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16414A - Plant container - Google Patents
Plant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16414A KR20250016414A KR1020250008722A KR20250008722A KR20250016414A KR 20250016414 A KR20250016414 A KR 20250016414A KR 1020250008722 A KR1020250008722 A KR 1020250008722A KR 20250008722 A KR20250008722 A KR 20250008722A KR 20250016414 A KR20250016414 A KR 202500164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ck
- container
- opening
- water
- p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용기는, 몸체를 형성하고, 물이 유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고,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는 심지, 및 심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을 함유하는 배지를 포함하고, 심지는,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여 배지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ontainer.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container forming a body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 wick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absorbing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opening, and a medium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ick and containing nutrients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plant, wherein the wi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bsorbs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opening and causes it to flow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edium.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ontainer.
일반적인 식물 용기에는 식물이나 종자 등이 파종되며, 파종된 식물이나 종자 등은 상기 식물 용기에 구비되는 양분과 물을 흡수하여 성장한다.In a typical plant container, plants or seeds are sown, and the sown plants or seeds grow by absorbing the nutrients and water provided in the plant container.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1-0009141호,“자동급수 조절식 화분”에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재배조로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 및 급수재와, 물의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재가 개시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1-0009141, “Automatic Watering Control Flower Pot,” discloses a pipe and a water supply material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a reservoir to a cultivation tank, and a control member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supply water.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급수재는 파이프로 유입된 물을 흡수하여 재배조로 물을 유동시키고, 조절부재는 급수재로 흡수된 물이 재배조로 공급되는 여부를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 조절부재 및 급수재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재배조의 하부 측으로만 공급되기에, 재배조의 상부 측으로는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재배조의 일부로 물이 미 공급되는 문제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water supply material absorbs the water flowing into the pipe and causes the water to flow into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regulating member controls whether the water absorbed by the water supply material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tank. However, since the water supplied by the regulating member and the water supply material is supplied only to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not smoothly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In other words, a problem occurs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to a part of the cultivation tank.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을 위한 물질(토양 또는 배지)로 원활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lant container in which wat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a material (soil or medium) for plant growth.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용기는 몸체를 형성하고, 물이 유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고,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을 함유하는 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상기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배지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plant container comprises: a container having a body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water flows; a wick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absorbing water flowing into the opening; and a medium containing nutrients required for the growth of a plant, the medium being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ick, wherein the wick absorbs water flowing into the opening and causes it to flow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medium.
상기 용기는,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물이 유입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제1 용기 지지부; 및 상기 용기 몸체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물이 유입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제2 용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tainer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badge is accommodated; a first container support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nd a second container support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용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제2 용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심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ck may include a first wick body dispos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and a second wick body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와 상기 제2 심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용기 몸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심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wick may further include a wick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상기 심지 연결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wick connecting parts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의 상기 심지 연결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bove-mentioned wick connecting portions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심지 연결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wick connection part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개구에 삽입되는 제1 심지 삽입부; 및 상기 제2 심지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심지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ck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wi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wi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1 심지 삽입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며,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는 상기 제2 심지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may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may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와 상기 제2 심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용기 몸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심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심지 삽입부와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물을 흡입하며, 상기 제1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1 심지 몸체를 통해 상기 심지 연결부로 유동되고,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2 심지 몸체를 통해 상기 심지 연결부로 유동될 수 있다.The wick further includes a wick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and sucks water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and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can flow to the wick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first wick body, and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can flow to the wick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삽입부와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물을 흡입하며, 상기 제1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심지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배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2 심지 몸체 및 상기 심지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배지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ick is configured to absorb water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and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is supplied to the medium through on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wick connection portion, and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medium through one of the second wick body and the wick connection portion.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여, 상기 제1 심지 몸체, 상기 제2 심지 몸체, 및 상기 심지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배지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wick can suck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and cause it to flow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edium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wick body, the second wick body, and the wick connecting portion.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제2 심지 몸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심지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wick may further include a wick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심지 돌출부는, 다수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제2 심지 몸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wick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sitions and can protrude upwar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용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하방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용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하방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may be formed by open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and the second opening may be formed by open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상기 배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식물이 놓이는 씨앗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씨앗층은, 상기 심지의 상방에 배치되는 배지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upplying water from the medium and including a seed layer on which a plant is placed, wherein the seed layer is located above the medium arranged above the wick.
