 기술은 CRT에서 AMOLED 기술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오고 있고, 최근에는 고해상도의 OLED 패널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형화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Display technology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from CRT to AMOLED technology, and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toward larger display devices by applying high-resolution OLED panels.

OLED는 유기 반도체 소재를 사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각각의 픽셀이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시켜 화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면에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다.OLED is a technology that uses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to form a screen. Unlike LCD (Liquid Crystal Display), each pixel generates light on its own to form the screen, so there is no need for a backlight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이로 인해, OLED는 LCD보다 더 얇고 가벼우며, 유연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This allows OLEDs to be thinner, lighter, and more flexible than LCDs.

특히, POLED는 OLED 디스플레이의 한 변형으로, Polymer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다.In particular, POLED is a variation of OLED display that can produce more flexible displays by using polymer materials.

이에, 곡면 디스플레이, 접이식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curved displays and foldable displays, are being released.

다만, 기존의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된 형태의 화면이 대부분으로, 실내 인테리어가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드의 화면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most display devices installed in existing vehicles are fixed screens, which not only makes the interior monotonous,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provide screens in various mode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inte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cknowledgment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246148910-2461489 B1B1 KRKR 10-2020-011360610-2020-0113606 A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화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can implement various screen modes by three-dimensionally transforming the shape of a display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 일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Y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를 X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 pusher that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selectively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to partially protrude the display unit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디스플레이부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재가 고정되고; 상기 보강재가 푸셔의 Y축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isplay member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arranged at a set interval along the Y-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푸셔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돌출 이동됨에 따라 돌출된 디스플레이부의 후면과 차체 사이의 갭이 차단수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The rear of the displa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and as the display portion is protruded and moved by the pusher, the gap between the protruding rear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can be blocked by the blocking means.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고정된 보강재에 차체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영역과 경계하는 보강재 부분에 두께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두께영역이 차체를 향한 X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두께영역에 의해 갭이 차단될 수 있다.The above blocking means comprises a support area provided on a reinforcing member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section, in which an end of the body is supported; a thickness area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bordering the support area; and the thickness area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toward the body, so that a gap can be blocked by the thickness area.

X축 방향과 나란한 두께영역의 수평면이, 이와 마주하는 차체와 상시 면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horizontal plane of a thickness region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maintains constant surface contact with the body facing it.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무빙부가 고정되어 무빙부가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무빙부가 차체를 향한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무빙부에 의해 갭이 차단될 수 있다.The above blocking means is formed such that a moving part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rt, the moving part moves together with the display part, and the moving part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in the X-axis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gap can be blocked by the moving part.

X축 방향과 나란한 무빙부의 수평면이, 이와 마주하는 차체와 상시 면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lane of the moving part parallel to the X-axis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maintains constant surface contact with the body facing it.

상기 차체의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무빙부가 차체를 따라 가이드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n operat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above body; and within the operating space, a moving part is guided along the body and can move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무빙부의 X축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turn means tha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above moving part.

상기 제1리턴수단은, 차체와 무빙부 사이에 연결된 제1리턴스프링일 수 있다.The above first return means may be a first retur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body and the moving part.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푸셔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수단;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푸셔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 X-axis movement means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the push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Y-axis movement means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the pusher in the Y-axis direction.

상기 X축 이동수단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되어 푸셔의 X축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캠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되고, 외면의 캠프로파일이 푸셔의 후면에 지지되어 편심 회전각도에 따라 푸셔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X-axis mov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actuat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cam that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irst actuator and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a camshaft orthogonal to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and has a cam profile on an outer surface that is supported on the rear of the pusher to move the pusher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eccentric rotation angle.

상기 푸셔의 X축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turn means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above pusher.

상기 제2리턴수단은, 푸셔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의 X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푸셔 사이에 연결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turn means may include: a support plate arranged parallel to the pusher and guiding movement of the push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retur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pusher.