상기 심지는, 합성섬유, 스펀지, 펄프, 면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The above wick can be provided from any one of synthetic fiber, sponge, pulp, and cotton.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물을 신속하게 배지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required for plant growth can be quickly delivered to the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배지의 일부로 물이 미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elivered to a portion of the badge.
본 발명에 따르면, 배지로 공급될 수 있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medium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단면도.Figure 1 is an exploded view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a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용기(1)에서 식물이나 종자 등을 재배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이나 종자 등은 상기 식물 용기(1)에 파종되어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용기(1)는 식물 용기 등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식물이나 종자 등을 성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용기(1)는 실외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식물이나 종자 등을 성장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plants, seeds, etc. can be grown in a plant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s, seeds, etc. can be sown in the plant container (1) and grown. The plant container (1) can grow plants, seeds, etc. while being placed inside the plant container, etc. In addition, the plant container (1) can grow plants, seeds, etc. while being placed in an outdoor space.
상기 식물 용기(1)는 용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몸체를 형성하는 용기 몸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1)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1)은 상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1)의 개구된 상면으로 후술할 심지(20), 배지(30), 및 씨앗층(40)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몸체(101)은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plant container (1) may include a container (10). The container (10)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101) forming a body. The container body (101) may be formed as a polygon having one open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1) may be opened. A wick (20), a medium (30), and a seed lay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1). The container body (101)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container body (10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etc.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 몸체(101)는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는 상기 용기 몸체(10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는 상기 용기 몸체(10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는 상기 용기 몸체(101)의 저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는 상기 용기 몸체(101)의 저면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부에는 상기 심지(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는 상기 용기 몸체(101)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의 일부는 물에 잠길 수 있다.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의 일부가 잠긴 물은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식물 용기(1)에 파종된 식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는 상기 용기 몸체(10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기에 제1용기 돌출부 및 제2용기 돌출부라 칭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body (101) may include a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a) and a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b).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b)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1). For exampl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b)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container body (101).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a)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1),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b)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1). A part of the wick (2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In addition,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may support the container body (10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rt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may be submerged in water. The water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are submerged ma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and be supplied to plants sown in the plant container (1). Meanwhil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a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art (102b)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tainer body (101),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tainer protrusion part and a second container protrusion part.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에는 제1개구(103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에는 제2개구(103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103a) 및 제2개구(103b)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개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103a) 및 제2개구(103b)에 의해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개구(103a) 및 제2개구(103b)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의 저면,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다수의 개구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 몸체(101)에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다수의 용기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102a)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03a).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member (102b)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103b). The first opening (103a) and the second opening (103b) may be defined as openings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member (102b). That is, water may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first opening (103a) and the second opening (103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03a) and the second opening (103b) are arranged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102a), and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openings. Meanwhile, the container body (101)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but a plurality of container support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식물 용기(1)는 심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지(20)는 상기 제1개구(103a) 및 제2개구(103b)로 유입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심지(20)는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고, 흡수 부재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심지(20)는 합성섬유, 스펀지, 펄프, 면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심지(20)는 상기 용기 몸체(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심지(20)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지(20)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 및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에서 상기 제1개구(103a) 및 제2개구(103b)로 유입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The above plant container (1) may include a wick (20). The wick (20) may absorb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103a) and the second opening (103b). The wick (2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xcellent absorbency and may be referred to as an absorbent member. For example, the wick (20) may be provided with synthetic fiber, sponge, pulp, cotton, etc. The wick (20) may be arrang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1).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ck (20) may be arrang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member (102b). The above wick (20) can absorb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103a) and the second opening (103b)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상기 심지(20)는 제1심지(20a) 및 제2심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20a)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심지(20b)는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지(20)는 상기 용기 지지부(102)에 대응하여 개수가 변화될 수 있다.The above wick (20) may include a first wick (20a) and a second wick (20b). The first wick (20a) may be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wick (20b) may be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The number of wicks (2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ainer support (102).