상기 Y축 이동수단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 푸셔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스크루너트; 상기 스크루너트에 나사 체결구조로 관통되어 제2액추에이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루;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Y-axis moving means may include: a second actuat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support plate arranged parallel to the pusher and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usher; a screw nut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lead screw that penetrates the screw nut with a screw fastening structure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econd actuator.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작동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변형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화면 모드를 구현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새롭고 색다르게 디자인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lements various screen modes by three-dimensionally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display portion through the protru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portion, but also has the effect of designing an interior in a newer and more unique way.

더욱이, 다양한 화면 모두의 구현을 통해 여러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자율주행차의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성하는 장점도 있다.Moreov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entertainment cont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screens, and also of configuring a user-friendly display environment as autonomous vehicles become activ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푸셔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푸셔의 X축 방향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푸셔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변형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및 도 3의 B - B선 단면도로서, 갭 부분이 푸셔의 제2영역에 의해 차단되는 제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푸셔의 제2영역이 얇게 형성되어 갭 부분이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후단에 무빙부가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갭 부분이 무빙부에 의해 차단되는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푸셔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과 도 14는 도 11과 도 12의 푸셔가이드 및 제2리턴수단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푸셔가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display unit and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 shape in which a display unit is deform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usher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shape in which a display unit is deform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usher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line B-B of FIG. 3, respective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configuration in which a gap portion is blocked by a second region of a pusher.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egion of the pusher is formed thinly and the gap portion is opened.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 shape in which a moving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a displa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drawing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a gap portion is blocked by a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nd FIG. 12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pusher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 and 14 are drawings showing the shapes of the pusher guide and the second return means of Figures 11 and 12.
Figure 1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pusher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 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의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 일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Y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100)를 X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는 푸셔(3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The vari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100) that displays an image; a pusher (300) that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and selectively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to partially protrude the display unit (100) in the X-axis direc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Polymer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매우 얇은 POLED의 디스플레이로서, 변형 및 벤딩에 유연하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isplay unit (100) is a very thin POLED display manufactured using a polymer material, and is flexible to deformation and bending.

푸셔(3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설치되고, 좌우 길이가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우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부분에 겹쳐지는 형태가 된다.The pusher (300)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0) and is formed with a left-right length shorter than the left-right length of the display unit (100), thereby overlapping a part of the display unit (100).

특히, 상기 푸셔(300)는 차량의 전후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pusher (300) can move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이에, 도 3과 같이, 푸셔(300)가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0)를 전방으로 밀게 됨으로써, 푸셔(300)에 의해 밀리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by pushing the display unit (100) forward while the push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the display unit (100) pushed by the pusher (300) can protrude forward.

그리고, 상기 푸셔(300)는 차량의 좌우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pusher (300) can move in the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이에, 도 4와 같이, 푸셔(300)가 전방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부(100)의 위치에서 그 측방향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100)를 밀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푸셔(300)에 의해 밀리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pusher (300) moves by pushing the display unit (100) loc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00) protruding forward, so that the display unit (100) pushed by the pusher (300) can protrude forward.

물론, 도 2의 상태에서 푸셔(300)를 좌우로 이동 가능함으로써, 푸셔(30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푸셔(300)의 좌우 이동 후 푸셔(300)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100)를 돌출시킬 수 있다.Of course, by being able to move the pusher (300) left and right in the state of Fig. 2, the position of the pusher (300) can be moved left and right, and after the pusher (300) is moved left and right, the pusher (300) can be moved forward to protrude the display unit (100).

이처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00)의 돌출 작동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00)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변형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화면 모드를 구현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새롭고 색다르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lements various screen modes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100) into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protru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00), but also enables designing interiors in a newer and more unique way.

그리고,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자율주행차의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various entertainment contents and also configure a user-friendly display environment as autonomous vehicles become activat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디스플레이부(100)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재(200)가 고정되고; 상기 보강재(200)가 푸셔(300)의 Y축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a reinforcing member (200)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isplay member (10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100); and the reinforcing members (200) can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Y-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300).

구체적으로, 보강재(2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강성 보강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제(210)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isplay unit (100) and can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0) using an adhesive (210) such as double-sided tape.