상기 제1심지(20a)는 제1심지 몸체(201a) 및 제1심지 삽입부(20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몸체(201a)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삽입부(202a)는 상기 제1심지 몸체(201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삽입부(202a)는 상기 제1개구(103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103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1심지 삽입부(202a) 및 상기 제1심지 몸체(201a) 순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20a)로 흡수된 물은 후술할 배지(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몸체(201a)와 상기 제1심지 삽입부(202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ick (20a) may include a first wick body (201a) and a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02a). The first wick body (201a)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a) and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a).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02a)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wick body (201a).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02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03a). That is,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opening (103a) may flow in the order of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02a) and the first wick body (201a). The water absorbed by the first wick (20a) can be transferred to the medium (30) described later. The first wick body (201a) and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02a) can be formed integrally.
상기 제2심지(20b)는 제2심지 몸체(201b) 및 제2심지 삽입부(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몸체(201b)는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삽입부(202b)는 상기 제2심지 몸체(201b)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삽입부(202b)는 상기 제2개구(103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개구(103b)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2심지 삽입부(202b) 및 상기 제2심지 몸체(201b) 순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20b)로 흡수된 물은 후술할 배지(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몸체(201b)와 상기 제2심지 삽입부(202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ick (20b) may include a second wick body (201b) and a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02b). The second wick body (201b)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b) and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02b).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02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wick body (201b).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02b)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3b). That is,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opening (103b) may flow in the order of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02b) and the second wick body (201b). The water absorbed by the second wick (20b) can be transferred to the medium (30) described later. The second wick body (201b)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02b) can be formed integrally.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용기(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지(30)로 복수의 심지(20)를 통해 물이 공급되기에 상기 배지(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심지(20a) 및 제2심지(20b)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기에 상기 배지(30)로 신속하게 물이 전달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ater is supplied to the medium (30) arranged inside the container (10) through a plurality of wicks (20), so tha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medium (30) can increas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wick (20a) and the second wick (20b)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ater can be quickly delivered to the medium (30).
상기 식물 용기(1)는 배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30)에는 식물이나 종자 등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지(30)는 상기 심지(20)로 공급되는 물과 혼합되어 상기 식물 용기(1)에 파종된 식물이나 종자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지(30)는 상기 용기(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의 내측에서 상기 배지(30)는 상기 심지(2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심지(20)에 의해 흡수되는 물은 상기 심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배지(30)로 전달될 수 있다.The plant container (1) may include a medium (30). The medium (30) may include nutrients required for the growth of plants or seeds. The medium (30) may be mixed with water supplied to the wick (20) and supplied to plants or seeds sown in the plant container (1). The medium (30) may b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10). The medium (30) may be placed above the wick (20) inside the container (10). That is, water absorbed by the wick (20) may be transferred to the medium (30) placed above the wick (20).
상기 배지(30)는 상기 용기 몸체(101)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지 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 몸체(31)에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배지 돌출부(32a) 및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배지 돌출부(32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지 돌출부(32a) 및 제2배지 돌출부(32b)는 상기 배지 몸체(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지 돌출부(32a)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02a)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배지 돌출부(32b)는 상기 제2용기 지지부(102b)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지 돌출부(32a) 및 상기 제2배지 돌출부(32b)는 상기 배지 몸체(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dge (30) may include a badge body (31)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1). The badge body (31) may include a first badge protrusion (32a) dispos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a second badge protrusion (32b)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The first badge protrusion (32a) and the second badge protrusion (32b)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adge body (31). The first badge protrusion (32a)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02a), and the second badge protrusion (32b)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02b). The first badge protrusion (32a) and the second badge protrusion (32b)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dge body (31).
상기 식물 용기(1)는 씨앗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은 상기 배지(3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에는 식물이나 종자 등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에 놓인 식물이나 종자 등은 상기 배지(30)로부터 공급되는 양분이 포함된 물을 공급받아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은 상기 배지(30)의 상방에 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이 상기 배지(30)의 상방에 미 배치될 경우에, 상기 식물이나 종자 등은 상기 배지(30)이 파종될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이 제공될 경우에, 상기 씨앗층(40)에서 성장하는 식물이나 종자 등에 상기 배지(3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씨앗층(40)이 제공될 경우에, 상기 씨앗층(40)에서 성장된 식물의 열매 등에 상기 배지(30)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청결한 상태로 상기 식물이나 종자 등을 성장시킬 수 있다.The plant container (1) may include a seed layer (40). The seed layer (40) may be placed above the medium (30). Plants, seeds, etc. may be placed on the seed layer (40). The plants, seeds, etc. placed on the seed layer (40) may receive water containing nutrients supplied from the medium (30) and grow. The seed layer (40) may not be placed above the medium (30). When the seed layer (40) is not placed above the medium (30), the plants, seeds, etc. may be sown in the medium (30). When the seed layer (40) is provided, the medium (30) can be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plants, seeds, etc. growing in the seed layer (40). When the seed layer (40) is provided, the medium (30) can be prevented from attaching to the fruits, etc. of the plants grown in the seed layer (40). That is, the plants or seeds can be grown in a clean sta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심지(20)를 통해 상기 배지(30) 및 상기 씨앗층(40)으로 물을 공급하기에 상기 배지(30) 및 상기 씨앗층(4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심지(20a)와 제2심지(20b)를 통해 상기 배지(30)의 일측과 타측으로 물이 공급되기에 신속하게 배지(30) 및 씨앗층(4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medium (30) and the seed layer (40) can be increased by supplying water to the medium (30) and the seed layer (40) through a plurality of wicks (20). In addition, water can be suppli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edium (30) through the first wick (20a) and the second wick (20b) which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water can be quickly supplied to the medium (30) and the seed layer (40).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showing a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가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구성 일부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part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eing modified. Therefore,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dentical to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용기는 하나의 심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지(21)는 용기(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지(21)는 상기 용기(11)의 내측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wick (21). The wick (21) may be placed inside the container (11). The wick (21) may be plac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
상기 심지(21)는 용기 몸체(111)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심지 몸체(211)와, 상기 용기(11)의 제1용기 지지부(112a)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심지 연장부(212a)와, 상기 용기(11)의 제2용기 지지부(112b)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심지 연장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지 몸체(211)와, 상기 제1심지 연장부(212a)와, 상기 제2심지 연장부(212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wick (21) may include a wick body (211) arrang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1), a first wick extension (212a)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12a) of the container (11), and a second wick extension (212b)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12b) of the container (11). The wick body (211), the first wick extension (212a), and the second wick extension (212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상세히, 상기 제1심지 연장부(212a)는 상기 심지 몸체(211)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연장부(212b)는 상기 심지 몸체(211)의 타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연장부(212a)에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12a)에 구비된 제1개구(113a)에 삽입되는 제1심지 삽입부(213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연장부(212b)에는 상기 제2용기 지지부(112b)에 구비된 제2개구(113b)에 삽입되는 제2심지 삽입부(213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삽입부(213a)는 상기 제1심지 연장부(212a)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심지 삽입부(213b)는 상기 제2심지 연장부(212b)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wick extension portion (212a)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wick body (211). The second wick extension portion (212b)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wick body (211). The first wick extension portion (212a) may include a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13a) inserted into a first opening (113a) provided in the first container support portion (112a). The second wick extension portion (212b) may include a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13b) inserted into a second opening (113b) provided in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112b).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13a) may protrude from the first wick extension portion (212a),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13b)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wick extension portion (212b).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11)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심지(21)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제1개구(113a)와 상기 제2개구(113b)로 유입되는 물을 신속하게 배지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심지(21)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심지(21)에 의해 물이 신속하게 배지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wick (21) integrally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113a) and the second opening (113b)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medium. That is, by forming a wick (21)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absorbency integrally, water can be quickly diffused into the medium by the wick (21).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showing a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가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구성 일부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part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eing modified. Therefore,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identical to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용기는 용기(12)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심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심지(22)는 상기 용기(12)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하나의 심지(22)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심지(22)는 제1실시 예와 유사하게 다수의 심지로 제공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ck (22) arrang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ck (22) may be provided as one wick (22) arrang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2).