상기 보강재(200)는 좌우 폭이 짧고, 상하 길이가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다.The abov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formed in a belt shape with a short width from left to right and a long length from top to bottom and is attached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00).

특히, 상기 보강재(2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우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부착된다.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attached in multiple pieces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unit (100) and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attached.

이에, 푸셔(300)에 의해 보강재(200)의 후면을 밀어, 디스플레이부(100)가 돌출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ea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is pushed by the pusher (300), so that the display part (100) can protrud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이 차체(4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푸셔(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가 돌출 이동됨에 따라 돌출된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과 차체(400) 사이의 갭(G)이 차단수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100) is supported by the body (400); and as the display portion (100) is protruded and moved by the pusher (300), the gap (G) between the protruding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100) and the body (400) can be blocked by a blocking means.

즉, 푸셔(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가 승객 방향으로 돌출되면, 돌출된 부분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차체(400) 사이에 도 7과 같이 갭(G)이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display part (100) is protruded toward the passenger by the pusher (300), a gap (G)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art of the display part (100) and the body (400) as shown in FIG. 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갭(G)을 차단수단에 의해 차단하게 됨으로써, 수분 및 이물이 갭(G)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 through the gap (G) by blocking the above-mentioned gap (G) with a blocking means.

상기한 차단수단의 제1실시예로서, 보강재(200)의 구조를 변형하여 갭(G)을 차단할 수 있다.As a first embodiment of the above-mentioned blocking means, the gap (G) can be blocked by deform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고정된 보강재(200)에 차체(400)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영역(200a)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영역(200a)과 경계하는 보강재(200) 부분에 두께영역(200b)이 마련되며; 상기 두께영역(200b)이 차체(400)를 향한 X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두께영역(200b)에 의해 갭(G)이 차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upport area (200a) in which an end of a body (400) is supported by a reinforcing member (200)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0); a thickness area (200b)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00) bordering the support area (200a); and the thickness area (200b) is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in the X-axis direction toward the body (400), so that a gap (G) can be blocked by the thickness area (200b).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과 같은 차체(400)의 전단에 보강재(200)의 후면 중간부분이 지지되는바, 상기 차체(400)에 의해 지지되는 보강재(200)의 후면부분이 지지영역(200a)이 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rear middle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00) is supported by the front end of a body (400), such as a dashboard or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00) supported by the body (400) becomes a support area (200a).

그리고, 상기 지지영역(200a)의 하단과 이어지는 보강재(200)가 상기 차체(400)를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확장 형성되어 두께영역(200b)을 이루게 된다.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rea (200a) is expanded and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body (400) to form a thickness area (200b).

즉, 두께영역(200b)의 전후두께가 지지영역(200a)의 전후두께와 대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된다.That is, the front-back thickness of the thickness region (200b) is formed thicker than the front-back thickness of the support region (200a).

이때에, 상기 푸셔(300)는 두께영역(200b)을 밀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er (300) can be configured to push the thickness area (200b).

다만, 상기 푸셔(300)가 지지영역(200a)의 상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밀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두께영역(200b)이 지지영역(200a)의 하단이 아닌 지지영역(200a)의 상단과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usher (300) may be configured to pus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rea (200a), and the thickness area (200b) may also be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rea (200a) rath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rea (200a).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도 6과 같이 푸셔(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부분이 승객방향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부(100)와 차체(400) 사이에 갭(G)이 발생하면, 보강재(200)의 두께영역(200b)에 의해 갭(G)의 하단부분을 막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 part of the display unit (100) protrudes toward the passenger by the pusher (300) as shown in FIG. 6 and a gap (G) is generated between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body (400), the lower part of the gap (G) is blocked by the thickness area (200b) of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따라서, 갭(G)을 통해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etc.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gap (G).

아울러, 본 발명은 X축 방향과 나란한 두께영역(200b)의 수평면이, 이와 마주하는 차체(400)와 상시 면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rizontal plane of a thickness region (200b)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maintains a constant surface contact state with a body (400) facing it.

구체적으로, 상기 두께영역(200b)의 전후 두께가 디스플레이부(100)가 돌출되어 발생되는 갭(G)의 최대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Specifically, the front-back thickness of the above thickness region (200b) must be formed longer than the maximum front-back length of the gap (G) that is generated when the display unit (100) protrudes.

그리고, 상기 두께영역(200b) 상단의 수평면이 차체(400) 하단의 수평면과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And, the horizontal plane at the top of the thickness region (200b) can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ne at the bottom of the body (400).

따라서,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00)가 돌출된 상황에서도 두께영역(200b) 상단의 수평면과 차체(400) 하단의 수평면이 서로 면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이물질 및 수분이 갭(G)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display unit (100) protrudes as in Fig. 6, the horizontal plane at the top of the thickness region (200b) and the horizontal plane at the bottom of the body (400) mainta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from entering through the gap (G).

한편, 상기한 차단수단의 제2실시예로서, 무빙부(410)의 구성을 부가하여 갭(G)을 차단할 수 있다.Meanwhile,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bove-mentioned blocking means, the gap (G) can be blocked by adding a configuration of a moving part (410).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후면에 무빙부(410)가 고정되어 무빙부(410)가 디스플레이부(100)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무빙부(410)가 차체(400)를 향한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무빙부(410)에 의해 갭(G)이 차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locking means is formed such that a moving part (410)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rt (100) so that the moving part (410) moves together with the display part (100); and the moving part (410)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in the X-axis direction toward the body (400), so that the gap (G) can be blocked by the moving part (410).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강재(200)의 후면 중간부분에 차체(400)를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무빙부(410)가 고정되고, 무빙부(410)가 디스플레이부(100)와 함께 전후로 이동된다.Referring to FIGS. 8 to 10, a moving part (410) is fixed to the rear middle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200) in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body (400), and the moving part (410) moves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display part (100).

그리고,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과 같은 차체(400)의 전단에 보강재(200)의 후면 중간부분이 지지된다.And, the rear middle part of the reinforcement (200) is supported on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400), such as the dashboard or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이때에, 푸셔(300)는 디스플레이부(100) 하단 후면의 보강재(200)를 밀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er (300) can be configured to push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display portion (100).

다만, 상기 푸셔(300)가 디스플레이부(100) 상단 후면의 보강재(200) 부분을 밀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usher (300) may be configured to push the reinforcing material (200) portion at the upper rear of the display portion (100).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도 10과 같이 푸셔(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부분이 승객방향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부(100)와 차체(400) 사이에 갭(G)이 발생하면, 무빙부(410)가 갭(G) 부분을 막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 part of the display unit (100) protrudes toward the passenger by the pusher (300) as shown in Fig. 10 and a gap (G) is generated between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body (400), the moving unit (410) blocks the gap (G) portion.

따라서, 갭(G)을 통해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etc.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gap (G).

아울러, 본 발명은 X축 방향과 나란한 무빙부(410)의 수평면이, 이와 마주하는 차체(400)와 상시 면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plane of the moving part (410)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maintains a constant surface contact state with the body (400) facing it.

더불어, 상기 차체(400)의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무빙부(410)가 차체(400)를 따라 가이드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body (400); within the operating space, a moving part (410) can be guided along the body (400) and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부(410)의 전후길이가 디스플레이부(100)가 돌출되어 발생되는 갭(G)의 최대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Specifically, the front-back length of the moving part (410) must be formed longer than the maximum front-back length of the gap (G) generated by the protrusion of the display part (100).

그리고, 상기 무빙부(410) 상단의 수평면이 차체(400)의 작동공간 상단의 내측 수평면과 접촉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4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horizontal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space of the body (400).

따라서,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00)가 돌출된 상황에서도 무빙부(410) 상단의 수평면과 차체(400)의 작동공간 상단의 내측 수평면이 서로 면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이물질 및 수분이 갭(G)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display unit (100) protrudes as in Fig. 10, the horizontal plane at the top of the moving unit (410) and the inner horizontal plane at the top of the operating space of the body (40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from entering through the gap (G).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무빙부(410)의 X축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turn means tha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4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리턴수단은, 차체(400)와 무빙부(410)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 구조의 제1리턴스프링(420)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eturn means may be a first return spring (420) of a coil spring structure connected between the body (400) and the moving part (410).