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idea, the wick (22)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wick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심지(22)는 용기 몸체(121)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심지 몸체(221)와, 상기 용기(12)의 제1용기 지지부(122a)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심지 연장부(222a)와, 상기 용기(12)의 제2용기 지지부(122b)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심지 연장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지 몸체(221)와, 상기 제1심지 연장부(222a)와, 상기 제2심지 연장부(222b)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wick (22) may include a wick body (221) arrang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21), a first wick extension (222a)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22a) of the container (12), and a second wick extension (222b)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22b) of the container (12). The wick body (221), the first wick extension (222a), and the second wick extension (222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상세히, 상기 제1심지 연장부(222a)는 상기 심지 몸체(22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심지 연장부(222b)는 상기 심지 몸체(221)의 타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연장부(222a)에는 제1개구(123a)에 삽입되는 제1심지 삽입부(223a)가 포함되고, 상기 제2심지 연장부(222b)에는 제2개구(123b)에 삽입되는 제2심지 삽입부(223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삽입부(223a)는 상기 제1심지 연장부(222a)로부터 상기 제1개구(123a)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심지 삽입부(223b)는 상기 제2심지 연장부(222b)로부터 상기 제2개구(123b)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wick extension portion (222a)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wick body (221), and the second wick extension portion (222b)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wick body (221). The first wick extension portion (222a) may include a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23a)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23a), and the second wick extension portion (222b) may include a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23b)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23b).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223a)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wick extension portion (222a)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opening (123a),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223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wick extension portion (222b)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opening (123b).
본 발명에 따른 심지(22)에는 심지 돌출부(2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심지 돌출부(225)는 상기 심지(22)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심지 돌출부(225)는 상기 심지(2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지(22)가 돌출되는 상방은 상기 용기(12)의 개구된 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심지 돌출부(225)는 상기 심지(22)의 상방에 배치되는 배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상기 심지 돌출부(225)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심지 돌출부(225)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The wick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ck protrusion (225). The wick protrusion (225)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wick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ck protrusion (22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wick (22). At this time, the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wick (22) protrudes may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toward an opened surface of the container (12). In another aspect, the wick protrusion (225) may protrude toward a medium arranged above the wick (22).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wick protrusion (225) passes may be formed in the medium. The opening formed in the medium and the wick protrusion (225)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심지 돌출부(225)에는 상기 제1심지 연장부(222a)에 형성되는 제1심지 돌출부(225a), 상기 제2심지 연장부(222b)에 형성되는 제2심지 돌출부(225b), 및 상기 심지 몸체(221)에 형성되는 제3심지 돌출부(225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지 돌출부(225)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로 제공되는 심지 돌출부(225)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wick protrusion (2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wick protrusion (225a) formed on the first wick extension (222a), a second wick protrusion (225b) formed on the second wick extension (222b), and a third wick protrusion (225c) formed on the wick body (221). In addition, the wick protrusions (225)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wick protrusions (225)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심지(22)에서 돌출되는 심지 돌출부(225)에 의해 상기 심지(22)로 흡수된 물은 신속하게 배지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지로 공급될 수 있는 물의 양이 증가되고, 상기 배지로의 물 공급이 원활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absorbed into the wick (22) can be quickly diffused into the medium by the wick protrusion (225) protruding from the wick (22). Accordingly,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medium increases, and the supply of water to the medium can be made smooth.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drawing showing a main part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가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구성 일부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용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part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eing modified. Therefore,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identical to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용기는 용기(13)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심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심지(23)는 흡수된 물을 상기 용기(13)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심지(23)는 상기 용기(13)의 하부로 흡수된 물을 상기 용기(13)의 상부로 유동시켜서 상기 배지의 상부와 하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pla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ck (23) arrang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ck (23) may cause the absorbed water to flow in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3). That is, the wick (23) may cause the water absorb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3) to flow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3), thereby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edium.