즉, 제1리턴스프링(420)의 일단이 차체(400)의 작동공간 내측에 고정되고, 제1리턴스프링(420)의 타단이 무빙부(410)의 후단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first return spring (420) can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operating space of the body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turn spring (420) can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ving part (410).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와 함께 승객방향으로 이동된 무빙부(410)가 제1리턴스프링(4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 이동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part (410) moved toward the passenger together with the display part (100) can be restored and mov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20).

한편,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푸셔(3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수단;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푸셔(3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X-axis movement means that converts a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an actuator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a pusher (300)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Y-axis movement means that converts a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an actuator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a pusher (300) in the Y-axis direction.

먼저, 상기 X축 이동수단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510); 상기 제1액추에이터(510)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되어 푸셔(300)의 X축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캠축(531)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되고, 외면의 캠프로파일이 푸셔(300)의 후면에 지지되어 편심 회전각도에 따라 푸셔(3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53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First, the X-axis moving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ctuator (510)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cam (530) that is eccentrically rotated around a cam shaft (531) that is orthogonal to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300) by provid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irst actuator (510), and a cam profile on an outer surface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rear of the pusher (300) to move the pusher (300)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eccentric rotation angle.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푸셔(300)의 후방에 상기 푸셔(300)와 나란하게 지지플레이트(500)가 마련된다.Referring to FIGS. 11 to 14, a support plate (500) is provided parallel to the pusher (300) at the rear of the pusher (300).

상기 제1액추에이터(510)는 모터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모터가 지지플레이트(500)에 장착되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above first actuator (510) may be a motor, and the motor is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500)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에 캠축(531)이 결합되고, 상기 캠축(531)을 중심으로 캠(530)이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And, a camshaft (531)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500), and a cam (530) is provided to be able to rotate eccentrically around the camshaft (531).

상기 캠축(531)에 풀리가 결합되고, 제1액추에이터(510)와 캠(5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풀리가 결합된다.A pulley is coupled to the camshaft (531), and at least one pulley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ctuator (510) and the cam (530).

그리고, 상기 풀리들이 벨트(52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풀리 중 어느 하나에 제1액추에이터(510)의 회전력이 제공됨으로써, 벨트전동에 의해 캠축(531)을 중심으로 캠(53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And, the above pulleys are connected by a belt (520),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actuator (510) is provided to one of the pulleys, so that the cam (530) can rotate around the camshaft (531) by belt drive.

특히, 상기 캠(530) 외면의 캠프로파일이 푸셔(300)의 후면에 상시 지지되는 상태로 접촉됨으로써, 캠(530)의 편심 회전시 캠프로파일의 형상 및 캠(530)이 편심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푸셔(300)의 이동량이 결정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cam profi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m (530)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usher (300) while being supporte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usher (3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m profile and the angle at which the cam (530) rotates eccentrically when the cam (530) rotates eccentrically.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의 돌출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돌출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화면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controlling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display unit (100), various screen mode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display unit (100).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푸셔(300)의 X축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turn means tha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300).

구체적으로, 상기 제2리턴수단은, 푸셔(30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300)의 X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플레이트(500);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와 푸셔(300) 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 구조의 제2리턴스프링(55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return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late (500) arranged parallel to the pusher (300) and guiding the X-axis movement of the pusher (300); and a second return spring (550) of a coil spring structure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500) and the pusher (300).

다만, 상기 푸셔(300)의 양측에 지지플레이트(500)를 향해 돌출되는 형상의 푸셔가이드(54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푸셔가이드(540)에 제2리턴스프링(550)이 연결될 수 있다.However, a pusher guide (540) having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support plate (500) on both sides of the pusher (300) may be fixed. In this case, a second return spring (550) may be connected to the pusher guide (540).

즉, 제2리턴스프링(550)의 일단이 지지플레이트(500)에 고정되고, 제2리턴스프링(550)의 타단이 푸셔가이드(54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return spring (550) can be fixed to the support plate (5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turn spring (550) can be fixed to the side of the pusher guide (540).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를 밀어내는 푸셔(300)가 제2리턴스프링(5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 이동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usher (300) that pushes the display unit (100) can be restored and mov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550).

한편, 상기 Y축 이동수단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560); 푸셔(30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300)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500);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에 고정된 스크루너트(580); 상기 스크루너트(580)에 나사 체결구조로 관통되어 제2액추에이터(56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루(57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Meanwhile, the Y-axis moving means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actuator (560)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support plate (500) tha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pusher (300) and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usher (300); a screw nut (580) fixed to the support plate (500); and a lead screw (570) that penetrates the screw nut (580) with a screw fastening structure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econd actuator (560).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액추에이터(560)는 모터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축에 리드스크루(570)가 결합되어 리드스크루(57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second actuator (560) may be a motor, and a lead screw (570)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lead screw (570).

상기 리드스크루(570)는 지지플레이트(500)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00)의 양측 하단에 스크루너트(580)가 고정되며, 스크루너트(580)에 리드스크루(570)가 나사 체결구조로 관통됨으로써, 리드스크루(570)의 회전시 스크루너트(580)가 리드스크루(570)를 따라 이동되어 지지플레이트(500)가 좌우로 이동된다.The above lead screw (570)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500), and a screw nut (580) is fixed to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500), and the lead screw (570) penetrates the screw nut (580) with a screw fastening structure, so that when the lead screw (570) rotates, the screw nut (580) moves along the lead screw (570), causing the support plate (500) to move left and right.

이때에, 상기 리드스크루(5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리니어가이드(590)가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리니어가이드(590)가 지지플레이트(500)의 좌우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a linear guide (59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wraps arou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570), and the linear guide (590) serves to guide the left-right linear movement of the support plate (500).

이처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00)의 돌출 작동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00)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변형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화면 모드를 구현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새롭고 색다르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lements various screen modes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100) into three dimensions through the protru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00), but also enables designing interiors in a newer and more unique way.

더욱이, 다양한 화면 모두의 구현을 통해 여러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자율주행차의 활성화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screens,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entertainment contents and also configure a user-friendly display environment as autonomous vehicles are activat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Meanwhi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above-mentioned specific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보강재
200a : 지지영역
200b : 두께영역
210 : 접착제
300 : 푸셔
400 : 차체
410 : 무빙부
420 : 제1리턴스프링
500 : 지지플레이트
510 : 제1액추에이터
520 : 벨트
530 : 캠
531 : 캠축
540 : 푸셔가이드
550 : 제2리턴스프링
560 : 제2액추에이터
570 : 리드스크루
580 : 스크루너트
590 : 리니어가이드
G : 갭
100 : Display section
200 : Reinforcement
200a : Support area
200b: Thickness area
210 : Adhesive
300 : Pusher
400 : Body
410 : Moving Department
420: 1st return spring
500 : Support plate
510: 1st actuator
520 : Belt
530 : Cam
531 : Camshaft
540 : Pusher Guide
550: Second return spring
560: 2nd actuator
570 : Lead Screw
580 : Screwnut
590 : Linear Guide
G: Gap