상세히, 상기 심지(23)는 상기 용기(13)의 제1용기 지지부(132a)에 삽입되는 제1심지 몸체(231a)와, 용기(13)의 제2용기 지지부(132b)에 삽입되는 제2심지 몸체(231b)와, 상기 제1심지 몸체(231a)와 상기 제2심지 몸체(231b)를 연결하는 심지 연결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심지 몸체(231a)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32a)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심지 몸체(231b)는 상기 제2용기 지지부(132b)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심지 몸체(231a)는 상기 제1용기 지지부(132a)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심지 몸체(231b)는 상기 제2용기 지지부(132b)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심지 몸체(231a)가 상기 제1용기 지지부(132a)의 내측에 배치되면, 용기 몸체(131)의 내측 저면과 상기 제1심지 몸체(231a)의 상면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wick (23) may include a first wick body (231a)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32a) of the container (13), a second wick body (231b) inserted into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32b) of the container (13), and a wick connecting portion (237) connecting the first wick body (231a) and the second wick body (231b). The first wick body (231a)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132a). The second wick body (231b)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132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ick body (231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132a), and the second wick body (231b)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member (132b). For example, when the first wick body (231a) is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132a),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ick body (231a)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심지 연결부(237)는 상기 제1심지 몸체(231a)와 상기 제2심지 몸체(231b)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심지 연결부(237)는 상기 용기 몸체(131)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심지 연결부(237)는 상기 제1심지 몸체(231a)와 상기 제2심지 몸체(231b)를 연결하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수의 직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직선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심지 연결부(237)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wick connecting portion (237) can connect the first wick body (231a) and the second wick body (231b). The above-described wick connecting portion (237)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3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ck connecting portion (237) can be formed as a curve connecting the first wick body (231a) and the second wick body (231b).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idea,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can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one straight line can be formed by bending.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wick connecting portions (237) can be provided in a plurality, and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심지 몸체(231a)와 상기 제2심지 몸체(231b)로 흡수된 물은 상기 심지 연결부(237)에 의해 상기 배지의 상부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배지의 상부를 향해 상기 용기(13)의 하부에서 흡수된 물이 유동되기에 식물이나 종자 등으로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absorbed by the first wick body (231a) and the second wick body (231b) can flow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edium by the wick connecting part (237). Since water absorb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13) flows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edium, wat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plants, seeds, etc.
1: 식물 용기
10: 용기
20: 심지
30: 배지
40: 씨앗층1: Plant container 10: Container
20: Wick 30: Badge
40: Seed layer
Claims (17)
상기 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고,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을 함유하는 배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는, 상기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배지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용기.A container forming a body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 wick placed inside the above container and sucking water flowing into the opening; and
A medium contain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above wick and the nutrients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plant,
A plant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ck sucks water flowing into the opening and causes it to flow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edium.
상기 용기는,
상기 배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물이 유입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제1 용기 지지부; 및
상기 용기 몸체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물이 유입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제2 용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ainer,
A container bod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above badge is accommodated;
A first container support member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nd
A plant container including a second container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second opening forme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용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제2 용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심지 몸체를 포함하는 식물 용기.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wick is,
A first wick body arrang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support; and
A plant container comprising a second wick body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member.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와 상기 제2 심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용기 몸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심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wick is,
A plant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wick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상기 심지 연결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식물 용기.In the fourth paragraph,
A plant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wick connecting parts and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의 상기 심지 연결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식물 용기.In clause 5,
A plant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wick connecting portion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심지 연결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물 용기.In the fourth paragraph,
A plant containe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wick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개구에 삽입되는 제1 심지 삽입부; 및
상기 제2 심지 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심지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wick is,
A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wi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A plant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wick body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1 심지 삽입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며,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는 상기 제2 심지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는 식물 용기.In Article 8,
The abov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ick body,
A plant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와 상기 제2 심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용기 몸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심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심지 삽입부와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물을 흡입하며,
상기 제1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1 심지 몸체를 통해 상기 심지 연결부로 유동되고,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2 심지 몸체를 통해 상기 심지 연결부로 유동되는 식물 용기.In Article 8,
The above wick is,
It further includes a wick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flows to the wick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first wick body,
A plant container in which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flows to the wick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삽입부와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물을 흡입하며,
상기 제1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심지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배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심지 삽입부를 통해 흡수된 상기 물은, 상기 제2 심지 몸체 및 상기 심지 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배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식물 용기.In Article 8,
The above wick is,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first wick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medium through on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wick connection portion,
A plant container configured such that the water absorbed through the second wick insertion portion is supplied to the medium through one of the second wick body and the wick connection portion.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하여,
상기 제1 심지 몸체, 상기 제2 심지 몸체, 및 상기 심지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배지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동되도록 하는 식물 용기.In Article 8,
The above wick is,
By suck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A plant container that allows the medium to flow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wick body, the second wick body, and the wick connecting part.