Claims (1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 일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Y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를 X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section that displays images;
A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usher that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selectively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to partially protrude the display unit in the X-axis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디스플레이부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재가 고정되고;
상기 보강재가 푸셔의 Y축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reinforcing material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display unit;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s are arranged at a set interval along the Y-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푸셔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돌출 이동됨에 따라 돌출된 디스플레이부의 후면과 차체 사이의 갭이 차단수단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The rear of the above display portion is supported by the body;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ding display portion and the body is blocked by a blocking means as the display portion is protruded and moved by the pus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고정된 보강재에 차체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영역과 경계하는 보강재 부분에 두께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두께영역이 차체를 향한 X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두께영역에 의해 갭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3,
The above blocking means are,
A support area is provided on which an end of the body is supported by a reinforcing member fixed to the rear of the above display portion;
A thickness area is provid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portion bordering the above-mentioned support area;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reg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in the X-axis direction toward the body, and a gap is blocked by the thickness reg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무빙부가 고정되어 무빙부가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무빙부가 차체를 향한 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무빙부에 의해 갭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3,
The above blocking means are,
A moving part is fix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rt, and the moving part moves together with the display part;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art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in the X-axis direction toward the body, and the gap is blocked by the moving pa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무빙부가 차체를 따라 가이드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5,
An operat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above body;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art is guided along the body and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withi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spa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의 X축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리턴수단은, 차체와 무빙부 사이에 연결된 제1리턴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irst return means for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above moving part;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turn means is a first retur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body and the mov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푸셔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X축 이동수단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되어 푸셔의 X축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캠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되고, 외면의 캠프로파일이 푸셔의 후면에 지지되어 편심 회전각도에 따라 푸셔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Includes an X-axis moving means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into linear motion to move the pusher in the X-axis direction;
The above X-axis movement means is,
A first actuator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m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first actuator and rotates eccentrically around a camshaft orthogonal to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er, and has a cam profile on its outer surface supported on the rear of the pusher to move the pusher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eccentric rotation ang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X축 이동방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리턴수단은,
푸셔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의 X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푸셔 사이에 연결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eturn means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X-axis movement direction of the above pusher;
The above second return means is,
A support plate arranged parallel to the pusher and guiding the X-axis movement of the pusher;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retur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pus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푸셔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Y축 이동수단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
푸셔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푸셔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된 스크루너트;
상기 스크루너트에 나사 체결구조로 관통되어 제2액추에이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Includes a Y-axis moving means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into linear motion to move the pusher in the Y-axis direction;
The above Y-axis movement means is,
A second actuator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A support plate arranged parallel to the pusher and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usher;
A screw nut fixed to the above support plate;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ead screw that penetrates the screw nut with a screw fastening structure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a second actuator.
KR1020230097485A 2023-07-26 2023-07-26 Variable display device Pending KR202500169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485A KR20250016906A (en) 2023-07-26 2023-07-26 Vari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485A KR20250016906A (en) 2023-07-26 2023-07-26 Vari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16906A true KR20250016906A (en) 2025-02-04

Family

ID=9460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485A Pending KR20250016906A (en) 2023-07-26 2023-07-26 Vari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1690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06A (en) 2019-03-26 2020-10-07 (주)세아메카닉스 variable assembly device for curved surface display
KR102461489B1 (en) 2020-11-11 2022-11-03 주식회사엘디전자 Curved Display Laminat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Lamin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06A (en) 2019-03-26 2020-10-07 (주)세아메카닉스 variable assembly device for curved surface display
KR102461489B1 (en) 2020-11-11 2022-11-03 주식회사엘디전자 Curved Display Laminat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Laminat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226B1 (en) Apparatus for bending control using angled ba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bending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EP2832588A1 (en) Combiner storage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EP2712767B1 (en) On-vehicle electronic device
CN112805171A (en) Display device and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device
KR20200049967A (en) Display device
EP1495962B1 (en) Latch device
US20240359557A1 (en) Display system and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system
KR20190023775A (en) Pop-up type steering wheel device
KR20250016906A (en) Variable display device
US11919398B2 (en)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JP2018202992A (en) On-vehicle electronic device
JP7023580B2 (en) Guidance drive device
US9415688B2 (en) Vehicular display unit
US20180180142A1 (en) Display apparatus
US20070040949A1 (en) Rotating device for display panel
KR100821925B1 (en) Display drive
CN117373342A (en) Display and display device
US11938866B2 (en)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US12324111B2 (en) Deformable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6460918B2 (en) Automotive electronics
EP4524938A1 (en) Deformable display device
JP2007055512A (en) Sun visor device
JP7392450B2 (en) Slide mechanism, display panel driv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3892617B2 (en) Electronics
KR20240007113A (en) Vehic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