상기 심지는,
상기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제2 심지 몸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심지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wick is,
A plant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wick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심지 돌출부는,
다수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심지 몸체, 및 상기 제2 심지 몸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식물 용기.In Article 13,
The above wick protrusion is,
They are placed in large number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ant container protruding upwar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wick body and the second wick body.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용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하방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용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하방 개구되어 형성되는 식물 용기.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opening is formed by opening downward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support,
A plant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by open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상기 배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식물이 놓이는 씨앗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씨앗층은, 상기 심지의 상방에 배치되는 배지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 seed layer on which plants are placed,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above medium,
A plant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ed layer is located above the medium arranged above the wick.
상기 심지는, 합성섬유, 스펀지, 펄프, 면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식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wick is a plant container provided with any one of synthetic fiber, sponge, pulp, and cott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50008722A KR20250016414A (en) | 2019-03-15 | 2025-01-21 | Plant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0094A KR102759976B1 (en) | 2019-03-15 | 2019-03-15 | Plant container |
KR1020250008722A KR20250016414A (en) | 2019-03-15 | 2025-01-21 | Plant contain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094A Division KR102759976B1 (en) | 2019-03-15 | 2019-03-15 | Plant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16414A true KR20250016414A (en) | 2025-02-03 |
Family
ID=727084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094A Active KR102759976B1 (en) | 2019-03-15 | 2019-03-15 | Plant container |
KR1020250008722A Pending KR20250016414A (en) | 2019-03-15 | 2025-01-21 | Plant contain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0094A Active KR102759976B1 (en) | 2019-03-15 | 2019-03-15 | Plant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7599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3341B1 (en) * | 2020-10-16 | 2023-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235U (en) * | 1988-06-16 | 1990-01-10 | ||
JPH0613445U (en) * | 1992-07-27 | 1994-02-22 | カネコ種苗株式会社 | Plant cultivation container |
KR101191318B1 (en) * | 2009-07-13 | 2012-10-16 | 이창현 | flowerpot for orchid |
KR101881420B1 (en) * | 2015-07-27 | 2018-08-24 | 합자회사 가온 | A Vegetation Mat Composition, a Vegetation Mat Using the Vegetation Mat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Restoring Slope Ecology thereby |
-
2019
- 2019-03-15 KR KR1020190030094A patent/KR102759976B1/en active Active
-
2025
- 2025-01-21 KR KR1020250008722A patent/KR20250016414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0044A (en) | 2020-09-23 |
KR102759976B1 (en) | 2025-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50016414A (en) | Plant container | |
US5826375A (en) | Modular planter system | |
WO2018190087A1 (en) | Hydroponic culture apparatus | |
JP6975154B2 (en) | Seedling raising equipment, support equipment and cell plugs used for seedling raising equipment | |
JP2017511120A (en) | Soilless plant cultivation container | |
KR100801133B1 (en) | 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 supply | |
KR20170035513A (en) | Water reservoir for pot | |
WO2007004438A1 (en) | Seedling culture pot an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 |
US20100083573A1 (en) | System for growing plants | |
KR20200095864A (en) | Small farming apparatus growing from seed to vegetable | |
KR20150094277A (en) | Cultivating device | |
KR200490422Y1 (en) | flowerpot for water culture with fish tank | |
KR102479711B1 (en) | Flowerpot structure with natural supplying water | |
KR20150141217A (en) | Plant frame | |
KR102300685B1 (en) | Plant breeding water supply | |
CN105075700A (en) | Plant container | |
KR100363810B1 (en) | Nutrient supplying method to pot using double wicks and double nutrient channels | |
KR20150086849A (en) | Desk type automatic pot | |
KR102348913B1 (en) | Capsule for seed | |
KR200435608Y1 (en) | 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 supply | |
CN203860115U (en) | Plant container | |
JP2021153490A (en) | Water feeding flowerpot for appreciation plant | |
CA2284389C (en) | Modular planter system | |
KR20170001235U (en) |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 |
KR900008347Y1 (en) | Flower po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1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31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03009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